KR102338930B1 -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8930B1 KR102338930B1 KR1020210128106A KR20210128106A KR102338930B1 KR 102338930 B1 KR102338930 B1 KR 102338930B1 KR 1020210128106 A KR1020210128106 A KR 1020210128106A KR 20210128106 A KR20210128106 A KR 20210128106A KR 102338930 B1 KR102338930 B1 KR 1023389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foundation
- hollow
- concrete
- reinforcing ba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525 full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DPGUMQDCGORJQ-UHFFFAOYSA-N (2-chloroethyl)phosphon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CCCl UDPGUMQDCGORJ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7 satie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186 sat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절토옹벽은 절토부의 전방에 터파기를 수행하고, 터파기면에 기초 잡석을 평탄화하여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는 육면체 형상의 기초 블록이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되, 각 기초 블록은 중심 벽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중공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양 측벽부에는 제1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인접한 기초 블록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연결 철근이 배근되며, 후벽부에는 제2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기초 블록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종방향 철근이 배근되고, 상기 기초 블록의 후방에는 횡방향 철근이 배근되며, 상기 기초 블록의 중공부와 기초 블록의 후방에는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기초 블록의 상부에는 육면체 형상의 중간 블록이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층이 형성되되, 각 중간 블록은 중심 벽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중공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전면부의 상단에는 전단키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는 전단홈이 형성되어 상하로 인접한 중간 블록의 전단키와 전단홈이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기초 블록과 중간 블록에 연통되도록 마련된 중공부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보강 콘크리트가 타설된 중공부를 제외한 기초 블록과 중간 블록의 중공부와 후방에는 채움 잡석이 구비되어 다짐된다.
이로써, 블록을 전체적으로 일체화하여 절토부의 높이가 일정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을 도시한 A-A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을 도시한 B-B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블록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블록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블록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블록을 도시한 (a) 전방측과 (b) 후방측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블록을 도시한 (a) 전방측과 (b) 후방측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마감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블록과 중간 블록을 결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옹벽 블록을 이용한 실험예 1의 시험방법을 도시한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옹벽 블록을 이용한 실험예 2의 시험방법을 도시한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의 옹벽 블록을 이용한 실험예 3의 시험방법을 도시한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중간 블록과 (b)마감 블록에 철근을 결합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a) 평면도 및 (b) 전개된 상태의 정면도.
도 11b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의 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토부 옹벽의 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블록의 시공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블록 형성단계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 블록 형성단계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압축강도 (MPa) |
동결용해 시험 후 압축강도 (MPa) | 흡수율 (%) |
28.0 이상 | 20.0 이상 | 7 이하 |
시험항목 |
시험시료 |
시험용 추 |
시험결과 (mm) | |||||
1지점 | 2지점 | 3지점 | 4지점 | 5지점 | 최대 | |||
진자충격에 따른 최대변위량 |
실시예 |
150 kg | 0.03 | 0.02 | 0.03 | 0.02 | 0.02 | 0.03 |
350 kg | 0.07 | 0.05 | 0.09 | 0.04 | 0.02 | 0.09 | ||
비교예 |
150 kg | 1.01 | 0.71 | 0.74 | 0.58 | 0.56 | 1.01 | |
350 kg | 2.00 | 1.08 | 1.49 | 1.32 | 1.08 | 2.00 |
시험항목 |
시험시료 |
최대하중 |
시험결과 (mm) | |||||
1지점 | 2지점 | 3지점 | 4지점 | 5지점 | 최대 | |||
수평 하중 재하에 따른 최대변위량 |
실시예 |
6 ton |
0.007 |
0.013 |
0.024 |
0.016 |
0.002 |
0.024 |
비교예 |
3 ton |
15.4 |
11.3 |
11.9 |
8.9 |
11.0 |
15.4 |
시험항목 |
시험시료 |
유입수
회수 가능여부 |
시험결과 (kg) |
배수 성능 |
실시예 |
가능 |
89 |
비교예 |
불가 |
- |
CW:절토부 S:터파기면
RB:잡석 C1:기초 콘크리트
10:바닥부 20:기초 블록
30:H 빔 40:중간 블록
20a,40a:중공부 21,41:전면부
41a:전단키 41b:전단홈
22,42:측벽부 23,43:후벽부
24,44:중심 벽부 25,45:저면부
50:마감 블록 50a:노출공
CR:연결 철근 R1:종방향 철근
R2:횡방향 철근 VR:수직 철근
C2:중간 콘크리트 C3:천단 콘크리트
RC:보강 콘크리트 FC:마감 콘크리트
M:절토옹벽 시공방법
S10:터파기 단계 S15:바닥부 형성단계
S20:기초 블록 배치단계 S30:기초 철근 배근단계
S40:기초 콘크리트층 형성단계 S50:H 빔 보강단계
S60:중간 블록 형성단계 S70:마감 블록 형성단계
S80:천단 보강단계
Claims (11)
- 삭제
- 삭제
- 삭제
- 절토부(CW)의 전방에 터파기를 수행하고, 터파기면(S)에 기초 잡석(RB)을 평탄화하여 바닥부(1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의 상부에는 육면체 형상의 기초 블록(20)이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되, 각 기초 블록(20)은 중심 벽부(24)를 중심으로 한 쌍의 중공부(20a)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양 측벽부(22)에는 제1 철근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인접한 기초 블록(20)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연결 철근(CR)이 배근되며, 후벽부(23)에는 제2 철근 관통공(23a)이 형성되어 기초 블록(20)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종방향 철근(R1)이 배근되고, 상기 기초 블록(20)의 후방에는 횡방향 철근(R2)이 배근되며,
상기 기초 블록(20)의 중공부(20a)와 기초 블록(20)의 후방에는 기초 콘크리트(C1)가 타설되고,
상기 기초 블록(20)의 상부에는 육면체 형상의 중간 블록(40)이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층이 형성되되, 각 중간 블록(40)은 중심 벽부(44)를 중심으로 한 쌍의 중공부(40a)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전면부(41)의 상단에는 전단키(41a)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는 전단홈(41b)이 형성되어 상하로 인접한 중간 블록(40)의 전단키(41a)와 전단홈(41b)이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기초 블록(20)을 따라 마련된 중공부(20a)에는 일정 간격마다 바닥부(10)의 저면으로 천공홀(H)이 형성되어 H 빔(30)이 삽입 구비되고, 상기 H 빔(30)의 상단은 기초 블록(20)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중간 블록(40)의 중공부(40a)에 위치하며, 상기 H 빔(30)이 위치한 기초 블록(20)과 중간 블록(40)에 연통되도록 마련된 중공부(20a)(40a)에는 복수의 수직 철근(VR)이 배근되어 보강 콘크리트(RC)가 타설되고,
상기 보강 콘크리트(RC)가 타설된 중공부(20a)(40a)를 제외한 기초 블록(20)과 중간 블록(40)의 중공부(20a)(40a)와 후방에는 채움 잡석(RB)이 구비되어 다짐되며,
상기 중간 블록(40)의 상부에는 마감 블록(50)이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되, 각 마감 블록(50)에는 한 쌍의 노출공(50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H 빔(30)이 위치한 중공부(40a)와 연통되는 노출공(50a)에는 복수의 수직 철근(VR)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마감 블록(50)의 저면부(55)에는 인접한 마감 블록(50)으로 연속되게 복수의 횡방향 철근(R2)이 배근되어 마감 콘크리트(FC)가 타설되며,
상기 마감 블록(50)의 후방에 채움 잡석(RB)이 구비되어 다짐되고, 상기 마감 블록(50)의 후방에 종방향 철근(R1)과 횡방향 철근(R2)이 배근되도록 천단 콘크리트(C3)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 절토부(CW)의 전방을 터파기하여 터파기면(S)을 형성하고, 상기 터파기면(S)에 기초 잡석(RB)을 평탄화하여 바닥부(10)를 형성하는 터파기 단계(S10);
육면체 형상의 기초 블록(20)을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하는 기초 블록 배치단계(S20);
상기 기초 블록(20)의 양 측벽부(22)에는 제1 철근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인접한 기초 블록(20)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연결 철근(CR)을 배근하고, 후벽부(23)에는 제2 철근 관통공(23a)이 형성되어 기초 블록(20)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종방향 철근(R1)을 배근하며, 상기 기초 블록(20)의 후방에는 상기 종방향 철근(R1)과 교차되도록 횡방향 철근(R2)을 배근하는 기초 철근 배근단계(S30);
각 기초 블록(20)에는 한 쌍의 중공부(20a)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20a)와 기초 블록(20)의 후방에 기초 콘크리트(C1)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기초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40);
상기 중공부(20a)를 관통하여 지중으로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마다 H 빔(30)을 구비하는 H 빔 보강단계(S50);
상기 기초 블록(20)의 상부로 육면체 형상의 중간 블록(40)을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중간 블록 형성단계(S60); 및
상기 중간 블록(40)의 상부로 마감 블록(50)을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하는 마감 블록 형성단계(S70);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 블록 형성단계(S70)는,
상기 중간 블록(40)의 상부로 마감 블록(50)을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하는 마감 블록 배치단계(S71);
각 마감 블록(50)에는 한 쌍의 중공부(50a)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H 빔(30)이 위치한 중공부(40a)와 연통되는 노출공(50a)을 통하여 중간 블록(40) 및 기초 블록(20)의 중공부(40a)(20a)에 보강 콘크리트(RC)를 타설하는 보강 콘크리트 타설단계(S72);
상기 보강 콘크리트(RC)가 타설된 노출부(50a)를 통하여 상기 중간 블록(40) 및 기초 블록(20)의 중공부(40a)(20a)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복수의 수직 철근(VR)을 삽입하는 수직 철근 삽입단계(S73);
상기 마감 블록(50)의 저면부(55)에는 인접한 마감 블록(50)으로 연속되게 복수의 횡방향 철근(R2)을 배근하는 마감 철근 배근단계(S74); 및
상기 마감 블록(50)의 저면부(55)에 마감 콘크리트(FC)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마감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방법.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 빔 보강단계(S50)는,
복수의 기초 블록(20)을 따라 마련된 중공부(20a)에 일정 간격으로 오거를 수직 구비하여 상기 바닥부(10)의 저면으로 천공홀(H)을 형성하는 천공홀 형성단계(S51); 및
상기 기초 블록(20)의 중공부(20a)를 통하여 천공홀(H)에 H 빔(30)을 삽입하여 상기 H 빔(30)이 기초 블록(2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는 H 빔 삽입단계(S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블록 형성단계(S60)는,
상기 기초 블록(20)의 상부로 육면체 형상의 중간 블록(40)을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적층 배치하는 중간 블록 배치단계(S61);
각 중간 블록(40)에는 한 쌍의 중공부(40a)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H 빔(30)이 위치한 중공부(40a)를 제외한 중간 블록(40)의 중공부(40a)와 후방에 채움 잡석(RB)을 구비하여 다짐하는 잡석 채움단계(S62);
상기 중간 블록(40)의 후벽부(43) 상부에 구비된 인서트 너트(43a)에 파지부(48a)가 형성된 L자형 세파볼트(48)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세파볼트(48)에 종방향 철근(R1)을 결속하고, 횡방향 철근(R2)을 배근하는 중간 철근 배근단계(S63); 및
상기 중간 블록(40)의 후방에 중간 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중간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6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블록 형성단계(S60)는,
상기 중간 블록(40)의 상부로 육면체 형상의 중간 블록(40)을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적층 배치하는 제2 중간 블록 배치단계(S65); 및
상기 H 빔(30)이 위치한 중공부(40a)를 제외한 중간 블록(40)의 중공부(40a)와 후방에 채움 잡석(RB)을 구비하여 다짐하는 제2 잡석 채움단계(S6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8106A KR102338930B1 (ko) | 2021-09-28 | 2021-09-28 |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및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8106A KR102338930B1 (ko) | 2021-09-28 | 2021-09-28 |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및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8930B1 true KR102338930B1 (ko) | 2021-12-14 |
Family
ID=7890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8106A Active KR102338930B1 (ko) | 2021-09-28 | 2021-09-28 |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및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893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88356A (zh) * | 2020-02-24 | 2020-05-22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重力挡土墙及其施工方法 |
CN114718081A (zh) * | 2022-03-29 | 2022-07-08 |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 装配式可回收基坑围护预制桩及其施工方法 |
KR102445309B1 (ko) * | 2022-05-31 | 2022-09-21 | 주식회사 중원메가테크 |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된 배수형 블록 |
KR102555858B1 (ko) * | 2022-07-26 | 2023-07-13 | 장형석 | 시가전 및 워게임 참호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운영 시스템 |
KR20240024512A (ko) * | 2022-08-17 | 2024-02-26 | 주식회사 백림에프알 | 금속 배수 유도 부재를 이용한 비포장 도로용 배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KR102721304B1 (ko) * | 2024-08-28 | 2024-10-23 | 정택동 | 수직 수평 일체화 구조의 중력조립식 옹벽구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27176A (ja) * | 1997-12-19 | 2001-12-25 | ラシド カーミス,スヘイル | 強化擁壁 |
JP2002097641A (ja) * | 2000-09-25 | 2002-04-02 | Takuo Yukimoto |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
KR101475633B1 (ko) * | 2013-12-27 | 2014-12-22 | 임종덕 | 옹벽축조용 기초블록 |
KR101724077B1 (ko) * | 2016-04-20 | 2017-04-06 | 콘크리트월드 주식회사 | 보강토 옹벽 |
JP2019124036A (ja) * | 2018-01-16 | 2019-07-25 | 株式会社トラバース | 自立式擁壁及び連結ブロック |
-
2021
- 2021-09-28 KR KR1020210128106A patent/KR10233893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27176A (ja) * | 1997-12-19 | 2001-12-25 | ラシド カーミス,スヘイル | 強化擁壁 |
JP2002097641A (ja) * | 2000-09-25 | 2002-04-02 | Takuo Yukimoto |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
KR101475633B1 (ko) * | 2013-12-27 | 2014-12-22 | 임종덕 | 옹벽축조용 기초블록 |
KR101724077B1 (ko) * | 2016-04-20 | 2017-04-06 | 콘크리트월드 주식회사 | 보강토 옹벽 |
JP2019124036A (ja) * | 2018-01-16 | 2019-07-25 | 株式会社トラバース | 自立式擁壁及び連結ブロック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88356A (zh) * | 2020-02-24 | 2020-05-22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重力挡土墙及其施工方法 |
CN114718081A (zh) * | 2022-03-29 | 2022-07-08 |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 装配式可回收基坑围护预制桩及其施工方法 |
CN114718081B (zh) * | 2022-03-29 | 2024-05-03 |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 装配式可回收基坑围护预制桩及其施工方法 |
KR102445309B1 (ko) * | 2022-05-31 | 2022-09-21 | 주식회사 중원메가테크 |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된 배수형 블록 |
KR102445315B1 (ko) * | 2022-05-31 | 2022-09-21 | 주식회사 중원메가테크 | 축조 블록 |
KR102555858B1 (ko) * | 2022-07-26 | 2023-07-13 | 장형석 | 시가전 및 워게임 참호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운영 시스템 |
KR20240024512A (ko) * | 2022-08-17 | 2024-02-26 | 주식회사 백림에프알 | 금속 배수 유도 부재를 이용한 비포장 도로용 배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KR102671889B1 (ko) * | 2022-08-17 | 2024-06-05 | 주식회사 백림에프알 | 금속 배수 유도 부재를 이용한 비포장 도로용 배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KR102721304B1 (ko) * | 2024-08-28 | 2024-10-23 | 정택동 | 수직 수평 일체화 구조의 중력조립식 옹벽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8930B1 (ko) | 내구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절토부 옹벽 및 시공방법 | |
CN102966119B (zh) |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 |
US8452550B2 (en) | Method of analyzing load-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top-base foundation | |
CN109538246A (zh) | 拱盖法暗挖地铁车站拱脚加固结构及施工方法 | |
CN104790429B (zh) | 一种整体式预应力加筋挡土墙的施工方法 | |
KR101218174B1 (ko) | 지오매트와 강봉이 결합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 |
JPH06294136A (ja) | 地盤改良杭 | |
KR100816382B1 (ko) | 등입도 투수성 콘크리트 보강 쇄석말뚝 | |
KR101145393B1 (ko) |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 |
US6745421B2 (en) | Abutment with seismic restraints | |
CN111088739A (zh) | 一种带有道路系统的框架式抗滑结构及其施工方法 | |
KR20110046209A (ko) | 교량 교각기초 보강 및 세굴방지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물 | |
US9243380B2 (en) | Reinforced arch with floating foot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 |
CN108978704A (zh) | 一种加筋挡土墙及其施工方法 | |
KR101265079B1 (ko) |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 |
KR102021496B1 (ko) |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 |
KR102490872B1 (ko) |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 |
CN103981880A (zh) | 一种扩顶扩底cfg桩复合地基处理方法 | |
CN110258526A (zh) | 预制式地下连续墙以及施工地下室外墙和楼板的方法 | |
CN215165799U (zh) | 一种加筋挡土墙 | |
KR100783786B1 (ko) | 선천공 기초분리 말뚝공법 | |
KR101045019B1 (ko) |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20217B1 (ko) | 앵커를 이용한 암석 축조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CN211872447U (zh) | 帮宽路基结构 | |
JP6292028B2 (ja) | 盛土補強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0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