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199B1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dth variable typ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dth variable typ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8199B1 KR102338199B1 KR1020210109225A KR20210109225A KR102338199B1 KR 102338199 B1 KR102338199 B1 KR 102338199B1 KR 1020210109225 A KR1020210109225 A KR 1020210109225A KR 20210109225 A KR20210109225 A KR 20210109225A KR 102338199 B1 KR102338199 B1 KR 102338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glass fiber
- width
- panel
- fiber compo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ibres or fila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4—Pressing laminated glass articles or glass with metal inserts or enclosures, e.g. wires, bubbles, coloured par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C03B33/074—Glass products comprising an outer layer or surface coating of non-glass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007—Impregnation by solution; Solution doping or molecular stuffing of porous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제조정밀성 및 호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이 인발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배치되되, 양측 테두리가 상기 하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정렬 고정되고, 중앙부에 전후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사이에 구비되고, 기설정된 폭을 갖도록 복수개 분할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조립금형을 포함하되, 각 상기 조립금형의 상부에 각 상기 체결부에 대향 정렬되는 복수개의 상향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이 인발되도록 각 상기 조립금형 중 중앙부측 조립금형의 하면이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과 이격 배치되며, 양측 테두리가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정렬 고정되는 폭가변금형; 및 상호 정렬된 상기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폭가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체결되고, 상호 정렬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상향밀착부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improve manufacturing precision and compatibi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provided so that a glass fiber composite panel is pultruded, comprising: a lower mold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as a flat surface; an upper mol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mold, both edges of which are aligned and fixed to both edges of the lower mol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I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and includes an assembly mold tha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to have a preset width,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wherein each of the fastening parts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each of the assembly molds. A plurality of upward-adhesive part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art-side assembly mold of each of the assembly molds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so that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is drawn out, and both edges of the lower mold and the lower mold and a variable width mold aligned and fixed to both edges of the upper mol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fastened to both edges of the mutually aligned lower mold, the upper mold, and the variable width mold, and fastened to the mutually aligned fastening part and the upwardly adhering part. A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정밀성 및 호환성이 개선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idth-variabl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idth-variabl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having improved manufacturing precision and compatibility.
일반적으로 폐수저장시설, 터널, 교량, 옹벽, 아파트나 건물의 벽 또는 지하주차장과 같은 구조물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기상 변화, 해수, 지하수, 빗물, 공장폐수 등의 오염수 및 화합물의 작용에 의해 품질이 점차 나빠지는 열화 현상이 진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규 또는 보수/보강 시공이 요구된다.In general, structures such as wastewater storage facilities, tunnels, bridges, retaining walls, walls of apartments or buildings, or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constructed using concrete. The deterioration of these concrete structures progresses gradually due to the action of polluted water and compounds such as weather changes, seawater, groundwater, rainwater, and factory wastewater. Therefore, new or repair/reinforcement construction of such a concrete structure is required.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규 또는 보수/보강 시공과 관련된 기술로서, 격자 형태로 조립한 스테인리스-스틸 와이어메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을 증진시키는 공법이 개시되었다. 상세히, 상기 공법은 스테인리스-스틸 와이어메시가 철근 역할을 수행하고, 마감층으로 형성하는 보강용 모르타르의 부착성능으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이 거동하여 보강하는 공법이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ology related to new or repair/reinforcement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a method for enhanc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a concrete structure using a stainless-steel wire mesh assembled in a lattice form has been disclosed. In detail, the above method is a method of reinforcing a stainless steel wire mesh by acting as a reinforcing bar and acting like a concrete structure with the adhesion performance of a reinforcing mortar formed as a finishing layer.
이때, 상기 공법은 단지 철근 대용으로 스테인리스-스틸 와이어메시를 사용하고 보강용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피복 두께를 형성한다. 따라서, 노후 콘크리트의 강성 부족 및 초과 하중으로 인한 보강차원에서 철근 대용의 스테인리스-스틸 와이어메시가 보강 모르타르에 의해 콘크리트와 부착되어 빔 또는 슬래브의 인장력에 저항하는 철근의 모멘트 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보강 효과를 발휘한다.At this time, the above method only uses a stainless-steel wire mesh as a substitute for reinforcing bars and forms a coating thickness using a reinforcement mortar. Therefore, in terms of reinforcement due to insufficient rigidity of aged concrete and excessive load, a stainless-steel wire mesh instead of rebar is attached to the concrete by a reinforcing mortar. perform
그러나, 상기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되는 와이어메시의 긴장 상태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고, 긴장력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여 보강 효과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quality depends on the tension state of the wire mesh attached to the concrete structure,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tension force, thereby reducing the reinforcing effect.
한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PC)와 같은 보강대상물의 보강용으로 그 내면 또는 외면에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이 적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glass fiber composite panel may be laminat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object, such as precast concrete (PC).
그러나, 종래의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을 제조하도록 구비된 금형에 대응되는 크기로만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의 폭이 설정되어 제조되므로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이 다양한 폭으로 형성된 콘크리트에 대응되지 못하여 호환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width of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is set only to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mold provided to manufacture the conventional glass fiber composite panel,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cannot cope with concrete formed in various widths, so compatibility and economy There was a problem of this deterior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조정밀성 및 호환성이 개선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having improved manufacturing precision and compatibilit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이 인발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배치되되, 양측 테두리가 상기 하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정렬 고정되고, 중앙부에 전후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사이에 구비되고, 기설정된 폭을 갖도록 복수개 분할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조립금형을 포함하되, 각 상기 조립금형의 상부에 각 상기 체결부에 대향 정렬되는 복수개의 상향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이 인발되도록 각 상기 조립금형 중 중앙부측 조립금형의 하면이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과 이격 배치되며, 양측 테두리가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정렬 고정되는 폭가변금형; 및 상호 정렬된 상기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폭가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체결되고, 상호 정렬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상향밀착부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금형은 상기 폭가변금형의 양측 테두리측 상하방향 두께 미만의 두께로 설정되며 상기 폭가변금형의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는 복수개의 제1조립금형을 포함하되, 각 상기 제1조립금형의 하면은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베이스패널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과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provided so that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is pultruded, comprising: a lower mold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as a flat surface; an upper mol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mold, both edges of which are aligned and fixed to both edges of the lower mol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I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and includes an assembly mold tha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to have a preset width,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wherein each of the fastening parts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each of the assembly molds. A plurality of upward-adhesive part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art-side assembly mold of each of the assembly molds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so that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is drawn out, and both edges of the lower mold and the lower mold and a variable width mold aligned and fixed to both edges of the upper mol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fastened to both edges of the mutually aligned lower mold, the upper mold, and the variable width mold, and fastened to the mutually aligned fastening part and the upwardly adhering part, wherein the assembly mold comprises the A plurality of first assembly molds that are set to a thickness less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width mold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variable width mold,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ssembly molds is manufactured It provides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at base panel formed on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to be forme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 사이에 기설정된 폭을 갖도록 복수개 분할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는 조립금형의 배치상태에 따라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의 폭이 가변 설정되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패널을 제조할 수 있어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irst, the width of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to be manufactured is variably se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ssembly mold,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panels can be manufactured, and compati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둘째, 상호 밀착된 복수개의 제1조립금형이 삼부금형에 상향 밀착된 상태에서,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의 베이스패널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제1조립금형의 하면이 하부금형의 상면과 이격되어 포밍가이드부에서 압착 적층된 섬유로빙 및 유리섬유 매트가 삽입되며 안정적으로 연속 인발될 수 있다. Secon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assembly mold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ree-part mol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mol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panel of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to be manufactured. The fiber roving and glass fiber mat, which are spaced apart and laminated by compression in the forming guide part, are inserted and can be continuously drawn out stably.
셋째, 각 제1조립금형의 하부 양측 테두리에 돌출인발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호 밀착된 한쌍의 돌출인발홈의 내면 윤곽이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의 돌출부 외면 윤곽에 대응되어 설정됨에 따라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의 폭이 가변 호환되면서도 정밀한 형상으로 인발 제조되므로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ird, the protruding drawing grooves are recessed on both lower edges of the first assembly mold, and the inner contour of the pair of protruding drawing groove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set to correspond to the outer contour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Manufacturing precision can be improved because the width of the material panel is variably compatible and is manufactured by drawing in a precise shape.
넷째, 인발금형부 전측에 구비되는 포밍가이드부를 통해 보강구조물과의 결합을 매개하도록 베이스패널의 일면에 돌출되는 돌출부의 내부까지 복수개의 섬유로빙이 엉키지 않고 고르게 분산 삽입되도록 포밍되므로, 보강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물성 및 결합강도를 가지는 보강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Fourth, a plurality of fiber rovings are formed so as to be evenly distributed and inserted without tangling to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anel to mediate the coupling with the reinforcing structure through the forming guide part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awing mold part, so the load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einforcing panel having physical properties and bonding strength that can stably support the
다섯째, 포밍가이드부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순차 배치되되, 섬유로빙이 통과되는 로빙가이드와 유리섬유 매트가 통과되는 매트가이드 사이 간격이 인발금형부와 가까워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각 층간의 적층 간격 및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품질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fth, as a plurality of forming guide parts are provided and sequentially arranged, the spacing between the roving guide through which the fiber roving passes and the mat guide through which the glass fiber mat passes becomes narrower as it approaches the drawing mold part. Since the thickness is uniformly formed, the quality of the final manufactured panel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서 인발금형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서 조립금형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서 포밍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5a의 A부분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5a의 B부분 확대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의 사용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front view showing a drawing mold in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assembly mold in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orming guide unit in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glass fiber composite panel manufactured through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idth variabl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5A;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of FIG. 5A;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of a glass fiber composite panel manufactured through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idth variabl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서 인발금형부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서 조립금형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에서 포밍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a의 A부분 확대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a의 B부분 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의 사용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rawing mold part. And,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ssembly mold in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are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rming guide part in the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igures 5a and 5b is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ed through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nel, 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5A , and FIG. 7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part B of FIG. 5A . And, Figures 8 and 9 is an exemplary view of the use of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manufactured through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300)는 공급부(1), 함침부(2), 인발금형부(300a), 포밍가이드부(3) 및 인발수단(9)을 포함한다.1 to 9,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부(1)는 섬유로빙(24)이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1a)과,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권취된 매트롤(1b,1c)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매트롤(1b,1c)은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의 상측에 적층되어 내측 매트부가 되는 유리섬유 매트(26b, 이하 내측 유리섬유 매트)가 권취된 상측 매트롤(1b)과, 상기 섬유로빙의 하측에 적층되어 외측 매트부가 되는 유리섬유 매트(26a, 이하 외측 유리섬유 매트)가 권취된 하측 매트롤(1c)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상측 매트롤(1b)은 후술되는 상기 포밍가이드부(3)에 형성된 제2매트가이드(6b)의 전체 길이에 각각 대응하는 폭넓이를 가지도록 재단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referring to FIG. 1 , the
여기저, 상기 섬유로빙(24)이 권취된 상기 보빈(1a)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준비되되,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는 일면에 합성섬유 시트(28a,28b)가 적층 및 재봉 고정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에 합성섬유 시트(28a, 이하 외측 합성섬유 시트)가 적층되어 재봉 고정되어 준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보빈(1a)으로부터 풀려 인출되되, 상기 함침부(2), 상기 포밍가이드부(3) 및 상기 인발금형부(300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된다.Here and there, the bobbin 1a on which the fiber roving 24 is wound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한편,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인발금형부(300a)에 형성되는 인발홀부의 폭방향 및 함몰부의 함몰방향에 대응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각 상기 섬유로빙(24)의 배치위치를 1차로 가이드하는 예비로빙가이드부(3e)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발홀부는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베이스패널(11)의 두께(m2)에 대응되는 간격(m1)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조립금형(331)의 하면(331b) 및 하부금형(310)의 상면(3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후술되는 각 돌출인발홈(331c)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of the
상세히, 상기 예비로빙가이드부(3e)는 복수개의 상기 공급부(1) 및 상기 함침부(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보빈(1a)에 풀려 인출된 후 상기 예비로빙가이드부(3e)를 통과함에 따라 각 상기 복수개의 섬유로빙(24)이 서로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코어층(21)이 최소한의 얇은 두께로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균일하게 분산 분포될 수 있다.In detail, the preliminary
또한, 상기 예비로빙가이드부(3e)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인발홀부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내측까지 전체적으로 연속적으로 삽입되도록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돌출부(12)까지 지지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보강대상물 또는 마감구조물(D)과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 간의 결합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 공급부(1)의 인발방향 후측에 상기 함침부(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함침부(2)에는 인발방향으로 이송되는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과 상기 유리섬유 매트, 특히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에 함침되는 수지가 수용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수지가 저장된 함침부(2)로 이송되면,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의 일측 및 타측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외측 합성섬유 시트(28a)가 적층 고정된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가 상기 함침부(2)에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섬유로빙(24) 및 상기 외측 합성섬유 시트(28a)가 적층 고정된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에 상기 수지가 함침된 후 상기 인발금형부(300a)의 인발홀부 및 함몰부를 통과하면서 상호 적층되도록 인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인발방향이라 함은 전후방향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세히,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 및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의 외측에 적층되는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가 상기 함침부(2)로 이송되되,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는 외측에 상기 외측 합성섬유 시트(28a)가 적층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함침부(2)로 이송될 수 있다.In detail, the plurality of the
그리고,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의 내측에 적층되는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에 상기 섬유로빙(24) 및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에 함침된 상기 수지가 침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에 상기 내측 합성섬유 시트(28b)가 적층 고정된 경우, 상기 내측 합성섬유 시트(28b)에도 상기 수지가 침투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 및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에 상기 수지가 전체적으로 함침될 수 있다.And, the fiber roving 24 and the outer
더욱이, 상기 함침부(2)는 상기 외측 합성섬유 시트(28a)가 적층되어 재봉 고정된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가 인입되는 하부함침조와, 상기 하부함침조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통과하면서 상기 수지가 함침되도록 구비되는 상부함침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함침조를 통과하면서 상기 외측 합성섬유 시트(28a)가 고정된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와, 상기 상부함침조를 통과하면서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14)이 상기 인발홀부 및 상기 함몰부를 동시에 통과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이때,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도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의 내측에 적층되되 상기 코어층(21)의 베이스코어(22) 내면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돌출코어(23)까지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인발홀부 및 상기 함몰부를 동시에 통과한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베이스패널(11)의 내면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12)까지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을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가 감싸는 형상으로 적층되어 인발 성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발 성형 과정에서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까지 상기 수지가 자동으로 함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함침부(2)는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통과하면서 상기 수지가 상기 섬유로빙(24)에 함침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함침부(2)로부터 하측으로 흘러 배출되는 상기 수지가 상기 섬유로빙(24)의 하측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로 떨어지면서 함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의 하측에는 상기 함침부(2)로부터 흘러 배출되어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에 함침되고 낙하되는 잔여수지가 수용되는 수용조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조의 수지가 상기 함침부(2)로 순환되면서 사용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impregnated
한편, 상기 포밍가이드부(3)는 상기 함침부(2)와 상기 인발금형부(300a)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3a,3b,3c,3d)로 다단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와 같이 4개의 포밍가이드부(3)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ming
상세히, 상기 포밍가이드부(3)는 로빙가이드와 매트가이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빙가이드는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인발금형부(300a)를 통과시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후술되는 코어층(21)으로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관통되면서 삽입 위치를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밍가이드는 상기 로빙가이드의 상하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 또는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가 적층 고정된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기 코어층(21)의 내외면을 커버하는 보강층(25) 및 베일층(27)으로 형성되도록 적층 위치 및 간격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forming
더욱이, 상기 로빙가이드 및 상기 매트가이드의 각 폭은 상기 인발홀부의 폭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폭에 대응되는 폭만큼의 상기 섬유로빙(24) 및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기 로빙가이드 및 상기 매트가이드의 폭방향 중앙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폭을 초과하는 상기 로빙가이드 및 상기 매트가이드의 양측부에는 상기 섬유로빙(24) 및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Moreover, each width of the roving guide and the mat guide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drawing hole portion. At this time, the fiber roving 24 and the
여기서, 상기 로빙가이드는 중앙부에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가로질러 압축관통부(5b,7b)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압축관통부(5b,7b)의 상측으로 오목부(5c,7c)가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 함몰 형성되는 제1로빙가이드(5a,7a)와, 각 상기 오목부(5c,7c)의 상측에 각 상기 오목부(5c,7c)로부터 이격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로빙가이드(5d,7d)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roving guide, compression through-portions (5b, 7b) are formed to pass throug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ross the forming guide unit (3)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5c)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ion-through portion (5b, 7b); 7c)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ecessed first
그리고, 상기 매트가이드는 상기 제1로빙가이드(5a,7a)의 하측에 이격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매트가이드(6a,8a)와, 상기 제2로빙가이드(5d,7d)의 상측에 이격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매트가이드(6b,8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함침부(2)를 통과하면서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포밍가이드부(3)에 형성된 상기 로빙가이드를 통과하면서 위치 및 밀집면적이 정렬된 후 상기 인발금형부(300a)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함침부(2)를 통과하면서 상기 수지가 함침된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 및 그의 외측에 적층 고정된 상기 외측 합성섬유 시트(28a), 그리고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가 상기 포밍가이드에 형성된 상기 매트가이드를 통과한다.And, the mat guid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ving guide (5a, 7a), the first mat guide (6a, 8a)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oving guide (5d, 7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mat guide (6b, 8b) spaced apart from and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detail,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때, 상기 로빙가이드는 제1로빙가이드(5a,7a)와 제2로빙가이드(5d,7d)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로빙가이드(5a,7a)는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가로질러 관통되는 압축관통부(5b,7b)와, 상기 압축관통부(5b,7b)의 상측으로 상기 함몰부의 내측단에 대응하는 오목부(5c,7c)가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빙가이드(5d,7d)는 각 상기 오목부(5c,7c)의 상측에 이격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외측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roving guide preferably includes first
따라서,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제1로빙가이드(5a,7a)를 통과하면서 상기 베이스코어(22)의 내측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삽입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돌출코어(23)의 내측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상기 섬유로빙(24)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12)의 결합강도 및 지지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의 일부는 각 상기 제2로빙가이드(5d,7d)를 통과하면서 상기 돌출코어(23)의 외측단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분포되도록 삽입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guid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그리고, 상기 매트가이드는 제1매트가이드(6a,8a)와 제2매트가이드(6b,8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매트가이드(6a,8a)는 상기 제1로빙가이드(5a,7a)의 하측에 이격되되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가로질러 관통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매트가이드(6a,8a)는 기준비되는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의 최대폭을 고려하여 수평방향으로 상호 분할되되 이웃하는 폭방향 단부가 상호 적층될 수 있도록, 각 상기 제1매트가이드(6a,8a)의 단부가 중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 guide preferably includes first mat guides (6a, 8a) and second mat guides (6b, 8b). In detail, the first mat guides (6a, 8a) ar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ving guides (5a, 7a) are formed to cross the forming guide part (3). Of course, in some cases, the first mat guides 6a and 8a are horizontally di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width of the outer
또한, 상기 제2매트가이드(6b,8b)는 상기 제2로빙가이드(5d,7d)의 상측에 이격되되 수평관통부(6c,8c) 및 한쌍의 돌출관통부(6d,8d)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관통부(6c,8c)는 이웃하는 한쌍의 상기 제2로빙가이드(5d,7d)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통부(6d,8d)는 각 상기 수평관통부(6c,8c)의 양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관통된다.In addition, the second mat guides 6b and 8b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따라서, 상기 수지가 함침된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 및 그의 외측에 적층 고정된 상기 외측 합성섬유 시트(28a)가 상기 제1매트가이드(6a,8a)를 통과하면서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외면측에 균일한 두께의 상기 보강층(25) 및 상기 베일층(27)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가 상기 제2매트가이드(6b,8b)를 통과하면서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내면측에 균일한 두께의 상기 보강층(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에 상기 내측 합성섬유 시트(28b)가 적층 고정된 경우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내면측에도 상기 베일층(27)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er
여기서, 상기 제2매트가이드(6b,8b)는 각 상기 제2로빙가이드(5d,7d)를 기준으로 분할되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매트가이드(6b,8b)를 통과하는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는 상기 제2매트가이드(6b,8b)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여 재단되어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체 길이라 함은 상기 수평관통부(6c,8c)와 한쌍의 상기 돌출관통부(6d,8d)의 길이를 합친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mat guides 6b and 8b are divided and formed through the second
따라서, 재단된 각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가 상기 제2매트가이드(6b,8b)를 통과하면서 각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돌출관통부(6d,8d)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접혀지면서 통과한다. 이를 통해, 상기 내측 매트부(26b)의 각 양단부가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 자연스럽게 구부러져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관통부(6d,8d)가 상기 제2로빙가이드(5d,7d)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므로,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가 상기 제2매트가이드(6b,8b)를 통과하면 상기 돌출부(12)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상기 섬유로빙(24)을 자동으로 감싸듯이 적층된 후 인발 성형될 수 있다.Therefore, as each of the cut inner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이용하여 평평하게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외면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내면측에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12)의 내부까지 상기 섬유로빙(24)이 연속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12)의 내부에 분포되어 삽입되는 상기 섬유로빙(24)의 외측까지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가 감싸 적층되므로 상기 보강대상물과의 결합시 결합강도 및 인장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수지가 함침된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인발금형부(300a)측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패널(11)과 상기 돌출부(12) 형상에 대응하여 압축되도록,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포밍가이드부의 상기 로빙가이드 관통단면적이 전측에 구비되는 상기 포밍가이드부의 로밍가이드 관통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orming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side so that the resin-impregnated fiber roving 24 is compressed corresponding to the shapes of the
그리고,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기 인발금형부(300a)측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과 인접하게 적층되도록,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포밍가이드부(3)의 상기 로빙가이드와 상기 매트가이드 사이 이격 간격이 전측에 구비되는 포밍가이드부(3)의 상기 로빙가이드와 상기 매트가이드 상기 이격 간격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roving guide of the forming
상세히, 도 4a와 도 4b를 비교하면, 상기 함침부(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측 포밍가이드부(3a)는 상기 제1로빙가이드(5a)의 관통단면적이 상기 인발금형부(300a)의 전측에 배치되는 후측 포밍가이드부(3d)에 형성된 제1로빙가이드(7a)의 관통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전측의 상기 제1로빙가이드(5a)의 상기 압축관통부(5b) 및 상기 오목부(5c)가 후측의 상기 제1로빙가이드(7a)의 상기 압축관통부(7b) 및 상기 오목부(7c)보다 전체적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측 포밍가이드부(3d)로 갈수록 상기 압축관통부(7b) 및 상기 오목부(7c)의 형상이 실제 패널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좀더 정밀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comparing FIGS. 4A and 4B , the front forming
그리고, 상기 전측 포밍가이드부(3a)는 상기 제1로빙가이드(5a)를 기준으로 상기 제2로빙가이드(5c), 상기 제1매트가이드(6a) 및 상기 제2매트가이드(6b)의 각 이격 간격(k1,k2,k3)가 상기 후측 포밍가이드부(3d)와 비교하여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의 형상이 급격하게 구부러짐과 동시에 상기 섬유로빙(24)과 가까워짐으로 인하여 적층 형상이 불량하고 내부에 공기층이 발생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nd, the front forming
즉, 각 상기 보빈(1a)으로부터 풀려 인출되는 상기 섬유로빙(24)은 상기 예비로빙가이드부(3e)를 통과하면서 상호 엉키지 않도록 이격 분리되어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각 상기 섬유로빙(24)이 분리되되 점진적으로 인접하도록 압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돌출부(12)의 협소한 단면적 내부까지 상기 섬유로빙(24)이 다수개 삽입되어 결합강도 및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다수개의 섬유로빙(24)이 엉키지 않고 압축될 수 있어 상기 돌출부(12) 형상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복수개의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섬유로빙(24)의 내외면측으로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That is,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호간의 엉킴없이 상호 밀집되도록 압축되어 삽입되므로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기 포밍가이드부(3)를 통과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과 최소한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압착 적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이 고밀도로 압축되면서 인발되므로 기계적 강도 및 물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인발금형부(300a) 전측에 구비되는 포밍가이드부(3)를 통해 보강구조물과의 결합을 매개하도록 베이스패널(11)의 일면에 돌출되는 돌출부(12)의 내부까지 복수개의 섬유로빙(24)이 엉키지 않고 고르게 분산 삽입되도록 포밍되므로, 보강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물성 및 결합강도를 가지는 보강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더욱이, 상기 포밍가이드부(3)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순차 배치되되, 상기 로빙가이드의 관통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로빙가이드와 상기 매트가이드 사이 이격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섬유로빙(24)과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기 인발금형부(300a)로 인입되기 전 각 층에 대응하는 간격 및 두께로 포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전체적인 적층 두께 및 소재 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고품질의 보강패널을 제공받을 수 있다.Moreover, a plurality of forming
이때, 상기 인발홀부 및 상기 함몰부의 내부 용적에 의해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 및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에 상기 수지가 함침된 상태로 압착되듯이 통과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섬유로빙(24) 및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에 함침된 상기 수지가 상기 내측 유리섬유 매트(26b)에까지 침투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지가 함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in is impregnated into the
한편,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가 고정된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의 내외측에 적층 커버되도록 상기 인발금형부(300a)에 인입되어 동시에 통과하면서 상기 베이스패널(11)과 상기 돌출부(12), 그리고 후술되는 경사돌출부(13)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인발되고 경화된다. 이때, 상기 인발금형부(300a)에 인입되어 통과되며 제조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은 상기 인발수단(9)을 통해 견인되며 연속적으로 인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발수단(9)은 상기 인발금형부(300a)의 전측 또는 후측에 이격 배치되며, 롤러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외측 합성섬유 시트(28a)가 상기 외측 유리섬유 매트(26a)와 상호 재봉 고정되어 준비되므로, 인발 과정에서 상호간에 긴밀하게 적층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인발금형부(300a)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일층(27)이 상기 보강층(25)의 외면에 밀착 적층되므로 자외선으로부터 상기 보강층(25)을 보호하면서도, 각 층간의 간격이 최소화되어 실질적으로 경계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얇으면서도 고강도의 보강패널을 제공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uter
한편, 상기 인발금형부(300a)는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의 상하측을 감싸도록 적층된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 형상으로 인발 가공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인발금형부(300a)는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인발홀부 및 상기 인발홀부의 일면에 상기 돌출부(12)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함몰부는 상기 인발홀부의 상측에 상향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가 함침된 상기 섬유로빙(24)의 상하측으로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적층되되 상기 인발홀부 및 상기 함몰부를 통과하면서 가압 및 경화되어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100,100a)로 최종 제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awing
여기서, 상기 인발홀부는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베이스패널(11)의 상하방향 두께(m2)에 대응되는 간격(m1)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조립금형(331)의 하면(331b) 및 하부금형(310)의 상면(3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후술되는 각 돌출인발홈(331c)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rawn hole portion is a first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n interval (m1)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thickness (m2) of the
이때,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은 상기 인발홀부 및 상기 함몰부에 연속적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발홀부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경사돌출부(13)가 인발 성형되도록 상기 경사돌출부(13)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경사인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발금형부(300a)는 히팅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인발금형부(300a)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로 열경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상세히,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300)의 인발금형부(300a)는 하부금형(310), 상부금형(320), 폭가변금형(330) 및 체결수단(3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S. 2A to 3 , the drawing
여기서, 상기 하부금형(310)은 전후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사각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어 기설정된 상하방향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면(311)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되, 양측 테두리에 복수개의 하부관통홈(312)이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하부관통홈(312)은 상기 하부금형(310)의 양측 테두리측 상면으로부터 하향 함몰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 홀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through-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320)은 상기 하부금형(310)의 상측에 상기 폭가변금형(330)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양측 테두리가 상기 하부금형(310)의 양측 테두리에 정렬 고정되고, 중앙부에 전후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체결부(322)가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320)은 상기 하부금형(31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고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각 상기 하부관통홈(312)에 대응되는 양측 테두리에 복수개의 상부관통홀(32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이때, 상기 하부관통홈(312) 및 상기 상부관통홀(321)은 상기 하부금형(310) 및 상기 상부금형(320)의 각 양측 테두리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되며 상호 정렬되는 위치에 복수개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through-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320)의 중앙부에는 전후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상기 체결부(3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322)가 상하방향으로 각각 관통되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여기서, 각 상기 체결부(322)는 후술되는 조립금형(330a)의 폭에 대응되는 폭방향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복수개소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체결부(322)의 하부에 각 상기 조립금형(330a)의 폭방향 중앙부 상측이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each of the
한편, 상기 폭가변금형(330)은 상기 하부금형(310) 및 상기 상부금형(320)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전체 면적이 상기 하부금형(31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고 각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330b)는 상기 하부금형(310) 및 상기 상부금형(320)의 각 양측 테두리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정렬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330b)의 폭방향 내측에 후술되는 조립금형(330a)이 밀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 edges 330b of the
그리고,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330b)에는 각 상기 하부관통홈(312) 및 각 상기 상부관통홀(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정렬관통홀(330c)이 상호간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alignment through-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340)이 볼트로서 구비되어 상호 정렬된 상기 하부금형(310), 상기 상부금형(320) 및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에 관통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수단(340)이 상측으로부터 각 상기 상부관통홀(321), 각 상기 정렬관통홀(330c) 및 각 상기 하부관통홈(312)에 관통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ans 340 are provided as bolts and penetrate through both edges of the
더욱이, 상기 하부금형(310), 상기 폭가변금형(330) 및 상기 상부금형(320)의 각 양측 테두리에는 핀삽입부(미도시)가 각 상기 하부관통홈(312), 각 상기 정렬관통홀(330c) 및 각 상기 상부관통홀(321)에 각각 이격되며 복수개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상기 핀삽입부(미도시)에 고정핀(미도시)이 관통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부금형(310) 및 상기 상부금형(320)이 상호간 가고정될 수 있다. Furthermore, pin insertion portions (not show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한편, 상기 폭가변금형(330)은 기설정된 폭을 갖도록 복수개 분할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상기 조립금형(330a)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조립금형(330a)은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330b)의 폭방향 내측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각 상기 조립금형(330a)의 상부에 각 상기 체결부(322)에 대향 정렬되는 복수개의 상향밀착부(331a,33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상기 체결부(322)가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 형태로 관통 형성되고, 각 상기 상향밀착부(331a,332a)가 각 상기 체결부(322)의 하부에 대향 정렬되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 형태로 하향 함몰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호 정렬된 상기 체결부(322) 및 상기 상향밀착부(331a,332a)에 상기 체결수단(340)이 볼트로서 구비되어 체결됨에 따라 각 상기 조립금형(330a)의 상면이 상기 상부금형(320)의 하면에 밀착되며 상측으로 조임 가압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그리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이 인발되도록 각 상기 조립금형(330a) 중 중앙부측 조립금형의 하면이 상기 하부금형(310)의 상면(311)과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art of the
상세히, 상기 조립금형(330a)은 복수개의 제1조립금형(331) 및 한쌍의 제2조립금형(33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 및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각 상부에 상기 상향밀착부(331a,332a)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복수개의 제1조립금형(331) 및 한쌍의 제2조립금형(332)의 폭방향 배치상태를 작업자가 폭방향을 따라 배열시켜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폭을 설정할 수 있다. Here, by arranging the width direction arrangement state of the plurality of
즉, 제조하고자 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한쌍의 제2조립금형(332)을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시키고, 상호 이격된 각 제2조립금형(332) 사이에 복수개의 제1조립금형(331)을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외측 테두리(330b)와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 사이에 나머지 제1조립금형(331)들이 상호 밀착되며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a pair of
여기서,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은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측 상하방향 두께(h2) 미만의 두께(h1)로 설정되며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부측 상하방향 두께(h2)는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폭방향 외측부 상하방향 두께(h2)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그리고,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하면(331b)은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베이스패널(11)의 두께(m2)에 대응되는 간격(m1)을 두고 상기 하부금형(310)의 상면(311)과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하부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일면측에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폭에 대응되는 폭방향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며 돌출부(12)가 돌설되며 연속 인발되도록 돌출인발홈(331c)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 both lower edges of each of the
이때, 각 제1조립금형(331)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밀착된 한쌍의 상기 돌출인발홈(331c)의 실질적으로 연속된 내면 윤곽이 상기 돌출부(12)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호 밀착된 한쌍의 상기 돌출인발홈(331c)의 내면 윤곽은 상기 돌출부(12)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도록 내측단보다 외측단부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호 밀착된 한쌍의 상기 돌출인발홈(331c)의 내면 윤곽은 외측단부가 라운드지게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외측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antially continuous inner contour of the pair of protruding draw-out
한편,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은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하면 일측에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양측 테두리가 인발되도록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하면 높이에 연속적인 윤곽으로 연결되는 테두리홈(332c)이 단차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하면 일측은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폭방향 내측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Meanwhile, each of the
이때, 상기 테두리홈(332c)은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베이스패널(11)의 두께(m2)에 대응되는 간격(m1)을 두고 상기 하부금형(310)의 상면(311)과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상하방향 두께(h1) 및 상기 테두리홈(332c)의 상측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폭방향 내측부 상하방향 두께(h1)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더욱이,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하부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돌출부(12)가 돌설되며 연속 인발되도록 테두리측 돌출인발홈(332b)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두리측 돌출인발홈(332b)은 각 제1조립금형(331)에 형성된 상기 돌출인발홈(331c)과 상호 인접하게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상호 밀착된 상기 테두리측 돌출인발홈(332b) 및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돌출인발홈(331c)의 실질적으로 연속된 내면 윤곽이 상기 돌출부(12)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또한, 상기 테두리홈(332c)에는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내면으로부터 경사돌출부(13)가 경사지게 돌설되며 연속 인발되도록 복수개의 경사인발홈(332d)이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한편,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 및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은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330b) 사이에서 상호간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며 정렬 배치되되,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은 제조될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폭에 대응되어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중앙부에 밀집 배치된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양측에 배치되며, 나머지 상기 제1조립금형(331)은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330b)와 각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폭방향 외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즉, 작업자가 한쌍의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배치 위치를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330b) 사이에서 상호간 폭방향을 따라 정렬 배치되는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 사이에 배치시킴에 따라 제조될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폭이 가변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each of the
예컨대, 도 2a에 배치된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배치 위치가, 도 2b에 배치된 상기 제2조립금형(332)의 배치 위치보다 폭방향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a의 배치상태로 정렬된 인발금형부(300a)를 통해 제조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이 도 5a에 도시된 폭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도 2b의 배치상태로 정렬된 인발금형부(300a)를 통해 제조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a)이 도 5b에 도시된 폭으로 제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이때,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상기 제2조립금형(332) 간의 간격이 상기 인발홀부의 폭으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로빙가이드 및 상기 매트가이드의 각 폭은 상기 인발홀부의 폭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이처럼, 상기 하부금형(310) 및 상기 상부금형(320) 사이에 기설정된 폭을 갖도록 복수개 분할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조립금형(330a)의 배치상태에 따라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폭이 가변 설정되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을 제조할 수 있어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this way, a plurality of parts are di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또한,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는 복수개의 제1조립금형(331)의 상부측 상향밀착부(331a)가 상기 삼부금형(320)의 각 상기 체결부(322)에 체결되어 상향 밀착된 상태에서,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a)의 하면(331b)은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베이스패널(11)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하부금형(310)의 상면(311)과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1조립금형(331)은 상기 폭가변금형(330)의 양측 테두리측 상하방향 두께(h2) 미만의 두께(h1)로 설정된다. 따라서,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a)의 하면(331b) 및 상기 하부금형(310)의 상면(311) 사이에 이격된 인발홀부로 상기 포밍가이드부(3)에서 압착 적층된 섬유로빙(24) 및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삽입되며 연속 인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그리고, 각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하부 양측 테두리에 상기 돌출인발홈(331c)이 함몰 형성되되, 상호 밀착된 한쌍의 돌출인발홈(331c)의 내면 윤곽이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돌출부(12) 외면 윤곽에 대응되어 설정됨에 따라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폭이 가변 호환되면서도 정밀한 형상으로 인발 제조되므로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drawing
또한,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쌍의 제2조립금형(332) 하면 일측에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양측 테두리가 인발되도록 상기 제1조립금형(331)의 하면에 연속적인 윤곽으로 연결되는 테두리홈(332c)이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홈(332c)에 상기 베이스패널의 내면으로부터 경사돌출부(13)가 경사지게 돌설되며 연속 인발되도록 복수개의 경사인발홈(332d)이 상측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경사지게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양측부 형상이 정밀하게 제조되므로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도 5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300)를 통해 최종 제조된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은 베이스패널(11) 및 돌출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이하에서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일면, 일측과 내면, 상면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이고 타면, 타측과 외면, 하면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5A to 9 , the glass fiber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코어(22) 및 상기 돌출부(12)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코어(22)와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돌출코어(23)를 포함하는 코어층(21)과,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기 코어층(21)의 내외면에 적층되어 형성된 상기 보강층(25)과,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가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를 보호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 상기 베일층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Here,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100, 100a) is provided continuously with the base core (22) on the inside of the base core (22) and the protrusion (12)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ase panel (11) The
이때,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금형(330a)의 배치상태에 대응되어 다양한 폭으로 호환 제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인발 성형되되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5A and 5B , the glass fiber
여기서, 상기 보강층(25)은 안정적인 지지강도 및 인장강도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유리섬유 매트 60~70% 및 상기 수지 30~4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수지는 난연제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리실릴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 화합물, 알루미늄 메틸 메틸 포스포네이트, 시클릭 포스포네이트 등의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알루미늄 메틸포스피네이트 등의 포스피네이트 화합물, 헥사페녹시트리시클로포스파겐과 같은 포스파겐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에 난연성이 부여됨으로서 화재로 인한 상기 유리섬유의 변형 및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얇고 경량이면서도 종래의 금속 보강판재를 대체할 수 있는 지지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지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 및 이의 제조기술을 제공받을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베이스패널(11)은 기설정된 너비를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2)는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일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폭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되어 복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여기서, 상기 돌출부(12)는 외측단부의 양측으로 확장된 걸림돌기부(12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출부(12)는 상기 걸림돌기부(12a)를 통해 상기 베이스패널(11)과 일체로 연결된 내측단보다 상기 외측단부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부(12a)는 도면에서와 같이 양측이 라운드지게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외측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부(12a)가 상광하협 형상이라 함은 상기 내측단측이 협소하고 외측단측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러한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은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300)를 통해 인발 성형되어 제조되며,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은 도 8과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PC)와 같은 보강대상물의 보강용으로 그 내면 또는 외면에 적층될 수 있으며, 또는 도 9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제조시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폭방향 양단측에 'ㄷ'자형 마감구조물(D)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2)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부(12a)를 통해 상기 보강대상물 또는 상기 마감구조물(D)과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se glass fiber
즉, 상기 걸림돌기부(12a)를 통해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이 상기 보강대상물 또는 상기 마감구조물(D)과 결합되는 면적이 증가하며, 상기 걸림돌기부(12a)가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이 상기 보강대상물 또는 상기 마감구조물(D)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area in which the glass fiber
더욱이, 상기 걸림돌기부(12a)가 걸림 구속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이 상기 보강대상물 또는 상기 마감구조물(D)에 볼트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결합/결속되므로 시공에 소요되는 재화 및 공수가 현저히 절감되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in a simple way in which the locking
이처럼,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은 후술되는 섬유로빙, 유리섬유 매트 등과 같은 복합소재 간의 적층 구조를 통해 종래에 콘크리트 보강용 판재로 사용되던 금속판에 비해 경량이며, 수분에 대한 내식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지지강도 및 인장강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패널(11)과 일체로 인발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12)를 통해 상기 보강대상물과의 결합력이 향상되면서도 상기 돌출부(12)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보강리브로서 기능할 수 있어 상기 보강대상물의 내구성 뿐만 아니라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 자체의 내구성까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such,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100, 100a) is lightweight compared to the metal plate conventionally used as a plate for concrete reinforcement through a laminate structure between composite materials such as fiber roving and glass fiber ma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has corrosion resistance to moisture. It is possible to guarantee excellent support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while still having it.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은 상기 베이스패널(11) 및 상기 돌출부(12)가 코어층(21), 보강층(25) 및 베일층(27)이 연속적으로 적층 및 인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코어층(21)은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섬유로빙(24)이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폭방향 및 상기 돌출부(12)의 돌출방향에 대응하도록 내측에 삽입되고 인발 및 경화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glass fiber
여기서, 상기 코어층(21)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내부에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분포된 베이스코어(22)와, 상기 베이스코어(22)로부터 상기 돌출부(12)가 돌출된 방향에 대응하는 일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되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돌출부(12)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분포된 돌출코어(2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속적이라 함은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호 이격되되 전체적인 배열위치가 가상의 연속선상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베이스패널(11)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12)의 내측에도 구비되도록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보강대상물과의 결합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Here, the
이때, 상기 섬유로빙(24)은 슬리버(sliver)와 실의 중간 형태로서, 정방공정에 따라 슬리버보다는 가늘고 실보다는 굵은 부드러운 끈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섬유로빙(24)은 고인장성을 가지는 섬유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유리섬유, 카본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및 현무함섬유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제품을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섬유소재 중 하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ber roving 24 is an intermediate form between sliver and yarn, 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it as a soft string thinner than sliver and thicker than yarn according to the spinning process. In detail, the fiber roving 24 is preferably formed of fibers having high tensile properties, and any one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ramid fiber, carbon fiber, and basalt fiber or a mixture thereof can be selectively used. ,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one of a variety of known fiber materials used for reinforcing plastic products.
또한, 상기 섬유로빙(24)은 다수개의 섬유가닥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일정 크기를 가지는 끈형태로 이루어지며, 보빈에 권취되어 준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로빙(24)은 상기 보빈에 권취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상기 보빈에 권취된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베이스패널(11) 및 상기 돌출부(12)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배열되어 인발 가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ber roving 24 may be prepared by winding a plurality of fiber strands into one bundle and having a st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t this time, the fiber roving 24 is wound around the bobbin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fiber roving 24 wound on each bobbin is inserted into the
그리고, 상기 수지는 폴리에스터 수지, 비닐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베이스 수지에 경화제, 가교제 등의 반응조절제가 혼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수지는 함침부에 저장되어 준비되며 상기 섬유로빙(24)이 상기 함침부에 인입되면, 상기 섬유로빙(24)에 상기 수지가 함침되며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300)를 통해 인발됨에 따라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내부에 상기 코어층(21)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n is prepared by mixing a reaction regulator such as a cur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gent in a bas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resin, vinyl ester resin, epoxy resin, and mixtures thereof. This resin is stored in the impregnation unit and prepared. When the fiber roving 24 is introduced into the impregnation unit, the resin is impregnated into the fiber roving 24 and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이처럼, 상기 코어층(21)이 상기 베이스패널(11)에만 분포됨으로 인하여 상기 돌출부(12)의 하중지지력이 취약하던 종래와 달리, 상기 베이스코어(22) 뿐만 아니라 이와 일체로 돌설되는 상기 돌출코어(23)까지 상기 섬유로빙(24)이 전체적으로 분포된다. 이를 통해,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과 상기 보강대상물 간의 결합시 지지강도 및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such,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load-bearing force of the
한편, 상기 보강층(25)은 상기 코어층(21)을 커버하도록 적층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외면측에 대응하는 상기 코어층(21)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외측 매트부 및 상기 돌출코어(23)가 돌설된 상기 코어층(21)의 내면측에 적층되는 내측 매트부를 포함하여 적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층(25)은 상기 수지에 함침된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외면 및 상기 돌출부(12)가 돌설된 내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코어층(21)의 내외면에 적층되어 일체로 인발 및 경화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는 유리섬유를 니들 펀칭을 통해 부직포 형태로 제조하거나 직조를 통한 직물 형태로 제조한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이때, 상기 유리섬유는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를 용융ㆍ가공하여 섬유 모양으로 가공한 것으로, 글라스 파이버 또는 글라스 울이라고 한다. 이러한 유리섬유는 내열성, 내식성, 내습성, 단열성 및 흡음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의 지름이 가늘수록 항장력과 유연성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강화 플리스틱 원료, 전기 전열재, 축전지용 격리판, 흡음(방음)재, 단열재 등 매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In this case, the glass fiber is processed into a fiber shape by melting and processing glass containing silicate as a main component, and is called glass fiber or glass wool. These glass fibers are not only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moisture resistance, heat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but als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increasing tensile strength and flexibility as the diameter of glass fibers decreases. It is widely used in a wide variety of industrial fields such as sound absorbing (soundproofing) materials and insulation materials.
한편, 상기 베일층(27)은 상기 보강층(25)을 커버하도록 적층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면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층(25)을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외측에 적층되는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에 자외선차단용 합성섬유 시트(28a,28b,이하 합성섬유 시트)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와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는 상호 스티치 재봉 고정되어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상세히,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는 자외선차단 기능이 있는 합성섬유 직물이라면 공지된 다양한 소재의 직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섬유 시트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일층(27)이 자외선에 취약한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층(25)이 자외선에 노출되어 부식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특히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외면측에 구비되는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사용수명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detail, the
여기서,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와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호 스티치 재봉 고정(도 6에서 s로 표시된 부분)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티치 재봉이라 함은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와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상호 적층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성글게 재봉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를 통해, 인발 성형 과정에서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가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와 긴밀하게 적층된 상태로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300)를 통해 인발될 수 있으며, 인발 과정에서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와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 간의 적층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가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가 적층된 상태로 이송시에도 상호간 분리되거나 이격됨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층(25)과 상기 베일층(27)이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내외면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12)의 외면까지 전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적층된 상태로 인발 성형되므로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품질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in the pultrusion molding process, the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코어층(21)의 내측 및 외측에 적층되는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26b)에 모두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28b)가 적층되어 재봉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코어층(21)의 외측에 적층되는 상기 유리섬유 매트(26a)의 외측에만 상기 합성섬유 시트(28a)가 적층되어 재봉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자외선에 실질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적층되는 상기 유리섬유 매트의 외면에 상기 합성섬유 시트가 적층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패널의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drawings, it is shown that the
한편,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일면측에 돌설된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12) 중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폭방향 양단측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외측단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폭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폭방향 양단부에 상기 베이스패널(11) 내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설된 상기 경사돌출부(13)가 길이방향을 따라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출부(12)는 상기 베이스패널(11)과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설되되, 상기 경사돌출부(13)는 상기 베이스패널(11)의 내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연결부에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폭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돌출부(13)는 상기 베이스패널(11)과 40~50도 각도로 경사지게 돌설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돌설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plurality of
즉, 상기 경사돌출부(13)를 통해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보강대상물 또는 상기 마감구조물(D)의 대향면측으로 눌러지듯이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과 상기 보강대상물 또는 상기 마감구조물(D)과의 결합시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100,100a)의 폭방향 양단부가 들뜸으로 인한 간극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극으로 오수, 우수 등이 침투됨으로 인한 부식, 내구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fiber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includ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
310: 하부금형 320: 상부금형
330: 폭가변금형 331: 제1조립금형
332: 제2조립금형300: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device
310: lower mold 320: upper mold
330: variable width mold 331: first assembly mold
332: second assembly mold
Claims (5)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배치되되, 양측 테두리가 상기 하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정렬 고정되고, 중앙부에 전후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사이에 구비되고, 기설정된 폭을 갖도록 복수개 분할되어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조립금형을 포함하되, 각 상기 조립금형의 상부에 각 상기 체결부에 대향 정렬되는 복수개의 상향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이 인발되도록 각 상기 조립금형 중 중앙부측 조립금형의 하면이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과 이격 배치되며, 양측 테두리가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정렬 고정되는 폭가변금형; 및
상호 정렬된 상기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폭가변금형의 양측 테두리에 체결되고, 상호 정렬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상향밀착부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금형은 상기 폭가변금형의 양측 테두리측 상하방향 두께 미만의 두께로 설정되며 상기 폭가변금형의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호 밀착되는 복수개의 제1조립금형을 포함하되,
각 상기 제1조립금형의 하면은 제조될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베이스패널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과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In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so that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is pultruded,
a lower mold whos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 flat surface;
an upper mol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mold, both edges of which are aligned and fixed to both edges of the lower mol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and includes an assembly mold tha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wherein each of the fastening parts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each of the assembly molds. A plurality of upward-adhesive part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art-side assembly mold of each of the assembly molds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so that th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is drawn out, and both edges are the lower mold and a variable width mold aligned and fixed to both edges of the upper mol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fastened to both edges of the mutually aligned lower mold, the upper mold, and the variable width mold, and fastened to the mutually aligned fastening part and the upwardly adhering part,
The assembly mol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ssembly molds which are set to a thickness less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width mold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variable width mold,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ssembly molds is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at base panel formed on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to be manufactured manufacturing equipment.
각 상기 제1조립금형의 하부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면측에 상기 제1조립금형의 폭에 대응되는 폭방향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돌출부가 돌설되며 연속 인발되도록 돌출인발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호 밀착된 한쌍의 상기 돌출인발홈의 내면 윤곽이 상기 돌출부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On both lower edges of each of the first assembly molds, the protrusion drawing grooves are recessed so that the protrusions protrude and continuously draw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base panel at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assembly mol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variable-width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ontour of the pair of protruding draw-out groove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set to correspond to the outer contour of the protrusion.
상기 제1조립금형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면 일측에 상기 베이스패널의 양측 테두리가 인발되도록 상기 제1조립금형의 하면에 연속적인 윤곽으로 연결되는 테두리홈이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는 한쌍의 제2조립금형을 더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홈에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내면으로부터 경사돌출부가 경사지게 돌설되며 연속 인발되도록 복수개의 경사인발홈이 상측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경사지게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rim groov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ssembling mold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ing mold in a continuous outline so that both edges of the base panel are drawn out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are recessed in steps 2 Further including an assembly mold,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anel in an inclined manner in the edge groove, and a plurality of inclined draw-out grooves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both sides toward the upper side to be continuously drawn out.
상기 유리섬유 복합소재 패널의 제조를 위한 섬유로빙 및 유리섬유 매트가 인발방향을 따라 압축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로 다단 구비되는 포밍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포밍가이드부는
전후방향으로 압축관통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압축관통부의 상측으로 오목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제1로빙가이드와, 각 상기 오목부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로빙가이드를 포함하는 로빙가이드와,
상기 제1로빙가이드의 하측에 이격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매트가이드와, 상기 제2로빙가이드의 상측에 이격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매트가이드를 포함하는 매트가이드를 포함하되,
후측에 구비되는 포밍가이드부의 상기 로빙가이드 관통단면적이 전측에 구비되는 포밍가이드부의 관통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후측에 구비되는 포밍가이드부의 상기 로빙가이드 및 상기 매트가이드 간의 이격 간격이, 전측에 구비되는 포밍가이드부의 상기 로빙가이드 및 상기 매트가이드 간의 이격 간격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two or more forming guide unit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fiber roving and the glass fiber mat for manufacturing the glass fiber composite panel are compressed along the drawing direction, wherein the forming guide unit
A roving guide comprising a first roving guide having a compression through-portion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formed above the compression-through portion, and a second roving guide penetrating through each of the concave portion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mat guide comprising a first mat guid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ving guide and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cond mat guid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oving guide and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forming guide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has a smaller through-sectional area than the forming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and the spacing between the roving guide and the mat guide of the forming guide provided at the rear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width variable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ing guide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roving guide and the mat gu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9225A KR102338199B1 (en) | 2021-08-19 | 2021-08-19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dth variable typ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9225A KR102338199B1 (en) | 2021-08-19 | 2021-08-19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dth variable typ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8199B1 true KR102338199B1 (en) | 2021-12-10 |
Family
ID=7886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9225A Active KR102338199B1 (en) | 2021-08-19 | 2021-08-19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dth variable typ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819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96872A (en) * | 2022-07-08 | 2022-10-18 | 广州城建职业学院 | A fast-setting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rchitectural fiberglass panels |
KR102517045B1 (en) * | 2022-08-10 | 2023-04-03 |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아이앤씨 | apparatus for insulation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9579B1 (en) | 2002-08-03 | 2005-02-07 |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 A Pannel Style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 and Repair Method using thereof |
KR20110129803A (en) * | 2010-05-26 | 2011-12-02 | 동일산자주식회사 | Drawing Mo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ollow Structural Material of Fiber-Reinforced Plastics |
KR101166171B1 (en) * | 2009-12-28 | 2012-07-1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late |
-
2021
- 2021-08-19 KR KR1020210109225A patent/KR1023381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9579B1 (en) | 2002-08-03 | 2005-02-07 |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 A Pannel Style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 and Repair Method using thereof |
KR101166171B1 (en) * | 2009-12-28 | 2012-07-1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late |
KR20110129803A (en) * | 2010-05-26 | 2011-12-02 | 동일산자주식회사 | Drawing Mo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ollow Structural Material of Fiber-Reinforced Plastic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96872A (en) * | 2022-07-08 | 2022-10-18 | 广州城建职业学院 | A fast-setting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rchitectural fiberglass panels |
CN115196872B (en) * | 2022-07-08 | 2023-10-27 | 广州城建职业学院 | Building glass fiber board production setting device of quick design |
KR102517045B1 (en) * | 2022-08-10 | 2023-04-03 |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아이앤씨 | apparatus for insulation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33076B2 (en) | Structural wall building product | |
US9156207B2 (en) | Reinforced sandwich structure | |
KR102073598B1 (en) | Reinforcing element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components, concrete component and production method | |
KR102338199B1 (en)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dth variable type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 |
US7144625B2 (en) | Wire reinforced thermoplastic coating | |
CA2489335C (en) | Tufted composite laminate | |
KR20180111035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rebar having spiral rib | |
JP2004526887A (en) | Reinforcement bar and how to form it | |
EP3758923B1 (en) | A stitched multi-axial reinforcemen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KR102391081B1 (en)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and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panel manufactured using thereof | |
CN113119495A (en) | Blade shell preparation method and blade | |
EP3938189B1 (en) | A stitched multi-axial reinforcement | |
WO2012016234A1 (en) | Pultruded article and process for forming same | |
KR100580226B1 (en) | Grouting FRP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319076B1 (en) | assembly type mold for concrete placing | |
KR101181559B1 (en) | Drawing machine for beam shaped structural member being made from frp | |
JP2002028922A (en) | Repair / reinforcement made of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articl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ement-based structure using repair / reinforcement | |
KR102156131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improved type fiber reinforcement for reinforce of structure, and Improved fiber reinforcement manufactured by this manufacturing method | |
JP6611369B2 (en) |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H0447084A (en) | Small electric pole and composite pole for street lamp | |
KR101080650B1 (en) | Fire resistant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ctur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9990029350A (en) |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 reinforced foam molding | |
WO2018037767A1 (en) | Composite material member, gap material, pultrusion device, and pultrusion method | |
KR101206942B1 (en) | Kinitted fabric for strengthening the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and the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used thereof | |
KR102517045B1 (en) | apparatus for insulation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8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0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40912 Appeal identifier: 202410000272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000272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40912 Effective date: 20250530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2505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40912 Decision date: 20250530 Appeal identifier: 2024100002720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PJ0206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25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21120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250624 Appeal identifier: 2025100001868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