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7748B1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748B1
KR102337748B1 KR1020200020211A KR20200020211A KR102337748B1 KR 102337748 B1 KR102337748 B1 KR 102337748B1 KR 1020200020211 A KR1020200020211 A KR 1020200020211A KR 20200020211 A KR20200020211 A KR 20200020211A KR 102337748 B1 KR102337748 B1 KR 10233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ver
packaging box
fastening hole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575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보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to KR102020002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7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7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adhesive tapes, labels or the like; for deco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개방된 단부가 밀폐되도록 덮는 덮개; 상기 덮개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체결바; 및 상기 몸체 및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 {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도 견고한 포장이 가능한 박스에 관한 것이다.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포장박스는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네 면의 몸체와 몸체의 각 면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포장박스의 포장은 일 예로, 네 개의 덮개 중 어느 한 쪽은 안으로, 다른 한쪽은 밖으로 꼬리를 물면서 겹쳐지게 접어 개방된 일면 또는 양면을 덮어씌우며 결합시키거나, 상술한 방식으로 결합된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추가적인 테이핑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 경우, 상자의 두께가 두껍거나, 상자의 소재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등과 같이 단단한 재질로 마련되면 포장상자의 덮개로 개방된 상면 또는 하면을 덮어씌우는데 큰 힘이 요구되어 손쉽게 포장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웠으며, 자칫 잘못하면 덮개를 겹쳐 결합시키는 중에 덮개 선단에 손이 베일 수 있었다. 또한, 적정 수준의 힘이 아닌 과한 힘으로 덮개를 결합시키고자할 경우에는 포장박스가 파손될 수 있었다.
그리고, 포장박스 내 수용되는 물품의 무게가 상당한 경우, 물품의 무게에 의해 덮개로만 결합된 일면이 쉽게 펼쳐질 수 있어, 내부 수용된 물품의 소실 또는 파손이 우려될 수 있었다. 이에, 덮개로만 결합된 포장상자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테이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작업이 번거로워 포장을 완료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었다.
포장박스 포장에 관한 또 다른 예로, 네 개의 덮개 중 어느 두 개의 덮개를 안쪽에 위치시키고, 다른 두 개의 덮개를 밖에 위치하도록 접으며 개방된 일면 또는 양면을 덮어씌운 뒤, 다른 두 개의 덮개가 맞닿는 선단을 따라 테이핑하여 포장을 수행하였다.
이때, 테이핑하기에 앞서, 마주하는 덮개의 선단이 정확히 맞닿게 위치를 제한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포장박스 덮개의 위치를 제한하는 인력과 테이핑을 수행하는 인력이 협력하여 포장을 수행하거나, 한명의 인력이 테이핑처리를 위한 손 외에 또 다른 신체부위를 이용하여 포장박스 덮개의 위치를 고정한 뒤 테이핑 처리를 하였다.
이 경우,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덮개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다시 펼쳐지려 하는 형상으로 인해 한명의 인력이 박스 포장을 수행하는데 상당한 노력과 수고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마주하는 덮개의 선단이 정확히 맞닿지 않은 채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견고한 포장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또한, 테이핑을 위해 두 개의 덮개 선단이 상호 맞닿도록 양 측면을 안쪽으로 밀어주는 과정에서 적정 수준의 힘보다 작거나 큰 힘을 가한 경우에 포장박스 덮개의 선단이 상호 맞닿지 못하거나 어긋나게 되며 포장박스가 뒤틀어지게 될 수 있어, 이 경우 테이핑에 앞서 다시 덮개의 위치를 제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83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 견고하면서도 손쉬운 포장이 가능한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는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개방된 단부가 밀폐되도록 덮는 덮개; 상기 덮개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체결바; 및 상기 몸체 및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공;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바는 상기 복수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이하, ‘제1 체결공’이라 칭함)에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관통 삽입된 후 상기 몸체 및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감싸며 다른 하나의 체결공(이하, ‘제2 체결공’이라 칭함)에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바는, 상기 체결공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한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본체; 및 상기 체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걸림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체결공과 제2 체결공은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 체결공은,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의 개방된 단부를 덮은 경우에 상기 덮개의 선단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일단에 상기 걸림구간이 위치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일단에 상기 걸림구간이 위치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몸체의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장 형성된 덮개가 포장박스의 개방된 일면을 밀폐시키는데 있어서, 덮개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가 덮개 및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감싸며 그 단부가 몸체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포장박스의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어느 하나의 덮개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가 마주하는 다른 덮개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면서 다른 덮개의 외면을 감싸고, 이어서 덮개 및 몸체의 일부를 감싸며 또 다른 체결공에 인입되어 체결됨으로써, 덮개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며 테이핑 작업 없이도 견고한 포장이 가능할 수 있다.
셋째, 자연적으로 분해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테이프 사용을 배제함에 따라 테이프 사용에 수반되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박스를 포장하는데 소모되는 소모품을 줄일 수 있어 이에 대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포장박스에서 체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포장박스(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지만,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며, 도3은 본 발명의 포장박스에서 체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몸체(110), 덮개(120),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몸체(110)는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기둥을 이루는 네 개의 면(이하, ‘몸체면(111, 112, 113, 114)’이라 칭함)이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네 개의 몸체면(111, 112, 113, 114)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서로 인접하는 몸체면은 다른 폭을 가지되, 마주하는 몸체면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덮개(120)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의 개방된 단부가 밀폐되도록 덮는다. 즉, 덮개(120)는 몸체면(111, 112, 113, 114)으로부터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몸체(110)의 상방 및 하방 중 개방된 부분을 덮으며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하방이 기 밀폐된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12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를 구비하고,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덮개(이하, ‘제1 덮개(121)’라 칭함)의 선단에는 후술할 체결바(130)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제1 덮개(121)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지지부(120B)가 연설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B)는 제1 덮개(121)와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덮개(이하, ‘제2 덮개(122)’라 칭함)가 포개질 경우에, 제2 덮개(122)를 지탱함으로써, 포장박스(100)의 포장 또는 운송 시 제1 덮개(121) 또는 제2 덮개(122)가 외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여, 포장박스(100)가 파손되거나 포장박스(100) 내 물품이 소실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20B)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설될 수 있으며, 지지부(120B)가 연설되는 영역은 덮개(120)의 선단(120A) 일부 또는 전체일 수 있다.
또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120)는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덮개 즉, 제2 덮개(122)의 내측면에 체결바(130)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소정 깊이로 패인 삽입홈(120H)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삽입홈(120H)에 인입된 체결바(130)가 삽입홉(120H)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홈(120H)의 양 측부를 따라 체결바(130)가 위치되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부(P)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덮개(121)의 체결바(130)가 제2 덮개(122)의 제1 체결공(141)에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면서 삽입홉(120H)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홈(120H)이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완료된 뒤 체결바(130)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덮개(12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며, 테이핑 작업 없이도 포장박스(100)의 견고한 포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120)는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덮개 즉, 제2 덮개(122)의 내측면에는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되, 체결바(130)와 대응되는 폭에 맞춰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20R)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120R)은 제1 덮개(121)에 형성된 체결바(130)가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 삽입된 뒤, 가이드레일(120R)에 끼움 결합된 체결바(130)가 가이드레일(120R)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120R)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바(130)가 위치되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부(P)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레일(120R)은 체결바(130)의 삽입 경로를 안내하면서도 덮개(12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바(130)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테이핑 작업 없이도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체결바(130)는 덮개(120)의 선단(120A)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체결바(130)는 본체(131) 및 체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31)는 후술할 체결공(140)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한 폭을 가지는 띠 형상으로 마련되고, 체결부(132)는 체결공(14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본체(131)의 좌우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걸림구간(132S)을 구비하며, 본체(131)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체결부(132)의 형상에 대한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면,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2)는 본체(131)와 인접한 일단(132A)에 걸림구간(132S)이 구비되며, 일단(132A)에서 타단(132B)까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체결부(132)는 본체(13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되, 일단(132A)에서 타단(132B)에 이르기까지 폭 변화율이 없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2)는 본체(131)와 인접한 일단(132A)에 걸림구간(132S)이 위치하며, 일단(132A)에서 타단(132B)으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체결부(132)는 일단(132A)에서 타단(132B)로 갈수록 폭 변화율이 존재하는 다각형, 반원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3(a)에 예시된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 도3(b)에 예시된 삼각형 형상, 도3(c)에 예시된 반원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2)는 일단(132A)에서 타단(132B)에 이르기까지 폭이 줄어들되, 일단(132A)에서 타단(132B)으로 연결되는 양 측부가 곡선형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마련된 체결부(132)는 체결바(130)가 후술할 체결공(140)에 포장박스(100)의 몸체(110) 밖에서 몸체(110) 안쪽으로 비스듬히 인입된 뒤, 체결공(140)보다 큰 폭을 가지는 걸림구간(132S)이 체결공(140)의 측부에 맞닿게 됨에 따라 체결부(132)가 인입된 체결공(140)에서 쉽게 탈락되지 않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이 제시하는 체결부(132)의 형상은 체결바(130)가 체결공(140)에 관통 삽입되는데 있어서, 손쉽게 인입될 수 있으면서도, 인입된 체결공(140)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아 테이핑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고안된 것이다.
체결공(140)은 몸체(110) 및 덮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체결바(130)가 관통 삽입된다. 이때, 체결공(14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체결바(130)는 복수의 체결공(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공(이하, ‘제1 체결공(141)’이라 칭함)에 관통 삽입된 후 몸체(110) 및 덮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감싸며 복수의 체결공(141, 142) 중 다른 하나의 체결공(이하, ‘제2 체결공(142)’이라 칭함)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공(141)과 제2 체결공(142)은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제2 체결공(142)은 체결부(130)가 관통 삽입되도록 덮개(120)가 몸체(110)의 개방된 단부를 덮은 경우에 덮개(120)의 선단을 기준으로 본체(131)의 길이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의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덮개(120) 중 먼저, 제3 덮개(123) 및 제4 덮개(124)를 포장박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은 뒤, 제1 덮개(121)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키고, 제1 체결공(141)을 관통한 체결바(130)를 포장박스(100)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면서 몸체면(112)에 형성된 제2 체결공(142)에 인입시킨 뒤, 본체(131)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132)가 제2 체결공(142)에 체결됨으로써,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1 체결공(141)에 관통 삽입되는 체결바(130)의 본체(131) 일부는 제2 덮개(122) 하면에 형성된 삽입홈(120H) 또는 가이드레일(120R)에 끼움 결합되어 제2 덮개(122)가 상부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며 몸체(110)의 개방된 일면을 밀폐시킬 수 있다.
참고로, 체결부(132)와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2 체결공(142)이 형성된 몸체면(112)에는 제2 체결공(142)에 그 단부가 인입된 본체(131)의 일면과 접하며 체결바(130)를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115)가 위치될 수 있다. 도2(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고정부(115)는 제2 체결공(142)을 덮으면서도, 체결바(130)와 접촉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어, 몸체(110)로부터 연설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고정부(115)는 포장박스(100)의 포장을 완료하기 이전에는 펼쳐진 상태로 있다가 체결부(132)가 제2 체결공(142)에 인입된 경우에 몸체면(122) 방향으로 접히며 본체(131)와 마주 접할 수 있다. 여기서, 마주 접하는 고정부(115)와 본체(131)의 일면에는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115f)이 각각 구비되어, 상호 맞닿음에 따라 몸체(110)와 체결바(130)간의 추가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에 관한 설명에 앞서, 상술한 내용 중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에 관해 차이점이 존재하는 기술적 특징 외에 각 구성에 관한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기에 이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몸체(110), 덮개(120),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를 구비하고,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두 개의 덮개 즉, 제1 덮개(121) 및 제2 덮개(122)는 선단(120A)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덮개(121)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와 제2 덮개(122)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각 체결바(13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 제1 체결공(141) 및 제2 체결공(142)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의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덮개(120) 중 먼저, 제3 덮개(123) 및 제4 덮개(124)를 포장박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은 뒤, 제1 덮개(121)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키면서,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1 덮개(121)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킨다. 이후 제1 체결공(141)을 관통한 복수의 체결바(130)를 각각 포장박스(100)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면서 몸체면(113)에 형성된 제2 체결공(142)에 인입시킨 뒤, 본체(131)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132)가 제2 체결공(142)에 체결됨으로써,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3 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에 관한 설명에 앞서, 상술한 내용 중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에 관해 차이점이 존재하는 기술적 특징 외에 각 구성에 관한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기에 이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몸체(110), 덮개(120),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으로부터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를 구비하고,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덮개 즉, 제1 덮개(121)는 제1 덮개(121)의 선단(120A)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가 구비된다.
체결공(140)은 몸체(110) 및 덮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체결바(130)가 관통 삽입되며, 이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체결공(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체결바(13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체결공(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공(140a) 및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b)에 연달아 관통 삽입된 후 몸체(110) 및 덮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감싸며 또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c)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의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덮개(120) 중 먼저, 제3 덮개(123) 및 제4 덮개(124)를 포장박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은 뒤, 제1 덮개(121)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체결공(141a)에 관통시키고, 이어서 몸체면(11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40)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140a)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b)에 관통시킨다. 이후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b)을 관통한 체결바(130)를 포장박스(100)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면서 몸체면(112)에 형성된 또 다른 체결공(140c)에 인입시킨 뒤, 본체(131)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132)를 체결공(140c)에 체결시킴으로써,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덮개(121)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가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체결공(141a)을 관통하면서 제2 덮개(122)의 외면을 감싸기에, 덮개(120)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며 테이핑 작업 없이도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에 관한 설명에 앞서, 상술한 내용 중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에 관해 차이점이 존재하는 기술적 특징 외에 각 구성에 관한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기에 이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몸체(110), 덮개(120),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으로부터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를 구비하고, 네 개의 덮개(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두 개의 덮개 즉, 제1 덮개(121) 및 제2 덮개(122)는 선단(120)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덮개(121)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와 제2 덮개(122)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각 체결바(13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 체결공(140)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체결공(140)은 몸체(110) 및 덮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체결바(130)가 관통 삽입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체결공(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체결바(13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체결공(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공(140a) 및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b)에 연달아 관통 삽입된 후 몸체(110) 및 덮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감싸며 또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c)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의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덮개(120) 중 먼저, 제3 덮개(123) 및 제4 덮개(124)를 포장박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은 뒤, 제1 덮개(121)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체결공(140a)에 관통시키고, 이어서 어느 하나의 체결공(140a)과 인접한 몸체면(112)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b)에 관통시킨다.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1 덮개(121)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체결공(140a)에 관통시키고, 이어서, 어느 하나의 체결공(141a)과 인접한 몸체면(111)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b)에 관통시킨다.
이후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b)을 관통한 체결바(130)를 포장박스(100)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며 몸체면(111, 112)에 형성된 또 다른 체결공(140c)으로 인입시킨 뒤, 본체(131)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132)가 해당 체결공(140c)에 체결됨으로써,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체결바(130)가 제1 덮개(121) 및 제2 덮개(122)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체결공(141a)을 관통하면서 마주하는 덮개(121, 122)를 감싸기에, 덮개(120)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며 테이핑 작업 없이도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에 관한 설명에 앞서, 상술한 내용 중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에 관해 차이점이 존재하는 기술적 특징 외에 각 구성에 관한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기에 이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으로부터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네 개의 상측덮개(121u, 122u, 123u, 124u) 및 네 개의 하측 덮개(121d, 122d, 123d, 124d)를 구비한다.
이때, 도7(a)의 경우, 네 개의 상측덮개(121u, 122u, 123u, 124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덮개 즉, 제1 상측덮개(121u)와 네 개의 하측 덮개(121d, 122d, 123d, 124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측덮개 즉, 제2 하측덮개(122d)는 선단(120A)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상측덮개(121u)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와 제2 하측덮개(122d)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각 체결바(13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 제1 체결공(141) 및 제2 체결공(142)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의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상측덮개와 하측덮개(120) 중 먼저, 도면을 기준으로 제3 상측덮개(123u) 및 제4 상측덮개(124u)를 포장박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은 뒤, 제1 상측덮개(121u)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2 상측덮개(122u)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체결공(141)을 관통한 체결바(130)를 포장박스(100)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면서 몸체면(112)에 형성된 제2 체결공(142)에 인입시킨 뒤, 본체(131)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132)를 제2 체결공(142)에 체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던 네 개의 하측덮개를 상측에 위치하도록 돌린 뒤, 제3 하측덮개(123d) 및 제4 하측덮개(124d)를 포장박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고, 제2 하측덮개(122d)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1 하측덮개(121d)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킨다. 이후 제1 체결공(141)을 관통한 체결바(130)를 포장박스(100)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며 몸체면(111)에 형성된 제2 체결공(142)에 인입시킨 뒤, 본체(131)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132)가 제2 체결공(142)에 체결됨으로써,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7(b)의 경우, 네 개의 상측덮개(121u, 122u, 123u, 124u) 중 적어도 두개의 상측덮개 즉, 제1 상측덮개(121u) 및 제2 상측덮개(122u)와 네 개의 하측 덮개(121d, 122d, 123d, 124d) 중 적어도 두개의 하측덮개 즉, 제1 하측덮개(121d)와 제2 하측덮개(122d)에는 선단(120A)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상측덮개(121u)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와 제2 상측덮개(121u)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각 체결바(13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 제1 체결공(141) 및 제2 체결공(142)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측덮개(121d)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와 제2 하측덮개(121d)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바(130)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각 체결바(13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 제1 체결공(141) 및 제2 체결공(142)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각각의 몸체면(111, 112, 113, 114)의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상측덮개와 하측덮개(120) 중 먼저, 도면을 기준으로 제3 상측덮개(123u) 및 제4 상측덮개(124u)를 포장박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은 뒤, 제1 상측덮개(121u)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2 상측덮개(122u)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키면서 제2 상측덮개(122u)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1 상측덮개(122u)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킨다. 이후 제1 체결공(141)을 관통한 각각의 체결바(130)를 포장박스(100)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면서 몸체면(111, 112)에 형성된 제2 체결공(142)에 인입시킨 뒤, 본체(131)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132)를 제2 체결공(142)에 체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던 네 개의 하측덮개를 상측에 위치하도록 돌린 뒤, 제3 하측덮개(123d) 및 제4 하측덮개(124d)를 포장박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접고, 제1 하측덮개(121d)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2 하측덮개(122d)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키면서, 제2 하측덮개(122d)에 형성된 체결바(130)를 제1 하측덮개(121d)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에 관통시킨다. 이후 제1 체결공(141)을 관통한 각각의 체결바(130)를 포장박스(100)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면서 몸체면(111,112)에 형성된 제2 체결공(142)에 인입시킨 뒤, 본체(131) 단부에 위치한 체결부(132)가 제2 체결공(142)에 체결됨으로써, 포장박스(100)의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6 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에 관한 설명에 앞서, 상술한 내용 중 각 구성에 관한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기에 이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몸체(100), 덮개(120), 체결바(130) 및 체결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일단이 개방된 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몸체(110)는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기둥을 이루는 네 개의 면(이하, ‘몸체면(111, 112, 113, 114)’이라 칭함)이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네 개의 몸체면(111, 112, 113, 114)은 같은 폭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웃하는 몸체면이 상이한 폭을 가지되, 마주하는 몸체면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덮개(120)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의 개방된 단부가 밀폐되도록 덮는다. 여기서, 덮개(120)는 몸체면(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의 몸체면(1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몸체(110)의 개방된 단부를 덮으며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덮개(120)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120A)이 몸체면(111)의 단부와 맞닿도록 마련되거나,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는 몸체의 개방된 단부를 덮으면서도 몸체면(11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선단(120A)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부(120e)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바(130)는 덮개(120)의 선단(120A)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체결바(130)는 본체(131) 및 체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공(140)은 몸체(110)에 구비되어, 체결바(13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체결공(140)은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결바(130)는 제1 체결공(141)에 관통된 후 몸체(110)의 일부를 감싸며 제2 체결공(142)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체결바(130)를 몸체(11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40) 중 제1 체결공(141)에 인입시키면서 체결부(132)가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체결공(142)에 체결부가 체결됨으로써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공(140)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결바(130)는 어느 하나의 체결공(140a)을 관통한 뒤, 이어서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b)을 관통한 후 몸체(110)의 일부를 감싸며 또 다른 하나의 체결공(140c)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0)는 체결바(130)를 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40a, 140b)에 인입시키면서 체결부(132)가 도달하는 위치에 위치한 체결공(140c)에 체결부(132)가 인입된 뒤 체결됨으로써 포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포장박스
110 : 몸체
111, 112, 113, 114 : 몸체면
115 : 고정부
115f : 고정수단
120 : 덮개
121 : 제1 덮개 122 : 제2 덮개
123 : 제3 덮개 124 : 제4 덮개
121u : 제1 상측덮개 122u : 제2 상측덮개
123u : 제3 상측덮개 124u : 제4 상측덮개
121d : 제1 하측덮개 122d : 제2 하측덮개
123d : 제3 하측덮개 124d : 제4 하측덮개
120A : 선단 120B : 지지부
120H : 삽입홈 120R : 가이드레일
120e : 연장부
130 : 체결바
131 : 본체
132 : 체결부
132S : 걸림구간
140 : 체결공
141 : 제1 체결공, 142 : 제2 체결공

Claims (5)

  1. 포장박스로서,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된 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개방된 단부가 밀폐되도록 덮는 덮개;
    상기 덮개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체결바; 및
    상기 몸체 및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공;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바는 상기 복수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이하, ‘제1 체결공’이라 칭함)에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관통 삽입된 후 상기 몸체 및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감싸며 다른 하나의 체결공(이하, ‘제2 체결공’이라 칭함)에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체결바는,
    상기 체결공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한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본체; 및
    상기 체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걸림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가 인입된 상기 제2 체결공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의 걸림구간이 상기 제2 체결공의 측부에 맞닿게 구성되는,
    포장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공과 제2 체결공은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 체결공은,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의 개방된 단부를 덮은 경우에 상기 덮개의 선단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일단에 상기 걸림구간이 위치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일단에 상기 걸림구간이 위치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KR1020200020211A 2020-02-19 2020-02-19 포장박스 Active KR10233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11A KR102337748B1 (ko) 2020-02-19 2020-02-19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11A KR102337748B1 (ko) 2020-02-19 2020-02-19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575A KR20210105575A (ko) 2021-08-27
KR102337748B1 true KR102337748B1 (ko) 2021-12-13

Family

ID=7750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211A Active KR102337748B1 (ko) 2020-02-19 2020-02-19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676B1 (ko) * 2022-05-27 2022-09-27 주식회사 리베엘지 테이프 봉제가 불필요한 친환경 박스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937Y1 (ko) * 2004-03-15 2004-06-22 안태우 포장박스
JP2016132490A (ja) * 2015-01-22 2016-07-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梱包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835U (ko) 2009-02-27 2010-09-06 박신영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937Y1 (ko) * 2004-03-15 2004-06-22 안태우 포장박스
JP2016132490A (ja) * 2015-01-22 2016-07-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梱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575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2290B2 (ja) パッケージング装置、それを使用して商品を衝撃から保護する装置、それを使用して商品のコーナーを衝撃から保護する装置
US20170197320A1 (en) Cutter
KR102337748B1 (ko) 포장박스
US8038010B1 (en) Single piece edge protector for curved objects
KR101982299B1 (ko)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101604673B1 (ko) 물품 고정수단이 구비된 포장박스
KR20130039083A (ko) 포장용 박스
KR102627225B1 (ko) 포장박스
KR20130142331A (ko) 싸바리 포장상자 제조방법
KR20100007403U (ko) 포장 상자용 손잡이
JP4338805B2 (ja) 厚紙製緩衝体
JP7171303B2 (ja) 梱包箱
NZ571622A (en) Rigid u-shaped packaging container with integral handle
KR20060000013U (ko) 포장밴드가 부착된 선물상자
JPWO2016181485A1 (ja) 包装体
KR102228015B1 (ko) 열수축 포장지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JP4767104B2 (ja) 大型被包装物の梱包構造
KR200447521Y1 (ko) 포장용 상자
KR101427699B1 (ko) 화물 운송용 접이식 포장박스
KR100741380B1 (ko) 포장박스 잠금 방법 및 포장박스
JP5567506B2 (ja) 段ボール製緩衝材
JP4676283B2 (ja) 段ボール製緩衝材
JP2004026271A (ja) 包装構造
EP2883808A1 (en) Cigarette pack
JP2007326589A (ja) 化粧兼用輸送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