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7696B1 - touch sensor - Google Patents

touch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696B1
KR102337696B1 KR1020160039470A KR20160039470A KR102337696B1 KR 102337696 B1 KR102337696 B1 KR 102337696B1 KR 1020160039470 A KR1020160039470 A KR 1020160039470A KR 20160039470 A KR20160039470 A KR 20160039470A KR 102337696 B1 KR102337696 B1 KR 10233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ne
touch sensor
substrate
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2433A (en
Inventor
채승진
최병진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696B1/en
Publication of KR2017011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6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 1 전극패턴과 제 2 전극패턴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극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연결선과 상기 제 1 연결선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1 전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연결선과 상기 제 2 연결선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선 및 제 2 전극선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선 및 상기 제 2 전극선은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며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되는 터치 센서가 개시된다.It includes a substrate and one or more electrode cell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line and one or more first electrode line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line and one or more second electrode line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ines is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Disclosed is a touch sensor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in a second direction and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arranged.

Description

터치 센서{touch sensor}touch sensor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레이어(1 layer)로 구성되어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하여 발생한 정전용량의 변화로 터치 위치나 압력의 세기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 또는 압력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ive touch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a touch sensor or pressure that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and recognizes a touch position or intensity of pressure by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by touch or pressure. It is about the touch sensor.

터치 인식의 기능을 하는 터치 센서의 신호 검출 방식은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은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로,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극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A signal detection method of a touch sensor perform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includes a capacitive method, a resistive film metho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 infrared method, and the like. The capacitive method is one of the most used technologies in the market, and detects a contact position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an electrode generated by a touch of a finger or the like.

스마트폰, IPTV 등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점차 터치 입력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압력 터치 또는 포스 터치는 손가락 등의 압력을 감지하고 세기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기술로서 근래에 각광받고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압력에 의해 전극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터치의 위치와 압력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다. As smartphones and IPTVs are popularized, various demands for touch input are gradually occurring. In particular, pressure touch or force touch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 technology capable of sensing pressure of a finger or the like and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the intensity. The capacitive touch sens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touch and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by measur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apacitance generated by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by the pressure.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은 일반적으로 패턴을 형성하여 사용되며, 두 가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X좌표 및 Y좌표의 위치를 각각 인식하게 된다. 이 때 두 패턴이 동일 레이어(layer)에 형성되는 경우, 터치 또는 압력에 의하여 발생한 정전용량의 변화가 즉시 복원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어 터치 센서의 동작 속도와 정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An electrode for sensing a touch is generally used to form a pattern, and the positions of the X and Y coordinates are respectively recognized using two patterns. In this case, when the two patterns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touch or pressure is not immediately restored, so that the operation speed and accuracy of the touch sensor are deteriorated.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센싱 후에 정전용량, 즉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이 즉시 복원되어 동작의 속도와 정확성이 향상된 터치 센서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ensor in which a capacitance, that is, a capacitance value, is immediately restored after sensing, thereby improving speed and accuracy of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 1 전극패턴과 제 2 전극패턴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극셀을 포함할 수 있다.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bstrate; and one or more electrode cell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configured with a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연결선과 상기 제 1 연결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1 전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연결선과 상기 제 2 연결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line and one or more first electrode line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line and one or more second electrode line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have.

상기 제 1 전극선 및 제 2 전극선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선 및 상기 제 2 전극선은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며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may be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may have the same spac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disposed.

상기 제 1 연결선과 제 2 연결선은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결선과 제 2 연결선 사이에 상기 제 1 전극선과 제 2 전극선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line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may be dispos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line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상기 이격 거리는 50um 이상이고 500um 이하일 수 있다.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50 μm or more and 500 μm or less.

상기 제 1 전극선 또는 제 2 전극선의 폭은 20um 이상이고 500um 이하일 수 있다.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line or the second electrode line may be 20 μm or more and 500 μm or less.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셀 사이에 형성되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형성된 탄성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It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cell, and may include an elastic substrate formed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셀 사이에 형성되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형성된 탄성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기재의 탄성계수는 0.5MPa 이상이고 3MPa 미만일 수 있다. It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cell, and includes an elastic substrate formed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substrate may be 0.5 MPa or more and less than 3 MPa.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 터치 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 1 전극패턴과 제 2 전극패턴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극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셀 사이에 형성되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형성된 탄성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A pressur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bstrate, one or more electrode cells formed 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It is formed between the cells, and may include an elastic substrate formed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연결선과 상기 제 1 연결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1 전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연결선과 상기 제 2 연결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line and one or more first electrode line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line and one or more second electrode line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have.

상기 제 1 전극선 및 제 2 전극선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선 및 상기 제 2 전극선은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며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may be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may have the same spac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disposed.

상기 이격 거리는 50um 이상이고 500um 이하일 수 있다.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50 μm or more and 500 μm or less.

상기 제 1 전극선 또는 제 2 전극선의 폭은 20um 이상이고 500um 이하일 수 있다.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line or the second electrode line may be 20 μm or more and 500 μm or less.

상기 탄성기재의 탄성계수는 0.5MPa 이상이고 3MPa 미만일 수 있다.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substrate may be 0.5 MPa or more and less than 3 MPa.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전극 배선의 형성에 있어 라인(line)과 스페이스(space)의 값을 적정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터치 센서의 동작의 속도와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peed and accuracy of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by limiting the values of the line and the space to an appropriate range in the formation of the electrode wiring.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 터치 센서의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셀의 변형 예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shows the appearance of an electrode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side view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essur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top down view of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to 6 are graphs showing results of an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to 8 are modified examples of the electrode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A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herei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전극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1 shows a state of an electrode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전극셀(100)은 제 1 전극패턴(110)과 제 2 전극패턴(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극패턴(110)과 제 2 전극패턴(120)은 동일 전극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 다른 전극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 1 전극패턴(110)은 제 1 연결선(110a)과 하나 이상의 제 1 전극선(1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극패턴(110)은 복수의 제 1 전극선(110b)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제 1 전극선(110b)은 제 1 연결선(110a)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극패턴(120)은 제 2 연결선(120a)과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선(1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패턴(120) 역시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전극선(120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제 2 전극선(120b)은 제 2 연결선(120a)과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 cell 1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ttern 110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120 .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0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electrode, or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des.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line 110a and one or more first electrode lines 110b.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lines 110b, and all of the first electrode lines 110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s 110a.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line 120a and one or more second electrode lines 120b. Similarly,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120b, and all of the second electrode lines 120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120a.

제 1 전극패턴(110)과 제 2 전극패턴(120)은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전극선의 배치를 살펴보면,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전극선(110b)과 제 2 전극선(12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전극선(110b) 또는 제 2 전극선(120b)은 평행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평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방향을 보다 광범위하게 범위 각을 잡아 그 각도 내에 있는 전극선은 제 1 방향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평면에서 X축을 제 1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제 2 방향으로 제 1 전극선(110b)과 제 2 전극선(120b)이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며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을 직교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극셀(100)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만들어, 터치 센서 제작 시 전극셀(100)의 배치가 편리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평면에서 Y축을 제 2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제 2 방향 역시 제 1 방향과 마찬가지로 보다 광범위하게 범위 각을 잡아 그 각도 내를 모두 제 2 방향으로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20 may be dispos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lines,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120b may be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or the second electrode line 120b may be parallel. However, they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parallel, and an electrode line within the angle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aking the first direction more broadly. In FIG. 1 , the X-axis can be viewed in a first direction in a plan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120b may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nd may be alternately and repeatedly dispose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mad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is case, by making the electrode cell 100 in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cell 100 may be convenient when manufacturing the touch sensor. In FIG. 1 , the Y-axis can be seen in the second direction in a plan view. Similarly to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may also have a wider range angle so that all within the angle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다음으로, 연결선의 배치와 연결선과 전극선이 연결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 1 연결선(110a)과 제 2 연결선(120a)은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연결선(110a)과 제 2 연결선(120a) 사이에 제 1 전극선(110b)과 제 2 전극선(120b)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극선(110b)의 한 쪽 끝은 제 1 연결선(110a)에 연결되고 반대 쪽 끝은 제 2 연결선(120a)에 인접하지만 서로 접하지 않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 때, 접하지 않고 벌어진 사이의 거리(d3)를 제 1 전극선(110b)과 제 2 전극선(120b) 사이의 이격 거리(d2)와 동일한 간격으로 할 수 있고 동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d2가 50um인 경우 d3를 30um로 할 수 있다. 제 2 전극선(120b)도 제 1 전극선(110b)과 마찬가지로, 한 쪽 끝은 제 2 연결선(120a)에 연결되고 반대 쪽 끝은 제 1 연결선(110a)에 인접하지만 서로 접하지 않도록 배열할 수 있다. 역시 이 때에 접하지 않고 벌어진 사이의 거리도 d3와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Next,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ing line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ines and the electrode lines may be as follows. The first connecting line 110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120a are dispos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110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120a,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120b. This can be arranged.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 110a and the other end may be adjacent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120a but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distance d3 between the non-contacting and the gaps may be the same as the spacing d2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120b, or may be unequal. For example, when d2 is 50 um, d3 may be 30 um. Similarly to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the second electrode line 120b may be arranged such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120a and the other end is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ng line 110a but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 Also at this time, the same principle as d3 can be appli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gaps that are not in contact.

제 1 전극선(110b)과 인접한 제 2 전극선(120b) 사이의 이격 거리(d2)를 스페이스(space)라고 일컫는다. 제 1 전극선(110b) 또는 제 2 전극선(120b)의 폭(d1)은 라인(line)이라 일컫는다.The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and the adjacent second electrode line 120b is referred to as a space. The width d1 of the first electrode line 110b or the second electrode line 120b is referred to as a line.

스페이스(d2)는 50um 이상이고 500um 이하로 할 수 있다. 스페이스(d2)의 값이 좁을수록 초기 커패시턴스 값은 높아지게 되고, 센싱 후에 다시 초기 커패시턴스 값으로 복원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려, 터치 센서에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스(d2)가 50um 미만인 경우 터치 센서에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The space d2 may be 50 um or more and 500 um or less. As the value of the space d2 is narrower,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increases, and it takes a long time until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is restored to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after sensing, so that a malfunction may occur in the touch sensor. Therefore, when the space d2 is less than 50 μm, a malfunction may occur in the touch sensor.

초기 커패시턴스 값이 작을수록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율 자체도 매우 작아져서 인식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스페이스(d2)가 500um 초과가 되면 되면, 초기 커패시턴스 값이 0.3pF 미만이 되어 인식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스(d2) 값이 50um 이상이고 500um 이하일 때에, 터치 센서의 인식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서 커패시턴스의 복원력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As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is small, the rate of change of the capacitance value itself is also very small, so that the possibility of poor recognition may increase. When the space d2 exceeds 500 μm,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becomes less than 0.3 pF, and the possibility of a recognition failure may increase. Accordingly, when the space d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50 μm and less than or equal to 500 μm, the restoring force of the capacitance may be excellently maintained to the extent that a detection failure of the touch sensor does not occur.

라인(d1)은 20um 이상이고 500um 이하로 할 수 있다. 라인(d1) 값이 500um 초과가 될 경우 시인성(visibility)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시인성만을 고려한다면, 라인(d1) 값이 작아질수록 시인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라인(d1) 값이 20um 미만이 되면, 커패시턴스의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인(d1) 값이 20um 이상이고 500um 이하까지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서 커패시턴스의 복원력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 line d1 may be 20 um or more and 500 um or less. When the value of the line d1 exceeds 500 μm, a defect in visibility may occur. If only visibility is considered, as the value of the line d1 decreases, the visibility problem does not occur. However, when the value of the line d1 is less than 20 μm, the restoring force of the capacitance may be reduced. Accordingly, to the extent that the value of the line d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20 μm and there is no problem in visibility up to less than or equal to 500 μm, the restoring force of the capacitance may be excellently maintained.

보다 상세한 스페이스(d2)와 라인(d1) 값에 따른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율은 아래에서 도 5 및 도 6의 그래프에 대한 설명과 함께 실험 결과를 통하여 살펴본다. In more detail, the rate of change of th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space d2 and the line d1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alo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graphs of FIGS. 5 and 6 below.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기판(300)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전극셀(100)이 형성되게 된다. 도 2는 4열 또는 4행으로만 전극셀(100)이 배치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실제 터치 센서는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전극셀(10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에 들어가는 전극셀(100)의 개수는 수백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2 is a side view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ne or more electrode cells 10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300 . Although FIG. 2 shows that the electrode cells 100 are arranged only in 4 columns or 4 rows, the number of electrode cells 100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of the actual touch sensor. For example, the number of electrode cells 100 entering the touch sensor may be hundreds or more.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인식이 가능한 압력 터치 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기판(300)과 전극셀(100) 사이에 탄성기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기재(200)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PDMS)으로 형성할 수 있다.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은 실리콘 고분자 중 하나로, 터치 센서에 PDMS로 형성된 탄성 기재(200)를 포함하게 될 경우 압력 터치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압력 터치 센서란 압력에 의해 전극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터치의 위치와 압력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압력 센서 또는 포스 터치 센서라 부르기도 한다. 탄성 기재(200)를 포함한 터치 센서는 압력 터치 센서로 제작할 수도 있고, 일반 터치 센서도 탄성 기재(200)를 포함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압력 터치 센서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압력 센서에 대한 본 발명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sure touch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press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 elastic substrate 200 may be included between the substrate 300 and the electrode cell 100 . The elastic substrate 200 may be formed of polydimethyl siloxane (PDMS). Polydimethylsiloxane (PDMS) is one of the silicone polymers, and when the elastic substrate 200 formed of PDMS is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the pressur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A pressure touch sensor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position and pressure strength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by a change in a distance between electrodes by pressure, and is also called a pressure sensor or a force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including the elastic substrate 200 may be manufactured as a pressure touch sensor, and a general touch sensor may also be manufactured including the elastic substrate 200 . Eve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s a pressure touch sensor,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ressure sensor may be applied as it is.

손가락 등의 압력을 터치 센서에 가하였을 때, 탄성기재(200)에 의하여 전극 사이의 거리에 변화가 생기고 이에 따라 정전용량이 줄어들 수 있다. 탄성기재(200)의 탄성계수는 0.5MPa이상이고 3MPa 미만일 수 있다. 탄성계수가 0.5MPa 미만인 경우 탄성기재(200)의 굳기가 단단해져서 변위 발생량이 적게 될 수 있다. 또한 복원이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반면에 탄성계수가 3MPa 이상인 경우 탄성기재(200)의 굳기가 물러져서 스페이스(d2)의 간격이 좁아져 인접한 두 전극선이 붙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덮는 커버의 종류에 따라 탄성 계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필름(film)인 경우 유리(glass)인 경우보다 좀더 딱딱해야 하므로 탄성계수가 작아야 할 수 있다. When a pressure such as a finger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changed by the elastic substrate 200 and thus the capacitance may be reduced.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substrate 200 may be 0.5 MPa or more and less than 3 MPa. When the modulus of elasticity is less than 0.5 MPa, the hardness of the elastic base 200 may be hardened, and thus the amount of displacement may be reduced. In additi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restoration does not go we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ulus of elasticity is 3 MPa or more, the hardness of the elastic substrate 200 is weakened and the interval of the space d2 is narrowed,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wo adjacent electrode wires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elastic modulus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ilm, since it should be harder than in the case of glass, the modulus of elasticity may be small.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터치 센서를 기판(300)의 상부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모습이다. 도 4의 터치 센서는 전극셀(100)이 9개가 배치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실제 터치 센서는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전극셀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에 들어가는 전극셀의 개수는 수백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제작하고자 하는 스크린이나 패널 모양에 따라 전극셀(100)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4 illustrates a state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of the touch sensor looking down from the top of the substrate 300 . In the touch sensor of FIG. 4 , nine electrode cells 100 are disposed, but as described above, the actual touch sensor may have a different number of electrode cell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creen. For example, the number of electrode cells entering the touch sensor may be hundreds or more.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cell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creen or panel to be manufactured.

도 5 내지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5 to 6 are graphs showing results of an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우선, 실험을 위하여 압력 터치 센서 샘플을 제작하여 진행하였다. 샘플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작하였다. 도 1과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제작 과정을 살펴본다. 실험용 기판(300) 또는 기구물에 탄성계수가 1.72MPa 인 PDMS로 형성된 탄성기재(200)를 형성하고, 스퍼터링(sputtering)으로 금속을 증착시킨다. 실험하고자 하는 각 라인(d1)과 스페이스(d2) 값에 따라 포토(photo)공정을 거쳐서 완성시킨다. 그리고 터치, 또는 압력에 따른 커패시턴스 값 (Cm)을 측정한다. First, for the experiment, a pressure touch sensor sample was prepared and performed. The sample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process. A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3 and 4 . An elastic substrate 200 formed of PDMS having an elastic modulus of 1.72 MPa is formed on the experimental substrate 300 or a device, and a metal is deposited by sputtering. It is completed through a photo process according to the values of each line (d1) and space (d2) to be tested. And measure the capacitance value (Cm) according to touch or pressure.

표 1과 표 2는 실험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실험은 도 4와 같이 전극셀(100) 9개를 3행 3열로 배치시켜 만들어 실험하였다. 표 1은 반경 4

Figure 112016031280768-pat00001
의 도전봉으로 터치하였을 때의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량을 측정한 것이고, 표 2는 상기 터치 후에 200g의 추를 놓아 압력을 주었을 때의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량을 측정한 것이다. 표 1과 표 2의 즉시 변화율은 초기 커패시턴스 값과 터치나 압력 직후에 이를 인식하여 변화 후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된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시 변화율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인식 불량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표 2의 복원 변화율은 초기 커패시턴스 값과 터치나 압력을 주고 30초 후에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된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복원 변화율이 20% 미만일 경우, 복원력이 허용되는 범주에 들어간다고 판단할 수 있다. 20% 미만 내에서 복원되지 않는 커패시턴스 값에 대해서는 내부적인 회로설계와 제어 시스템으로 즉시 복원과 같은 상태로 인식할 수 있도록 조절 또는 조정이 가능한 정도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원 변화율이 클 경우 터치 센서의 오작동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터치하였다가 떼어낸 후에도 터치가 계속 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표 2에서의 복원 변화율은 30초가 되기 전에 복원 변화율이 20% 미만이 될 경우, 30초까지 기다리지 않고 변화율을 측정한 것이다. 복원 변화율이 20% 이상인 경우는, 30초까지 기다렸음에도 복원 변화율이 20%를 초과한 경우의 복원 변화율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와 도 6은 표 1과 표 2의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은 라인(d1)과 스페이스(d2) 값이 동일한 경우로 30um, 50um, 60um, 100um, 150um, 200um 에서 커패시턴스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라인(d1) 값은 30um로 고정된 상태에서 스페이스(d2) 값이 30um, 50um, 60 um, 100um, 200um, 300um, 400um, 500um일 때의 커패시턴스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5과 도 6의 결과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복원율은 라인(d1) 값 보다 스페이스(d2) 값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를 살펴보면, 스페이스(d2) 값이 30um 일 경우는 라인(d1) 값과 관계 없이 모두 복원 변화율이 20% 이상으로 복원력이 허용되는 범주 안에 들어가지 않는다. 스페이스(d2) 값이 50um 일 때부터 복원 변화율 20% 미만으로 복원력이 허용되는 범주 안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즉, 스페이스(d2)는 50um 이상일 때에 커패시턴스 값의 즉시 복원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Table 1 and Table 2 show the experimental results as a table. The experiment was made by arranging 9 electrode cells 100 in 3 rows and 3 columns as shown in FIG. 4 . Table 1 shows radius 4
Figure 112016031280768-pat00001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apacitance value when touched with a conductive rod of The instantaneous rate of change in Tables 1 and 2 means the changed rate of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and the capacitance value after the change by recognizing it immediately after touch or pressure. If the instantaneous rate of change is too low, a problem of poor recognition may appear.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n Table 2 means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and the changed ratio of the capacitance value 30 seconds after applying a touch or pressure. When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s less than 2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storation force falls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his is because, for the capacitance value that is not restored within 20%,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or adjust so that the internal circuit design and control system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same state as restoration. If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s larg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touch sensor may increase. For example, it may cause a malfunction of recognizing that the touch continues even after the finger is touched and then removed.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n Table 2 is a measure of the change rate without waiting until 30 seconds when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s less than 20% before 30 seconds. When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s 20% or more, it indicates the value of the restoration change rate when the restoration change rate exceeds 20% even after waiting for 30 seconds. 5 and 6 are graphs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ables 1 and 2. First, FIG. 5 shows capacitance values at 30 μm, 50 μm, 60 μm, 100 μm, 150 μm, and 200 μm in the case where the line d1 and the space d2 have the same value. 6 shows capacitance values when the space d2 values are 30um, 50um, 60um, 100um, 200um, 300um, 400um, and 500um in a state where the line d1 value is fixed to 30um. From the results of FIGS. 5 and 6 , it can be seen that the capacitance recovery rate is more affected by the space d2 value than the line d1 value. Looking at Table 2, when the space (d2) value is 30 μm, regardless of the line (d1) value,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s 20% or more, and it does not fall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restoration force. When the space (d2) value is 50 μm,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s less than 20%, so it can be seen that the restoration force falls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instantaneous restoration of the capacitance value is possible when the space d2 is 50 μm or more.

스페이스(d2) 값이 50um 이상일 때의 실험 결과는 모두 복원력의 허용 범주에 들어가지만, 앞서 설명한대로 스페이스(d2)가 500um 초과가 될 경우 초기 커패시턴스 값이 작아져 터치나 압력에 대한 커패시턴스의 변화율이 적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식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험 결과를 보면 스페이스(d2)가 600um인 경우 초기 커패시턴스 값이 0.21 pF으로 0.3 pF이하가 되어 인식 불량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스(d2) 값의 적정 범위는 50um 이상, 500um 이하가 된다고 볼 수 있다. All the experimental results when the space (d2) value is 50 μm or more fall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the restoring force, bu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ace (d2) exceeds 500 μm,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becomes small, so the rate of change of capacitance with respect to touch or pressure is reduced. less, and as a result, a problem of poor recognition may occu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when the space d2 is 600 um,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is 0.21 pF, which is 0.3 pF or less, so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poor recogni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space (d2) value is 50 μm or more and 500 μm or less.

라인(d1)값은 20um 이상인 경우에 스페이스(d2)의 값이 30um 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복원 변화율이 20% 미만으로 복원력의 허용 범주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즉, 라인(d1)은 20um 이상일 때에 커패시턴스 값의 즉시 복원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라인(d1) 값이 500um 초과가 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대로 시인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인(d1) 값의 적정 범위는 20um 이상, 500um 이하가 된다고 볼 수 있다. When the value of the line (d1) is 20 um or more,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space d2 is 30 um, the restoration change rate is less than 20%, which can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the restoration force. That is, when the line d1 is 20 μm or more, it can be seen that the capacitance value can be immediately resto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of the line d1 exceeds 500 μm, as described above, a problem of poor visibility may occu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line d1 value is 20 μm or more and 500 μm or less.

라인(um)line (um) 스페이스(um)space (um) 초기 Cm(pF)Initial Cm (pF) 반경 4

Figure 112016031280768-pat00002
터치 Cm(pF)radius 4
Figure 112016031280768-pat00002
Touch Cm (pF) 즉시 변화율(%)Immediate change rate (%) 2020 3030 8.438.43 4.834.83 42.742.7 3030 3030 7.927.92 4.514.51 43.143.1 100100 3030 6.146.14 2.912.91 52.652.6 200200 3030 4.374.37 3.043.04 30.430.4 300300 3030 3.243.24 2.122.12 34.634.6 2020 5050 6.556.55 4.764.76 27.327.3 3030 5050 6.136.13 4.284.28 30.230.2 5050 5050 5.215.21 3.213.21 38.438.4 2020 6060 5.035.03 3.163.16 37.237.2 3030 6060 4.514.51 3.783.78 16.216.2 6060 6060 4.054.05 3.363.36 17.017.0 100100 6060 1.711.71 1.431.43 16.416.4 200200 6060 2.982.98 2.632.63 11.711.7 300300 6060 2.232.23 1.871.87 16.116.1 2020 100100 2.512.51 1.891.89 24.724.7 3030 100100 2.142.14 1.681.68 21.521.5 100100 100100 1.931.93 1.231.23 36.336.3 200200 100100 2.032.03 1.461.46 28.128.1 300300 100100 1.331.33 0.840.84 36.836.8 150150 150150 1.531.53 0.710.71 53.653.6 2020 200200 1.391.39 0.920.92 33.833.8 3030 200200 1.221.22 0.690.69 43.443.4 100100 200200 1.161.16 0.530.53 54.354.3 200200 200200 0.960.96 0.480.48 50.050.0 300300 200200 0.770.77 0.40.4 48.148.1 2020 300300 0.810.81 0.560.56 30.930.9 3030 300300 0.610.61 0.380.38 37.737.7 3030 400400 0.490.49 0.360.36 26.526.5 3030 500500 0.380.38 0.340.34 10.510.5 3030 600600 0.210.21 0.190.19 9.59.5

라인(um)line (um) 스페이스(um)space (um) 초기 Cm(pF)Initial Cm(pF) 반경4

Figure 112016031280768-pat00003
터치 +200g Cm(pF)radius 4
Figure 112016031280768-pat00003
Touch +200g Cm(pF) 즉시변화율(%)Immediate change rate (%) 30초 후 Cm (pF)Cm (pF) after 30 s 복원 변화율(%)Restoration change rate (%) 2020 3030 8.438.43 4.024.02 52.352.3 6.176.17 26.826.8 3030 3030 7.927.92 3.943.94 50.350.3 5.575.57 29.729.7 100100 3030 6.146.14 2.042.04 66.866.8 4.784.78 22.122.1 200200 3030 4.374.37 2.572.57 41.241.2 3.253.25 25.625.6 300300 3030 3.243.24 1.401.40 56.856.8 2.042.04 37.037.0 2020 5050 6.556.55 3.633.63 44.644.6 5.765.76 12.112.1 3030 5050 6.136.13 3.563.56 41.941.9 5.185.18 15.515.5 5050 5050 5.215.21 2.852.85 45.345.3 4.354.35 16.516.5 2020 6060 5.035.03 2.812.81 44.144.1 4.384.38 12.912.9 3030 6060 4.514.51 3.233.23 28.428.4 3.793.79 16.016.0 6060 6060 4.054.05 2.792.79 31.131.1 3.423.42 15.615.6 100100 6060 1.711.71 1.311.31 23.423.4 1.711.71 00 200200 6060 2.982.98 2.182.18 26.826.8 2.982.98 00 300300 6060 2.232.23 1.171.17 47.547.5 2.232.23 00 2020 100100 2.512.51 1.361.36 45.845.8 2.512.51 00 3030 100100 2.142.14 1.471.47 31.331.3 2.142.14 00 100100 100100 1.931.93 0.870.87 54.954.9 1.931.93 00 200200 100100 2.032.03 1.281.28 36.936.9 2.032.03 00 300300 100100 1.331.33 0.590.59 55.655.6 1.331.33 00 150150 150150 1.531.53 0.560.56 63.463.4 1.531.53 00 2020 200200 1.391.39 0.680.68 51.151.1 1.391.39 00 3030 200200 1.221.22 0.510.51 58.258.2 1.221.22 00 100100 200200 1.161.16 0.410.41 64.764.7 1.161.16 00 200200 200200 0.960.96 0.430.43 55.255.2 0.960.96 00 300300 200200 0.770.77 0.260.26 66.266.2 0.770.77 00 2020 300300 0.810.81 0.470.47 42.042.0 0.810.81 00 3030 300300 0.610.61 0.310.31 49.249.2 0.610.61 00 3030 400400 0.490.49 0.320.32 34.734.7 0.490.49 00 3030 500500 0.380.38 0.320.32 15.815.8 0.380.38 00 3030 600600 0.210.21 0.190.19 9.59.5 0.210.21 00

상기 실험들은 금속 전극을 이용한 결과 값으로, 투명 전극으로 실험을 할 경우에도 결과의 경향성은 금속 전극을 이용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The above experiments are the result values using a metal electrod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endency of the results is not different from that using a metal electrode even when the experiment is perform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셀의 변형 예이다. 전극셀을 이루는 제 1 전극패턴과 제 2 전극패턴의 패턴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패턴 형태가 변형되어도 라인 값과 스페이스 값이 커패시턴스 값의 복원력에 주는 영향은 동일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변형된 패턴의 전극셀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변형된 형태는 도 7과 같이 지그재그 모양으로 다각형의 형태로 구부러진 모양일 수도 있고, 곡선의 형태로 구부러진 모양일 수도 있다. 또한, 변형된 형태는 도 8과 같이 돌기가 형성된 모양으로 돌기는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태일 수도 있고, 반원이나 타원 등의 둥그런 형태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지그재그 모양의 전극선에 돌기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고, 인접하는 제 1 전극선과 제 2 전극선 사이에 더미 패턴이 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7 to 8 are modified examples of the electrode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constituting the electrode cell may be changed. Even if the pattern shape is changed, the effect of the line value and the space value on the restoring force of the capacitance value can be seen the same. Accordingly, the sam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n the case of an electrode cell having a deformed pattern. The deformed shape may be a shape bent in the form of a polygon in a zigzag shape as shown in FIG. 7 , or may be a shape bent in the form of a curve. In addition, the deformed shape is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formed as shown in FIG. 8 , and the protrusions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quadrangle, or a round shape such as a semicircle or an ellipse. 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zigzag electrode line, or a dummy pattern may be form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앞선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Each of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merely an embodiment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tems, contents, and images of information displayed on each screen may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modifi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전극셀
110: 제 1 전극패턴
110a: 제 1 연결선
110b: 제 1 전극선
120: 제 2 전극패턴
120a: 제 2 연결선
120b: 제 2 전극선
200: 탄성기재
300: 기판
d1: 라인(line)
d2: 스페이스(space)
100: electrode cell
110: first electrode pattern
110a: first connecting line
110b: first electrode line
120: second electrode pattern
120a: second connecting line
120b: second electrode wire
200: elastic base
300: substrate
d1: line
d2: space

Claims (10)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 1 전극패턴과 제 2 전극패턴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극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연결선과 상기 제 1 연결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1 전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연결선과 상기 제 2 연결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선 및 제 2 전극선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선 및 상기 제 2 전극선은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며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격 거리는 50um 이상이고 500um 이하이고,
상기 제 1 전극선 또는 제 2 전극선의 폭은 20um 이상이고 500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Board; and
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includes one or more electrode cells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line and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line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is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have the same spac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disposed,
The separation distance is 50um or more and 500um or less,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wire or the second electrode wire is 20um or more and 500um or less, the touch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선과 제 2 연결선은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결선과 제 2 연결선 사이에 상기 제 1 전극선과 제 2 전극선이 배치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line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are dispos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electrod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셀 사이에 형성되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형성된 탄성기재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3.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or 2,
A touch senso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cell, and comprising an elastic substrate formed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기재의 탄성계수는 0.5MPa 이상이고 3MPa 미만인 터치 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substrate is 0.5 MPa or more and less than 3 MPa of the touch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압력 터치 센서인 것인, 터치 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ouch sensor is a pressure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39470A 2016-03-31 2016-03-31 touch sensor Active KR102337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70A KR102337696B1 (en) 2016-03-31 2016-03-31 touc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70A KR102337696B1 (en) 2016-03-31 2016-03-31 touch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33A KR20170112433A (en) 2017-10-12
KR102337696B1 true KR102337696B1 (en) 2021-12-09

Family

ID=6014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470A Active KR102337696B1 (en) 2016-03-31 2016-03-31 touch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662B1 (en) * 2020-12-30 2022-07-0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essure detection mat that can nimize measurement erro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0135A (en) * 2011-07-12 2013-01-31 Keiwa Inc Optical sheet and touch panel
KR20140058113A (en) * 2012-11-06 2014-05-14 (주)인터플렉스 Bezeless monolayer touch sensor panel
CN203149516U (en) * 2013-02-06 2013-08-21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Touch sensing element and touch screen with same
KR102245943B1 (en) * 2014-06-23 2021-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33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1547A1 (en)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CN102736810B (en) Input media
US9642243B2 (en) Flexible touch sensor with fine pitch interconnect
KR102376502B1 (en) Touch sens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ensor
US20100156846A1 (en) Single substrate capacitive touch panel
CN106249953B (en) A kind of pressure sensitivity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TWI541712B (en) Touch screen,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95670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disposed respectively in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of a cover glass
KR102384229B1 (en) Fingerprint recognizable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152210B1 (en) Force Touch
US20170329455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screen
JP2013225266A (en) Touch panel
US20100207891A1 (en) Structural improvement to touch panel
CN107704134A (en) A kind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00070964A (en) Pattern structure of the touch panel using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US9098152B2 (en) Dielectric layer for touch sensor stack
CN106843571A (en) Touch-control sensing component
KR102337696B1 (en) touch sensor
CN105205483B (en) Fingerprint Sensing Device
US9513728B2 (en) Touch sensor applied on large size display
US20160062501A1 (en) Touch apparatus
US10558308B2 (en) Capacitive sensor for panel having flat-surface portion and curved-surface portion
TWM486811U (en) Sensing layer circuit structure
KR101855648B1 (en) Improved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charge integrated sensing circuit used therein
CN106445236B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