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7157B1 -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157B1
KR102337157B1 KR1020140153081A KR20140153081A KR102337157B1 KR 102337157 B1 KR102337157 B1 KR 102337157B1 KR 1020140153081 A KR1020140153081 A KR 1020140153081A KR 20140153081 A KR20140153081 A KR 20140153081A KR 102337157 B1 KR102337157 B1 KR 10233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file
user
area
electronic black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675A (ko
Inventor
성은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157B1/ko
Priority to EP15192179.8A priority patent/EP3018575B1/en
Priority to CN201510736612.1A priority patent/CN105573696B/zh
Priority to US14/933,250 priority patent/US20160124634A1/en
Publication of KR2016005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1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2Plur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input device of the same type are in communication with a P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전자 칠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칠판 장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부,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고,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음성 파일에 대응되는 GUI를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 칠판 장치에 판서 된 내용과 연관된 대화 내용을 쉽게 찾아서 들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 입력과 관련하여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판서입력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칠판 장치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전자 칠판 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주로 필기를 하면서 말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 칠판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는 이러한 사용자의 말을 녹음하여 음성 파일로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추후 저장된 음성 파일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파일을 찾고자 할 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칠판 장치의 화면상에 판서 된 내용 중 어느 한 부분을 판서하면서 했던 대화 내용을 다시 듣고자 할 때, 원하는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음성 파일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느 시점에서 음성 파일을 재생해야 하는지를 사용자는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고,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음성 파일에 대응되는 GUI를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는 상기 화면 상에서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시작하고, 상기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녹음을 종료하고 녹음된 음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가이드 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역을 재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를 판서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판서된 이미지를 프레임 별로 캡쳐하여 저장하고, 각 프레임에서 캡쳐된 이미지 간의 이미지 차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미지 차이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판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판서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에 매핑된 음성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음성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을 기설정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화면 페이지를 전환하여 제공하며, 제1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1 음성 파일을 상기 제1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고, 제2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2 음성 파일을 상기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페이지 및 상기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을 타임 라인 상에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화면 페이지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 페이지에 대응되는 통합 음성 파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필기 내용 및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필기 내용 및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에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고,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음성 파일에 대응되는 GUI를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화면 상에서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시작하고, 상기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녹음을 종료하고 녹음된 음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가이드 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역을 재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이미지를 판서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판서된 이미지를 프레임 별로 캡쳐하여 저장하고, 각 프레임에서 캡쳐된 이미지 간의 이미지 차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미지 차이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판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판서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에 매핑된 음성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복수의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음성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을 기 설정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화면 페이지를 전환하여 제공하며, 제1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1 음성 파일을 상기 제1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고, 제2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2 음성 파일을 상기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페이지 및 상기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을 타임 라인 상에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화면 페이지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 페이지에 대응되는 통합 음성 파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필기 내용 및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필기 내용 및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칠판 장치에 판서 된 내용과 연관된 대화 내용을 쉽게 찾아서 들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서 내용과 음성 파일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과 음성 파일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사이즈의 변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경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녹음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을 기 설정된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녹음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리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자 칠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마이크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 칠판 장치(100)는 전자펜으로 쓸 수 있는 전도체성 칠판을 의미하며, 표면이 전도성을 띤 평판으로 되어 있어서 전자펜으로 필기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필기 입력에 따라 문자, 숫자 또는 도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은 각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저장하기 위하여 구분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화면을 터치하는 전자펜에 의해 감지되기 위한 피감지 신호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펜에 의해 필기가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필기 입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부(13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부(130)는 외부 제어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파일은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구분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부(1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음성 파일에 대응되는 GUI를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부(1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기 위하여 시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칠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마이크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및 감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마이크부(130), 저장부(14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감지부(160)는 화면 상에서의 필기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시작하고,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종료하며, 녹음된 음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칠판의 영역을 2X3 영역으로 구분한다고 가정하면, 각 영역은 (1,1), (1,2), (1,3), (2,1), (2,2), (2,3)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1,2)에 해당되는 영역에서부터 판서를 시작했다면, 제어부(150)는 (1,2)에 해당되는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개시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필기 입력이 개시된 때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을 시작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1,2)에 해당되는 영역에서 판서를 하다가 만약 (1,3)에 해당되는 영역으로 넘어간 경우 즉, 판서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1,2)에 해당되는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이 종료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사용자 음성 녹음을 종료하고, 녹음된 음성을 (1,2)에 해당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각 영역 상에서 필기 입력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에 필기 입력이 이루어지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매핑하여 음성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필기 입력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사용된 각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서 내용과 음성 파일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칠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3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화면(300)은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 350)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영역의 사이즈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영역(310, 320, 330, 340, 350)에는 모두 필기가 입력되어 있으며 각 영역(310, 320, 330, 340, 350)마다 아이콘(312, 322, 342)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아이콘(312, 322, 342)은 각각 음성 파일(311, 321, 341)과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하나의 영역(310)에 대해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는 시간부터 음성 녹음을 시작하고, 하나의 영역(310)에 대한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종료하며, 녹음된 음성을 하나의 영역(31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311)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영역(310)에 대해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된 시간은 00:30이고 하나의 영역(310)에 대해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된 시간은 1:45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00:30에서 1:45에 해당되는 시간 동안 음성 녹음을 수행하고, 이렇게 녹음된 음성을 하나의 영역(31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311)로 저장한 후, 음성 파일(311)에 대응되는 GUI(312)를 대응되는 하나의 영역(3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영역(310)에 입력된 판서 내용을 확인함과 동시에 GUI(312)를 클릭하여 녹음된 음성 파일을 재생함으로써, 판서 내용과 관련된 녹음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다른 영역들(320, 340)에 대해서도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을 각 영역(320, 34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321, 341)로 저장하며, 음성 파일(321, 341)에 대응되는 GUI(322, 342)를 각 영역(320, 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과 음성 파일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판서 작업이 수행되는 영역(410)에 대하여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시간 정보와 음성 파일(420)을 매핑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판서 작업이 수행되는 영역(410)에서 필기 입력이 시작되는 시간 정보와 필기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필기 입력이 시작되는 시간부터 필기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까지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 파일(420)을 시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음성 파일(420)을 저장함으로써, 판서 작업이 수행되는 영역(41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420)로 저장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50)는 음성 파일(420)에 매핑된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저장된 음성 파일(420)에 대응되는 영역이 어디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전자 칠판 장치(100)의 화면상에 필기 입력을 할 경우, 제어부(150)가 각 영역에 대응되도록 음성 파일을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사용자로 하여금 지정된 영역 내에서 판서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변경되면, 변경된 가이드 라인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영역을 재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사이즈의 변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필기가 입력되는 영역이 가로 방향으로 줄마다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필기가 입력되는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줄마다 구분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가로 방향으로 줄마다 구분되는 영역마다 녹음되는 음성을 각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첫 번째 줄에 설정되어 있는 영역(510)에 필기가 입력되면,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는 시점부터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는 시점까지 즉, 필기 입력 영역이 변경되는 시점까지 음성 녹음을 수행하고 녹음된 음성을 첫 번째 줄에 설정되어 있는 영역(51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필기 입력 영역이 첫 번째 줄에 설정되어 있는 영역(510)에서 두 번째 줄에 설정되어 있는 영역(520)으로 변경될 때, 다시 두 번째 줄에 설정되어 있는 영역(520)에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는 시점부터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는 시점까지 음성 녹음을 수행하고 녹음된 음성을 두 번째 줄에 설정되어 있는 영역(52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필기가 입력되는 영역을 다양한 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음성 녹음되는 시간 단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구분된 필기 입력 영역을 하나로 합친 영역(610)이 필기 입력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필기가 입력되는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줄 구분 없이 하나의 영역(610)으로 설정할 수 있고, 하나의 영역(610)에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는 시점부터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는 시점까지 음성 녹음을 수행하고 녹음된 음성을 하나의 영역(61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5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설정되는 필기 입력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녹음된 음성이 저장되는 음성 파일의 시간 단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도 6에서의 영역(610)에 비해 도 5에서의 영역(510)이 작으므로 녹음된 음성이 저장되는 음성 파일의 시간 단위를 좀더 작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이미지를 판서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판서된 이미지를 프레임 별로 캡쳐하여 저장하고, 각 프레임에서 캡쳐된 이미지 간의 이미지 차이를 판단하며, 판단된 이미지 차이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경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이미지 기반 변경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각 영역별로 음성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n 프레임에 해당되는 이미지(710)을 캡쳐하고, n+1 프레임에 해당되는 이미지(720)를 캡쳐한 후 캡쳐된 이미지들 간의 차이를 판단하여 어느 영역에서 변경된 이미지(730)가 발생하는지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변경된 이미지(730)에 관한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된 시간 정보에 매핑하여 녹음된 음성을 변경된 이미지(73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저장된 음성 파일에 매핑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이미지(740)를 추출해낼 수도 있다.
즉, 제어부(150)는 변경된 이미지(730)가 발생한 시간대에 녹음된 음성을 변경된 이미지(73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된 음성 파일에 기초하여 변경된 이미지(740)가 어느 영역에서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미지 판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판서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에 매핑된 음성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녹음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 판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뷰 시, 원하는 위치(840)를 선택하면, 선택된 위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들 즉, 영역 1(810), 영역 2(820) 및 영역 3(830) 각각에 매핑되어 저장된 시간 정보들에 기초하여 영역 1(810), 영역 2(820) 및 영역 3(830)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들(811, 821, 831)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원하는 위치(840)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위치(84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들(810, 820, 83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들(811, 821, 831)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들(810, 820, 830) 중 원하는 영역에 해당되는 음성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화면에 판서된 동일한 이미지에 대해서 서로 다른 영역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동일한 이미지와 관련하여 서로 다른 내용들이 판서된 영역들 중 원하는 내용이 판서된 영역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음성 파일을 듣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선택된 위치(84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들(810, 820, 830)에 대해 필기가 입력된 시간에 관한 정보에 매핑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들(810, 820, 83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들(811, 821, 831)을 저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들(810, 820, 830)에 대해 필기가 입력된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부(13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복수의 사용자 음성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주파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필기가 입력된 영역(910)에 대해서 복수의 사용자(Js.park(920), sean(930))의 음성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Js.park(920) 및 sean(930)의 음성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주파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필기가 입력되는 영역(910)에 대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칠판 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부(130)를 통해서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원격 제어 장치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 등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에 대해서도 제어부(150)는 각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필기가 입력되는 영역(910)에 대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을 기 설정된 영역으로 설정하고,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을 기 설정된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화면에 필기 입력이 수행된 복수의 영역들 중 터치 이벤트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1010, 1020) 즉, 기 설정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1010, 1020) 각각에서 필기 입력이 수행되는 시간 정보(해당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개시가 된 시점부터 해당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에 매핑하여 그 시간 동안 녹음된 음성을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필기 입력된 각 영역에 대하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을 화자별, 시간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녹음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필기 입력된 영역(1100)에 대해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 파일에 대응되는 GUI와 함께 필기 입력된 영역(1100)에 대하여 녹음된 사용자 음성을 화자별(사용자 1, 2, 3, 4, 5, 6) 및 시간 구간별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기 입력이 되는 시간 동안 어느 시점에 어떤 사용자가 무슨 내용을 말했는지 확인해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리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화면 페이지를 전환하여 제공하며, 제1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1 음성 파일을 제1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제2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2 음성 파일을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전자 칠판 장치(100)의 화면상에서 수행된 필기 입력 및 녹음된 음성 파일을 시간별 또는 날짜별로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화면을 변경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화면 페이지를 전환할 수 있는데, 제1 화면 페이지(1210)에서 필기 입력 및 음성 녹음이 완료되면, 새로운 페이지인 제2 화면 페이지(1220)로 전환하여 다시 필기 입력 및 음성 녹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1 화면 페이지(12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수행된 필기 입력을 저장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필기 입력이 수행되는 시간 동안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 파일들을 통합하여 제1 화면 페이지(1210)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제2 화면 페이지(12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수행된 필기 입력을 저장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필기 입력이 수행되는 시간 동안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 파일들을 통합하여 제2 화면 페이지(1220)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제1 화면 페이지(1210) 및 제2 화면 페이지(1220)에서 판서된 내용을 타임 라인 상에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된 썸 네일에 대응되는 화면 페이지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 페이지에 대응되는 통합 음성 파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 화면 페이지(1210) 및 제2 화면 페이지(1220)을 타임 라인 상에서 해당 날짜 및 시간에 따라 썸네일 형태로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썸네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1310)에 대응되는 화면 페이지(1320)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페이지(1320)는 해당 날짜에 시간별로 판서 이미지의 변화 과정을 모두 포함하며, 화자별 및 시간별로 녹음된 음성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에서 설명한 화면 페이지(1320)가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 페이지(1320) 내의 복수의 썸네일들 중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소정 시간 대의 썸네일(1410)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썸네일(1410)에 해당되는 판서 내용(1420) 및 판서 내용(142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정보(143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서 내용(1420)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정보(143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소정 시간 동안에 화자별 및 시간별로 녹음된 음성 파일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필기 내용 및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태그를 생성하여 필기 내용 및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필기가 입력된 화면상에 표시된 필기 내용을 인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시 참조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태그(1510, 1520)를 생성하여 필기 내용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필기 내용에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또는 스케쥴과 관련된 내용을 인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 태그(1510, 1520)를 생성하여 필기 내용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필기가 입력된 화면상에 구분된 복수의 각 영역에 표시된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태그를 생성하여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 또는 사용자 음성에 따라 입력된 검색 명령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 및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중 원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필기 내용 및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610).
그리고,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을 수신한다(S1620).
또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한다(S163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고,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음성 파일에 대응되는 GUI를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S164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면 상에서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시작하고,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종료하고 녹음된 음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변경되면, 변경된 가이드 라인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영역을 재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이미지를 판서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판서된 이미지를 프레임 별로 캡쳐하여 저장하고, 각 프레임에서 캡쳐된 이미지 간의 이미지 차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미지 차이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이미지 판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판서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에 매핑된 음성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복수의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복수의 사용자 음성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주파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을 기 설정된 영역으로 설정하고,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화면 페이지를 전환하여 제공하며, 제1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1 음성 파일을 제1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고, 제2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2 음성 파일을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제1 화면 페이지 및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을 타임 라인 상에서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된 썸 네일에 대응되는 화면 페이지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 페이지에 대응되는 통합 음성 파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필기 내용 및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태그를 생성하여 필기 내용 및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고,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음성 파일에 대응되는 GUI를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칠판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전자 칠판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칠판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마이크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Claims (20)

  1. 전자 칠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칠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에서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시작하고, 상기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녹음을 종료하고 녹음된 음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변경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가이드 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역을 재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를 판서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판서된 이미지를 프레임 별로 캡쳐하여 저장하고, 각 프레임에서 캡쳐된 이미지 간의 이미지 차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미지 차이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판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판서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에 매핑된 음성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음성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을 기설정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화면 페이지를 전환하여 제공하며, 제1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1 음성 파일을 상기 제1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고, 제2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2 음성 파일을 상기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페이지 및 상기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을 타임 라인 상에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화면 페이지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 페이지에 대응되는 통합 음성 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필기 내용 및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필기 내용 및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
  11.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에서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필기 입력의 개시가 감지되면 음성 녹음을 시작하고, 상기 필기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녹음을 종료하고 녹음된 음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변경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가이드 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역을 재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이미지를 판서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판서된 이미지를 프레임 별로 캡쳐하여 저장하고, 각 프레임에서 캡쳐된 이미지 간의 이미지 차이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미지 차이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판서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판서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적어도 일부 이미지에 매핑된 음성 파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복수의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음성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집중된 영역을 기 설정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화면 페이지를 전환하여 제공하며, 제1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1 음성 파일을 상기 제1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고, 제2 화면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을 통합하고 통합된 제2 음성 파일을 상기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페이지 및 상기 제2 화면 페이지에서 판서된 내용을 타임 라인 상에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화면 페이지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 페이지에 대응되는 통합 음성 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필기 내용 및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필기 내용 및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 파일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53081A 2014-11-05 2014-11-05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233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081A KR102337157B1 (ko) 2014-11-05 2014-11-05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5192179.8A EP3018575B1 (en) 2014-11-05 2015-10-29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510736612.1A CN105573696B (zh) 2014-11-05 2015-11-03 电子黑板装置及其控制方法
US14/933,250 US20160124634A1 (en) 2014-11-05 2015-11-05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081A KR102337157B1 (ko) 2014-11-05 2014-11-05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75A KR20160053675A (ko) 2016-05-13
KR102337157B1 true KR102337157B1 (ko) 2021-12-08

Family

ID=5454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081A Active KR102337157B1 (ko) 2014-11-05 2014-11-05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24634A1 (ko)
EP (1) EP3018575B1 (ko)
KR (1) KR102337157B1 (ko)
CN (1) CN1055736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9316A (zh) * 2017-02-21 2017-07-0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子白板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7529031B (zh) * 2017-08-18 2021-06-1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板书过程的记录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594106B1 (ko) * 2017-12-28 2023-10-25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데이터 기록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한 기록 매체
KR102546510B1 (ko) * 2018-03-21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입력 간에 매핑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046148B1 (ko) * 2018-08-27 2019-11-18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강의 요약본을 제공하는 전자칠판
CN109509375B (zh) * 2018-10-26 2021-07-23 珠海中电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录播一体的智能全面屏黑板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20017308A (ko)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재생 및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2657480B1 (ko) * 2023-12-01 2024-04-15 (주)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
KR102745320B1 (ko) * 2024-07-11 2024-12-23 이솔정보통신(주) 스트리밍 데이터의 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스트리밍기능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565A (en) * 1993-06-21 1996-08-13 Casio Computer Co., Ltd. Input/output apparatus having a pen, and method of associating and processing handwritten image data and voice data
US7260257B2 (en) * 2002-06-19 2007-08-21 Microsoft Corp. System and method for whiteboard and audio capture
KR20050047314A (ko) * 2003-11-17 2005-05-20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전자칠판의 펜 마우스 인식 방법 및 시스템
US20070098371A1 (en) * 2005-11-01 2007-05-03 Wen-Chen Huang Multimedia learning system with digital archive
JP2009139592A (ja) * 2007-12-05 2009-06-25 Sony Corp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システム及び音声処理プログラム
US8446298B2 (en) * 2008-04-03 2013-05-21 Livescribe, Inc. Quick record function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US20100285881A1 (en) * 2009-05-07 2010-11-11 Microsoft Corporation Touch gesturing on multi-player game space
EP2275953B1 (en) * 2009-06-30 2018-10-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844903B1 (ko) * 2011-08-31 2018-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3325281A (zh) * 2012-03-23 2013-09-25 北京克强科技文化中心 电子教学系统
KR20130126428A (ko) * 2012-05-11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US20130300684A1 (en) * 2012-05-11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multi applications
KR101897774B1 (ko) * 2012-05-21 2018-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음된 음성의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기기
KR101943320B1 (ko) * 2012-09-21 2019-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5409B1 (ko) * 2013-09-04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73696A (zh) 2016-05-11
EP3018575A1 (en) 2016-05-11
US20160124634A1 (en) 2016-05-05
KR20160053675A (ko) 2016-05-13
EP3018575B1 (en) 2017-08-23
CN105573696B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157B1 (ko)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14804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825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CN104035672B (zh) 用于通过检测摩擦手势提供预览的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US10705682B2 (en) Section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US9195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an electronic document
US95424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searching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260800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touch interaction in a portable terminal
CN102549577A (zh) 联系人搜索方法、装置及其应用的移动终端
CN104111794A (zh) 用于提供与设备状态相应的改变的快捷图标的方法和设备
US11436403B2 (en) Online document comment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6095689A1 (zh) 基于终端界面多次触控操作进行识别搜索的方法及系统
EP2965181B1 (en)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US201500091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533002A (ja) 書き込みのメモと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相関
EP2650797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nnotating data
KR20160024583A (ko) 전자 장치 및 드로잉 기능 제공 방법
US10871898B2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UI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09768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99069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outputting a zoom sequence
KR20160038413A (ko)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
TW201502959A (zh) 強化的畫布環境
WO2019071419A1 (zh) 一种基于多屏的信息显示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