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956B1 - Dial lock - Google Patents
Dial 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6956B1 KR102336956B1 KR1020210060075A KR20210060075A KR102336956B1 KR 102336956 B1 KR102336956 B1 KR 102336956B1 KR 1020210060075 A KR1020210060075 A KR 1020210060075A KR 20210060075 A KR20210060075 A KR 20210060075A KR 102336956 B1 KR102336956 B1 KR 1023369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l
- cam
- key
- locking
- key bun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05B37/0041—Key actuation allowing recovery of a lost/forgotten combin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의 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잠금걸쇠와 연결된 키뭉치(2),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제공되어 일단이 키뭉치와 접촉되어 잠금위치와 해제위치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복수개의 돌출키(31)들이 형성된 잠금봉(3), 상기 잠금봉(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봉의 돌출키(31)와 맞물리는 위치와 맞물림 해제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외주면에 0 부터 9까지의 숫자가 형성된 복수개의 다이얼(4)들을 구비하는 다이얼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뭉치의 회전에 연동되어 잠금봉의 일측 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작동부재(8)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방향 나선형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된 다이얼 조정부재(9) 및 상기 다이얼(4)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다이얼 조정부재(9)에 의해 회전하여 다이얼(4)을 회전시켜 번호를 재배열시키도록 된 캠부재(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후 레버를 회전시킬 때 자동으로 다이얼 번호가 재배열되어 키번호가 노출될 염려가 없어 안전성과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1), a key bundle (2) connected to a locking clasp rotatably mounted in a hole of the housing, provided in the housing, and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key bun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A locking rod 3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keys 31 formed thereon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locking rod 3 and movable to a position engaged with the protruding key 31 of the locking rod and a disengaged position, A dial lock having a plurality of dials (4) having numbers 0 to 9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dial locking device comprising:
A dial adjusting member 9 and the dial configured to elastically rotate in an upward spiral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an operation member 8 arrang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one end of the lock rod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bundle. By being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am member (6)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4) and rotated by the dial adjusting member (9) to rotate the dial (4) to rearrange the numbers, the user When the lever is rotated after use, the dial number is automatically rearranged and there is no fear of exposing the key number, which improves safety and ease of u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이얼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얼들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로 배열된 경우에 잠금해제되고, 다이얼이 비밀번호로 배열되지 않은 경우에는 잠금상태로 되는 다이얼 잠금장치에서, 사용자가 예를들어 사물함의 다이얼 잠금장치의 비밀번호들을 배열시켜 사물함을 열어 사용한 다음에 실수로 다이얼들의 비밀번호들을 재배열시키지 않고 도어를 닫고 레버를 회전시킬 때, 자동으로 다이얼의 배열이 무작위로 재배열되게 하여 도난 문제를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다이얼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l locking device, in particular in a dial locking device that unlocks when the dials are arranged with a preset password, and is locked when the dials are not arranged with a password, in which a user, for example When you close the door and rotate the lever without accidentally rearranging the passwords of the dials after arranging the passwords of the locker's dial lock, the problem of theft is prevented by automatically rearranging the dials randomly. It relates to a dial lock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prevent it.
일반적으로 다이얼 잠금장치는 다이얼들을 회전시켜 비밀번호들이 일치될 때 잠금해제되어 레버를 회전시켜 예를들어 사물함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dial lock is unlocked when the passwords are matched by rotating the dials to rotate the lever to open the door of the locker, for example.
이러한 다이얼 잠금장치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2145714호(등록일자 2020년08월12일)에는 다이얼 잠금장치는 도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사물함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로킹조작부와, 상기 로킹조작부에 연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 해제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다이얼뭉치 및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뭉치의 비밀번호를 잊을시 마스터키를 이용해 상기 다이얼뭉치를 설정 비밀번호로 복원시키는 설정복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dial locking devi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45714 (registration date of August 12, 2020) discloses a dial locking device including a housing mounted on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rotation direction A locking operation unit that locks or unlocks the locker according to Disclosed is a dial locking device for a locker configured to include a setting restoration unit that restores the dial bundle to a set password using a master key when the password of the dial bundle is forgotten in a state where the password is forgotten.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0702호(공개일자 2009년10월21일)에 다이얼키 하우징 내부에 일정 각도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 마스터키 삽입용 키홈이 형성된 키몸체와, 상기 키몸체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진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유동되어지되, 선단에는 내부 회전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확인핀이 결합 구성되어져 있는 핀지지구와, 상기 핀지지구 내에서 확인핀을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는 가압스프링이 장착되어 구성된 비밀번호 확인이 용이한 다이얼키 방식 록킹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10702 (published on October 21, 2009), a keyway for inserting a master key in the center while being rotatably provided within a dial key housing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The formed key body and an operation lever installed so as to be lifted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key body; A pin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ner rotating body at the tip end thereof, and the check pin in the pin support member to be pressed with an elastic force Disclosed is a dial key type locking device that is easy to confirm password configured by mounting a supporting pressure spring.
이러한 종래의 다이얼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사물함에 설치된 잠금장치의 다이얼들의 비밀번호를 일치되게 하여 레버를 회전시켜 잠금해제시켜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넣은 다음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도난의 염려가 없게 다이얼들을 임의로 회전시켜 다이얼 비밀번호들의 배열을 흐트러지게 해야 하지만,In such a conventional dial lock, the user makes the passwords of the dials of the lock installed in the locker match, rotates the lever to unlock, puts the item to be stored, then closes the door, and sets the dials arbitrarily so that there is no fear of theft. It must be rotated to disturb the arrangement of the dial passwords, but
사물함에 물품을 넣고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다이얼들을 재배열시키지 않고 이동하는 경우가 잦으며, 이로 인하여 물품의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었다.In a state where an item is placed in a locker and the door is closed, the dials are frequently moved without rearranging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다이얼 잠금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사물함을 사용후 닫기 위한 도어레버의 회전에 따라 도어레버에 연결된 키뭉치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부재에 의해 다이얼 조정부재가 상방향 나선형으로 회전하여 다이얼들을 임의로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주의로 다이얼들을 재배열시키지 않아도 암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개선된 다이얼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dial locking device described above by using an operating member that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 key bundle connected to the door lev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oor lever for the user to close the locker after use. By allowing the adjusting member to rotate upward spirally to arbitrarily rotate the dials, the password is not exposed even if the user does not inadvertently rearrange the dials,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convenience,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to provide an improved dial lock. will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이얼 잠금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잠금걸쇠와 연결된 키뭉치,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제공되어 일단이 키뭉치와 접촉되어 잠금위치와 해제위치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복수개의 돌출키들이 형성된 잠금봉, 상기 잠금봉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봉의 돌출키와 맞물리는 위치와 맞물림 해제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외주면에 0 부터 9까지의 숫자가 형성된 복수개의 다이얼들을 구비하는 다이얼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뭉치의 회전에 연동되어 키뭉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작동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방향 나선형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된 다이얼 조정부재 및 상기 다이얼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다이얼 조정부재에 의해 회전하여 다이얼을 회전시켜 번호를 재배열시키도록 된 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key bundle connected to a lock clasp rotatably mounted in a hole of the housing, and provided within the housing so that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key bundle. A locking ro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key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locking position and a releasing posi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locking rod and movable to a position engaged with the protruding key of the locking rod and a disengaging position, A dial lock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dials having a number up to 9, elastically in an upward spiral in response to movement of an operation member arranged t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key bundle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bundl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al adjusting member adapted to rotate and a cam memb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ial to rotate the dial by the dial adjusting member to rearrange the numbers.
상기 캠부재는 잠금봉용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형태로 그 외주면에 결합돌기들이 형성되어 다이얼의 타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시에 결합홈에 맞물려 캠부재의 회전시 다이얼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cam member has a disk shape having a through hole for a locking rod formed thereon, and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it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al so that the dial rotates when the cam member rotates.
상기 캠부재는 그 외측면에 평행사변형 형태로 돌출되고 그 모서리부분들이 원호 형태로 만곡되어 형성된 캠부분을 구비한다.The cam member has a cam portion which protrudes in a parallelogram shape from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is formed by curved corner portions thereof in an arc shape.
상기 다이얼 조정부재는 봉형태의 바디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부가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캠부재의 캠부분과 접촉되게 배치된 번호 변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상방향 나선형으로 회전과 복귀시에 캠부재와 다이얼을 함께 회전시켜 다이얼 번호를 재배열하도록 상기 캠부분은 그 모서리부분이 상기 번호 변경부의 만곡된 하단부와 접촉된다.The dial adjusting member includes a number change part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am part of the cam member,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rod-shaped body being curved upward, and rotating in an upward spiral of the body. When returning and rotating the cam member and the dial together to rearrange the dial number, the edge of the cam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lower end of the number chang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다이얼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예를들어 사물함의 레버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사물함에 물품을 넣고 레버를 돌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다이얼의 번호들을 재배열하는 것을 잊고 이동하더라도 도어를 닫기 위해 레버를 회전시킬 때 자동으로 다이얼 번호가 재배열되어 키번호가 노출될 염려가 없게 되어 안전성과 사용편의성이 향상됨과 함께, 다이얼 조정부재(9)가 키뭉치(2)와 작동부재(8)들과 연동하도록 된 구조로 단순화되어 부품을 절감하고 고장 발생율이 낮고, 제조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di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pens the door by rotating the lever of the locker, puts an item in the locker, and closes the door by turning the lever, even if the user forgets to rearrange the dial numbers and moves the door When the lever is rotated to close it, the dial number is automatically rearranged so that there is no fear of the key number being exposed, so safety and convenience are improved, and th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얼 잠금장치에서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이얼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이얼과 작동레버 및 다이얼 조정부재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이얼을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작동레버의 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다이얼 조정부재의 번호 변경부에 의해 다이얼을 회전시키도록 다이얼에 제공된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from the dial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al lock of Figure 1;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al of FIG. 2, an operating lever, and a dial adjusting memb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al of Fig. 3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lever of Figure 2;
FIG. 6 is a view showing an action of rotating a cam member provided on the dial to rotate the dial by the number changing unit of the dial adjusting member in FIG. 3;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얼 잠금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이얼 잠금장치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바닥에 복수개의 이격된 리브들이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의 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도면에 미도시된 잠금걸쇠와 연결된 키뭉치(2),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제공되어 일단이 키뭉치와 접촉되어 잠금위치와 해제위치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복수개의 돌출키(31)들이 형성된 잠금봉(3), 상기 잠금봉(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봉의 돌출키(31)와 맞물리는 위치와 맞물림 해제위치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다이얼(4)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뭉치(2)에는 도면에 미도시된 도어레버가 연결되어 도어레버의 회전시 키뭉치와 함께 잠금걸쇠가 잠금위치와 잠금해제 위치로 회전됨으로써 예를들어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며, 이러한 구성 자체는 일반적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ial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4, basically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다이얼(4)은 외주면에 0 부터 9까지의 숫자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관통홀(41)에 인접하여 링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요철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42)의 내측면의 반경은 상기 홀(41)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요철부의 내측면에는 요철형태로 된 걸림턱(43)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4)의 타측면에는 요홈(44)이 형성되고 그 요홈(44)의 벽면에는 복수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결합홈(45)들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다이얼(4)의 일측면에 형성된 요철부(42)의 내측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부(51)가 형성되고, 그 삽입부 보다 직경이 커서 걸림턱(43)에 안착되는 단턱부(52)가 형성된 환형의 스페이서(5)가 제공되며, 상기 스페이서(5)의 단턱부(52)에는 삽입부(51)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43)의 요철 형태와 맞물리는 물림돌기(53)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5)의 관통홀 내측면에는 잠금봉(3)에 형성된 돌출키(31)가 관통할 수 있게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An
또한, 상기 다이얼(4)의 타측면에 형성된 요홈(44)에는 잠금봉(3)용 관통홀(61)이 형성된 원판의 외측면에 돌출된 캠부분(62)이 형성된 캠부재(6)가 제공되며, 캠부재(6)의 외주면에 결합돌기(63)들이 형성되어 다이얼(4)의 요홈(44)에 삽입시에 결합홈(45)에 맞물리게 되므로, 캠부재(6)의 회전시 다이얼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부재(6)의 관통홀(61) 내주면에는 잠금봉(3)에 형성된 돌출키(31)가 통과할 수 있게 홈(65)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얼(4)의 양측에 스페이서(5)와 캠부재(6)가 1개 세트로 하여 잠금봉(3)에 복수 세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 세트가 장착되며, 상기 다이얼(4), 스페이서(5)와 캠부재(6)의 세트들을 잠금봉(3)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지되게 상기 세트들을 수용하는 장방형의 홀더부재(7)가 제공되며, 상기 홀더부재(7)의 그의 양측 중앙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잠금봉(3)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며, 키뭉치와 인접한 선단부(71)는 양측면이 경사면으로 된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ets of the
상기 잠금봉(3)의 일측 단부는 하우징의 외측 벽에 형성된 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타측 단부는 상기 홀더부재(7)의 측부 중앙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One end of the
상기 키뭉치(2)의 측면에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홈(23)이 형성된 한편, 상기 키뭉치(2)의 측면에는 또한 가로홈(2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세로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홈(24)에는 상측에 스프링(25)이 배치되고 그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제공되어 가로홈(23)을 탄성적으로 차단하도록 캠부재(26)가 제공된다. 상기 세로홈(24)의 하단은 그 폭이 확장되어 있으며, 캠부재(26)의 폭이 확장된 부분이 삽입되어 캠부재가 세로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하 이동가능하고, 상기 캠부재의 정면에는 일측은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고 타측은 수직으로 된 직각삼각형 형태의 캠부분(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5)은 세로홈(24)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돌기와 캠부재(26)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되고 캠부재(26)에 대해 하방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한다. A
상기 홀더부재(7)의 키뭉치와 인접한 선단부(71)에서 탄성적으로 그의 양측 중앙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잠금봉(3)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며, 키뭉치와 인접한 선단부(71)는 양측면이 경사면으로 된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고, 잠금봉(3)의 선단부가 홀더부재의 선단부(71)에서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잠금봉의 선단부는 일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캠부분(27)을 타고 넘어간 다음에 키뭉치의 회전시 캠부분(27)의 반대쪽에서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상기 잠금봉(3)의 타측 단부는 키뭉치(2)의 가로홈(23)에 배치되어 있어서, 키뭉치(2)의 회전시 캠부재(26)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캠부재는 그 상측에 제공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탄성적으로 세로홈(24)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가로홈(23)이 개방된 다음 잠금봉(3)의 타측 단부는 캠부재(26)의 수직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봉(3)의 타측 단부가 캠부재(26)의 수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는 키뭉치(2)가 회전되지 않게 되어 잠금상태로 된다.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3)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groove (23) of the key bundle (2), so that when the key bundle (2) rotate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am member (26) so that the cam memb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 rod (3). As the provided spring is compressed, it elastically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이때, 사용자가 키를 키뭉치(2)의 키홈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키뭉치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27)에 의해 홀더부재(7)의 일측부 상측에서 잠금봉의 일측 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작동부재(8)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inserts the key into the key groove of the
상기 작동부재(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에 다이얼과 동일한 복수개의 캠부분(81)들이 형성되고, 키뭉치(2)의 돌출부(27)와 대향된 내측면에 홈(8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82)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키뭉치(2)의 회전시 돌출부(27)에 걸려 작동부재(8)가 이동되도록 상기 홈(72)에는 탄성적으로 돌출된 걸림부재(83)가 제공된다. As shown in FIG. 5 , the
상기 걸림부재(83)는 작동부재(8)의 상기 홈(82)의 바닥에 스프링이 제공된 회동핀(84)에 의해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타측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걸림부재(83)의 배면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대향된 홈(82)의 측벽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평상시 걸림부재(83)의 타측 단부는 홈(8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The
이러한 구조로 키뭉치(2)가 회전될 때, 그 측면의 돌출부(27)가 걸림부재(83)의 측면에 걸려 걸림부재를 밀게 되어 작동부재(8)가 키뭉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27)는 회전방향쪽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걸림부재(83)를 밀때, 상기 걸림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동부재(8)에 형성된 홈(82)으로 밀착되게 밀려나면서, 돌출부(27)가 쉽게 걸림부재 위로 타고 넘어가 키뭉치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키뭉치의 반대쪽 단부에는 하우징(1) 벽과의 사이에 스프링이 제공되어 작동부재(8)가 키뭉치의 회전에 따라 돌출부(27)에 의해 키뭉치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에는 단부에 제공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상기 작동부재(8)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캠부분(81)들 각각은 키뭉치쪽에서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짐과 함께 캠부분의 돌출된 상단부가 상측이 하측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상기 작동부재(8)는 키뭉치의 회전에 의한 이동시 캠부분(81)에 의해 연동하여 상방향 나선형으로 회전하여 다이얼들을 임의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다이얼 조정부재(9)가 작동부재(8)의 전면측에 제공된다. The
상기 다이얼 조정부재(9)는 도 3과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태의 바디(91)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서 원호 형상으로 다이얼을 향해 만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가 다이얼(4)의 요철부(42)와 맞물림으로써 다이얼 번호 위치를 고정시키는 번호고정부(91)와, 상기 바디(91)의 하측에서 다이얼(4)의 타측면에 형성된 요홈(44)에 배치된 캠부재(6)의 캠부분(62)과 접촉되게 배치되어 다이얼 조정부재(9)의 작동시에 다이얼을 회전시켜 번호가 변경되게 하는 번호 변경부(92)를 포함한다. 상기 번호고정부(91)와 번호 변경부(92)는 각각 다이얼의 수만큼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상기 다이얼 조정부재(9)는 하우징의 내벽에 인접한 단부에 제공되고 자유단부가 하우징의 덮개에 접촉된 토션스프링에 의해 번호고정부(91)가 다이얼에 형성된 요철에 맞물려 다이얼 번호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사용자가 레버를 작동할 때, 키뭉치의 회전에 의해 그 돌출부(27)에 의해 작동부재(8)가 이동함에 따라 다이얼 조정부재(9)가 상방향 나선형의 회전을 할 때에는 번호고정부(91)가 상승하여 다이얼이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바디(91) 하측으로 연장된 번호 변경부(92)는 캠부분(62)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방향 나선 회전 및 스프링에 의한 탄성적인 원위치로의 복귀 회전에 의해 캠부재(6)를 회전시켜서 결국 캠부재와 결합된 다이얼이 회전하여 다이얼 번호가 임의로 변경된다. The
사용자가 레버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한 다음 다시 레버를 원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키뭉치(2)가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작동부재(8)도 그 단부에 제공된 스프링으로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함께 다이얼 조정부재(9)도 그 단부에 제공된 토션 스프링의 탄성의 복권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는 과정에서 다이얼이 회전하면서 번호가 재배열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lever to open the door and then rotates the lever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즉, 상기 캠부분(62)은 원판 형태의 캠부재(6)의 외측면에서 평행사변형 형태로 돌출되되, 그 모서리부분들은 원호 형태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번호 변경부(92)는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부가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캠부분(62)의 모서리부분들에 접촉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부재(8)에 의해 다이얼 조정부재(9)가 상방향 나선형 회전할 때 번호변경부(92)도 상방향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캠부분(62)의 모서리부분과 가압 밀착되어 함께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8)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다이얼 조정부재(9)가 토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번호 변경부(92)가 복귀 회전함에 따라 그 상면에 밀착된 캠부분(62)이 캠부재와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부재와 결합된 다이얼이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임의로 다이얼 번호가 변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다이얼들의 번호가 변경되며, 다이얼 조정부재(9)의 토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회전으로 번호변경부(92)와 접촉된 캠부분(62)이 탄성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부분(62)의 캠부재(6)와 다이얼(4)들의 회전이 미세한 차이를 나타나게 되면서 다이얼들의 회전각도가 모두 다르게 됨에 따라 결국 다이얼의 번호가 임의로 재배열되게 된다.That is,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들어 사물함의 레버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사물함에 물품을 넣고 레버를 돌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다이얼의 번호들을 재배열하는 것을 잊고 이동하더라도 도어를 닫기 위해 레버를 회전시킬 때 자동으로 다이얼 번호가 재배열되어 키번호가 노출될 염려가 없게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됨과 함께, 다이얼 조정부재(9)가 키뭉치와 작동부재들과 연동하도록 된 구조로 단순화되어 부품을 절감하고 제조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by rotating the lever of the locker, for example, puts an item in the locker, and closes the door by turning the lever, even if the user forgets to rearrange the numbers on the dial and moves, the lever is used to close the door. When rotating, dial numbers are automatically rearranged so that there is no fear of exposing key numbers, improving usability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본 발명은 사물함 등의 다이얼 잠금장치에서 다이얼의 비밀번호 배열을 노출되지 않게 자동으로 재배열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rearrange the password arrangement of the dial in a dial locking device such as a locker so that it is not exposed.
1 : 하우징 2 : 키뭉치
3 : 잠금봉 4 : 다이얼
6 ; 캠부재 8 : 작동부재
9 : 다이얼 조정부재1 : Housing 2 : Key bundle
3: lock rod 4: dial
6 ; Cam member 8: operation member
9: Dial adjusting member
Claims (4)
상기 키뭉치의 회전에 연동되어 키뭉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작동부재(8)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방향 나선형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된 다이얼 조정부재(9) 및 상기 다이얼(4)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다이얼 조정부재(9)에 의해 회전하여 다이얼(4)을 회전시켜 번호를 재배열시키도록 된 캠부재(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잠금장치.
A housing (1) and a key bundle (2) connected to a locking clasp rotatably mounted in the hole of the housing, provided in the housing and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key bundle,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and a lock rod 3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keys 31 formed thereon,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ck rod 3 and is movable to a position engaged with the protrusion key 31 of the lock rod and a disengagement position, and has 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dial lock having a plurality of dials (4) in which numbers from to 9 are formed,
The dial adjusting member 9 and the dial 4 are adapted to elastically rotate upward spirally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8 arranged to mov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key bundl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bundle and a cam member (6)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ial adjusting member (9) to rotate the dial (4) to rearrange the numbers.
상기 캠부재(6)는 잠금봉(3)용 관통홀(61)이 형성된 원판형태로 그 외주면에 결합돌기(63)들이 형성되어 다이얼(4)의 타측면에 형성된 요홈(44)에 삽입시에 결합홈(45)에 맞물려 캠부재(6)의 회전시 다이얼이 함께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 member 6 has a disk shape having a through hole 61 for the lock rod 3 formed thereon, and coupling protrusions 63 are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n inserted into the recess 4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al 4 . A dial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l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cam member (6) is rotated by being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45).
상기 캠부재(6)는 그 외측면에 평행사변형 형태로 돌출되고 그 모서리부분들이 원호 형태로 만곡되어 형성된 캠부분(6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잠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 member (6) has a cam portion (62) protruding from its outer surface in a parallelogram shape and curved at its corners in an arc shape.
상기 다이얼 조정부재(9)는 봉형태의 바디(91)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부가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캠부재(6)의 캠부분(62)과 접촉되게 배치된 번호 변경부(92)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91)의 상방향 나선형으로 회전과 복귀시에 캠부재(6)와 다이얼(4)을 함께 회전시켜 다이얼 번호를 재배열하도록 상기 캠부분(62)은 그 모서리부분이 상기 번호 변경부(92)의 만곡된 하단부와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잠금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ial adjusting member 9 has a lower e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rod-shaped body 91 is curved upward, and the number change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cam portion 62 of the cam member 6 . and a portion 92, wherein the cam portion 62 rotates the cam member 6 and the dial 4 together to rearrange the dial number when the body 91 rotates and returns in an upward spiral. The dial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lower end of the number change unit (9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075A KR102336956B1 (en) | 2021-05-10 | 2021-05-10 | Dial 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075A KR102336956B1 (en) | 2021-05-10 | 2021-05-10 | Dial 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6956B1 true KR102336956B1 (en) | 2021-12-08 |
Family
ID=7886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0075A Active KR102336956B1 (en) | 2021-05-10 | 2021-05-10 | Dial 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695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0702U (en) | 2008-04-17 | 2009-10-21 | 정휘성 | Dial-key locking device for easy password verification |
KR101851499B1 (en) * | 2017-06-15 | 2018-04-24 | 황상식 | The dial lock for using locker |
KR102145714B1 (en) | 2020-03-02 | 2020-08-19 | 주식회사 퍼맥스 | Dial locking device for locker |
-
2021
- 2021-05-10 KR KR1020210060075A patent/KR1023369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0702U (en) | 2008-04-17 | 2009-10-21 | 정휘성 | Dial-key locking device for easy password verification |
KR101851499B1 (en) * | 2017-06-15 | 2018-04-24 | 황상식 | The dial lock for using locker |
KR102145714B1 (en) | 2020-03-02 | 2020-08-19 | 주식회사 퍼맥스 | Dial locking device for loc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08089B1 (en) | Lock used for the cabinets in public places | |
US6792778B1 (en) | Combination lock | |
US10041275B2 (en) | Combination lock structure for simple password retrieval | |
JPH0636203Y2 (en) | Encryption lock | |
CN114016827B (en) | Lever compression latch | |
US3447348A (en) | Combination locker locks | |
KR102336956B1 (en) | Dial lock | |
US5005384A (en) | Mechanism for a combination padlock | |
KR102313629B1 (en) | Dial lock | |
KR102323898B1 (en) | Dial lock | |
US8272242B1 (en) | Mechanical-combination door lock | |
KR101876857B1 (en) | Dial Lock with Easy Password Reset | |
KR100912655B1 (en) | Dial lock | |
TWI381090B (en) | Padlock having a storage chamber | |
CN207211997U (en) | Locking device | |
KR102315430B1 (en) | Dial lock for locker | |
JP2008101392A (en) | Variable code cylinder lock | |
KR102734439B1 (en) | Dial key provided with locking means | |
KR101126130B1 (en) | Locking device for locker room | |
US5040392A (en) | Cylinder lock | |
CN216974449U (en) | Coded lock with side code-adjusting switch structure | |
JPH04213673A (en) | Lock for briefcase | |
JP4235444B2 (en) | Crescent | |
KR102712690B1 (en) | The dial lock for using locker | |
JPS5838126Y2 (en) | pad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