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427B1 -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4427B1 KR102334427B1 KR1020200000062A KR20200000062A KR102334427B1 KR 102334427 B1 KR102334427 B1 KR 102334427B1 KR 1020200000062 A KR1020200000062 A KR 1020200000062A KR 20200000062 A KR20200000062 A KR 20200000062A KR 102334427 B1 KR102334427 B1 KR 102334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eleventh
- twelfth
- concave groove
- du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0256 facial nerv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7383 nerve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10000004709 eyebrow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0133 brain 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6096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6864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695 Migrai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802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491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7603 Migraine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92 crani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560 epithelium corne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599 migrai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79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07 neuromod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8 peripher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733 refractive err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7 re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52 sens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86 vagus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4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ey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제 11 패드 및 제 11 소켓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제 12 패드 및 제 12 소켓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제 21 패드 및 제 21 소켓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제 22 패드 및 제 22 소켓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제 11 패드 및 제 11 소켓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제 11 패드 및 제 11 소켓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제 11 패드가 제 11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1 패드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의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이 제공하는 전류 펄스 신호를 도시한 도면.
1112 : 제 11 연장축 1113 : 제 11 걸림턱
1120 : 제 12 패드 1121 : 제 12 패드 본체
1122 : 제 12 연장축 1123 : 제 12 걸림턱
1210 : 제 21 패드 1211 : 제 21 패드 본체
1212 : 제 21 연장축 1213 : 제 21 걸림턱
1220 : 제 22 패드 1221 : 제 22 패드 본체
1222 : 제 22 연장축 1223 : 제 22 걸림턱
2110 : 제 11 소켓 2111 : 제 11 소켓 본체
2112 : 제 11 오목홈 2113 : 제 11 고정핀
2120 : 제 12 소켓 2121 : 제 12 소켓 본체
2122 : 제 12 오목홈 2123 : 제 12 고정핀
2210 : 제 21 소켓 2212 : 제 21 오목홈
2213 : 제 21 고정핀 2220 : 제 22 소켓
2221 : 제 22 소켓 본체 2222 : 제 22 오목홈
2223 : 제 22 고정핀 3000 : 하우징
3200 : 자극 신호 모듈 3210 : 제어부
3221, 3222 : 자극 신호 제공부 3231 : 업 버튼
3232 : 다운 버튼 3240 : 통신부
3250 : 충전부 a : 깊이
b : 길이 1D : 제 1 지속 시간
2D : 제 2 지속 시간 3D : 제 3 지속 시간
4D : 제 4 지속 시간 5D : 제 5 지속 시간
6D : 제 6 지속 시간 7D : 제 7 지속 시간
8D : 제 8 지속 시간
Claims (15)
-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좌측 눈썹 상부에 부착되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1 패드와,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좌측 눈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2 패드와,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우측 눈썹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1 패드와,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우측 눈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2 패드를 포함하는 피부 접촉 유닛;
상기 제 11 패드, 상기 제 12 패드, 상기 제 21 패드 및 상기 제 22 패드에 상기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좌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1 패드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1 소켓과, 상기 하우징의 좌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2 패드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2 소켓과, 상기 하우징의 우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21 패드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1 소켓과, 상기 하우징의 우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22 패드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2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패드, 상기 제 12 패드, 상기 제 21 패드 및 상기 제 22 패드는 Ag, AgCl, Au, Pt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고,
제 1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1 패드와 상기 제 12 패드 사이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21 패드와 상기 제 22 패드 사이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가 인가되고,
제 2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1 패드와 상기 제 21 패드 사이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12 패드와 상기 제 22 패드 사이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가 인가되고,
제 3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1 패드와 상기 제 22 패드 사이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21 패드와 상기 제 12 패드 사이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11 패드는 제 11 패드 본체와, 상기 제 11 패드 본체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연장축과, 상기 제 11 연장축의 단부에 형성된 제 11 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1 소켓은 제 11 소켓 본체와, 상기 제 11 소켓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1 걸림턱이 삽입되는 제 11 오목홈과, 상기 제 11 오목홈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11 걸림턱이 상기 제 11 오목홈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 11 걸림턱을 상기 제 11 오목홈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제 11 고정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1 걸림턱은 상기 제 11 오목홈에 삽입되는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2 걸림턱은 상기 제 12 오목홈에 삽입되는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1 오목홈의 단면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1 오목홈의 깊이는 상기 제 11 걸림턱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 11 오목홈의 직경은 상기 제 11 걸림턱의 단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 11 걸림턱이 상기 11 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제 11 오목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때에, 제 11 패드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2 오목홈의 단면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2 오목홈의 깊이는 상기 제 12 걸림턱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 12 오목홈의 직경은 상기 제 12 걸림턱의 단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 12 패드는 제 12 패드 본체와, 상기 제 12 패드 본체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연장축과, 상기 제 12 연장축의 단부에 형성된 제 12 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소켓은 제 12 소켓 본체와, 상기 제 12 소켓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2 걸림턱이 삽입되는 제 12 오목홈과, 상기 제 12 오목홈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12 걸림턱이 상기 제 12 오목홈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 12 걸림턱을 상기 제 12 오목홈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제 12 고정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1 패드는 제 21 패드 본체와, 상기 제 21 패드 본체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연장축과, 상기 제 21 연장축의 단부에 형성된 제 21 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1 소켓은 제 21 소켓 본체와, 상기 제 21 소켓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1 걸림턱이 삽입되는 제 21 오목홈과, 상기 제 21 오목홈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21 걸림턱이 상기 제 21 오목홈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 21 걸림턱을 상기 제 21 오목홈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제 21 고정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2 패드는 제 22 패드 본체와, 상기 제 22 패드 본체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연장축과, 상기 제 22 연장축의 단부에 형성된 제 22 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2 소켓은 제 22 소켓 본체와, 상기 제 22 소켓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2 걸림턱이 삽입되는 제 22 오목홈과, 상기 제 22 오목홈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22 걸림턱이 상기 제 22 오목홈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 22 걸림턱을 상기 제 22 오목홈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제 22 고정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1 걸림턱은 상기 제 21 오목홈에 삽입되는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2 걸림턱은 상기 제 22 오목홈에 삽입되는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1 오목홈의 단면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1 오목홈의 깊이는 상기 제 21 걸림턱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 21 오목홈의 직경은 상기 제 21 걸림턱의 단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 22 오목홈의 단면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2 오목홈의 깊이는 상기 제 22 걸림턱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 22 오목홈의 직경은 상기 제 22 걸림턱의 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제 1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1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2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2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3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4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4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5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5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6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6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7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7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8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로 구성되는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인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390 | 2019-10-29 | ||
KR20190135390 | 2019-10-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2126A KR20210052126A (ko) | 2021-05-10 |
KR102334427B1 true KR102334427B1 (ko) | 2021-12-03 |
Family
ID=7591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0062A Active KR102334427B1 (ko) | 2019-10-29 | 2020-01-02 |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442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5750A (ja) * | 2003-02-24 | 2004-10-07 | Tatsuzo Nakamura | 治療用器具 |
JP2013505080A (ja) * | 2009-09-21 | 2013-02-14 |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電気刺激治療のための波形 |
WO2017048731A1 (en) | 2015-09-15 | 2017-03-23 | Amerivision International,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ocular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60146B2 (ja) * | 2011-03-24 | 2017-01-11 | カリフォルニ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 神経刺激装置 |
EP3277369B1 (en) * | 2015-03-30 | 2019-12-25 | CEFALY Technology Sprl | Device for the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trigeminal nerve |
-
2020
- 2020-01-02 KR KR1020200000062A patent/KR10233442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5750A (ja) * | 2003-02-24 | 2004-10-07 | Tatsuzo Nakamura | 治療用器具 |
JP2013505080A (ja) * | 2009-09-21 | 2013-02-14 |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電気刺激治療のための波形 |
WO2017048731A1 (en) | 2015-09-15 | 2017-03-23 | Amerivision International,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ocular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2126A (ko) | 2021-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3243309B2 (en) | Subcutaneous electrodes for cranial nerve stimulation | |
US10058704B2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conditions | |
CA2556222C (en) | Treatment of vision disorders using electrical, light, and/or sound energy | |
US20070088404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neural functioning, including cognitive functioning and neglect disorders | |
US20080033503A1 (en) | Electrode configurations for reducing invasiveness and/or enhancing neural stimulation efficacy, and associated methods | |
US20070100377A1 (en) | Providing multiple signal modes for a medical device | |
JP2017531529A (ja) | ドライアイの治療のための刺激装置及び方法 | |
US2013006613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adjusting, and/or modulating parameters for neural stimulation based on functional and/or structural measurements | |
Lee et al. | Suppression of subthalamic nucleus activity by micromagnetic stimulation | |
CA2616833A1 (en) | Medical devices for enhancing intrinsic neural activity | |
KR102334427B1 (ko) |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 |
US20170182309A1 (en) | Template for trigeminal neurostimulation | |
ES2899684T3 (es) | Bloqueo de conducción nerviosa de corriente continua (CC) subumbral tras cebado supraumbral | |
Yamamoto et al. | Dual-floor burr hole adjusted to burr hole ring and cap for implantation of stimulation electrodes | |
US20060041284A1 (en) |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imulating nerve tissue in the brain using a stimulation lead having a tip electrode, having at least five electrodes, or both | |
KR20210052127A (ko) | 멀티 모드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사용 방법 | |
KR20230061704A (ko) | 비침습적 전기 자극 방법 및 장치 | |
KR20210149360A (ko) |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의 사용 방법 | |
Ogbuji et al. | Invasive cortical stimul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