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3933B1 -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933B1
KR102333933B1 KR1020200029261A KR20200029261A KR102333933B1 KR 102333933 B1 KR102333933 B1 KR 102333933B1 KR 1020200029261 A KR1020200029261 A KR 1020200029261A KR 20200029261 A KR20200029261 A KR 20200029261A KR 102333933 B1 KR102333933 B1 KR 10233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device
exhaust
remote control
ventil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102A (ko
Inventor
장창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텍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텍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텍이시스
Priority to KR102020002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9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9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와 연결되고 각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상기 제어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된 메인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각 환기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환기장치의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각 건물에 마련된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VENTILATION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된 환기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이나 많은 사무실을 갖춘 고층 건물에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흡입해서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장치가 적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1)에는 각 층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덕트(2)와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흡기덕트(도면 미도시)가 설치되고, 배기덕트(2)는 각 층의 천장 속에서 수직배기관(또는 '입상덕트'라 함)(3)과 연결되어 실내의 오염공기를 수직배기관(3) 속으로 유인한다. 수직배기관(3)의 최상단에는 무동력 배기팬(4)이 설치되어 수직배기관(3)으로 유도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1)는 각 세대로 연결되는 배기덕트(2)의 흡입구에 레인지 후드에 설치되는 후드 팬이나 욕실 팬 등의 동력식 배기유닛(5)을 설치해서 실내 공기를 팬 구동에 의하여 강제로 포집하고, 포집된 실내 공기를 배기덕트(2)와 수직배기관(3) 및 배기팬(4)을 통해 강제 배기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985643호(2010년 8월 6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016244호(2011년 2월 14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1)는 각 세대에 동력식 배기유닛(5)을 필연적으로 설치해야 함에 따라, 실내측 소음 발생과 전원공급에 의한 에너지를 소비하고, 전기선 연결 및 구동 팬 설치 등으로 시공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1)는 대형 공용건물, 즉 고층 오피스텔 또는 고층 아파트에 설치되는 경우, 그 규모에 비례하여 유지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1)는 옥상에 설치됨에 따라 관리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렵고, 환기장치(1)에 마련된 각 장치의 오류 또는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관리자가 즉시 인지하기 어려우며, 인지 후에도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생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공간의 압력과 배기라인의 압력차를 이용해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기할 수 있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팬 구동으로 인한 실내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은 각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와 연결되고 각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상기 제어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된 메인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각 환기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환기장치의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방법은 (a) 각 제어 단말에서 연결된 환기장치의 배기팬을 초기 구동하는 단계, (b) 압력센서를 이용해서 수직배기관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는 단계, (c) 복수의 제어 단말 중에서 하나로 설정된 메인 단말에서 각 제어 단말로부터 각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에서 각 환기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에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해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각 건물에 마련된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인지 후드의 후드 팬과 욕실 팬을 제거하고, 실내 공간과 배기덕트의 압력차에 따라 배기팬의 구동을 제어해서 실내 공기를 배기함에 따라, 환기장치로 인한 실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세대의 배기만큼 배기팬만을 운전해서 전체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각 세대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작업 및 유지보수 작업을 간소화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시스템 장비에 일체형 구조를 적용하고, 정풍량계와 전동식 개폐장치를 배기 동작시에만 배기덕트를 개방하며, 배기 동작이 완료되면 배기덕트를 폐쇄함으로써,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한 굴뚝 효과 및 역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배기관 내부와 건물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라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보상해서 제어함으로써, 환기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기팬의 구동 제어를 최적화하여 배기팬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도 있으며, 친환경적으로 에너지효율이 우수한 환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각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관리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각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장치(20)에 마련되고 각 환기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30),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제어 단말(30) 중에서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된 메인 단말(40)과의 통신을 통해 각 환기장치(20)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환기장치(20)의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된 해당 환기장치(20)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 서버(5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10)은 관리 서버(40)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고, 각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를 조회해서 표시하며, 환기장치(20)의 이상 발생시 관리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관리 서버(50)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기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대와 연결되는 배기덕트(21), 배기덕트(21)의 끝단과 연결되고 건물 상부로 인출되는 수직배기관(22) 및 수직배기관(22)의 상단에 설치되고 제어 단말(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수직배기관(22)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배기팬(23)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각 세대에 마련되는 레인지 후드나 욕실 배기구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1)에 적용되는 후드 팬이나 욕실 팬과 같은 동력식 배기유닛(5)이 설치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실내 공간과 배기덕트(21) 내부의 압력차 및 수직배기관(22)과 건물 외부의 압력차에 따른 차압제어를 통해 동력식 배기유닛(5) 없이 실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내 소음의 원인이 되는 레인지 후드의 후드 팬과 욕실 팬 등의 동력식 배기유닛을 제거해서 실내 소음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기덕트(21)의 흡입구 측에는 실내 공간과 배기덕트(21) 내부의 압력차에 따라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일정한 풍량을 유지하는 정풍량계(24)와 실내 공기가 이동하는 배기덕트(21)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전동식 개폐장치(25)가 설치될 수 있다.
배기덕트(21)는 배기덕트(21) 내부의 압력, 즉 음압 상태보다 높은 양압 상태인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수직배기관(22)으로 전달한다.
정풍량계(24)와 전동식 개폐장치(25)는 실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 스위치는 레인지 후드와 욕실 벽 등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의 후드 팬과 욕실 팬을 제거하고, 실내 공간과 배기덕트의 압력차에 따라 배기팬의 구동을 제어해서 실내 공기를 배기함에 따라, 환기장치로 인한 실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세대의 후드 사용량 및 욕실 배기량에 따라 배기팬을 자동 비례운전시켜 환기장치의 운전 효율을 높이고, 각 세대의 실내 공기에 대한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각 세대의 배기만큼 배기팬만을 운전해서 전체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각 세대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작업 및 유지보수 작업을 간소화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시스템 장비에 일체형 구조를 적용하고, 정풍량계와 전동식 개폐장치를 배기 동작시에만 배기덕트를 개방하며, 배기 동작이 완료되면 배기덕트를 폐쇄함으로써,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한 굴뚝 효과 및 역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정풍량계(24)는 각 세대에 연결되는 전체 배기덕트(21)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예컨대 고층 건물의 고층이나 중층, 저층 등 일부 세대에만 선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수직배기관(22)의 상단부에는 배기팬(23)과 제어 단말(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수직배기관(22)의 상단부에는 수직배기관(22)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센서(31)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팬(23)은 외륜구동(external rotor motor) BLDC 모터(이하 'EC 모터'라 함)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EC 모터는 영구자석을 가진 고효율 전자식 정류 방식의 DC 모터로서, 높은 효율을 갖는다.
배기팬(23)은 EC 모터와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동적, 정적 밸런싱 테스트를 통해 효율을 극대화하고,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팬에 EC 모터를 적용해서 고효율, 저진동, 저소음및 저소비전력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레인지 후드의 사용량에 비례해서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0% 내지 100%의 운전제어범위에서 자동 비례제어할 수 있다.
압력센서(31)는 수직배기관(22) 내부의 압력과 건물 외부로 노출된 수직배기관(22) 외부의 압력, 즉 대기압의 압력차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튜브관(도면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배기관(22)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31)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각 제어 단말(30)로 전송된다.
각 제어 단말(30)은 각 환기장치(20)에 마련된 배기팬(23), 정풍량계(24)와 전동식 개폐장치(25)의 구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마련되고, 압력센서(21)에서 감지된 배기덕트(21)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에 기초해서 배기팬(23)의 회전속도를 조절해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단말(30)은 배기덕트(21)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가 음압이 되도록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차로 유지되도록, 배기팬(23)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단말(30)은 다른 환기장치(20)에 마련된 타 제어 단말(30)들과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단말(30)은 압력센서(31), 압력센서(31)에서 감지된 압력 차이에 기초해서 수직배기관(22) 내부의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32), 연산 결과에 기초해서 배기팬(2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33) 및 RF 통신,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중에서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메인 단말(40)과 통신하는 통신모듈(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 단말(30)은 압력센서(31)에서 감지된 압력 차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도면 미도시) 및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설정압력차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버튼(도면 미도시) 및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버튼(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는 자동 운전모드와 수동 운전모드를 포함하고,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운전모드로 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자동 운전모드는 부하변동에 따라 압력센서(31)에서 감지된 압력 차이에 따라 자동으로 100% 비례해서 회전수를 제어하는 운전이다.
상기 수동 운전모드는 24시간 타이머, 미리 저장된 수동운전 프로그램 등에 따른 운전으로서, 온, 오프 스텝 부하 변동에 따른 제어 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수동 운전 프로그램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현장에서 수정될 수 있다.
한편, 배기팬(23)은 건물 외부 및 배기덕트(21)과 수직배기관(22) 내부의 환경 변화, 예를 들어 건물 외부의 풍속, 풍량, 배기덕트(21)와 수직배기관(22) 내부의 압력 변화 등 다양한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라 회전속도와 구동에 필요한 소비전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압력센서(31)를 이용해서 감지되는 실외 및 배기덕트(21)와 수직배기관(22) 내부의 압력 차이만을 기준으로 배기팬(23)의 구동을 제어하는 경우, 배기덕트(21) 및 수직배기관(22)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를 상시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 외부 및 배기덕트(21)와 수직배기관(22) 내부의 환경 변화에 의한 배기팬(23)의 회전속도와 소비전력 변화에 따라, 배기팬(23)의 EC 모터에 가변적으로 공급되는 부하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값에 따라 배기팬(23)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 단말(30)은 배기팬(23)의 EC 모터에 공급되는 부하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 단말(30)는 전류감지센서(35)에서 출력되는 전류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배기팬(32)의 회전수 변화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배기팬(32)의 회전속도를 보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단말(30)에 마련되는 메모리(도면 미도시)는 전류감지센서(35)에서 출력되는 전류감지신호의 전류값과 배기팬(23)의 회전속도 보상량을 매칭시켜 테이블화해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외부 및 배기덕트와 수직배기관 내부의 압력과 함께, 환경 변화에 따라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보상함으로써, 건물 외부와 배기덕트및 수직배기관 내부의 압력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메인 단말(40)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제어 단말(30) 중에서 하나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각 건물에 설치된 환기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각 제어 단말(30)을 미리 설정된 개수, 예컨대 10개씩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고, 그루핑된 각 그룹에 속하는 10개의 제어 단말(30) 중에서 하나를 관리 서버(50)와 통신 가능한 메인 단말(40)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메인 단말(40)은 동일 그룹으로 그루핑된 주변 제어 단말(3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34)과 함께,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50)와 이동통신망이나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메인 단말(40)은 해당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와 함께, 주변 제어 단말(30)들로부터 수신된 주변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50)로 전송한다.
상기 동작 상태 정보는 각 환기장치(20)의 배기팬(23)에 공급되는 전류와 전압, 배기팬(23)의 회전속도, 압력센서(31)에서 감지된 건물 외부 및 수직배기관(22) 내부의 압력 및 압력 차이, 전류감지센서(35)에서 감지된 부하 전류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50)는 각 건물의 환기장치(20)를 지역별, 건물별, 아파트인 경우는 단지별, 동별로 구분해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 각 환기장치(20)의 제어 단말(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단말(40)과의 통신을 통해 각 환기장치(20)의 동작상태를 검사한다. 그래서 관리 서버(50)는 비정상 동작을 하는 환기장치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이하 '이상 발생'으로 약칭함)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20)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메인 단말(4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배기팬(23)의 회전속도를 설정하는 회전수 설정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 서버에서 메인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각 환기장치의 동작상태를 검사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해서 비상제어운전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은 관리 서버(5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각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관리자의 조작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관리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60)은 데스크탑 컴퓨터나 랩탑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는 관리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d)에는 관리자 단말(60)에 표시되는 시도별 표시, 구/군 표시, 지도 표시, 아파트명/동별 및 호기 표시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 5에는 관리자 단말(60)에 표시되는 배기팬 리스트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60)은 관리 서버(50)에 등록된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입력해서 인증을 받은 후, 지역별(시/도, 군/구), 아파트별(단지, 동) 환기장치 리스트와 지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팬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현장 관리자 정보, 게이트웨이 정보,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거나, 추가 또는 변경,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60)은 각 건물의 관리자가 소지한 개인 휴대 단말, 관리사무소에 마련된 관리단말, 이상 발생 환기장치를 수리하는 현장 관리자의 개인 휴대 단말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60)은 관리서버(50)와의 통신을 통해 인증 과정을 거친 후, 해당 관리자에게 설정된 권한에 따라 배기팬 리스트를 제한적으로 제공받고, 각 정보의 추가, 변경, 삭제 권한 등을 선택적으로 부여받을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각 건물의 세대와 연결된 배기덕트(21)에는 각각 정풍량계(24)와 전동식 개폐장치(25)가 설치되고, 배기덕트(21)의 끝단에 연결된 수직배기관(22)의 상단에는 배기팬(23)과 제어 단말(30)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 예컨대 10개씩 그루핑된 각 그룹의 제어 단말(30) 중에서 하나로 미리 설정된 메인 단말(40)은 관리 서버(50)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10)은 환기장치(20)와 제어 단말(30), 메인 단말(40) 및 관리 서버(50)와 관리자 단말(60)이 서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구성된다.
도 6의 S10단계에서 각 건물의 환기장치(20)와 각 환기장치(20)를 통합적으로 원격제어하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10)은 각각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각 환기장치(20)에 연결된 제어 단말(30)는 환기장치(20)에 마련된 각 장치를 초기화해서 배기 동작하도록 준비한다.
S12단계에서 각 환기장치(20)와 연결된 각 제어 단말(30)는 배기팬(23)을 미리 설정된 초기 회전속도로 구동해서 수직배기관(22)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강제 배기하도록 제어한다.
S14단계에서 각 수직배기관(22)에 설치된 각 압력센서(31)는 배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직배기관(22) 내부의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수직배기관(22)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를 감지한다.
S16단계에서 각 환기장치(20)에 마련된 각 제어 단말(30)은 압력센서(31)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해서 수직배기관(22)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차로 유지되는지를 검사한다.
S16단계의 검사결과, 수직배기관(22)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가 상기 설정압력차로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각 제어 단말(30)은 배기팬(23)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수직배기관(22)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차를 상기 설정압력차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18).
즉, 제어 단말(30)에 마련된 연산부(32)는 압력센서(31)에서 감지된 압력 차이에 기초해서 수직배기관(22) 내부의 상태를 연산하고, 신호발생부(33)는 연산 결과에 기초해서 배기팬(2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함께, S20단계에서 각 제어 단말(30)에 마련된 전류감지센서(35)는 배기팬을 구동하는 EC 모터에 공급되는 부하전류를 감지한다(S20).
그러면, 제어 단말(30)은 전류감지센서(35)에서 출력되는 전류감지신호에 기초해서 건물 외부 및 수직배기관(22) 내부의 환경 변화에 의한 배기팬(23)의 회전수 변화를 검사한다(S22).
S22단계의 검사 결과, 배기팬(23)의 회전수가 변화한 경우, 제어 단말(30)은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해서 배기팬(23)의 회전속도를 보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4).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 외부 및 수직배기관 내부의 압력 차이와 함께, 환경 변화에 따른 환기팬의 회전속도를 보상함으로써, 건물 외부 및 수직배기관 내부의 압력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배기팬(23)의 회전속도가 보상되면, 제어 단말(30)은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해당 그룹의 메인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러면, 메인 단말(40)은 해당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 및 동일 그룹으로 그루핑된 주변 제어 단말(3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각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50)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한다(S26).
이에 따라, 관리 서버(50)는 각 메인 단말(40)로부터 수신된 각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해서 각 환기장치(20)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검사한다(S28).
만약, S28단계의 검사결과, 하나 이상의 환기장치(20)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 관리 서버(50)는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20)가 속한 그룹의 메인 단말(40)을 통해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20)와 연결된 각 제어 단말(30)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제어 단말(30)은 메인 단말(40)을 통해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해당 제어 단말(30)은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상태 정보는 다시 메인 단말(40)을 통해 관리 서버(50)로 전된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50)는 다시 수신된 해당 환기장치(20)의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해서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20)가 정상 동작하는지를 검사한다(S32).
만약, S32단계의 검사결과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20)가 원격제어에 의해서도 비정상 동작 상태인 경우, 관리 서버(50)는 미리 저장된 관리자 단말(60)의 전화번호 등으로 문자메시지를 이용해서 이상 발생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S34).
이에 따라, 건물 관리자나 관제센터의 현장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60)을 이용해서 관리 서버와(60)의 통신을 통해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의 위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다.
한편, S32단계의 검사결과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2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또는 S34단계에서 이상 발생사실을 통지한 후, 관리 서버(50)와 제어 단말(30), 메인 단말(40)은 다시 S12단계로 진행해서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각 건물에 마련된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의 후드 팬과 욕실 팬을 제거하고, 실내 공간과 배기덕트의 압력차에 따라 배기팬의 구동을 제어해서 실내 공기를 배기함에 따라, 환기장치로 인한 실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표 1은 후드 팬과 욕실 팬이 적용된 종래기술과 후드 팬과 욕실 팬이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소음을 측정한 결과 테이블이다.
종래기술
(후드 팬, 욕실 팬 적용)
본 발명
(후드 팬, 욕실 팬 제거)
성능풍량 [CMH] 145 200±10%
소음 [dBA] 58 이상 48 이하
소비전력 (20층 기준) [W] 4,000 600 이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후드 팬과 욕실 팬을 제거함으로써 실내 소음은 약 10dBA 이상 절감하고, 소비전력을 약 3400W 이상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오히려 성능 풍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각 세대의 후드 사용량 및 욕실 배기량에 따라 배기팬을 자동 비례운전시켜 환기장치의 운전 효율을 높이고, 각 세대의 실내 공기에 대한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각 세대의 배기만큼 배기팬만을 운전해서 전체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각 세대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작업 및 유지보수 작업을 간소화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시스템 장비에 일체형 구조를 적용하고, 정풍량계와 전동식 개폐장치를 배기 동작시에만 배기덕트를 개방하며, 배기 동작이 완료되면 배기덕트를 폐쇄함으로써,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한 굴뚝 효과 및 역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배기관 내부와 건물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라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보상해서 제어함으로써, 환기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기팬의 구동 제어를 최적화하여 배기팬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도 있으며, 친환경적으로 에너지효율이 우수한 환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실내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레인지 후드의 후드 팬 및 욕실 팬 등의 동력식 배기유닛이 제거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각 세대에 레인지 후드의 후드 팬과 욕실 팬을 모두 적용하거나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각 건물에 마련된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20: 환기장치 21: 배기덕트
22: 수직배기관 23: 배기팬
24: 정풍량계 25: 전동식 개폐장치
30: 제어 단말 31: 압력센서
32: 연산부 33: 신호 발생부
34: 통신모듈 35: 전류감지센서
40: 메인 단말 50: 관리 서버
60: 관리자 단말

Claims (11)

  1. 각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와 연결되고 각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상기 제어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된 메인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각 환기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환기장치의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고, 각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조회해서 표시하며, 상기 환기장치의 이상 발생시 관리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장치는 각 세대와 연결되며, 실내 소음의 원인이 되는 레인지 후드의 후드 팬과 욕실 팬을 포함하는 동력식 배기유닛을 제거하고, 실내 공간에서 형성되는 양압에 의해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의 끝단과 연결되고 건물 상부로 인출되는 수직배기관 및
    상기 수직배기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단말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수직배기관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수직배기관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배기팬를 구동하는 모터에 공급되는 부하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 차이에 기초해서 상기 수직배기관 내부의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및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메인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전류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전류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배기팬의 회전수 변화를 검사하며,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는 각 세대의 실내 공간과 상기 배기덕트 내부의 압력차에 따라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일정한 풍량으로 유지하는 정풍량계와
    실내 공기가 이동하는 상기 배기덕트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전동식 개폐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정풍량계와 전동식 개폐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에 의해 구동 또는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은
    각 건물에 설치된 상기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각 제어 단말을 미리 설정된 개수씩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고, 그루핑된 각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제어 단말 중에서 하나로 설정되며,
    상기 관리 서버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각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신되는 원격제어신호를 해당 환기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각 건물의 환기장치를 지역별, 건물별, 호기별로 구분해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 각 메인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각 환기장치의 동작상태를 검사하며, 비정상 동작을 하는 환기장치를 이상 발생 상태로 판단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메인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의하 원격제어 이후에도 비정상 동작 상태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해당 환기장치의 이상 발생 사실을 통지하고,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변경 설정하는 회전수 설정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9. 제1항,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에서,
    (a) 각 제어 단말에서 연결된 환기장치의 배기팬을 초기 구동하는 단계,
    (b) 실내 소음의 원인이 되는 레인지 후드의 후드 팬과 욕실 팬을 포함하는 동력식 배기유닛을 제거하고, 압력센서를 이용해서 수직배기관 내부와 건물 외부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는 단계,
    (c) 복수의 제어 단말 중에서 하나로 설정된 메인 단말에서 각 제어 단말로부터 각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관리 서버에서 각 환기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한 환기장치에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해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
    (e) 전류감지센서를 이용해서 각 환기장치의 배기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부하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 단말에서 상기 전류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수직배기관 내부 및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한 상기 배기팬의 회전수 변화를 검사하여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원격제어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의한 원격 제어 이후에도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해당 환기장치의 이상발생 상태로 판단하고, 해당 환기장치의 수리가 가능하도록 관리자 단말로 해당 환기장치의 이상 발생 사실을 통지하며,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변경 설정하는 회전수 설정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원격제어방법.
KR1020200029261A 2020-03-09 2020-03-09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233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261A KR102333933B1 (ko) 2020-03-09 2020-03-09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261A KR102333933B1 (ko) 2020-03-09 2020-03-09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102A KR20210114102A (ko) 2021-09-23
KR102333933B1 true KR102333933B1 (ko) 2021-12-06

Family

ID=7792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261A Active KR102333933B1 (ko) 2020-03-09 2020-03-09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786A (ko) * 2022-03-02 2023-09-1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 유무 감지기능을 갖는 창틀 장착형 환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9977B (zh) * 2021-12-03 2024-02-20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临界装置用通风系统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KR102478868B1 (ko) * 2022-07-26 2022-12-19 주식회사 에이큐씨 정풍량 전동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중앙집중식 고효율 정정압 환기 시스템
CN118328518A (zh) * 2024-04-24 2024-07-12 浙江五零五建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暖通工程的中央空调控制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10B1 (ko) * 2011-10-06 2012-06-13 이부규 음압을 이용한 옥탑 집중식 통합 배기 시스템
KR101203559B1 (ko) * 2005-09-12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2165A (ja) * 1994-11-29 1996-06-11 Toshiba Corp 換気扇の風量制御装置
JP4412347B2 (ja) 2007-04-24 2010-02-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接続体
KR101016244B1 (ko) 2010-09-14 2011-02-21 백원남 렌지후드 및 욕실 배기팬을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220235B1 (ko) * 2018-12-31 2021-02-26 주식회사 제일테크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559B1 (ko) * 2005-09-12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153810B1 (ko) * 2011-10-06 2012-06-13 이부규 음압을 이용한 옥탑 집중식 통합 배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786A (ko) * 2022-03-02 2023-09-1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 유무 감지기능을 갖는 창틀 장착형 환기 장치
KR102615252B1 (ko) * 2022-03-02 2023-12-1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 유무 감지기능을 갖는 창틀 장착형 환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102A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933B1 (ko)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11512094B (zh) 相对湿度控制系统和方法
KR10229596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05824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1865506B (zh) 一种空调节能系统的监测控制方法
KR20100058983A (ko) 지하 구조물의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764493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381277B2 (ja) 送風制御パターン作成装置
KR20190028402A (ko)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CN102506529B (zh) 一种单级制冷剂系统的控制方法及其优化器
KR100736250B1 (ko)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82890B1 (ko) 주방후드와 환기장치의 연동 제어 장치 및 연동 제어 방법
KR20080031777A (ko)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US6953395B2 (en) Ventilation system for underground structure
CN101493690B (zh) 智能型监控管理系统
KR20110116672A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공동 주택용 환기 시스템
KR10080526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05098573A (ja) 換気装置
KR20120051123A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환경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241923A (ja) 集合住宅用環境制御システム
KR100540976B1 (ko) 건물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79484A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9120422A (ja) 空調管理システム
KR101898276B1 (ko) 자가 제어기능을 갖는 지능형 빌딩자동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060116790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