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3229B1 -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229B1
KR102333229B1 KR1020200087078A KR20200087078A KR102333229B1 KR 102333229 B1 KR102333229 B1 KR 102333229B1 KR 1020200087078 A KR1020200087078 A KR 1020200087078A KR 20200087078 A KR20200087078 A KR 20200087078A KR 102333229 B1 KR102333229 B1 KR 10233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hole
unit
gear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휘
김성배
김성욱
Original Assignee
김준휘
김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휘, 김기창 filed Critical 김준휘
Priority to KR1020200087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0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0Piercing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10Drives for forging presses
    • B21J9/18Drives for forging presses operated by making use of gearing mechanisms, e.g. levers, spindles, crankshafts, eccentrics, toggle-levers, rack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4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가공다이스부는 막대형 소재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소재이동통로, 소재이동통로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공홈 및 가공홈 상부에 위치하며 가공홈과 연결된 핀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가공다이스부와 공간부를 형성하며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송칼은 공간부 상에 배치되며, 소재이동통로의 출구 쪽에서 가공홈 입구 쪽으로 이동하며 소재를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 조각을 가공홈 입구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펀치부는 가공다이스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우징에 부착되는 몸체, 몸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이동부, 이동부 일단에서 돌출되어 이송칼이 절단한 소재 조각을 가공홈으로 삽입시키면서 헤드를 형성시켜 단조볼트핀으로 가공하기 위한 삽입펀치, 및 이동부 일단에서 돌출되어 단조볼트핀을 가공홈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펀치를 포함하며, 핀부는 핀홀을 통해 돌출되어 가공홈에 삽입된 소재 조각을 관통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Device for producing forged bolt pin with hole}
본 발명은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를 단조하여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조볼트핀에 홀을 형성시키기 위해 보르방 또는 드릴을 이용해 왔다. 단조볼트핀을 고정한 후에, 드릴헤드를 단조볼트핀으로 이동시키면서, 드릴비트와 접촉되는 단조볼트핀의 면을 회전하는 드릴비트로 파서 홀을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홀을 파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조볼트핀의 홀이 드릴비트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조볼트핀에 형성된 홀의 치수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앞이 뾰족한 드릴비트의 구조적 모양의 한계로 인해 드릴비트가 들어가는 입구 쪽에는 치수가 맞으나 그 반대쪽에는 치수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단조볼트핀을 보르방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단조볼트핀을 고정하는 작업 및 작업 완료된 단조볼트핀을 분리시키는 작업 등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10-1937045, 2019년 1월 9일 공고)는 단조볼트핀에 홀을 자동으로 형성시키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등록특허(10-1937045, 2019년 1월 9일 공고)의 장치는 단조볼트핀 자제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생산된 단조볼트핀을 삽입하여 홀이 형성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막대형 소재로부터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면서 단조볼트핀에 홀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조볼트핀을 가열하지 않고 단조볼트핀에 홀을 형성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막대형 소재를 단조하여 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막대형 소재에 홀을 형성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따른 과제는, 하나의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으로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는, 막대형 소재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소재이동통로, 상기 소재이동통로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공홈 및 상기 가공홈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공홈과 연결된 핀홀이 형성된 가공다이스부, 상기 가공다이스부와 공간부를 형성하며 이격되게 배치된 하우징, 상기 공간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소재이동통로의 출구 쪽에서 가공홈 입구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소재를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 조각을 상기 가공홈 입구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칼, 상기 가공다이스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소재 조각을 상기 가공홈으로 삽입시키면서 헤드를 형성시켜 단조볼트핀으로 가공하기 위한 삽입펀치, 및 상기 이동부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조볼트핀을 상기 가공홈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펀치를 포함하는 펀치부, 및 상기 핀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가공홈에 삽입된 소재 조각을 관통하여 홀을 형성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다이스부에는, 상기 가공홈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공홈과 연결된 제거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 형성으로 발생된 상기 소재 조각의 스크랩은 상기 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거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펀치는, 상기 몸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헤드를 쳐서 상기 헤드를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출펀치는, 상기 단조볼트핀과 자석결합되기 위한 자석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는, 상기 막대형 소재를 이동시켜 상기 소재이동통로의 출구로 배출시키는 소재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는, 상기 소재 공급부를 회전시키는 공급 제어부, 상기 이송칼을 이동시키는 절단 제어부, 상기 펀치부를 이동시키는 펀치 제어부, 상기 핀부의 핀을 이동시키는 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는, 상기 핀부의 핀을 상기 가공홈으로 삽입되게 이동시키는 핀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일측은 상기 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핀구동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핀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구동부는, 상기 가공다이스부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대, 중심부가 상기 고정대에 힌지결합되는 핀구동축, 및 상기 가공다이스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핀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는, 상기 핀구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제어부는, 상기 핀구동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회전하며 상기 핀구동축을 움직이게 하는 캠, 일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체, 일측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링기어가 형성되고, 타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제2 회전체, 및 내부치가 상기 제2 회전체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구동축은 상기 캠 외주면에 접촉되는 베어링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력을 상기 핀 제어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좌측 구동풀리, 상기 좌측 피동풀리의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벨트, 상기 좌측 벨트가 전달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좌측 피동풀리, 일측이 상기 좌측 피동풀리에 결합된 전달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된 우측 구동풀리, 상기 우측 구동풀리의 동력을 전달하는 우측 벨트, 상기 우측 벨트가 전달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우측 피동풀리, 및 일측이 상기 우측 피동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링기어의 외부치와 물리는 좌측 구동기어가 형성되고, 및 상기 좌측 구동기어 및 상기 우측 피동풀리 사이에 우측 구동기어가 형성된 중심회전축, 상기 중심회전축 타측에 결합되는 주회전체, 상기 중심회전축의 좌측 구동기어 하부와 맞물리는 좌측하부기어, 상기 중심회전축의 우측 구동기어 하부와 맞물리는 우측하부기어, 및 상기 중심회전축의 우측 구동기어 상부와 맞물리는 우측상부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에 의하면, 막대형 소재를 절단하면서 동시에 절단된 소재 조각을 가공홈으로 이송하여 소재 조각을 단조하고, 소재 조각의 몸체에 홀을 형성함으로서, 막대형 소재로부터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면서 단조볼트핀에 홀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단조볼트핀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단조볼트핀에 홀을 자동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생성된 단조볼트핀에 홀을 가공하기 위해 다른 장치로 옮길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을 단축되고 생산 단가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가공다이스부의 가공홈에 소재 조각을 삽입하여 헤드를 형성시키면서, 가공홈 상부에 위치하는 핀으로 소재 조각에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막대형 소재를 단조하여 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막대형 소재에 홀을 형성할 수 있고,
핀구동축, 고정대 및 캠의 상호작용으로 중력을 이용하여 핀부를 강하게 밀어 홀을 가공함으로써, 단조볼트핀을 가열하지 않고 단조볼트핀에 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삽입펀치 및 가공홈이 핀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공홀이 형성됨으로써 오차 없이 정확한 위치에 홀을 가공할 수 있고,
동력 전달부, 공급 제어부, 절단 제어부, 펀치 제어부 및 핀 제어부의 유기적 연결관계로 하나의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으로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 제어부 및 이송칼 부분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다이스부 부분을 중심으로 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다이스부 부분을 중심으로 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 제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핀구동부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핀구동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1)는 전력 공급부(15), 모터(17), 동력 전달부(20), 공급 제어부(30), 소재 공급부(35), 절단 제어부(40), 이송칼(45), 펀치 제어부(50), 펀치부(55), 핀 제어부(60), 핀구동부(70) 및 핀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15)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모터(17)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모터(17)는 동력 전달부(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20)는 모터(17)의 회전력을 분배하여 공급 제어부(30), 전단제어부(40), 펀치 제어부(50) 및 핀 제어부(60)로 전달하고, 공급 제어부(30), 전단제어부(40), 펀치 제어부(50) 및 핀 제어부(60)가 동기화되어 작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 제어부(30)는 소재 공급부(35)가 소재를 이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절단 제어부(40)는 이송칼(45)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절단 제어부(40)는 이송칼(45)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펀치 제어부(50)는 펀치부(55)를 이동시킬 수 있다. 펀치 제어부(50)는 펀치부(55)가 수평 방향을 왕복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수평 방향 왕복운동 한번 걸러 한 번씩 수직 왕복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방향 왕복운동의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마다 수직 왕복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핀 제어부(60)는 핀구동부(7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1)는 하우징(11), 가공다이스부(13), 바닥부(19), 이송칼(45), 펀치부(55) 및 핀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9)는 일반적으로 지면상에 놓여질 수 있다. 하우징(11) 및 가공다이스부(13)는 바닥부(19)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20)는 좌측 구동풀리(21), 좌측 벨트(211), 좌측 피동풀리(22), 전달 회전축(221), 우측 구동풀리(223), 우측벨트(225), 우측 피동풀리(23), 중심회전축(25), 우측하부기어(233), 주회전체(27), 우측상부기어(239), 좌측하부기어(28), 캠(281) 및 캠(31)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구동풀리(21)는 모터(17)에 결합되어 모터(17)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좌측 벨트(211)는 좌측 구동풀리(21)의 동력을 좌측 피동풀리(22)에 전달할 수 있다.
좌측 피동풀리(22)는 좌측 벨트(211)가 전달하는 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달 회전축(221)은 일단에 좌측 피동풀리(22)가 결합되고, 타측 우측 구동풀리(223)가 결합되며, 좌측 피동풀리(22)의 회전에 따라 우측 구동풀리(2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우측 구동풀리(223)는 전달 회전축(2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우측 벨트(225)는 우측 구동풀리(223)의 동력을 우측 피동풀리(23)에 전달할 수 있다.
우측 피동풀리(23)는 우측 벨트(225)가 전달하는 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중심회전축(25)은 일측이 우측 피동풀리(23)에 결합되고, 타측이 주회전체(27)에 결합되며, 링기어(67)의 외부치와 물리는 좌측 구동기어(251)가 형성되고, 좌측 구동기어(251) 및 우측 피동풀리(23) 사이에 우측 구동기어(231)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하부기어(233)는 우측 구동기어(231) 하부와 맞물려 우측 구동기어(2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우측상부기어(239)는 우측 구동기어(231) 상부와 맞물려 우측 구동기어(2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주회전체(27)는 중심회전축(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우측 피동풀리(23)와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좌측하부기어(28)는 좌측 구동기어(251) 하부와 맞물려 좌측 구동기어(2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 제어부 및 이송칼 부분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다이스부 부분을 중심으로 한 정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다이스부 부분을 중심으로 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공다이스부(13)는 막대형 소재(A)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소재이동통로(131), 소재이동통로(131)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공홈(133), 및 가공홈(133) 상부에 위치하며 가공홈(133)과 연결된 핀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가공다이스부(13)는 가공홈(133) 하부에 위치하며 가공홈(133)과 연결된 제거홀(1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홀(137)을 통해 소재의 홀 형성으로 발생된 스크랩이 가공홈(133)에서 제거될 수 있다.
소재 공급부(35)는 소재를 사전에 설정된 길이 단위 만큼 소재이동통로(131) 출구 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에 설정된 길이 단위는 생성하고자 하는 단조볼트핀의 길이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소재 공급부(35)는 상부이송롤러(36), 하부이송롤러(37) 및 보조롤러(38)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제어부(30)는 하부이송롤러(37)의 회전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길이에 따라 소재(A)가 이동되는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공급 제어부(30)는 회전조절대(33) 및 회전조절기어(3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조절대(33)는 동력 전달부(20)의 우측하부기어(233) 일면에 연결되어 우측하부기어(233)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며, 회전조절기어(34)를 당겨 일정 회전 각도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조절기어(34)는 하부이송롤러(37)와 축결합 또는 면결합되어, 자신의 회전에 따라 하부이송롤러(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캠(31)은 기어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조절대(33)가 회전조절기어(34)를 당기는 힘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하우징(11)은 가공다이스부(13)와 공간부(111)를 형성하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칼(45)은 공간부(111) 상에 배치되며, 소재이동통로(131)의 출구 쪽에서 가공홈(133) 입구 쪽으로 이동하면 소재(A)를 절단하면서 절단된 소재 조각(A1)을 가공홈(133) 입구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절단 제어부(40)는 평면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제어부(40)는 주동체(41), 종동체(43) 및 탄성체(44)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체(41)는 상부가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 사이를 움직이는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주동체(41)가 제2 지점(P2)에서 제1 지점(P1)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종동체(43)는 지지되는 주동체(41) 표면의 경로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송칼(45)은 소재이동통로(131)의 출구 쪽에서 가공홈(133) 입구 쪽으로 이동하면서 소재(A)를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 조각(A1)을 가공홈(133) 입구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주동체(41)가 제1 지점(P1)에서 제2 지점(P2)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이송칼(45)은 가공홈(133) 입구쪽에서 소재이동통로(131)의 출구쪽으로 원위치할 수 있다.
주동체(41)는 동력 전달부(20)의 좌측하부기어(38)의 일면에 결합되어, 좌측하부기어(38)의 회전에 따라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 사이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 제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펀치부(55)는 가공다이스부(13)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우징(11)에 부착되는 몸체(551), 몸체(55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이동부(553), 이동부(553) 전면에서 돌출되어 소재 조각(A1)을 가공홈(133)으로 삽입시키면서 헤드를 형성시켜 단조볼트핀으로 가공하기 위한 삽입펀치(555), 및 상기 이동부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조볼트핀을 가공홈(133)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펀치(55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펀치(557)는 몸체(551)의 수평이동 및 이동부(553)의 수직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삽입펀치(555)가 형성시킨 헤드를 쳐서 평탄하게 할 수 있다.
배출 펀치(557)는 단조볼트핀과 자석결합되기 위한 자석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펀치(557)가 가공다이스부(13)로부터 이격될 때, 단조볼트핀을 배출 펀치(557)와 자석결합에 의해 가공홈(133)으로부터 배출되고, 공간부(111) 상에 도달하면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이동부(553)는 몸체(551)의 수평 방향 왕복운동 한번 걸러 한 번씩 수직 왕복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551)의 수평 방향 왕복운동의 짝수 번째 마다 이동부(553)가 수식 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펀치(555) 및 배출펀치(557)가 교번적으로 가공홈(133)으로 이동할 수 있다.
펀치 제어부(50)는 지지대(51), 수직구동축(511), 고정대(513), 수직제어대(52), 연결대(521) 및 수평구동축(5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51)는 상부는 이동부(553) 하부에 연결되어 이동부(553)를 지지할 수 있고, 하부는 수직구동축(511)에 연결되어 수직구동축(511)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수직구동축(511)은 중심부가 고정대(513)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대(513)를 축으로 상하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고정대(531)는 바닥부(19)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20)는 좌측하부기어(28)에 연결된 캠(281) 및 중심회전축(25)과 축결합되며 하우징(55)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회전체(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제어대(52)는 일측은 동력 전달부(20)의 좌측하부기어(28)에 연결된 캠(281)에 의해 수평왕복운동할 수 있다.
연결대(521)는 일측은 수직제어대(52)에 연결되고 타측은 수직구동측(511)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제어대(52)는 좌측하부기어(28) 반대 방향 이동시에 하부로 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다. 수직제어대(52)가 좌측하부기어(28) 쪽으로 이동하면, 수직구동축(511) 중 지지대(51)와 연결된 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펀치부(55)의 이동부(553)가 상부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수직제어대(52)가 좌측하부기어(28) 반대 방향 쪽으로 이동하면, 수직구동축(511) 중 지지대(51)와 연결된 부분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펀치부(55)의 이동부(553)가 하부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펀치 제어부(50)는 동력 전달부(20)의 우측하부기어(233)에 연결된 캠(31)에 의해 수평왕복운동하는 수직제어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구동축(53)은 일측은 동력 전달부(20)의 중앙회전체(237)의 외주면을 감싸고 타측은 펀치부(55)의 몸체(551)에 연결될 수 있다. 수평구동축(53)은 중앙회전체(237)의 회전에 따라 수평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몸체(551)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중앙회전체(327)는 중심회전축(25)과 편향되게 축결합되어, 중앙회전체(327)는 회전에 따라 수평구동축(53)이 수평왕복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회전체(237)는 수평구동축(53)에 힌지결합될 수 있고, 수평구동축(53)은 몸체(551)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핀구동부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핀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핀부(75)는 핀(71) 및 핀홀더(77)를 포함할 수 있다. 핀(71)은 핀홀(135)을 통해 돌출되어 가공홈(133)에 삽입된 소재 조각(A1)을 관통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다. 핀홀더(77)는 일측은 핀(71)에 결합되고, 타측은 핀구동부(7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핀구동부(70)는 고정대(73), 핀구동축(75) 및 핀가이드(79)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73)는 가공다이스부(13) 상부에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다. 핀구동축(75)은 중심부가 고정대(73)에 힌지결합될 수 있고, 일측은 핀홀더(77)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핀가이드(79)는 가공다이스부(13) 상부에 결합되고, 핀홀더(77)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핀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핀구동축(75)은 고정대(73)를 축으로 상하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고, 핀구동축(75)의 회전 운동에 따라 핀홀더(77)는 핀가이드(79)에 가이드되어, 상하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핀홀더(77)가 하부로 이동한 경우에는, 핀(71)은 핀홀(135)을 통해 돌출되어 가공홈(133)에 삽입되게 될 수 있다.
핀 제어부(60)는 동력 전달부(17)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핀구동축(75)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핀 제어부(60)는 캠(61), 제1 회전부(63). 제2 회전부(65) 및 링기어(67)를 포함할 수 있다. 캠(61)은 핀구동축(75) 일측에 배치되고 제1 회전부(63)에 결합되며, 제1 회전부(6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핀구동축(75)을 상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핀구동축(75)은 캠(61) 외주면에 접촉되는 베어링 롤러(7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63)는 샤프트(631), 중심부가 샤프트(631) 일측에 결합되고 일면이 캠(61)과 면 결합된 회전체(633) 및 샤프트(631) 일측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6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부(65)는 샤프트(651), 샤프트(651) 일측에 제1 회전부(63)의 피니언 기어(635)와 맞물리는 링기어(653)가 형성되고, 샤프트(641) 타측에 피니언 기어(655)를 포함할 수 있다.
링기어(67)는 내부치가 제2 회전부(65)의 피니언 기어(655)와 맞물릴 수 있고, 외부치과 중심회전축(25)의 좌측 구동기어(251) 상부와 맞물릴 수 있다. 좌측 구동기어(251)가 회전하면, 회전력이 제2 회전부(65)를 통해 제1 회전부(63)로 전달되고, 제1 회전부(63)는 캠(61)을 회전시키고, 캠(61)은 핀구동축(75) 일측을 고정대(73)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회전 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핀(71)은 핀홀(135)을 통해 돌출되어 가공홈(133)에 삽입된 소재 조각(A1)을 관통하여 홀을 형성하면서 제거홀(137)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홀 형성으로 발생된 상기 소재 조각의 스크랩은 핀(71)의 이동에 따라 제거홀(137)로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1 전력 공급부 15
모터 17 동력 전달부 20
공급 제어부 30 소재 공급부 35
절단 제어부 40 이송칼 45
펀치 제어부 50 펀치부 55
핀 제어부 60 핀구동부 70
핀부 75

Claims (8)

  1. 막대형 소재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소재이동통로, 상기 소재이동통로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공홈 및 상기 가공홈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공홈과 연결된 핀홀이 형성된 가공다이스부;
    상기 가공다이스부와 공간부를 형성하며 이격되게 배치된 하우징;
    상기 공간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소재이동통로의 출구 쪽에서 가공홈 입구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소재를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 조각을 상기 가공홈 입구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칼;
    상기 가공다이스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소재 조각을 상기 가공홈으로 삽입시키면서 헤드를 형성시켜 단조볼트핀으로 가공하기 위한 삽입펀치, 및 상기 이동부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조볼트핀을 상기 가공홈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펀치를 포함하는 펀치부; 및
    상기 핀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가공홈에 삽입된 소재 조각을 관통하여 홀을 형성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다이스부에는,
    상기 가공홈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공홈과 연결된 제거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 형성으로 발생된 상기 소재 조각의 스크랩은 상기 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거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의 핀을 상기 가공홈으로 삽입되게 이동시키는 핀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일측은 상기 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핀구동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핀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핀구동부는,
    상기 가공다이스부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대;
    중심부가 상기 고정대에 힌지결합되고, 일측은 상기 핀홀더와 힌지결합되는 핀구동축; 및
    상기 가공다이스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핀구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핀 제어부는,
    상기 핀구동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회전하며 상기 핀구동축을 움직이게 하는 캠;
    일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체;
    일측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링기어가 형성되고, 타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제2 회전체; 및
    내부치가 상기 제2 회전체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력을 상기 핀 제어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좌측 구동풀리;
    상기 좌측 구동풀리의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벨트;
    상기 좌측 벨트가 전달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좌측 피동풀리;
    일측이 상기 좌측 피동풀리에 결합된 전달 회전축;
    상기 전달 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된 우측 구동풀리;
    상기 우측 구동풀리의 동력을 전달하는 우측 벨트;
    상기 우측 벨트가 전달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우측 피동풀리; 및
    일측이 상기 우측 피동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링기어의 외부치와 물리는 좌측 구동기어가 형성되고, 및 상기 좌측 구동기어 및 상기 우측 피동풀리 사이에 우측 구동기어가 형성된 중심회전축;
    상기 중심회전축 타측에 결합되는 주회전체;
    상기 중심회전축의 우측 구동기어 상부와 맞물리는 우측상부기어;
    상기 중심회전축의 우측 구동기어 하부와 맞물리는 우측하부기어; 및
    상기 중심회전축의 좌측 구동기어 하부와 맞물리는 좌측하부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KR1020200087078A 2020-07-14 2020-07-14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Active KR102333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78A KR102333229B1 (ko) 2020-07-14 2020-07-14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78A KR102333229B1 (ko) 2020-07-14 2020-07-14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229B1 true KR102333229B1 (ko) 2021-12-01

Family

ID=7893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078A Active KR102333229B1 (ko) 2020-07-14 2020-07-14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2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304A (ko) * 2003-07-10 2003-07-23 강근수 헤딩머신에 의한 슬리브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304A (ko) * 2003-07-10 2003-07-23 강근수 헤딩머신에 의한 슬리브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81182B (zh) 一种螺母柱的自动化钻孔攻牙一体机的工作方法
CN111687364A (zh) 一种滚针毛坯成型设备以及应用该设备的毛坯成型工艺
CN106584413A (zh) 曲面定位画线仪
KR20090090226A (ko) 펨 너트의 내경이 용이하게 가공되는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0421710B1 (ko) 양방향 단조 성형장치
JPH08168908A (ja) 深穴加工のための切削液供給装置および方法
CN114310322A (zh) 一种用于电子产品的打孔打磨设备
KR102333229B1 (ko) 홀이 형성된 단조볼트핀을 생성하는 장치
CN115141686A (zh) 一种全自动刨底打孔穿芯机
CN213970162U (zh) 一种用于tp钻孔攻牙机的自动送料装置
CN210435284U (zh) 一种齿轮锻造冲孔扩孔一体机
CN111360287A (zh) 一种全自动定位打孔装置及其工作方法
US2329325A (en) Machine for reshaping bottle caps
CN217651170U (zh) 一种多工位蜡烛刨底打孔机构
KR20190049230A (ko) 호스 체결밴드용 밴딩 및 스크루 체결장치
CN209061997U (zh) 一种冲床进料输送设备
CN219852247U (zh) 一种模具开孔设备
KR200488127Y1 (ko) 포머 단조기의 프레임 구조
CN110948101A (zh) 一种硬质合金刀头麻花钻自动焊接机
US3700342A (en) Tool infeeding mechanism
JPH0767594B2 (ja) 締結類部品や電子部品等の鍛造成型装置
CN206643456U (zh) 一种易于操作的闭门器用齿条柱塞铣齿装置
KR200260151Y1 (ko) 파이프 챔퍼링머신
JP2017019026A (ja) タッピング装置
CN210476449U (zh) 一种花键过渡套端面倒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