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1449B1 -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449B1
KR102331449B1 KR1020210036171A KR20210036171A KR102331449B1 KR 102331449 B1 KR102331449 B1 KR 102331449B1 KR 1020210036171 A KR1020210036171 A KR 1020210036171A KR 20210036171 A KR20210036171 A KR 20210036171A KR 102331449 B1 KR102331449 B1 KR 10233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tep process
pests
prepared
sustai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진
Original Assignee
황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진 filed Critical 황대진
Priority to KR102021003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4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성이 강한 농약이 포함되지 않고, 토양에 존재하는 해충 및 유해 세균을 장기간 방제할 수 있도록 살생물 물질의 유효성분이 천천히 방출될 수 있는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본원은 토양에 발생된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농약 살생물 물질에 대한 캡슐링 방법에 의해 토양으로부터의 환경 친화적인 살생물 물질이 천천히 방출되도록 하여 토양 및 수질환경을 보호하면서 병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토양 및 수질환경 보호는 물론 최소의 인력으로 장기간 병해충 방제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지금까지 토양에 발생된 병해충의 방제하기 위하여 고독성의 농약을 이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야 된다는 과제인식을 갖고 연구에 이르게 되었는바, 본원 발명자는 희석충진제를 100 중량부로 기준으로 할 때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살생물을 1.5 중량부 내지는 25 중량부와 피복 물질이 3.5 내지는 55 중량부가 포함된 토양 살생물질(혼합물질)이 만들고, 이 혼합물질을 캡슐화시켜 서방형 토양 살생제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low-release biocidal material that does not contain pesticides}
본 발명은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관련 기술로서, 독성이 강한 농약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전제되고, 토양에 존재하는 해충 및 유해 세균을 장기간 방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살생제 유효성분이 서서히 방출될 수 있는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제조방법 관련 기술이다.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보고된 토양 해충은 수 만종에 달하며 국내 농진청 자료에 따르면 땅속은 먹이조건이 풍부하고 외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은신처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가 적어서 해충들의 서식장소로 적합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국민 식생활 향상과 더불어 신선한 채소의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새로운 작형기술 개발과 재배기술의 향상으로 많은 종류의 채소가 연중 계속 재배/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시설 재배지 내에서 뿐만 아니라 노지에서도 그 발생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여러 요인들이 토양 해충류의 발생량과 피해가 계속 확산되는 추세이며토양해충은 대부분의 생육기간을 토양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다른 해충류에 비하여 방제가 어려운 해충인바, 예를 들어 토양 해충 중 고자리파리 해충은 주로 온도가 낮은 지역에서 발생하는데 15~22 ℃ 정도가 생활 적온로서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4월 중순부터 6월 상순 9월 하순 내지 10월 상순까지 연장되는 고자리파리의 성충은 유기물이 부패하거나 가축의 분비물이 많은 축사 부근의 밭에 냄새에 끌려 성충이 모여들어 알을 낳게 되며 보통 한 마리가 50~70개 정도의 알을 낳고 주로 인가 근처의 비닐포장재배에서 피해가 심한바, 가을에는 쪽파에 피해가 심하고, 양파 모판이나 마늘에 피해가 나타난다.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뿌리 부위인 땅속을 향해 이동하여 뿌리와 엽초 기부 및 인경 부위에 피해를 주는데 피해를 심하게 받은 기주 식물은 아래 잎부터 노랗게 변하면서 기주가 시들고 쓰러지며 말라 죽는다.
고자리파리는 우리나라에서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 모두 월동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피해를 주는 애벌레는 마늘이 파종된 10월 상순부터 이듬해 수확기 때까지 계속적으로 포장에서 발생하고 특히 3월 상·중순경에 발생이 많고, 고자리파리는 토양해충이기 때문에 약제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며, 마늘이 파종된 후 월동 전에도 애벌레가 계속적으로 식물체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파종 전 토양처리에 의한 방제가 꼭 필요하며 월동 후에는 애벌레 발생량이 3월 중순에 가장 많으므로 애벌레가 식물체를 가해하기 전인 3월 상순경에 약효가 긴 적용약제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충은 뿌리를 스펀지 상으로 가해하여 작물이 시들어 죽게하는데 토마토, 박과 작물, 가지, 카네이션 등에서 피해가 나타나며 특히 시설 원예작물에 발생이 많은바 특히 시설 내의 오이 등 박과류의 육묘장에서 발생 및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온실 내에서 성충은 4월 중순에 증가하고, 5월 하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여름에는 적어졌다가 가을에 다시 증가하여 9~10월에 발생이 많은데 약제 방제로는 파종 또는 정식 전에 토양살충제를 토양에 혼화처리하여 방제를 하고, 생육 중에 피해가 나타나면 파리류 방제에 효과적인 살충제를 뿌리 부근의 토양이 충분히 젓도록 관주 처리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뿌리응애는 인경의 인피, 인경의 바깥 부위, 인경과 뿌리 사이에서 주로 생존하다가 고온 다습, 알맞은 토양조건 등 환경요인이 적합하면 선충, 고자리파리 유충, 병원균들과 복합 발생 시 급격히 증식되어 심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방류는 작물보호제에 대한 내성이 강해 방제가 어려운 난방제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데 어린 유충일때는 비교적 방제가 잘 되는 편이지만, 노숙 유충(고령충)이 되면 저항성이 증가하여 방제가 어려워지며 이처럼 저항성 문제와 고령충 발생, 세대수 증가에 의해 방제가 어려운 해충은 발생 초기에 밀도를 줄여주는 것이 중요하며, 발생초 1주 간격으로 2~3회 연속적으로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교호살포가 반드시 필요하여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사례에서와 같이 토양에 병해충이 발생하여 채소, 화훼, 특용작물 등 약 100 여종의 작물에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여 농산물의 경제적 가치는 신선도에서 결정되는데 가공 식품과 달리 농산물은 살아있는 신선한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농산물 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는 농산물의 수확 후 유통 또는 저장과정 중 미생물에 의한 농산물의 품질 저하 및 경제적 피해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가장 큰 숙제이다.
농산물의 부패원인은 작물 재배지의 토양원인부터 작물체의 근권이나 작물체 내의 유해 미생물 유입된 상태로 포장되어 감염되며, 이들 부패균들은 농산물의 재배과정 뿐아니라 수확, 선별, 포장, 운송 및 저장, 소비 등 거의 전 과정에서 수량 감소 및 품질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전체 농산물의 10~30% 까지 피해를 주는 것으로 통계 분석되고 있다.
더욱 최근에는 친환경농법으로 고품질의 신선 농식품이라고 홍보하면서 공급되는 농식품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되거나 부패균이 발견되어 지속적인 민원이 발생하며 매스컴에 보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피해정도를 규명하고 부패균의 종류, 생리생태를 파악하는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함에도 현재까지의 작물재배 과정에서 병해충으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독성이 큰 살충제 농약을 토양에 직접 시비함으로서, 농약 오염에 의한 토양 환경오염과 그에 따른 인체 건강상의 피해가 근절되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그동안 토양에서 발생된 병해충으로부터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결과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20-0047784호 기술에서는 나노입자 다공성 담체 및 아마씨 분말액을 식물의 뿌리 또는 잎에 분사하여 식물 뿌리 썩음 방지, 식물 뿌리에 부착된 토양 엉김 방지, 병충해 방지, 곰팡이 번식 방지, 바아러스 살균, 바이러스 번식억제, 잡균 번식억제 및 잡충 번식억제가 이루어지는 나노입자 다공성 담체 및 아마씨 분말로 이루어진 바이러스 병충해 예방 및 식물성장촉진제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18-0069934호에서는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피롤 2~10중량부와, 1,2-다이메틸이미다졸 1~8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질소를 고정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킬레이트(chelate)물질을 만들어 미네랄을 흡수하기 용이하게 하여, 킬레이트화 된 미네랄 성분이 곡식과 식물체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병충해에 강해지므로 화학비료와 농약을 거의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고칼슘 약 알카리성 농산물이 생산되는데 맛 좋고 영양이 풍부해지도록 하는 식물생장 촉진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8-0134060호(A)에서는 희토류 원소 화합물, 키토산 액상, 구연산 분말, 농축미네랄, 미강, 옥수수가루, 제올라이트, 당밀, 복합미생물로 이루어진 희토류 원소 혼합물에 물을 추가혼합시킨 후에 배양단계와 건조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토양 개량제를 제공함으로써 토양에 혼합되는 토양 개량제에 희토류 원소 화합물 및 키토산 액상 등이 함유됨에 따라 토양 개량제의 성분을 포함하는 영양분이 식물에 흡수되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에 대한 병충해로부터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식물의 병충해 예방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식물의 생장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희토류원소를 함유한 토양 개량제의 제조방법 및 그 토양 개량제를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18-0051690호에서는 농작물(또는 나무 등)이 심어져 있는 토양의 근권부에 영양제, 살균제, 살충제 등의 뿌리병충해 방제용 약제를 공급하되, 특히 양측으로 농작물이 심겨진 경우 좌우 간격을 조절해가며 작업성을 높이도록 한 농작물 뿌리병충해 방제용 관주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7-0122700호(A)에서는 중합도 1500 내지 2000, 검화도 95 내지 99.8 % 및 수평균 분자량 50,000 내지 80,000인 생분해성 고분자; 가소제; 가교제;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살균 및 살충효과를 갖는 멀칭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7-0102687호(A)에서는 토양 재배시 농작물의 뿌리에 발생되는 병충해 방제용 관주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약제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약제탱크; 상기 몸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암이 결속되고 그 내측에 약제가 이송되는 호스를 형성되어 있는 주사장치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내부 상단에 연결되어 충격 흡수할 목적의 완충스프링; 및 상기 완충스프링 하단에 간격조절이 자유로운 주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평이랑에 심어져 있는 농작물의 토양 뿌리에 관주(주사)기를 삽입하여 살균/살충제를 적절하게 공급하여 줌으로써 충해를 예찰하여 생육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작물 뿌리병충해 방제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5-0006645호에서는 복어를 수산화칼륨(KOH) 시약에 5~7일 동안 담가 복어액으로 분해시키고 이를 거름망에 걸러 유기물을 제거하며, 유기물이 제거된 복어액에 메탄올을 투입하여 우려낸 후, 아세톤을 투입하여 앙금을 형성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어독을 이용한 선충방제제를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1-0117329호에서는 소나무, 대나무 및 향나무를 포함하는 숯 원료에 소금을 얹은 후, 이를 숯가마에서 가온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회수하여 조목초액을 제조하고, 이를 숙성 및 정제하여 목초액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증기 회수 후, 숯가마를 더 가온하여 숯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숯을 분쇄하여 숯 분말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숯 분말에 목초액을 1: 10~10: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흡착시키는 제 4단계; 상기 목초액이 함유된 숯 분말과 물을 1: 50~100의 비율로 물과 숯 분말을 혼합하는 제 5단계; 및 상기에서 제조된 목초액 1kg 당 매실 50~150g의 비율로 목초액에 매실을 넣은 후, 숙성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공해 농약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1-0034316호에서는 농작물이나 수목 식재를 심는 토양을 산성화시키는 농약성분이나 화학비료성분들을 흡착하여 산성화된 토양을 중화시키고, 토양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흡착하여 중금속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화분의 수분 조절 및 악취와 병충해를 제거할 수 있는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9-0049966호에서는 농작물의 영양공급 및 생육촉진과 병해충예방을 위한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공개번호 2020-019789호(A)에서는 관주 또는 적하 시용 또는 침지 또는 토양 주입에 의해 토양/생장 기질을 처리함으로써, 곤충, 차응애, 선충 등의 유해생물을 방제하는데 매우 적합한 살유해생물 혼합물의 제공을 위한 토양 및 씨앗 시용의 살유해생물 활성 카르복사마이드 유도체 사용 및 처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공개번호 2004-529120호에서는 토양 중 또는 기질의 처리의 모든 용도로 사용 가능한 브롬화 메틸의 대체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는 황 화합물을 이용한 토양 또는 기질의 살균 처리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공개번호 2006-061003호에서는 안전성이나 환경오염 등의 점에서 문제가 많은 토양 살균제나 토양 살충제 등의 약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경비가 드는 토양 가열 장치나 토양 가열 용구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게다가 토양 환경에 좌우되지 않고 안전성, 간편성, 범용성, 작업성 및 저 비용성이 우수한 토양 소독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공개번호 2009-024141호에서는 화학계의 살충제 살균제에 일절 의지하지 않고 농작물의 유기재배를 가능하게 하며 안전 안심의 농작물을 넓게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해충 기피 효과를 가지는 토양 개량재, 발효 비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공개번호 2005-281591호에서는 퇴비에 있어서의 악취의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비료 효과와 살충, 살균, 유해 조수의 기피 효과를 겸비하는 기능성 토양 개량재를 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공개번호 2001-031517호에서는 숯을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토양의 살균 살충 개량 및 작물 성장 촉진에 이용하기 위한 토양의 살균 살충 개량 및 작물 성장 촉진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05-0226902호에서는 황(S)과 복합체의 혼합물을 적용한 화학적으로 흙을 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3-0255144호에서는 로토 틸링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토양을 분쇄하여 분쇄 된 토양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양 압력 살균방법과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2-0144739호에서는 인삼의 생육 발달에 유해한 진균을 제거하는 전자빔을 이용한 고려 인삼 재배용 토양의 살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2-0091123호에서는 농작물에서 곤충 및 기타 식물 해충을 방제하기위한 농업 활동, 해충 방제, 산업, 농업, 임업 등에 적용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08-0149625호에서는 토양 층을지면에서 마이크로파 에너지 적용 영역을 통해 토양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로 향하게 한 다음 토양을 다시 지면으로 분산시키는 수단을 갖는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이용한 토양 살균, 해충 구제, 잡초 제거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04-0082479호에서는 균류, 박테리아, 원생 동물 및 토양 선충과 같은 병원성 유기체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파종 또는 심기 전에 알리신에 의해 병원균으로부터 토양 살균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좁은 국토와 고임금 구조의 열악한 국내 농업환경에서 작물재배 과정에서 토양내부에 병해충이 발생할 경우 상기에 제시된 기술을 적용하여 경제적 피해를 줄이고 농업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고급 농산물을 공급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적용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었다.
본원은 작물 재배 과정 중 병충해 및 미생물로부터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면서 토양 및 수질환경 보호는 물론 최소의 인력으로 장기간 병해충 방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토양 살생제를 소량씩 방출할 수 있는 농업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과제인식을 갖고 시작된 기술이다.
본원은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농약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살생물의 캡슐링 방법에 의해 토양으로부터의 환경 친화적인 살생물 물질이 천천히 방출되도록 하여 토양 및 수질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병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최소의 인력으로 병해충 방제효과를 제공하는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원은 토양으로부터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농약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의 무농약 살생물 물질과 살생물 물질을 희석하기 위한 희석 충진제와 살생물 물질 및 희석 충진제를 코팅하기 위한 피복 물질이 함께 혼합되도록 구성하고, 이 혼합물을 캡슐화 방법에 의해 살생물 물질을 코팅시켜 토양에 천천히 녹아서 약효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캡슐형 서방형 살생물 물질을 이용하여 연작재배의 피해를 방지하는 영농방법을 개발하여 농업경쟁력을 확보하는 기술을 보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대부분의 병해충은 토양에서 유래하므로 농업관련 전문가들은 해마다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되풀이되는 고질적인 연작장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적극적인 토양소독이 필요하다고 주문하고 있는데 연작장해란 같은 종류의 작물을 연이어 계속 재배하므로 토양환경이 악화되고 토양 병해충가 발생하여 작물의 생육이나 수확량, 품질이 불량해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시설재배 농가들의 고민거리라 할 수 있다.
농약업계의 한 방제처방사는 연작장해로 인한 뿌리 혹선충, 무씨스트 선충 등의 해충과 시들음병, 뿌리썩음병, 흑색썩음균핵병 등의 병원균은 토양에 오랜 기간 잠복하면서 지속적으로 작물에 피해를 입히는데 이들 토양 병해충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토양 소독을 철저히 해는 외에 대안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농촌진흥청이 2018년 발표한 국내 시설재배지의 뿌리혹선충 감염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채류 시설재배지의 42 %에서 뿌리혹선충이 발생했으며 작물별로는 딸기의 46 %, 수박의 45 %, 오이의 44 %, 참외의 42 %, 고추의 41 %, 토마토의 31 %가 뿌리혹선충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듯이 토양의 병해충 발생은 작물 재배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양에 발생된 병해충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고독성의 농약류 사용에 의해 토양에서 발생된 병해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독성이 높기 때문에 토양 및 수질환경에 큰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약효물질이 농약살포시 일시에 공급되고 농약살포 후 비가 오거나 물이 공급되면 물과 함께 씻겨나가 빠른 속도로 희석되어 장기간의 병해충 방제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1주일에 2~3회를 반복하며 토양 살생물 물질을 방제해야 함에 따라 주기적인 방제 작업에 의한 많은 인력이 동원되고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원 발명자는 토양에 발생된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농약 살생물 물질에 대한 캡슐링 방법에 의해 토양으로부터의 환경 친화적인 살생물 물질이 천천히 방출되도록 하여 토양 및 수질환경을 보호하면서 병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토양 및 수질환경 보호는 물론 최소의 인력으로 장기간 병해충 방제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지금까지 토양에 발생된 병해충의 방제하기 위하여 고독성의 농약을 이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야 된다는 과제인식을 갖고 연구에 이르게 되었는바, 본원 발명자는 희석충진제를 100 중량부로 기준으로 할 때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살생물을 1.5 중량부 내지는 25 중량부와 피복 물질이 3.5 내지는 55 중량부가 포함된 토양 살생물질(혼합물질)이 만들고, 이 혼합물질을 분무 건조(Spray drying) 방법, 외부 겔화법(Extrusion/external gelation), 에멀젼-내부 겔화법(Emulsification internal gelation), 효소를 이용한 캡슐방법 내지는 캡슐 충진방법 또는 압축 정제(錠劑; Tablet)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얻을 수 있음으로부터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희석 충진제는 살생물 물질의 농도가 높을 경우 병해충으로부터 방제효과가 우수하나, 오히려 고농도의 살생물 물질에 따른 작물의 뿌리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하여 살생물 물질과 반응성이 없는 물질과의 혼합에 따른 희석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상기 희석 충진제는 0.1 ~ 100 ㎛ 크기의 맥반석, 황토석, 감람석(Olivine), 고령토(Kaolin), 메타카올린(metakaolin), 규산 광물(Silica Mineral), 규회석(Wollastonite), 납석(Pyrophyllite), 돌로마이트(Dolomite), 리튬광물(Lithium Minerals), 마그네사이트(Magnesite), 보크사이트(Bauxite), 벤토나이트(Bentonite), 부석(Pumice), 붕산염광물(Borate), 사문석(Serpentine), 산성백토(Acid clay), 산화철(Iron Oxide), 석류석(Garnet), 탄산광물(Carbonate Minerals), 애타풀자이트(Attapulgite), 제올라이트(Zeolite), 세피오라이트(Sepiolite), 연옥(Nephrite), 인회석(Apatite),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장석(Feldspar), 중정석(Barite), 활석(Talc), 규조토(diatomaceous earth), 흑연(Graph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점토광물(Clay Minerals), 지르코늄 광물(Zirconium Minerals), 투어마린(Tourmaine; 전기석), 플라이에쉬(Fly ash),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 진주석(Perlite), 질석(Vermiculite) 중 1종 이상의 분말이 선택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생물 물질은 독성이 강한 농약이 함유되지 않고,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에 발생한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한 살생물 물질은 설폼산암모늄(Ammonium sulfamate), 차염소산나트륨(NaClO, Sodium hypochlorite), 아염소산나트륨(NaClO2, Sodium chlorite), 클로로칼퀴(Calcium hypochlorite), 클로라민-T(Chloramine-T), 황(S)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복 물질은 살생물 물질의 유효성분 배출농도를 줄여 장기간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캡슐링 공정의 피복을 위한 기능과 본원의 기술구성에 의한 희석 충진제 및 살생물 물질을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인더(Binder) 역할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캡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 선택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흡습성이 낮고, 점도가 높지 않아 캡슐화 공정 중 조작이 용이하고, 우수한 유화력과 유화 안정성 및 가공과 저장 중 살생물 물질과 반응성이 적으며, 살생물 물질의 방출억제 및 외부환경으로부터 살생물 물질의 보호와 필름 형성 능력이 우수하며, 경제성이 우수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한 상기 피복물질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아라비아검(Gum arabic), 구아검(Guar gum), 카라기난(Carrageenan), 로커스트 콩검(Locust bean gum, 젤란검(Gellan gum), 단백질, 녹말(Starch), 석고,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밀납(Bees wax), 울 왁스(Wool wax; Lanolin),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폴리프로필렌 왁스(Polypropylene wax), 키토산(Chitosan),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 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리그노세르산(Lignoceric acid), 세로트산(Cerotic acid),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수분산 아크릴 수지(Polyacrylate),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수분산 초산비닐 수지(PVAc, Polyvinyl acetate) 1종 이상의 피복물질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캡슐화 수단 중에서 분무 건조(Spray drying) 방법에 의한 캡슐화 수단은 전반적인 산업에서 미세캡슐화를 하는 상업화된 방법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경제적이며, 그 생산수율도 가장 높다는 이유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캡슐화 방법이다.
분무 건조에 의한 미세캡슐화는 피복물질을 수화시킨 후 대상물질을 분산시키고 이 혼합물을 고온의 chamber로 분무하는 것을 말하며, 피복물질 용액이 분무시스템으로부터 미립화되어 총면적이 증대되면서 열풍공기와의 접촉으로 급속히 증발을 일으키고 매트릭스 또는 다핵성의 미세캡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공정의 장점은 대량화가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연속적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겔화법에 의한 캡슐화 방법은 alginate나 카라기난과 같은 hydrocolloids를 피복물질로 사용하는 캡슐공정 중 가장 오래되고 일반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써, 예를 들명 알긴산나트륨과 같은 피복물질의 수화 콜로이드 수용액에 살생물 물질과 희석 충진제를 혼합하고, 주사기(lab scale)나 extruder(pilot scale)를 통과하여 CaCl2와 같은 gelling 용액에 공급되면 불용성의 알긴산칼슘(Calcium alginate)의 캡슐이 제조된다.
알긴산나트륨(Na-alginate) 수용액에 칼슘이온을 첨가하여 열에 안정한 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칼슘이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alginate 내부로 확산되어 들어가면서 단단한 젤을 형성하게 되며 이 때 캡슐의 크기와 모양은 사용되는 노즐의 직경, 노즐과 CaCl2 용액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무엇보다 캡슐링 과정 중 독성이 강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캡슐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에멀젼-내부 겔화법은 피복물질 용액을 한 방울씩 떨어뜨리는 기존의 외부 젤화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써, 최근에 작물 재배를 위한 토양 내부에 유익균을 제공하기 위한 유익균의 캡슐화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유화(emulsification)와 층분리(phase separation)의 2단계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바 먼저 토양의 유익균을 함유한 hydrocolloid용액을 유화제가 첨가된 유지에 혼합하여 균질화시켜 W/O형 유화액을 제조하고 유화액을 서서히 교반하면서 gelling 용액을 첨가하면 내부 젤화과정을 거쳐 단단한 미세캡슐이 형성되고 oil상과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외부 젤화법에 비해 캡슐의 형태가 일정하고 scale-up이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효소를 이용한 캡슐방법은 유청단백질이나 카제인 등의 단백질계 피복물질의 효소적 젤화를 이용한 캡슐화방법으로 transglutaminase 효소를 이용한 캡슐화 방법이 많이 알려져 있으며 Transglutaminase를 이용한 캡슐링 결과 분무건조 공정에 의해 제조한 캡슐에 비해 토양의 유익균의 보호효과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캡슐 충진방법은 빈 캡슐 공급 장치, 캡슐 분배 장치, 분체 배출 장치, 계량 디스크 메커니즘, 캡슐 충전 밀봉 메커니즘, 상자의 주요 전달 장치 및 전기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 캡슐 충전기를 동원하여 실시할 수 있는바, 피복제가 코팅된 분말을 젤라틴이나 백당을 주원료로 글리세린, 아라비아 고무, 한천, 착색제, 보존제 등이 첨가된 연질캡슐이나 젤라틴, 글리세린, 솔비톨을 원료로 해서 만든 연질캡슐 내부에 살생물 물질과 희석 충진제과 혼합된 분말 내지는 살생물 물질과 희석 충진제의 혼합분말을 충진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압축 정제(錠劑; Tablet) 방법은 살생물 물질의 유효성분에 부형제인 희석충진제와 피복제가 혼합된 분말을 압축 성형방법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일정한 정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원에서 살생물 물질 유효성분이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서방형 토양 살생물이 서시히 방출시키기 위한 수단은 재배대상 작물에 따라서 토양에 균일한 살생물 물질을 균등하게 제공하거나 또는 영농 프로그램 수확량 계획물량에 따라 적합한 캡슐화 수단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고 살생물 물질 및 피복재의 종류와 토양에 발생된 병해충의 상황에 따라 캡슐링 방법을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원 기술은 작물 재배 과정 중 재배지 토양에 병해충이 발생할 경우 토양 환경이 악화되고, 작물의 생육이나 수확량, 품질이 불량해지는 현상으로 매년 시설재배 농가들에게 많은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음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어쩔수 없이 독성이 매우 높은 농약으로 토양의 병해충을 방제하여 토양 및 수질환경과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큰 문제점이 있으며, 병해충이 발생할 때마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차례 방제를 해야 함에 따라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어 농가의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근본적 문제점이 있어 왔는바, 본원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고독성 농약이 구성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살생물 물질을 캡슐링하여 살생물의 유효성분이 토양으로부터 천천히 장기간 방출될 수 있는 기술구성으로 인하여 토양에 발생된 병충해 및 미생물로부터의 농작물 피해를 줄이면서 토양 및 수질 환경 보호는 물론 최소의 인력으로 장기간 동안 병해충 방제를 위한 기능을 발휘하여 작물의 연작 재배에 따른 토양의 병해충 피해를 줄이면서 장기간 고품질의 농산물을 다수확 하는데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내용을 실시예로 기재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 예 1
희석 충진제로 평균 50 ㎛ 이하 크기의 돌로마이트(백운석) 분말((주)대원도재)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살생물 물질로 클로라민-T(삼전순약) 1.5 중량부와 알긴산나트륨(삼전순약) 3.5 중량부로 측량하고, 교반하면서 물을 공급하여 클로라민-T와 알긴산나트륨을 완전히 용해하고, 이 용액을 교반하면서 1/10로 희석된 염화칼슘((주)삼전순약, CaCl2·2H2O)을 공급하여 불용성의 알긴산칼슘 피복물질을 형성시키고, 100℃의 드라이오븐에서 건조하여 외부 겔화법에 의해 캡슐링된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6년간 비닐하우스에서 딸기를 연작재배한 재배지 토양에 10중량 %로 희석하고, 15일 간격으로 총 4회 클로라민-T의 함량 변화를 측정 확인하였으며, 딸기의 수확량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2
희석 충진제로 평균 20 ㎛ 이하 크기의 4A-제올라이트(Zeolite, ㈜제오빌더) 분말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살생물 물질로 아염소산나트륨 분말((주)대명케미칼) 6.5 중량부와 피복물질로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삼전순약) 15 중량부를 측량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희석 충진제와 살생물 물질 및 피복물질이 섞여있는 혼합물질을 준비하고 혼합물질을 인터파크(INTERPARK)에서 구입한 알약 타정기를 이용하여 압축 정제방법에 의한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7년간 비닐하우스에서 오이를 연작한 재배지 토양에 5.0중량 %로 희석하고, 15일 간격으로 총 4회 이산화염소(ClO2)의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오이의 수확량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3
희석 충진제로 평균 100 ㎛ 이하 크기의 진주석(Perlite, ㈜경동) 분말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살생물 물질로 클로로칼키 분말((주)청산켐텍) 25 중량부와 피복물질로 밀납(Bees wax. INTERPARK) 30 중량부를 측량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희석 충진제와 살생물 물질 및 피복물질이 섞여있는 혼합물질을 준비하고 혼합물질을 인터파크(INTERPARK)에서 구입한 알약 타정기를 이용하여 압축 정제방법에 의한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제조하고 제조된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5년간 비닐하우스에서 고추를 연작한 재배지 토양에 3.0 중량 %로 희석하고, 15일 간격으로 총 4회 이산화염소(ClO2)의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고추 수확량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4
희석 충진제로 평균 10 ㎛ 이하 크기의 고령토(Kaolin, ㈜낙우산업) 분말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살생물 물질로 12 % 차염소산나트륨 용액((주)대명케미칼) 30 중량부와 피복물질로 수성아크릴에멀젼수지((주)영진텍스켐) 55 중량부를 측량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희석 충진제와 살생물 물질 및 피복물질이 섞여있는 물로 희석된 수용성 혼합물질을 준비하고 물로 희석된 수용성 혼합물질을 Spraying Systems Co.의 스프레이드라이어(Model 032)에 의해 분무 건조방법에 의한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제조하고 제조된 서방형 토양 살생물 물질을 6년간 비닐하우스에서 딸기를 연작한 재배지 토양에 2.5 중량 %로 희석하고, 15일 간격으로 총 4회 이산화염소(ClO2)의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딸기 수확량을 확인하였다.
비교 예 1~4
피복물질이 포함되지 않고, 캡슐링(Capsuling) 내지는 압축 정제(錠劑; Tablet) 방법이 동원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부분은 실시 예 1~4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비교실험하였다.
상기 비교 예 1~4 및 실시 예 1~4에 의해 수행된 토양을 대상으로 살생물 물질의 서방형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1리터 폴리에틸렌 용기에 각각의 토양 5g을 정확히 취하고, 증류수 500 ml를 공급한 후 정확히 5분간 진탕한 다음 여과하여 각각의 시험법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작물을 재배하는 과정 중 작물에 수분 공급이 필요로 할 때 토양에 물을 공급하였으며, 이 때 비교 예 1~4와 실시 예 1~4에 동일한 방법으로 일정량의 물을 토양에 공급하였다.
살생물 물질에 대한 시험항목 중 클로라민-T(C7H7ClNNaO2S·3H2O)의 함량은 클로라민-T 시험법에 의해 수행하였으며, 아염소산나트륨에 해당되는 ClO2의 함량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 공전 중 이산화염소제제 시헙방법에 의해 수행하고, 차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과 클로로칼퀴(Calcium hypochlorite)에 해당되는 ClO 함량은 식약처에서 개발한 식품 중 과산화수소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분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상기 딸기, 오이, 고추에 대한 수확량은 200평당 1일 평균 수확량으로 확인하였다.
비교 예 1~4 및 실시 예 1~4의 실험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살생물 물질의 함량 1일 평균 수확량/200평
당일 15일
결과
30일
경과
45일
경과
60일
결과
딸기
(kg)
오이
(kg)
고추
(kg)
실시 예 1
(클로라민-T)
45
ppm
43
ppm
39
ppm
34
ppm
31
ppm
127 - -
실시 예 2
(ClO2)
87
ppm
84
ppm
76
ppm
70
ppm
63
ppm
- 198 -
실시 예 3
(ClO)
136
ppm
121
ppm
116
ppm
108
ppm
97
ppm
- - 36
실시 예 4
(ClO)
124
ppm
116
ppm
104
ppm
89
ppm
81
ppm
133 - -
비교 예 1
(클로라민-T)
135
ppm
8.9
ppm
검출
안됨
검출
안됨
검출
안됨
86 - -
비교 예 2
(ClO2)
260
ppm
23
ppm
1.8
ppm
검출
안됨
검출
안됨
- 155 -
비교 예 3
(ClO)
560
ppm
87
ppm
2.6
ppm
검출
안됨
검출
안됨
- - 27
비교 예 4
(ClO)
366
ppm
54
ppm
1.4
ppm
검출
안됨
검출
안됨
98 - -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 예 1~4에서 피복물질이 포함되지 않고, 캡슐링(Capsuling) 내지는 압축 정제방법이 동원되지 않은 상태로 토양 살생물 물질이 토양에 희석, 포함된 당일에는 상당히 높은 농도의 살생물 물질이 검출됨을 확인하였으며,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매우 낮은 농도로 급격히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는 작물을 재배하는 과정 중 수분 공급을 필요로 할 때 토양에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외부로 쉽게 유실되기 때문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200평당 작물의 1일 평균 수확량에서도 비교 예 1의 딸기인 경우 86 kg, 비교 예 2의 오이의 경우 155 kg, 비교 예 3의 고추의 경우 27 kg, 비교 예 4의 딸기의 경우 98 kg의 저조한 수확량을 나타냈다.
반면, 실시 예 1~4와 같이 캡슐링(Capsuling) 내지는 압축 정제방법이 동원된 상태로 토양 살생물 물질이 토양에 희석, 포함되는 당일에 비교적 낮은 농도의 살균제 물질이 각각 검출되었으며, 특히 기간이 경과하여도 매우 완만한 농도의 토양 살생물 물질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한 영향으로 비교 예 1~4 보다 작물의 수확량이 월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원은 종래의 토양에 발생된 병해충을 크게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고독성의 농약류 사용으로 토양 및 수질환경은 물론 인체에 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토양에 발생된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무농약 살생물 물질의 서방형 기술구성으로 인하여 토양 및 수질환경을 보호하면서 병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최소의 인력으로 장기간 병해충 방제를 위한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작물의 정상적인 성장과 고품질, 다수확의 결실을 맺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특허출원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본원 기술사상은 희석충진제를 100 중량부로 기준으로 하여 살생기능물 1.5 ~ 25 중량부와 피복물질 3.5 ~ 55 중량부가 포함되어 토양 살생물을 얻고 이를 분무 건조(Spray drying) 방법을 적용하여 1차 캡슐화 시킨 후 또 다시 또 다른 성분의 희석충진제와 또 다른 성분의 살생기능물과 또 다른 성분의 피복물질이 혼합된 제2약효성분이 1차 캡슐화 된 외부에 추가시킨 후 예를 들면 외부 겔화법(Extrusion/external gelation)에 의한 2차 캡슐화 공정이 추가되는 공정으로 적용되어 피복물질의 물에 대한 용해도 차이에 의해 예를 들면 5일 후 1차 약효가 나타나고, 10일 후에 또 다른 특성의 2차 약효가 나타나도록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도 포함되는 영농방법을 개발하여 농업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토양발생 병충해를 장기간 방제할 수 있는 서방형 토양 살생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희석 충진제로 고령토(Kaolin), 돌로마이트(Dolomite), 제올라이트(Zeolite), 진주석(Perlite), 중에서 선택되는 분말이 준비되는 제1단계 공정과
    토양발생 병충해에 살생기능을 갖는 차염소산나트륨(NaClO, Sodium hypochlorite), 아염소산나트륨(NaClO2, Sodium chlorite), 클로로칼퀴(Calcium hypochlorite), 클로라민-T(Chloramine-T) 중에서 선택되는 살생기능물이 준비되는 제2단계 공정과,
    토양 살생물에 서방형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피복물질로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밀납(Bees wax), 스테아르산(Stearic acid),수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피복물질이 준비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준비된 희석충진제를 100 중량부로 기준으로 할 때 제2단계 공정에서 준비된 살생기능물 1.5 ~ 25 중량부와 제3단계 공정에서 준비된피복물질 3.5 ~ 55 중량부가 포함되어 토양 살생물이 만들어지는 제4단계 공정과,
    상기 제4단계 공정으로 만들어진 토양 살생물을 분무 건조(Spray drying) 방법, 외부 겔화법(Extrusion/external gelation), 에멀젼-내부 겔화법 (Emulsification internal gelation), 효소를 이용한 캡슐화 방법, 캡슐 충진방법, 압축 정제(錠劑; Tablet)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공정에 의해 서방형 토양 살생제를얻도록 적용되는 제5단계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토양 살생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 충진제는 0.1~100 ㎛ 크기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토양 살생제의 제조방법.
  3. 연작재배 과정에서 야기되는 병충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방형 토양 살생제를 이용한 영농방법에 있어서,
    희석 충진제로 고령토(Kaolin), 돌로마이트(Dolomite), 제올라이트(Zeolite), 진주석(Perlite), 중에서 선택되는 분말이 준비되는 제1단계 공정과
    토양발생 병충해에 살생기능을 갖는 차염소산나트륨(NaClO, Sodium hypochlorite), 아염소산나트륨(NaClO2, Sodium chlorite), 클로로칼퀴(Calcium hypochlorite), 클로라민-T(Chloramine-T) 중에서 선택되는 살생기능물이 준비되는 제2단계 공정과,
    토양 살생물에 서방형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피복물질로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밀납(Bees wax), 스테아르산(Stearic acid),수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피복물질이 준비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준비된 희석충진제를 100 중량부로 기준으로 할 때 제2단계 공정에서 준비된 살생기능물 1.5 ~ 25 중량부와 제3단계 공정에서 준비된피복물질 3.5 ~ 55 중량부가 포함되어 토양 살생물이 만들어지는 제4단계 공정과,
    상기 제4단계 공정으로 만들어진 토양 살생물을 분무 건조(Spray drying) 방법, 외부 겔화법(Extrusion/external gelation), 에멀젼-내부 겔화법 (Emulsification internal gelation), 효소를 이용한 캡슐화 방법, 캡슐 충진방법, 압축 정제(錠劑; Tablet)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제5단계 공정과
    상기 제5단계 공정에서 얻은 서방형 토양 살생물을 연작재배 과정에서 발생되는 병충해 문제를 해소하도록 농작물에 시비하는 제6단계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토양 살생제를 이용한 영농방법.
  4. 토양발생 병충해를 장기간 방제할 수 있는 서방형 토양 살생제에 있어서,
    희석 충진제로 고령토(Kaolin), 돌로마이트(Dolomite), 제올라이트(Zeolite), 진주석(Perlite), 중에서 선택되는 분말이 준비되는 제1단계 공정과,
    토양발생 병충해에 살생기능을 갖는 차염소산나트륨(NaClO, Sodium hypochlorite), 아염소산나트륨(NaClO2, Sodium chlorite), 클로로칼퀴(Calcium hypochlorite), 클로라민-T(Chloramine-T) 중에서 선택되는 살생기능물이 준비되는 제2단계 공정과,
    토양 살생물에 서방형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피복물질로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밀납(Bees wax), 스테아르산(Stearic acid),수성 아크릴 에멀젼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피복물질이 준비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준비된 희석충진제를 100 중량부로 기준으로 할 때 제2단계 공정에서 준비된 살생기능물 1.5 ~ 25 중량부와 제3단계 공정에서 준비된피복물질 3.5 ~ 55 중량부가 포함되어 토양 살생물이 만들어지는 제4단계 공정과,
    상기 제4단계 공정으로 만들어진 토양 살생물을 분무 건조(Spray drying) 방법, 외부 겔화법(Extrusion/external gelation), 에멀젼-내부 겔화법 (Emulsification internal gelation), 효소를 이용한 캡슐화 방법, 캡슐 충진방법, 압축 정제(錠劑; Tablet)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공정에 의해 서방형 토양 살생물을 얻도록 적용되는 제5단계 공정
    을 거쳐 토양발생 병충해 방제효과를 갖도록 제공되는 서방형 토양 살생제.
KR1020210036171A 2021-03-19 2021-03-19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33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71A KR102331449B1 (ko) 2021-03-19 2021-03-19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71A KR102331449B1 (ko) 2021-03-19 2021-03-19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449B1 true KR102331449B1 (ko) 2021-12-01

Family

ID=7893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171A Active KR102331449B1 (ko) 2021-03-19 2021-03-19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4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872A (ja) * 1998-02-09 2002-01-22 サウスウエスト・リサーチ・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シリケート含有粉末
JP2007091716A (ja) * 2005-08-29 2007-04-12 Kuraray Co Ltd 水中薬剤徐放性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26891A (ko) * 2010-07-15 2013-11-21 고유 아그리 가부시키가이샤 서방성 미립자 및 서방성 미립자 함유 제제
KR20200113123A (ko) * 2019-03-22 2020-10-06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KR20200145984A (ko) * 2019-06-21 2020-12-31 이동희 병충해 피해 방지를 위한 과수봉지용 이산화염소 서방형 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872A (ja) * 1998-02-09 2002-01-22 サウスウエスト・リサーチ・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シリケート含有粉末
JP2007091716A (ja) * 2005-08-29 2007-04-12 Kuraray Co Ltd 水中薬剤徐放性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26891A (ko) * 2010-07-15 2013-11-21 고유 아그리 가부시키가이샤 서방성 미립자 및 서방성 미립자 함유 제제
KR20200113123A (ko) * 2019-03-22 2020-10-06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KR20200145984A (ko) * 2019-06-21 2020-12-31 이동희 병충해 피해 방지를 위한 과수봉지용 이산화염소 서방형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CN103843586B (zh) 一种鸡腿菇病害综合防控方法
KR101132712B1 (ko) 토양 병해충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CN101642080B (zh) 拟长毛钝绥螨工厂化生产方法
CN102276350B (zh) 一种甘蔗蘸种剂
AU2009272604A1 (en) Bait granule production method
CN103553763B (zh) 含有壳寡糖和氟虫腈的农用组合物
CN104472131B (zh) 一种山药抗重茬栽培技术
KR101124695B1 (ko) 환경 친화적 작물재배용 살충ㆍ살균성 미네랄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CN109362740B (zh) 含有氯虫苯甲酰胺和氟吡菌酰胺、高效氯氟氰菊酯的种衣剂及用途
JP2005306742A (ja) チップ状植物害虫忌避具
KR101174501B1 (ko) 친환경 기능성 원예용 포트
KR102331449B1 (ko)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397017B (zh) 一种防治玉米叶螨的熏蒸剂
CN102584419A (zh) 一种多功能马铃薯拌种剂
CN101347113A (zh) 杀菌杀虫烟雾弹
KR101782842B1 (ko) 병충해에 강한 허브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천연허브복합비료 및 그 이용방법
CN108440087A (zh) 一种具有土壤灭菌杀虫作用的肥料
KR20230057919A (ko) 천연물질 유래 황칠나무 추출물이 혼합되어 병해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며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친환경 비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WO2007129426A1 (ja) 植物育成又は保護用柱状体
KR102617124B1 (ko) 토마토 양액재배용 배지
KR100773148B1 (ko) 님 분말과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선충 방제재
KR102630801B1 (ko) 들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농작물 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법
CN112806385B (zh) 一种利用过硫酸铵复合剂防控苹果、梨、桃重茬障碍方法
KR20220131074A (ko) 관주 또는 경엽 처리용 살생물 물질(殺生物物質)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