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432B1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1432B1 KR102331432B1 KR1020140190466A KR20140190466A KR102331432B1 KR 102331432 B1 KR102331432 B1 KR 102331432B1 KR 1020140190466 A KR1020140190466 A KR 1020140190466A KR 20140190466 A KR20140190466 A KR 20140190466A KR 102331432 B1 KR102331432 B1 KR 1023314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cleaning
- clean
- cleaning module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송풍팬을 포함하고, 외부공기가 유입된 후 토출되는 제1 청정 모듈; 제2 송풍팬을 포함하고, 외부공기가 유입된 후 토출되는 제2 청정 모듈;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제2 청정 모듈을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의 접힘에 따라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의 외부공기 유입과 토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leaning module including a first blowing fan and discharged after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second cleaning module including a second blowing fan and discharged after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a hinge unit connecting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external air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according to the 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공기청정기(air cleaner)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거나 필터링할 뿐만 아니라, 생활냄새나 담배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하는 기능, 가습 기능, 또는 제습 기능이 부가되어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An air cleaner refers to a device that purifies polluted air and changes it into fresh air. It not only collects or filters fine dust or bacteria by sucking in polluted air, but also deodorizes odors such as living odors and cigarette odors. As a function, a humidifying function, or a dehumidifying function are added, the spread is expanding.
상기 공기청정기는 팬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필터 어셈블리에 통과시킨 후, 공기청정기 외부로 토출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purify the air by passing the air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n through the filter assembly and then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비치되는 경우가 많고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므로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에 있어 높은 자유도를 가지는 공기청정기가 요구된다.
In general, since the air purifier is often provided indoors and occupies a certain space, an air purifier having a high degree of freedom in arrangement is required to efficiently use the indoor spac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치에 있어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배치에 따른 동작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in arrangement and can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rrang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송풍팬을 포함하고, 외부공기가 유입된 후 토출되는 제1 청정 모듈; 제2 송풍팬을 포함하고, 외부공기가 유입된 후 토출되는 제2 청정 모듈;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제2 청정 모듈을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의 접힘에 따라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의 외부공기 유입과 토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leaning module including a first blowing fan and discharged after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second cleaning module including a second blowing fan and discharged after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a hinge unit connecting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inflow and discharge of external air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according to the 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배치에 있어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배치에 따른 동작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in arrangement and has the effect of enabling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부공기 유입과 토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4 are plan views illustrating inflow and discharge of external ai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Also,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청정 모듈(100), 제2 청정 모듈(200), 힌지부(3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상기 제1 청정 모듈(100)은 제1 송풍팬(미도시)를 포함하고,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한 후 토출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은 제2 송풍팬(미도시)를 포함하고,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한 후 토출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은 각각 일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110, 210)를 포함하고, 타면에 토출부(120, 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서술하면, 공기청정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청정기능을 작동시키면, 공기청정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이 회전을 시작하면서 제1 청정 모듈 및 제2 청정 모듈의 일면에 형성된 흡입부(110, 210)를 통해 외부(즉, 실내)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한다.Whe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흡입된 공기는 흡입부(110, 210)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 어셈블리(미도시)를 통과하면서 먼지나 냄새가 필터링될 수 있다.As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a filter assembly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이후, 필터링된 공기는 제1 청정 모듈 및 제2 청정 모듈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의 회전력에 의해 토출부(120, 220)로 유도된 후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외부(즉, 실내)로 토출된다.Thereafter, the filtered air is guided to the
여기서,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제2 청정 모듈은 측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110, 210)를 포함하고, 상면에 토출부(12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may include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은 각각 일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110, 210)를 포함하고, 타면에 토출부(120, 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 the
여기서, 상기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은 후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110, 210)를 포함하고, 전면에 토출부(120, 22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상기 흡입부(110, 210) 및 토출부(120, 220)의 위치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a에서 서술한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ther than the positions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청정 모듈(100), 제2 청정 모듈(200), 제어부(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조작부(500), 표시부(600) 및 접힘 감지부(310)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청정 모듈(100)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의 접힘에 따라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의 외부공기 유입과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400)는 예를 들어, 메모리와 입출력회로를 내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의 하드웨어와 이에 탑재되어 기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청정 모듈(100)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이 접힘 상태인 경우 접힘 감지부(310)는 상기 제어부(400)에 일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여기서, 상기 접힘 상태는 상기 제1 청정 모듈(100)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이 근접하여 상기 제1 청정 모듈(100)의 후면과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의 전면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Here, in the folded state, the first
상기 접힘 감지부(310)는 힌지부(300, 도1)에 포함되어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힘 상태가 되었을 때를 감지하거나,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상기 제1 청정 모듈(100)과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이 맞닿아 접힘 상태가 되었을 때를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접힘 상태인 경우 제1 청정 모듈(100)이 포함하는 상기 제1 송풍팬 및 제2 청정 모듈(200)이 포함하는 제2 송풍팬 중 하나를 역회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이에 따라, 제 1 청정 모듈(100)의 제1 전달부와 제2 청정 모듈(200)의 제2 전달부가 맞닿아 제2 청정 모듈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1 청정 모듈에서 토출되거나, 제1 청정 모듈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2 청정 모듈에서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delivery part of the first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역회전에 따른 동작에 관하여 도 4를 참고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verse rotation controlled by the
상기 조작부(50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상기 표시부(600)는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공기의 오염도 상태, 공기청정기의 동작 상태, 접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도 3a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부공기 유입과 토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3A to 4 are plan views illustrating inflow and discharge of external ai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180도의 펼침 상태로 배치된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공기청정기가 90도의 펼침 상태로 배치된 평면도이다.Figure 3a is a plan view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180-degree unfolded state, Figure 3b is a plan view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90-degree unfolded state.
이하, 상기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은 후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110, 210)를 포함하고, 전면에 토출부(120, 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흡입부(110, 210) 및 토출부(120, 22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first
도 3a 및 3b를 참고하면, 제어부(도2, 400)는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이 펼침 상태인 경우 제1 청정 모듈(100)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의 외부공기 유입과 토출을 일체로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control unit ( FIGS. 2 and 400 ) controls the outside of the first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청정 모듈(100)에 포함된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에 포함된 제2 송풍팬을 일체로 구동하여 외부공기를 흡입부(110, 210)를 통해 유입하고 이를 필터링한 후, 토출부(120, 220)를 통해 외부(즉, 실내)로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integrally drives the first blowing fan included in the
이에 따라, 펼침 상태의 공기청정기는 제1 청정 모듈 및 제2 청정 모듈에 포함된 2개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purifier in the open state can purify a larger amount of air by using two blowing fan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다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 중 어느 하나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 각각을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either one of the firs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접힘 상태로 배치된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in which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folded state.
도 4를 참조하면,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이 접힘 상태인 경우 제 1 청정 모듈(100)의 제1 전달부(130)와 제2 청정 모듈(200)의 제2 전달부(230)가 맞닿아 제2 청정 모듈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1 청정 모듈에서 토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first
구체적으로, 제2 청정 모듈(200)에 포함된 제2 송풍팬의 동작에 의해 제2 청정 모듈(200)의 일면에 위치하는 흡입부(210)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2 청정 모듈(200)의 내부에서 필터 어셈블리(미도시)에 의해 정화되어 제2 전달부(230)로 토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이후, 상기 제2 전달부(230)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1 청정 모듈(100)의 제1 전달부(130)에 유입되어 제1 청정 모듈(100)의 내부에서 필터 어셈블리(미도시)에 의해 정화되어 제1 청정 모듈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이를 위해, 제어부(400, 도2)는 제1 청정 모듈이 포함하는 제1 송풍팬을 역회전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400 ( FIG. 2 ) may reversely control the first blowing fan included in the first cleaning module.
여기서, 도 1b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 전달부(230)는 제2 청정 모듈(200)의 토출부(220)가 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달부(130)는 제1 청정 모듈(100)의 토출부(120)가 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S. 1B and 4 , the
한편, 제1 청정 모듈(100)의 제1 전달부(130)와 제2 청정 모듈(200)의 제2 전달부(230)가 맞닿아 제1 청정 모듈(100)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2 청정 모듈(200)에서 토출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제2 청정 모듈(200)이 포함하는 제2 송풍팬을 역회전 제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에 따라, 외부공기는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을 통과하는 두 번의 필터링을 거치게 되므로 접힘 상태의 공기청정기는 향상된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outside air is filtered twice through the
다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청정 모듈(100) 및 제2 청정 모듈(200) 중 어느 하나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However, one of the
즉, 사용자의 입력 및 접힘/펼침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청정 모듈(100)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200)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일체로 동작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folded/unfolded stat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배치에 있어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배치에 따른 동작 제어가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in arrangement, and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s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nd modified.
100: 제1 청정 모듈
200: 제2 청정 모듈
300: 힌지부
400: 제어부
500: 조작부
600: 표시부100: first clean module
200: second cleaning module
300: hinge
400: control unit
500: control panel
600: display
Claims (8)
제2 송풍팬을 포함하고,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한 후 토출하는 제2 청정 모듈;
상기 제1 청정 모듈의 일 모서리 및 제2 청정 모듈의 일 모서리를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접힘 상태가 되거나, 평각 또는 평각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는 펼침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 first cleaning module including a first blowing fan, and then discharging it after purifying it by introducing an external air;
a second cleaning module including a second blower fan,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external air;
a hinge part connecting one edge of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one edge of the second cleaning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rotates around the hinge part, so that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are in a folded state arranged side by side, or have a flat angle or smaller than a flat angle.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an unfolded state forming an angle.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은 각각 일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타면에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each include a suction unit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on one surface,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a discharge portion on the other surface.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은 측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면에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include a suction part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to a side surface,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a discharge part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은 후면에 흡입부를 포함하고 전면에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include an air purifier including a suction part on a rear surface and a discharge part on the front surface.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이 접힘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 중 하나를 역회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versely control one of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fan when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are in a folded state.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이 접힘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청정 모듈에 포함된 제1 전달부와 상기 제2 청정 모듈에 포함된 제2 전달부가 맞닿아 상기 제2 청정 모듈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제1 청정 모듈에서 토출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are in the folded state, the first delivery unit included in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delivery part included in the second clean module contact and flow into the second clean module An air purifier in which the cleaned external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cleaning module.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이 접힘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청정 모듈에 포함된 제1 전달부와 상기 제2 청정 모듈에 포함된 제2 전달부가 맞닿아 상기 제1 청정 모듈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제2 청정 모듈에서 토출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are in a folded state, the first delivery unit included in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delivery part included in the second clean module contact and flow into the first clean module An air purifier in which the cleaned external air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eaning modu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이 펼침 상태인 경우 제1 청정 모듈 및 상기 제2 청정 모듈의 외부공기 유입과 토출을 일체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external air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when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odules are in an unfolded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0466A KR102331432B1 (en) | 2014-12-26 | 2014-12-26 |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0466A KR102331432B1 (en) | 2014-12-26 | 2014-12-26 | Air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0247A KR20160080247A (en) | 2016-07-07 |
KR102331432B1 true KR102331432B1 (en) | 2021-11-30 |
Family
ID=5649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0466A Active KR102331432B1 (en) | 2014-12-26 | 2014-12-26 |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143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257B1 (en) * | 2017-09-07 | 2019-05-10 | 대영전자 주식회사 | Indo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module structure |
KR102527659B1 (en) | 2017-11-27 | 2023-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lean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996B1 (en) | 2004-02-06 | 2005-08-17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Separable air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9119B1 (en) * | 1998-06-30 | 2001-10-27 | 윤종용 | Indoor air conditioner of split type air conditioner |
KR20060026319A (en) * | 2004-09-20 | 2006-03-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dular Air Purifier |
HK1147020A2 (en) * | 2011-01-14 | 2011-07-22 | Akos R&D Limited |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
2014
- 2014-12-26 KR KR1020140190466A patent/KR1023314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996B1 (en) | 2004-02-06 | 2005-08-17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Separable air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0247A (en) | 2016-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0671B2 (en) |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 |
KR20040056151A (en) | Air purifier | |
CN205090502U (en) | Air purifier | |
KR101948003B1 (en) | Apparatus for air cleaning and ventilation | |
CN104023817A (en) | Air Filtration and Air Purification Equipment | |
KR101906341B1 (en) | Air cleaner | |
TWI572829B (en) | Air purifier | |
ATE424535T1 (en) | AIR CONDITIONER | |
KR102608622B1 (en) | An air cleaning all-in-one that can control the inflow of outdoor air and indoor air to perform both ventilation func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 |
KR102331432B1 (en) | Air cleaner | |
KR20150144086A (en) | smoking booth | |
KR20100019824A (en) |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35920B1 (en) | Air purifying apparatus | |
KR20090026981A (en) | Door integrated air cleaner | |
KR102345233B1 (en) | Multi-function air cleaner | |
TW200628736A (en) | Air conditioner | |
WO2004100746A3 (en) |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a cleaning device for a ceramic filter | |
JP6567322B2 (en) | Air conditioner | |
KR200421933Y1 (en) | Vacuum cleaner with ventilation function | |
KR20110041692A (en) | air cleaner | |
JP2016070588A (en) | Air cleaner | |
KR101926375B1 (en) | De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 |
JP2007196183A (en) | Air cleaner | |
JPH02181094A (en) | Blower | |
KR20170072582A (en) | Air purifier and method of cotrolling discharging direction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