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541B1 - Unmaned crop cultivation system) - Google Patents
Unmaned crop cultiv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8541B1 KR102328541B1 KR1020190140470A KR20190140470A KR102328541B1 KR 102328541 B1 KR102328541 B1 KR 102328541B1 KR 1020190140470 A KR1020190140470 A KR 1020190140470A KR 20190140470 A KR20190140470 A KR 20190140470A KR 102328541 B1 KR102328541 B1 KR 1023285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ivation
- unit
- crop
- space
- crop cultiv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89 length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 대상 작물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재배판을 무한궤도로 순환시켜 관리자가 재배공간에 투입될 필요 없어 단위면적당 재배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재배판에 상하방향으로 작물이 수용되는 재배구가 설치되어, 간결한 구조로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많은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은 단위 작물재배유닛이 다수의 재배판이 무한궤도로 순환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재배공간에 투입될 필요없이 재배공간의 외측에서 작물을 수확하거나 재배판을 관리할 수 있어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 됨에 따라 단위면적당 재배 작물의 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circulating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on which crops to be cultivated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n endless track, there is no need for an administrator to enter the cultivation space, thereby securing a wide cultivation space per unit area It is about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that can do this.
In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ultivation ports are installed in which crops are accommod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that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track, so that the cultivation space is efficiently utilized with a concise structure to produce a large number of crops. has the advantage of accepting
In addition, in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unit crop cultivation unit can circulate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in an endless track, an operator can harvest crops from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or manage the cultivation plates without the need for an operator to enter the cultivation space. Therefore, as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is improved, the number of cultivated crops per unit area can be secur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produ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 대상 작물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재배판을 무한궤도로 순환시켜 관리자가 재배공간에 투입될 필요 없어 단위면적당 재배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circulating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on which crops to be cultivated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n endless track, there is no need for an administrator to enter the cultivation space, thereby securing a wide cultivation space per unit area It is about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that can do this.
산업이 발전하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공장시설의 확장과 주택이 건설로 농경지나 청정지역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화학비료 등의 사용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가 척박해짐은 물론 산업공해의 증가로 청정 농산물이나 각종 식물의 재배가 날로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 자라는 식물들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As the industry develops and the population increases, agricultural land and clean areas are de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various factory faci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houses. Due to the increase, cultivation of clean agricultural products or various plants is becoming more difficult day by day, and plants growing in this environment are not growing properly.
특히, 일반 농가는 물론이고 특수작물을 재배하는 곳에서는 재배되는 식물이나 농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특수 시설을 구비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농작물과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고소득을 얻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지만, 여기에는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반면에 경제적 이익창출은 크게 상승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재배되는 작물에 발생되는 병충해와 환경적인 요소로 인하여 제어가 불능으로 작물의 성장이나 수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not only general farms, but also places where special crops are cultivated are equipped with various special faciliti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ultivated plants and crops. However, this requires a lot of cost and labor, while economic profit creation is not greatly increased, and the growth or harvest of crops is not properly controlled due to pests and environmental factors occurring in cultivated crops. There are many cases of economic damage that cannot be achieved.
이와 같은 시장의 변화에 따라 특수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는 물론 일반 농가에서도 계절적인 요인 등 재배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작물을 수확하기 위하여 유리온실, 비닐하우스이나 컨테이너 등의 시설을 만들어 시설 내부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가 증가하게 되었으며, 상기한 재배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such changes in the market, not only farms that grow special crops but also general farms have built facilities such as glass greenhouses, plastic houses, and containers to ensure stable crop harvesting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the growing environment such as seasonal factors. The number of farms growing crops has increased, and a number of technologies for efficiently operating and managing the above-described cultivation facilities are being develop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429호에는 작물이 수용되는 트레이를 순환시키는 작물재배순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지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일반적인 재배프레임에 재배하는 방식보다 많은 작물을 재배 및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무한궤도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무한궤도를 따라 하나의 트레이만 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많은 트레이를 거치 시켜 작물의 생산량을 높이기 에는 한계가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81429 discloses a crop cultivation circulation device that circulates a tray in which crops are accommodated. It has the advantage of cultivating and harvesting more crops than the method of cultivation on the land or a general cultivation fram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it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up and down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and only one tray is mounted along the track. Since it has a structure,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rops by mounting many trays.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81257호에는 상하방향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층작물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상하로 트레이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 휠에 이송와이어가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동력손실이 크며 구조가 복합한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481257 discloses a multi-layered crop cultivation apparatus that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vertical axis. It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rays are stacked up and down, bu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fer wire circulates on a plurality of guide wheels arranged up and down, so power loss is large and the structure is complex.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재배판에 상하방향으로 작물이 수용되는 재배구가 설치되어 단위면적당 재배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다수의 재배판이 무한궤도형태로 배열되어 순환하는 구조를 가져, 간결하면서도 많은 작물을 수용하여 재배할 수 있는 무인 작물재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cultivation port for accommodating crop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ecure a wide cultivation space per unit area, and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can be secur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imple and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that can accommodate and cultivate many crops with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and circulated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 작물재배시스템은 외부환경과 차단되어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공간이 형성된 하우스; 상기 하우스의 상기 재배공간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재배판이 폭 방향 각 측부가 마주하도록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되어 수평방향으로 순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작물재배유닛;을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재배판은 상호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되어 각 일면은 외측을 향하며 각 타면은 상호 마주하여 상기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액이 무화되어 공급되는 무화공간을 형성하며, 작물이 수용가능하며 상기 무화공간과 연통되게 내측이 관통형성된 재배구가 장착되는 다수의 거치공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use in which a cultivation space is formed in which crops are grown by being block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installed in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hous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 caterpillar form so that each side in the width direction faces each other, and at least one unit crop cultivation unit that can be circul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ultivation plate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mutual caterpillar, so that each one side faces outward and each other side faces each other to form an atomization spac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crop is atomized and supplied, and the crop can be accommodated and the atomization spac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o which the cultivation spheres formed through the inside to communicate are mounted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하우스는 관리자가 상기 재배공간으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 단위작물재배유닛에서 재배된 상기 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작물재배유닛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재배공간을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e is at least one that opens the cultivation space at a position fac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so that the manager can harvest the crop grown in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without entering the cultivation spa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opening/closing door of
상기 재배구는 내부에 연장방향으로 관통된 제1중공이 형성되되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며 개방된 타측이 상기 재배판을 향하도록 굴곡 형성되며 작물의 줄기 측이 위치되는 메인생장관과, 상기 거치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생장관과 결합되며 작물의 뿌리 측이 상기 무화공간으로 연장되게 내측에 관통되 제2중공이 형성되는 지지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ltivation port is formed with a first hollow penetrating in the extension direction therein, the open one side faces upward and the other open side is curved to face the cultivation plate, and the main growth tube in which the stem side of the crop is locat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pport tube that penetrates the ball and is coupled to the main growth tube and penetrates inside so that the root side of the crop extends into the atomization space and the second hollow is formed.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은 다수의 상기 재배판을 무한 궤도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재배판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재배판 순환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판 순환지지유닛은 각각 타원 링 형상으로 각각 연장되어 수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내부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하단 및 상단에 상기 제1 또는 제2내부공간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무한궤도홀이 각각 형성된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무한궤도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재배판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가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제1폐궤도 체인과, 상기 하부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2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재배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가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제2폐궤도 체인과, 상기 제1 및 제2폐궤도체인이 상기 제1 및 제2내부공간 내에서 각각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상기 상부레일에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관통형성된 연통공을 통해 상기 제1 폐궤도체인에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includes a cultiva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for suppor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to circulate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in an endless orbit, and the cultiva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is an elliptical ring,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spac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formed to be respectively extended in a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the lower and upper end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r second internal spaces. and an upper rail and a lower rail each having first and second caterpillar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first inner spa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pper rail to extend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and the cultivation plate A first closed track chain in which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rail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second inner spa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wer rail to extend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A second closed orbital chain in which a secon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late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closed orbital chains in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spaces, respectively At least one including a drive chain that is rotated in an endless track and is rotated by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closed track chain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penetrating into the first inner space in the upper rail, and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chain It is preferable to have a driving unit of
상기 재배판은 상기 거치공이 관통 형성되는 재배판본체부와; 상기 재배판본체부의 상단 중심측에 상방으로 연장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상단에서 상기 재배판본체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상부체결부와; 상기 재배판본체부이 하단에 상기 재배판본체부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상부레일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상기 제1폐궤도체인의 수직롤러를 지지하는 수평축이 관통되는 제1수평축관통부와, 상기 제1수평축관통부의 하단에서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에 상기 네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부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복수의 후크부가 형성된 제1레일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부레일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상기 제2폐궤도체인의 수직롤러를 지지하는 수평축이 관통되는 제2수평축관통부와, 상기 제2수평축관통부의 상단에서 상기 재배판본체부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에 상기 하부체결부가 수용되게 하방으로 인입된 체결부수용홈이 형성된 제2레일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ltivation plate includes: a cultivation plate body through which the mounting hole is formed; an upper fastening part including a neck part extending upwardly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and a bar-shaped engaging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neck part; and a lower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to a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body at the lower end of the distribution plate body,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is the first closed track chain that roll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ail A first horizontal shaft through part through which a horizontal axis for supporting the vertical roller of a first rail protrus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oks open upward to support A second horizontal shaft through part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axis passes, and a fastening part receiving groove that extends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haft through part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and is drawn downward to accommodate the lower fastening part at the upper e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formed second rail protrusion.
상기 재배판 순환지지유닛은 상기 하부레일이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부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무화공간의 상방 및 하방이 폐쇄되게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을 각각 덮는 제1 및 제2덮개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덮개판에 관통장착되어 상기 무화공간 내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하는 무화공급관과, 상기 무화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무화공급관으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하는 무화발생기를 포함하는 무화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ltiva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includes a base frame supporting the lower rail so that the lower rail is spac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 first covering the upper rail and the lower rail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tomization space are closed. and a second cover plate, which is mounted through the first or second cover plate to supply an atomized nutrient solution into the atomization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atomization supply pipe to supply the atomized nutrient solution to the atomization supply pip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tomization supply unit including an atomization generator to supply.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나란하게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재배공간을 형성하며 다수의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이 설치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의 길이방향 양측에 마주하도록 각각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의 길이방향에 대한 좌우측을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과 함께 상기 재배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한 쌍의 구획판과, 다수의 상기 구획공간 중, 어느 한 상기 구획공간에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구획공간을 건너서 다음 상기 구획공간에 설치되며, 설치된 상기 구획공간 내에서 상호 인접한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에 위치한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으로 작물 생장에 필요한 광을 각각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s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forms the cultivation space and faces a housing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s are installed, an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housing body to partition the cultivation space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spaces together with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Among the partition spaces, the unit crop cultivation installed in one of the partition spaces and installed in the next partition space across the adjacent partition space, installed between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stalled partition space, and located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each irradiating light necessary for crop growth as a unit.
본 발명의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재배판에 상하방향으로 작물이 수용되는 재배구가 설치되어, 간결한 구조로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많은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ultivation ports are installed in which crops are accommod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that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track, so that the cultivation space is efficiently utilized with a concise structure to produce a large number of crops. has the advantage of accepting
또한, 본 발명의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은 단위 작물재배유닛이 다수의 재배판이 무한궤도로 순환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재배공간에 투입될 필요없이 재배공간의 외측에서 작물을 수확하거나 재배판을 관리할 수 있어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 됨에 따라 단위면적당 재배 작물의 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unit crop cultivation unit can circulate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in an endless track, an operator can harvest crops from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or manage the cultivation plates without the need for an operator to enter the cultivation space. Therefore, as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is improved, the number of cultivated crops per unit area can be secur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production.
또한, 본 발명의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은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재배판들에 의해 형성된 무화공간으로 확산이 용이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하여 뿌리 측에 작물에 필요한 양분을 직접 공급하므로 관리효율 및 작물의 생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atomized nutrient solution, which is easy to spread, to the atomization space formed by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arranged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so that the nutrients necessary for the crop are directly supplied to the root side, so management efficienc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growth efficiency of crop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위작물재배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위작물재배유닛의 상부레일부를 확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위작물재배유닛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단위작물재배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단위작물재배유닛의 재배판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무인작물재배시스템에 대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무인작물재배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의 단위작물재배유닛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of Figure 1,
3 is an enlarged partial side sectional view of the upper rail part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of FIG. 1;
4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of FIG. 1;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of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plate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of FIG. 1;
7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FIG. 1,
8 is a block diagram of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FIG. 1,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crop cultivation unit of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5)이 도시되어 있다. 1 to 8 show an unmann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5)은 외부환경과 차단되어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공간(11)이 형성된 하우스(10)와, 재배공간(11) 내에 설치되어 작물이 생장하는 다수의 단위작물재배유닛(30)와,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광을 발광하는 조명부(102)와, 단위작물재배유닛(30) 내에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액을 무화시켜 공급하는 무화공급부(110)와, 메인제어부(23)를 구비한다.The unmanned
하우스(10)는 재배공간(11)을 형성하며 다수의 단위 작물재배유닛(20)이 설치되는 하우징본체(13)와, 단위 작물재배유닛(30)의 길이방향 양측에 마주하도록 각각 하우징 본체(13) 내에 설치되어 단위 작물재배유닛(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좌우측을 단위 작물재배유닛(30)과 함께 재배공간(11)을 다수의 구획공간(12)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한 쌍의 구획판(14)을 구비한다.The
그리고, 하우스(10)는 일측에 관리자가 재배공간(11)으로 들어가지 않고 단위작물재배유닛(30)에서 재배된 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단위작물재배유닛(30)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재배공간(11)을 개방하는 다수의 개폐도어(15)를 구비한다. 다수의 개폐도어(15)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재배공간(11)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스본체(13) 내에 단위작물재배유닛(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되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그리고, 하우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기 개폐도어(15)를 개방하여 단위작물재배유닛(30)에서 재배완료된 작물을 수확하는 작물수확공간(18)과, 단위 작물 재배유닛(30)에서 수확된 작물을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컨베이어(17)가 설치되는 작물출하공간(19)이 형성되게, 다수의 개폐도어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단위작물재배유닛(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획격벽(20)을 구비한다.And, 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스(10)는 재배공간(11)내에 공기 순환을 위해 외기 유입 및 내기 배출이 가능한 덕트(미도시)와, 덕트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순환을 유도하는 송풍팬(2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the
단위작물재배유닛(30)은 하우스본체(14)의 재배공간(11)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재배판(31)이 폭 방향 각 측부가 마주하도록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되어 수평방향으로 순환가능하게 적용된다.The unit
단위작물재배유닛(30)은 작물이 수용되는 재배구(41)가 장착되는 다수의 재배판(31)과, 재배판순환지지유닛(50)을 구비한다.The unit
재배판(31)은 일정한 폭을 갖는 판 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재배구(41)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배치되게 재배구(41)가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거치공(32)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관통형성된다.The
다수의 재배판(31)은 상호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되어 각 일면은 외측을 향하며 각 타면은 상호 마주하여 작물(3)의 생장에 필요한 양액이 무화되어 공급되는 무화공간(49)을 형성한다.A plurality of
재배판(31)은 도 4를 참고하면, 거치공(33)이 관통 형성되는 재배판본체부(32)와; 재배판본체부(32)의 상단 중심측에 상방으로 연장된 네크부(35)와, 네크부(35)의 상단에서 재배판본체부(3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걸림부(36)를 포함하는 상부체결부(34)와; 재배판본체부(32)의 하단에 재배판본체부(32)의 폭 보다 짧은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체결부(37);를 구비한다. 4 , the
재배구(41)는 작물(3)이 수용가능하며 무화공간(49)과 연통되게 내측이 관통형성되는데, 내부에 연장방향으로 관통된 제1중공(43)이 형성되되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며 개방된 타측이 재배판(31)을 향하도록 굴곡 형성되며 작물(3)의 줄기 측이 위치되는 메인생장관(42)과, 거치공(33)을 관통하여 메인생장관(42)내로 삽입 결합되며 작물(3)의 뿌리 측이 무화공간(49)으로 연장되게 내측에 관통되어 제1중공(43)과 연통되는 제2중공(47)이 형성되는 지지관(46)을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구(41)는 메인생장관(42) 또는 지지관(46) 내에 수용되게 형성되며 작물의 뿌리가 관통연장되게 내측이 관통형성되어 작물을 고정하는 작물고정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작물고정부재는 무화된 양액의 수분이 흡수될 수 있는 플로랄폼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다수의 재배판(31)은 무화공간을 최대한 폐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양측과 하단 양측이 폭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회동지지판(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다르게 다수의 재배판(31)은 서로 분리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그리고, 동일한 갯수의 재배판(31)과 회동지지판(41)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다수의 그룹이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각 그룹은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가져, 그룹별로 분리하여 세척 또는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ame number of
메인생장관(42)은 타측 단부에 외경이 확장되어 재배판(31)의 일면과 접하는 제1플랜지(44)가 형성되고, 지지관(46)은 재배판(31)에 인접한 외주면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재배판의 타면과 접하는 제2플랜지(48)를 구비한다. The
재배판 순환지지유닛(50)은 다수의 재배판(31)을 무한 궤도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재배판(31)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며, 메인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재배판(31)이 순환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cultiva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50 support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재배판 순환지지유닛(50)은 상부레일(51)과, 하부레일(61), 다수의 레일수직연결바(69)와, 제1폐궤도 체인(71)과, 제2폐궤도 체인(81)과, 구동부(91)와, 베이스프레임(117)을 구비한다.The distribu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50 includes an
상부레일(51)은 타원 링 형상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며 수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다. 하부레일(61)은 베이스프레임(117)에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내부공간(67)이 형성된다. The upper rails 51 are formed to exten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n elliptical ring shape and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상부레일(5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내부공간(52)이 형성된다. 상부레일(51)은 상바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수직연결바(69)의 상단에 지지되며, 하부레일(61)은 레일수직연결바(69)의 하단과 연결된다. The
상부레일(51)과 하부레일(61)은 상호 마주하는 하단 및 상단에 제1내부공간(52)과 제2내부공간(67)에 각각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무한궤도홀(53,68)이 각각 형성된다.The
상부레일은(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15)와 마주하는 일측에 측부와 상부가 개방된 절제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재배판 순환지지유닛(50)은 상부레일(51)의 절제부(56)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절제부(56)를 덮을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되 횡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된 절제부 커버(58)를 구비한다. 절제부커버(58)는 일단이 상부레일(51)의 절제부(56)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된 위치에 따라 절제부(56)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절재부커버(58)는 재배판(31)을 상부레일(51)과 하부레일(61)로부터 이탈이 용이하게 제1폐궤도 체인(71)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베이스프레임(117)은 하부레일(61)이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하부레일(61)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무화공급부(110)의 무화공급관(112) 설치를 위하여 50cm 내외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리고, 단위작물재배유닛은 한 쌍의 구획판과 함께 재배공간(11)을 구획공간(12)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재배공간(11)의 하부가 구획되게 베이스프레임(117)을 감싸는 프레임커버(19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is a frame cover surrounding the
제1폐궤도체인(71)은 상부레일(51)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내부공간(52)에 배치되며 일측과 타측이 연결된 무한궤도 형태로 연장되며 재배판(31)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82)가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설치된다. The first
제2폐궤도체인(81)은 하부레일(61)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2내부공간(67)에 배치되며 일측과 타측이 연결된 무한궤도 형태로 연장되며 재배판(3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86)가 연장방향을 따라 제1지지부재(82)에 대응되는 하방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된다.The second
제1폐궤도체인(71)과 제2폐궤도체인(81)은 동일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상부레일(51) 또는 하부레일(61)의 폭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한 쌍의 제1링크(73)와, 각 한 쌍의 제1링크(73)를 관통하며 회전가능한 다수의 수평축(74)과, 각 한 쌍의 제1링크(73)에 대해 돌출된 수평축 양측에 장착되어 다수의 한 쌍의 수직롤러(72)와, 좌우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한 쌍의 제2링크(77)와, 각 한 쌍의 제2링크(77)를 각각 관통하며 회전가능한 다수의 수직축(78)과, 각 한 쌍의 제2링크(77) 사이에 위치되게 수직축에 관통장착되는 다수의 수평롤러(76)와,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제1링크(73)의 일측 또는 타측과 한 쌍의 제2링크(77)의 일측 또는 타측에 관통되어 한 쌍의 제1링크(73)와 한 쌍의 제2링크(77)를 연결하는 다수의 십자축(75)을 구비한다.The first
제1지지부재(82)는 상부레일(51)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수직롤러(72)를 지지하는 수평축(74)이 관통되는 제1수평축관통부(83)와, 제1수평축관통부(83)의 하단에서 걸림부(36)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에 네크부(35)를 사이에 두고 걸림부(36)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복수의 후크부(85)가 형성된 제1레일돌출부(84)를 구비한다.The
제2지지부재(86)는 하부레일(61)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제2폐궤도체인(81)의 수직롤러(72)를 지지하는 수평축(74)이 관통되는 제2수평축관통부(87)와, 제2수평축관통부(87)의 상단에서 재배판본체부(31)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에 하부체결부(37)가 수용되게 하방으로 인입된 체결부수용홈(89)이 형성된 제2레일돌출부(88)를 구비한다.The
도 4를 참고하면, 하부체결부(37)는 재배판본체부(32)의 하단에 재배판본체부(32)의 폭 보다 짧은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되되, 역계단 형태로 폭이 좁아지게 돌출 형성되어, 체결부수용홈(89)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탄성지지판(90)에 양측이 지지되는 승강체결부(38)와, 승강체결부(38)의 하단 중심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탄성지지판(90)들 사이에 위치되어 재배판(31)의 승강 방향을 상하로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 돌기(39)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ure 4, 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탄성지지판(90)은 체결부수용홈(89) 길이방향 양측에 수용된 탄성스프링(미도시)의 상단에 장착되어 승강가능하여, 하부체결부(37)의 승강체결부(38)를 탄성지지한다.Although not shown, the
구동부(91)는 상부레일의 상단 일측에 제1내부공간으로 관통형성된 연통공(54)의 상방에 위치되게 장착되어, 제1폐궤도체인(71)과 연결되어 제1 및 제2폐궤도체인(71,81)이 제1 및 제2내부공간(52,67) 내에서 각각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한다.The driving unit 91 is moun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구동부(91)는 구동부하우징(101)과, 구동모터(96)와, 복수의 구동스프라켓(92)과, 복수의 피동스프라켓(94)과, 복수의 구동체인(97)과, 다수의 기어부재(98)를 구비한다.The driving unit 91 includes a driving
구동부하우징(101)은 하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연통공(54)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레일(51)의 상단에 장착된다.The driving
구동모터(96)는 구동축(93)이 단위 작물재배유닛(30)의 폭 방향에 나란하도록, 상부레일(51)의 측부, 또는 무화공간(49)의 상방이 폐쇄되게 상부레일(51)을 덮는 제1덮개판(118)의 상단에 장착된다.The
복수의 구동스프라켓(92)은 구동모터(96)의 구동축(93)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며, 연통공(54)을 사이에 두고 제1폐궤도체인(71)의 상방에 위치된다. 복수의 피동스프라켓(94)은 구동축(93)에 나란하게 구동부하우징(101) 양 측부를 관통하는 피동축(95)에 복수의 구동스프라켓(92)이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관통장착되어, 각 구동스프라켓(92)에 대해 상부레일(5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각각 이격된다. The plurality of driving
복수의 구동체인(97)은 상부레일(5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구동스프라켓(92)과 피동스프라켓(94)을 각각 연결하며, 구동스프라켓(92)의 회전에 의해 피동스프라켓(94)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이다. The plurality of driving
다수의 기어부재(98)는 양측부에 각 구동체인들이 장착되어 상호 이격된 구동체인들을 연결하며, 구동체인(97)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설치된다. The plurality of
다수의 기어부재(98)는 한 쌍의 제2링크(77)에 대해 양측으로 돌출된 수평롤러(76)의 전후방측을 각각 구속하도록 상부레일(5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기어판(99)과, 상호 이격된 복수의 기어판(99)을 연결하며 구동체인(97)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핀(100)을 각각 구비한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기어판(99)은 구동체인(97)에 대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되 구동체인(97)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2링크(77)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돌출된 수평롤러(76)에 대해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구속돌기(99a)를 각각 구비한다.A plurality of gear plates 99 each protrud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인접한 기어부재(98)들은 제1폐궤도체인(71)의 수평롤러(76) 간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상호 이격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구동부(91)에 의해, 구동모터(96)가 구동되면서 구동축(93)과 함께 구동스프라켓(92)이 회전되면, 구동체인(97)과 함께 피동스프라켓(94)이 회전되고, 구동체인(97)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부재(98)중 제1폐궤도체인(71)과 마주하는 기어부재가 수평롤러(76)를 구속한 채로 위치이동됨에 따라 제1폐궤도체인(71)이 상부레일(51) 연장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the driving
제2폐궤도체인(81)은 제1폐궤도체인(71)의 이동에 따라 무한궤도로 위치이동되는 재배판(31)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어, 다수의 재배판(31)의 위치이동을 보조한다.The second closed
한편, 재배판 순환지지유닛(50)은 무화공간의 상방 및 하방이 폐쇄되게 상부레일(51)과 하부레일(61)을 각각 덮는 제1 및 제2덮개판(118,119)을 더 구비한다. Meanwhile, the cultiva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50 further includes first and
무화공급부(110)는 제2덮개판(119)에 관통장착되어 무화공간(49) 내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하는 무화공급관(112)과, 무화공급관(112)과 연결되어 무화공급관(112)으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하는 무화발생기(111)를 구비한다.The
무화공급부(110)는 무화공급관(112)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덮개판(118)에 관통장착되어 무화발생기(111)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무화공급부(110)는 제1덮개판(118)으로 관통된 무화공급관(112)을 더 구비할 수 도 있다.The
무화공급관(112)은 무화발생기(111)에서 연결된 메인관(115)과, 메인관(115)에서 분기되며 제2덮개판(119)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2덮개판(119)을 관통하는 다수의 분기관(113)을 구비한다.The
무화발생기(111)는 메인제어부(23) 또는 후술되는 로컬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단위 작물 재배유닛의 무화공간 내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한다. 무화발생기는 양액을 미립자화 시켜 공기와 혼합되기 쉽도록 무화공간 내로 분산시키는 것으로서, 공지된 무화발생기가 적용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5)은 재배공간과, 무화공간의 환경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정보를 전달받아 메인제어부(23)에 온도정보를 전달하며 구동모터(96)의 구동을 제어하는 로컬제어부(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manned
센서부는 하우징 본체(13) 일측에 설치되어 재배공간(11)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121)와, 무화공간(49) 측의 제1 또는 제2덮개판(118,119), 상부레일(51) 또는 하부레일(61) 중 일측에 장착되어 무화공간(49)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122)구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제1온도센서(121)는 다수 개 구비되어 각 구획공간(1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부는 습도센서 등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각종 센서들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5)은 제1온도센서(121)에 감지된 하우징본체(13) 온도에 따라 송풍팬(21)을 통해 유입된 외기의 온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온풍 장치 또는 냉풍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ensors necessary for cultivation of crops, such as a humidity sensor. A hot air device or a cold air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조명부(102)는 다수의 구획공간(12) 중, 어느 한 상기 구획공간(12a)에 설치되고 인접한 구획공간(12b)을 건너서 다음 구획공간(12a)에 설치된다. 조명부(102)는 설치된 구획공간(12) 내에서 상호 인접한 단위 작물재배유닛(30)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에 위치한 단위 작물재배유닛(30)으로 작물 생장에 필요한 광을 각각 조사한다.The
조명부(102)는 마주하는 단위 작물 재배유닛(30) 사이에서 단위 작물 재배유닛(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단위 작물재배유닛(30)의 상부측의 높이 까지 연장된 지지프레임(103)과, 지지프레임(130)의 상단 측부에서 마주하는 단위 작물재배유닛(30)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 측에는 작물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유닛(105)이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바(104)를 구비한다.The
다수의 거치바(104)는 단위 작물재배유닛(3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다.A plurality of mounting
발광유닛(105)은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거치바(104)에 걸쳐져 상하 및 단위 작물재배유닛(30)의 길이방향으로 펼쳐지는 메쉬부재(106)와, 메쉬부재(106)에 장착되어 메쉬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발광부재(107)를 구비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105 is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and is mounted on the
발광부재(107)는 베터리와 같은 자체 충전전력이 적용되거나, 메쉬부재(106)를 따라 전원선(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는 일반적인 엘이디(l.e.d) 모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한편, 메인제어부(23)는 작물의 생장이 완료되면 수확을 위해, 생장이 완료된 재배판(31)을 순차적으로 개폐도어(15) 측으로 이동되게 제1폐궤도체인(71)이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구동모터(96)를 구동시킨다. 또한 메인제어부(23)는 일정간격 및 일정시간 동안 무화공간(49)로 무화된 양액 공급을 위해 무화발생기(1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제어부(23)는 작물이 일정시간 동안 조명부(102)로부터 광을 조사받은 후, 조명부가 배치되지 않는 구획공간(12b)으로 위치되게 구동모터(96)가 구동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 unit 23 rotates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5)은 원경에서 구동모터와 무화발생기의 구동제어와, 하우스(10) 내의 작물생장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메인제어부(23)와 연결된 통신부(25)와, 관리자단말기(28)와, 메인서버(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manned
먼저, 각 단위 작물재배유닛의 로컬제어부(123)는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메인제어부(23)에 전달하며, 메인제어부(23)에 전달된 정보는 통신부(25)를 통해 관리자단말기(28)로 전달될 수 있다.First, the
로컬제어부는 일반적인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가 적용될 수 있으며, 센서부에서 감지된 재배공간(11) 또는 무화공간(49) 정보는 메인제어부(23)에서 통신부(25)를 통해로 전송할 수 있으면 한정되지는 한는다.A general microcontroller unit can be applied to the local control unit, and the
메인제어부(23) 각 단위 작물재배유닛(30)의 로컬제어부(123)와 각각 연결되어 각 단위작물재배유닛(30)의 무화공간(49) 상태 정보와, 재배공간(49) 상태 정보를 통신부(25)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23 is connected to the
통신부(143)는 24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무선통신 송수신 모The communication unit 143 is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reception mode using a 24 GHz frequency band.
듈이 적용될 수 있으며, 메인제어부(23)에서 전달된 재배공간(11) 또는 무화공간(49)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서버(26)와 관리자 단말기(28)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크워크는 인터넷 등 유무선 망이 적용된다.module can be applied, and the
메인제어부(23)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공간()과 각 단위작물재배유닛(30)의 무화공간(49)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 시 점등되는 다수의 정상표시램프(미도시)와, 온도가 설정된 기준값 이하 시 점등되는 다수의 비정상표시램프(미도시)를 포함하는 표시부 구비할 수 있다. 않을 때 이를 감지하여 비정상표시램프가 점등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main control unit 23 is a plurality of normal display lamps (not shown) that are turned 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 ) and the atomization space 49 of each unit
메인서버(26)는 통신부(25)를 통해 메인제어부(23)에서 송출된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DB)(27)에 저장한다. 또한, 메인서버(26)는 이상 온도 및 습도 상태정보 예를 들면, 센서부에서 검출된 온도 및 습도 정보가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등록된 관리자의 데스크탑, 핸드폰 또는 PDA와 같은 관리자 단말기(28)로 알람 정보를 송출한다The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관리자 단말기(28)를 이용하여 메인제어부(23)를 통해 로컬제어부(123)에 구동모터(96)와 무화발생기(111)의 구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28)를 이용하여 이송컨베이어(17)와 송풍팬(21)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manager will be able to input driving commands for the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5)은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재배판(31)에 상하방향으로 작물이 수용되는 재배구(41)가 설치되어, 간결한 구조로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많은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unmanned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5)은 단위 작물재배유닛(30)이 다수의 재배판(31)이 무한궤도로 순환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재배공간(11)에 투입될 필요없이 재배공간(11)의 외측에서 작물을 수확하거나 재배판(31)을 관리할 수 있어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 됨에 따라 단위면적당 재배 작물의 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unmanned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5)은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재배판(31)들에 의해 형성된 무화공간으로 확산이 용이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하여 뿌리 측에 작물에 필요한 양분을 직접 공급하므로 관리효율 및 작물의 생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9 shows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의 거치바(204)는 작물의 종류나 작물의 발육상태에 따라 발광유닛(105)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 신축가능하게 적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의 구조와 동일하다.The holding
거치바(204)는 지지프레임(103)에 장착되는 실린더부(205)와, 실린더부(205)에 일측이 수용되어 실린더부(205)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며 돌출된 단부에 메쉬부재(106)가 거치되는 고리(207)가 형성된 로드(206)를 구비한다.The mounting
거치바(204)는 실린더부(205) 내에 유체가 공급되어 로드의 돌출된 길이가 적용되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로드(206)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래크기어(미도시)가 형성되고, 실린더부(205)의 외주면 측 또는 지지프레임(103)에 장착되는 길이조절 구동모터(미도시)와, 길이조절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래크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미도시)를 구비할 수 도 있다.The mounting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은 발광유닛이 작물과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어, 작물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crop can be adjusted, and thus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crop.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표기한다.Meanwhile, FIG. 10 shows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은 제1 및 제2지지부재, 재배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의 구조와 동일하다.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nd the cultivation plate.
재배판(231)은 재배판본체부(32)와; 재배판본체부(32)의 상단 중심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부가 단턱지게 계단형태로 형성된 체결돌기(235)를 갖는 상부체결부(234)와; 재배판본체부(32)의 하단에 재배판본체부(32)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체결부(37);를 구비한다.The cultivation plate 231 includes a
제1지지부재(282)는 상부레일(51)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제1폐궤도체인(71)의 수직롤러(72)를 지지하는 수평축(74)이 관통되는 제1수평축관통부(283)와, 제1수평축관통부(283)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에서 상방으로 체결돌기(2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된 체결홈(285)이 형성된 체결캡부(284)를 구비한다.The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은 재배판을 탄성지지판()이 하강되게 하방으로 당겨 체결돌기(235)를 체결캡부(28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재배판 세척 및 교환이 용이하므로 관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이상, 본 발명의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5 :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 10 : 하우스
11 : 재배공간 12 : 구획공간
15 : 개폐도어 23 : 메인제어부
25 : 통신부 28 : 관리자단말기
30 : 단위 작물재배유닛 31 : 재배판
32 : 재배판본체부 34 : 상부체결부
37 : 하부체결부 40 : 회동지지판
41 : 재배구 49 : 무화공간
50 : 재배판 순환지지유닛 51 : 상부레일
61 : 하부레일 71 : 제1폐궤도체인
81 : 제2폐궤도 체인 82 : 제1지지부재
86 : 제2지지부재 91 : 구동부
102 : 조명부 110 : 무화공급부
123 : 로컬제어부5: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10: House
11: cultivation space 12: compartment space
15: opening/closing door 23: main control unit
25: communication unit 28: manager terminal
30: unit crop cultivation unit 31: cultivation plate
32: cultivation plate body part 34: upper fastening part
37: lower fastening part 40: rotation support plate
41: cultivation area 49: atomization space
50: cultiva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51: upper rail
61: lower rail 71: first closed track chain
81: second closed track chain 82: first support member
86: second support member 91: driving unit
102: lighting unit 110: atomization supply unit
123: local control unit
Claims (9)
상기 하우스의 상기 재배공간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재배판이 폭 방향 각 측부가 마주하도록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되어 수평방향으로 순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작물재배유닛;을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재배판은
상호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되어 각 일면은 외측을 향하며 각 타면은 상호 마주하여 상기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액이 무화되어 공급되는 무화공간을 형성하며, 작물이 수용가능하며 상기 무화공간과 연통되게 내측이 관통형성된 재배구가 장착되는 다수의 거치공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은
다수의 상기 재배판을 무한 궤도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재배판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재배판 순환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판 순환지지유닛은
각각 타원 링 형상으로 각각 연장되어 수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내부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하단 및 상단에 상기 제1 또는 제2내부공간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무한궤도홀이 각각 형성된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무한궤도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재배판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가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제1폐궤도 체인과,
상기 하부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2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재배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가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제2폐궤도 체인과,
상기 제1 및 제2폐궤도체인이 상기 제1 및 제2내부공간 내에서 각각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상기 상부레일에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관통형성된 연통공을 통해 상기 제1 폐궤도체인에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A house in which a growing space is formed in which crops are grown by being block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 plurality of cultivation plates installed in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hous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 caterpillar form so that each side in the width direction faces each other, and at least one unit crop cultivation unit that can be circul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cultivation plates
They are arranged in the form of mutual caterpillars so that each one side faces outward and each other side faces each other to form an atomization spac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crop is atomized and supplied, and the crop can be accommodated and the insid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tomization spac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n which the through-formed cultivation sphere is mounted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is
and a culture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suppor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ulture plates so as to circulate the plurality of culture plates in an endless orbit,
The cultiva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is
Each extending in the shape of an elliptical r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inner spac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respectively,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r second inner spaces at the lower and upper ends facing each other An upper rail and a lower rail each having first and second caterpillar holes which are formed through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 first closed track chain disposed in the first inner spa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pper rail, extending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and having first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distribution plat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class,
A second closed track chain disposed in the second inner spa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wer rail, extending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and having second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lat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class,
The first and second closed track chains are rotated in endless tracks within the first and second inner spaces, respectively, to the first closed track chain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rail into the first inner space.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comprising: a drive chain that is rotated in engagement; and at least one drive unit including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chain.
관리자가 상기 재배공간으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 단위작물재배유닛에서 재배된 상기 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작물재배유닛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재배공간을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작물재배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e is
so that the manager can harvest the crops grown in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without entering the cultivation space,
and at least one opening/closing door for opening the cultivation space at a position fac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내부에 연장방향으로 관통된 제1중공이 형성되되 개방된 일측이 상방을 향하며 개방된 타측이 상기 재배판을 향하도록 굴곡 형성되며 작물의 줄기 측이 위치되는 메인생장관과,
상기 거치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생장관과 결합되며 작물의 뿌리 측이 상기 무화공간으로 연장되게 내측에 관통되 제2중공이 형성되는 지지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lture zone is
A first hollow penetrating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formed therein, the open one side faces upward and the other open side is bent so as to face the cultivation plate, and a main growth tube in which the stem side of the crop is located;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main growth tube through the hole and includes a support tube that penetrates inside so that the root side of the crop extends into the atomization space and a second hollow is formed.
상기 거치공이 관통 형성되는 재배판본체부와;
상기 재배판본체부의 상단 중심측에 상방으로 연장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상단에서 상기 재배판본체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상부체결부와;
상기 재배판본체부이 하단에 상기 재배판본체부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상부레일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상기 제1폐궤도체인의 수직롤러를 지지하는 수평축이 관통되는 제1수평축관통부와,
상기 제1수평축관통부의 하단에서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에 상기 네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부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복수의 후크부가 형성된 제1레일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부레일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상기 제2폐궤도체인의 수직롤러를 지지하는 수평축이 관통되는 제2수평축관통부와,
상기 제2수평축관통부의 상단에서 상기 재배판본체부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에 상기 하부체결부가 수용되게 하방으로 인입된 체결부수용홈이 형성된 제2레일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작물재배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ltivation plate
a cultivation plate body through which the mounting hole is formed;
an upper fastening part including a neck part extending upwardly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and a bar-shaped engaging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neck part;
and a lower fastening part protruding downward to a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at the lower end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The first support member is
A first horizontal shaft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a horizontal shaft supporting the vertical roller of the first closed track chain that roll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ail passes;
A first rail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ar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haft penetration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hook parts extending downwardly having the neck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opening upwar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locking part. It has a protrusion,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a second horizontal axis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a horizontal axis supporting the vertical roller of the second closed track chain roll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ail passes;
A second rail protrus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haft penetrating part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and having a fastening part accommodating groove drawn downward to accommodate the lower fastening part at the upper end is provided.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상기 거치공이 관통 형성되는 재배판본체부와;
상기 재배판본체부의 상단 중심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부가 단턱지게 계단형태로 형성된 체결돌기를 갖는 상부체결부와;
상기 재배판본체부이 하단에 상기 재배판본체부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상부레일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상기 제1폐궤도체인의 수직롤러를 지지하는 수평축이 관통되는 제1수평축관통부와,
상기 제1수평축관통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에서 상방으로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된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부레일의 내주면 하단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상기 제2폐궤도체인의 수직롤러를 지지하는 수평축이 관통되는 제2수평축관통부와,
상기 제2수평축관통부의 상단에서 상기 재배판본체부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에 상기 하부체결부가 수용되게 하방으로 인입된 체결부수용홈이 형성된 제2레일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작물재배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ltivation plate
a cultivation plate body through which the mounting hole is formed;
an upper fastening part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upwardly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and has an upper part formed in a stepped shape;
and a lower fastening part protruding downward to a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at the lower end of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The first support member is
A first horizontal shaft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a horizontal shaft supporting the vertical roller of the first closed track chain that roll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ail passes;
and a fastening cap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haft penetration part and having a fastening groove drawn in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upwardly from the lower e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a second horizontal axis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a horizontal axis supporting the vertical roller of the second closed track chain roll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ail passes;
A second rail protrus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haft penetrating part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plate body part and having a fastening part accommodating groove drawn downward to accommodate the lower fastening part at the upper end is provided.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상기 하부레일이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부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무화공간의 상방 및 하방이 폐쇄되게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을 각각 덮는 제1 및 제2덮개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덮개판에 관통장착되어 상기 무화공간 내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하는 무화공급관과, 상기 무화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무화공급관으로 무화된 양액을 공급하는 무화발생기를 포함하는 무화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작물재배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ltivation plate circulation support unit
A base frame supporting the lower rail so that the lower rail is spaced upwardly from the ground, and first and second cover plates respectively covering the upper rail and the lower rail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tomization space are closed. provided,
An atomization supply unit including an atomization supply pipe mounted through the first or second cover plate to supply the atomized nutrient solution into the atomization space, and an atomization generator connected to the atomization supply pipe and supplying the atomized nutrient solution to the atomization supply pipe;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은 상기 하우스 내에 나란하게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하우스는
상기 재배공간을 형성하며 다수의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이 설치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의 길이방향 양측에 마주하도록 각각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의 길이방향에 대한 좌우측을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과 함께 상기 재배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한 쌍의 구획판과,
다수의 상기 구획공간 중, 어느 한 상기 구획공간에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구획공간을 건너서 다음 상기 구획공간에 설치되며, 설치된 상기 구획공간 내에서 상호 인접한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에 위치한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으로 작물 생장에 필요한 광을 각각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s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house,
the house is
a housing body forming the cultivation space and in which a plurality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s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units installed in the housing body to fac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and partitioning the cultivation space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together with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a pair of partition plates of
Amo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spaces, installed in one of the partition spaces and installed in the next partition space across the adjacent partition space, installed between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stalled partition space, and located on both sides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each irradiating light necessary for crop growth as a unit crop cultivation unit.
마주하는 상기 단위 작물 재배유닛 사이에서 상기 단위 작물 재배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의 상부측의 높이 까지 연장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부에서 마주하는 상기 단위 작물재배유닛 방향으로 돌출되며 단부측에는 작물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이 거치되는 거치바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바는
작물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작물 재배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ighting unit
a support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between the facing unit crop cultivation units and extending to the he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I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unit crop cultivation unit facing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has a support bar on its end side o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irradiating light to the crop is mounted,
The cradle bar
An unmanned crop cultiv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adjustable so that the distan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ro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470A KR102328541B1 (en) | 2019-11-05 | 2019-11-05 | Unmaned crop cultiv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470A KR102328541B1 (en) | 2019-11-05 | 2019-11-05 | Unmaned crop cultiv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4383A KR20210054383A (en) | 2021-05-13 |
KR102328541B1 true KR102328541B1 (en) | 2021-11-17 |
Family
ID=7591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0470A Active KR102328541B1 (en) | 2019-11-05 | 2019-11-05 | Unmaned crop cultiv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854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2575A (en) * | 2023-02-27 | 2024-09-04 | 주식회사 흙지움 | Rotating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
WO2024248507A2 (en) * | 2023-05-30 | 2024-12-05 | 탁승호 | Unmanned automatic cultivation non-stop organic smart farm system |
KR102572036B1 (en) * | 2023-05-30 | 2023-08-29 | 탁승호 | Organic non-stop fault tolerant automatic cultivating smart farm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3859B1 (en) * | 2010-08-06 | 2013-05-13 | 박영환 | Automati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
JP2017127199A (en) * | 2016-01-18 | 2017-07-27 | 本多電子株式会社 | Vertical-type cultivation apparatus with ultrasonic atomization |
US20190045722A1 (en) * | 2014-06-06 | 2019-02-14 | RackREIT, LLC |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5621U (en) * | 1998-02-10 | 1998-10-07 | 한정식 | Mushroom Cultivation Equipment |
KR101481429B1 (en) | 2013-08-20 | 2015-01-13 |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 Circulation system for crops cultivation |
KR200481257Y1 (en) | 2014-11-05 | 2016-09-05 | 임선섭 | Multi Layers Cultivation Device of Crop |
-
2019
- 2019-11-05 KR KR1020190140470A patent/KR1023285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3859B1 (en) * | 2010-08-06 | 2013-05-13 | 박영환 | Automati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
US20190045722A1 (en) * | 2014-06-06 | 2019-02-14 | RackREIT, LLC |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
JP2017127199A (en) * | 2016-01-18 | 2017-07-27 | 本多電子株式会社 | Vertical-type cultivation apparatus with ultrasonic atomiz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4383A (en) | 2021-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762415C2 (en) | Automatic modular system for managing vertical farms | |
JP6865974B2 (en)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 |
KR102328541B1 (en) | Unmaned crop cultivation system) | |
EP3500088B1 (en) | Modular farm with carousel system | |
KR102654971B1 (en) | A device that promotes plant growth | |
KR101229048B1 (en) | Rotate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 |
AU201728781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 |
US11596109B2 (en) | High density plant growth systems and methods | |
EP3292750A1 (en) | Sapling cultivation apparatus and sapling cultivation method | |
KR101022025B1 (en) | Plant growing equipment | |
US20110232186A1 (en) | Semi-automated crop production system | |
KR101481429B1 (en) | Circulation system for crops cultivation | |
JP2016150001A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 |
KR101763514B1 (en) | A plant cultivation system | |
KR20160015888A (en) | Rotate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 |
KR100921605B1 (en) | Horizontal crop cultivator improves cultivation efficiency | |
KR100226152B1 (en) | Multi-step feed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2514289B1 (en) | Smart Farm Plant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 |
KR20200106792A (en) | Vertical type water culturing system using container type | |
CN218897837U (en) | Box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transport means | |
KR20250031047A (en) | plant growing apparatus | |
KR20230065088A (en) | Smart farm system using fogponic | |
PT109703B (en) | SYSTEM FOR VERTICAL PRODUCTION OF PLANTS USING THE HYDROPONICS METHOD | |
KR20070093577A (en) | Collapsed roof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