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180B1 - Appara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of the aged - Google Patents
Appara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of the ag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7180B1 KR102327180B1 KR1020190147012A KR20190147012A KR102327180B1 KR 102327180 B1 KR102327180 B1 KR 102327180B1 KR 1020190147012 A KR1020190147012 A KR 1020190147012A KR 20190147012 A KR20190147012 A KR 20190147012A KR 102327180 B1 KR102327180 B1 KR 1023271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lth
- information
- elderly
- terminal
- provi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관의 건강검진정보, 생활정보 및 정신건강 등의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별 생활습관 및 건강검진정보 등의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하여 고령자의 만성질환 이환을 낮추고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건강목표를 설정한 후, 목표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고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건강기록을 단순히 질병을 관리하는 것이 아닌 고령자의 홈헬스 즉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스스로 건강관리 활동을 습관화시킴으로써 고령자 자신이 건강관리의 주체가 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personal health records such as health checkup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mental health of medical institutions, and using personal health records such as individual lifestyle and health checkup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lower the morbidity of chronic diseases and maintain health in the elderly. After setting a health go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ing health record data of the elderly that can provide content according to the goal and check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elderly themselves become the subject of health management by making personal health records a habit of self-health management based on the contents provided, that is, the home health of the elderly, rather than simply managing diseas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료기관의 건강검진정보, 생활정보 및 정진건강 등의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하여 고령자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health record data of the elderly, and more specifically, content that helps the elderly in health management using personal health records such as health checkup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Jeongjin Health from medical institutions. It relates to a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ing health record data of the elderly that can provide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구 초고령화와 만성 현대병 환자의 증가로 인한 의료비 급증은 국가 기관과 개인에게 경제적 부담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건강관리에 관심이 커지면서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Recently, a surge in medical expenses due to an aging population worldwide and an increase in chronic modern disease patients is becoming an economic burden on national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In addition, as interest in health management grows, interest in health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growing.
이에 따라 진료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건강서비스는 고령자의 질환을 치료하는 목적에서 고령자의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만성질환의 예방과 지속적인 관리 중심의 서비스로 점차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만성질환 및 그 밖의 다양한 질환을 예방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누적된 고령자의 개인건강기록에 근거한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고령자의 건강 및 생활패턴에 따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Accordingly, various health services including medical treatment services are gradually changing from the purpose of treating diseases of the elderly to the prevention and continuous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based on the personal health records of the elderly.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d continuously manage chronic diseases and various other diseases, systematic health management based on the accumulated personal health records of the elderly is required. there is a need to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101660호의 건강정보 제공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키, 체중, 성별, 그리고 연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기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비만 상태와 이상 체중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비만 상태, 그리고 이상 체중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증량 또는 감량해야 하는 목표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목표량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하루에 소모해야 하는 열량인 하루 소모 열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하루 소모 열량을 이용하여 필요 운동 정보, 그리고 필요 섭취 음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방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부적합한 처방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01660 receives body information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height, weight, gender, and age from a user and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Step, calculating an obesity state and an ideal weight by using the body information, calculating a target amount to be increased or reduced by the user using the obesity state and the ideal weight, the user using the target amount Calculating daily calorie consumption that is calorie consumption per day, extracting pr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required exercise information and required food intake information using the daily calorie consumption,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Disclosed is a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removing prescription information that is inappropriate for the user from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using the metho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개인의 키, 체중 등의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섭취음식정보, 소모 열량에 따른 운동정보를 제공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고령자의 만성질환, 생활습관, 정신건강 등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여 고령자의 건강관리를 유지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only provides information on food intake and exercise information according to calories consumed for health management of the user based on body information such as individual height and weight, and chronic diseases, lifestyle habits,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sufficient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elderly by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elderl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기관의 건강검진정보, 생활정보 및 정신건강 등의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별 생활습관 및 건강검진정보 등의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하여 고령자의 만성질환 이환을 낮추고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건강목표를 설정한 후, 목표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고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such as individual lifestyle and health checkup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 health records such as health checkup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mental health of a medical institution. To provide a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ing the health record data of the elderly that can reduce the chronic disease morbidity of the elderly and maintain their health by using the record, and then provide content according to the goal and check the performance it is f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는 개인건강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건강상태 분석부,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는 목표설정부, 설정된 목표에 따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컨텐츠에 따른 미션 수행결과를 판단하여 성과를 관리하는 성과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health record data of an elderly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lth stat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 health state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goal setting unit for setting a target according to the target,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set target to the user terminal, and a performan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performance by determining the mission performance results according to the cont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인건강기록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전송되는 고령자의 생활정보 및 건강관리기관을 통하여 전송되는 고령자의 신체정보 및 진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정보는 활동지표, 식사지표, 정서지표 및 환경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ersonal health re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iving information of the elderly transmitted through a user terminal and physical information and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of the elderly transmitted through a health management institution, wherein the living information includes activity indicators, meals It may include indicators, sentiment indicators,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텐츠는 오늘의 영양정보, 오늘의 운동정보, 과거를 회상시켜 고령자의 정서안정 및 불안감 해소를 위한 가상현실영상 및 해당 고령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고령자들의 평균적인 건강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oday's nutrition information, today's exercise information, and a virtual reality image for reminiscing of the past to relieve the emotional stability and anxiety of the elderly, and the average health of the elderly in the area where the elderly li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f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는 구조자 단말에 고령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응급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health record data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management unit that transmits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to the rescuer's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응급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급코드, 구조자 단말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응급코드와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구조자 단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메세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emergenc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tches the emergency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scuer terminal phone number,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emergency code stored in advance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message using the rescuer's terminal phone numb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령자의 건강 및 생활습관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잘못된 일상생활 습관으로부터 기인한 질병을 치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nalyzing the health and lifestyle of the elderly and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ure diseases caused by wrong daily living habits.
또한 고령자로 하여금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고 또한 목표달성에 따른 성과 보상을 함에 따라 컨텐츠에 있는 미션을 수행하고자하는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various contents to the elderly, continuous interest and interest can be induced, and as performance rewards are reward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goal, it can motivate them to perform the mission in the contents.
개인건강기록을 단순히 질병을 관리하는 것이 아닌 고령자의 홈헬스 즉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스스로 건강관리 활동을 습관화시킴으로써 고령자 자신이 건강관리의 주체가 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elderly themselves become the subject of health management by habituating their own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based on the contents provided, that is, the home health of the elderly, rather than simply managing dise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정보 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된 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정보 제공장치를 통하여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목표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목표에 따른 성과를 검증하기 위한 관리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가 응급상황에 처하였을 경우, 건강상태 정보를 구조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health record data of an elderly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vision of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zed health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contents for managing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through the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the personal health record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customized content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health goal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B are management screens for verify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 target according to the provid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health state information to a rescuer terminal when an elderly person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Also,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health record data of an elderly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강정보 제공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고령자의 생활정보 및 건강관리기관(20)을 통하여 고령자의 신체정보 및 진료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기록정보를 생성, 관리하고, 상기 건강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고령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health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정보 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건강정보 제공장치(1000)는 건강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컨텐츠의 고령자의 미션수행에 따른 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부(100) 및 데이터베이스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lth
어플리케이션부(100)는 프로그램의 실행 환경과 데이터베이스 접속 기능을 갖으며, 여러개의 트랜잭션을 갖고, 요청되는 업무를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된 건강기록정보(210), 건강맵 정보(220), 컨텐츠 정보(230), 성과 관리 정보(240) 등을 이용하여 고령자에게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생활정보 및 병원, 건강보험공단 등의 건강관리기관(20)으로부터 진료기록 및 건강검진기록 등의 의료정보를 네트워크 망(1)을 통하여 입력받아 고령자의 건강기록정보(PHR : Personal Health Record)를 생성, 관리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5를 참고하면, 각각의 목표 질환에 따른 건강기록정보(PHR)를 생성, 관리하기 위하여 건강관리기관으로부터 입원기록, 퇴원기록 등의 진료기록 및 신체검진에 따른 비만지표, 시각지표, 청각지표, 혈압지표, 당뇨지표, 이상지질혈증지표, 신장질환 지표 등의 항목으로 분류되고 해당 항목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록정보(PHR)는 활동시간, 활동강도, 스포츠레져 야외활동빈도, 이동수단 등의 활동지표, 식사횟수, 시간, 식사량, 섭취음식, 수분섭취 등의 식사지표, 수면시간, 불면증정도, 정서상태, 불안감정도 등의 정서지표 및 가정, 사회, 직장 관계, 사회활동 및 인간관계, 심리적 위축상태 등의 환경지표 등을 포함하는 생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활정보는 건강정보 제공장치(1000)에서 사용자 단말(10)로 사용자의 생활정보에 대한 각 지표들이 기재된 문진 항목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문진 항목 정보를 전송받아 생성, 관리될 수 있다. 5 is a view showing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the personal health record of an elderly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n order to create and manage health record information (PHR) according to each target disease It is classified into items such as obesity index, visual index, auditory index, blood pressure index, diabetes index, dyslipidemia index, kidney disease index, etc. It may contain any necessary data. In addition, health record information (PHR) includes activity indicators such as activity time, activity intensity, frequency of outdoor activities in sports and leisure, means of transportation, number of meals, time, amount of meals, food intake, water intake, etc., sleep time, degree of insomnia, It can include life information including emotional indicators such as emotional state and anxiety level,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such as family, social and work relationships, social activities and human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atrophy. Here, the liv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ransmitting the questionnaire item information in which each index of the user's living information is written from the health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00)는 고령자의 건강상태분석에 따른 신체활동목표, 신체영양목표 및 질환치유목표 등의 각각의 목표에 따른 컨텐츠의 내용, 시기, 방법 등을 전체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건강맵 정보(220), 상기 건강맵 정보에 따라 고령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를 생성, 저장하는 컨텐츠 정보(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200)는 고령자에게 제공된 컨텐츠의 미션 수행정도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성과를 정리하여 성과 관리정보(240)를 생성하고, 상기 성과 관리정보는 성과에 따른 각각의 보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어플리케이션부(100)는 건강상태 분석부(110), 목표 설정부(120), 컨텐츠 제공부(130) 및 성과 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된 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 도 3을 참고하면, 건강상태 분석부(110)는 데이터베이스(200)의 건강기록정보(210)를 이용하여, 고령자의 신체검진에 따른 예측되는 질환 위험성 정도, 진료기록에 따른 현재 가지고 있는 만성질환과의 활동지표, 식사지표, 정서지표, 환경지표의 각각의 지표에 연령, 직업, 소득, 병원방문빈도 등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호 연관성을 이용하여 지수화하여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목표설정부(120)는 건강상태 분석부(110)의 분석결과 질환위험지수, 활동지수, 식사지수, 정서지수 및 환경 지수 등의 결과에 따른 현재 고령자에게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순서에 맞는 목표(121)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목표설정부(120)는 현재 고령자에게 취약하여 관리되어야 하는 건강목표를 신체활동목표, 신체영양목표, 정신목표 및 질환관리목표로 분류하여 각 건강관리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건강상태 분석부의 분석결과 식사량이 고령자가 속하는 해당 그룹의 미리 설정된 평균이하일 경우, 현재 식사량과 평균 식사량과의 이격정도를 파악하고, 상기 이격정도에 따른 식사량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목표 설정부(120)는 각각의 목표(121)에 따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달성기간, 제공되는 컨텐츠(131)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건강맵 정보(220)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건강맵 정보(220)는 분석된 생활패턴에 따라 정하여진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령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컨텐츠 정보와의 매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n analyzed health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health
도 6a 내지 도6c의 건강목표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참고하면,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230)는 각각의 목표에 따라 최신 건강정보를 고령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오늘의 영양정보, 오늘의 운동정보 등의 카드 뉴스형태로 고령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도 6a 참조). 또한 컨텐츠 정보(230)는 과거를 회상시켜 고령자의 정서안정 및 불안감 해소를 위하여 전통 마당극, 소달구지 체험 등의 가상현실영상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영상은 숙면을 돕는 음성과 배경음향을 포함할 수 있다(도 6b 참조). 또한 컨텐츠 정보(230)는 개인건강기록정보(PHR)상의 건강검진 결과와 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결합하여 해당 고령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고령자들의 평균적인 건강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령자 본인의 건강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높일 수 있다(도 6c 참조). Referring to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health goal setting of FIGS. 6A to 6C , the
컨텐츠 제공부(130)는 건강맵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목표에 따라 매칭된 컨텐츠를 목표시기 및 목표 횟수에 의한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열람 또는 시청하였다는 확인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건강기록정보에 미리 저장된 고령자의 보호자 또는 사회복지사로 해당 고령자가 컨텐츠를 열람하지 않았다는 내용의 메세지를 발송함으로써 고령자의 미션실행을 관리할 수 있다. The
성과 관리부(140)는 고령자에게 제공된 컨텐츠의 수행여부를 판단하여 성과를 관리정보(240)에 저장 관리할수 있다. The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목표에 따른 성과를 검증하기 위한 관리화면으로 도 7a를 참고하면, 건강정보 제공장치(1000)는 해당 고령자에 맞는 목표에 따른 컨텐츠(미션)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7A to 7B are management screens for verifying a performance according to a target according to the provid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A , the health
예를 들어 도 7b를 참고하면, 해당 고령자의 목표는 신체영양목표로 해당일에 신체영양목표에 따른 미션이 하루 3끼먹기일 경우, 고령자는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각 식사 사진 또는 동영상을 건강정보 제공장치(1000)로 전송하고, 건강정보 제공장치의 성과 관리부(140) 객체인식알고리즘을 통하여 음식 및 영상을 분석하여 미션 수행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성과 관리부(140)는 해당 성과 관리에 따른 보상을 고령자에게 제공함으로서 고령자의 미션실행 동기를 높일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B , the target of the elderly is a physical nutrition goal, and when the mission according to the body nutrition goal on the day is to eat three meals a day, the elderly person uses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가 응급상황에 처하였을 경우, 건강상태 정보를 구조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health state information to a rescuer terminal when an elderly person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건강정보 제공장치(1000)는 고령자의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고령자가 응급상황에 처하였을 경우, 구조자 단말에 고령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응급 관리부(150) 및 응급코드정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lth
건강정보 제공장치(1000)는 고령자에게 갑자기 응급상황이 발생시, 보호자가 없을 경우는 물론 보호자가 있는 경우에도 현재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인지하고 있지 않을 경우 구조의료진에게 고령자의 건강생활습관, 질환여부 및 복약정보 등을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응급조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health
먼저 고령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출동한 의료진은 구조자 단말을 통하여 응급코드 및 구조자 단말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10). 이 경우, 구조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은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채널이 확보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응급코드, 구조자 단말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정보를 건강정보 제공장치를 전송할 수 있다(S13). 다음으로 건강정보 제공장치의 응급 관리부(150)는 응급코드 및 사용자단말 고유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응급코드정보(250)를 이용하여 저장된 응급코드 및 사용자단말 고유식별정보와 수신된 응급코드 및 사용자단말 고유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건강기록정보(210)상의 고령자의 건강생활습관, 질환여부, 복용정보 등의 응급조치에 필요한 사항을 포함하는 건강상태정보를 구조자 단말로 메세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S15).First, the medical staff dispatched to the elderly in an emergency situation may transmit the emergency code and the rescuer terminal phone numbe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scuer terminal (S10). In this case, the rescu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hannel is secure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or the like. Next,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received emergency code, rescuer terminal phone number,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S13). Next, the
여기서 응급코드는 시간동기에 따른 OTP타입, 암호키 생성 모듈 등의 각 기관의 응급코드 관리서버를 통하여 생성, 관리될 수 있으며, 건강정보 제공장치는 상기 발생된 응급코드를 상기 응급코드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응급코드가 확인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고령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구조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Here, the emergency code may be generated and managed through an emergency code management server of each institution, such as an OTP type according to time synchronization and an encryption key generation module, and the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ransmits the generated emergency code from the emergency code management server. When receiving and checking the emergency code,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can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rescuer's terminal.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carry out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사용자단말 20:건강관리기관
100:어플리케이션부 110:건강상태 분석부
120:목표 설정부 121:건강목표
130:컨텐츠 제공부 131:컨텐츠
140:성과 관리부
150:응급 관리부 200:데이터베이스부
210:건강기록정보 220:건강맵정보
230:컨텐츠정보 240:성과 관리정보
250:응급코드정보 260:법률요건정보
1000:건강정보 제공장치10: user terminal 20: health management institution
100: application unit 110: health state analysis unit
120: goal setting unit 121: health goal
130: content providing unit 131: content
140: performance management department
150: emergency management unit 200: database unit
210: health record information 220: health map information
230: content information 240: performance management information
250: Emergency code information 260: Legal requirements information
1000: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laims (5)
분석된 건강상태 결과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는 목표설정부,
설정된 목표에 따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
컨텐츠에 따른 미션 수행결과를 판단하여 성과를 관리하는 성과 관리부 및
구조자 단말에 고령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응급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 관리부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구조자 단말로부터 응급코드 및 구조자 단말 전화번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급코드, 구조자 단말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응급코드와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구조자 단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구조자 단말에 메세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
A health conditio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health conditions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information;
A goal setting unit that sets a goal according to the analyzed health status result;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content according to a set goal to a user terminal,
A performance management department that manages the performance by judging the mission performance results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Including an emergency management unit that transmits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to the rescuer terminal,
The emergency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emergency code, the rescuer terminal phone number,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code and the rescuer terminal phone number from the rescuer terminal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receives the emergency code and the user Whe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matched, the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health record data for the elderly,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transmitted to the rescuer terminal in the form of a message using the rescuer terminal phone number.
상기 개인건강기록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전송되는 고령자의 생활정보 및 건강관리기관을 통하여 전송되는 고령자의 신체정보 및 진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정보는 활동지표, 식사지표, 정서지표 및 환경지표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sonal health record includes the elderly's l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elderly's physical information and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 health management institution, and the living information includes activity indicators, eating indicators, emotional indicators,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A device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health record data of the elderly, including
상기 컨텐츠는 오늘의 영양정보, 오늘의 운동정보, 과거를 회상시켜 고령자의 정서안정 및 불안감 해소를 위한 가상현실영상 및 해당 고령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고령자들의 평균적인 건강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건강기록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is characterized by any one of today's nutrition information, today's exercise information, virtual reality images for emotional stability and anxiety relief of the elderly by recalling the past, and average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in the area where the elderly live. A device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health record data of the elder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012A KR102327180B1 (en) | 2019-11-15 | 2019-11-15 | Appara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of the ag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012A KR102327180B1 (en) | 2019-11-15 | 2019-11-15 | Appara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of the age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9499A KR20210059499A (en) | 2021-05-25 |
KR102327180B1 true KR102327180B1 (en) | 2021-11-16 |
Family
ID=7614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7012A Active KR102327180B1 (en) | 2019-11-15 | 2019-11-15 | Appara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of the ag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71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14836A1 (en) * | 2023-04-10 | 2024-10-17 | 주식회사 제이씨에프테크놀러지 |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type user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health informat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671B1 (en) * | 2005-07-29 | 2007-05-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Health care device using biological function |
KR20170101660A (en) | 2016-02-29 | 2017-09-06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rat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KR101947900B1 (en) * | 2017-04-26 | 2019-03-11 | 주식회사 디엔제이휴먼케어 | A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
-
2019
- 2019-11-15 KR KR1020190147012A patent/KR10232718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9499A (en) | 202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Vitacca et al. | How will telemedicine change clinical practic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
Wright et al. | Million Hearts 2022: small steps are needed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 |
US20190287144A1 (en) |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Feedback Collection And Analysis | |
Nahm et al. | The effects of a theory-based patient portal e-learning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chronic illnesses | |
Sastre-Garriga et al. | Keeping standards of multiple sclerosis care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 |
Perlman et al. | Health and wellness coaching in serving the needs of today’s patients: a primer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 |
CN104471597A (en) |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care plan management | |
Latham | Progressive and accelerated disability onset by race/ethnicity and education among late midlife and older adults | |
Brotherton et al. | US graduate medical education, 2001-2002: changing dynamics | |
Zangalli et al. | An education-and telephone-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follow-up to vision care in patients with diabetes: a prospective, single-blinded, randomized trial | |
Bell et al. | Patient adoption and utilization of a web-based and mobile-based portal for collecting outcomes after elective orthopedic surgery | |
O’Brien et al. | An exploratory correlational study in the use of mobile technology among adult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 |
Venkatesh et al. | COVID-19, type 1 diabetes clinical practice, research, and remote medical care: a view from the land down-under | |
Edington et al. | Health and economics of lifestyle medicine strategies | |
Moin et al. | Choice of intensive lifestyle change and/or metformin after shared decision making for diabetes prevention: results from the Prediabetes Informed Decisions and Education (PRIDE) Study | |
US20070150309A1 (en) | Health and wellness guidance system | |
Volpp et al. | Behavioral economics to enhance food is medicine programs | |
KR102327180B1 (en) | Appara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of the aged | |
Dixon et al. | The role of the district nurse in caring for patients with dementia | |
Chambers et al. | The reach of an urban hospital system-based diabetes prevention program: patient engagement and weight loss characteristics | |
Thomason et al. | Home telehealth and hospital readmissions: a retrospective OASIS-C data analysis | |
US20200273585A1 (en) | Method for recommending continuing education to health professionals based on patient outcomes | |
Dambha et al. | Patient-centred care in general practice | |
Sommers et al. | Medicaid work requirements shift to new terrain | |
Olayiwola et al. | Could values and social structures in Singapore facilitate attainment of patient-focused, cultural, and linguistic competency standards in a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pil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