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564B1 -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6564B1 KR102326564B1 KR1020200077996A KR20200077996A KR102326564B1 KR 102326564 B1 KR102326564 B1 KR 102326564B1 KR 1020200077996 A KR1020200077996 A KR 1020200077996A KR 20200077996 A KR20200077996 A KR 20200077996A KR 102326564 B1 KR102326564 B1 KR 1023265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correction
- double
- radar
- vert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8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219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12417 linear reg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00 variation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082 Averrhoa caramb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063 Averrhoa caramb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7 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2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 G01S13/524—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based upon the phase or frequency shift resulting from movement of objects,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signals, e.g. coherent MTi
- G01S13/53—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based upon the phase or frequency shift resulting from movement of objects,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signals, e.g. coherent MTi performing filtering on a single spectral line and associated with one or more range gates with a phase detector or a frequency mixer to extract the Doppler information, e.g. pulse Doppler rada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는 레이더 바람장 보정에 사용된 10개의 태풍 사례 진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보성 표준관측소 지점 포함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 설치 지점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연직바람 관측장비 관측 모식도
도 7은 진도, 성산, 그리고 고산 기상레이더에 대한 고도 3 km 레이더 변분법 이중바람장 표출영역을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한 태풍 덴무(Dianmu)와 곤파스(Konpasu)의 동서 및 남북바람성분 필터 전(위) 후(아래) 산포도
도 9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한 태풍 말로(Malou)와 메아리(Meari)의 동서 및 남북바람성분 필터 전(위) 후(아래) 산포도
도 10은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한 태풍 무이파(Muipa)와 카눈(Khanun)의 동서 및 남북바람성분 필터 전(위) 후(아래) 산포도
도 11은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한 태풍 담레이(Damrey)와 덴빈(Tembin)의 동서 및 남북바람성분 필터 전(위) 후(아래) 산포도
도 12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한 태풍 볼라벤(Bolaven)과 산바(Sanba)의 동서 및 남북바람성분 필터 전(위) 후(아래) 산포도
도 13은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이 관측한 태풍 뎬무(Dianmu)와 곤파스(Konpasu)의 동서(위) 및 남북(아래)바람성분 고도별 분포도
도 14는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이 관측한 태풍 말로(Malou)와 메아리(Meari)의 동서(위) 및 남북(아래)바람성분 고도별 분포도
도 15는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이 관측한 태풍 무이파(Muipa)와 카눈(Khanun)의 동서(위) 및 남북(아래)바람성분 고도별 분포도
도 16은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이 관측한 태풍 담레이(Damrey)와 덴빈(Tembin)의 동서(위) 및 남북(아래)바람성분 고도별 분포도
도 17은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이 관측한 태풍 볼라벤(Bolaven)과 산바(Sanba)의 동서(위) 및 남북(아래)바람성분 고도별 분포도
도 18은 연직바람관측장비-변분법 레이더 이중바람장으로부터 관측한 전체 태풍 사례에 대한 평균 동서(좌측) 및 남북(우측)바람성분 분포도
도 19는 연직바람관측장비-변분법 레이더 이중바람장으로부터 관측한 전체 태풍 사례에 대한 동서(좌측) 및 남북(우측)바람성분의 바람장 보정 전 전체 평균 분포도
도 20은 연직바람관측장비-변분법 레이더 이중바람장으로부터 관측한 전체 태풍 사례에 대한 동서(좌측) 및 남북(우측)바람성분의 바람장 보정 후 전체 평균 분포도
도 21은 연직바람관측장비-변분법 레이더 이중바람장으로부터 관측한 전체 태풍 사례에 대한 평균 동서(좌측) 및 남북(우측)바람성분의 바람장 보정 전 1차 선형 회귀선 분포도
도 22는 연직바람관측장비-변분법 레이더 이중바람장으로부터 관측한 전체 태풍 사례에 대한 평균 동서(좌측) 및 남북(우측)바람성분의 바람장 보정 후 1차 선형 회귀선 분포도
도 23은 바람장 보정 전(위) 후(아래) 동서바람성분크기별 표준편차분포도
도 24는 바람장 보정 전(위) 후(아래) 남북바람성분크기별 표준편차분포도
도 25는 바람장 보정 전(위) 후(아래) 고도별 동서바람성분의 결정계수 분포도
도 26은 바람장 보정 전(위) 후(아래) 고도별 남북바람성분의 결정계수 분포도
20. 데이터 전처리부
30.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
40. 바람장 보정결과 검증부
50. 검증 결과 반영부
Claims (21)
- 선정된 연직바람 관측장비 및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관측자료를 입력받는 선정 자료 입력부;
연직바람 관측장비 설치 지점을 통과하는 변분법 레이더 이중바람장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수집된 관측 자료를 필터링하여 분석에 사용될 관측 자료를 확정하는 데이터 전처리부;
레이더 이중바람장으로부터 추정되는 UV 성분과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되는 UV 성분의 차이인 추정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전처리부에서 확정된 분석에 사용될 관측 자료의 수평 바람성분 분포특성을 분석 및 비교하여 풍속 계급구간별 레이더 이중 바람장과 연직바람관측장비의 UV 평균값 산출을 하고, 풍속 계급구간별 레이더 이중바람장 UV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UV 평균값 및 풍속 계급구간별 레이더 이중바람장 UV 보정계수를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관측에 의한 수평 바람 추정 오차의 보정에 사용하여 레이더 이중 바람장의 수평 바람 추정 오차 보정을 하는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
사례별 보정결과 검증, 바람성분 크기별 보정결과 검증, 고도별 보정결과 검증으로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의 수평 바람 추정 오차 보정 결과를 검증하는 바람장 보정결과 검증부;를 포함하고,
UV는 각각 동서바람성분(U)과 남북바람성분(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바람장 보정결과 검증부에서 사례별, 바람성분 크기별, 고도별 보정결과를 검증한 검증 결과를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로 전송하여,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에서 수행하는 이중 바람장 UV 보정에 검증 결과가 반영되도록 하는 검증 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처리부는,
관측된 2차원 수평바람성분 분포와 태풍 진로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관측 자료가 집중된 영역을 허용 범위밖으로 벗어난 곳에서 에러값이 나타나는 자료를 필터링하고, 관측된 자료수가 설정된 개수보다 부족하여 2차원 수평바람성분을 이용한 태풍 진로의 특징을 제시하지 못하는 관측자료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처리부는,
태풍으로부터 관측된 연직바람 관측장비 수평 바람성분 분포에 대해 매 5 m s-1별 관측된 바람성분 자료수가 5개 미만인 관측 자료는 에러값으로 판단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는,
풍속 계급구간별 레이더 이중 바람장과 연직바람관측장비의 동서바람성분(U in m s-1)과 남북바람성분(V in m s-1) 평균값 산출을 하는 UV 평균값 산출부와,
풍속 계급구간별 레이더 이중바람장 UV 보정계수 산출 및 적용하여 이중 도플러 레이더 바람장의 수평 바람 추정 오차 보정을 하는 UV 보정계수 산출 및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는,
바람성분 크기별 보정 계수 산출을 하여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을 보정하고,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된 바람성분을 기준 값으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의 바람성분을 매 5m s-1 구간별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는,
보정 전 동서 및 남북바람성분에 대한 전체 태풍 사례별 바람성분 선형 회귀식(y = ax + b)을 산출하고,
보정계수를 통한 보정으로 계수 a와 상수 b를 다르게 하여 연직바람 관측장비와의 상관도를 개선하고, 동서 및 남북 바람 성분에 대한 보정 전후의 평균 제곱근 편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가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바람장 보정결과 검증부는,
각 사례별 보정 전후 연직바람 관측장비와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여 사례별 보정결과를 검증하는 사례별 보정결과 검증부와,
바람성분크기별 보정 전후의 표준편차 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바람성분 크기별 보정결과를 검증하는 바람성분 크기별 보정결과 검증부와,
연직바람관측장비와의 상관도를 보여주는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를 이용한 2 km 간격별 동서 및 남북 바람성분을 분석하여 고도별 보정결과를 검증하는 고도별 보정결과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하여 산출된 바람장 보정계수를 적용한 변분법 레이더이중 바람장은 보정 전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음의 상관도를 갖거나, 높은 상관도를 갖는 경우를 제외하였을 때 모두 양의 개선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바람장 보정 전 고도별 동서바람성분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연직바람관측장비와의 상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전체 태풍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바람장 보정 전 고도별 남북바람성분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연직바람관측장비와의 상관도가 유지되는 경향이 전체 태풍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바람장 보정 이후 전체 태풍 사례에서 R2 = 0.1부터 분포한 3 km 고도의 결정계수 분포가 0.25로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7 km 고도까지 연직바람 관측장비의 상관도가 증가 또는 유지하는 경향으로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15° 기울어진 4방위로 방사된 빔은 각 방향의 대기운동에 따라 도플러 편이가 된 후방산란 신호를 수신하여 산란체의 시선속도를 관측하고,
DBS 기법을 통해 일정한 방위각 간격으로 관측된 5개의 시선속도로 수평 풍향과 풍속을 산출하고, 연직빔에서 측정한 시선속도인 연직 성분을 추가하여 3차원 바람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 영향 및 상륙태풍 사례를 선정하여 연직바람 관측장비 및 변분법 이중 도플러 레이더 바람장 데이터 입력을 받는 단계;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수집된 관측 자료의 전처리를 하는 단계;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이 관측한 사례별 수평 바람성분 분포특성 분석 및 비교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레이더 이중바람장으로부터 추정되는 UV 성분과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되는 UV 성분의 차이인 추정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에서 풍속 계급구간별 레이더 이중 바람장과 연직바람관측장비의 UV 평균값 산출을 하고,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에서 풍속 계급구간별 레이더 이중바람장 UV 보정계수 산출하고, 산출된 UV 평균값 및 풍속 계급구간별 레이더 이중바람장 UV 보정계수를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관측에 의한 수평 바람 추정 오차의 보정에 사용하여 레이더 이중 바람장의 수평 바람 추정 오차 보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사례별 보정결과 검증, 바람성분 크기별 보정결과 검증, 고도별 보정결과 검증으로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의 수평 바람 추정 오차 보정 결과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UV는 각각 동서바람성분(U)과 남북바람성분(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수평 바람 추정 오차 보정 결과를 검증하는 단계에서 사례별, 바람성분 크기별, 고도별 보정결과를 검증한 검증 결과를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로 전송하여,
레이더 이중 바람장 UV 보정부에서 수행하는 이중 바람장 UV 보정에 검증 결과가 반영되도록 하는 검증 결과 반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관측 자료의 전처리를 하는 단계에서,
관측된 2차원 수평바람성분 분포와 태풍 진로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관측 자료가 집중된 영역을 허용 범위밖으로 벗어난 곳에서 에러값이 나타나는 자료를 필터링하고, 관측된 자료수가 설정된 개수보다 부족하여 2차원 수평바람성분을 이용한 태풍 진로의 특징을 제시하지 못하는 관측자료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관측 자료의 전처리를 하는 단계에서,
태풍으로부터 관측된 연직바람 관측장비 수평 바람성분 분포에 대해 매 5 m s-1별 관측된 바람성분 자료수가 5개 미만인 관측 자료는 에러값으로 판단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이중 도플러 레이더 바람장의 수평 바람 추정 오차 보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바람성분 크기별 보정 계수 산출을 하여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을 보정하고,
연직바람 관측장비로부터 관측된 바람성분을 기준 값으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변분법 레이더 이중 바람장의 바람성분을 매 5m s-1 구간별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이중 도플러 레이더 바람장의 수평 바람 추정 오차 보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보정 전 동서 및 남북바람성분에 대한 전체 태풍 사례별 바람성분 선형 회귀식(y = ax + b)을 산출하고,
보정계수를 통한 보정으로 계수 a와 상수 b를 다르게 하여 연직바람 관측장비와의 상관도를 개선하고, 동서 및 남북 바람 성분에 대한 보정 전후의 평균 제곱근 편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가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996A KR102326564B1 (ko) | 2020-06-25 | 2020-06-25 |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996A KR102326564B1 (ko) | 2020-06-25 | 2020-06-25 |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6564B1 true KR102326564B1 (ko) | 2021-11-15 |
Family
ID=7850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7996A Active KR102326564B1 (ko) | 2020-06-25 | 2020-06-25 |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65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87326A (zh) * | 2022-12-12 | 2023-01-10 | 湖南赛能环测科技有限公司 | 一种噪声环境风电场数据修正方法 |
CN118244383A (zh) * | 2024-03-27 | 2024-06-25 | 重庆市气象台 | 一种针对山区复杂地形的指定高度层风预测方法及系统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4554A (ja) * | 1999-12-21 | 2001-06-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風観測システム |
KR101244544B1 (ko) | 2013-01-09 | 2013-03-1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일 및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의 샘플링오차 품질지수 산출 방법 |
KR101255737B1 (ko) * | 2012-09-24 | 2013-04-26 | 대한민국 | 참조 바람장을 이용한 레이더 시선속도 접힘 풀기 방법 |
KR101354522B1 (ko) | 2012-08-23 | 2014-01-22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변분법과 초기추정법을 이용한 고분해능 레이더 바람장 산출방법 |
KR101499642B1 (ko) | 2013-10-16 | 2015-03-09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바람장측정용 도플러 라이다의 측정오차보정 방법 |
KR101926544B1 (ko) * | 2018-08-27 | 2019-03-07 | (주)지비엠 아이엔씨 |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기상 관측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2020
- 2020-06-25 KR KR1020200077996A patent/KR10232656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4554A (ja) * | 1999-12-21 | 2001-06-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風観測システム |
KR101354522B1 (ko) | 2012-08-23 | 2014-01-22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변분법과 초기추정법을 이용한 고분해능 레이더 바람장 산출방법 |
KR101255737B1 (ko) * | 2012-09-24 | 2013-04-26 | 대한민국 | 참조 바람장을 이용한 레이더 시선속도 접힘 풀기 방법 |
KR101244544B1 (ko) | 2013-01-09 | 2013-03-1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일 및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의 샘플링오차 품질지수 산출 방법 |
KR101499642B1 (ko) | 2013-10-16 | 2015-03-09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바람장측정용 도플러 라이다의 측정오차보정 방법 |
KR101926544B1 (ko) * | 2018-08-27 | 2019-03-07 | (주)지비엠 아이엔씨 |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기상 관측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87326A (zh) * | 2022-12-12 | 2023-01-10 | 湖南赛能环测科技有限公司 | 一种噪声环境风电场数据修正方法 |
CN115587326B (zh) * | 2022-12-12 | 2023-08-25 | 湖南赛能环测科技有限公司 | 一种噪声环境风电场数据修正方法 |
CN118244383A (zh) * | 2024-03-27 | 2024-06-25 | 重庆市气象台 | 一种针对山区复杂地形的指定高度层风预测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77886B1 (en) | Weather and airborne clutter suppression using a cluster shape classifier | |
EP2419755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distributed sensors and airport surveillance radar to mitigate blind spots | |
KR101258668B1 (ko) | 한반도 통합형 기상 레이더 품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5973635A (en) | Enhanced microburst detection system | |
JP4613934B2 (ja) | 気象レーダ装置 | |
CN102243298A (zh) | 一种基于dem的机载气象雷达地杂波剔除方法 | |
EP415577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noise for weather radar | |
KR102326564B1 (ko) | 연직바람 관측장비를 이용한 이중 도플러 레이더의 바람장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CN111736149B (zh) | 一种星载下视双站探冰合成孔径雷达成像方法及装置 | |
CN104597449B (zh) | 一种机载多扫描气象雷达目标垂直轮廓重建方法 | |
CN113504525B (zh) | 一种雾区能见度反演方法及系统 | |
Weber et al. | Low altitude wind shear detection using airport surveillance radars | |
CN110726980A (zh) | 一种机载相控阵天气雷达对地表杂波的分析方法 | |
CN105388467B (zh) | 一种修正多普勒天气雷达回波衰减的方法 | |
CN115236615A (zh) | 基于t矩阵法的机载极化气象雷达降水粒子回波仿真方法 | |
KR102428330B1 (ko) |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이중 도플러 레이더 바람장을 이용한 태풍 수평 바람장 회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7714766B2 (en) | Method of processing a radar image | |
CN119247356A (zh) | 一种海岸河口悬浮泥沙漂移预测方法、装置和设备 | |
KR101469860B1 (ko) | 기상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대류성 강우 특성 정보를 얻는 방법 | |
CN119375854A (zh) | 一种适用于中国s波段双偏振天气雷达识别鸟类回波的方法及系统 | |
CN117348116A (zh) | 一种基于非锋性斜压带的局地强对流天气预报方法 | |
WO2015129842A1 (ja) | レーダ装置 | |
CN109143191A (zh) | 一种提高机载雷达全地形精细化检测能力的方法 | |
Weber | Assessment of ASR-9 Weather Channel Performance: Analysis and Simulation | |
Harjupa et al. | RDCA Index Based Updraft Area And Its Verification Using Polarimetric Doppler Rad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