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978B1 - VR video development method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and evalu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therewith - Google Patents
VR video development method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and evalu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there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4978B1 KR102324978B1 KR1020200107853A KR20200107853A KR102324978B1 KR 102324978 B1 KR102324978 B1 KR 102324978B1 KR 1020200107853 A KR1020200107853 A KR 1020200107853A KR 20200107853 A KR20200107853 A KR 20200107853A KR 102324978 B1 KR102324978 B1 KR 1023249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ent
- module
- event information
- driving
- evalu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9—Estimation of the risk associated with autonomous or manual driving, e.g. situation too complex, sensor failure or driver incapac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1—Handover processes from occupants to vehicl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B60W2050/0028—Mathematical models, e.g. for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돌발 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 VR 영상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러한 VR 영상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이벤트 및 돌발 상황 등을 가상으로 발생시켜 이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대응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자율주행 평가용 VR 영상 개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a VR image that can provide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that may occur on the road, and at the same time uses these VR images to virtually generate various simulations, events, and unexpected situations to respond to the autonomous vehicle response. A method for developing a VR image for self-driving evaluation that can maximize the safe driving ability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by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grade) for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evaluation of the safe driving ability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autonomous driving using the same It is about a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율주행 평가용 VR 영상 개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자율주행차량의 다양한 돌발 상황을 제공하는 VR 영상들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러한 VR 영상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이벤트 및 돌발 상황 등을 가상으로 발생시켜 이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대응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자율주행 평가용 VR 영상 개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R image development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evaluation and an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using the same. Maximizing the safe driving ability of autonomous vehicles and safe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s at the same time by calculating evaluation scores (grades) for the responses of autonomous vehicles by virtually generating various simulations, events, and unexpected situations using It relates to a VR image development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evaluation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ability evaluation, and an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using the same.
최근 들어, 자동차 산업 및 각종 센싱기술이 고도화되고 통신인프라가 확장됨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 없이 목적지까지 자율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s the automobile industry and various sensing technologies are advanced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expanded, interest in and research on autonomous vehicles that autonomously drive to a destination without a driver's operation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자율주행차량(Autonomous Vehicle, 무인자동차)은 각종 카메라, 센서들 및 고정밀 지도 등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 보행자 및 사물을 인지, 판단 및 행동하여 입 없이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스스로 설정된 목적지까지 자율주행 할 수 있는 차량을 의미한다.An autonomous vehicle (autonomous vehicle) uses various cameras, sensors, and high-precision maps to recognize, judge, and act on surrounding vehicles, pedestrians, and objects to autonomously drive to a set destination by controlling the vehicle without a mouth. means a vehicle with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돌발 상황, 이벤트 등에 대해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를 인지 및 대처하는지에 대한 평가 및 테스트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If safety is not ensured, these autonomous vehicles can lead to large-scale fatal accidents, so evaluation and testing of how quickly and accurately recognizes and responds to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and events is essential.
그러나 아직 자율주행차량의 성능을 사전에 철저히 검증하기 위한 평가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기 때문에 실제 자율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돌발 상황, 이벤트 및 시뮬레이션 등을 발생시키기 위한 VR 영상을 개발하기 위한 개발방법과, 개발된 VR 영상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대응을 정확하게 평가 및 테스트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 평가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re is still no evaluation system to thoroughly verify the performance of autonomous vehicles in advance, development methods for developing VR images to generate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events, and simulations that may occur during actual autonomous driving;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search an autonomous vehicle evaluation system to accurately evaluate and test the response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developed VR image.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943422호(발명의 명칭 : 자율주행차량 안전성 검사시스템 및 안전성 검사방법)에 개시된 자율주행차량 안전성 검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utonomous vehicle safety inspection method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43422 (Title of the Invention: Autonomous Vehicle Safety Inspection System and Safety Inspection Method).
도 1의 자율주행차량 안전성 검사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900)은 정보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테스트센서 값을 입력하는 테스트센서 값 입력단계(330)와, 테스트센서 값 입력단계(330)에서 입력한 테스트센서 값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동작 특성을 검사하는 제1 검사단계(340)와, 제1 검사단계에서의 검사결과와 테스트센서 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단계(350)와, 제1 비교단계(350)에서의 판단결과 제1 검사단계(340)에서의 검사결과와 테스트센서 값으로부터 예상할 수 있는 대응결과가 미리 설정한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 수행하며 전자제어장치에 저장된 동작제어 테이블의 특정 값을 변경하는 조치단계(360)와, 조치단계에서 수정한 동작제어 테이블에 따라 자율주행차량을 운행하면서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동작 특성을 검사하는 제2 검사단계(370)와, 제2 검사단계(370)에서의 검사결과와 테스트센서 값을 비교하며 비교결과 제2 검사단계(370)에서의 검사 결과와 테스트 센서의 값으로부터 예상할 수 있는 대응결과가 미리 설정한 범위 내에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때에는 조치단계를 재수행하도록 하는 제2 비교단계(380)와, 제1 비교단계(350)에서의 판단결과 제1 검사단계(340)에서의 검사결과와 테스트센서 값으로부터 예상할 수 있는 대응결과가 미리 설정한 범위 내에서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및 제2 비교단계(380)에서의 판단결과 제2 검사단계(370)에서의 검사결과와 테스트센서 값으로부터 예상할 수 있는 대응결과가 미리 설정한 범위 내에서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수행되며 자율주행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와 전자제어장치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활성화하는 안전성 검사 종료단계(390)로 이루어진다.The self-driving vehicle safety inspec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900 of FIG. 1 includes a test senso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300)은 자율주행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센서 값에 대응하는 테스트 센서 값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이 동작하는 형태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성을 검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율주행 차량에 설정되어 있는 동작제어 테이블의 설정 값을 수정하도록 하여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일반적으로 자율주행 차량은 차체에 설치된 카메라 및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 객체 및 상황을 인지하도록 구성되었고, 실제 도로에는 각종 다양한 이벤트, 돌발 상황 등이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autonomous vehicles are configured to recognize surrounding objects and situations using cameras and sensors installed on a vehicle body, and various events and unexpected situations occur on the actual road.
그러나 종래기술(300)은 단순히 테스트 센서 값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안전성을 검증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카메라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 분석을 통한 인지상황을 검증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However, the
또한 실제 도로에서 발생하는 돌발 상황은 획일화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변수를 갖기 때문에 서로 다른 난이도를 갖게 되는데, 종래기술(300)은 이러한 난이도를 전혀 감안하지 않아 검증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abrupt situations occurring on the actual road are not uniform and have different difficulties because they have a wide variety of variables.
또한 종래기술(300)은 실제 돌발 상황을 가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테스트 센서 값만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검증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300)은 단순히 거리 센서의 테스트 센서 값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운영하기 때문에, 감지영역 내에서의 실제 거리 센서의 객체검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검증은 수행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돌발 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 VR 영상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러한 VR 영상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이벤트 및 돌발 상황 등을 가상으로 발생시켜 이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대응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자율주행 평가용 VR 영상 개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VR image that can provide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that may occur on the road,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simulations, events and unexpected situations using these VR image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afe driving ability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by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grade) for the respons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by generating the This is to provide a VR image development method for self-driving evaluation and an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VR 영상 개발 시, 자율주행차량의 돌발 상황 등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이벤트인 제1 이벤트정보, 고장 및 장애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제2 이벤트정보 및 주행모드전환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제3 이벤트정보가 타임라인에 매칭되도록 VR 영상을 개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자율주행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율주행 평가용 VR 영상 개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event information, which is an event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a sudden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etc.,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and the driving mode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the failure and disorder when developing a VR image. A VR image development method for self-driving evaluation that can provide various events that can occur on a real road to an autonomous vehicle by being configured to develop a VR image so that the third event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the transition matches the timeline and to provide an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capability evaluation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자율주행 평가 시, 해당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1, 2, 3 이벤트들 각각에 대한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검출한 후, 해당 자율주행차량의 ECU로 출력함과 동시에 ECU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를 분석하여 자율주행차량의 대처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평가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VR 영상 개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virtual measurement values for each sensor for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ents along the timeline of the corresponding VR image during autonomous driving evaluation, and then send it to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A VR image development method that can maximiz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evaluation by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grade) for the response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analyzing the motion vector input from the ECU at the same time as outputting it, and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using the sa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valuation syst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 카메라 및 센서들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안전운전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은 실제 주행에 대응되는 영상에, 돌발 상황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기 설정된 시나리오들인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들 각각의 이벤트 영상이 합성된 영상인 VR 영상을 입력받아 등록하는 VR 영상 등록부; 상기 VR 영상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VR 영상과, 상기 VR 영상에 포함된 제1 이벤트 정보들 각각의 이벤트 값 및 내용이 저장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테스트 요청 시 실행되어 상기 VR 영상을 전시하는 전시모듈과, 상기 전시모듈에 의해 전시되는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1 이벤트정보들을 추출하는 이벤트정보 추출모듈과,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제1 이벤트정보를 상기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로 입력하는 이벤트정보 파싱모듈을 포함하는 VR 영상 전시부; 상기 ECU로부터 전송받은 대처주행의 움직임벡터와, 상기 VR 영상의 제1 이벤트를 분석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돌발 상황 대처에 대한 평가점수인 제1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VR 영상 등록부는 일반운전면허시험의 동영상 문제들을 분석하여 VR 영상으로 구축하기 적합한 동영상을 선별한 후, 선별된 동영상 문제를 기반으로 생성된 VR 영상을 등록받고, 상기 VR 영상 등록부의 동작과정인 VR 영상 등록방법(S30)은 이전 일반운전면허시험의 동영상 문제들을 분석하여 VR 영상으로 구축하기 적합한 동영상을 선별하는 동영상 선별단계(S331); 상기 동영상 선별단계(S331)에 의해 선별된 동영상들이 VR 영상의 이벤트로 작성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이벤트 적용여부 점검단계(S332); 상기 이벤트 적용여부 점검단계(S332)에 의해 이벤트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 동영상문제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환경을 3D모델로 구축하는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구축단계(S333); 상기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구축단계(S333)에 의해 구축된 3D모델에 충돌시간(TTC, Time To Collision) 등의 이벤트 값을 설정하는 이벤트 설정단계(S334); 상기 이벤트 설정단계(S334)에 의해 이벤트가 설정된 3D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구현단계(S335); 상기 시뮬레이션 구현단계(S335)를 통한 시뮬레이션 시, 각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로그데이터를 수집하는 로그데이터 수집단계(S336); 상기 로그데이터 수집단계(S336)에 의해 수집된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3D모델이 평가테스트 대상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테스트 가능여부 분석단계(S337)를 포함하는 것이다.I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evaluating the safe driving ability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including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a camera, and sensors,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autonomous driving safety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receives and registers a VR image, which is an image corresponding to actual driving, and an event image of each of the first predetermined events, which are preset scenarios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an unexpected situation, as an input and is registered. video register; a memory in which the VR image registered by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and event values and contents of each of the first ev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R image are stored; An exhibition module that is executed when a user requests a test and displays the VR image, an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that extracts first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timeline of a VR image displayed by the exhibition module, and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VR image display unit including an event information parsing module for inputting the extracted first event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unit; An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unit that analyzes the motion vector of the response driving received from the ECU and the first event of the VR image, and calculates a first evaluation score, which is an evaluation score for responding to an unexpected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Including, wherein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analyzes the video problems of the general driver's license test and selects a video suitable to be built as a VR image, and then receives a VR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selected video problem, and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R image registration method (S30) is a video screening step (S331) of analyzing the video problems of the previous general driver's license test and selecting a video suitable to be built as a VR video; an event application checking step (S332) of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s selected by the video selection step (S331) can be created as events of the VR video; a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construction step (S333) of constructing a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environment as a 3D model based on the video problem determined to be applicable to the event by the event application check step (S332); an event setting step (S334) of setting event values such as a time to collision (TTC, Time To Collision) in the 3D model built by the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building step (S333); a simulation implementation step (S335) of performing a simulation on the 3D model in which the event is set by the event setting step (S334); A log data collection step (S336) of collecting log data of the autonomous vehicle (C) for each event during simulation through the simulation implementation step (S335); An evaluation test possibility analysis step (S337) of analyzing the log data collected by the log data collection step (S336) to determine whether the 3D model is suitable as an evaluation test target is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는 상기 VR 영상 전시부로부터 제1 이벤트정보를 입력받는 제1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입력된 제1 이벤트정보와, 자율주행차량(C)의 기 설정된 센서별 위치 및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입력된 제1 이벤트정보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검출하는 센서별 가상측정값 검출모듈; 상기 센서별 가상측정값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 출력하는 출력모듈;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 움직임벡터 입력모듈; 기 설정된 돌발상황 대처 평가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벡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1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하는 분석모듈; 상기 분석모듈에 의해 검출된 분석데이터와, 기 설정된 해당 제1 이벤트의 난이도를 활용하여 제1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돌발 상황 대처 평가점수인 제1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제1 평가점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unit includes: a first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first event information from the VR image display unit; Detecting a virtual measurement value for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event information by using the input first event information and preset posi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Virtual measurement value detection module for each sensor;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virtual measurement value for each sensor detected by the virtual measurement value detection module for each sensor to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 motion vector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motion vector from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n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the first event information input by the motion vector input module using a preset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algorithm to analyze the coping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C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ent ; A first evaluation of calculating a first evaluation score that is an evaluation score for coping with a sudden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for a first event by using the analysis data detected by the analysis module and the preset difficulty level of the first even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core calculation modul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은 장애 대처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VR 영상에는 장애에 대응되는 제2 이벤트정보가 타임라인에 매칭되고,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은 상기 전시모듈에 의해 전시되는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2 이벤트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이벤트정보 파싱모듈은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제2 이벤트정보를 상기 장애 대처 평가부로 입력하고, 상기 장애 대처 평가부는 상기 VR 영상 전시부로부터 제2 이벤트정보를 입력받는 제2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입력된 제2 이벤트정보와, 자율주행차량(C)의 기 설정된 센서별 위치 및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이벤트정보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을 검출하는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 검출모듈; 상기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을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 출력하는 제2 출력모듈;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 제2 움직임벡터 입력모듈; 기 설정된 장애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움직임벡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2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하는 제2 분석모듈; 상기 제2 분석모듈에 의해 검출된 분석데이터와, 기 설정된 해당 제2 이벤트의 난이도를 활용하여 제2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장애 대처 평가점수인 제2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제2 평가점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n obstacle response evaluation unit,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stacle is matched to the timeline in the VR image, and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is provided to the exhibition module. extracts second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line of the VR image displayed by The unit includes a secon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second event information from the VR image display unit; Using the input second event information and preset lo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a failure event-value for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input second event information. a sensor-specific failure event-value detection module; a second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failure event-value for each sensor detected by the sensor-specific failure event-value detection module to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 second motion vector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motion vector from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 second analysis of coping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C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vent by analyzing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input by the second motion vector input module using a preset failure evaluation algorithm analysis module; A second evaluation score, which is an evaluation score for coping with an obstacl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for a second event, is calculated using the analysis data detected by the second analysis module and the preset difficulty level of the second even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은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VR 영상에는 주행모드전환에 대응되는 제3 이벤트정보가 타임라인에 매칭되고,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은 상기 전시모듈에 의해 전시되는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3 이벤트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이벤트정보 파싱모듈은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제3 이벤트정보를 상기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로 입력하고, 상기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는 상기 VR 영상 전시부로부터 제3 이벤트정보를 입력받는 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상기 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제3 이벤트정보가 입력되면, 주행모드전환을 나타내는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을 생성하여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 출력하는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 출력모듈;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 제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 기 설정된 주행모드전환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3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제3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하는 제3 분석모듈; 상기 제3 분석모듈에 의해 검출된 분석데이터와, 기 설정된 해당 제3 이벤트의 난이도를 활용하여 제3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주행모드전환 평가점수인 제3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제3 평가점수 산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driving mode change response evaluation unit, the third ev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change is matched to the timeline in the VR image, and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is Extracts third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line of the VR image displayed by the exhibition module, and the event information parsing module inputs the third event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to the driving mode change response evaluation unit and a thir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ird event information from the VR image display unit; When third event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thir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a driving mode change event-value output module that generates a driving mode change event-value indicating driving mode change and outputs it to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 a third motion vector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motion vector from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To analyze the coping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C) corresponding to the third event by analyzing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the third event information input by the third motion vector input module using a preset driving mode conversion evaluation algorithm a third analysis module; The third evaluation score, which is the driving mode conversion evaluation scor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for the third event, is calculated by using the analysis data detected by the third analysis module and the preset difficulty level of the third event. 3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돌발 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 VR 영상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러한 VR 영상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이벤트 및 돌발 상황 등을 가상으로 발생시켜 이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대응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VR images that can provide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that may occur on the road are developed,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simulations, events, and unexpected situations are generated virtually using these VR images. By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grade) for the respons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afe driving ability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VR 영상 개발 시, 자율주행차량의 돌발 상황 등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이벤트인 제1 이벤트정보, 고장 및 장애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제2 이벤트정보 및 주행모드전환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제3 이벤트정보가 타임라인에 매칭되도록 VR 영상을 개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자율주행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veloping a VR image, the first event information, which is an event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a sudden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the failure and disorder, and the driving mode conversion By developing a VR image so that the third event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coping matches the timelin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utonomous vehicle with various events that may occur on the actual roa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율주행 평가 시, 해당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1, 2, 3 이벤트들 각각에 대한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검출한 후, 해당 자율주행차량의 ECU로 출력함과 동시에 ECU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를 분석하여 자율주행차량의 대처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평가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utonomous driving evaluation, virtual measurement values for each sensor for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ents according to the timeline of the corresponding VR image are detected, and then output to the ECU of the correspond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evaluation can be maximized by analyzing the motion vector input from the ECU and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grade) for the self-driving vehicle's respon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돌발 상황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대처주행, 고장 및 주행모드 전환을 분류하여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evaluate by classifyi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coping driving, failure, and driving mode change to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율주행차량 및 운전자 모두를 고려한 면허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 license system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도로 및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및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통해 객관적 지표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objective indicator through simulation tests for various environments and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actual road and driving.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943422호(발명의 명칭 : 자율주행차량 안전성 검사시스템 및 안전성 검사방법)에 개시된 자율주행차량 안전성 검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VR 영상 등록부의 동작과정인 VR 영상 등록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해 등록되는 VR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VR 영상 전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의 장애 대처 평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장애 대처 평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utonomous vehicle safety inspection method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43422 (Title of the Invention: Autonomous Driving Vehicle Safety Inspection System and Safety Inspection Metho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R image registration method that i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of FIG. 2 .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R image registered by FIG. 3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VR image display unit of FIG. 2 .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unit of FIG. 2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ailure coping evaluation unit of FIG. 2 .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failure coping evaluation unit of FIG. 7 .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ode change response evaluation unit of FIG. 2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C)의 주행, 고장 및 주행모드 전환에 대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VR 영상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러한 VR 영상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이벤트 및 돌발 상황 등을 가상으로 발생시켜 이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대응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a VR image that provides an event for driving, failure, and driving mode chang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that may occur on an actual road at the same time. By using these VR images, various simulations, events, and unexpected situations are generated virtually, and evaluation scores (grades) are calculated for the respons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ereby maximizing the safe driving ability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autonomous driving. This i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evaluation of the safe driving ability of the vehicle.
또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메모리(31), 데이터송수신부(32), VR 영상 등록부(33), 테스트 요청부(34), VR 영상 전시부(35),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36), 장애 대처 평가부(37),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38), 최종 평가점수 산출부(39), 부가 서비스부(4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capability evaluation system 1 includes a
이러한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자율주행차량(C)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capability evaluation system 1 is connected to th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VR 영상 등록을 요청받으면, VR 영상 등록부(33)를 실행시킨다.When receiving a request to register a VR image from a user, the
또한 제어부(30)는 테스트 요청부(34)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자율주행평가를 요청받으면, VR 영상 전시부(35),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36), 장애 대처 평가부(37),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38)를 실행시킨다.In addition, the
메모리(31)에는 VR 영상 등록부(33)에 의해 등록된 VR 영상들이 저장된다. 이때 VR 영상은 실제 도로, 건물, 신호체계 등을 포함하는 기본영상에, 차량, 보행자 및 구조물 등이 맵핑됨과 동시에 기 설정된 제1, 2, 3 이벤트 정보들이 발생되는 이벤트 영상이 합성된 3D영상을 의미한다.The
이때 제1 이벤트 정보는 자율주행차량(C)의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각 돌발 상황의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제2 이벤트 정보는 자율주행차량(C)의 장애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각 장애의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제3 이벤트 정보는 주행모드 전환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각 주행모드의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즉 VR 영상은 타임라인에 따라 제1, 2, 3 이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이벤트 영상이 전시된다.At this time, the first event information is composed of event values and contents of each emergency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and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is the response to the failur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It consists of the event value and contents of each obstacle for evaluating , and the third event information consists of the event value and contents of each driving mode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the driving mode change. That is, the VR image displays an event imag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ents occurs according to the timeline.
또한 메모리(31)에는 각 VR 영상의 제1, 2, 3 이벤트 정보들이 저장된다.Also, first, second, and third event information of each VR image is stored in the
또한 메모리(31)에는 자율주행차량(C)의 각 센서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매칭된 센서 기준테이블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In addition, a sensor reference table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re matched is preset and stored in the
또한 메모리(31)에는 데이터송수신부(3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C)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주행움직임 벡터가 저장된다.Also, the driving motion vector is stored in the
또한 메모리(31)에는 제1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전송받은 주행움직임 벡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주행움직임 벡터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출력값으로 하는 기 설정된 돌발 상황 평가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즉 돌발 상황 평가 알고리즘은 제1 이벤트 발생에 따른 주행움직임 벡터를 분석하여 자율주행의 평가점수(등급)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In addition, in the
또한 메모리(31)에는 제2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전송받은 주행움직임 벡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주행움직임 벡터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출력값으로 하는 기 설정된 장애 평가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즉 장애 평가 알고리즘은 제2 이벤트 발생에 따른 주행움직임 벡터를 분석하여 장애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In addition, in the
또한 메모리(31)에는 제3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전송받은 주행움직임 벡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주행움직임 벡터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출력값으로 하는 기 설정된 주행모드전환 평가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즉 주행모드전환 평가 알고리즘은 제3 이벤트 발생에 따른 주행움직임 벡터를 분석하여 주행모드 전환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In addition, the
데이터송수신부(32)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자율주행차량(C)의 ECU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data transmission/
도 3은 도 2의 VR 영상 등록부의 동작과정인 VR 영상 등록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해 등록되는 VR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R image registration method that i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of FIG. 2 ,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VR image registered by FIG. 3 .
VR 영상 등록부(33)는 사용자(User)의 요청에 따라, 기 제작된 VR 영상(900)을 등록함과 동시에 메모리(31)에 저장한다.The VR
이때 VR 영상은 실제 도로, 건물, 신호체계 등을 포함하는 기본영상을 포함하며, 타임라인에 따라 제1, 2, 3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인 이벤트 영상이 합성된 3D영상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VR image includes a basic image including an actual road, a building, a signal system, etc., and refers to a 3D image in which an event image, which is any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ents, is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timeline.
즉 VR 영상은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돌발 상황인 제1 이벤트들과, 실제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인 제2 이벤트들과, 실제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주행모드전환인 제3 이벤트들이 타임라인에 따라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VR image shows the first events, which are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that may occur on the actual road, the second events for the disabled that may occur during actual driving, and the third event, which is a driving mode change that may occur during actual driving, on the timeline. will occur accordingly.
또한 VR 영상 등록부(33)는 등록 요청된 VR 영상의 식별정보와, 해당 VR 영상에 포함된 제1, 2, 3 이벤트 정보들을 메모리(31)에 저장한다.Also, the VR
이때 제1 이벤트 정보는 자율주행차량(C)의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각 돌발 상황의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제2 이벤트 정보는 자율주행차량(C)의 장애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각 장애의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제3 이벤트 정보는 주행모드 전환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각 주행모드의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rst event information is composed of event values and contents of each emergency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and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is the response to the failur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It consists of the event value and contents of each obstacle for evaluating , and the third event information consists of the event value and contents of each driving mode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the driving mode change.
도 3을 참조하여, VR 영상 등록부의 동작과정인 VR 영상 등록방법(S33)을 살펴보면, VR 영상 등록방법(S33)은 이전 일반운전면허시험의 동영상 문제들을 분석하여 VR 영상으로 구축하기 적합한 동영상을 선별하는 동영상 선별단계(S331)와, 동영상 선별단계(S331)에 의해 선별된 동영상들이 VR 영상의 이벤트로 작성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이벤트 적용여부 점검단계(S332)와, 이벤트 적용여부 점검단계(S332)에 의해 이벤트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 동영상문제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환경을 3D모델로 구축하는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구축단계(S333)와,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구축단계(S333)에 의해 구축된 3D모델에 충돌시간(TTC, Time To Collision) 등의 이벤트 값을 설정하는 이벤트 설정단계(S334)와, 이벤트 설정단계(S334)에 의해 이벤트가 설정된 3D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구현단계(S335)와, 시뮬레이션 구현단계(S335)를 통한 시뮬레이션 시, 각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로그데이터를 수집하는 로그데이터 수집단계(S336)와, 로그데이터 수집단계(S336)에 의해 수집된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3D모델이 평가테스트 대상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테스트 가능여부 분석단계(S337)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looking at the VR image registration method (S33), which i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the VR image registration method (S33) analyzes the video problems of the previous general driver's license test to create a video suitable for building a VR image A video screening step (S331) of screening, an event application check step (S33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s selected by the video screening step (S331) can be written as an event of a VR video (S332), and an event application check step (S332) ), the 3D constructed by the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building step (S333) and the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building step (S333) to build the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environment as a 3D model based on the video problem determined to be applicable to the event by An event setting step (S334) of setting event values such as time to collision (TTC, Time To Collision) in the model, and a simulation implementation step of performing a simulation on the 3D model in which the event is set by the event setting step (S334) (S335) ), and during simulation through the simulation implementation step (S335), the log data collected by the log data collection step (S336) of collecting the log data of the autonomous vehicle for each event, and the log data collection step (S336) It consists of an evaluation test possibility analysis step (S337) of analyz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3D model i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test target.
이때 VR 영상 등록부(33)는 평가테스트 가능여부 분석단계(S337)를 통해 3D모델이 평가테스트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될 때, 해당 3D모델을 VR 영상으로 메모리(31)에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VR
테스트 요청부(34)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율주행 평가를 요청받는다.The
이때 제어부(30)는 테스트 요청부(34)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자율주행 평가를 요청받으면, VR 영상 전시부(35),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36), 장애 대처 평가부(37),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38)를 실행시킨다.In this case, when the
도 5는 도 2의 VR 영상 전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VR image display unit of FIG. 2 .
도 5의 VR 영상 전시부(35)는 테스트 요청부(3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율주행 평가를 요청받을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The VR
또한 VR 영상 전시부(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모듈(351)과, 이벤트정보 추출모듈(353), 이벤트정보 파싱모듈(355)로 이루어진다.Also, as shown in FIG. 5 , the VR
전시모듈(351)은 VR 영상 등록부(33)에 의해 등록된 VR 영상을 전시한다.The
이벤트정보 추출모듈(353)은 전시모듈(351)에 의해 전시되는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라 현재 발생된 이벤트정보들을 추출한다.The event
이벤트정보 파싱모듈(355)은 이벤트정보 추출모듈(353)에 의해 추출된 이벤트정보의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이벤트가 제1, 2, 3 이벤트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검출한다.The event
또한 이벤트정보 파싱모듈(355)은 검출된 이벤트의 종류가 제1 이벤트인 경우,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36)로 이벤트정보를 입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type of the detected event is the first event, the event
또한 이벤트정보 파싱모듈(334)은 검출된 이벤트의 종류가 제2 이벤트인 경우, 장애 대처 평가부(37)로 이벤트정보를 입력한다.In addition, the event information parsing module 334 inputs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failure
또한 이벤트정보 파싱모듈(334)은 검출된 이벤트의 종류가 제3 이벤트인 경우,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38)로 이벤트정보를 입력한다.In addition, the event information parsing module 334 inputs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driving mode change
즉 본 발명의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3)은 테스트가 수행되면, VR 영상 전시부(35)에 의해 VR 영상이 전시됨과 동시에 전시되는 VR 영상 전시부로부터 입력된 제1, 2, 3 이벤트정보를 활용하여 제1, 2, 3 이벤트 발생 시, 평가부(36), (37), (38)들이 각각 실행됨으로써 제1, 2, 3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움직임벡터의 분석을 통해 돌발 상황 대처에 대한 평가점수, 장에 대처에 대한 평가점수, 주행모드전환 대처에 대한 평가점수가 산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sted, the VR image is displayed by the VR
도 6은 도 2의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unit of FIG. 2 .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61)과, 센서별 가상측정값 검출모듈(362), 출력모듈(36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64), 분석모듈(365), 제1 평가점수 산출모듈(366)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6, the emergency
제1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61)은 VR 영상 전시부(35)로부터 제1 이벤트정보를 입력받을 때 실행된다. 이때 제1 이벤트정보는 돌발 상황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시나리오의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지며, 상세하게로는 해당 이벤트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event
즉 제1 이벤트정보는 현재 전시되고 있는 VR 영상에서 제1 이벤트가 발생될 때, VR 영상 전시부(35)에 의해 검출되어 제1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61)로 입력된다.That is, when the first event occurs in the currently displayed VR image, the first event information is detected by the VR
센서별 가상측정값 검출모듈(362)은 제1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61)을 통해 입력된 제1 이벤트정보와, 메모리(31)에 저장된 센서 기준테이블을 참조하여 제1 이벤트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추출한다.The virtual measurement
이때 가상측정값은 제1 이벤트가 발생될 때, 제1 이벤트에 대응되는 자율주행차량(C)의 각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으로 정의된다.In this case, the virtual measurement value is defined as a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vehicle C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ent when the first event occurs.
출력모듈(363)은 센서별 가상측정값 검출모듈(362)에 의해 검출된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데이터송수신부(31)를 ㅌ오해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 출력한다.The
즉 자율주행차량(C)은 구비된 카메라가 감시영상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분석을 통해 제1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되, 각 센서는 출력모듈(363)을 통해 입력된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통해 제1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이벤트에 대한 대처주행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autonomous vehicle (C) is configured to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through image analysis obtained by capturing a surveillance image by a provided camera, and each sensor is a virtual measurement value for each sensor input through the
이때 자율주행차량(C)의 ECU는 제1 이벤트에 대한 대처주행이 이루어지면, 대처주행에 대응되는 움직임벡터 정보를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3)으로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ECU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outputs motion vect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ping driving to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capability evaluation system 3 when the coping driving for the first event is performed.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64)은 데이터송수신부(3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전송받은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다.The motion
분석모듈(365)은 기 설정된 돌발 상황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64)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1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61)을 통해 입력된 제1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한다.The
제1 평가점수 산출모듈(366)은 분석모듈(365)에 의해 검출된 분석데이터와, 해당 제1 이벤트의 난이도를 활용하여 해당 제1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자율주행 평가점수(제1 평가점수)를 산출한다.The first evaluation
도 7은 도 2의 장애 대처 평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ailure coping evaluation unit of FIG. 2 .
장애 대처 평가부(3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71)과,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 검출모듈(372), 제2 출력모듈(373), 제2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74), 제2 분석모듈(375), 제2 평가점수 산출모듈(376)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 , the failure
제2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71)은 VR 영상 전시부(35)로부터 제2 이벤트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제2 이벤트정보는 고장 및 장애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시나리오의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지며, 상세하게로는 해당 이벤트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event
즉 제2 이벤트정보는 각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장애가 발생될 때, VR 영상 전시부(35)에 의해 장애 대처 평가부(37)로 입력된다.That is,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failure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 검출모듈(372)은 제2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71)을 통해 입력된 제2 이벤트정보와, 메모리(31)에 저장된 센서 기준테이블을 참조하여 제2 이벤트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을 검출한다.The failure event-
이때 장애 이벤트-값은 자율주행차량(C)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장애로 판단할 수 있는 값으로 정의된다.In this case, the failure event-value is defined as a value that can be determined as a failure by at least one of the sensors of the autonomous vehicle C.
제2 출력모듈(373)은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 검출모듈(372)에 의해 검출된 센서별 장애 이베트값을 데이터송수신부(31)를 통해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 출력한다.The
이때 자율주행차량(C)의 ECU는 제2 출력모듈(373)을 통해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에 따른 장애에 대한 대처주행을 수행하고, 제2 이벤트에 대한 대처주행이 이루어지면, 대처주행에 대응되는 움직임벡터 정보를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3)으로 출력한다.At this time, when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receives a failure event-value for each sensor through the
제2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74)은 데이터송수신부(3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전송받은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다.The second motion
제2 분석모듈(375)은 기 설정된 장애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2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74)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2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71)을 통해 입력된 제2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한다.The
도 8은 도 7의 장애 대처 평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failure coping evaluation unit of FIG. 7 .
장애 대처 평가부(3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벤트, 즉 장애의 등급을 저속주행모드(910), 수동운전모드(920) 및 비상정지모드(930)로 분류한다.As shown in FIG. 8 , the obstacle coping
예를 들어, 저속주행모드(910)는 자율주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애 시 주행모드를 의미하며 충분히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자율주행이 이루어지는 주행모드로 정의되고, 수동운전모드(920)는 저속주행모드(920) 보다 심한 장애 시 주행모드를 의미하며 사전에 허가 받은 운전자에게 제어권이 이양되는 주행모드로 정의되고, 비상정지모드(930)는 자율주행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장애 시 주행모드를 의미하며 수동운전모드로 전환 상황에서 수동운전이 불가능한 운전자가 운전석에 있을 경우 안전지대로 비상 정차 후 비상정지를 알리는 주행모드로 정의된다.For example, the low-
즉 장애 대처 평가부(37)의 제2 분석모듈(375)은 제2 이벤트의 장애 난이도에 따라 주행모드를 분석하여 발생된 장애에 따른 정확한 주행모드가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That is, the
제2 평가점수 산출모듈(376)은 제2 분석모듈(375)에 의해 검출된 분석데이터와, 해당 제2 이벤트의 난이도를 활용하여 해당 제2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장애 대처 평가점수(제2 평가점수)를 산출한다.The second evaluation
도 9는 도 2의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ode change response evaluation unit of FIG. 2 .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3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81)과,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 검출모듈(382), 제3 출력모듈(383), 제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84), 제3 분석모듈(385), 제3 평가점수 산출모듈(386)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9 , the driving mode change
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81)은 VR 영상 전시부(35)로부터 제3 이벤트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제3 이벤트정보는 주행모드 전환을 알리는 이벤트-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지며, 상세하게로는 해당 이벤트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이벤트 값 및 내용으로 이루어진다.The third event
즉 제3 이벤트정보는 주행모드에서 수동모드로 또는 수동모드에서 주행모드로 전환이 필요할 때, VR 영상 전시부(35)에 의해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38)로 입력된다.That is, the third even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riving mode change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 검출모듈(382)은 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81)을 통해 제3 이벤트정보가 입력되면, 주행모드전환을 나타내는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을 검출한다.When the third event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third event
제3 출력모듈(383)은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 검출모듈(382)에 의해 검출된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이 ECU로 출력되도록 데이터송수신부(32)를 제어한다.The
이때 자율주행차량(C)의 ECU는 제3 출력모듈(383)을 통해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에 따른 주행모드전환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움직임벡터 정보를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3)으로 출력한다.At this time, when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receives a driving mode change event-value through the
제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84)은 데이터송수신부(3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전송받은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다.The third motion
제3 분석모듈(385)은 기 설정된 주행모드전환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384)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381)을 통해 입력된 제3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제3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한다.The
예를 들어, 제3 분석모듈(385)은 수동운전모드로 전환 시 운전자가 제어권을 넘겨받아 운전하였는지, 해당 운전자가 사전 교육 및 면허(허가)가 있는 운전자인지, 면허가 없는 운전자일 경우, 자율주행 상태를 유지하거나 비상정지를 하였는지를 분석하며, 자율운전모드로 전환 시, 제어권 이양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최종 평가점수 산출부(39)를 살펴보면, 최종 평가점수 산출부(39)는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36), 장애 대처 평가부(37) 및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38)에 의해 산출된 평가점수들을 합산 및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해당 자율주행차량(C)의 평가점수를 산출한다.Returning to FIG. 2 and looking at the final evaluation
이때 최종 평가점수 산출부(39)는 기 설정된 임계점수와 산출된 최종 평가점수를 비교하여 합겹/불합격을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nal evaluation
부가 서비스부(40)는 자율주행차량(C)의 테스트에 필요한 공지된 다양한 기타 서비스를 수행한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돌발 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 VR 영상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러한 VR 영상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이벤트 및 돌발 상황 등을 가상으로 발생시켜 이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대응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VR images that can provide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that may occur on the road, and at the same time uses these VR images to conduct various simulations, events and By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grade) for the response of the autonomous vehicle to an unexpected situation, it maximizes the safe driving ability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s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evaluation of the safe driving ability of the autonomous vehicle. can be raised
또한 본 발명의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VR 영상 개발 시, 자율주행차량의 돌발 상황 등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이벤트인 제1 이벤트정보, 고장 및 장애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제2 이벤트정보 및 주행모드전환에 대한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제3 이벤트정보가 타임라인에 매칭되도록 VR 영상을 개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자율주행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evaluate the first event information, which is an event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a sudden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when developing a VR image, and to evaluate the response to failures and obstacles. The VR image is developed so that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and the third event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o the driving mode change match the timeline, so that various events that may occur on the road can be provided to the autonomous vehicle. .
또한 본 발명의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자율주행 평가 시, 해당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1, 2, 3 이벤트들 각각에 대한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검출한 후, 해당 자율주행차량의 ECU로 출력함과 동시에 ECU로부터 입력된 움직임벡터를 분석하여 자율주행차량의 대처에 대한 평가점수(등급)를 산출함으로써 평가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virtual measurement value for each sensor for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ents according to the timeline of the VR image during the autonomous driving evaluation, and then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evaluation can be maximized by outputting the output to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nalyzing the motion vector input from the ECU to calculate the evaluation score (grade) for the response of the autonomous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다양한 돌발 상황에 대한 자율주행차량의 대처주행, 고장 및 주행모드 전환을 분류하여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because it can classify and accurately evaluat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s coping driving, failure, and driving mode conversion for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be able to
또한 본 발명의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자율주행차량 및 운전자 모두를 고려한 면허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uild a license system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의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실제 도로 및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및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통해 객관적 지표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uild objective indicators through simulation tests for various environments and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actual road and driving.
1: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30:제어부 31:메모리 32:데이터 송수신부
33:VR 영상 등록부 34:테스트 요청부 35:테스트VR 영상 전시부
36: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 37:장애 대처 평가부
38: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 39:최종 평가점수 산출부
40:부가 서비스부 351:전시모듈 353:이벤트정보 추출모듈
355:이벤트정보 파싱모듈 361:제2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362:센서별 가상측정값 검출모듈 363:출력모듈
364:움직임벡터 입력모듈 365:분석모듈
366:제2 평가점수 산출모듈 371:제2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372:센서별 장애이벤트-값 검출모듈 373:제2 출력모듈
374:제2 움직임벡터 입력모듈 375:제2 분석모듈
376:제2 평가점수 산출모듈 381: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382: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 검출모듈
383:제3 출력모듈 384:제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
385:제3 분석모듈 386:제3 평가점수 산출모듈1: Self-driving safety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30: control unit 31: memory 32: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3: VR video registration section 34: test request section 35: test VR video display section
36: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unit 37: Disability coping evaluation unit
38: driving mode change response evaluation unit 39: final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unit
40: additional service unit 351: exhibition module 353: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355: event information parsing module 361: secon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362: virtual measurement value detection module for each sensor 363: output module
364: motion vector input module 365: analysis module
366: second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371: secon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372: sensor-specific failure event-value detection module 373: second output module
374: second motion vector input module 375: second analysis module
376: second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381: thir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382: driving mode change event-value detection module
383: third output module 384: third motion vector input module
385: third analysis module 386: third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Claims (5)
상기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은
실제 주행에 대응되는 가상영상에, 돌발 상황 대처를 평가하기 위한 기 설정된 시나리오들인 기 설정된 제1 이벤트들 각각의 이벤트 영상이 합성된 영상인 VR 영상을 입력받아 등록하는 VR 영상 등록부;
상기 VR 영상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VR 영상과, 상기 VR 영상에 포함된 제1 이벤트 정보들 각각의 이벤트 값 및 내용이 저장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테스트 요청 시 실행되어 상기 VR 영상을 전시하는 전시모듈과, 상기 전시모듈에 의해 전시되는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1 이벤트정보들을 추출하는 이벤트정보 추출모듈과,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제1 이벤트정보를 출력하는 이벤트정보 파싱모듈을 포함하는 VR 영상 전시부;
상기 ECU로부터 전송받은 대처주행의 움직임벡터와, 상기 VR 영상의 제1 이벤트를 분석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돌발 상황 대처에 대한 평가점수인 제1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돌발 상황 대처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VR 영상 등록부는
일반운전면허시험의 동영상 문제들을 분석하여 VR 영상으로 구축하기 적합한 동영상을 선별한 후, 선별된 동영상 문제를 기반으로 생성된 VR 영상을 등록받고,
상기 VR 영상 등록부의 동작과정인 VR 영상 등록방법(S30)은
이전 일반운전면허시험의 동영상 문제들을 분석하여 VR 영상으로 구축하기 적합한 동영상을 선별하는 동영상 선별단계(S331);
상기 동영상 선별단계(S331)에 의해 선별된 동영상들이 VR 영상의 이벤트로 작성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이벤트 적용여부 점검단계(S332);
상기 이벤트 적용여부 점검단계(S332)에 의해 이벤트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 동영상문제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환경을 3D모델로 구축하는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구축단계(S333);
상기 가상현실 테스트 시나리오 구축단계(S333)에 의해 구축된 3D모델에 충돌시간(TTC, Time To Collision) 등의 이벤트 값을 설정하는 이벤트 설정단계(S334);
상기 이벤트 설정단계(S334)에 의해 이벤트가 설정된 3D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구현단계(S335);
상기 시뮬레이션 구현단계(S335)를 통한 시뮬레이션 시, 각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로그데이터를 수집하는 로그데이터 수집단계(S336);
상기 로그데이터 수집단계(S336)에 의해 수집된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3D모델이 평가테스트 대상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테스트 가능여부 분석단계(S3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In an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evaluating the safe driving ability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including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a camera and sensors:
The autonomous driving safety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is
a VR image registration unit that receives and registers a VR image, which is an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n event image of each of the first events, which are preset scenarios, which are preset scenarios for evaluating response to an unexpected situation, to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actual driving;
a memory in which the VR image registered by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and event values and contents of each of the first ev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R image are stored;
An exhibition module that is executed when a user requests a test and displays the VR image, an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that extracts first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timeline of a VR image displayed by the exhibition module, and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VR image display unit including an event information parsing module for outputting the first event information extracted by;
An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unit that analyzes the motion vector of the response driving received from the ECU and the first event of the VR image, and calculates a first evaluation score, which is an evaluation score for responding to an unexpected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including,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After analyzing the video problems of the general driver’s license test and selecting a video suitable for building a VR video, the VR video generated based on the selected video problem is registered,
The VR image registration method (S30), which i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R image registration unit, is
A video screening step (S331) of analyzing the video problems of the previous general driver's license test and selecting a video suitable to be built as a VR video;
an event application checking step (S332) of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s selected by the video selection step (S331) can be created as events of the VR video;
a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construction step (S333) of building a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environment as a 3D model based on the video problem determined to be applicable to the event by the event application check step (S332);
an event setting step (S334) of setting event values such as a time to collision (TTC, Time To Collision) in the 3D model built by the virtual reality test scenario building step (S333);
a simulation implementation step (S335) of performing a simulation on the 3D model in which the event is set by the event setting step (S334);
A log data collection step (S336) of collecting log data of the autonomous vehicle (C) for each event during simulation through the simulation implementation step (S335);
Autonomous driving safety, characterized in that it analyzes the log data collected by the log data collection step (S336) and analyzes whether the 3D model i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test, comprising an evaluation test possibility analysis step (S337);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상기 VR 영상 전시부로부터 제1 이벤트정보를 입력받는 제1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입력된 제1 이벤트정보와, 자율주행차량(C)의 기 설정된 센서별 위치 및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입력된 제1 이벤트정보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검출하는 센서별 가상측정값 검출모듈;
상기 센서별 가상측정값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센서별 가상측정값을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 출력하는 출력모듈;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 움직임벡터 입력모듈;
기 설정된 돌발상황 대처 평가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벡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1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하는 분석모듈;
상기 분석모듈에 의해 검출된 분석데이터와, 기 설정된 해당 제1 이벤트의 난이도를 활용하여 제1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돌발 상황 대처 평가점수인 제1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제1 평가점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unit
a first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first event information from the VR image display unit;
Detecting a virtual measurement value for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event information by using the input first event information and preset posi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Virtual measurement value detection module for each sensor;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virtual measurement value for each sensor detected by the virtual measurement value detection module for each sensor to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 motion vector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motion vector from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n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the first event information input by the motion vector input module using a preset emergency response evaluation algorithm to analyze the coping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C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ent ;
A first evaluation of calculating a first evaluation score that is an evaluation score for coping with a sudden situ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for a first event by using the analysis data detected by the analysis module and the preset difficulty level of the first event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ore calculation module.
상기 VR 영상에는 장애에 대응되는 제2 이벤트정보가 타임라인에 매칭되고,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은 상기 전시모듈에 의해 전시되는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2 이벤트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이벤트정보 파싱모듈은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제2 이벤트정보를 상기 장애 대처 평가부로 입력하고,
상기 장애 대처 평가부는
상기 VR 영상 전시부로부터 제2 이벤트정보를 입력받는 제2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입력된 제2 이벤트정보와, 자율주행차량(C)의 기 설정된 센서별 위치 및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입력된 제2 이벤트정보에 따른 자율주행차량(C)의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을 검출하는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 검출모듈;
상기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센서별 장애 이벤트-값을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 출력하는 제2 출력모듈;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 제2 움직임벡터 입력모듈;
기 설정된 장애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움직임벡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2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하는 제2 분석모듈;
상기 제2 분석모듈에 의해 검출된 분석데이터와, 기 설정된 해당 제2 이벤트의 난이도를 활용하여 제2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장애 대처 평가점수인 제2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제2 평가점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n obstacle coping evaluation unit,
In the VR image,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ability is matched to the timeline,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extracts second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line of the VR image displayed by the exhibition module,
The event information parsing module inputs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to the failure response evaluation unit,
The failure response evaluation unit
a secon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second event information from the VR image display unit;
Using the input second event information and preset lo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a failure event-value for each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input second event information. a sensor-specific failure event-value detection module;
a second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failure event-value for each sensor detected by the sensor-specific failure event-value detection module to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 second motion vector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motion vector from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A second analysis of coping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C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vent by analyzing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the second event information input by the second motion vector input module using a preset failure evaluation algorithm analysis module;
A second evaluation score, which is an evaluation score for coping with an obstacl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for a second event, is calculated using the analysis data detected by the second analysis module and the preset difficulty level of the second event Self-driving safety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상기 VR 영상에는 주행모드전환에 대응되는 제3 이벤트정보가 타임라인에 매칭되고,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은 상기 전시모듈에 의해 전시되는 VR 영상의 타임라인에 따른 제3 이벤트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이벤트정보 파싱모듈은 상기 이벤트정보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제3 이벤트정보를 상기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로 입력하고,
상기 주행모드전환 대처 평가부는
상기 VR 영상 전시부로부터 제3 이벤트정보를 입력받는 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
상기 제3 이벤트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제3 이벤트정보가 입력되면, 주행모드전환을 나타내는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을 생성하여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 출력하는 주행모드전환 이벤트-값 출력모듈;
상기 자율주행차량(C)의 ECU로부터 움직임벡터를 입력받는 제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
기 설정된 주행모드전환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움직임벡터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움직임벡터 정보 및 제3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제3 이벤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차량(C)의 대처주행을 분석하는 제3 분석모듈;
상기 제3 분석모듈에 의해 검출된 분석데이터와, 기 설정된 해당 제3 이벤트의 난이도를 활용하여 제3 이벤트에 대한 자율주행차량(C)의 주행모드전환 평가점수인 제3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제3 평가점수 산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driving mode change response evaluation unit,
In the VR image, the third ev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change is matched to the timeline,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extracts third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line of the VR image displayed by the exhibition module,
The event information parsing module inputs the third event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vent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to the driving mode change response evaluation unit,
The driving mode change response evaluation unit
a thir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ird event information from the VR video display unit;
When third event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third event information input module, a driving mode change event-value output module that generates a driving mode change event-value indicating driving mode change and outputs it to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
a third motion vector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motion vector from the ECU of the autonomous vehicle (C);
To analyze the coping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C) corresponding to the third event by analyzing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the third event information input by the third motion vector input module using a preset driving mode conversion evaluation algorithm a third analysis module;
The third evaluation score, which is the driving mode conversion evaluation score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 for the third event, is calculated by using the analysis data detected by the third analysis module and the preset difficulty level of the third event. 3 Autonomous driving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valua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853A KR102324978B1 (en) | 2020-08-26 | 2020-08-26 | VR video development method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and evalu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therewi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853A KR102324978B1 (en) | 2020-08-26 | 2020-08-26 | VR video development method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and evalu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therewi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4978B1 true KR102324978B1 (en) | 2021-11-12 |
Family
ID=7849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7853A Active KR102324978B1 (en) | 2020-08-26 | 2020-08-26 | VR video development method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and evalu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therewi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4978B1 (en)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91106A (en) * | 2021-12-30 | 2022-04-08 |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US11341786B1 (en) | 2020-11-13 | 2022-05-24 | Samsara Inc. | Dynamic delivery of vehicle event data |
US11386325B1 (en) | 2021-11-12 | 2022-07-12 | Samsara Inc. | Ensemble neural network state machine for detecting distractions |
KR102508361B1 (en) * | 2021-11-29 | 2023-03-08 | 주식회사 테크웨이즈 | Autonomous vehicle evaluation system by linking the virtual driving screen of the autonomous vehicle with the actual camera sensor |
US11643102B1 (en) * | 2020-11-23 | 2023-05-09 | Samsara Inc. | Dash ca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afety event detection |
KR102548579B1 (en) * | 2022-11-30 | 2023-06-29 | 주식회사 모라이 |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autonomous vehicle based on mixed reality image |
KR102548700B1 (en) | 2022-07-06 | 2023-06-30 | 주식회사 셀플러스코리아 | Image signal processor having AI algorithm and ECU Performance Verification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
KR20230126272A (en) * | 2022-02-22 | 2023-08-30 | 도로교통공단 | Grading and displaying system for driving license grade |
KR102579590B1 (en) | 2022-12-28 | 2023-09-18 | 도로교통공단 | Autonomous Vehicle ability evaluation scenario generation system based on the Road Traffic Act |
US11780446B1 (en) | 2020-11-13 | 2023-10-10 | Samsara Inc. | Refining event trigger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feedback |
US11866055B1 (en) | 2021-11-12 | 2024-01-09 | Samsara Inc. | Tuning layers of a modular neural network |
KR20250038522A (en) | 2023-09-12 | 2025-03-19 | 한국도로교통공단 | Autonomous vehicle evaluation scenario oper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traffic laws using a virtual environment |
KR20250038521A (en) | 2023-09-12 | 2025-03-19 | 한국도로교통공단 | Autonomous vehicle evaluation scenario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traffic laws using a virtual environment |
KR102827432B1 (en) | 2023-11-27 | 2025-07-02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Interior lighting testbed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mixed reality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76632A (en) * | 2005-05-12 | 2007-03-29 | Denso Corp | Driver condition detection device, in-vehicle alarm system, and drive assistance system |
JP2016212872A (en) * | 2015-05-04 | 2016-12-15 | ホンダ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ヨーロッパ ゲーエムベーハーHonda Research Institute Europe GmbH |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method for computationally predicting future state of target object, driver assistance system, vehicle including such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rresponding program storage medium and program |
WO2017030774A1 (en) * | 2015-08-14 | 2017-02-23 | Crown Equipment Corporation | Model based diagnostics based on steering model |
KR20170032898A (en) * | 2017-03-16 | 2017-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agnostic apparatus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US20180033221A1 (en) * | 2016-07-27 | 2018-02-01 | Beijing Baidu Netcom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operation of unmanned vehicle |
KR20190026343A (en) * | 2017-09-05 | 2019-03-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diagnosis apparatus, vehicle diagnosis system having the same, and vehicle diagnosis method |
KR20190102639A (en) * | 2018-02-27 | 2019-09-0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Obstacle detection method of virtual radar sensor for vehicle adas test |
-
2020
- 2020-08-26 KR KR1020200107853A patent/KR1023249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76632A (en) * | 2005-05-12 | 2007-03-29 | Denso Corp | Driver condition detection device, in-vehicle alarm system, and drive assistance system |
JP2016212872A (en) * | 2015-05-04 | 2016-12-15 | ホンダ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ヨーロッパ ゲーエムベーハーHonda Research Institute Europe GmbH |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method for computationally predicting future state of target object, driver assistance system, vehicle including such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rresponding program storage medium and program |
WO2017030774A1 (en) * | 2015-08-14 | 2017-02-23 | Crown Equipment Corporation | Model based diagnostics based on steering model |
US20180033221A1 (en) * | 2016-07-27 | 2018-02-01 | Beijing Baidu Netcom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operation of unmanned vehicle |
KR20170032898A (en) * | 2017-03-16 | 2017-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agnostic apparatus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KR20190026343A (en) * | 2017-09-05 | 2019-03-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diagnosis apparatus, vehicle diagnosis system having the same, and vehicle diagnosis method |
KR20190102639A (en) * | 2018-02-27 | 2019-09-0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Obstacle detection method of virtual radar sensor for vehicle adas test |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80446B1 (en) | 2020-11-13 | 2023-10-10 | Samsara Inc. | Refining event trigger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feedback |
US11341786B1 (en) | 2020-11-13 | 2022-05-24 | Samsara Inc. | Dynamic delivery of vehicle event data |
US12168445B1 (en) | 2020-11-13 | 2024-12-17 | Samsara Inc. | Refining event trigger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feedback |
US11688211B1 (en) | 2020-11-13 | 2023-06-27 | Samsara Inc. | Dynamic delivery of vehicle event data |
US12106613B2 (en) | 2020-11-13 | 2024-10-01 | Samsara Inc. | Dynamic delivery of vehicle event data |
US12128919B2 (en) | 2020-11-23 | 2024-10-29 | Samsara Inc. | Dash ca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afety event detection |
US11643102B1 (en) * | 2020-11-23 | 2023-05-09 | Samsara Inc. | Dash ca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afety event detection |
US11866055B1 (en) | 2021-11-12 | 2024-01-09 | Samsara Inc. | Tuning layers of a modular neural network |
US11386325B1 (en) | 2021-11-12 | 2022-07-12 | Samsara Inc. | Ensemble neural network state machine for detecting distractions |
US11995546B1 (en) | 2021-11-12 | 2024-05-28 | Samsara Inc. | Ensemble neural network state machine for detecting distractions |
KR102508361B1 (en) * | 2021-11-29 | 2023-03-08 | 주식회사 테크웨이즈 | Autonomous vehicle evaluation system by linking the virtual driving screen of the autonomous vehicle with the actual camera sensor |
CN114291106A (en) * | 2021-12-30 | 2022-04-08 |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KR102678060B1 (en) * | 2022-02-22 | 2024-06-26 | 도로교통공단 | Grading and displaying system for driving license grade |
KR20230126272A (en) * | 2022-02-22 | 2023-08-30 | 도로교통공단 | Grading and displaying system for driving license grade |
KR102548700B1 (en) | 2022-07-06 | 2023-06-30 | 주식회사 셀플러스코리아 | Image signal processor having AI algorithm and ECU Performance Verification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
KR102548579B1 (en) * | 2022-11-30 | 2023-06-29 | 주식회사 모라이 |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autonomous vehicle based on mixed reality image |
KR102579590B1 (en) | 2022-12-28 | 2023-09-18 | 도로교통공단 | Autonomous Vehicle ability evaluation scenario generation system based on the Road Traffic Act |
KR20250038522A (en) | 2023-09-12 | 2025-03-19 | 한국도로교통공단 | Autonomous vehicle evaluation scenario oper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traffic laws using a virtual environment |
KR20250038521A (en) | 2023-09-12 | 2025-03-19 | 한국도로교통공단 | Autonomous vehicle evaluation scenario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traffic laws using a virtual environment |
KR102827432B1 (en) | 2023-11-27 | 2025-07-02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Interior lighting testbed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mixed reality |
US12367718B1 (en) | 2024-04-29 | 2025-07-22 | Samsara, Inc. | Dynamic delivery of vehicle event dat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4978B1 (en) | VR video development method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and evalu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therewith | |
KR102158497B1 (en) | evalu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 |
KR102368427B1 (en) | Analyzing and evaluating method of driving risk using AI algorithm and evalu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therewith | |
CN111781855B (en) | Traffic is automatic driving simulation system in ring | |
US10908051B2 (en) |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ble to driverless vehicle | |
CN108334055B (en) |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checking vehicle automatic driving algorithm and storage medium | |
US11361556B2 (en) | Deterioration diagnosis device,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 |
CN110660270B (en) | Method for establishing vehicle collision risk evaluation model and collision risk evaluation method | |
JP7230596B2 (en) | Arithmetic system for automobiles | |
KR20190111631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 type Sensor Signal Based on Multi modal Deep Learning | |
CN105388021A (en) | ADAS virtual development and test system | |
CN113405808A (en) | Test system and test method of perception avoidance system | |
CN107406073A (en) | Will be by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nominal trajectory that vehicle crosses for the monitoring in terms of collisionless | |
KR10258555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obstacle recognition performance of autonomous vehicle | |
US1110072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 |
JP2009069885A (en) | Status determination device and program | |
CN114184218A (en) |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testing sensor systems of motor vehicles | |
CN117242460A (en) | Computerized detection of unsafe driving scenarios | |
CN113781471B (en) | An automatic driving test field system and method | |
KR102337034B1 (en) |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program performance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porceeding the same | |
JP2021192181A (en) |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and abnormality notification method | |
KR1013111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Accident of Vehicles | |
US20230394841A1 (en) | Method for analyzing the surroundings of a motor vehicle | |
KR102678060B1 (en) | Grading and displaying system for driving license grade | |
CN110364023A (en) |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