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4345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345B1
KR102324345B1 KR1020150013523A KR20150013523A KR102324345B1 KR 102324345 B1 KR102324345 B1 KR 102324345B1 KR 1020150013523 A KR1020150013523 A KR 1020150013523A KR 20150013523 A KR20150013523 A KR 20150013523A KR 102324345 B1 KR102324345 B1 KR 10232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negative
plate
region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2748A (en
Inventor
조기봉
김동우
황순학
이승환
홍진욱
김규호
최경택
맹상진
민중기
신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345B1/en
Priority to CN201510292337.9A priority patent/CN106207070B/en
Publication of KR2016009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4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전극탭에 라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전극판의 권취시 전극탭의 접힘 또는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일 예로, 양극판, 음극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 상부로 돌출되는 전극탭;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탭과 각각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은 측부에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the electrode tab from being folded or torn when the electrode plate is wound by forming a round part on the electrode tab.
For exampl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nd protruding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sealing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electrode terminals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ap plate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wherein the electrode tabs include a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at a side thereof.

Description

이차 전지 {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휴대폰,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개발과 생산 증가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용도로도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increase in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duction for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laptops. Recently,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to replace fossil fuels, a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being conducted for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본 발명은 전극탭에 라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전극판의 권취시 전극탭의 접힘 또는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the electrode tab from being folded or torn when the electrode plate is wound by forming a round part on the electrode tab.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 상부로 돌출되는 전극탭;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탭과 각각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은 측부에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nd protruding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sealing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electrode terminals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ap plate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wherein the electrode tabs may include a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at a side portion.

여기서, 상기 전극탭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이격된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질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spaced apart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그리고 상기 전극탭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includes a first reg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and a second region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can be

또한,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연결할 수 있다.Also, the round part may connec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또한, 상기 라운드부의 반경은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의 1 내지 1.5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1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또한, 상기 라운드부의 반경은 상기 전극탭의 높이의 0.35 내지 1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0.35 to 1 times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ab.

또한, 상기 전극탭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중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레이저 가공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tab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uncoated portion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to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active materials are not applied by laser processing.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는 전극탭에 라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전극판의 권취시 전극탭의 접힘 또는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lectrode tab from being folded or torn when the electrode plate is wound by forming a round part on the electrode ta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 탭, 전극 리드 및 전극 단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극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탭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탭의 형태에 따른 응력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서로 다른 수치를 갖는 전극탭의 응력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electrode tab, an electrode lead, and an electrode terminal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n electrode plat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n electrode tab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stress distributions of electrode tabs having different values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may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of those specified.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limited by these terms so that they It is self-evident that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portion. Accordingly,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discuss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 탭, 전극 리드 및 전극 단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electrode tab, an electrode lead, and an electrode terminal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 케이스(120) 및 캡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1 to 3 ,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10 , a case 120 , and a cap plate 140 .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판(111), 음극판(112) 및 세퍼레이터(113)를 포함하고, 전해액(미도시)과 함께 케이스(120)의 내부에 밀봉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1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 a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and a separator 113 , and may be sealed inside the case 120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not shown).

예를 들어,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판(111), 음극판(112), 및 세퍼레이터(113)의 적층체가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권취되거나 또는 직육면체 형태로 스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판(111)은 알루미늄(Al) 포일, 음극판(112)은 구리(Cu) 포일, 세퍼레이터(113)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러한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액은 충방전 시 이차 전지(100) 내부의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에서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의 이동 매체 역할을 하며, 이는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해액은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폴리머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formed by stacking a stack of a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and a separator 113 wound in a jelly roll shape or stack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Her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may be aluminum (Al) foil,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may be copper (Cu) foil, and the separator 113 may be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aterials are used. It is not limiting. The electrolyte serves as a movement medium for lithium ions generat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 i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100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which is a mixture of lithium salt and high-purity organic solvents. It may be a non-aqueous organic electrolyte. In addition, the electrolyte may be a polymer using a polymer electrolyte.

상기 양극판(111)은 양극 집전체(미도시)의 적어도 일면 상에 양극 활물질을 도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음극판(112)은 음극 집전체(미도시)의 적어도 일면 상에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 조립체(110)의 최외곽 측에는 양극판(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양극 집전체(미도시)를 케이스(120)에 인접한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케이스(120)를 통하여 방열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집전체(미도시)는 케이스(120)와 직접 닿거나 적어도 케이스(120)와 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열적으로 접촉한다는 것은 양자가 서로 직접 닿지는 않더라도 이들 간에 열적인 교류가 허용된다는 것이다.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may be formed by coat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not shown). Similarly,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not shown).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is is to promote heat dissipation through the case 120 by disposing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not shown) wit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heat on the outside adjacent to the case 120 . For example,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not shown) may directly contact the case 120 or at least thermally contact the case 120 . Thermal contact means that thermal exchange is allowed between the two even if they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의 적어도 일 개소에는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30m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은 전극탭(114,115)으로 총괄적으로 호칭될 수 있다. A positive electrode tab 114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115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are generally formed to have a height of 10 to 30 mm.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lectrode tabs 114 and 115 .

고용량 고출력 배터리의 경우에는 전극 조립체(110) 자체로부터 다수의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이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탭(114)은 상기 양극판(111)의 양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를 절단하여 탭의 형상을 만들어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탭(115) 역시 상기 음극판(112)의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를 절단하여 탭의 형상을 만들어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다수의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을 통하여 높은 출력 전류를 얻을 수 있으며 저항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은 별도로 준비되어 각각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의 무지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high-capacity, high-output battery,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tabs 114 and negative electrode tabs 115 may exten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10 itself. More specifically,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positive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to form a tab shape. 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may also be formed by cutting the negative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to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to form a tab shape. Such a secondary battery may obtain a high output current through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tabs 114 and negative electrode tab 115 and reduce resistance loss. Of course,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may be separately prepared and attached to the uncoated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전극탭(114, 115)은 그 일측 및 타측에 라운드진 라운드부(114c, 115c)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탭(114, 115)의 형성에는 가공 형상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레이저 가공이 이용되어 라운드부(114c, 115c)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114c, 115c)의 반경은 7 내지 3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114c, 115c)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may be formed to include rounded round portions 114c and 115c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reof.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are formed by laser processing capable of flexibly processing the shape, so that the round portions 114c and 115c can be easily formed. The round portions 114c and 115c may have a radius of 7 to 30 mm. The round parts 114c and 115c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양극탭(114)은 캡 플레이트(140)의 자체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음극탭(115)은 캡 플레이트(140)의 상면으로 연장된 음극 단자(145)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 플레이트(140)의 상면으로는 상기 양극 단자(144)와 음극 단자(145)가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양극탭(114)은 양극 리드(134)와 접속됨으로써 상기 양극 단자(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음극탭(115)은 음극 리드(135)와 접속됨으로써 상기 음극 단자(1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양극 리드(134) 및 음극 리드(135)는 전극 리드(134, 135)로 총괄적으로 호칭될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may be connected to itself of the cap plate 140 ,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may be connected to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5 exte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 For example, the positive terminal 144 and the negative terminal 145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 In this case,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44 by being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 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5 by being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35 .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positive lead 134 and the negative lead 13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lectrode leads 134 and 135 .

상기 전극탭(114,115)이 상기 전극 리드(134,135)와 접속되기 전, 다수의 전극탭(114,115)은 가용접을 통하여 하나의 묶음으로 집속될 수 있다. 이렇게 가용접을 통하여 하나의 묶음으로 집속된 전극탭(114,115)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전극 리드(134,135)와 접속될 수 있다.Before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134 and 135 , the plurality of electrode tabs 114 and 115 may be focused into one bundle through tack welding.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focused in one bundle through tack welding in this way can be more easi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134 and 135 .

상기 케이스(120)에는 전극 조립체(110) 및 전해액(미도시)이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120)는 상부가 개방된 상단 개구부를 가지며, 딥 드로잉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의 상단 개구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14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캡 플레이트(140)와 케이스(120)의 맞닿는 부분은 레이저 용접으로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는 스틸, 알루미늄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n electrode assembly 110 and an electrolyte (not shown) are accommodated in the case 120 . The case 120 has an upper opening with an open top, and may be manufactured by a deep drawing method. The upper opening of the case 120 may be sealed by the cap plate 140 . In this case, abutting portions of the cap plate 140 and the case 1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laser welding. The case 120 may be form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steel, aluminum, or an equivalent thereof,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양극 리드(134)는 상기 양극 탭(114)과 캡 플레이트(140) 및 양극 단자(14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양극 리드(134)는 전체적으로 'ㄱ'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리드(134)는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연장되며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양극 리드(134)의 제 1 부분(134a)은 상기 캡 플레이트(140)의 하면과 대면하도록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14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분(134a)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134b)은 상기 양극탭(114)과 대면하도록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극탭(114)과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양극 리드(134)는 캡 플레이트(140) 및 양극탭(114)과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결합 상대와 마주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positive lead 134 electrically connects the positive tab 114 to the cap plate 140 and the positive terminal 144 . The positive lead 134 may have a bent shape in an 'a' shape as a whole. More specifically,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may exten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and may have a bent shape. The first portion 134a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is disposed in a direction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and is coupled to the cap plate 140 . 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 134b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portion 134a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to face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to be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 In this way,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may have a structure bent in different directions to face each coupling partner to form a coupling with the cap plate 140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

상기 음극 리드(135)는 상기 음극 탭(115)과 음극 단자(14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음극 리드(135)는 전체적으로 'ㄱ'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음극 리드(135)의 제 1 부분(135a)은 캡 플레이트(140)의 하면과 대면하도록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캡 플레이트(140)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 1 부분(135a)과 캡 플레이트(140) 사이에는 음극 절연 플레이트(132)과 개재되어 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분(135a)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극 리드(135)의 제 2 부분(135b)은 상기 음극탭(115)과 대면하도록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음극탭(115)과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음극 리드(135)는 캡 플레이트(140)와 음극탭(115)과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결합 상대와 마주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극 리드(135)는 평편한 판 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negative lead 135 electrically connects the negative tab 115 and the negative terminal 145 . The negative lead 135 may have a bent shape in an 'a' shape as a whole. That is, the first portion 135a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35 is disposed in a direction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and is coupled to the cap plate 140 . At this time, the negative insulating plate 132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135a and the cap plate 140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two. 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 135b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35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portion 135a is disposed in a direction to face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and is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 can be In this way,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35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ap plate 14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are bent in different directions to face each other in order to form a bond with each other.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he negative lead 135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상기 음극 리드(135)와 캡 플레이트(140)의 하면 사이에는 이들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음극 절연 플레이트(132)가 개재된다. 상기 음극 절연 플레이트(132)는 이후 설명될 가스켓(142)과 함께 상기 음극 리드(135)와 캡 플레이트(140)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또한, 상기 음극 절연 플레이트(132)는 전극 조립체(110)의 양극탭(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캡 플레이트(140)가 반대 극성과 도통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음극 리드(135)와 음극 절연 플레이트(132)에는 각각 음극 단자(145)의 관통을 위한 단자 홀(135', 132')이 형성될 수 있다.A negative electrode insulating plate 132 is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3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for electrical insulation therebetween. The negative insulating plate 132 electrically insulates the negative lead 135 and the cap plate 140 together with a gasket 142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negative insulating plate 132 prevents the cap plate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from conducting with the opposite polarity. Terminal holes 135 ′ and 132 ′ for penetrating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5 may be formed in the negative lead 135 and the negative insulation plate 132 , respectively.

한편, 상기 캡 플레이트(140)와 음극 리드(135) 사이에 음극 절연 플레이트(132)가 배치되는 것과 유사하게, 상기 캡 플레이트(140)와 양극 리드(134) 사이에는 양극 절연 플레이트(13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양극 절연 플레이트(131)는 음극 절연 플레이트(132)와의 균형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 절연 플레이트(131)는, 상기 캡 플레이트(140)와 양극 리드(134) 간의 높이와, 상기 캡 플레이트(140)와 음극 리드(135) 간의 높이 밸런스를 유지시키기 위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절연 플레이트(131)는 상기 캡 플레이트(140)와 양극 리드(134) 간에 개재되어 이후 설명될 결합 핀(131)에 의해 압착 결합시 결합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할 수 있다.Meanwhile, similarly to the arrangement of the negative insulating plate 132 between the cap plate 140 and the negative lead 135 , the positive insulating plate 131 is disposed between the cap plate 140 and the positive lead 134 . may be placed. The positive insulating plate 131 may be provided to balance the negative insulating plate 132 .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insulating plate 131 may be inserted to maintain a height balance between the cap plate 140 and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and the height between the cap plate 14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35 . .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insulating plate 13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ap plate 140 and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to increase bonding strength during compression bonding by a bonding pin 131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캡 플레이트(140)는 상기 케이스(120)의 상단 개구부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금속판일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40)는 결합 핀(141), 양극 단자(144), 음극 단자(145) 및 가스켓(142)을 포함한다.The cap plate 140 may be a metal plate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ase 120 . The cap plate 140 includes a coupling pin 141 , a positive terminal 144 , a negative terminal 145 , and a gasket 142 .

상기 결합 핀(141)은 상기 양극 리드(134)와 캡 플레이트(140)를 단단히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캡 플레이트(14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 핀(141)은 상기 양극 리드(134)를 관통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양극 리드(134)의 저면으로 노출된 결합 핀(141)의 하단이 리벳팅 또는 스피닝 방식으로 양극 리드(134)의 저면에 대해 압착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벳팅 결합에서는, 상기 양극 리드(134)의 저면으로 노출된 결합 핀(141)의 하단을 헤머로 타격하여 결합 핀(141)의 하단이 양극 리드(134)의 저면에 대해 압착되도록 한다. 스피닝 결합에서는, 상기 양극 리드(134)의 저면으로 노출된 결합 핀(141)의 하단을 고속 회전하는 가공 툴로 가압하면서 결합 핀(141)의 하단이 양극 리드(134)의 저면에 대해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양극 리드(134)와 캡 플레이트(140)는 용접 결합될 수도 있다.The coupling pin 141 firmly couples the anode lead 134 and the cap plate 140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upling pin 141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is assembled to pass through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 and the coupling pin 141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 The lower end may be press-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by riveting or spinning. For example, in the riveting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in 141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is hit with a hamme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in 141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 make it possible In the spinning bonding, the lower end of the bonding pin 141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while pressing the lower end of the bonding pin 141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with a high-speed rotating processing tool. can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34 and the cap plate 14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상기 양극 단자(144)는 상기 캡 플레이트(140)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된 부분 또는 캡 플레이트(140)의 상면에 덧대어지도록 결합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단자(144)는 캡 플레이트(140)와 같은 양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144)는 양극 리드(134)를 통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양극(111)과 접속된다.The positive terminal 144 may be formed as a portion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cap plate 140 or as a separate member coupled to be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 Also, the positive terminal 144 may have the same positive polarity as the cap plate 140 . The positive terminal 144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1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rough the positive lead 134 .

상기 음극 단자(145)는 캡 플레이트(140)를 관통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음극 단자(145)는 캡 플레이트(140)와 절연성 결합을 이루며, 캡 플레이트(140)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음극 단자(145)는 음극 리드(135)를 통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음극(112)과 접속된다.The negative terminal 145 may be assembled to pass through the cap plate 140 . The negative terminal 145 may form an insulating coupling with the cap plate 140 , and may exten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 The negative terminal 145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112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rough the negative lead 135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극 단자(145)는 캡 플레이트(140), 절연 플레이트(132), 및 음극 리드(135)의 단자 홀(140', 132', 135')을 함께 관통하도록 조립되며 음극 단자(145)의 하부가 음극 리드(135)의 저면에 압착됨으로써, 캡 플레이트(140), 절연 플레이트(132), 및 음극 리드(135)가 위치 정렬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negative terminal 145 is assembled to pass through the terminal holes 140 ′, 132 ′, and 135 ′ of the cap plate 140 , the insulating plate 132 , and the negative lead 135 together, and the negative terminal As the lower portion of the 145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negative lead 135 , the cap plate 140 , the insulating plate 132 , and the negative lead 135 may be integrally coupled in an aligned state.

예를 들어, 상기 캡 플레이트(140), 절연 플레이트(132), 및 음극 리드(135)를 서로에 대해 겹쳐지게 적층한 다음에, 상기 캡 플레이트(140)의 상부로부터 음극 단자(145)를 단자 홀(140', 132', 135')들에 순차적으로 끼워 조립하고, 상기 음극 리드(135)의 저면으로 노출된 음극 단자(145)의 하부에서 리벳팅 또는 스피닝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음극 리드(135)의 저면에 대해 압착된 형태로 음극 단자(145)가 조립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stacking the cap plate 140 , the insulating plate 132 , and the negative lead 135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negative terminal 14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rom the top of the cap plate 140 . The negative lead 135 is assembled by sequentially fitting into the holes 140 ′, 132 ′, and 135 ′, and riveting or spinning is performed unde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5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35 . ), the negative terminal 145 may be assembled in a compressed form against the bottom surface.

상기 음극 단자(145)의 하부는 음극 리드(135)의 저면에 대해 압착 결합된 상태이나, 음극 단자(145)의 하부에 대해 용접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음극 단자(145)와 음극 리드(135) 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음극 단자(145)와 음극 리드(135) 간의 결합은 음극 측의 충방전 경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음극 단자(145)의 상부는 원통 형상의 몸통으로부터 판 상으로 돌출되어 캡 플레이트(140)의 상면에 대해 압착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negative terminal 145 is press-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35 , but welding is additionally perform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negative terminal 145 , and the negative terminal 145 and the negative lead 135 . The bond between them can be made stronger. This is because the coupling between the negative terminal 145 and the negative lead 135 forms a charge/discharge path on the negative side. Mean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negative terminal 145 may protrude from the cylindrical body onto the plate and be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

한편, 상기 음극 단자(145)와 캡 플레이트(140)의 사이에는 가스켓(142)이 개재된다. 즉, 상기 음극 단자(145)는 가스켓(142)을 개재하여 캡 플레이트(140)에 조립된다. 이 때, 상기 캡 플레이트(140)에는 음극 단자(145)의 관통을 위한 단자 홀(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극 단자(145)는 가스켓(142)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캡 플레이트(140)의 단자 홀(14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캡 플레이트(14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2)은 단자 홀(140`)의 주변을 실링하여,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미도시)의 누액을 방지하고, 외부 불순물의 침투를 저지하기 위한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a gasket 142 is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terminal 145 and the cap plate 140 . That is, the negative terminal 145 is assembled to the cap plate 140 with the gasket 142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a terminal hole 140 ′ is formed in the cap plate 140 to pass through the negative terminal 145 . The negative terminal 145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140 by being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140 ′ of the cap plate 140 with the gasket 14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gasket 142 seals the periphery of the terminal hole 140 ′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case 120 , and perform a sealing function to prevent penetration of external impurities. can do.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극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탭의 확대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극 조립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며, 전극탭의 구조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n electrode plat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n electrode tab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ll be omitted, and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tab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판(111), 음극판(112)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상기 양극판(111)과 접속되어 상부로 돌출된 양극탭(114) 및 상기 음극판(112)과 접속되어 상부로 돌출된 음극탭(115)을 포함한다. 4 to 6 , the electrode assembly 11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 a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and a separator 113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11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ab 114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protruding upward,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115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and protruding upward.

상기 양극탭(114)은 상기 양극판(111)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양극탭(114)은 상기 양극판(111)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영역(114a), 상기 제 1 영역(114a)과 이격되어 제 1 영역(114a)과 평행을 이루는 제 2 영역(114b) 및 상기 제 1 영역(114a) 및 제 2 영역(114b)을 연결하는 라운드부(114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114a)의 길이는 상기 제 2 영역(114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114c)는 라운드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is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 At this time,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includes a first region 114a in direct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a second region 114a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114a and parallel to the first region 114a ( 114b) and a round portion 114c connecting the first region 114a and the second region 114b. Here,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14a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114b. In addition, the round portion 114c is preferably formed by a round process.

상기 음극탭(115)은 상기 양극탭(114)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음극탭(115)은 상기 음극판(112)과 맞닿는 제 1 영역(115a), 상기 제 1 영역(115a)과 이격되어 제 1 영역(115a)과 평행을 이루는 제 2 영역(115b) 및 상기 제 1, 2 영역(115a, 115b)을 연결하며 라운드 처리된 라운드부(115c)를 포함한다.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 That is,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includes a first region 115a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a second region 115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115a and parallel to the first region 115a, and It includes a round portion 115c that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5a and 115b and is rounded.

상기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이하, 전극탭으로 지칭하도록 한다)은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이하, 전극판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중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레이저 노칭기를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하여 전극탭(114, 115)이 형성된 전극판(111, 112)은 그 사이에 세퍼레이터(113)를 개재하여 권취됨으로써 전극 조립체(110)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전극판(111, 112) 및 세퍼레이터(113)는 이들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극판 권취기(미도시)를 통해 권취된다.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ode tab) have an uncoated region to which an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amo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ode plate). It can be formed by cutting using a laser notching machine. In this way, the electrode plates 111 and 112 on which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are formed are wound with a separator 113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form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 At this time, the electrode plates 111 and 112 and the separator 113 are wound through an electrode plate winder (not shown)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ers for transferring them.

상기 전극탭(114, 115) 중 제 1 영역(114a, 115a)의 길이는 제 2 영역(114b, 115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114a, 115a)과 제 2 영역(114b, 115b) 사이에는 라운드부(114c, 115c)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극판(111, 112)의 권취시 얇고 유연한 재질의 전극탭(114, 115)이 롤러에 의해 이송 중 접히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Of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 the first regions 114a and 115a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econd regions 114b and 115b, and the first regions 114a and 115a and the second regions 114b are formed. , 115b) is formed between the round parts 114c and 115c, so that when the electrode plates 111 and 112 are wound,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made of a thin and flexible material are folded or torn during transport by a roller. can be preven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탭(114, 115)의 가공 과정 또는 상기 전극판(111, 112)이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극판(111, 112)에 장력이 인가되면 전극탭(114, 115)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응력 집중 현상은 상기 전극탭(114, 115)의 하부, 즉, 제 1 영역(114a, 115a)으로부터 발생되는데, 이 때 상기 제 1 영역(114a, 115a)의 폭을 제 2 영역(114b, 115b)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114a, 115a)과 제 2 영역(114b, 115b) 사이에 라운드부(115a, 115b)를 형성함으로써 응력의 분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극탭(114, 115)의 접힘이나 찢어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라운드부(115a, 115b)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14a, 115a)의 폭이 길어지더라도 상기 전극탭(114, 115)의 전체적인 폭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s 111 and 112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or the process in which the electrode plates 111 and 112 are transported by rollers, the electrode tabs 114, 115), a phenomenon in which stress is concentrated may occur. This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is generated from the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that is, from the first regions 114a and 115a. By forming longer than 115b), such stress concentra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forming the round portions 115a and 115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4a and 115a and the second regions 114b and 115b, stress is more effectively distributed, so that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are folded or folded. Tea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even when the widths of the first regions 114a and 115a are increased by the round portions 115a and 115b, the overall width of the electrode tabs 114 and 11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라운드부(114c)가 갖는 반경(A)은 상기 제 2 영역(114b)의 길이(B)의 1 내지 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라운드부(114c)의 반경(A)이 상기 제 2 영역(114b)의 길이(B)보다 작을 경우, 응력의 분산 효과가 미미해져 전극 조립체(110)의 권취시 양극탭(114)이 접히거나 찢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114c)의 반경(A)이 상기 제 2 영역(114b)의 길이(B)의 1.5배보다 클 경우, 상기 제 1 영역(114a)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즉, 상기 제 1 영역(114a)의 길이가 증가함으로써 다수의 양극탭(114)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므로 적절하지 않다.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6 , the radius A of the round part 114c may be 1 to 1.5 times the length B of the second region 114b. If the radius A of the round portion 114c is smaller than the length B of the second region 114b,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stress is insignificant,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is not move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wound. It can be folded or torn. In addition, when the radius A of the round portion 114c is greater than 1.5 times the length B of the second region 114b,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14a becomes excessively long, which is not preferable. That is, as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14a increases,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tabs 114 becomes relatively narrow, which is not appropriate.

한편, 상기 라운드부(114c)의 반경이 상기 제 2 영역(114b)의 길이의 1 내지 1.5배이므로, 상기 제 1 영역(114a)의 길이는 제 2 영역(114b)의 길이의 3배 내지 4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radius of the round part 114c is 1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114b,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14a is 3 to 4 times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114b. It can be formed into a boat.

또한, 상기 라운드부(114c)의 반경(A)은 상기 양극탭(114)의 높이(C)의 0.35 내지 1배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라운드부(114c)의 반경(A)이 상기 양극탭(114)의 높이(C)의 0.35배보다 작을 경우, 응력의 분산 효과가 미미해져 전극 조립체(110)의 권취시 양극탭(114)이 접히거나 찢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114c)의 반경(A)이 상기 양극탭(114)의 높이(C)보다 클 경우, 상기 제 1 영역(114a)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고, 결국 다수의 양극탭(114) 간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Also, the radius A of the round portion 114c may be 0.35 to 1 times the height C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 If the radius A of the round part 114c is smaller than 0.35 times the height C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stress becomes insignificant, so that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wou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 may be folded or torn. In addition, when the radius A of the round portion 114c is greater than the height C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14a becomes excessively long, resulting in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tabs 114 .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interval between them is narrowed.

상기 음극탭(115)의 경우에도 상기 라운드부(115c)가 갖는 반경은 상기 제 2 영역(115b)의 길이의 1 내지 1.5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115c)의 반경은 상기 음극탭(115)의 높이의 0.35 내지 1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양극탭(114)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Even in the case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 the radius of the round part 115c may be 1 to 1.5 times or less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115b. Also,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115c may be 0.35 to 1 times or less the h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 This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 so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탭의 형태에 따른 응력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7 is a view showing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형태, 즉, 직사각형 형태의 전극탭(a), 사다리꼴 형태의 전극탭(b) 및 라운드를 포함하는 전극탭(c)을 구비하는 전극판들의 권취 과정을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여기서, 각각의 전극판은 8 내지 12㎛ 두께의 구리 박판 또는 알루미늄 박판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였다. 또한, 전극탭은 전극판의 무지부를 직사각형 모양의 레이저로 가공하여 형성하였다. 더불어, 각각의 전극판은 780mm/s의 권취 속도로 롤러를 통과하여 권취되었다. 이 때, 각각의 전극판에는 모두 동일한 장력이 적용되도록 하였다. 도 7의 전극탭에 나타난 둥그런 모양의 띠는 응력 분포선을 나타내며, 붉은색 부분이 가장 높은 응력을 나타내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전극판의 권취시 전극탭에는 이러한 둥그런 손톱 모양의 띠가 형성되며, 전극탭은 이러한 띠를 따라 접히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winding process of electrode plates having different shapes, that is, a rectangular electrode tab (a), a trapezoidal electrode tab (b), and an electrode tab (c) including a round, is performed by CAE ( It is the result of simulation using computer aided engineering). Here, as each electrode plate, one selected from a copper thin plate or an aluminum thi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8 to 12 μm was used. In addition, the electrode tab was formed by processing the u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with a rectangular laser. In addition, each electrode plate was wound through a roller at a winding speed of 780 mm/s. At this time, the same tension was applied to each electrode plate. A round band shown in the electrode tab of FIG. 7 indicates a stress distribution line, and a red portion indicates the highest stress. In general, such a round nail-shaped band is formed on the electrode tab when the electrode plate is wound, and the electrode tab is folded or torn along the band.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극탭의 밑변, 즉, 제 1 영역이 넓을수록 응력이 완화되므로 전극탭의 접힘이 최소화될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특히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전극탭(c)의 경우 응력 집중현상이 현저히 완화되었다. 따라서, 전극탭의 밑변인 제 1 영역이 넓고 전극탭의 전체적인 폭이 증가하지 않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전극탭이 응력 분산 효과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전극탭을 적용할 경우 전극판의 권취시 전극탭의 접힘이 최소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as the base of the electrode tab, ie, the first region, becomes wider, the stress is relieved, so it can be expected that the folding of the electrode tab is minimiz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lectrode tab c including a round part, the stress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de tab including a round portion in which the first region that is the base of the electrode tab is wide and the overall width of the electrode tab does not increase has the highest stress dispersing effect.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electrode tab including the round part is applied, the folding of the electrode tab is minimized when the electrode plate is wound.

한편, 도 7의 결과를 참조하면 780mm/s의 권취 속도로 고속 권취하였을 경우 라운드를 포함하는 전극탭만이 접힘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권취 속도의 측면에서도 라운드를 포함하는 전극탭이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즉,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전극탭을 적용할 경우, 전극탭의 고속 권취시에도 접힘 또는 찢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results of FIG. 7 , when high-speed winding was performed at a winding speed of 780 mm/s, only the electrode tab including the round did not fol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de tab including a round is preferable in terms of winding speed as it exhibits the best characteristics. That is, when an electrode tab including a round part is applied, a phenomenon of folding or tearing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electrode tab is wound at a high spe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서로 다른 수치를 갖는 전극탭의 응력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8 illustrates stress distributions of electrode tabs having different values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전극탭에서, 각각의 라운드부의 반경 및 전극탭 상부의 제 2 영역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하여 CAE를 통해 전극판의 권취 과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알 수 있다. 각각의 전극탭의 라운드부의 반경 및 제 2 영역의 길이와 이에 따른 접힘 현상 발생 여부는 아래의 표와 같다.Referring to FIG. 8 , in an electrode tab including a round part, the result of simulating the winding process of the electrode plate through CAE by making the radius of each round part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on the electrode tab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seen.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of each electrode tab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and whether or not a folding phenomenon occurs according to thi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Figure 112015009431096-pat00001
Figure 112015009431096-pat00001

표 1에서 제 2 영역의 길이 및 라운드부의 반경의 단위는 모두 mm이며, 전극탭의 높이는 28mm로 고정되었다. In Table 1, the unit of both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radius of the round part is mm, and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ab is fixed to 28 mm.

도 8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극탭 (d), (g), (h)의 경우 접힘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전극탭의 경우 응력 분포선이 뚜렷하게 나타나 접힘이 발생하였다. 즉, 라운드부의 반경이 전극탭 중 제 2 영역의 길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접힘이 발생하였으며(a, b, c, e, f, i), 라운드부의 반경이 제 2 영역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클 경우에는 접힘이 발생하지 않았다(d, g, h). 따라서, 상기 결과에 의해 전극탭 중 라운드부의 반경은 제 2 영역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극탭 밑변인 제 1 영역의 길이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운드부의 반경은 제 2 영역의 길이의 1.5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and Table 1, in the case of the electrode tabs (d), (g), and (h), there was no folding, and in the case of the remaining electrode tabs, the stress distribution line was clearly visible, and the folding occurred. That is, when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of the electrode tabs, folding occurs (a, b, c, e, f, i), and when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no folding occurred (d, g, h). Accordingly, it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is preferably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n excessiv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which is the base of the electrode tab,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1.5 times or less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탭에 라운드진 라운드부를 형성하여 전극탭 중 전극판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 1 영역의 길이를 제 2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라운드부의 반경은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의 1 내지 1.5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의 반경은 상기 전극탭의 높이의 0.35 내지 1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unded portion is formed in the electrode tab,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relatively close to the electrode plate among the electrode tabs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In this case,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1 to 1.5 times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In addition,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0.35 to 1 times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ab.

즉, 상기 전극탭에 라운드부를 형성하여 전극탭의 밑변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전극판의 권취시 전극탭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탭의 응력 집중이 방지되어 전극탭의 접힘 또는 찢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극판의 고속 권취시에도 전극탭의 접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양품의 전극탭을 얻을 수 있어 전극탭의 불량에 의한 이차 전지의 발화 또는 성능 저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That is, by forming a round part on the electrode tab to make the length of the bottom side of the electrode tab long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electrode tab when the electrode plate is wound. Accordingly, stress concentration of the electrode tab is prevented, thereby minimizing folding or tearing of the electrode tab. In addition, even when the electrode plate is wound at high speed, the folding phenomenon of the electrode tab can be prevented. Finally, a good quality electrode tab can be obtai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ignition or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due to the defect of the electrode tab.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it,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이차 전지 110; 전극 조립체
114, 115; 전극탭 114a, 115a; 제 1 영역
114b, 115b; 제 2 영역 114c, 115c; 라운드부
120; 케이스 134, 135; 전극 리드
140; 캡 플레이트 144, 145; 전극 단자
100; secondary battery 110; electrode assembly
114, 115; electrode tabs 114a and 115a; first area
114b, 115b; second regions 114c, 115c; round part
120; cases 134, 135; electrode lead
140; cap plates 144, 145; electrode terminal

Claims (7)

양극판, 음극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 상부로 돌출되는 전극탭;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탭과 각각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은 측부에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연결하되 상기 전극탭의 측부로부터 오목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의 반경은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의 1 내지 1.5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nd protruding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sealing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and electrode terminals protruding above the cap plate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The electrode tab includes a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on the side,
The electrode tab includes a first reg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nd a second region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
The round portion connects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is formed to be rounded concavely from a side of the electrode tab;
Th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is formed to be 1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이격된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de tab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spaced apart from the positive plate and the negative plate toward the botto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의 반경은 상기 전극탭의 높이의 0.35 내지 1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the round portion is formed to be 0.35 to 1 times the height of the electrode ta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중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를 레이저 가공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de tab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cutting the uncoated por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to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active materials are not applied by laser processing.
KR1020150013523A 2015-01-28 2015-01-28 secondary battery Active KR102324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523A KR102324345B1 (en) 2015-01-28 2015-01-28 secondary battery
CN201510292337.9A CN106207070B (en) 2015-01-28 2015-06-01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523A KR102324345B1 (en) 2015-01-28 2015-01-28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48A KR20160092748A (en) 2016-08-05
KR102324345B1 true KR102324345B1 (en) 2021-11-10

Family

ID=5671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523A Active KR102324345B1 (en) 2015-01-28 2015-01-28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4345B1 (en)
CN (1) CN10620707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1991B1 (en) * 2017-02-22 2025-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having symmetrical multi-tap
KR102712362B1 (en) 2018-10-12 2024-10-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KR20210019846A (en) * 2019-08-13 2021-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12132227B2 (en) 2021-01-19 2024-10-2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JP7642807B2 (en) 2021-01-19 2025-03-10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Batteries, battery packs including the same, and automobiles
US20220271403A1 (en) 2021-02-19 2022-08-25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applied thereto,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JP2024516737A (en) * 2021-08-05 2024-04-16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Electrode assembly, battery,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nd automobile
KR102406005B1 (en) * 2021-10-28 2022-06-08 이계설 Flagforming device after laser notching of secondary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US12249681B2 (en) 2021-11-19 2025-03-11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17562788U (en) * 2022-06-28 2022-10-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Battery cell, battery and power consumption device
KR20240075735A (en) * 2022-11-16 2024-05-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including same,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uch battery
KR102636276B1 (en) * 2022-11-17 2024-02-1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Anode for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6207213A (en) * 2023-03-23 2023-06-02 厦门新能安科技有限公司 Pole piece, battery core, battery and electric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10B1 (en) * 2007-12-21 201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tab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610A (en) * 1997-01-31 1998-10-1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Sealed storage battery
JPH1116577A (en) * 1997-06-26 1999-01-2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JP4576951B2 (en) * 2004-09-22 2010-11-10 新神戸電機株式会社 Cylindrical sealed lead-acid battery
CN102763238B (en) * 2010-02-17 2016-03-09 株式会社东芝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s
KR101219248B1 (en) * 2011-01-12 2013-0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US20140193710A1 (en) * 2011-08-31 2014-07-10 Nec Energy Devices,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P2802027B1 (en) * 2012-04-16 2018-05-30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differently shaped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CN202695607U (en) * 2012-08-03 2013-01-23 广东凯德能源科技有限公司 Lithium ion battery pole pie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10B1 (en) * 2007-12-21 201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tab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7070A (en) 2016-12-07
CN106207070B (en) 2020-12-04
KR20160092748A (en)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345B1 (en) secondary battery
KR101023865B1 (en) Secondary battery
JP6250567B2 (en) Sealed battery
US10056577B2 (en)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KR102700153B1 (en) Electrode assembly
KR102366429B1 (en) Electrodes with Improved Weld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de Tabs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6254102B2 (en) Sealed battery
KR101147207B1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reof
KR20200108719A (en) Secondary Battery
JP2011165672A (en) Electrode assembly with interelectrode resistance difference of tab-lead connection part minimized and electrochemical cell equipped with the same
KR20180058370A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eparator Having Insulation-enhancing Part Formed on Edge Portion of Electrode
KR102264701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251330B1 (en) Secondary Battery
KR102263200B1 (en) Battery Pack
US20110076544A1 (en) Stack type battery
KR101901370B1 (en) Battery Cell
US10312497B2 (en) Rechargeable battery
WO2014141640A1 (en) Laminate exterior cell
KR20200091687A (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ary Battery
KR101387137B1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EP4258453A1 (en) Secondary battery
KR101653320B1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of Low Resistanc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6143201B2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143774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ode assembly
US11038247B2 (en) Battery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l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