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742B1 - Apparatus of supporting for wale with adjustable type for error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supporting for wale with adjustable type for err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2742B1 KR102322742B1 KR1020210007534A KR20210007534A KR102322742B1 KR 102322742 B1 KR102322742 B1 KR 102322742B1 KR 1020210007534 A KR1020210007534 A KR 1020210007534A KR 20210007534 A KR20210007534 A KR 20210007534A KR 102322742 B1 KR102322742 B1 KR 102322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e
- support
- thumb
- gripping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흙막이벽을 시공할 때 엄지말뚝과 띠장의 사이에 설치되어 띠장에 대해 엄지말뚝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흙막이 시공을 위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들을 지지하는 띠장의 사이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엄지말뚝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진 상태에서 상기 엄지말뚝에 대해 띠장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으로,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상기 띠장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일단부에 곡면이 마련된 틸팅부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파지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thumb pile and the wale to support the thumb pile against the wale when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t's about the device.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thumb peg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retaining construction, and a wale for supporting the thumb pegs so that at least one of the thumb pegs is tilted or twisted. By supporting the wale with respect to the thumb stake in the state and adjusting the spacing therebetween, a support part fixed to the thumb stake, a gripping part for gripping the wal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art, and one side rotates to the support part It has a tilting part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at one e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so as to be possible, and the other side is screwed with the grip part to provide a gap adjustin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grip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흙막이벽을 시공할 때 엄지말뚝과 띠장의 사이에 설치되어 띠장에 대해 엄지말뚝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thumb pile and the wale to support the thumb pile against the wale when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t's about the device.
지하철, 건축물, 지하차도, 지하 저장 시설물 등의 기반공사를 위한 굴착 공사에 있어서 굴착되는 부지 외곽에는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가 병행된다.In the excavation work for infrastructure such as subways, buildings, underpasses, and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retaining work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is carried out at the periphery of the excavated site.
흙막이 공사는 지하굴착 시 일어나는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사이나, 최근에는 도심지 구간 굴착공사가 빈번함에 이루어짐에 따라 주변 지반의 침하나 건물의 보호를 위해 시공되는 등 그 적용 분야가 다양화하고 있다.Retaining construction is a construction for the purpose of resisting lateral pressure such as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that occurs during underground excavation. The field of application is diversifying.
흙막이 공사는 굴착 공사와 함께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흙막이 공사 시 임의 간격의 H빔으로 된 엄지말뚝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우고, 서로 이웃하는 엄지말뚝의 사이에 다수의 흙막이 판을 적층 삽입함으로써 다량의 토사를 받치는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각각의 엄지말뚝에 띠장이 횡방향으로 연결되고 띠장은 직각방향의 버팀대와 연결됨으로써 엄지말뚝이 토압에 밀려나지 않도록 띠장에 의해 지지된다.The retaining work is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excavation work. In general, during retaining construction, a retaining wall supporting a large amount of soil is formed by erecting thumb piles made of H-beams at arbitrary interval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stacking and inserting a number of retaining plates between adjacent thumb stakes. And the wale is connected to each thumb pi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band is connected to the brace in the right angle direction, so that the thumb pile is supported by the band so as not to be pushed out by the earth pressure.
그러나 이러한 흙막이 벽체 시공시 토사의 하중에 작용하거나 시공오차로 인한 하중의 불균형이 발생함에 따라 엄지말뚝이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면 띠장에 불균일한 하중이 작용되어 띠장이 변형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thumb pile is tilted or twisted as it acts on the load of soil or the load imbalance due to construction error occur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an uneven load is applied to the wale and the wale may be deformed or destroy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89857호, 공개특허 제 10-2020-0127556호, 공개실용신안 제 20-2013-0002122호에는 흙막이 공사 시 엄지말뚝과 띠장에 각각 설치된 고정구들과, 각 고정구들의 사이에 각 고정구들과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와 같은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하여, 간격조절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엄지말뚝과 띠장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띠장 간격 조절구, 버팀보 연결구 및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89857,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27556, an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2122 have fixtures installed on thumb stakes and wales, respectively, during retaining construction, A gap adjusting member such as a screw screwed with each fixture is provided between each fixture, an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is rotat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thumb pile and the wale. A supporting unit is disclosed.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띠장 지지장치들은 엄지말뚝이 띠장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질 시 엄지말뚝과 띠장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엄지말뚝에 인가되는 하중이 띠장에 균일하게 전달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띠장 지지장치들은 엄지말뚝이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는 경우 간격조절부재에 편심하중이 작용하거나 설계시 고려되지 않은 2차응력으로 인해 스크류가 파괴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wale support devices as described abov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thumb peg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wal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humb peg and the wale when the thumb peg is tilted forward and backward to move away from or close to the wale. However, such a conventional wale support device has a disadvantage that, when the thumb pile is tilted or twisted, an eccentric load is applied to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or the screw may be destroyed due to a secondary stress not taken into account during desig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엄지말뚝이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더라도 간격조절부재에 편심하중과 이로인한 2차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간격조절부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even if the thumb pile is tilted or twisted, the eccentric load and the secondary stress are prevented from acting on the gap adjusting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gap adjusting member from being damag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rective wale support devic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흙막이 시공을 위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들을 지지하는 띠장의 사이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엄지말뚝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진 상태에서 상기 엄지말뚝에 대해 띠장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으로,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상기 띠장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일단부에 곡면이 마련된 틸팅부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파지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thumb stake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retaining construction, and a wale for supporting the thumb stakes, at least In a state where one of the thumb pegs is tilted or twisted, a support part fixed to the thumb peg is fixed to the thumb peg, and a gripper for gripping the band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art by supporting the wale with respect to the thumb peg and adjusting the spacing therebetween. and a tilting part having a curved surface provided at one end abutting the support part so that one side is rotatable to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side is screwed with the grip part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grip part.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는 상기 띠장의 일측을 파지하기 위한 제 1걸림부와 상기 간격조절부재와 결합되는 연결결합부와, 상기 띠장과 대응되는 측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를 가지는 제 1파지부재와, 상기 제 1부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띠장의 타측을 파지하기 위한 제 2걸림부를 가지는 제 2파지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portion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for gripping one side of the wale and a connecting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wale. and a second gripping member having a first gripping member,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irst member, and having a second locking portion for gripping the other side of the wa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타측과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의 상단부측에 설치되어 띠장의 일측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걸림부와, 상기 파지몸체에 형성된 도브테일홈과 결합되고 상기 띠장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4걸림부를 가지며 자성체로 이루어진 결합조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gripping body having a screw coupling por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gap adjusting member, and at least one third lock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gripping body to which one side of the wale is coupled, and a coupling tank made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fourth locking portion coupled to the dovetail groove formed in the gripping body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le.
이와 다르게, 상기 파지부는 상기 띠장에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부재를 상기 띠장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gripp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nuts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wale, and screwing with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to fix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to the wale.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본체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틸팅부와 대응되는 만곡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has a body portion fixed to the thumb stake,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portion.
또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틸팅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틸팅부가 지지되는 패드부가 설치된다.Alternatively, the support portion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ilting portion passes, and a pad portion through which the tilting portion is supported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또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엄지말뚝에 밀착되는 지지본체부와 상기 지지본체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엄지말뚝의 양측과 결합되는 용접지지부와, 상기 지지본체부와 상기 엄지말뚝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완충패드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thumb pile and the support body, and a welding support portio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humb pile, and a support buffer pa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thumb pile. includes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일측에 상기 틸탕부가 형성된 제 1조절부재와 상기 파지부와 나사결합되는 제 2조절부재와, 상기 제 1, 2조절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호 상대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includes a first adjusting member having the tilting part formed on one side, a second adjusting member screwed with the gripping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members, respectively, by screwing them.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for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타측과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파지몸체와, 상기 띠장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파지부결합홀을 통해 상기 띠장의 일측과 상기 파지몸체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와, 상기 파지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띠장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파지부결합홀에 결합되는 제 5걸림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gripping body having a screw coupling por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gap adjusting member, and one side of the strap and the gripping body through a first gripping portion coupl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ap. and a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to each other, and a fifth lock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ipping body and coupled to a second gripping part coupl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nd leng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틸팅부에 의해 간격조절부재가 지지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엄지말뚝이 기울어지더라도 이에 적응적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간격조절부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bel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by the tilting part, so that even if the thumb pile is tilte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is deformed or rotated adaptive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break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가 엄지말뚝과 띠장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파지부와 띠장의 사이에 파지완충패드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6은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도브테일홈에 결합되게 구성된 결합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7은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와 엄지말뚝의 사이에 지지완충패드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은 파지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9는 간격조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복수개의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간격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2는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3은 파지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4는 파지부가 제 5걸림부 및 체결부에 의해 띠장 날개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thumb pile and a wale pol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of Figure 1;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buffer pad is installed between the grip part and the bandag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jaw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dovetail groov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pper;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uffer pad is installed between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and the thumb pe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pper;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plurality of spacing adjusting members;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of FIG.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pper;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pper;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grip part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with the wale wing part by the fifth lock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먼저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흙막이 공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가 적용된 흙막이 공사를 통해 흙막이 벽체(A)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first with reference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for the retaining construction to which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wall (A) is installed through the retaining construction to which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흙막이 공사는 지하철, 건축물, 지하차도, 지하 저장 시설물 등의 기반공사를 위한 굴착 공사에 있어서 굴착되는 부지 외곽에는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공사이다. 흙막이 공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엄지말뚝(10)을 소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개를 지중에 매설한다. 이후 서로 이웃하는 엄지말뚝(10)의 사이에 다수의 흙막이 판(30)을 적층 삽입함으로써 다량의 토사를 받치는 흙막이 벽체(A)를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각각의 엄지말뚝(10)들은 띠장(20)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결되고 띠장(20)은 지중에 매설된 버팀기둥(40) 및 보강재(50)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흙막이 공사에 의해 설치된 흙막이 벽체(A)는 다량의 흙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고, 엄지말뚝(10)이 토압에 밀려나 흙막이 벽체(A)가 붕괴되지 않도록 않도록 띠장(20)에 의해 지지되며, 띠장(20)은 버팀기둥(40) 및 보강재(50)에 의해 지면에 대해 지지된다.Retaining construction is a construction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outside the excavated site in excavation construction for the foundation construction of subways, buildings, underpasses, and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The procedure of the earthen block construction is as follows. First, a plurality of
상기 엄지말뚝(10)은 소정 길이로 상하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엄지말뚝(10)은 판상의 엄지말뚝 날개부(11)가 상호 마주보게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각 엄지말뚝 날개부(11)들을 엄지말뚝 웨브(12)이 연결하도록 된 H빔이 적용된 것이다. 이와 다르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엄지말뚝(10)은 널말뚝(sheet pile) 또는 사각의 단면을 갖는 사각관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형관 등 다른 어떠한 형상을 갖는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엄지말뚝(10)은 복수개가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의 하단부가 지중에 매설되게 설치된다. The
상기 띠장(20)은 소정 길이로 좌우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띠장(20)은 판상의 띠장 날개부(21)가 상호 마주보게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각 띠장 날개부(21)들을 띠장 웨브(22)가 연결하도록 된 H빔이 적용된 것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띠장은 상기 엄지말뚝(10)과 마찬가지로 다른 어떤 단면형상을 갖는 관체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띠장(20)은 상기 복수개의 엄지말뚝(10)들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후방에 배치된다.The
상기 흙막이판(30)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흙막이판(30)은 목재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흙막이판(30)은 상기 엄지말뚝(10)의 엄지말뚝 날개부(11)들의 사이에 끼워지게 장착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흙막이판(30)이 상기 엄지말뚝(10)과 체결구를 통해 체결될 수도 있다.The
상기 보강재(50) 및 상기 버팀기둥(40)은 상기 띠장(20)을 지중에 대해 지지할 수 있는 철골, 목재 구조물이다. 상기 보강재 및 상기 버팀기둥(40)은 소정 길이를 갖는 빔 또는 관이 적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상기 버팀기둥(40)은 하단부가 지중에 매설된다. 상기 보강재(50)는 상기 버팀기둥(40)에 대해 상기 띠장(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재(50)와 상기 띠장(20)의 사이에는 턴버클(45)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보강재(50)와 상기 띠장(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다르게, 보강재(50) 및 띠장(40)은 용접되거나 클램프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버팀기둥(40)과 상기 보강재(50)는 상호 교차되게 연결된다. 상기 보강재(50)는 상기 버팀기둥(40)에 대해 지지되게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버팀기둥(40)은 소정의 높이에 버팀기둥 받침부(45)가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50)가 상기 버팀기둥 받침부(45) 또는 다른 하나의 보강재(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보강재(50) 및 상기 버팀기둥(40)은 별도의 클램프를 통해 체결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흙막이 공법은 스트러트(Strut) 방식으로 시공된 구성이며, 이와 다르게 버팀기둥(4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일측이 지중에 매설되고, 타측이 띠장(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래커(Racker)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lower end of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가 엄지말뚝 및 띠장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1 to 3 show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band bel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thumb pile and the band band.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흙막이 시공에 사용되는 엄지말뚝(10) 및 띠장(20)에 대해 설명한다. Before explaining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100)는 흙막이 시공을 위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엄지말뚝(10)과, 상기 엄지말뚝들을 지지하는 띠장(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엄지말뚝(10)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진 상태에서 상기 엄지말뚝(10)에 대해 띠장(20)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다.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100)는 상기 엄지말뚝(10)에 고정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와 대응되는 상기 띠장(20)을 파지하는 파지부(140)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110)에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부(110)와 맞닿는 일단부에 곡면이 마련된 틸팅부(163)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파지부(14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160)를 구비한다.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band
상기 파지부(140)는 상기 띠장(20)의 일측을 파지하는 제 1파지부재(141)과, 상기 제 1파지부재(141)와 결합되며 상기 띠장(20)의 타측을 파지하는 제 2파지부재(145)와, 상기 간격조절부재(160) 및 상기 제 1파지부재(141)의 결합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149)를 구비한다.The
상기 제 1파지부재(141)는 상기 띠장(20)의 일측을 파지하기 위한 제 1걸림부(142)와,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와 결합되는 연결결합부(144)와, 후술할 제 2파지부재(145)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143)을 갖는다. 상기 제 1파지부재(14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연결결합부(144)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와 인접한 상기 제 1파지부재(141)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파지부재(141)의 상기 띠장(20)과 대응되는 측에 결합돌기(14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돌기(143)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것이다.The first
제 1파지부재(141)의 상단에는 상기 제 1걸림부(142)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1걸림부(142)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띠장(20)과 인접한 일측방에 상기 띠장의 상단이 끼움결합 되게 끼움공간(142a)을 마련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절곡된다.The
상기 제 2파지부재(145)는 상기 띠장(20)의 타측을 파지하기 위한 제 2걸림부(146)를 갖는다. 상기 제 2파지부재(145)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파지부재(145)는 상기 제 1파지부재(141)와 상기 띠장(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파지부재(141)와 인접한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14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인입된 결합홈(14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47)은 상기 결합돌기(143)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홈(147)은 상기 결합돌기(143)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파지부재(145)는 상기 띠장 날개부(21)에 임시설치 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띠장 날개부(21)와 마주하는 일면에 자성을 갖는 자석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 2걸림부(146)은 상기 제 2파지부재(145)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2걸림부(146)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띠장(20)과 인접한 일측방에 상기 띠장의 하단이 끼움결합 되게 끼움공간(146a)을 마련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절곡된다.The
상기 스토퍼(149)는 후술할 스크류부(16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이다. 상기 스토퍼(149)는 상기 스크류부(161)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161)가 상기 연결결합부(144)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연결결합부(144)의 내주면에 후술할 스크류부(161)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161)가 상기 연결결합부(144)와 나사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149)는 생략되더라도 무방하다. The
또는, 상기 파지부(140) 상기 제 1파지부재(141)와 상기 제 2파지부재(145)가 상호 다른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는 상기 파지부(1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결합부(144)는 상기 제 2파지부재(145)의 상기 제 1파지부재(141)와 면접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결합부(144)의 내측에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파지부재(141)는 내측에 상기 연결결합부(144)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홈(147)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140)은 상기 연결결합부(144)가 결합홈(147)에 삽입됨으로써 상호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그리고, 도 13에는 상기 파지부(140)가 도 12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부재(160)가 상기 연결결합부(144)와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제 1파지부재(141) 상기 제 2파지부재(145)를 상호 체결하기 위한 파지부재체결구(180)를 더 구비하도록 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And, in FIG. 13, the first holding
파지부재체결구(180)는 상기 결합홈(147)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간격조절부재(160)와 평행한 전후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파지부재체결구(180)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와 인접한 일측에 상기 스크류부(1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크류부(16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보조연결홈(181)이 인입 형성된다. 보조연결홈(181)은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부(161)가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부(161)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재체결구(180)의 타측에는 상기 결합홈(147)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체결스크류(183)가 연장 형성된다. 체결스크류(183)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47)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The gripping
파지부재체결구(180)는 상기 제 1 및 제 2파지부재(141, 145)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스크류(183)가 상기 결합홈(147)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파지부재(141, 145)가 상호 분리되지 않게 결합시킨다. 또한 체결스크류(183)가 상기 연결결합부(144)에 결합된 길이에 따라 상기 엄지말뚝(10)과 상기 띠장(20)의 간격을 보충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gripping
또한, 도 14에는 상기 파지부(140)가 상기 띠장(20)에 설치되기 위한 또다른 구성을 갖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FIG. 1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파지부(140)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의 타측과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파지몸체(191)와, 상기 띠장(20)의 일측과 상기 파지몸체(191)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196)와, 상기 파지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띠장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5걸림부(19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띠장 날개부(21)는 상기 파지부(140)가 설치되는 일면으로부터 관통되는 제 1파지부결합홀(23)과 제 2파지부결합홀(24)이 상기 띠장 날개부(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파지부결합홀(23)은 상기 띠장 웨브(22)를 중심으로 상기 띠장 날개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파지부결합홀(24)는 상기 띠장 웨브(22)를 중심으로 상기 띠장 날개부(21)의 하부에 형성된다.The
상기 파지몸체(19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몸체(191)는 상기 제 5걸림부(192)가 상기 제 2파지부결합홀(24)에 걸리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파지부결합홀(23)과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체결공(195)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95)은 상기 제 1파지부결합홀(23)의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제 5걸림부(192)는 상기 파지몸체(191)의 하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 5걸림부(192)는 상기 띠장 날개부(21)와 마주하는 상기 파지몸체(191)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 2파지부결합홀(24)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5걸림부(192)는 작업자가 상기 파지몸체(191)의 각도를 기울여 상기 제 2파지부결합홀(24)을 통해 관통삽입 할 수 있되, 상기 파지몸체(191)의 일면이 상기 띠장 날개부(21)와 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된다.The
도면에서, 상기 제 5걸림부(192)는 상기 파지몸체(191)와 일체로 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상호 분리 가능하거나 상기 파지몸체(191)와 상호 볼트결합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s, the
상기 파지몸체(191)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와 인접한 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되 상기 간격조절부재(160)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결합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결합부(144)는 상기 스크류부(161)가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부(16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 1파지부재(141)의 두께방향을 따라 인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부(161)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연결결합부(144)는 상기 스크류부(161)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161)에 체결된 스토퍼(149)가 상기 스크류부(161)가 상기 연결결합부(144)에 삽입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체결부(193, 194)는 상기 제 1파지부결합홀(24) 및 상기 체결공(19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체결볼트(193)와, 상기 체결볼트(193)에 체결되어 상기 파지몸체(191)가 상기 띠장 날개부(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결너트(194)를 포함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파지부(140)는 작업자가 상기 제 5걸림부(192)를 상기 띠장 날개부(21)의 상기 제 2파지부결합홀(24)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체결볼트(193)를 상기 파지몸체(191)의 체결공(195) 및 띠장 날개부(21)의 상기 제 1파지부결합홀(23)에 삽입하여 상기 파지몸체(191)를 상기 띠장 날개부(21)와 체결함으로써 설치된다.I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부(193, 194)가 상기 파지몸체(191) 및 상기 띠장 날개부(21)를 볼트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볼트(193) 및 상기 체결너트(194)로 이루어진 것이나 이와 다르게 체결부는 상기 걸림부(192)가 상기 제 2파지부결합홀(24)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파지부결합홀(23)과 동축을 이루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1파지부결합홀(23)로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파지몸체고정부(미도시)와, 상기 파지몸체고정부(미도시)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구성의 파지부(140)는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14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상기 체결부(193, 194)에 의해 상기 파지부(140) 및 상기 띠장 날개부(21)가 상기 띠장(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재(160)는 상기 파지부(140)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161)와, 상기 스 크류부(16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는 틸팅부(16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스크류부(161)는 상기 엄지말뚝(10) 및 상기 띠장(20)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부(163)는 외주면에 스토퍼(149)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부(161)의 상기 지지부(110)와 대응되는 일측에는 틸팅부(163)가 형성된다. 상기 틸팅부(163)는 상기 스크류부(161)의 일측 단부로부터 더 큰 외경으로 연장되되 진행될수록 작아지며 상기 지지부(110)와 맞닿는 일측에 만곡 형상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부(161) 및 상기 틸팅부(163)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별도의 부재가 상호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엄지말뚝(10)에 고정되는 지지본체부(111)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본체부(11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부(111)는 일면이 상기 엄지말뚝(10)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본체부(111)는 상기 엄지말뚝(10)에 용접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본체부(111)의 타면에는 상기 틸팅부와 대응되는 만곡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112)는 상기 지지본체부(111)의 타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만곡부(112)는 상기 틸팅부(163)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틸팅부(163)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틸팅부(163)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인입 형성된다. The
상기 지지본체부(111)에는 상기 만곡부(112)의 주위에 형성된 캡결합부(113)와, 상기 캡결합부(113)와 결합되어 상기 틸팅부(163)가 상기 만곡부(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115)을 더 구비한다.The
상기 캡 결합부(113)는 상기 지지본체부(111)의 타면에서 상기 만곡부(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캡 결합부(113)는 상기 만곡부(112)와 인접한 내측에 상기 틸팅부(163)가 수용될 수 있는 틸팅부수용공간(114)이 마련된다. 상기 캡결합부(113)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The
상기 이탈방지캡(115)은 상기 캡결합부(113)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되 상기 캡결합부(113)가 나사결합될수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상기 이탈방지캡(115)은 상기 캡결합부(113)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부수용공간(114)을 폐쇄하되 상기 틸팅부(163)가 상기 틸팅부수용공간(11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161)가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140)와 마주보는 일측에 상기 스크류부(161)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관통된 스크류부삽입공(1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부삽입공(116)은 상기 틸팅부(163)가 상기 만곡부(112)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크류부(161)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부(161)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이하 상술한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100)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al effect of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작업자는 상기 엄지말뚝(10)이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복수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엄지말뚝(10)의 상기 띠장(20)과 대응되는 일면에서 일정 높이마다 상기 지지본체부(111)를 용접 설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간격조절부재(160)를 상기 틸팅부(163)가 상기 만곡부(112)에 맞닿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캡(115)을 상기 캡결합부(113)에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스토퍼(149)를 스크류부(161)에 나사결합한다. 스토퍼(149)가 스크류부(161)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한다.The operator moves the
또한, 작업자는 상기 지지부(110)를 상기 띠장(20)에 파지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제 2걸림부(146)를 상기 띠장 날개부(21)의 하단부에 걸어 상기 제 2파지부재(145)를 상기 띠장 날개부(21)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 1걸림부(142)를 상기 띠장 날개부(21)의 상단부에 걸되 상기 제 1파지부재(141)의 상기 결합돌기(143)을 상기 제 2파지부재(145)의 상기 결합홈(147)에 삽입하여 상기 제 1파지부재(141)을 상기 제 2파지부재(145)와 결합시킨다.In addition, the operator holds the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띠장(20)을 상기 버팀목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스크류부(161)가 상기 제 1파지부재(141)의 상기 연결결합부(144)에 삽입되게 설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해 상기 스토퍼(149)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부(161)가 상기 연결결합부(144)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엄지말뚝(10)과 상기 띠장(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operator install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띠장 고정장치(100)는 토류벽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엄지말뚝(10)이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스크류부(161) 및 상기 연결결합부(144)의 결합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진 상태의 엄지말뚝(10)을 통해 띠장(20)의 일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띠장(20)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띠장 고정장치(100)는 상기 엄지말뚝(10)이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진 상태에서 상기 틸팅부(163)가 상기 지지본체부(111)의 만곡부(1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크류부(161)에 전단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간격조절부재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한다.In addition, in the band
또한, 상기 파지부(140)가 상기 제 1 및 제 2파지부재(141, 145)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띠장(20)을 파지하거나, 분리되어 상기 띠장(20)의 파지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여 전체적인 흙막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띠장 고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띠장 고정장치(100)는 지지부(11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띠장 고정장치의 지지부(110)는 상기 틸팅부(163)가 관통되는 관통홀(11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7)에는 상기 틸팅부(163)가 지지되는 패드부(12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지지부(110)는 지지본체부(111)와, 상기 지지본체부(111)에 설치되어 상기 틸팅부(16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틸팅부수용부(118)을 포함한다.The
상기 지지본체부(11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부(111)의 내측에는 상기 틸팅부(163)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관통되어 상기 틸팅부(163)가 관통삽입 될 수 있는 관통홀(117)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부수용부(118)는 상기 지지본체부(111)의 상기 관통홀(117)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틸팅부(163)가 수용될 수 있는 틸팅부수용공간(114)을 마련하며 돌출방향의 단부가 상기 틸팅부수용공간을(114)을 폐쇄하도록 연장되되 내측에 상기 스크류부(161)가 돌출될 수 있는 스크류부삽입공(116)이 관통 형성된다.The
상기 패드부(120)는 상기 틸팅부수용공간(114) 내에 설치된다. 상기 패드부(120)는 일측이 엄지말뚝(10)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틸팅부(15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타측에 상기 틸팅부(153)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지지홈(121)이 인입 형성된 것이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스크류부(161)가 상기 스크류부삽입공(116)에 삽입되고 상기 틸팅부(153)가 상기 틸팅부수용공간(114)에 수용되게 장착되고, 상기 패드부(120)는 상기 틸팅부(153)가 상기 지지홈(121)에 맞닿도록 상기 틸팅부수용공간(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패드부(120)의 일측이 상기 띠장에 맞닿도록 상기 지지본체부(111)를 상기 엄지말뚝 날개부(11)에 밀착시키고 상기 지지본체부(111)와 상기 엄지말뚝 날개부(11)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지지부(110)가 상기 엄지말뚝(10)에 설치된다.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이와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토압에 의해 상기 엄지말뚝(10)이 기울어져 상기 틸팅부(153)에 하중이 집중될 시 상기 지지본체부(111)에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지지본체부(1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지지본체부(111) 및 상기 틸팅부수용부(118)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다른 하나의 엄지말뚝(10)이 기울어져 띠장(20)이 변형된 상태에서 스크류부(161)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지지본체부(111)로부터 상기 틸팅부수용부(118)가 이탈되게 파손되어 상기 틸팅부(153)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파지완충패드(170) 외의 구성요소들이 제 1 또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Since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띠장과 상기 파지부의 사이에 상기 파지부의 지지력을 완충하기 위한 파지완충패드(170)를 더 구비한다.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상기 파지완충패드(17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완충패드(170)는 상기 두께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형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 실리콘, 테플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파지완충패드(170)는 제 2파지부재(145)와 상기 띠장 날개부(21)의 사이에 설치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작업에 따른 충격이 전달되는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40)와 상기 띠장(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파지완충패드(170)를 통해 충격 및 진동을 완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파지부(14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vibration occurring at a construction site and an impact according to work are transmitted, the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파지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파지부(140) 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 1내지 제 3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음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6 shows 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파지부(150)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의 타측과 나사결합부(152)를 가지는 파지몸체(151)와, 상기 파지몸체(151)의 상단부측에 설치되어 띠장의 일측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걸림부(153)와, 상기 파지몸체(151)에 형성된 도브테일홈(156)과 결합되고 상기 띠장(20)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4걸림부(158)를 가지며 자성체로 이루어진 결합조(157)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rip portion 150 of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파지몸체(151)은 소정의 폭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사결합부(152)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와 인접한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161)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마련된 중공축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holding
상기 제 3걸림부(153)는 파지몸체(15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3걸림부(153)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띠장(20)과 인접한 일측방에 상기 띠장의 상단이 끼움결합 되게 제 3끼움공간(153a)을 마련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절곡된다.The
도브테일홈(156)은 상기 파지몸체(151)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진행될 수록 넓어지는 폭을 가지고, 상기 파지몸체(151)의 상기 띠장(20)과 인접한 일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진행될수록 넓어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상기 결합조(157)는 상기 도브테일홈(156)과 대응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조(157)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진행될 수록 넓어지는 폭을 가지며, 두께방향으로 진행될수록 넓어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조(157)는 상기 도브테일홈(15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몸체(151)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되고 동시에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와 인접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지지된다.The
상기 제 4걸림부(158)는 결합조(157)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4걸림부(158)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띠장(20)과 인접한 일측방에 상기 띠장의 하단이 끼움결합 되게 제 4끼움공간(158a)을 마련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절곡된다.The
상기 결합조(157)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금속으로 제작된 상기 띠장(20)과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몸체(151)가 금속으로 제작되어 상기 결합조(157)가 상기 파지몸체(151)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결합조(157)가 자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띠장(20)에 설치 시 상기 결합조(157)를 상기 띠장(20)에 임시장착 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조(157)의 자력에 의해 상기 결합조(157)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파지부(150)를 더욱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지지부(1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용접지지부(125) 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 1 내지 제 4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음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7 shows 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엄지말뚝에 밀착되는 지지본체부(111)와 상기 지지본체부(11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엄지말뚝(10)의 양측과 결합되는 용접지지부(125)와, 상기 지지본체부와 상기 엄지말뚝(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완충패드(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지지완충패드(1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완충패드(130)는 상기 두께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형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 실리콘, 테플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완충패드(130)는 상기 지지본체부(111)와 상기 엄지말뚝 날개부(11)의 사이에 설치된다.The support buffer pad 1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upport buffer pad 130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e, Teflon, etc.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as to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upport buffer pad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용접지지부(125)는 지지본체부(111)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 연장형성된다. 상기 용접지지부(125)는 상기 지지완충패드(130)가 상기 지지본체부(111) 및 상기 엄지말뚝 날개부(11)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된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작업에 따른 충격이 전달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10)와 상기 엄지말뚝(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완충패드(130)를 통해 충격 및 진동을 완충하도록 구성되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지지부(110) 및 상기 간격조절부재(16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파지부(140)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 1 내지 제 5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음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8 is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상기 파지부(140)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부재(160)를 상기 띠장(20)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너트(159a, 159b)를 더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olding
상기 띠장(20)에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4)은 상기 띠장 날개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엄지말뚝(10)들이 이루는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다.A through
상기 고정너트(159)들은 상기 스크류부(161)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 1및 제 2고정너트(159a, 159b)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고정너트(159a, 159b)는 상기 스크류부(161)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너트가 적용된다. The fixing nuts 159 ar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fixing nuts 159a and 159b that can be screwed with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파지부(140)를 상기 띠장(20)에 파지시키기 위해 먼저 작업자는 상기 제 1고정너트(159a)를 상기 스크류부(161)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스크류부(161)와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너트(159a)가 상기 스크류부(161)와 나사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161)의 타측을 상기 띠장(20)의 관통공(24)에 삽입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 2고정너트(159b)를 상기 띠장(20)의 관통공(24)에 삽입되어 돌출된 상기 스크류부(161)의 타측 단부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파지부(140)를 상기 띠장(20)에 설치할 수 있다.In order to grip the holding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파지부(140)의 구조가 간단하여 손쉽게 제작할 수 있어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의 간격조절부재(16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간격조절부재(160) 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 1내지 제 5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9 shows 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60)가 일측에 상기 팅팅부(163)가 형성된 제 1조절부재(165)와 상기 파지부(140)와 나사결합되는 제 2조절부재(167)와, 상기 제 1, 2조절부재(165, 167)와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호 상대 이동시키는 연결부재(169)를 구비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 1 및 제 2조절부재(165, 167)는 동일 직경을 가지며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각각의 외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류볼트이다.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상기 연결부재(169)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되 내측에 상기 제 1및 제 2조절부재(165, 167)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중공축 형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69)는 연장방향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 상기 제 1조절부재(165)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69)는 타측 단부의 내측에 상기 제 2조절부재(167)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The connect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제 1조절부재(165)가 상기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지지부재(167)가 상기 파지부(140)와 나사결합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169)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및 제 2조절부재(165, 167)가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조절부재(165, 167)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사용자가 제 1 및 제 2조절부재(165, 167)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엄지말뚝(10)과 상기 띠장(20)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조절부재(165, 167)를 상기 연결부재(169)가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조절부재(165, 167)가 좌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Through this, i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band bel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djusts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한편, 흙막이 시공을 실시함에 있어 상기 엄지말뚝(10)과 상기 띠장(20)의 간격이 충분히 이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더 작은 규격의 스크류부가 적용된 간격조절부재(160)가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작은 규격으로 이루어진 스크류부(161)는 상기 엄지말뚝(10)들 중 하나가 기울어지면 응력집중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때문에 상기 엄지말뚝(10)과 상기 띠장(20)의 간격이 협소한 상태에서는 위의 실시예에서 적용된 것 보다 더 작은 규격의 스크류부(161)를 갖는 복수개의 간격조절부재(160)를 구비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10 내지 도 1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간격조절부재(16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간격조절부재(160)가 복수 개가 더 구비된 것 외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10 to 11 show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pacing adjusting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다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엄지말뚝(10)에 고정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와 대응되는 상기 띠장(20)을 파지하는 파지부(140)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110)에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부(110)와 맞닿는 일단부에 곡면이 마련된 틸팅부(163)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파지부(14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간격조절부재(160)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band belt support device includes a
상기 만곡부(112)는 상기 지지본체부(111)는 타면에 상기 간격조절부재(160)의 수에 대응되는 수가 형성된다. The number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간격조절부재(160)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지지본체부(111)는 타면에 2행과 2열로 배치된 4개의 만곡부(112)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four
각각의 상기 스크류부(161)는 외측에 상기 틸팅부(163)과 인접하게 스토퍼(161)가 설치된다. 스토퍼(161)는 육각너트가 적용될 수 있다. 스토퍼(161)는 스크류부(164)에 체결되어 틸팅부(163)와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스크류부(161)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이를통해 사용자는 렌치 등으로 스토퍼(161)를 파지한 후 회전시켜 스크류부(164)를 회전시킬 수 있고 스크류부(16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스크류부(164)와 연결결합부(114)와의 나사결합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A
또한 제 1파지부재(141)는 상기 만곡부(112)와 마주하는 일 면에 상기 만곡부(112)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연결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결합부(114)는 상기 스크류부(161)가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부(16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 1파지부재(141)의 두께방향을 따라 인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부(161)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결합부(114)는 만곡부(112)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2행과 2열을 이루며 4개가 형성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st holdin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는 상기 엄지말뚝(10)과 상기 띠장(20) 사이의 간격이 좁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토압에 의해 상기 엄지말뚝(10)이 기울어져 상기 상기 엄지말뚝 날개부(11) 및 상기 띠장 날개부(21)가 기울어지면 작업자는 각각의 상기 간격조절부재(160)들을 회전시켜 상기 간격조절부재(160)가 상기 제 1파지부재(141)와 나사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band bel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gap between the
이때 각각의 간격조절부재(160)가 상기 제 1파지부재(141)와 나사결합 되는 길이를 다르게 조절가능하여 상기 엄지말뚝(10)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이 하나의 간격조절부재(160)에 집중되어 상기 간격조절부재(16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length at which each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Accordingly, the scope of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엄지말뚝 20 : 띠장
100 :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 110 : 지지부
140 : 파지부 160 : 간격조절부재10: thumb stake 20: belt
100: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110: support
140: grip portion 160: gap adjusting member
Claims (12)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상기 띠장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일단부에 곡면이 마련된 틸팅부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파지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띠장의 일측을 파지하기 위한 제 1걸림부와 상기 간격조절부재와 결합되는 연결결합부와, 상기 띠장과 대응되는 측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를 가지는 제 1파지부재와, 상기 제 1파지부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띠장의 타측을 파지하기 위한 제 2걸림부를 가지는 제 2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It is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thumb peg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retaining construction, and a wale supporting the thumb pegs, and the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thumb pegs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humb pegs is tilted or twisted is applied to the wale. In order to evenly convey
A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thumb pile, a grip portion for gripping the wal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tilting portion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at one end abutting the support portion so that one side is rotatable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with the grip portion and a spacing adjusting member that is screwed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gripping part,
The grip portion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for gripping one side of the wale and a connection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a first gripping member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corresponding to the wale, and the first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gripping member having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gripping member and having a second locking portion for gripping the other side of the wal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본체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틸팅부와 대응되는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unit includes a body part fixed to the thumb stake, and the body part has a curved part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part.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만곡부의 주위에 형성된 캡결합부와, 상기 캡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틸팅부가 상기 만곡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cap coupling part formed around the curved part, and a separation prevention cap coupled to the cap coupling part to prevent the tilt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urved part. Device.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파지부재의 결합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2.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ing part is screwed to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to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limit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holding member.
상기 지지부는 상기 틸팅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틸팅부가 지지되는 패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2.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unit has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tilting unit passes, and a pad unit for supporting the til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through-hole.
상기 띠장과 상기 파지부의 사이에 상기 파지부의 지지력을 완충하기 위한 파지완충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5, 6,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ip buffer pad for buffering the holding force between the strap and the grip part.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상기 띠장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일단부에 곡면이 마련된 틸팅부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파지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타측과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의 상단부측에 설치되어 띠장의 일측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걸림부와, 상기 파지몸체에 형성된 도브테일홈과 결합되고 상기 띠장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4걸림부를 가지며 자성체로 이루어진 결합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It is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thumb peg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retaining construction, and a wale supporting the thumb pegs, and the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thumb pegs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humb pegs is tilted or twisted is applied to the wale. In order to evenly convey
A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thumb pile, a grip portion for gripping the wal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tilting portion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at one end abutting the support portion so that one side is rotatable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with the grip portion and a spacing adjusting member that is screwed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gripping part,
The grip portion includes a gripping body having a screw coupling por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gap adjusting member, at least one third lock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gripping body to which one side of the wale is coupled, and a dovetail groove formed in the gripping body;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urth locking par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le and includes a coupling tub made of a magnetic material.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엄지말뚝에 밀착되는 지지본체부와 상기 지지본체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엄지말뚝의 양측과 결합되는 용접지지부와, 상기 지지본체부와 상기 엄지말뚝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완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includes a support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thumb pile, a welding support par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ody part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humb pile, and a support buffer pa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body part and the thumb pile.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일측에 상기 틸팅부가 형성된 제 1조절부재와 상기 파지부와 나사결합되는 제 2조절부재와, 상기 제 1, 2조절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호 상대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includes a first adjusting member having the tilting part formed on one side, a second adjusting member screwed to the gripping part, and a connecting member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members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상기 띠장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일단부에 곡면이 마련된 틸팅부를 가지며 타측이 상기 파지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타측과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파지몸체와, 상기 띠장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파지부결합홀을 통해 상기 띠장의 일측과 상기 파지몸체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와, 상기 파지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띠장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파지부결합홀에 결합되는 제 5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
It is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thumb peg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retaining construction, and a wale supporting the thumb pegs, and the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thumb pegs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humb pegs is tilted or twisted is applied to the wale. In order to evenly convey
A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thumb pile, a grip portion for gripping the wal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tilting portion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at one end abutting the support portion so that one side is rotatable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with the grip portion and a spacing adjusting member that is screwed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gripping part,
The grip portion includes a gripping body having a screw coupling por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gap adjusting member, and a fastening portion for mutually fastening one side of the strap and the gripping body through a first gripping portion coupl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ap; A construction error correction type wale support devi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ipping body and comprising a fifth engaging part coupled to a second gripping part coupl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7534A KR102322742B1 (en) | 2021-01-19 | 2021-01-19 | Apparatus of supporting for wale with adjustable type for err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7534A KR102322742B1 (en) | 2021-01-19 | 2021-01-19 | Apparatus of supporting for wale with adjustable type for err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2742B1 true KR102322742B1 (en) | 2021-11-08 |
Family
ID=7849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7534A Active KR102322742B1 (en) | 2021-01-19 | 2021-01-19 | Apparatus of supporting for wale with adjustable type for err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274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6796B1 (en) * | 2023-09-20 | 2024-12-24 | 이영범 | Groove Filling Assembly for Side Pile Combined Wal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857B1 (en) | 2007-03-09 | 2007-12-28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Band Gap Adjuster |
KR20120000819U (en) * | 2010-07-26 | 2012-02-06 | 최현규 | A structure of siol retaining plate with anti-bend apparatus |
KR20130002122U (en) | 2011-09-27 | 2013-04-04 | 윤희정 | Supporting unit for wale |
KR20160074148A (en) * | 2014-12-18 | 2016-06-28 | 주식회사 진림건설 | Methode and structure for waling installation of soil guard |
KR102077421B1 (en) * | 2019-04-25 | 2020-02-13 | (주)제이피이엔씨 | Furring strip having groove filling bol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20200127556A (en) | 2019-05-03 | 2020-11-11 | (주)핸스 | Connection device for strut |
-
2021
- 2021-01-19 KR KR1020210007534A patent/KR10232274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857B1 (en) | 2007-03-09 | 2007-12-28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Band Gap Adjuster |
KR20120000819U (en) * | 2010-07-26 | 2012-02-06 | 최현규 | A structure of siol retaining plate with anti-bend apparatus |
KR20130002122U (en) | 2011-09-27 | 2013-04-04 | 윤희정 | Supporting unit for wale |
KR20160074148A (en) * | 2014-12-18 | 2016-06-28 | 주식회사 진림건설 | Methode and structure for waling installation of soil guard |
KR102077421B1 (en) * | 2019-04-25 | 2020-02-13 | (주)제이피이엔씨 | Furring strip having groove filling bol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20200127556A (en) | 2019-05-03 | 2020-11-11 | (주)핸스 | Connection device for stru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6796B1 (en) * | 2023-09-20 | 2024-12-24 | 이영범 | Groove Filling Assembly for Side Pile Combined Wa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7994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building foundations | |
AU2007339652B2 (en) |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 |
US6298618B1 (en) | Constructional support | |
EP2278076A1 (en) | Multi-purpose earth anchor bracket | |
KR102322742B1 (en) | Apparatus of supporting for wale with adjustable type for error | |
KR102172692B1 (en) | Stiffener of wale for earth retaining | |
KR101571489B1 (en) | The device for earth retaining wall self supported by bracing | |
KR200387370Y1 (en) | Gradient buttressing materials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ith rotatable connecting bracket | |
KR20200127556A (en) | Connection device for strut | |
KR102088161B1 (en) | Structure of self-stand retaining wall | |
JP6885579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embankment | |
KR101127475B1 (en) | Device for connecting wales | |
JP5636167B2 (en) | Corner brackets and seismic devices | |
KR102763267B1 (en) | Supporting strut assembly for retaining wall | |
KR200409942Y1 (en) | Strut support member for temporary earthquake construction with easy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2353188B1 (en) | Fixed structure of support beams and soil barrier structure using them | |
AU752228B2 (en) | Improved constructional support | |
KR20190105943A (en) | Cover band of connection device for steel pipe strut and connection device for steel pipe strut having the same | |
JP6745573B2 (en) | Lock bolt holding jig and spray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186038B1 (en) | Reinforcing Method for Panel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Panel Reinforced by Such Method | |
AU2016203317A1 (en) | Ground Engaging Construction Support | |
KR101034260B1 (en) | Long span prestressed earth panel and strip support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436405Y1 (en) | Bracing Support Fastening Structure for Reinforcement | |
KR102558049B1 (en) |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for preventing buckling of shaft member connection part | |
KR102602635B1 (en) | Wall Structure with Reinforcing Bending Moment for Furring Strip Be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