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0277B1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277B1
KR102320277B1 KR1020200155865A KR20200155865A KR102320277B1 KR 102320277 B1 KR102320277 B1 KR 102320277B1 KR 1020200155865 A KR1020200155865 A KR 1020200155865A KR 20200155865 A KR20200155865 A KR 20200155865A KR 102320277 B1 KR102320277 B1 KR 10232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otrusion
bobbin
fixing part
hous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5251A (en
Inventor
박상옥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0056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3184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277B1/en
Publication of KR2020013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27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의 일단이 각각 상부면 및 하부면에 연결되는 보빈;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의 왕복 운동을 지지하는 하우징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bobbin dispos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one end of an upp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respectively; a housing member dispos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one end of the upper elastic membe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bobbin; and a support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module.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The camera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sens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are mounted, an infrared cut-off filter that blocks light in an infrared region to the image sensor, and at least one or more lenses that transmit an image to the image sensor It may include an optical system consisting of. In this case, an actuato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n auto-focusing function and a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optical system.

액츄에이터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보이스 코일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보이스 코일유닛 모터는 홀더부재에 고정된 마그네트와 렌즈배럴 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의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유닛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동작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액츄에이터 모듈은 상하 이동하는 보빈이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The actuator modul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a voice coil unit motor is generally used a lot. The voice coil unit motor operates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 fixed to the holder member and the coil unit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that is reciprocally installed on the lens barrel side to perform the auto-focusing function. Such an actuator module of the voice coil motor type may reciproc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while the bobbin moving up and dow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lower and upper elastic members.

그런데, 기존의 보이스 코일 모터는 복수 매의 렌즈를 포함한 보빈이 한쪽 방향으로만 구동되어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원을 인가하면, 초기 위치에서 보빈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포커싱 동작을 수행한 후, 반대 방향 이동 시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보빈의 자중과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보다 정밀한 포커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양방향 구동 액츄에이터의 경우, 보빈이 공중에 떠 있는 위치가 초기위치로 구성되어, 기존의 카메라 모듈 구조를 그대로 이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보빈의 스트로크가 크기 때문에 인접 부품들 간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 변경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KR10-2013-0060534 A
However, in the conventional voice coil motor, a bobbin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is driven in only one direction to perform an auto-focusing function.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he bobbin moves up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perform a focusing operation, then shuts off the power when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bobbin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However, in the case of a bidirectional driving actuator that can perform more precise focusing control, the position where the bobbin is floating in the air is configured as the initial pos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to resolv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arts.
(Patent Document 1) KR10-2013-0060534 A

본 실시예는 양방향 구동되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camera module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by using an actuator that is driven in both direc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의 일단이 각각 상부면 및 하부면에 연결되는 보빈;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의 왕복 운동을 지지하는 하우징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is mounted; a bobbin dispos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one end of an upp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respectively; a housing member dispos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one end of the upper elastic membe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bobbin; and a support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네 모서리 부분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our corners of the housing member.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보빈의 상하 이동 스트로크 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may have a height greater than a vertical movement stroke of the bobbin.

상기 지지돌기는 평면의 형상이 원형, 사각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may have a planar shape in any one of a circle, a square, and a triangle.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측벽과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일정 거리 이격 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 부재의 측벽과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밀착될 수도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spaced apart from a corner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hous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housing member.

상기 상부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 측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보빈 측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fixed to the housing member; a second fixing part fixed to the bobbin sid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바닥면이 지지될 수 있다.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may have a concave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이때, 상기 지지돌기와 요홈부는 접착, 열 융착 및 용접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concave portion may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any one of bonding, thermal fusion, and welding.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마그네트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홀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bas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older member coupled to the bas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s,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elastic member.

상기 홀더부재는 네 면에 동일 크기의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마그네트 장착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ember may include a magnet mounting hole into which magnets of the same size are inserted on four sides.

상기 홀더부재는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면은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A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and an upper surface thereof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member.

상기 보빈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bbin may include a lens barrel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 부재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body)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hous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body, and may be coupled to the base to form an exterior of the camera module.

또한,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ing-shaped coil block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상부 탄성부재 상측을 지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supporting the upper sid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를 마주보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bosse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upper elastic member.

상기 지지 보스는 상기 지지돌기와 동축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boss may be coaxially disposed with the support protrusion.

양방향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에서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스트로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우징 부재의 상측에 상부 탄성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하우징 부재와 상부 탄성부재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 공수를 줄여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Since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elastic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so as to secure a stroke space that can move in both directions in the actuator driven in both directions, there is a separate space between the housing member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pacer, so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assembly man-hour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 부재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 상측에 설치된 상부 탄성부재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 내지 도 11은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 상측에 설치된 지지돌기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 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member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to 6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7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the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 부재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 상측에 설치된 상부 탄성부재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 내지 도 11은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 상측에 설치된 지지돌기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 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member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s 4 to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S. 7 to 11 are the support protrusion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It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shap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베이스(20), 보빈(40), 하우징 부재(50) 및 커버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부재(30)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홀더부재(3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1 ,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10 , a base 20 , a bobbin 40 , a housing member 50 , and a cover member 60 . In addition, although the holder member 30 may be provided as shown, the holder member 30 may be omitted if necessary.

인쇄회로기판(10)은 이미지 센서(11)가 실장 되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has the image sensor 11 mounted thereon, and may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베이스(2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2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부재(5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이스(2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홀더가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base 20 , an infrared cut-off filter 25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1 , and may support a low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50 . A separate terminal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20 to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lly form a terminal using a surface electrode or the like. Meanwhile, the base 20 may function as a sensor holder to protect the image sensor 11 , and in this ca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20 . However, this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sensor holder may be disposed under the base to perform its role.

홀더부재(3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4개의 각 면에 복수 개의 마그네트(33)가 설치될 수 있는 마그네트 장착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마그네트 장착공(32) 대신 장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33)들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주보는 마그네트(33)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홀더부재(30)의 4개 측벽면에 마그네트(33)가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그네트(33)는 홀더부재(30)의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holder member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 magnet mounting hole 32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33 can be installed may be formed on each of four surfaces.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a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instead of the magnet mounting hole 32 . In this case, the magnets 33 may be formed to have siz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magnets 33 facing each othe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agnets 33 are disposed on the four sidewalls of the holder member 3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gnets 33 may be dispos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holder member 30 .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부재(30)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며,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홀더부재(30)가 생략되면, 마그네트(33)는 후술할 하우징 부재(5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마그네트(33)가 하우징 부재(50)에 직접 고정될 경우, 마그네트(33)는 하우징 부재(5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member 30 is not essential and may be omitted. As such, when the holder member 30 is omitted, the magnet 33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housing member 5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way, when the magnet 33 is directly fixed to the housing member 50 , the magnet 33 ) may be directly bonded to the side or corner of the housing member 50 .

홀더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면이 얇은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후술할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44)(45)가 설치되어 보빈(40)의 광축 방향 왕복 이동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하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holder member 3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s shown in FIG. 1 , and may be provided in a thin frame shape on all sides, and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44 and 45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lder member 30 . It is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obbin 4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holder member 30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 vertically separable structure.

또한, 홀더부재(30)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되고, 상부면은 후술할 하우징 부재(50)와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홀더부재(30)가 없다면, 상기 하부 탄성부재(45)는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부 탄성부재(44)는 하우징 부재(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30 may be coupled to the base 20 , and an upper surface thereof may be coupled to a housing member 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fixed in position. Without the holder member 30 , the lower elastic member 45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20 ,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44 may be supported by the housing member 50 .

보빈(40)은 상기 하우징 부재(50)의 내부 공간에 광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40)은 상기 마그네트(33)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코일유닛(43)이 설치될 수 있다.The bobbin 40 may be reciprocal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member 5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 coil unit 43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40 to enabl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magnet 33 .

상기 보빈(4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42a)가 설치되는 렌즈배럴(4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배럴(4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40)의 내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렌즈배럴(42)이 상기 보빈(4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렌즈배럴(42)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42a)가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42a)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bobbin 40 may include a lens barrel 42 in which at least one lens 42a is installed.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screw-coupled to th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though not shown, the lens barrel 42 is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40 by methods other than screwing, or the one or more lenses 42a are installed without the lens barrel 42 .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The lens 42a may be configured as one sheet,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상기 보빈(4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한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44)(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44)는 일단은 보빈(40)과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하우징 부재(5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45)는 일단은 상기 보빈(4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빈(40)의 하측에는 하부 탄성부재(45) 결합을 위한 돌기(35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탄성부재(4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돌기 수용공(45a)이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으로 하부 탄성부재(45)가 고정될 수 있다.The bobbin 40 may be provided with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44 and 45 at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One end of the upper elastic member 44 may be connected to the bobbin 40 ,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above the housing member 5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elastic member 45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bobbin 40 ,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se 20 . To this end, a protrusion 35a for coupling the lower elastic member 45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40 , and a protrusion receiving hole 45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lastic member 45 . By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elastic member 45 may be fixed.

상부 탄성부재(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50)측과 연결되는 제 1 고정부(44a)와 보빈(40)과 연결되는 제 2 고정부(44c) 및 제 1 고정부(44a)와 제 2 고정부(44c)를 연결하는 연결부(4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44b)는 일정 형상의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 부분의 움직임을 통해 보빈(40)이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upper elastic member 44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44a connected to the housing member 50 side, a second fixing part 44c connected to the bobbin 40 and a first high fixing part 44c.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44b connecting the top portion 44a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44c.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ortion 44b is formed to have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bobbin 40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movement of this portion.

커버부재(60)는 상부 탄성부재(44)를 보호하며 상기 하우징 부재(5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60)의 상기 상부 탄성부재(44)를 마주보는 내측 면에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44)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지지 보스(support boss, 6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보스(61)의 단부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44)와 면 접촉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60 protects the upper elastic member 44 and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member 50 . 1 and 4 to 6,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upper elastic member 44 of the cover member 60, there is a support bos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44 ( A support boss, 6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is case, the end of the support boss 61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elastic member 44 .

한편, 상부 탄성부재(44)는 상기 하우징 부재(50)의 상부면에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부 탄성부재(44)가 보빈(40)의 상하 움직임 중에 하우징 부재(50)와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부재(50)의 상측에 지지돌기(support protrusion, 10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4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to prevent the upper elastic member 44 from interfering with the housing member 50 during vertical movement of the bobbin 40 .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member 50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44)(45)에 의해 상기 보빈(40)은 광축 방향에 대하여 양방향 이동이 탄력 지지될 수 있다. 즉, 보빈(40)은 베이스(20)와 일정 거리 이격 되어 있는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 제어될 수 있다.Bidirectional movement of the bobbin 4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44 and 45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bobbin 40 may be controlle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based on an initial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상기 코일유닛(43)은 상기 보빈(4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코일블록으로 형성된 코일유닛(43)은 상기 마그네트(3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직선면(43a)과, 후술할 이너 요크 및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곡선면(43b)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코일블록으로 형성된 코일유닛(43)은 각 형상일수 있으며, 8각 형상 일수 있다. 즉, 곡선면 없이 모두 직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향 되게 배치되는 마그네트(33)와의 전자기작용을 고려한 것인데, 마그네트(33)의 대응되는 면이 평면이면 대면하는 코일유닛(43)의 면도 평면일 경우에 전자기력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사양에 따라 마그네트(33)의 면과 코일유닛(43)의 면은 모두 곡면, 모두 평면, 또는 하나는 곡면 다른 하나는 평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il unit 43 may be provided as a ring-shaped coil block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40 , and the coil unit 43 formed of the coil block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33 . It may include a straight surface (43a) disposed, and a curved surface (43b)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yoke and the receiving groove to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the coil unit 43 formed of a coil block may have an angular shape or an octagonal shape. That is, all of the straight surfaces may be formed without a curved surface.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action with the magnets 33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f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magnet 33 is flat, the electromagnetic force can be maximized when the face of the facing coil unit 43 is fla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rface of the magnet 33 and the surface of the coil unit 43 may be all curved, all flat, or one curved surface and the other flat surfac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또한, 상기 보빈(40)은 상기 코일유닛(43)이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직선면(43a)과 대응되는 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면(40a)과 상기 곡선면(43b)과 대응되는 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 2 면(4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유닛(43)은 상기 보빈(40)에 직접 권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면(40a)에는 상기 코일유닛(43)의 광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부(47)가 형성되어, 상기 보빈(40)의 왕복 이동 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코일유닛(43)이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코일유닛(43)의 배치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40 includes a first surface 40a and a curved surface 43b formed flat on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surface 43a so that the coil unit 43 can be coupl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second surface 40b formed to be round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oil unit 43 may be directly wound on the bobbin 40. In this case, a protrusion 47 is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40a to prevent the coil unit 43 from depart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il unit 4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due to an impact generat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obbin 40, or to guid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il unit 43 .

또한, 상기 보빈(40)은 둘레면에 상기 코일유닛(43)과 일정 간격 이격 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수용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복수 개의 수용홈(미도시)에는 상기 하우징 부재(50)에 형성된 이너 요크(50a)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너 요크(50a) 대신 별도의 요크가 마련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50)는 요크 기능을 할 수 있는 요크 하우징이다.In addition, the bobbin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grooves (not shown)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coil unit 4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spac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grooves (not shown) have The inner yoke 50a formed in the housing member 50 may be inser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yoke may be provided and installed instead of the inner yoke 50a. The housing memb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yoke housing capable of performing a yoke function.

하우징 부재(50)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부재(50)는 보빈(40)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측에서 보았을 때 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부재(5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사각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8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housing member 50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In addition, the housing member 50 may be provided in a 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so as to surround all of the bobbin 40 . In this case, the housing member 5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S. 1 to 3 , or may be provided in an octagonal shape although not shown.

상기 하우징 부재(50)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너 요크(50a)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요크(50a)는 일측 면은 상기 코일유닛(43)과 일정 거리 이격 되고, 타측 면은 상기 보빈(40)과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요크(50a)와 수용홈(미도시)은 하우징 부재(5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50a)는 상기 하우징 부재(50)의 상부면에서 안쪽으로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50a)에는 상기 절곡 된 부분과 근접한 위치에 한 쌍의 도피 홈이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피 홈이 형성된 절곡부는 병목구간을 형성하는데, 이 도피 홈 형성 구간으로 인해, 보빈(40)의 거동 시에 이너 요크(50a)와 보빈(40)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요크(50a)의 끝단은 기준 위치에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기 보빈(40)의 왕복 이동 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상기 이너 요크의 끝단과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과 접촉 및 간섭 되지 않도록 하지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너요크(50a)의 끝단은 상기 보빈(40)이 설계사양(design specification) 이외의 구간까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도 있다.In the housing member 50, an inner yoke 50a may be integral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inner yoke 50a is the coil unit 43.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bbin by a certain distance, and the other side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bbin 40 by a certain distance. In addition, the inner yoke 50a and the receiv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housing member 50 . The inner yoke 50a may be b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50 inward. A pair of escape grooves may b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inner yoke 50a at a position close to the bent portion. The bent portion in which the escape groove is formed forms a bottleneck section. Due to this escape groove formation sectio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inner yoke 50a and the bobbin 40 can be minimized when the bobbin 40 moves. The end of the inner yoke 50a need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hich is the highest position when the bobbin 40 reciprocates. This is to prevent contact or interference with the bottom of the groove. In addition, the end of the inner yoke 50a may serve as a stopper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bobbin 40 to a section other than the design specific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50)의 상부면에 지지돌기(10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00)는 하우징 부재(50)의 네 모서리 부분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네 면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돌기(100)는 상부 탄성부재(44)와 하우징 부재(50)를 일정 거리 이격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배치 위치는 카메라 모듈의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가변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빈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 부재와의 간섭을 없애기 위함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에서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설치 공간이 여유가 있는 곳은 모서리 부분이므로, 모서리에 지지돌기(100)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50 . The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our corners of the housing member 5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on the four sides if necessary. Since the support protrusion 100 is for separating the upper elastic member 44 and the housing member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rrangement position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camera module. This is to eliminate interference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member when the bobbin moves downward. However, in general, it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components in the camera module, and since the place where the installation space is relatively free is the corner, it is better to arrange the support protrusion 100 at the corner.

지지돌기(100)는 하우징 부재(50)를 성형할 때 함께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프레스 가공 등으로 하우징 부재(50)를 성형할 경우, 지지돌기(100)가 형성될 위치를 가압하여 돌기 형상으로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부재(50)는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요크로 기능하며, 상기 지지돌기(100)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는 경우, 하우징 부재(50)의 지지돌기(100)가 형성된 상부면의 안쪽 부분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홈부(recess portion)를 가질 수도 있다. 만일, 하우징 부재(50)를 사출 성형할 경우, 금형에 지지돌기(100)의 형상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지돌기(100)를 별도 부품이 아닌 하우징 부재(50)와 일체화된 구성으로 마련하면, 별도의 스페이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조립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조립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gether when the housing member 50 is molded. For example, when the housing member 50 is molded by press working or the like, the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position to be formed and deforming the housing member 50 into a protrusion shape. The housing member 5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functions as a yoke, and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00 is pressed and formed, the inn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100 of the housing member 50 is formed is It may have a recessed portion as shown in FIGS. 4 to 6 . If the housing member 50 is injection-molde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in the mold. In this way,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00 is provided in an integrated configuration with the housing member 50 instead of a separate par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spacer. In addition, since the spacer assembling process may be omitted, assembly may be simpler.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돌기(100)의 상측에 상부 탄성부재(44)를 설치한 경우, 보빈의 움직임에 따라 상부 탄성부재(44)가 움직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4 to 6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upper elastic member 44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obbin when the upper elastic member 44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상부 탄성부재(44)는 하우징 부재와 결합된 제 1 고정부(44a) 및 보빈과 결합된 제 2 고정부(44c)와 연결부(44b)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0)이 상측으로 상승하면, 제 1 고정부(44a)는 고정 위치를 유지하면서 보빈(40)과 연결된 제 2 고정부(44c)와 연결부(44b)가 지지돌기(100)의 상측으로 상승한다. 이 경우, 하우징 부재(50)와 상부 탄성부재(44) 사이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0)이 이미지 센서(11)(도 1 참조) 방향으로 하강하면, 제 1 고정부(44a)는 고정 위치를 유지하면서 보빈(40)과 연결된 제 2 고정부(44c)와 연결부(44b)가 지지돌기(100)의 하측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지지돌기(1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연결부(44b) 및 제2고정부(44c)가 움직이므로, 하우징 부재(50)와 상부 탄성부재(44) 사이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스페이서의 구성 없이도, 보빈(40)이 원활하게 상승 및 하강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도 4 내지 도 6의 움직임을 위해 지지돌기(100)의 높이는 적어도 보빈(40)의 스트로크 거리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in the initial position, the upper elastic member 44 has a first fixing part 44a coupled to the hous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part 44c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connecting part 44b in a horizontal state. 5, when the bobbin 40 rises upward, the first fixing part 44a maintains the fixed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fixing part 44c and the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the bobbin 40. (44b) rises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rojection (100). In this case, interference between the housing member 5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44 does not occur. And, as shown in FIG. 6 , when the bobbin 40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the image sensor 11 (refer to FIG. 1 ), the first fixing part 44a maintains the fixed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fixing position of the bobbin 40 . The fixing portion 44c and the connecting portion 44b descen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 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on part 44b and the second fixing part 44c move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00 , interference between the housing member 5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44 does not occur. Therefore, the bobbin 40 can smoothly move upward and downward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spacer. For the movement of FIGS. 4 to 6 , the height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at least greater than the stroke distance of the bobbin 40 .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고정부(44a)는 상부면은 상기 커버부재(60)의 지지 보스(61)에 의해 가압 지지되고, 바닥면은 상기 지지돌기(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부(44a)를 지지돌기(100)에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 1 고정부(44a)에는 오목한 요홈부(groove portion, 11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요홈부(110)에서 지지돌기(100)와 접착제, 열 융착,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 1 고정부(44a)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돌기(100)와 지지 보스(61)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고정부(44a)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마주보는 단면이 대응되는 형상 및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돌기(100)와 지지 보스(61)의 단부(distal-end)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to 6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44a is press-supported by the support boss 61 of the cover member 6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44a has the support protrusion ( 100) can be supported.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portion 44a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groove portion 110 so as to firmly fix the first fixing portion 44a to the support protrusion 100 . In the concave portion 110 , the support protrusion 100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44a may be fixed in position by using an adhesive, thermal fusion, welding, or the like.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 100 and the support boss 61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so that the areas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fixing part 44a are configured to be the same. The cross-section of the beam may be provided to have a corresponding shape and cross-sectional are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distal-ends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and the support boss 61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areas.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 1 고정부(44a)의 지지돌기(100)를 마주하는 면에 요홈부(110)가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요홈부(110)를 상부면에 형성하여 지지 보스(61)와 대응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접착, 열 융착 또는 용접 등의 고정을 지지돌기(100) 대신 지지 보스(61) 측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요홈부(110)는 관통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에 지지돌기(100) 및/또는 지지 보스(61)가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부분이 용접, 열융착 및 접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S. 4 to 6 , the concave portion 110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support protrusion 100 of the first fixing portion 44a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 the upp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boss 61 . In this case, fixing such as bonding, thermal fusion, or welding may be performed on the support boss 61 side instead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concave portion 110 may be configured as a through hole. In this case, the support protrusion 100 and/or the support boss 61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hole,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ixed by any one of welding, heat sealing, and bonding.

한편, 도 7 내지 도 11은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지지돌기(1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Meanwhile, FIGS. 7 to 11 are views showing the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100)의 평면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구성하여, 지지돌기(100)가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같이 지지돌기(10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 되도록 구성하여, 지지돌기(100)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 4 및 제 5 실시예와 같이 지지돌기(100)의 평면 형상이 삼각형이 되도록 구성하여, 지지돌기(100)가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 the planar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is configured to be circular, and the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Alternatively, as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shown in FIGS. 8 and 9 , the planar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is configured to be a quadrangle, and the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lternatively, as 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planar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is configured to be a triangle, and the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riangular prism shape. .

한편,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제 2 및 제 제 5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돌기(100)는 하우징 부재(50)의 측벽과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고, 제 3 및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부재(50)의 측벽과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and fifth embodiments, the support protrusion 1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member 50 , and the third An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it may be form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 corner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housing member 50 .

상기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돌기(100)의 형상은 상부 탄성부재(44)의 형상, 크기 및 카메라 모듈의 외관 구조의 변경 시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1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is selectively selected as needed in a range in which interference with other parts does not occur when the shape, size, and external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are changed. can be use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스페이서 부품 없이 하우징 부재(50)의 상부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기(100)를 형성하므로, 스페이서 조립을 위한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 절감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 효과는 물론, 부품간 조립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부품간 연결 틈새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pport protrusion 100 integrally form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50 without a separate spacer part is formed, the assembly process for assembling the spacer can be omitted. It can make your work easi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but also to solve problems such as foreign substances entering the connection gap between the parts, which inevitably occur when assembling between parts, causing malfunctions.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인쇄회로기판 11; 이미지 센서
20; 베이스 25; 적외선 차단 필터
30; 홀더부재 32; 마그네트 장착공
33; 마그네트 40; 보빈
42; 렌즈유닛 43; 코일유닛
44; 상부 탄성부재 45; 하부 탄성부재
50; 하우징 부재 50a; 이너 요크
60; 커버부재 61; 지지 보스
100; 지지돌기 110; 요홈부
10; printed circuit board 11; image sensor
20; base 25; infrared cut filter
30; holder member 32; magnet installer
33; magnet 40; bobbin
42; lens unit 43; coil unit
44; upper elastic member 45; lower elastic member
50; housing member 50a; inner yoke
60; cover member 61; support boss
100; support protrusion 110; groove

Claims (20)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마그네트와 코일; 및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상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상판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탄성부재는 제1고정부와,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상판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돌기의 돌출된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상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의 돌출된 부분의 반대편에는 상기 지지돌기와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 housing member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the upper plat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member;
a magnet and a coil disposed in the housing member and configured to move the bobbi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It includes an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bobbin,
The housing member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housing member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a second fixing part coupled to the bobbin, and a connection part includ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s fix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member b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The support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member,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지지돌기에 고정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protrusion through an adhesive for a voice coil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원형상인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upport protrusion, a portion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art has a circul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측판과 이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rotrusion is a voice coil motor spaced apart from the side plate of the hous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상판의 4개의 코너 영역 각각에 형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in each of the four corner regions of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상판의 위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지지보스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member,
The cover member includes a support bos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support boss of the cover member overla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s fix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support boss of the cover member. coil mo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지지보스와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s pressed by the support boss of the cover member and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상판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하면과 이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지지돌기가 배치되는 오목한 형상의 홈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a recessed groove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is dispo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제1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상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ver member includes a first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housing member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 first portion of the cover member is a voice coil moto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제1부분과 이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boss of the cover member is a voice coil moto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ion of the co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이 상기 광축방향 상의 위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고정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이 상기 광축방향 상의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고정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obbin moves up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connection part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fixing part,
When the bobbin moves down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connection part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보빈과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하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base disposed under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side plate of the housing member; and
and a lower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과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il is disposed on the bobbin,
The magnet is disposed between the coil and the side plate of the housing member.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voice coil motor of any one of claims 1 to 14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coupled to the bobbin of the voice coil motor.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요크 하우징;
상기 요크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요크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마그네트와 코일; 및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상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 하우징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 하우징은 상기 상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의 돌출된 부분의 반대편에 상기 지지돌기와 대응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돌기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요크 하우징의 상기 상판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요크 하우징의 상기 상판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돌기의 돌출된 길이만큼 이격시키는 보이스 코일 모터.
a yoke housing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the upper plat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yoke housing;
a magnet and a coil disposed in the yoke housing and configured to move the bobbi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It includes an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bobbin,
The yoke housing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yoke housing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late, and a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rotrus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The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fixed to the support protrusion, a second fixing part coupled to the bobbi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he support protrusion is a voice coil motor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yoke housing to sp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lastic member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yoke housing b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지지돌기에 고정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protrusion through an adhesive for a voice coil mo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요크 하우징의 상기 상판의 4개의 코너 영역 각각에 형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in each of the four corner regions of the upper plate of the yoke hous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하우징의 상기 상판의 위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요크 하우징의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지지보스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요크 하우징의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지지보스는 상기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cover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plate of the yoke housing,
The cover member includes a support bos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yoke housing and the support boss of the cover member overla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s fix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yoke housing and the support boss of the cover member coil mo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의 상기 제1고정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원형상인 보이스 코일 모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support protrusion, a portion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art has a circular shape.
KR1020200155865A 2014-01-03 2020-11-19 Camera module Active KR102320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865A KR102320277B1 (en) 2014-01-03 2020-11-19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567A KR102183184B1 (en) 2014-01-03 2014-01-03 Camera module
KR1020200155865A KR102320277B1 (en) 2014-01-03 2020-11-19 Camera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567A Division KR102183184B1 (en) 2014-01-03 2014-01-03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51A KR20200135251A (en) 2020-12-02
KR102320277B1 true KR102320277B1 (en) 2021-11-02

Family

ID=7379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865A Active KR102320277B1 (en) 2014-01-03 2020-11-19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27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34B1 (en) 2008-04-01 2010-10-18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Lens drive
WO2012060521A1 (en) 2010-11-02 2012-05-10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2074224A1 (en) 2010-12-03 2012-06-0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969B1 (en) * 2009-02-17 2015-1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otor for driving lens
KR101866351B1 (en) * 2010-11-18 2018-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KR101971639B1 (en) * 2011-11-30 2019-08-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34B1 (en) 2008-04-01 2010-10-18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Lens drive
WO2012060521A1 (en) 2010-11-02 2012-05-10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2074224A1 (en) 2010-12-03 2012-06-0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51A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107B1 (en) Camera module
KR102214331B1 (en) Camera module
KR20250021343A (en) Camera module
KR102210725B1 (en) Camera module
KR102320277B1 (en) Camera module
KR102320276B1 (en) Camera module
KR102314893B1 (en) Camera module
KR102176741B1 (en) Camera module
KR102425580B1 (en) Camera module
KR102384603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183184B1 (en) Camera module
KR102171368B1 (en) Camera module
KR102322152B1 (en) Camera module
KR102271390B1 (en) Camera module
KR102375333B1 (en) Camera module
KR102275089B1 (en) Camera module
KR102210837B1 (en) Camera module
KR20150064966A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1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010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00056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