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8847B1 - 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 Google Patents

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47B1
KR102318847B1 KR1020190171047A KR20190171047A KR102318847B1 KR 102318847 B1 KR102318847 B1 KR 102318847B1 KR 1020190171047 A KR1020190171047 A KR 1020190171047A KR 20190171047 A KR20190171047 A KR 20190171047A KR 102318847 B1 KR102318847 B1 KR 10231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asing
push
actuator
door lock
pull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9011A (en
Inventor
최요환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47B1/en
Publication of KR2021007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0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4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33Spindles for handles, e.g. square spi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37Attachments or mountings; Mounting o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생산비 절감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에 설치된 베이스 케이싱;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선회축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을 기점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누름레버;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이 맞닿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캠면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작동체; 및 상기 모티스 작동체를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that can reduce production costs and improve workability with a simp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casing installed on the handle of the push-pull door lock; a pressing lever which is installed in the base casing to be rotatable through a pivoting shaft and the other end is pivoted by a certain radius when one end is pressed with the pivotal shaft as a starting point; a motive actuator having at least one cam surfac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the other end of the press lever abuts,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casing, is connected to the base casing via a torsion spring, and drives the motive by rotation; and a fixing bracket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rtice actuator and fixed to the base casing so as to rotatably mount the mortise actuator to the base casing.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구동전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풀 도어락에 제공되는 구동전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provided for a push-pull door lock.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을 회전시켜 도어의 데드볼트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In general, a door lock is provided with an inner and outer handle in the form of a lever.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door lock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is unlocked by rotating the inner handle to operate the door dead bolt.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The conventional door lock having such a structure has to apply additional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while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order to unlock the lock state of the dead bolt, which is inconvenient for users. caused

한편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a door lock of a so-called 'push-pull type' in which a dead bolt is released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s disclosed in the prior art.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와 구동(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구동)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어락 장치의 작동성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Such a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door lock device to ensure the motive and driving (driving of the dead bolt and latch bolt) even when any part of the handle is pressed.

또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누름 동작으로 인해 전달되는 누르는 힘을 얼마나 정확하게 모티스의 작동체로 전달하는 것이 작동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가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ush-pull type door lock, how accurately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due to the pressing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of the mortis is an important factor for ensuring operational reliability.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로서,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구조는 누름판(10)의 누름 포스트(12)가 수직 기어부(20)의 누름 선단(21)을 누르면, 기어부(23)를 통해 직교방향으로 기어 연결된 모티스 작동체(30)를 베이스판(40)에서 회전시켜 모티스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도면부호 11은 스프링 포스트이고, 22는 회전축이다. 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drive transmiss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ush-pull door lock, in the drive transmiss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ush-pull door lock, the pressing post 12 of the pressing plate 10 is the pressing tip of the vertical gear unit 20 ( 21) is pressed,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which the mortise is unlocked by rotating the mortise actuator 30 gear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rough the gear unit 23 on the base plate 40 . Here, reference numeral 11, which is not described, denotes a spring post, and 22 denotes a rotation shaft.

그러나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구조는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된 구조로서 장기간 사용시 기어의 마모에 의해 구동전달 성능이 저하되거나, 설치 공차 등의 유격이 구동성능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긴밀한 체결력이 요구되고 시공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기어 가공이나 부품 설치시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므로 생산비 절감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However, the drive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push-pull door lock is a structure connected by a bevel gear method, and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drive transmiss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due to wear of the gear, or the clearance such as installation tolerance greatly affects the drive performance, so a close fastening force is required. and the problem of poor constructability was raised. In addition, since precise work is required when machining gears or installing parts, a problem has been raised that adversely affects production cost reduction.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31687호(공고일: 2016. 06. 20)<Prior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31687 (Announcement Date: 2016. 06. 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로 생산비 절감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that can reduce production costs and improve workability with a simple structur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어의 외부면에 설치된 베이스 케이싱;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선회축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을 기점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누름레버;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이 맞닿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캠면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작동체; 및 상기 모티스 작동체를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casing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 pressing lever which is installed in the base casing to be rotatable through a pivoting shaft and the other end is pivoted by a certain radius when one end is pressed with the pivotal shaft as a starting point; a motive actuator having at least one cam surfac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the other end of the press lever abuts,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casing, is connected to the base casing via a torsion spring, and drives the motive by rotation; And there is provided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comprising a fixing bracket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rtice actuator and fixed to the base casing so as to rotatably mount the mortice actuator to the base casing.

상기 누름레버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의 일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장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전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고정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A coil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press lever and the base casing, and a spring mounting hol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coil spring is seated is formed on a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press lev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casing includes the coil spring. A spring fixing part on which the other end is seated may be formed.

상기 캠면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면은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누름레버의 타단에는 복수의 상기 캠면에 각각 맞닿게 위치하며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안내단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cam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cam surfaces, the cam surfac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rtise actuator, an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 lever, a plurality of guide ends are positioned to abut against the plurality of the cam surfaces and move along the cam surface. may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푸쉬풀 도어락의 베벨 기어방식의 구동전달 구조를 보다 구조적으로 심플하면서도, 종래의 기어맞물림을 배제함으로써 마모에 의한 고장이나 설치 공차 등의 시공상의 제약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l gear-type drive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push-pull door lock is structurally simpler, and by excluding the conventional gear mesh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constraints such as failures due to wear or installation tolerances. there is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분해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모티스 작동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모티스 작동체의 측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모티스 작동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drive transmiss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ush-pull door lock;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exploded state of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otive actuator of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mortise actuator of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0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motive actuator of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는 베이스 케이싱(70)과 누름레버(60)와 사이에 모티스 작동체(80)가 설치된다. 2 and 3, in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ve actuator 80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casing 70 and the press lever 60.

여기서 누름레버(60)는 사용자가 베이스 케이싱(7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당기는 방향으로 누르면 모티스 작동체(80)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pressing lever 6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motive actuator 80 when the user presses the base casing 70 in a pulling direction while gripping the base casing 70 .

도 4를 참조하면 누름 커버(60)는 중간의 선회축(65; 도 6에서 65a,56b)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누름력을 가하는 부분인 제1단(61)이 상부측에 구성되고, 선회축(65)을 중심으로 하부측으로는 스프링 장착구(63)가 형성된 제2단(62)이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pressing cover 60 has a first end 61, which is a part that applies a pressing force in a state held by the user based on the pivoting shaft 65 in the middle (65a, 56b in FIG. 6), on the upper side. The second end 62 is configured with a spring mounting hole 63 formed on the lower side with the pivot shaft 65 as the center.

또한 베이스 케이싱(70)은 누름레버(60)의 제1단(61)이 대응하게 위치하는 제1 단부(71)가 누름레버(60)의 제2 단(62)이 위치하는 제2단부(72)로 구성된다. 또한 제2 단부(72)에는 토션 스프링(S1)이 연결된 상태로 모티스 작동체(80)의 하부축(81)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모티스 작동체(80)는 베이스 케이싱(70)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0의 (b)와 같이 베이스 케이싱(70)의 상면에는 스프링 걸림돌기(71a)가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고, 모티스 작동체(80)에는 스프링 걸림돌기(81a)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토션 스프링(S1)의 일단은 모티스 작동체(80)의 스프링 걸림돌기(81a)에 걸리게 되고, 토션 스프링(S1)의 타단은 베이스 케이싱(70)에 돌출형성된 스프링 걸림돌기(71a)에 걸린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S1)에 의해 모티스 작동체(80)가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모티스 작동체(8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casing 70 has a first end 71 at which the first end 61 of the press lever 60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and a second end at which the second end 62 of the press lever 60 is positioned ( 72) is composed. In addition, the lower shaft 81 of the mortise actuator 8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d 72 in a state in which the torsion spring S1 is connected. Accordingly, the mortise actuator 80 is rotatable in the base casing 70 . That is, as shown in (b) of FIG. 10 , a spring locking projection 71a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asing 70 , and a spring locking projection 81a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o the mortise actuator 80 . . Accordingly,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S1) is caught on the spring locking projection (81a) of the mortise actuator (80),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S1) is on the spring locking projection (71a) protruding from the base casing (70). installed while hanging. As such, the mortice actuator 80 is maintained in a stat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by the torsion spring S1, and through this, even if the mortice actuator 8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t can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한편 도 2와 같이 모티스 작동체(80)의 잔방으로는 고정브라켓(90)이 장착되고, 이 고정브라켓(90)에는 지지홈(93)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 지지홈(93)에는 모티스 작동체(80)의 상부축(82)이 삽입되고, 이 상태로 고정브라켓(90)은 고정단(91)을 통해 베이스 케이싱(70)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 a fixing bracket 90 is mounted on the left side of the mortis actuator 80 , and the support groove 93 is configured to protrude forward in the fixing bracket 90 . The upper shaft 82 of the mortise actuator 8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93 , and in this state, the fixing bracket 90 is fixed to the base casing 70 through the fixing end 91 .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는 베이스 케이싱(70)의 제1 단부(71)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누름 레버(60)의 제1단(61)을 움켜쥐는 동작에 의해 누름레버(60)가 베이스 케이싱(70)에서 선회되는 작동을 한다. 구체적으로 누름레버(60)의 양측에는 선회축(65)이 돌출형성되고, 이 선회축(65)이 베이스 케이싱(70) 내에 삽입됨으로써 이 선회축(65)을 기준으로 누름레버(60)가 일정각도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5,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grabs the first end 61 of the push lever 60 while the user grips the first end 71 of the base casing 70. The pressing lever 60 rotates in the base casing 70 by the gripping operation. Specifically, pivoting shafts 65 are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lever 60, and the pivoting shafts 65 are inserted into the base casing 70, so that the pressing lever 60 is formed based on the pivoting shafts 65.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또한 누름 레버(60)의 제2단(62)에는 스프링 장착구(63)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 장착구(63)에는 내부에 고정 포스트가 형성되고 이 고정 포스트에 코일 스프링(S2)의 선단이 끼워지며, 코일 스프링(S2)의 타단은 베이스 케이싱(70)의 제2 단부(7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75; 도 3)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누름 레버(60)의 제2단(62)이 눌러지는 경우 코일 스프링(S2)은 스프링 장착구(63)에서 수축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스프링 장착구(63)에 형성된 고정 포스트는 도 8의 상태에서 스프링 고정부(75)의 중앙에 형성된 개방영역으로 안내되어 하강된다. In addition, a spring mounting hole 63 is formed at the second end 62 of the push lever 60 , and a fixing post is formed inside the spring mounting port 63 , and the tip of the coil spring S2 is formed on the fixing post. This is fitted,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S2 is mounted on the spring fixing part 75 ( FIG. 3 ) formed on the second end 72 of the base casing 70 . Accordingly, when the second end 62 of the pressing lever 60 is pressed, the coil spring S2 is in a contracted state in the spring mounting unit 63, and the fixing post formed in the spring mounting unit 63 is shown in FIG. In the state of 8, it is guided to the open area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ring fixing part 75 and descends.

이와 같이 별도로 코일 스프링(S2)이 개재되는 것은 누름레버(60)가 베이스 케이싱(70)에서 일정 텐션을 갖는 상태로 유지되기 위함이다. 즉 누름레버(60)를 코일 스프링(S2)을 통해 일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평상시 베이스 케이싱(70)에서 누름레버(60)가 유격에 의해 유동되거나 소음(타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ason that the coil spring S2 is separately interposed in this way is to maintain the pressing lever 60 in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tension in the base casing 70 . That is, by pressing the pressing lever 60 to one side through the coil spring S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ing lever 60 from flowing due to play or generating noise (hitting sound) in the normal base casing 70 .

한편 베이스 케이싱(70)의 제2 단부(72)에는 관통홀(70h; 도 3)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70h)에는 모티스 작동체(80)의 하부축(81)이 삽입된다. 이때 모티스 작동체(80)의 상부축(82)은 고정 브라켓(90)의 지지홈(93)에 수용된다. Meanwhile, a through hole 70h (FIG. 3) is formed in the second end 72 of the base casing 70, and the lower shaft 81 of the mortise actuator 8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70h. At this time, the upper shaft 82 of the mortise actuator 80 i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groove 93 of the fixing bracket 90 .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티스 작동체(80)는 베이스 케이싱(70)에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티스 작동체(80)는 도 3과 같이 토션 스프링(S1)이 개재된 상태로 베이스 케이싱(70)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모티스 작동체(80)를 일측으로 강제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 토션 스프링(S1)의 회전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다(도 10 참조). By this configuration, the mortise actuator 80 is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in the base casing 70 . In addition, the mortice actuator 80 is installed in the base casing 70 with the torsion spring S1 interposed as shown in FIG. 3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mortice actuator 80 is forcibly rotated to one sid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gai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rsion spring (S1) (see FIG. 10).

한편 모티스 작동체(80)는 원기둥 형태의 외주면을 갖는데, 이 외주면에는 한 쌍의 캠면(85)이 형성된다. 또한 이 캠면(85)에는 누름레버(60)의 제2단(62)에 마련된 한쌍의 안내단(62a; 도 10의 (a) 참조)이 맞닿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누름레버(60)의 제1단(61)을 누르면(즉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움켜쥐는 동작을 하면), 누름레버(60)는 선회축(65)을 기준으로 베이스 케이싱(70)에서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누름레버(60)의 제2단(62)에 마련된 안내단(62a)은 도 5의 (a)와 같이 캠면(85)의 상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도 5의 (b)의 상태와 같이 캠면(85)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모티스 작동체(80)는 베이스 케이싱(70)의 관통공(70h)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누름레버(60)의 제2 단(62)이 하강하면 모티스 작동체(80)의 캠면(85)을 따라서 모티스 작동체(8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mortise actuator 8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form of a cylinder, and a pair of cam surfaces 85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a pair of guide ends 62a (refer to FIG. 10(a)) provided on the second end 62 of the pressing lever 60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cam surface 85.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first end 61 of the press lever 60 is pressed (that is,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while holding the handle), the press lever 60 moves to the base casing ( 70), the guide end 62a provided at the second end 62 of the press lever 6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am surface 85 as shown in FIG. It descends along the cam surface 85 as in the state of (b). Accordingly, the mortise actuator 80 rotates in the through hole 70h of the base casing 70 . That is, when the second end 62 of the pressing lever 60 descends, the mortice actuator 8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cam surface 85 of the mortise actuator 80 .

또한 사용자가 누름레버(60)의 제1 단(61)의 움켜쥔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S2) 및 토션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모티스 작동체(80)는 원상태로 복귀(회전)되고, 누름레버(60)의 제2 단(62)은 원상태로 하강된 상태에서 다시 상승(원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gripping state of the first end 61 of the push lever 60, the mortise actuator 8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S2 and the torsion spring S1 ( rotation), and the second end 62 of the push lever 60 rises (original position) again from the lowered state.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누름레버(60)의 제2 단(62)에는 양측으로 각각 안내단(62a,62b)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도록 모티스 작동체(80)의 외주면에도 한 쌍의 캠면(85)이 형성된 구성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누름레버(60)의 작동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모티스 작동체(80)의 선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균등한 누름력을 가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 guide ends 62a and 62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nd 62 of the push lever 60 , respectively, and a pair of cam surfaces are also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tive actuator 80 to correspond thereto. (85) is provided in the formed configuration.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re smoothly turn the motive actuator 80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lever 60 (a configuration for applying a uniform pressing force is provid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는 종래의 베벨기어방식으로 모티스 작동체를 선회시키는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코일 스프링(S2)이 누름레버(60)를 일측으로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문을 개방하기 위해 푸쉬풀 핸들을 움켜쥐어 누름레버(60)를 누르면 양 선회축(65a,65b)을 기준으로 누름레버(60)가 선회되고, 누름레버(60)의 제2 단(62; 안내단(62a))이 모티스 작동체(80)의 캠면(85)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모티스 작동체(80)는 캠면(85)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도 7의 (a)에서 (c)까지의 일련의 동작으로 작동됨). Referring to Figure 7,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d structure for turning the motive actuator in the conventional bevel gear method. Maintaining the pressurized state, when the user squeezes the push-pull handle to open the door and presses the press lever 60, the press lever 60 is rotated based on both pivot axes 65a and 65b, and the press lever ( The second end 62 (guide end 62a) of the 60 is descended along the cam surface 85 of the mortise actuator 80 . By this operation, the mortise actuator 80 rotates along the cam surface 85 (acted by a series of operations from (a) to (c) of FIG. 7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누름레버(60)를 베이스 케이싱(7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고, 모티스 작동체(80)의 외주면에 한 쌍의 캠면(85)을 형성하여, 누름레버(60)의 제2단(62)에 형성된 안내단(62a,62b)이 모티스 작동체(80)를 캠면(85)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모티스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 lever 60 is pivotally installed on the base casing 70 , and a pair of cam surfaces 85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rtise actuator 80 , and the press lever 60 is manufactured. The guide ends 62a and 62b formed in the second stage 62 are configured to rotate the mortise actuator 80 along the cam surface 85 to operate the mortise.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베벨 기어방식의 구동전달 구조보다 구조적으로 심플하면서도 구동력 전달 구조에서 기어맞물림을 배제함으로써 기어 마모에 의한 고장이나 설치 공차 등의 시공상의 제약 등을 개선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bevel gear type drive transmission structure, but by excluding gear meshing from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constraints such as failures due to gear wear or installation toleranc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60: 누름레버
61: 제1 단
62: 제2 단
63: 스프링 장착구
65: 선회축
70: 베이스 케이싱
71: 제1 단부
72: 제2 단부
75: 스프링 고정부
80: 모티스 작동체
81: 하부축
71a, 81a: 스프링 걸림돌기
82: 상부축
85: 캠면
90: 고정 브라켓
91: 고정단
93: 지지홈
60: push lever
61: first stage
62: second stage
63: spring mount
65: pivot
70: base casing
71: first end
72: second end
75: spring fixing part
80: Mortise effector
81: lower shaft
71a, 81a: spring locking projection
82: upper shaft
85: cam surface
90: fixing bracket
91: fixed end
93: support groove

Claims (3)

도어의 외부면에 설치된 베이스 케이싱;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선회축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을 기점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누름레버;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이 맞닿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캠면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작동체; 및
상기 모티스 작동체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base casing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 pressing lever which is installed in the base casing to be rotatable through a pivoting shaft and the other end is pivoted by a certain radius when one end is pressed with the pivotal shaft as a starting point;
At least one cam surface formed to abut the other end of the press lever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casing, and is installed in the base casing via a torsion spring. sifter; and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bracket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rtice actuator so that the mortice actuato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casing and fixed to the base ca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레버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의 일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장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전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 coil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press lever and the base casing,
A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press lever is formed with a spring mounting hole on which the front end of the coil spring is seated,
A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a push-pul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a spring fixing part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sea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ca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면은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에는 복수의 상기 캠면에 각각 맞닿게 위치하여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안내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am surface is made of a plurality of
The cam surfac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rtise actuator,
The drive transmission assembly of the push-pul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push lever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am surface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guide ends moving along the cam surfaces are formed.
KR1020190171047A 2019-12-19 2019-12-19 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Active KR1023188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47A KR102318847B1 (en) 2019-12-19 2019-12-19 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47A KR102318847B1 (en) 2019-12-19 2019-12-19 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11A KR20210079011A (en) 2021-06-29
KR102318847B1 true KR102318847B1 (en) 2021-10-28

Family

ID=7662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047A Active KR102318847B1 (en) 2019-12-19 2019-12-19 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748B1 (en) 2021-12-14 2022-08-18 (주)솔리티 Handle Assembly of Push-pull Doorl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619B1 (en) * 2021-09-14 2022-02-08 (주)애니락 Anti panic function having push-pull door lo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87B1 (en)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ing assembly for push-pull doorl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87B1 (en)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ing assembly for push-pull door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748B1 (en) 2021-12-14 2022-08-18 (주)솔리티 Handle Assembly of Push-pull Door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11A (en)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847B1 (en) 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US7257973B2 (en) Chassis for a lock set
JP5126793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4839843B2 (en) Keyboard lid structure for keyboard instruments
CA2496270A1 (en) Power actuator for door latch
KR101627578B1 (en) Locking assembly of Auto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KR101467285B1 (en) Locking assembly for latch bolt
KR101631687B1 (en) Connecting assembly for push-pull doorlock
JP5129090B2 (en) Door latch device
KR101428690B1 (en) Locking handle device for sliding type fittings
KR101370517B1 (en) Anti forced locking assembly for push-pull doorlock
KR200298361Y1 (en) Door locking device
JP5074949B2 (en) Push-pull tablets
JP2006029032A (en) Assist handle with locking device
JP2007070923A (en) Electric door lock with hook
JP5261829B2 (en) Lock mechanism
CA2395248C (en) Power striker mechanism with backdrive prevention
CN221524510U (en) A lock
KR200363726Y1 (en) Latch Bolt Motion Structure
KR101793491B1 (en) Swiching assembly for driving push-pull door lock
CN220580748U (en) Lock and lock box mechanism of the lock
JP2019044369A (en) Production method of assembly body of gear and arm, window opening/closing device, and opening/closing window
CN222810599U (en) Bidirectional anti-falling mechanism assembly with anti-theft function
CN219327415U (en) Door and window lockset
JP3159644B2 (en) Operating device for rotating shaft for release of door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