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6110B1 -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110B1
KR102316110B1 KR1020210051685A KR20210051685A KR102316110B1 KR 102316110 B1 KR102316110 B1 KR 102316110B1 KR 1020210051685 A KR1020210051685 A KR 1020210051685A KR 20210051685 A KR20210051685 A KR 20210051685A KR 102316110 B1 KR102316110 B1 KR 102316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ion
persimmon
complex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지나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주)코스알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알엑스 filed Critical (주)코스알엑스
Priority to KR102021005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1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개선 효능이 우수하며, 항염증, 피부 보습, 피지 저감, 각질 저감 또는 항산화 효과를 더 보유한다.

Description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MPLEX EXTRACT OF WALNUT SHELL AND PERSIMMON CALYX AS EFFECTIVE INGRE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NO는 생체 내에서 혈압조절, 혈소판응집, 신호전달 등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pro-inflammatory cytokine이나 LPS는 면역세포에 작용하여 L-아르기닌으로부터 유도성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작용에 의해 NO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과도한 NO의 생성은 만성 염증과 관련이 있으며 iNOS 활성 조절을 통하여 만성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 NO 생합성 억제제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Sharma et al., 2007; Korhonen et al., 2005).
한편, 피부 주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피부 세포의 노화는 고령화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 노화와 외부 환경에 의해 나타나는 노화로 분류될 수 있다. 자연 노화는 유전적 요인 등이 관여되어 제어가 쉽지 않으며, 자외선,산화,건조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을 제어하여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연구가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
상기 환경적 요인은 주로 진피층에 포함된 콜라겐 단백질, 엘라스틴 단백질 등을 파괴하거나 변성을 일으켜 주름을 유발한다. 특히, 자외선은 피부 세포(섬유아세포)를 산화시키고, 엘라스틴의 생성 저하 및 파괴를 일으키는데, 자외선 등에 의해 피부 내에 엘라스틴 분해효소(elastase)가 발현되면 이 효소가 피부 내의 정상적인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 탄력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 요인에 의해 양산된 활성 산소는 산화 작용에 의해 피부 세포 내의 단백질 파괴, 당의 산화, 유전자 변형 등을 일으켜 피부에 노화 및 주름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화학성분이 다량 포함된 화장품의 사용으로 여러 부작용과 피부 손상에 의한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각종 식물이나 과일, 한약재 등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첨가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특히, 산화 방지나 주름 방지 등의 기능성을 보유하면서도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의 탐색이 요구되었다.
과일 등의 식물성 원료는 생리 활성에 유용한 여러 물질을 포함하면서도, 세포 독성이 낮아 이러한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후보일 수 있다. 그러나, 과일로부터 목적하는 유효 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원료가 필요하여 제품의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으며, 식량 자원의 소모, 부산물 발생에 의한 환경 오염의 문제도 있다.
식물성 원료를 가공한 후 부산물로 발생되는 껍질이나 과일 꼭지들은 대부분 쓰레기로 폐기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친환경적으로 폐기하거나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와 대책도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목적하는 유효 성분을 고함량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자원 소모적이지 않고, 원가를 상승시키거나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화장료 원료의 개발 필요성이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라스테이즈를 억제하여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의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포 독성이 없고, 피부 자극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증대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능, 피부 보습 효능을 더 보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 중 호두 껍질 추출물 및 감꼭지 추출물의 배합비는 1 : 0.5 내지 1 : 2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6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파우더, 파운데이션, 팩, 패치, 마스크 시트, 젤 연고, 분무제 또는 세정제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호두 껍질의 추출물 및 감꼭지의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을 혼합한 후 추출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합 추출물 중 호두 껍질 추출물 및 감꼭지 추출물의 배합비 또는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의 배합비는 1 : 0.5 내지 1 : 2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1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건조 원료 분쇄물에 1 배수 내지 100 배수 중량의 용매를 가한 후, 1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 내지 360시간 동안 중탕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및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인 화장료 조제용 조성물에 상기 복합 추출물 0.001 중량% 내지 60 중량% 되게 첨가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파우더, 파운데이션, 팩, 패치, 마스크 시트, 젤 연고, 분무제 또는 세정제 등의 제형으로 제형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개선 효능이 우수하며, 항염증 효능, 피부 보습 효능의 기능성을 더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 대한 세포독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 대한 항염증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 대한 엘라스테이즈 억제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보습도 유지율의 피부 개선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은 주름 개선 효능, 항염증 효능을 보유하며, 천연 페놀성 화합물 등의 함량 증대를 통하여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도 향상 및 유지, 피지량 저감, 각질량 저감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호두(Juglans sinensis)는 호두나무과 호두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의 열매로서 호도수(胡桃樹), 강도(羌挑)로도 불린다. 호두는 페르시아 호두(J. sinensis)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1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호두 열매는 다양한 페놀 성분과 함께 불포화 지방산 오메가-3인 알파-리놀렌산(ALA)이 주 성분을 이루며, 비타민 B1, B2 등이 풍부하여 식품이나 화장품 원료 등으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호두 껍질 추출물이 갖는 기능과 효과에 대해서는 활발하게 연구되어 있지 않다.
감꼭지는 감나무과의 낙엽 교목인 디소피로스 카키(Disopyros kaki L.)의 열매 꽃받침이다. 감꼭지는 구토 및 기침을 멎게 하는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감꼭지는 주요 성분으로는 숙신산, 퀘르세틴 (quercetin), 캠프페롤 (kaempferol), 네오디오스피린 (neodiospyrin), 올레아놀린 (oleanolin), 우르솔릭 (ursolic), 베툴린 (Betulin) 및 다우코스테롤 (daucosterol)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호두 껍질 추출물 또는 감꼭지 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추출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시킨 분말, 상기 추출액을 농축 여과한 농축물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은 예를 들면 알코올, 정제수, 오일 등을 침출 용매로 포함하는 틴크, 농축물, 엑기스, 유동엑기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호두 껍질 또는 감꼭지 추출물의 자세한 추출 방법에 대해서는 본 출원 명세서 후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 중 호두 껍질 추출물 및 감꼭지 추출물의 배합비는 1 : 0.5 내지 1 : 2일 수 있다.
상기 배합비 범위 내에서 향상된 NO 생성 억제 및 엘라스테이즈 억제 활성 과 함께 피부 보습도 개선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 중 호두 껍질 추출물 및 감꼭지 추출물의 배합비는 추출물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의 고형물 중량은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이후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고형물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 중 호두 껍질 추출물 및 감꼭지 추출물의 배합비는 원료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때, 고형물의 중량은 추출 용매를 가하기 이전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대한 고형물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60 중량%, 구체적으로 1 중량% 내지 5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20 중량% 내지 5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기대하는 기능성이 발현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파우더, 파운데이션, 팩, 패치, 마스크 시트, 젤 연고, 분무제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과 함께 화장료 조제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제용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과 함께 작용하여 목적하는 화장의 용도와 제형에 따른 화장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화장료 주제, 부형제 등에 사용되는 성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제용 조성물로서 용매,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식물 오일,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땀분비 억제제 등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제용 조성물은 정제수(water), 알코올(alcohol), 글리세린(glycerin),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스테아레이트(sterate), 스테아릭애씨드(steraric acid), 배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1,2-헥산디올(1,2-hexanedi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하이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hydroxyethylene cellulose),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콜라겐(collagen),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시트르산(citrate), 아스코르빈산마그네슘(magnesium ascorbate), 알란토인(allantoin), 판테놀(panthenol), 베타인(betaine),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해바라기 오일(Sunflower oil),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향료(fragranc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호두 껍질의 추출물 및 감꼭지의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을 혼합한 후 추출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호두 껍질의 추출물, 감꼭지의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호두 껍질의 추출물, 감꼭지의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각 추출 대상의 건조 원료 분쇄물에 1 배수 내지 100 배수 중량의 용매를 가한 후, 1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 내지 360 시간 동안, 중탕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및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중 하나 이상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추출 대상은 호두 껍질 추출물의 경우 호두 껍질, 감꼭지의 추출물의 경우 감꼭지, 복합 추출물의 경우 호두 껍질과 감꼭지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용매는 화장료 조성물용 추출 용매로 이용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상기 물은 알칼리 물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프로판올, 메탄올, n-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1,3-부틸렌글라이콜 등의 극성 유기용매;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유기용매; 콩기름, 참기름 등의 식물성 유기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혼합 조성 및 비율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시 사용되는 용매로서 에탄올, 메탄올, n-부탄올, 프로판올 중 하나 이상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아세톤 중 하나 이상의 극성 유기 용매; 및 알칼리 물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호두 껍질의 추출물, 감꼭지의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시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시 사용되는 용매로서 에탄올, 메탄올, n-부탄올, 프로판올 중 하나 이상의 저급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호두 껍질과 감꼭지 모두에 대한 추출 밸런스가 우수하여, 복합 추출물의 제조시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추출시 가해지는 용매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각 추출 대상의 건조 원료 분쇄물에 1 배수 내지 100 배수 중량, 구체적으로 2 배수 내지 80 배수, 보다 구체적으로 5 배수 내지 50 배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추출되는 유효 성분의 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시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0 내지 120℃, 예를 들면, 50 내지 120℃ 또는 10 내지 4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추출되는 유효 성분의 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시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30분 내지 360 시간, 예를 들면 30분 내지 72 시간, 30분 내지 24 시간 또는 168 시간 내지 36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추출되는 유효 성분의 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시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중탕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및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추출되는 유효 성분의 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시 추출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각각의 추출물에 대해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회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추출되는 유효 성분의 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은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 각 추출 대상 및 추출 용매를 투입한 후, 50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 냉각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 환류 냉각 추출은 용매가 첨가된 각 대상 물질을 가열하면서 환류시킨 후, 냉각하여 추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열에 의한 용매 손실량을 최소화 하면서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은 각 추출 대상에 추출 용매를 투입한 후, 10 내지 40℃에서 1일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냉침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열에 필요한 설비를 생략하고,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은 각 추출 대상에 추출 용매를 투입한 후, 상온에서 1 내지 200시간 동안 퍼콜레이션(percolation)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효 성분의 함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은 각 추출 대상에 추출 용매를 투입한 후, 50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72시간 동안 중탕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효 성분의 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해 추출된 추출 물질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추출된 추출 물질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호두 껍질 추출물 및 감꼭지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이들을 1 : 0.5 내지 1 : 2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을 1 : 0.5 내지 1 : 2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인 화장료 조제용 조성물에 상기 복합 추출물을 0.001 중량% 내지 60 중량% 첨가한 후,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파우더, 파운데이션, 팩, 패치, 마스크 시트, 젤 연고, 분무제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제용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과 함께 작용하여 목적하는 화장의 용도와 제형에 따른 화장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화장료 주제, 부형제 등에 사용되는 성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시 등은 전술한 설명과 동일한 내용을 따른다.
또한, 상기 제형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이유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호두 껍질과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중량비 1:1)의 제조
호두 열매로부터 껍질을 분리 수득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감 열매로부터 꼭지를 분리 수득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15g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 15g을 혼합한 후,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배수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추출 방법으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 수행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제조예 2: 호두 껍질과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중량비 2:1)의 제조
호두 열매로부터 껍질을 분리 수득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감 열매로부터 꼭지를 분리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20g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 10g을 혼합한 후,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배수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추출 방법으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 수행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제조예 3: 호두 껍질과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중량비 1:2)의 제조
호두 열매로부터 껍질을 분리 수득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감 열매로부터 꼭지를 분리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10g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 20g을 혼합한 후,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배수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추출 방법으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 수행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1: 호두 껍질 추출물의 제조
호두 열매로부터 껍질을 분리 수득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30g에 총 중량에 대하여 20 배수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추출 방법으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 수행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2: 감꼭지 추출물의 제조
감 열매로부터 꼭지를 분리, 수득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건조 감꼭지 분쇄물 30g에 총 중량에 대하여 20 배수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추출 방법으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 수행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3: 호두 알 추출물의 제조
호두 열매로부터 껍질을 제거하고 알맹이를 분리 수득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건조 호두 알맹이 분쇄물 30g에 총 중량에 대하여 20 배수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추출 방법으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 수행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4: 감 껍질 추출물의 제조
감 열매로부터 껍질을 분리, 수득한 후, 완전 건조 및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건조 감 껍질 분쇄물 30g에 총 중량에 대하여 20 배수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추출 방법으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 수행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실시예 1: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수 제형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 30 중량%, 정제수 62.6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 중량%, 1,2-헥산다이올 1.5 중량%, 알란토인 0.5 중량%, 판테놀 0.05 중량% 및 베타인 0.3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화장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세럼 제형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 50 중량%, 정제수 39.7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7 중량%, 1,2-헥산다이올 1.5 중량%, 글리세린 1 중량%, 베타인 0.5 중량% 및 잔탄검 0.3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세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 55 중량%, 정제수 26.6 중량%, 글리세린 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6 중량%, 베타인 0.5 중량%,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1.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8 중량%, 해바라기 오일 1.8 중량%,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0.75 중량%,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0.75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5 중량%, 에틸 헥실 글리세린 0.5 중량% 및 잔탄검 0.3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을 동량의 정제수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을 동량의 정제수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을 동량의 정제수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독성 평가 시험
상기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에 따른 추출물 시료에 DMSO를 첨가하여 하기 표 1에 표시된 농도로 희석하고,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마우스 대식 세포주 RAW 264.7을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를 이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1Х104 cells/㎖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세포에 상기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에 따른 시료를 농도별로 배지와 혼합시킨 후, 각 웰에 1 mL씩 첨가하고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다음, 각 웰의 상등액만을 따로 취한 뒤 각 웰에 WST-1 assay solution(ez-cytox)을 첨가하여 배양기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기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하기 계산식 1에 의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세포생존율(%) =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 무처리군의 흡광도) Х 100]
농도
(㎍/㎖)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3 비교제조예 4
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3.125 102.20 104.36 103.09 98.85 100.66 97.31 100.64
6.25 107.81 104.41 103.71 92.25 97.80 89.33 94.92
12.5 107.02 104.98 103.34 96.71 100.04 91.12 96.91
25 102.01 103.86 102.00 94.59 98.75 90.10 92.67
50 104.72 100.70 99.40 90.67 98.53 92.78 95.75
100 100.07 101.64 80.48 93.19 52.80 87.16 93.28
표 1 및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예 1 내지 3은 시험된 대부분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100을 상회하여 안전하게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항염증 활성 평가
상기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에 따른 추출물 시료에 DMSO를 첨가하여 하기 표 1에 표시된 농도로 희석하고,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마우스 대식 세포주 RAW 264.7을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를 이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1Υ104 cells/㎖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세포에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에 따른 시료를 농도별로 배지와 혼합시킨 후, 각 웰에 1 mL씩 첨가하고 37℃,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NO를 발현시키는 염증 유발인자인 LPS(Lipopolysaccharide)를 1ug/㎖의 농도로 함께 처리하고 37℃,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웰의 배양액만을 따로 취한 뒤 96웰 플레이트에 배양액 중 100 ㎕를 각각 취하고 NO assay kit를 이용하여 Griess reagent A(N-1-Naphthylethylenediamine (NEDHC)) 50㎕ 및 Griess reagent B(Sulfanilamide) 50㎕를 각각 넣어 각각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mM nitrite standard solution을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농도
(㎍/㎖)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비교제조예 4
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3.125 12.38 7.49 -0.86 4.32 1.15 -7.78 -8.06
6.25 8.35 5.18 12.10 3.46 2.59 -1.44 -3.74
12.5 14.69 14.69 10.94 11.52 10.08 -9.50 -4.90
25 24.48 26.79 20.45 15.26 18.15 2.02 -2.02
50 32.83 31.11 31.11 32.26 30.53 2.30 -4.03
100 45.22 39.75 33.00 46.95 52.42 8.64 5.18
그 결과, 표 2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호두 껍질과 감꼭지의 두 추출물을 중량비 1:1로 혼합하였을 때 NO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시험예 3: 주름 개선 또는 탄력 개선 평가
상기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에 따른 추출물 각각의 시료에 DMSO를 첨가하여 하기 표 3에 표시된 농도로 희석하고, 농도에 따른 엘라스테이즈(elastase)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에 따른 시료를 농도별로 10 mM Tris-HCl buffer(pH 8.0)에 녹인 N-succinyl-(Ala)3-p-nitroanilide 1.6mM 농도의 기질과 돼지 췌장 타입 IV 유래 엘라스테이즈 0.4 U/㎖를 혼합하여 22℃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96 웰 플레이트에 담아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넣지 않은 sample을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계산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를 사용하였고, 엘라스테이즈 저해 활성이 50%일 때 올레아놀릭산의 농도는 9.37 ㎍/㎖으로 나타났다.
[계산식 2]
엘라스테이즈 저해활성 (%) = 100 - [(시료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 /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 Х 100]
농도
(㎍/㎖)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비교제조예 4
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5625 17.03 9.18 13.95 5.3 9.01 4.91 -0.55
3.125 27.94 16.52 22.74 5.97 15.36 7.93 -1.11
6.25 34.83 21.26 35.52 12.09 20.68 21.71 4.52
12.5 54.40 42.13 50.06 17.76 37.88 48.75 -0.55
25 68.19 65.02 67.76 24.1 57.95 63.57 7.20
50 77.83 78.36 82.30 38.73 77.82 76.20 16.97
100 86.56 83.96 87.22 50 88.67 83.40 28.41
IC50 10.60 17.77 11.48 95.20 20.06 17.61 -
표 3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모든 배합비에서 호두 껍질 추출물 또는 감꼭지 추출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엘라스테이즈 억제 활성의 상승 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특히, 1:1의 배합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피부에 적용시 주름 개선 또는 탄력 개선 효과의 발현을 의미한다.
시험예 4: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측정
식물 유래의 천연 페놀성 화합물은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 세포 생리 활성에 의한 세포 재생 촉진, 항산화능 향상, 피지량 감소, 각질량 저감 등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에 따른 추출물 각각의 시료에 DMSO를 첨가하여 페놀성 화합물에 속하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시료 100㎕에 Folin-Ciocalteu reagent 100㎕를 첨가하여 5분 동안 상온에서 안정화한 후 10% sodium carbonate 100㎕를 첨가하고 3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얻은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각각의 시료의 총 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시료 100㎕에 diethylene glycol 1㎖를 가하여 잘 혼합한 후 1N soduum hydroxide 100㎕를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naringin을 농도별로 조제하여 얻은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각각의 시료의 총 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표 4에 각 기준 화합물 대비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농도 제조예 1 제조예2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4
Gallic acid 대비
총페놀 함량
(㎎·gallic acid/g)
42.434 40.486 41.239 35.919 39.534 27.814 3.906
Naringin 대비
총탄닌 함량
(㎎·naringin/g)
35.211 34.947 33.576 27.954 32.998 15.976 3.087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예 1 내지 3은 단일 추출물의 비교제조예에 비하여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중에서는 제조예 1이 가장 높은 페놀화합물 및 탄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항산화능을 높이고, 피지량 및 각질량을 낮추는 등의 피부 상태 개선에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시험예 5: 피부 개선도 평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의 세럼과, 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의 세럼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의 피부 보습도 변화 정도, 피지량 변화 정도, 각질량 변화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사용감 및 효능감에 대한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보습도, 피지량, 각질량은 무선 휴대용 피부 진단기(제품명: dpViso, 제조사: CHOWIS)를 사용하여 기기에 내장된 측정 지수에 따라 산출된 값으로 평가하였다.
(1) 보습도 변화 정도 평가
20~30대 남녀 20명의 시험자에게 실시예 2의 세럼과, 비교예 2의 세럼을 2주간 아침 저녁으로 동량 사용하게 한 뒤 마지막 날 15시간 동안 아래 시간 간격으로 피부의 수분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 수치의 평균값을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hr 0 3 6 9 12 15
실시예2 100 63 55 54 49 48
비교예2 100 50 40 38 39 39
그 결과,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럼은 이를 포함하지 않는 세럼에 비해 전 기간 보습률이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었다.
(2) 관능 평가
20~30대 남녀 20명의 시험자에게 실시예 2의 세럼과, 비교예 2의 세럼을 각각 동량으로 10일 동안 아침 1회 및 저녁 1회 사용하게 한 후 5점 척도법에 따라 발림성, 흡수력, 보습력, 개선정도, 자극감에 대한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는 총점을 평균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교예 2
발림성 4.5 4.2
흡수력 4.4 4.2
보습력 3.8 3.6
개선정도 3.5 3.2
자극감 0 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럼이 이를 포함하지 않는 세럼에 비해 사용감 역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8)

  1.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탄력 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복합 추출물 중 호두 껍질 추출물 및 감꼭지 추출물의 배합 중량비는 1:1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 효능 및 피부 보습 효능 중 하나 이상의 효과를 더 가지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60.0 중량%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파우더, 파운데이션, 팩, 패치, 마스크 시트, 젤 연고, 분무제 및 세정제 중 하나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6. 호두 껍질 추출물 및 감꼭지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배합하거나, 건조 호두 껍질 분쇄물 및 건조 감꼭지 분쇄물을 1:1의 중량비로 배합한 후 추출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탄력 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추출 대상의 건조 원료 분쇄물에 1 배수 내지 100 배수 중량의 용매를 가한 후 1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 내지 360 시간 동안 가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및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051685A 2021-04-21 2021-04-21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31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85A KR102316110B1 (ko) 2021-04-21 2021-04-21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85A KR102316110B1 (ko) 2021-04-21 2021-04-21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110B1 true KR102316110B1 (ko) 2021-10-25

Family

ID=7825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85A Active KR102316110B1 (ko) 2021-04-21 2021-04-21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9731A (zh) * 2024-02-23 2024-05-03 四川新绿色药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核桃仁药材、饮片、标准汤剂、配方颗粒hplc特征图谱的构建方法及其应用
KR20240166212A (ko) 2023-05-17 2024-11-26 씨제이제일제당 (주) 생분해성 스크럽용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487A (ko) * 2012-10-26 2014-05-12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20180087479A (ko) * 2017-01-23 2018-08-02 코스맥스 주식회사 감꼭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487A (ko) * 2012-10-26 2014-05-12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20180087479A (ko) * 2017-01-23 2018-08-02 코스맥스 주식회사 감꼭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ee-Kyung Kim et al., ‘Functional Properties of Walnut in Cosmetics’, 생명과학회지 21(6), 2011.6, 858-864 (2011.06.)* *
네이버 블로그, ‘AHC 내추럴퍼펜션 썬스틱’, https://blog.naver.com/ merukoi/221313099526 (2018.07.05.)* *
㈜ 튜링겐코리아 연구보고서, ‘감 부산물인 감꼭지 유효성분의 피부메커니즘 규명과 Multi Lamella Vesicles Liposome 제형을 갖는 자연친화성 화장품 개발’ (2013.0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6212A (ko) 2023-05-17 2024-11-26 씨제이제일제당 (주) 생분해성 스크럽용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CN117969731A (zh) * 2024-02-23 2024-05-03 四川新绿色药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核桃仁药材、饮片、标准汤剂、配方颗粒hplc特征图谱的构建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1676A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2316110B1 (ko)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8594B1 (ko) 하수오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촉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851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9155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101793104B1 (ko) 꾸지뽕잎 및 뽕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281205A (ja) マクロファージ活性化剤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7299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바나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78901A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76336B1 (ko) 샤스타데이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75244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22043B1 (ko) 블루 로터스 및 아이슬란드 이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