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6088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088B1
KR102316088B1 KR1020150028984A KR20150028984A KR102316088B1 KR 102316088 B1 KR102316088 B1 KR 102316088B1 KR 1020150028984 A KR1020150028984 A KR 1020150028984A KR 20150028984 A KR20150028984 A KR 20150028984A KR 102316088 B1 KR102316088 B1 KR 102316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gnet
inlet
magnetic
cabi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295A (ko
Inventor
이지홍
이병진
김홍철
정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088B1/ko
Priority to US15/547,893 priority patent/US10119220B2/en
Priority to AU2016226778A priority patent/AU2016226778B2/en
Priority to PCT/KR2016/002012 priority patent/WO2016140484A1/en
Priority to EP16759120.5A priority patent/EP3265599B1/en
Publication of KR2016010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0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으면 인력(attractive force)을 통해 상기 도어를 상기 투입구에 고정시키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으면 상기 도어를 상기 투입구에서 분리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장치의 전방면을 통해 의류를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일명 드럼 세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하거나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인출할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받침대를 추가하여 투입구의 높이를 높인 것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는 의류처리장치의 투입구를 높이기 위한 수단일 뿐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도어를 통해 투입구를 개폐하였고,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는 도어락(door lock)을 통해 캐비닛에 고정되었다.
이와 같은 도어락은 도어에 구비된 후크 및 캐비닛에 구비되어 후크가 착탈 가능한 홈으로 구비되었는데, 후크와 홈으로 구성된 도어락의 경우 도어와 투입구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의류처리장치에 진동이 있는 경우 소음을 유발하거나 도어락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투입구와 도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가능한 도어락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처리를 위해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처리장치의 투입구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도 수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으면 인력(attractive force)을 통해 상기 도어를 상기 투입구에 고정시키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으면 상기 도어를 상기 투입구에서 분리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자성체에 인력을 제공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하는 비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자성체와 마주보는 제1자석 및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자성체와 마주보는 제2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자석 또는 상기 제2자석과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하는 비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자성체에 인력을 제공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비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작동부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부 자석에 인력을 제공하는 고정부 제1자석 및 상기 바디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부 자석에 척력을 제공하는 고정부 제2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부 자석에 인력을 제공하는 작동부 제1자석,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바디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부 자석에 척력을 제공하는 작동부 제2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가 수용되는 바디 수용부; 상기 바디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바디를 상기 제1위치로 가압하는 바디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부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드로워의 외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 또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와 도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가능한 도어락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처리를 위해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처리장치의 투입구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도 수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처리장치(L)와 제2처리장치(T)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1처리장치(L)와 제2처리장치(T)중 어느 하나 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처리장치(L) 및 제2처리장치(T)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처리장치(L)는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고, 제2처리장치(T)는 상기 제1처리장치(L)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처리장치(T)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처리장치 캐비닛(1), 상기 제2처리장치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처리장치 수용부(15, 16)를 포함한다.
상기 제2처리장치 캐비닛(1)에는 상기 제2처리장치 수용부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출입하는 제2처리장치 관통홀(1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T)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 수용부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2처리장치 터브(15), 상기 제2처리장치 터브(1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처리장치 드럼(1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 터브(15)에는 상기 제2처리장치 관통홀(13)에 연통하는 제2처리장치 투입구(15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장치 드럼(16)에는 상기 투입구(15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161)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2처리장치 캐비닛(1)에는 상기 제2처리장치 투입구(151)의 개폐를 위한 제2처리장치 도어(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처리장치 도어(11)를 개방함으로써 제2처리장치 드럼(16)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2처리장치 드럼(16) 내부에 저장된 의류를 제2처리장치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장치(T)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T)에는 상기 제2처리장치 터브(15)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처리장치 급수부(17), 상기 제2처리장치 터브(15)에 저장된 세탁수를 제2처리장치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처리장치 배수부(19)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2처리장치(T)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 수용부는 상기 제2처리장치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 드럼(16)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처리장치(T)에는 상기 제2처리장치 드럼(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2처리장치 드럼(16)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처리장치 열풍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열풍공급부(미도시)는 제2처리장치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제2처리장치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열풍공급부(미도시)는 제2처리장치 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2처리장치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제2처리장치 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제2처리장치 터브(15)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T)가 의류의 건조 및 세탁을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 수용부는 제2처리장치 터브(15), 제2처리장치 드럼(16)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제2처리장치(T)에는 제2처리장치 급수부(17), 제2처리장치 배수부(19), 제2처리장치 열풍공급부(미도시)가 모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L)는 제2처리장치 캐비닛(1)을 지지하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4, 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제1처리장치(L)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상기 캐비닛(2)은 제2처리장치(T)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처리장치(T)의 하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L)가 상기 제2처리장치(T)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1처리장치(L)에 의해 제2처리장치 도어(11) 및 투입구(151)의 위치가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의류를 제2처리장치(T)에 투입하거나 제2처리장치(T)에서 인출할 때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캐비닛(2)에는 개방면(21)이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3)는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방면(21)은 제2처리장치 도어(11)가 위치된 방향(제2처리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3)는 상부면이 개방된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의 개방면에 구비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33)이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캐비닛의 개방면(21)을 개폐하는 수단인 동시에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2)으로 인입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제1처리장치(L)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31)은 상기 수용부(4, 5)에 세탁수를 급배수하기 위한 수단(급수부, 배수부),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구동부),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열풍공급부, 수분공급부)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331)에는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L)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332), 상기 입력부(332)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부(333, 제1처리장치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수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L) 역시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 의류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L)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드로워 바디(3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홀(351),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부(4, 5)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구(35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4, 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는 터브지지부(41)에 의해 드로워(3)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지지부(41)는 상기 터브(4)의 원주면이 상기 드로워(3)에 지지될 수 있도록 터브와 드로워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터브지지부(41)에는 진동의 감쇄를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의 상부면에는 터브(4) 내부를 터브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43)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43)는 터브(4)에 구비된 도어(4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45)는 터브(4)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터브의 상부면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45)는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관통홀(351)을 통해 드로워(3)의 외부로 인출(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시킨 뒤 도어(45)를 열면 투입구(43)를 통해 터브(4)에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4)의 상부면에는 드로워(3)에 구비된 급수구(353)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터브(4)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47)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47)는 상기 급수구(353)와 터브(4)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급수구(353)의 하부에 위치하되 터브(4)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hole)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5)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5)은 상기 터브(4)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6)에 의해 터브(4)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는 터브(4)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6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3)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63)에는 상기 터브(4)를 관통하여 드럼(5)의 바닥면에 고정된 구동축(53)이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3)은 드로워(3)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5)의 외주면에는 드럼(5)의 내부를 터브(4)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홀(5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L)는 급수부(7)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에 연결된다. 상기 급수부(7)는 급수원(미도시)과 급수구(353)를 연결하는 급수관(71), 제어부에 의해 급수관(71)을 개폐하는 밸브(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에 저장된 세탁수는 배수부(8)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수부(8)는 터브(4)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81), 상기 배수관(81)에 구비되어 터브(4)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펌프(83,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처리장치(L)는 의류의 세탁만을 수행 가능한 경우를 설명한 것인데, 제1처리장치(L)가 의류의 건조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상기 캐비닛(2) 내부에는 터브(4)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면 된다. 제1처리장치(L)에 구비되는 열풍공급부(미도시)는 앞서 설명한 제2처리장치 열풍공급부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L)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수용부는 드럼(5)만으로 구비되고, 제1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부는 드럼(5)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드럼(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구동부(6)가 고정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처리장치(L)의 경우, 구동부(6)가 터브(4)에 고정되므로 제1처리장치(L)의 작동 시 구동부(6)의 진동이나 드럼(5)의 진동이 터브(4)에 전달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터브(4)에 진동이 발생되면, 투입구(43)를 폐쇄한 상태에 있는 도어(45)가 투입구를 개방시킬 위험이 있고, 제1처리장치(L)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면 의류나 세탁수가 터브(4)의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1처리장치(L)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면, 제1처리장치의 작동이 완료된 뒤 사용자가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할 때 도어(45)에 의해 드로워(3)가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처리장치(L)에는 도어(45)와 투입구(43)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제1처리장치의 작동 중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제1처리장치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도어락(9, door lo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락(9)은 자기력(magnetic force)를 이용하여 투입구(43)에 도어(45)를 고정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자기력을 통해 도어(45)가 투입구(43)를 폐쇄하도록 도어락(9)을 구성하면, 도어(45)와 투입구(43)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가능하므로 제1처리장치(L)의 작동 시 도어(45)가 투입구(43)에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의 최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제1처리장치(L)의 작동 시 터브(4)에 발생된 진동에 의해 도어(45)와 투입구(43)가 충돌하는 것을 최소화한다면, 제1처리장치(L)의 작동 시 도어(45)가 투입구(43)를 개방하는 문제도 함께 해결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를 구현하는 도어락(9)은 상기 도어(45)에 구비되어 임의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작동부(93), 상기 작동부가 제1위치에 있으면 상기 작동부(93)에 인력(attractive force)을 제공하여 상기 도어(45)를 터브(4)에 고정시키는 고정부(9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91)는 터브(4)에 고정되는 자석(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93)는 상기 도어(45)의 바디 수용부(451)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바디(931) 및 상기 바디(931)에 고정되는 자성체(935, magnetic substance)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자성체(935)가 고정부(91)를 마주보게 되는 위치를 의미하며(도 3 (a)),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자성체(935)가 고정부(91)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를 의미한다(도 3 (b)).
상기 바디 수용부(451) 내부에는 상기 바디(931)를 제1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지지부(933)가 구비되는데, 상기 바디지지부(933)는 스프링이 일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931)에 외력이 입력되지 않는 한 상기 자성체(935)는 상기 바디지지부(933)에 의해 제1위치에 있게 되며, 사용자가 자성체(935)를 고정부(9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을 상기 바디(931)에 입력하면 상기 자성체(935)는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자성체(935)가 제1위치에 있으면 고정부(91)와 자성체(935)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므로 도어(45)는 투입구(43)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자성체(935)가 제2위치에 있으면 고정부(91)와 자성체(935)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도어(45)는 투입구(43)를 개방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바디(931)에는 상기 자성체(935)가 제2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91)와 마주보게 되는 비자성체(93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91)의 자기력이 강할 경우, 상기 자성체(935)가 제2위치로 이동했음에도 상기 도어(45)가 투입구(43)를 개방하는데 많은 외력이 요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바디(931)는 도어의 너비방향(X), 도어의 높이방향(Z) 및 도어의 두께방향(Y)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바디 수용부(451)는 도어의 너비방향(X), 도어의 높이방향(Z) 및 도어의 두께방향(Y)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도어(45)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 구비되는 도어락(9)은 상기 자석은 상기 바디(931)에 고정되고, 상기 자성체(935) 및 비자성체(937)는 상기 터브(4)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 도어락(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9)의 고정부(91)는 터브(4)에 고정된 제1자석(911) 및 제2자석(913)으로 구비되고, 작동부(93)는 제1자성체(9351) 및 제2자성체(9353)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상기 바디(931)가 제1위치(도 4)에 있으면, 상기 제1자성체(9351)는 제1자석(911)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제2자성체(9353)는 제2자석(913)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구비된 작동부(93)는 상기 바디(931)가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자석(911)과 제2자석(9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하는 비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9351)와 제2자성체(9353)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931)가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비자성체(9373)는 제2자석(913)과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비자성체는 상기 바디(931)가 제2위치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자석(911)과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바디(931)에 고정된 제1비자성체(9371), 상기 바디(931)가 제2위치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2자석(913)과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바디(931)에 고정된 제2비자성체(9373)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역시 제1자석과 제2자석은 상기 바디(931)에 고정되고, 상기 제1자성체(9351), 제2자성체(9353), 제1비자성체(9371), 제2비자성체(9373)는 터브(4)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락(9)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9)은 바디(931)가 제2위치에 있을 때 도어(45)가 고정부(91)와 작동부(93) 사이의 척력(repulsive force)에 의해 투입구(43)에서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작동부(93)는 도어의 바디 수용부(451) 내부에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바디(931) 및 상기 바디(931)에 고정된 작동부 자석(939)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91)는 상기 터브(4)에 구비되되 상기 바디(931)가 제1위치에 있으면 상기 작동부 자석(939)에 인력을 제공하는 고정부 제1자석(911) 및 상기 바디(931)가 제2위치에 있으면 상기 작동부 자석(939)에 척력을 제공하는 고정부 제2자석(9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93)에는 상기 바디(931)를 제1위치로 가압하는 바디지지부(9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 제1자석(911)은 상기 작동부 자석(939)과 서로 다른 자기극이 마주보도록 상기 터브(4)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 제2자석(913)은 상기 작동부 자석(939)과 동일한 자기극이 마주보도록 상기 터브(4)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931)가 제1위치에 있으면 작동부 자석(939)과 고정부 제1자석(911) 사이의 인력에 의해 도어(45)는 투입구(43)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바디(931)가 제2위치로 이동하면 작동부 자석(939)과 고정부 제2자석(913) 사이의 척력에 의해 도어(45)에 외력이 입력되지 않아도 도어(45)는 투입구(43)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어락(9)은 제1처리장치(L)에 구비된 도어(45)를 터브(4)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설명되었지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어락(9)의 구조는 제2처리장치의 도어(11)를 제2처리장치 캐비닛(1)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처리장치(T)에는 제2처리장치 도어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장치 도어락은 상기 제2처리장치 도어(11)에 구비되는 작동부(93)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캐비닛(1)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의 위치에 따라 제2처리장치 도어(11)를 제2처리장치 캐비닛(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부가 제1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처리장치 도어(11)는 상기 작동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2처리장치 투입구(15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작동부가 제2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처리장치 도어(11)는 상기 제2처리장치 투입구(151)를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L: 제1처리장치 2: 캐비닛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3: 드로워 패널
35: 드로워 커버 351: 관통홀 4: 터브
41: 터브지지부 43: 투입구 45: 도어
451: 바디 수용부 5: 드럼 53: 구동축
6: 구동부 7: 급수부 8: 배수부
9: 도어락 91: 고정부 93: 작동부
931: 바디 933: 바디지지부 935: 자성체
937: 비자성체 T: 제2처리장치

Claims (13)

  1.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자성체,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비자성체를 포함하는 작동부; 및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인력(attractive force)을 통해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투입구에 고정시키고, 상기 바디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를 상기 투입구에서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가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고, 상기 바디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비자성체가 상기 자석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 상기 도어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도어의 두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바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의 바디 수용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바디를 상기 제1 위치로 가압하는 바디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지지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자성체와 마주보는 제1자석 및 상기 바디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자성체와 마주보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석 또는 상기 제2자석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드로워의 외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부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28984A 2015-03-02 2015-03-02 의류처리장치 Active KR102316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84A KR102316088B1 (ko) 2015-03-02 2015-03-02 의류처리장치
US15/547,893 US10119220B2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6226778A AU2016226778B2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2012 WO2016140484A1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6759120.5A EP3265599B1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84A KR102316088B1 (ko) 2015-03-02 2015-03-0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295A KR20160106295A (ko) 2016-09-12
KR102316088B1 true KR102316088B1 (ko) 2021-10-25

Family

ID=5684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984A Active KR102316088B1 (ko) 2015-03-02 2015-03-0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19220B2 (ko)
EP (1) EP3265599B1 (ko)
KR (1) KR102316088B1 (ko)
AU (1) AU2016226778B2 (ko)
WO (1) WO2016140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088B1 (ko) * 2015-03-02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079279A (ko) 2017-12-27 2019-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7B1 (ko) * 2018-12-07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680359B2 (en) * 2019-12-12 2023-06-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tub with a closure
EP4155448A4 (en) * 2020-05-18 2024-05-29 LG Electronics Inc. GARMENT PROCESSING DEVICE
KR20220049769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768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2232965A1 (en) * 2021-05-04 2022-1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gnetic lock-release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52B1 (ko) * 2006-05-29 2007-09-20 홍순업 도어의 개폐장치
US20110265524A1 (en) * 2010-04-30 2011-11-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8576A (en) * 1968-02-27 1969-09-23 Ford Motor Co Magnetic latch
KR19990037510U (ko) 1998-03-07 1999-10-05 김인규 도어개폐장치
JP3967600B2 (ja) 2002-01-31 2007-08-29 日本建鐵株式会社 洗濯機の蓋ロック装置
KR101139445B1 (ko) 2004-06-01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7775567B2 (en) * 2005-12-13 2010-08-17 Apple Inc. Magnetic latching mechanism
AU2007272165B2 (en) * 2006-07-12 2012-10-04 Fidlock Gmbh Mechanic-magnetic connecting structure
TWM307183U (en) * 2006-09-12 2007-03-01 Jarllytec Co Ltd Magnetic switch with automatic unlocking function
KR101467752B1 (ko) * 2007-11-2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063013B1 (en) * 2007-11-21 2013-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490184B1 (ko) * 2008-06-23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14158B1 (ko) 2009-04-03 2016-04-2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742991B1 (ko) * 2009-05-11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1708679B1 (ko) 2009-09-14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708634B1 (ko) 2009-10-20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8672428B2 (en) * 2011-10-24 2014-03-18 Go!Foton Holdings, Inc. Housing for optical elements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347247B2 (en) * 2013-10-30 2016-05-24 General Electric Company Latch assembly
KR102255385B1 (ko) * 2014-05-30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8B1 (ko) * 2015-03-02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21649B1 (ko) * 2015-06-30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U2017203834B2 (en) * 2016-06-08 2019-10-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52B1 (ko) * 2006-05-29 2007-09-20 홍순업 도어의 개폐장치
US20110265524A1 (en) * 2010-04-30 2011-11-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26778A1 (en) 2017-08-17
US20180023241A1 (en) 2018-01-25
EP3265599B1 (en) 2019-08-28
AU2016226778B2 (en) 2018-08-30
EP3265599A4 (en) 2018-10-17
US10119220B2 (en) 2018-11-06
KR20160106295A (ko) 2016-09-12
WO2016140484A1 (en) 2016-09-09
EP3265599A1 (en)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08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6657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1B1 (ko) 의류처리장치
US1012544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awer locking unit
KR20210096017A (ko) 의류처리장치
JP6185008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36265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67329B1 (ko)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46411A (ko) 의류처리장치
AU2017205824B2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KR2017008193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751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7676A (ko) 의류처리장치
EP3265600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48265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16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524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786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130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38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3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