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941B1 -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5941B1 KR102315941B1 KR1020210006578A KR20210006578A KR102315941B1 KR 102315941 B1 KR102315941 B1 KR 102315941B1 KR 1020210006578 A KR1020210006578 A KR 1020210006578A KR 20210006578 A KR20210006578 A KR 20210006578A KR 102315941 B1 KR102315941 B1 KR 102315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locking element
- unit
- lever
-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2—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welding, soldering, or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 B65B13/322—Friction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 B65B13/187—Motor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바디어셈블리;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제1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피드휠부와, 상기 피드휠부 주위에 배치되어 제2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클램프부를 통해 플라스틱 밴드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모듈; 제2모터와 제3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모듈을 통해 인장력이 부여된 플라스틱 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용접모듈;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축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걸림요소와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고정 배치되는 제2걸림요소로 이루어지는 걸림부; 및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제1걸림요소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면서 오픈모드로 전환되는 레버유닛;을 포함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를 제공한다.body assembly; The plastic band is partially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and includes a first motor, a feed wheel portion rotated about a first axis by the first motor, and a clamp portion disposed around the feed wheel portion and rotated about a second axis. a tensile module that provides a tensile force to the; a welding module including a second motor and a third motor, the welding module providing frictional force to the plastic band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tensile module; a locking part comprising a first locking element rotatably disposed on the body assembly and a second locking element fixedly disposed on the body assembly; and a lever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and switched to an open mode while being caught by the first locking element when a pulling operation is applied by the user. Packaging tools ar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 밴드를 사용하여 물품 등 포장할 때 사용하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for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l for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used when packaging an article using a plastic band.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는 휴대 가능한 툴(tool)의 형태로 플라스틱 밴드를 통해 상자 등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포장은 먼저 물품을 플라스틱 밴드로 루프가 만들어지도록 감싼 후, 자동 포장용 공구를 통해 루프에 일정한 크기의 텐션이 발생될 때까지 플라스틱 밴드를 당기는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2겹으로 겹쳐진 부분의 플라스틱 밴드를 접합하는 후속 과정을 진행한다. 여기서, 접합은 대개 플라스틱 밴드를 가압한 상태에서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을 이용한다. 그로 인해, 국부적 용융 상태가 되는 플라스틱 밴드에는 동종 재질 간의 견고한 접합이 발생된다. 그 다음, 접합 부위에 냉각이 이루어지면, 견고한 루프가 형성된다.The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is used for packaging items such as boxes through a plastic band in the form of a portable tool. In packaging, the product is first wrapped with a plastic band to make a loop, and then the plastic band is pulled through an automatic packing tool until a certain amount of tension is generated in the loop. Then, proceed with the subsequent process of bonding the plastic band of the two-layered overlapping part. Here, the bonding usually uses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vibration while the plastic band is pressed. As a result, a strong bond between homogeneous materials is generated in the plastic band that is in a locally molten state. Then, when the joint is cooled, a rigid loop is formed.
종래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는 스트래핑의 첫 단계인 플라스틱 밴드의 장착 과정에서 클램프가 피드휠에서 일정 간격 벌어진 상태가 계속 유지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상의 불편을 초래하였고, 작업이 장시간 지속되면 작업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되었다.Conventional tools for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have the inconvenience of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clamp is spaced apart from the feed whee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ur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plastic band, which is the first step of strapping. This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operation, and when the operation continues for a long time, it becomes a problem of lowering the operation convenience.
또한, 종래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는 대개 긴 원통형 BLDC 모터 1개를 배치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용접 과정에서 고진동이 각기 다른 장치에도 전달되는 바, 내부 부품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되었다. 또한, 긴 원통형 BLDC 모터는 부품의 배치 구조에 제한을 가해 전체적인 무게 배분에 불균형을 이루어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불편함이 제기되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strapping and packaging tools are usually used in a way to place and control one long cylindrical BLDC motor. This has become a problem in that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high vibration is transmitted to different devices during the welding process, which adversely affects the durability of the internal parts. In addition, the long cylindrical BLDC motor imposes restrictions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rts, resulting in an imbalance in the overall weight distribution, raising inconvenience in terms of ease of u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픈모드와 클로우즈모드를 갖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간이한 동작으로 각 모드 사이의 전환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오픈모드에서 클램프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tool for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having an open mode and a closed mode. In addition, we want to implement a structure in which switching between each mode is possible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clamp can be stably fixed in the open mode.
또한, 종래 모터를 새로운 종류로 대체하고, 각 모듈에 전용모터를 배치하는 새로운 설계로 인해 종래의 복잡한 구조를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무게의 편중화 현상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complex structure by replacing the conventional motor with a new type and due to a new design in which a dedicated motor is disposed in each module.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weight bias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바디어셈블리;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제1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피드휠부와, 상기 피드휠부 주위에 배치되어 제2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클램프부를 통해 플라스틱 밴드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모듈; 제2모터와 제3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모듈을 통해 인장력이 부여된 플라스틱 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용접모듈;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축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걸림요소와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고정 배치되는 제2걸림요소로 이루어지는 걸림부; 및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제1걸림요소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면서 오픈모드로 전환되는 레버유닛;을 포함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ody assembly; The plastic band is partially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and through a first motor, a feed wheel portion rotated about a first axis by the first motor, and a clamp portion disposed around the feed wheel portion and rotated about a second axis a tensile module that provides a tensile force to the; a welding module including a second motor and a third motor, the welding module providing frictional force to the plastic band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tensile module; a locking part comprising a first locking element rotatably disposed on the body assembly and a second locking element fixedly disposed on the body assembly; and a lever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and switched to an open mode while being caught by the first locking element when a pulling operation is applied by the user. Packaging tools are provided.
상기 레버유닛이 오픈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피드휠부 주위에서 축 회동하여 오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lever unit to the open mode, the clamp portion is preferably opened by pivoting around the feed wheel portion.
상기 레버유닛은,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에 축 회동 가능하게 축홀이 형성되는 레버바디; 상기 레버바디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걸림편; 및 상기 레버바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유닛이 오픈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걸림요소에서 걸림 해제되는 연장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ver unit includes a lever body having a handle formed on one end and a shaft hole formed on the other end to enable rotation of the shaft; a first locking piec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ever body and having a locking jaw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n extended lock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and released from the second locking element when the lever unit is switched to the open mode.
상기 인장모듈은 상기 피드휠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일부에 제1톱니가 형성되고, 다른 일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편이 형성되는 환형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ension module further includes an annular ring part coupled to the feed wheel par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a first serration is formed on a part, and a protruding piece formed on the other part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레버유닛과 상기 인장모듈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레버축의 단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톱니와 치합되는 제2톱니가 형성되는 연결편;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onnecting piec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end of the lever shaft and the other end formed with second teeth engaged with the first teeth is disposed between the lever unit and the tension module.
상기 제1걸림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걸림요소가 축 회동되도록 상기 제1걸림요소에 결합되는 누름버튼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locking element includes a push button bar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element so that the first locking element is pressed by the user to pivot the first locking element.
상기 제1걸림요소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걸림요소의 외주면에는 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ocking element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element.
상기 용접모듈은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2모터에서 발생되는 제2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여 상기 인장모듈을 통해 인장력이 부여된 플라스틱 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제공유닛; 및 일단이 상기 마찰제공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3모터에서 발생되는 제3동력에 의해 링크 운동하여 상기 마찰제공유닛에 대한 상하 방향의 운동을 제공하고,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축 회동에 따른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lding module is disposed on the body assembly, the fric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frictional force to the plastic band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tensile module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second power generated from the second motor;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friction providing unit, a link movement by the third power generated from the third motor to provide a vertical motion to the friction providing uni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haft rotation of the friction providing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opening/closing unit that opens and closes with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when exhibiting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는 사용자의 간이한 동작을 통해 클램프에 대한 오픈모드와 클로우즈모드 사이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witched between the open mode and the closed mode for the clamp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는 오픈모드와 클로우즈모드를 갖는다. 또한, 사용자의 간이한 동작으로 각 모드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오픈모드에서 클램프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n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mode and a closed mo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each mode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clamp can be stably fixed in the open mode.
또한, 종래 모터를 새로운 종류로 대체하면서, 각 모듈에 전용모터를 배치하는 새로운 설계로 인해 종래의 복잡한 구조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무게의 편중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ile replacing the conventional motor with a new typ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conventional complex structure due to the new design in which a dedicated motor is disposed in each modu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unbalance of weight,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레버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용접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걸림부와 레버유닛의 작동에 의해 클램프부가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의 과정에서 클램프부의 회동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viewed from abov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r unit of Figure 1;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lding module of Figure 1;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lamp portion is fixed by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ortion and the lever unit of Figure 1;
7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clamp unit in the process of FIG.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related known func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는 바디어셈블리(100), 인장모듈(200), 용접모듈(300), 걸림부(400), 레버유닛(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1 to 3 , the tool for automatic strapping and packaging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자동 스프래핑 포장용 공구는 물품을 감싸도록 포장용 플라스틱 밴드를 배치한 후, 인장모듈(200)을 통해 플라스틱 밴드에 일정한 크기의 인장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자동 스프래핑 포장용 공구는 플라스틱 밴드가 용접모듈(300)을 통해 가압된 상태에서 진동에 의한 마찰열을 제공받아 2겹으로 겹쳐진 부분이 국부적으로 용융되어 접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플라스틱 밴드는 PP 또는 PET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 arranging the plastic band for packaging so as to wrap the article, the automatic scraping packaging tool applies a tensile force of a certain size to the plastic band through the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어셈블리(100)는 본체 하우징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어셈블리(100)는 내부 부품 예를 들어, 인장모듈(200)이 본체 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바디어셈블리(100)는 걸림부(400) 등이 설치되어 본 용도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바디어셈블리(100)는 그 이외에도 내부 부품 사이의 유기적 결합 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한 원활한 기능의 구현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설계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인장모듈(200)은 바디어셈블리(100)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제1모터(210)와, 제1모터(210)에 의해 제1축(a1)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피드휠부(220)와, 피드휠부(220) 주위에 배치되어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클램프부(230)를 통해 플라스틱 밴드에 인장력을 제공한다. 인장모듈(200)은 제1모터(2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플라스틱 밴드의 일단을 감아 당긴다. 인장모듈(200)은 플라스틱 밴드를 당기는 동작으로 스트래핑 과정에서 플라스틱 밴드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인장모듈(200)은 내부 중앙에 배치되며 축 회동하는 제1축(a1)과, 제1축(a1)의 외주연에 배치되며 제1축(a1)과 치합되어 감속 회동되는 기어 어셈블리인 웜기어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장모듈(200)은 웜기어유닛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며, 플라스틱 밴드를 가압에 의한 마찰력으로 감아 당기는 피드휠부(22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휠부(220)는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는 널링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모터(210)는 인장모듈(200) 내에서 후방에 배치된다. 제1모터(210)의 제1구동축은 제1축(a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구동축에는 회전력을 제1축(a1)에 전달하는 평기어가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제1모터(210)에서 발생되는 제1동력은 제1구동축, 제1축(a1), 웜기어유닛을 거쳐 피드휠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The
한편, 인장모듈(200)은 피드휠부(220)에 결합되어 제1축(a1)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일부에 제1톱니(241)가 형성되고, 다른 일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편(242)이 형성되는 환형고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형고리부(240)는 링 형상이며, 피드휠부(220)에 결합되면 연결편(610)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왕복 회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클램프부(230)는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이며,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클램프부(230)에는 널링부에 대응하여 곡면널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부(230)의 말단에는 돌출편(242)이 수용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클램프부(230)는 환형고리부(240)에 의한 회동에 종속되어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레버유닛(500)에 사용자의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클램프부(230)는 피드휠부(220)에서 벌어지고, 이 때 그 사이로 플라스틱 밴드가 끼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당김 동작이 해제되어 레버유닛(500)이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면, 클램프부(230)는 피드휠부(220)에 근접하게 된다.The
도 4는 도 1의 레버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용접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용접모듈(300)은 제2모터(311)와 제3모터(351)를 포함하며, 인장모듈(200)을 통해 인장력이 부여된 플라스틱 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는 제1모터(210) 내지 제3모터(35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모터(210) 내지 제3모터(351)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회전속도, 회전시간 등이 제어된다. 제1모터(210) 내지 제3모터(35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또는 내부 밧데리 등의 전력원)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r unit of FIG. 1 ,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lding module of FIG. 1 . The
용접모듈(300)은 인장모듈(200)의 일측에 배치되며, 마찰열을 제공하여 2겹으로 배치되는 플라스틱 밴드를 접합시킨다. 한편, 용접모듈(300)을 구성하는 유닛, 부품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전부 또는 일부가 전술한 거치요소를 통해 설치, 거치, 고정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용접모듈(300)은 바디어셈블리(100)에 배치되며, 제2모터(311)에서 발생되는 제2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여 인장모듈(200)을 통해 인장력이 부여된 플라스틱 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제공유닛(310)과, 일단이 마찰제공유닛(310)에 결합되며, 제3모터(351)에서 발생되는 제3동력에 의해 링크 운동하여 마찰제공유닛(31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운동을 제공하고, 마찰제공유닛(310)을 축 회동에 따른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제1모터(210) 내지 제3모터(351)는 각 모듈에 배치되는 바, 인장모듈(200)과 용접모듈(300)은 모듈 단위로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1모터(210) 내지 제3모터(351)는 각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의 무게를 용이하게 배분할 수 있다. 이는, 종래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의 내부 배치 구조와 차별화되는 부분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에 가해지는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장시간 포장 작업을 하더라도 손목 관절 등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제2모터(311)의 제2구동축에는 베벨기어가 결합된다. 한편, 제2모터(311)의 배치 방향으로 인해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모듈(300)은 제2모터(311)와 마찰제공유닛(310) 사이에 배치되어 제2동력을 전달시키는 스퍼기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퍼기어부(330)는 1) 외주면에 베벨기어와 평기어가 각각 결합되며, 베벨기어에 의해 제2구동축과 수직하게 치합되는 제1연결축과, 2) 제1연결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연결축의 평기어와 치합되는 평기어가 결합되어 제1연결축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제2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A bevel gear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e shaft of the
마찰제공유닛(310)은 제2모터(311), 제2종동축(321), 내측그립퍼부(323), 외측그립퍼부(326), 하측그립퍼부(3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종동축(321)은 제2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외주면에는 제2편심요소(322)가 형성된다. 한편, 제2종동축(321)의 일단에는 스퍼기어부(330)와 치합되는 평기어가 결합되어 있다.The friction providing unit 310 may include a
내측그립퍼부(323)는 일단에 형성되는 반고리편(324)이 제2종동축(321)에 거치되어, 제2종동축(321)의 축 회동에 따른 캠 동작에 의해 직선 왕복 슬라이딩 운동하며, 양 측면에 가이드돌기(325)가 형성된다. 내측그립퍼부(323)는 개폐유닛(350)에 의해 하강되며, 제2모터(311)에 의한 제2동력에 의해 일정 스트로크 이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한다. 즉, 내측그립퍼부(323)는 진동을 한다. 한편, 내측그립퍼부(323)의 하면에는 널링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널링플레이트는 가로 또는 경사 방향의 홈이 일정 패턴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다.The
외측그립퍼부(326)는 일단이 제2종동축(321)에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그립퍼부(323)가 수용되어 인입출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외측그립퍼부(326)는 내측면에 가이드돌기(325)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돌기홈(327) 및 상면 일부가 개구되어, 커넥팅로드부(356)의 단부가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홀(3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측그립퍼부(329)는 내측그립퍼부(323)의 하측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하측그립퍼부(329)의 상면에도 널링플레이트가 형성된다.One end of the
한편, 제2모터(311)에서 발생하는 제2동력은 제2구동축, 스퍼기어부(330), 제2종동축(321)을 거쳐 최종적으로 내측그립퍼부(323)로 전달된다. 한편, 용접모듈(300)은 개폐유닛(350)의 하강 동작에 따라 이와 연동 하강하여 플라스틱 밴드를 절단시키는 커팅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power generated from the
개폐유닛(350)은 마찰제공유닛(3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3동력이 전달되면 마찰제공유닛(31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운동을 제공하여 마찰제공유닛(310)을 축 회동에 따른 동작으로 개폐시킨다. 개폐유닛(350)은 제3모터(351), 편심구동축(352), 링크부(354), 커넥팅로드부(356), 탄성부재(358), 개폐유닛거치요소(35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심구동축(352)은 제3모터(351)의 타단에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된다.The opening/closing unit 35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iction providing unit 310 and when the third power is transmitted, it provides vertical motion to the friction providing unit 310 to cause the friction providing unit 310 to operat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shaft. open and close with The opening/closing unit 350 may include a
개폐유닛(350)은 상단에 배치되는 편심구동축(352)이 회동하면, 커넥팅로드부(356)가 하강 동작하며 마찰제공유닛(310)이 커넥팅로드부(356)에 의해 가압된다. 이 때, 내측그립퍼부(323)와 하측그립퍼부(329) 사이에 2겹으로 배치되는 플라스틱 밴드는 가압된다.When the
편심구동축(352)의 단부에는 링크부(354)의 일단이 결합된다. 링크부(354)는 편심구동축(352)의 축 회동에 따라 캠 운동한다. 커넥팅로드부(356)는 일단이 링크부(354)에 결합되고 타단이 마찰제공유닛(310)에 결합되어 편심구동축(352)의 회동에 따라 마찰제공유닛(310)을 승하강시킨다. 또한, 커넥팅로드부(356)의 외주면에는 마찰제공유닛(31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탄성부재(358)가 배치될 수 있다. 제3모터(351)에서 발생하는 제3동력은 편심구동축(352), 링크부(354), 커넥팅로드부(356)를 거쳐 최종적으로 마찰제공유닛(310)으로 전달된다.One end of the
걸림부(400)는 바디어셈블리(100)에 축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걸림요소(410)와 바디어셈블리(100)에 고정 배치되는 제2걸림요소(42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걸림요소(410)는 원통 형상이며, 제1걸림요소(410)의 외주면에는 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또한, 제1걸림요소(41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제1걸림요소(410)가 축 회동되도록 제1걸림요소(410)에 결합되는 누름버튼바(4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요소(410)는 누름버튼바(411)가 가압되면, 축 회동되는 방향으로 압축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제2걸림요소(420)는 바디어셈블리(100)에 고정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걸림요소(420)는 원통 형상이며, 제2걸림요소(420)의 외주면에는 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제2걸림요소(420)는 제1걸림요소(410)와 동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The
레버유닛(500)은 바디어셈블리(100)에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제1걸림요소(410)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면서 오픈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레버유닛(500)이 오픈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클램프부(230)는 피드휠부(220) 주위에서 축 회동하여 오픈된다. 오픈모드에서 제1걸림편(520)의 걸림턱은 제1걸림요소(410)에 걸려 레버바디(510)는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 때, 레버축(531) 역시 동일 각도만큼 회동하게 되며 이는 연결편(610)을 통해 환형고리부(240)를 회동시킨다. 그 결과, 클램프부(230)는 피드휠부(220)에서 벌어지고 그 상태에서 고정되어 오픈된다.The
구체적으로, 레버유닛(500)은 레버바디(510), 제1걸림편(520), 연장걸림부재(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바디(510)는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에 축 회동 가능하게 축홀(511)이 형성된다. 또한, 레버바디(510)에는 코일스프링이 배치된다. 레버바디(510)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으로 일정 각도 회동하고, 그 상태에서 당김이 해제되면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1걸림편(520)은 레버바디(5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연장걸림부재(530)는 레버바디(510)의 타단에 결합되어 레버유닛(500)이 오픈모드로 전환되면 제2걸림요소(420)에서 걸림 해제된다. 반대로 오픈모드에서 클로우즈모드로 전환되면, 연장걸림부재(530)는 제2걸림요소(420)에 걸림 결합된다. 연장걸림부재(530)는 레버바디(510)의 회동에 연동하여 동일한 각도만큼 회동한다. 연장걸림부재(530)는 부재바디와, 부재바디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축홀(511)에 관통 결합되는 레버축(531)과, 부재바디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걸림편(5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레버유닛(500)과 인장모듈(200) 사이에는 일단이 레버축(531)의 단부에 결합되며, 타단이 제1톱니(241)와 치합되는 제2톱니가 형성되는 연결편(610)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편(610)은 레버축(531)의 회동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회동하게 된다. 연결편(610)이 회동하면 이와 치합되는 환형고리부(240)도 회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도 6은 도 1의 걸림부와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클램프부가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과정에서 클램프부의 회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레버유닛(500)은 제2걸림편(532)이 제2걸림요소(420)에 걸림되어 있다. 이 때, 클램프부(230)는 도 7(b)와 같이 피드휠부(220)에 근접(또는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를 클로우즈모드라고 한다. 먼저, 스트래핑을 위해 플라스틱 밴드는 인장모듈(200)에 삽입되는 과정을 갖는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누름버튼바(411)를 가압하여 제1걸림요소(410)가 일정 각도 회동되도록 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레버바디(510)에 당김 동작을 제공하여 제1걸림편(520)의 단부 즉, 걸림턱이 제1걸림요소(410)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FIG.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lamp part is fixed by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art and the lever part of FIG. 1 ,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clamp part in the process of FIG. 6 . In FIG. 6( a ), the
이 때, 사용자가 레버바디(510)에 대한 당김 동작을 해제하더라도, 레버바디(510)는 걸림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레버바디(510)의 당김 동작과 연동하여 연장걸림부재(530)가 회동하고 그 결과, 제2걸림편(532)은 제2걸림요소(420)에서 걸림 해제된다.At this time,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pulling operation for the
또한, 레버바디(510)의 당김 동작과 연동하여 클램프부(230)는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도 7(a)와 같이 클램프부(230)는 피드휠부(220)에서 벌어지면서 멀어지고, 클램프부(230)는 그 상태에서 고정된다. 즉, 클로우즈모드에서 오픈모드로 전환된다. 이 때, 인장모듈(200)에 플라스틱 밴드를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편(610)은 이와 치합되는 환형고리부(240)를 회동시키고, 환형고리부(240)는 돌출편(242)을 통해 클램프부(230)를 회동시킨다.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한편, 오픈모드에서 다시 클로우즈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자는 제1걸림편(520)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 때, 제1걸림요소(410)는 일정 각도 회동하고, 레버유닛(500)은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그 과정에서 연결편(610)은 환형고리부(24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결과, 클램프부(230)는 피드휠부(220)에 근접(또는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witch from the open mode back to the closed mode, the user presses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모듈(200)과 용접모듈(300)은 모듈 단위로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구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인장모듈(200)과 용접모듈(300)은 서로 완전하게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이는,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The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에 의한 스트랩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플라스틱 밴드는 제1모터(210)에서 발생되는 제1동력으로 인해 미리 설정된 크기의 인장력을 제공받는다. 이를 통해, 인장력 제공 단계가 종료된다. 그 다음, 용접을 위해 용접모듈(300)이 작동된다. 용접 단계는 개폐유닛(350)의 작동으로 시작된다. 이는, 제3모터(351)에 의한 제3동력에 의해 커넥팅로드부(356)가 하강 동작하면, 오픈 상태에 있던 마찰제공유닛(310)을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킨다. 그 다음, 마찰제공유닛(310)이 제2모터(311)에 의한 제2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여 인장모듈(200)을 통해 부여된 플라스틱 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내측그립퍼부(323)와 하측그립퍼부(329) 사이에 2겹으로 겹쳐진 상태의 플라스틱 밴드는 국부적으로 용융되면서 접합된다.The strapping process by the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is as follows. First, the plastic band is provided with a tensile force of a preset size due to the first power generated by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100: 바디어셈블리 200: 인장모듈
300: 용접모듈 400: 걸림부
500: 레버유닛
210: 제1모터 220: 피드휠부
230: 클램프부 232: 널링플레이트
240: 환형고리부 241: 제1톱니
242: 돌출편
310: 마찰제공유닛 311: 제2모터
321: 제2종동축 322: 제2편심요소
323: 내측그립퍼부 324: 반고리편
325: 가이드돌기 326: 외측그립퍼부
327: 돌기홈 328: 체결홀
329: 하측그립퍼부 330: 스퍼기어부
350: 개폐유닛 351: 제3모터
352: 편심구동축 354: 링크부
356: 커넥팅로드부 358: 탄성부재
359: 개폐유닛거치요소
410: 제1걸림요소 420: 제2걸림요소
411: 누름버튼바
510: 레버바디 511: 축홀
520: 제1걸림편 530: 연장걸림부재
531: 레버축 532: 제2걸림편
610: 연결편100: body assembly 200: tension module
300: welding module 400: engaging part
500: lever unit
210: first motor 220: feed wheel part
230: clamp portion 232: knurled plate
240: annular ring portion 241: first tooth
242: protrusion
310: friction providing unit 311: second motor
321: second driven shaft 322: second eccentric element
323: inner gripper portion 324: half-ring piece
325: guide projection 326: outer gripper part
327: protrusion groove 328: fastening hole
329: lower gripper portion 330: spur gear portion
350: opening/closing unit 351: third motor
352: eccentric drive shaft 354: link portion
356: connecting rod 358: elastic member
359: opening and closing unit mounting element
410: first engaging element 420: second engaging element
411: push button bar
510: lever body 511: shaft hole
520: first engaging piece 530: extension engaging member
531: lever shaft 532: second engaging piece
610: connecting piece
Claims (8)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제1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피드휠부와, 상기 피드휠부의 주위에 배치되어 제2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클램프부를 통해 플라스틱 밴드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모듈;
제2모터와 제3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모듈을 통해 인장력이 부여된 플라스틱 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용접모듈;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축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걸림요소와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고정 배치되는 제2걸림요소로 이루어지는 걸림부; 및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제1걸림요소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면서 오픈모드로 전환되는 레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모듈은 상기 피드휠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일부에 제1톱니가 형성되고, 다른 일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편이 형성되는 환형고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환형고리부에 의한 회동에 종속되어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body assembly;
Plastic through a first motor, a feed wheel part that is partially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and rotates about a first axis by the first motor, and a clamp part that is disposed around the feed wheel part and rotates about a second axis a tension module that provides tension to the band;
a welding module including a second motor and a third motor, the welding module providing frictional force to the plastic band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tensile module;
a locking part comprising a first locking element axially rotatably disposed on the body assembly and a second locking element fixedly disposed on the body assembly; and
A lever uni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and is switched to an open mode while being caught by the first locking element when a pulling operation is applied by the user, and the position is fixed.
The tension module further includes an annular ring part coupled to the feed wheel part and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a first toothed part is formed in a part, and a radially protruding piece is formed in the other part,
The clamp portion is subject to rotation by the annular ring portion and is an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상기 레버유닛이 오픈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피드휠부의 주위에서 축 회동하여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According to claim 1,
An automatic strapping and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lever unit to the open mode, the clamp portion is opened by pivoting around the feed wheel portion.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에 축 회동 가능하게 축홀이 형성되는 레버바디;
상기 레버바디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걸림편; 및
상기 레버바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유닛이 오픈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걸림요소에서 걸림 해제되는 연장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r unit,
a lever body having a handle formed on one end and a shaft hole formed on the other end to enable rotation of the shaft;
a first locking piece extending outward from the lever body and having a locking jaw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n automatic strapping and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comprising a; an extension lock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and released from the second locking element when the lever unit is switched to an open mode.
상기 레버유닛과 상기 인장모듈 사이에는
일단이 레버축의 단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톱니와 치합되는 제2톱니가 형성되는 연결편;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lever unit and the tension module
An automatic strapping and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lever shaft,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second teeth meshed with the first teeth.
상기 제1걸림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걸림요소가 축 회동되도록 상기 제1걸림요소에 결합되는 누름버튼바;를 포함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ocking element is pressed by the user and the push button bar is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element so that the first locking element is pivotally rotated.
상기 제1걸림요소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걸림요소의 외주면에는 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ocking element has a cylindrical shape,
An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ocking jaws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element.
상기 바디어셈블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2모터에서 발생되는 제2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여 상기 인장모듈을 통해 인장력이 부여된 플라스틱 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제공유닛; 및
일단이 상기 마찰제공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3모터에서 발생되는 제3동력에 의해 링크 운동하여 상기 마찰제공유닛에 대한 상하 방향의 운동을 제공하고, 상기 마찰제공유닛을 축 회동에 따른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lding module is
a friction providing unit disposed in the body assembly and providing frictional force to the plastic band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tensile module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second power generated from the second motor;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friction providing unit, and a link movement is performed by the third power generated from the third motor to provide a vertical motion to the friction providing unit, and the friction providing unit to an operation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shaft. An automatic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a clamp fixing device comprising a opening/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578A KR102315941B1 (en) | 2021-01-18 | 2021-01-18 |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
US17/475,340 US20220227508A1 (en) | 2021-01-18 | 2021-09-15 |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
EP21196922.5A EP4029794B1 (en) | 2021-01-18 | 2021-09-15 |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578A KR102315941B1 (en) | 2021-01-18 | 2021-01-18 |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5941B1 true KR102315941B1 (en) | 2021-10-22 |
Family
ID=7777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6578A Active KR102315941B1 (en) | 2021-01-18 | 2021-01-18 |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27508A1 (en) |
EP (1) | EP4029794B1 (en) |
KR (1) | KR1023159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9914B1 (en) * | 2023-06-27 | 2023-12-29 | 장근철 |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Mounting Ease |
KR102619916B1 (en) * | 2023-06-27 | 2023-12-29 | 장근철 |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74051B2 (en) | 2019-02-15 | 2021-11-16 | Samuel, Son & Co. (Usa) Inc. | Hand held strapping tool |
WO2025064295A1 (en) * | 2023-09-19 | 2025-03-27 |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 Strapping device with a linearly movable tensioning-and-welding plat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0106A (en) * | 1994-06-07 | 1996-01-25 | 최학구 | Sealing device of shank of clothing button |
KR20140125348A (en) * | 2011-12-23 | 2014-10-28 | 프롬 홀딩 아게 | Pneumatically actuated strapping apparatus |
KR101613247B1 (en) | 2008-04-23 | 2016-04-18 |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 Strapping device with a tensioner |
KR101675003B1 (en) | 2008-04-23 | 2016-11-10 |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 Strapping device with a gear system device |
KR20190034662A (en) | 2016-09-18 | 2019-04-02 |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 Strapp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86572A (en) * | 1969-02-20 | 1971-06-22 | Signode Corp | Electrically controlled handtool for friction-fusing nonmetallic strap |
EP0997377B1 (en) * | 1998-10-29 | 2003-09-17 | Orgapack GmbH | Strapping device |
US7556129B2 (en) * | 2005-12-14 | 2009-07-07 | Illinois Tool Works, Inc, | Motor brake |
EP2865601A1 (en) * | 2012-09-24 | 2015-04-29 | S.I.A.T. SOCIETA' INTERNAZIONALE APPLICAZIONI TECNICHE S.p.A. | Mobile strapping device |
IT201900006286A1 (en) * | 2019-04-24 | 2020-10-24 | Itatools S R L | STRAPPING MACHINE |
KR20210006578A (en) | 2019-07-09 | 2021-01-19 | 주식회사 디딤소프트 | Sound retrieval technology of image search system built by deep learning |
-
2021
- 2021-01-18 KR KR1020210006578A patent/KR102315941B1/en active Active
- 2021-09-15 EP EP21196922.5A patent/EP4029794B1/en active Active
- 2021-09-15 US US17/475,340 patent/US20220227508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0106A (en) * | 1994-06-07 | 1996-01-25 | 최학구 | Sealing device of shank of clothing button |
KR101613247B1 (en) | 2008-04-23 | 2016-04-18 |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 Strapping device with a tensioner |
KR101675003B1 (en) | 2008-04-23 | 2016-11-10 |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 Strapping device with a gear system device |
KR20140125348A (en) * | 2011-12-23 | 2014-10-28 | 프롬 홀딩 아게 | Pneumatically actuated strapping apparatus |
KR20190034662A (en) | 2016-09-18 | 2019-04-02 |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 Strapping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9914B1 (en) * | 2023-06-27 | 2023-12-29 | 장근철 |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Mounting Ease |
KR102619916B1 (en) * | 2023-06-27 | 2023-12-29 | 장근철 |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29794A1 (en) | 2022-07-20 |
US20220227508A1 (en) | 2022-07-21 |
EP4029794B1 (en) | 2023-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5941B1 (en) |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 |
KR102315946B1 (en) | Inner module structure of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 |
US11524801B2 (en) | Strapping tool | |
US12351349B2 (en) | Strapping tool | |
KR20030009172A (en) | Strapping machine weld head with vibrating anvil | |
US20250083847A1 (en) | Strapping tool | |
CN113511385B (en) | Welding device | |
WO2025064295A1 (en) | Strapping device with a linearly movable tensioning-and-welding plate | |
US20250162743A1 (en) | Strapping tool with a sealing-cycle-interrupt operating mode | |
US20250136311A1 (en) | Strapping device with movable motor | |
US20250236423A1 (en) | Strapping tool with energy-release feature | |
WO2025075860A1 (en) | Strapping device | |
WO2024081475A1 (en) | Strapping device with motor-driven rocker | |
WO2025034647A1 (en) | Strapping device with a decoupling assembly | |
WO2024263435A1 (en) | Strapping device with eccentric gearing | |
WO2025147556A1 (en) | Strapping tool with resilient member | |
WO2024129416A1 (en) | Strapping device with decoupling-assembly lock | |
WO2025101421A1 (en) | Strapping device operable by a separate powered driving tool | |
WO2025030007A2 (en) | Strapping tool with rocker-position indicator | |
EP4558408A1 (en) | Strapping device with a combined tensioning-and-welding assembly | |
WO2024243300A1 (en) | Strapping device with an evoloid planetary gear set | |
WO2025080471A1 (en) | Strapping device with a combined tensioning-and-welding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7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9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