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92B1 -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5392B1 KR102315392B1 KR1020190060407A KR20190060407A KR102315392B1 KR 102315392 B1 KR102315392 B1 KR 102315392B1 KR 1020190060407 A KR1020190060407 A KR 1020190060407A KR 20190060407 A KR20190060407 A KR 20190060407A KR 102315392 B1 KR102315392 B1 KR 1023153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wcm
- scattering
- constant coefficients
- scatter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WCM(Water Cloud Model)에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시킨 수정된 WCM을 기반으로 산란계수를 생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a scattering coeffici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modified WCM including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in the WCM (Water Cloud Model).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경험적인 모델을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가 고려된 모델로 수정하여 다양한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by modifying an existing empirical model to a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the laying hens for various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s It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that can generate water.
인공적인 타겟을 제외한 육상의 자연계의 대부분은 토양 또는 식생으로 덮여있다. 여기서, 식생이란 지표를 덮고 있는 식물을 말하며, 기온과 강수량에 따라 지역차가 나타난다. Except for man-made targets, most of the natural world on land is covered with soil or vegetation. Here, vegetation refers to plants covering the surface, and regional differences appear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최근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인공위성 및 지상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작물 생육을 모니터링하고, 추정하여 얻어진 작물생육추정모형을 이용하여 작물식생변화를 정량화하여 활용하고 있다.Looking at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crop growth is monitored using satellite and ground radar data, and crop growth estimation models obtained by estimating are used to quantify and utilize changes in crop vegetation.
또한 1970년대 후반 식생에 대한 단순 산란모델인 WCM(Water Cloud Model)이 개발된 이후, 토양, 수분, 기상 등 다양한 인자를 이용한 산란 모델 개발, 마이크로파와 작물 및 토양과의 물리적 상호관계의 이해도를 증가시킨 일반화 모델 개발이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In addition,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Water Cloud Model (WCM), a simple spawning model for vegetation in the late 1970s, the development of spawning models using various factors such as soil, moisture, and weather increased the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relationship between microwaves and crops and soil. The development of a generalized model is actively underway.
마이크로파 산란계는 연속적으로 작물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 시간해상도가 레이더 영상에 비해 훨씬 뛰어나다. 또한 다중편파(full polarization), 다양한 입사각도를 통하여 여러 종류의 밴드 안테나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편파별 작물 생육변화를 시기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Because microwave laying hens can continuously monitor crops, the temporal resolution is much better than that of radar images. In addition, it ha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can monitor crop growth changes by polarization by period by using several types of band antennas simultaneously through full polarization and various angles of incidence.
식생 지역에서는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잎, 줄기, 가지 등 다양한 물체에 의한 산란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토양에 비해 산란 현상이 복잡하고, 더불어 예측하기도 어렵다.In a vegetation area, the scattering phenomenon by various objects such as leaves, stems, and branches that compose the vegetation acts in a complex way, so the scattering phenomenon is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soil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따라서, 식생 지역에서의 마이크로파 산란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물체들에서의 산란 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모델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icrowave scattering characteristics in the vegetation area, a model for more accurately predicting the scattering phenomenon in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is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물체들에서의 산란 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모의 상황에서의 식생의 산란계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providing a model for more accurately predicting the scattering phenomenon in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the scattering coefficient of vegetation in various simulated situations is calcula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that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은 식생에 대한 다양하고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생에 변화를 주는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that enables various and more accurate prediction of vegetation, thereby preparing for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that changes veget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방법은, WCM(Water Cloud Model)에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시킨 수정된 WCM을 기반으로 산란계수를 생성한다.The method of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cattering coefficient based on a modified WCM including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in the WCM (Water Cloud Model). cre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시스템은, WCM(Water Cloud Model)에서 계수를 결정하는 결정부;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하도록 상기 WCM을 수정하여 모델링을 수행하는 모델링부; 및 상기 수정된 WCM을 기반으로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cattering coefficient generation system for the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coefficient in the WCM (Water Cloud Model); a modeling unit for performing modeling by modifying the WCM to include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and a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based on the modified WCM.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물체들에서의 산란 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모의 상황에서의 식생의 산란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odel for more accurately predicting the scattering phenomenon in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scattering coefficient of the vegetation in various simulated situation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에 대한 다양하고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식생에 변화를 주는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that changes vegetation by enabling various and more accurate prediction of veget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식생 지역의 마이크로파 산란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WCM의 산란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의 변화에 따른 WCM 모델의 AV 및 BV 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식생의 수분 함량 의 변화에 따른 WCM 모델의 AV와 BV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수정된 WCM의 상수 계수 a 및 b를 추정하기 위한 회귀분석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된 모델을 기반으로 산란계수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란계수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crowave scattering mechanism in a vegetation area;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cattering mechanism of WCM;
3 is a view showing changes in the AV and BV terms of the WCM model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Figure 4 is the moisture content of vegetation A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AV and BV terms of the WCM model according to the change in
5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for estimating the constant coefficients a and b of the modified WCM;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based on a modified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do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will only b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기존의 경험적 모델이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하도록 수정하여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가 고려된 다양한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scattering coefficients for various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s in which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modifying the existing empirical model to include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식생에서의 마이크로파 산란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물체들에서의 산란 현상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줄기, 가지, 잎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형태, 크기 및 방위에 대한 간략화가 필요하다. 잎의 경우에는 디스크형 타원체(활엽수)나 바늘형 타원체(침엽수)로 크기와 형태를 간략화 할 수 있으며, 가지는 유한한 실린더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크기가 전자기파의 파장보다 상당히 작은 물체의 경우에는 GRG(Generalized Rayleigh-Gans) 근사법을 이용하여 산란 현상을 근사할 수 있다.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microwave scattering characteristics in vegetation, a model for predicting the scattering phenomenon in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model the stem, branch, and leaf constituting the vegetation,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shape, size, and orientation. In the case of leaves, the size and shape can be simplified to disc-shaped ellipsoids (wide-leaved trees) or needle-shaped ellipsoids (conifers), and branches can be regarded as finite cylinders. For objects whose size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electromagnetic waves, the scattering phenomenon can be approximated using the Generalized Rayleigh-Gans (GRG) approximation method.
이 경우, 전파가 입사하는 방향 과 산란하는 방향 에 대한 산란 진폭은 시스템 변수 (입사각, 파장)와 크기, 유전율, 자세 등 상태 변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형 타원체와 같은 물체에서 GRG 근사법을 통하여 얻어진 pq-편파의 산란 진폭 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o wave is incident and direction of scattering The scattering amplitude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system variables (angle of incidence, wavelength) and state variables such as magnitude, permittivity, and attitude. For example, the scattering amplitude of the pq-polarized wave obtained through the GRG approximation in an object such as a needle-like ellipsoid. can be expressed as in the following <
<수학식 1><
, ,
, ,
, ,
, , , ,
, ,
식생 내부는 이러한 물체가 다수 모여 있는 집단이며, 크기, 유전율, 자세 등을 확률 변수로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방위에 분포되어 있는 특정 크기의 산란체 집단에 대한 전체 산란 진폭은 기댓값 을 연산함으로서 도출할 수 있다. The inside of vegetation is a group of many such objects, and size, permittivity, posture, etc. can be considered as random variables. Therefore, the total scattering amplitude for a group of scatterers of a specific size distributed in a specific orientation is the expected value. It can be derived by calculating
도 1은 식생 지역의 마이크로파 산란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crowave scattering mechanism in a vegetation area.
산란체들로 구성된 식생 지역에서의 후방산란의 크기는 식생 내부에서 체적 산란(volume scattering), 감쇠, 토양 산란 등의 다양한 산란 메커니즘에 의해 결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지역에서의 여러 종류의 산란 메커니즘은 흔히 RT(Radiative Transfer) 모델을 적용하여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zero-order + fist-order + …) 모델링 된다.The size of backscattering in the vegetation area composed of scatterers is determined by various scattering mechanisms such as volume scattering, attenuation, and soil scattering inside the vegetation. It is modeled through iterative calculations (zero-order + fist-order + …) by applying the RT (Radiative Transfer) model.
이러한 경우에 총 후방산란 계수는 도 1과 같이 각 산란 메커니즘의 합으로써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1st order"까지의 메커니즘을 주로 고려하여 계산된다. 이때, 후방산란계수를 결정하는 주요한 각 산란 메커니즘은 식생 하부 토양에서의 산란 (), 식생에서의 직접 산란 (), 식생과 토양의 다중 산란 ()으로 표현된다. In this case, the total backscattering coefficient is expressed as the sum of each scattering mechanism as shown in FIG. 1 , and is generally calculated mainly considering mechanisms up to the "1st order". At this time, the main angular scattering mechanism that determines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is scattering in the soil under vegetation ( ), direct spawning in vegetation ( ), multiple scattering of vegetation and soil ( ) is expressed as
식생으로 덮여 있는 지역의 RT 이론의 반복적인 해 중에서 zero-order의 해는 양방향의 식생에 의한 감쇠 효과를 포함한 토양에서의 직접 산란 메커니즘에 해당한다. 이때의 후방산란계수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Among the iterative solutions of the RT theory for areas covered by vegetation, the zero-order solu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 scattering mechanism in the soil including the damping effect by vegetation in both directions. At this time,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can be expressed as in
<수학식 2><
여기서, 는 토양에서의 후방산란계수이고, 및 는 입사하는 방향과 산란 방향에 대한 전파의 감쇠를 나타내는 감쇠계수이다. 산란 진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감쇠계수 역시 개별적인 산란체에 대한 감쇠 진폭 에 대한 연산이 이뤄져야하고, 또한 산란체 위치 및 크기에 대한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기댓값을 연산함으로써 산란체의 분포에 따른 감쇠계수를 얻을 수 있다. here, is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in the soil, and is an attenuation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attenuation of radio waves in the direction of incidence and direction of scattering. As in the case of the scattering amplitude,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also the attenuation amplitude for the individual scatterers. must be calculated, and an attenu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scatterers can b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expected value us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scatterers.
RT 모델의 1차 해결(first-order solution)은 식생 자체에서의 체적 산란 과 식생과 토양 사이의 이중산란 ()에 해당한다. 1차 해결에 의한 산란 메커니즘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산란체들의 크기 및 그 분포, 유전율, 체적 밀도, 방위 분포에 대한 확률 모델, 식생 높이 등 매우 많은 입력 파라미터와 복잡한 모델화 과정이 요구된다.The first-order solution of the RT model is volume scattering in the vegetation itself. and double scattering between vegetation and soil ( ) corresponds to In order to predict the scattering mechanism by the first-order solution, a large number of input parameters and a complex modeling process are required, such as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scatterer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the dielectric constant, the volume density, the probabilistic model for the azimuth distribution, and the height of the vegetation. .
고주파수를 사용하는 SAR 시스템의 경우 식생에서의 산란 현상에 대해 RT 이론에 의한 산란 메커니즘 예측에 비해 무척 단순화된 형태의 반경험적인(semi-empirical)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AR system using a high frequency, a very simplified semi-empirical model can be applied to the scattering phenomenon in vegetation compared to the prediction of the scattering mechanism by RT theory.
도 2는 WCM의 산란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attering mechanism of WCM.
도 2를 참조하면, 식생 레이어를 매우 단순한 유전체가 무작위하게 분포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WCM(Water Cloud Model)의 경우에는 식생과 토양 사이의 다중 산란 현상을 무시하고,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단순한 형태로 식생에서의 산란 현상을 나타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n the case of WCM (Water Cloud Model), which assumes that a very simple genome of a vegetation layer is randomly distributed, the multi-scattering phenomenon between vegetation and soil is ignored, and simple as shown in
<수학식 3><
여기서, 는 토양 표면에서의 산란 현상에 대해 잘 알려진 IEM 모델이고, 와 는 식생에서의 후방산란계수와 식생에서의 투과 계수를 나타내며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파라미터화 할 수 있다.here, is a well-known IEM model for scattering at the soil surface, Wow represents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in the vegetation and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in the vegetation, and can be parameterized as shown in
<수학식 4><
여기서, 는 식생의 특성에 좌우되는 상수 계수로써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파라미터이다. 는 모델 파리미터로써 식생에서의 체적 산란 정도를 결정하는 환경 변수이며, 식생의 수분량(vegetation water content) 또는 잎면적 지수(leaf area index) 등의 식생의 유전율이나 생물량과 관련된 변수가 주로 사용된다.here, is a constant coefficient tha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is an empirically determined parameter. is an environmental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volume scattering in vegetation as a model parameter, and variables related to the permittivity or biomass of vegetation such as vegetation water content or leaf area index are mainly us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WCM은 식생의 특성에 좌우되는 상수 계수 와 체적 산란의 정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를 입력으로 하여 후방산란계수를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s previously described, such WCM is a constant coefficient tha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and parameters determining the degree of volume scatterin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can be expressed by inputting .
여기서, 는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파라미터로서 다양한 값이 선택될 수 있으므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어떠한 값을 결정하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here, Since various values can be selected as a parameter determined empirically, it is necessary to check which value is appropriate for modeling and simulation.
한편, 는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와는 무관한 상수 파라미터이다. 또한, 체적 산란 파라미터인 는 실험적 관측 자료의 유무 및 연구 목적에 따라 식생의 수분량 (vegetation water content) 또는 잎면적 지수 (leaf area index) 등의 파라미터들이 사용된 바 있지만, 시뮬레이션을 위해 역시 어떠한 물리량을 선정하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한 선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WCM과 동일한 가정으로 RT 모델의 해를 구성하여 RT 모델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WCM의 모델 파라미터를 비교하였다. Meanwhile, is a constant parameter independent of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In addition, the volume scattering parameter, parameters such as vegetation water content or leaf area index have been use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experimental observation data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 need this. To this end, the solution of the RT model was constructed with the same assumptions as the WCM, and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RT model and the model parameters of the WCM were compared.
WCM의 모델 파라미터를 합하여 정리해보면 하기 <수학식 5>와 같다.The sum of the model parameters of WCM is summarized as in <Equation 5>.
<수학식 5><Equation 5>
우선 와 가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와 같은 조건에 무관하게 상수 계수로 WCM 모델에서 작용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RT 모델에서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 을 변동시켜 가면서 와 항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first of all Wow The height of vegetation in the RT model was confirmed to check whether α acts in the WCM model as a constant coefficient regardless of conditions such as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while changing Wow You can see the change in complaints.
도 3은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의 변화에 따른 WCM 모델의 AV 및 BV 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ges in AV and BV terms of the WCM model according to changes in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도 3을 참조하면, 는 변화가 없지만 파라미터는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에 따라 선형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is no change It can be seen that the parameter changes linear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따라서, WCM 모델의 파라미터는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에 따라서 가변되지 않도록 모델이 수정이 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가 WCM 모델에서 상수 계수가 되도록 하기 위해 WCM 모델을 정리하면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refore, the model needs to be modified so that the parameters of the WCM model do not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If the WCM model is arranged in order to be a constant coefficient in the WCM model, it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6 below.
<수학식 6><Equation 6>
식생에서의 체적 산란에 해당하는 는 식생의 수분 함량의 정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할 수 있고, 를 식생의 수분 함량(gravimetric moisture content) 로 근사하여 파라미터화 할 수 있다. Corresponding to volumetric scattering in vegetation can be assumed to be most affected by the degree of moisture content of vegetation, is the gravimetric moisture content of vegetation It can be parameterized by approximating .
도 4는 식생의 수분 함량 의 변화에 따른 WCM 모델의 와 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is the moisture content of vegetation of the WCM model according to the change of Wow It is a diagram showing changes in terms.
도 4를 참조하면, WCM 모델의 파라미터를 로 근사하였을 경우, 는 에 대해 2차식의 형태로, 는 에 대해 1차식의 형태로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WCM model parameters If it is approximated as Is In the form of a quadratic formula for Is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related in the form of a first-order equation.
따라서, 는 으로 모델링 할 수 있으며, 는 의 형태로 모델링 할 수 있다. 한편, 이를 통해 WCM은 하식 <수학식 7>과 같이 수정된 WCM으로 변형할 수 있다.thus, Is can be modeled as Is can be modeled in the form of Meanwhile, through this, the WCM can be transformed into a modified WCM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수학식 7><Equation 7>
한편, 도 5는 수정된 WCM의 상수 계수 a 및 b를 추정하기 위한 회귀분석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or estimating the constant coefficients a and b of the modified WCM.
여기서, 새로운 상수 계수 a 및 b는 RT 모델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각각 2차식 및 1차식을 피팅(fitting)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는데, 도 5와 같이 최소제곱 회귀분석(least square regression)을 수행한 결과, 로 근사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Here, the new constant coefficients a and b can be derived by fitting a quadratic equation and a linear equation to the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T model, respectively. , can be approximated as
결과적으로 기존 모든 경험적인 모델에서 각각의 식생의 특성에 좌우되는 상수 계수 , 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수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수분함량)에 대한 산란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As a result, constant coefficients that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egetation in all existing empirical models , For ,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moisture content) using the modified model through the same process as abov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된 모델을 기반의 산란계수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based on a modified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파라미터인 , 를 결정한다(S601). 여기서, , 는 식생의 특성에 좌우되는 상수 계수로서,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와는 무관한 상수 파라미터이다.First, the empirically determined parameter , is determined (S601). here, , is a constant coefficient tha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is a constant parameter independent of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이후, 상기 <수학식 6>의 WCM 모델에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를 적용하고(S603), 여기에 체적 산란 파라미터 를 식생의 수분함량 로 근사하여 파라미터화 한다(S605). 이로써, WCM 모델은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하는 모델로 수정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are applied to the WCM model of Equation 6 (S603), and the volumetric scattering parameter here the moisture content of vegetation and parameterized by approximation (S605). Accordingly, the WCM model is modified to a model including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이후, 상기 <수학식 7>과 같이 수정된 WCM 모델에서 2차식 및 1차식을 피팅(fitting)함으로써 상수계수 a 및 b를 연산할 수 있는데, 최소제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이 a 및 b를 근사적으로 추정하고(S607), 결과적으로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를 산출한다(S609).Thereafter, constant coefficients a and b can be calculated by fitting quadratic and linear expressions in the WCM model modified as in Equation 7 above.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to approximate these a and b. estimating (S607), and as a result, calculating the scattering coefficient for the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S609).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란계수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산란계수 생성 시스템은 결정부(701), 모델링부(703), 산출부(705) 및 제어부(70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scattering coefficient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결정부(701)는 기존의 경험적인 모델인 WCM에서의 계수를 결정한다. 이때, WCM은 상기 <수학식 6>과 같다.The
모델링부(703)는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하도록 이 WCM을 수정하여 모델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모델링부(703)는 WCM 모델에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를 적용하고, 체적 산란 파라미터를 수분 함량으로 근사화 함으로써 모델링을 수행한다.The
산출부(705)는 모델링을 통해 수정된 WCM을 기반으로 산란계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수계수는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와는 상관없는 상수를 나타낸다.The
제어부(707)는 경험적 모델을 기반으로 식생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는 상수계수를 결정하고, 그 경험적인 모델이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하도록 수정하여 모델링한 후, 그 수정된 모델에 대해 최소제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상수계수를 추정하고, 앞서 산출된 상수계수를 기반으로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를 산출하도록 제어한다.The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경험적 모델을 식생의 높이 및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하도록 수정하여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식생의 산란 모델에 비해 다양한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에 따른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xisting empirical model by modifying it to include the height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so that the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various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cattering model of vegetation. Allows generation of scattering coefficients.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700: 산란계수 생성 시스템 701: 결정부
703: 모델링부 705: 산출부
707: 제어부700: scattering coefficient generation system 701: crystal part
703: modeling unit 705: calculation unit
707: control
Claims (9)
WCM(Water Cloud Model)을 기반으로 식생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는 복수의 상수 계수들을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결정된 상수 계수들을 포함하는 WCM에 상기 식생의 높이와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하여 상기 WCM을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WCM에 포함된 상기 식생의 체적 산란 파라미터를 상기 식생의 수분 함량 파라미터로 근사화하여 상기 수정된 WCM을 재수정하는 모델링부;
상기 재수정된 WCM에 최소제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재수정된 WCM에 포함된 상기 결정된 상수 계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수 계수들의 값들을 추정하는 산출부; 및
상기 결정부를 통해 상기 WCM을 기반으로 식생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는 복수의 상수 계수들을 결정하며, 상기 모델링부를 통해 상기 결정된 상수 계수들을 포함하는 WCM에 상기 식생의 높이와 상기 산란체의 개수를 포함하여 상기 WCM을 수정하며, 상기 수정된 WCM에 포함된 상기 식생의 체적 산란 파라미터를 상기 식생의 수분 함량 파라미터로 근사화하여 상기 수정된 WCM을 재수정하고, 상기 산출부를 통해 상기 재수정된 WCM에 최소제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재수정된 WCM에 포함된 상기 결정된 상수 계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수 계수들의 값들을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상수 계수들의 값들을 기반으로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상수 계수들 각각은, 상기 식생의 높이 및 상기 산란체의 개수와 상관없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시스템.
In the scattering coefficient generation system for the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plurality of constant coefficients that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based on a Water Cloud Model (WCM);
Correcting the WCM by including the height of the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in the WCM including the determined constant coefficients, and approximating the volume scattering parameter of the vegetation included in the modified WCM to the moisture content parameter of the vegetation a modeling unit re-correcting the modified WCM;
a calculator estimating values of a plurality of constant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nstant coefficients included in the re-corrected WCM by performing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corrected WCM; and
A plurality of constant coefficients that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re determined based on the WCM through the determining unit, and the height of the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scatterers are included in the WCM including the determined constant coefficients through the modeling unit. Correcting the WCM, re-correcting the modified WCM by approximating the volume scattering parameter of the vegetation included in the modified WCM to the moisture content parameter of the vegetation, and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corrected WCM through the calculator A control unit for estimating values of a plurality of constant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nstant coefficients included in the re-corrected WCM and calcul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the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values of the estimated constant coefficients by performing includes,
Each of the determined constant coefficients is a scattering coefficient generating system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nstant independent of the height of the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the scatterers.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수정된 WCM에 포함된 상기 결정된 상수 계수들 각각과 상기 식생의 체적 산란 파라미터 간의 결합 요소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합 요소들을 상기 결정된 상수 계수들에 대응하는 상기 상수 계수들 각각과 상기 식생의 수분 함량 파라미터 간의 결합 요소들로 근사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식생 환경에 대한 산란계수 생성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modeling unit,
Confirming the coupling factors between each of the determined constant coefficients included in the modified WCM and the volumetric scattering parameter of the vegetation, and applying the identified coupling factors to each of the constant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nstant coefficients and the vegetation A system for generating a scattering coefficient for a simulated vegetation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pproximated by coupling factors between water content paramet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407A KR102315392B1 (en) | 2018-11-19 | 2019-05-23 |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610A KR102300969B1 (en) | 2018-11-19 | 2018-11-19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
KR1020190060407A KR102315392B1 (en) | 2018-11-19 | 2019-05-23 |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2610A Division KR102300969B1 (en) | 2018-11-19 | 2018-11-19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8269A KR20200058269A (en) | 2020-05-27 |
KR102315392B1 true KR102315392B1 (en) | 2021-10-21 |
Family
ID=7091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0407A Active KR102315392B1 (en) | 2018-11-19 | 2019-05-23 |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539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7339A (en) | 2002-07-05 | 2004-02-05 | Mitsubishi Materials Natural Resources Development Corp | Metho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forest biomass |
JP2010117327A (en) | 2008-11-14 | 2010-05-27 | Pasuko:Kk | Vegetation growth condition analysis method, program, and vegetation growth condition analyzer |
-
2019
- 2019-05-23 KR KR1020190060407A patent/KR1023153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7339A (en) | 2002-07-05 | 2004-02-05 | Mitsubishi Materials Natural Resources Development Corp | Metho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forest biomass |
JP2010117327A (en) | 2008-11-14 | 2010-05-27 | Pasuko:Kk | Vegetation growth condition analysis method, program, and vegetation growth condition analyzer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J.Li et al., Remote Sensing, Vol. 10, No. 1370, 2018, pp. 1-17. |
S.Chauhan et al.,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LII-4/W2, 2017, pp. 61-6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8269A (en) | 2020-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onfante et al. | LCIS DSS—An irrigation supporting system for water use efficiency improvement in precision agriculture: A maize case study | |
Challinor et al. | Design and optimisation of a large-area process-based model for annual crops | |
Jiang et al. | Vertical diabatic heating structure of the MJO: Intercomparison between recent reanalyses and TRMM estimates | |
US733704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rrigation using computed evapotranspiration values | |
WO2019118460A1 (en) | Irrigation system control with predictive water balance capabilities | |
Yoon et al. | Effects of shift in growing season due to climate change on rice yield and crop water requirements | |
CN108802728A (en) | The crop irrigation guidance method of dual polarization synthetic aperture radar and crop modeling assimilation | |
Homma et al. | Development of a rice simulation model for remote-sensing (SIMRIW-RS) | |
Barkaoui et al. | Does water shortage generate water stress? An ecohydrological approach across Mediterranean plant communities | |
Xiao et al. | Projecting future changes in extreme climate for maize production in the North China Plain and the role of adjusting the sowing date | |
Dolschak et al. | A new approach to predict soil temperature under vegetated surfaces | |
KR102315392B1 (en) |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 |
KR10230096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culpture number for simulation | |
CN115953064B (en) | A comprehensive control and optimization control method for cultivated land quality | |
Lü et al. | Multi‐scale assimilation of root zone soil water predictions | |
Gowda et al. | SEBAL for estimating hourly ET fluxes over irrigated and dryland cotton during BEAREX08 | |
Gupta et al. | Crop variables estimation by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using bistatic scatterometer data | |
Myers et al. | A data mining approach to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prediction | |
US2008009765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rrigation using computed evapotranspiration values | |
Mansouri et al. | Modeling and prediction of time-varying environmental data using advanced bayesian methods | |
Shyam et al. | Retrieval of water vapour profiles from radio occultation refractivit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
Ali et al. | Comparison of bias correction methods in the arid region of Pakistan | |
de Oliveira et al. | Data assimilation in crop models: old experiences in new contexts | |
CN119555709A (en) | Method, system,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measuring soil moisture under crop coverage | |
Gautam et al. | Retrieval of Soil Moisture Using Sliced Regression Inversion Techniqu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5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111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42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