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4745B1 - 끈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끈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745B1
KR102314745B1 KR1020190107510A KR20190107510A KR102314745B1 KR 102314745 B1 KR102314745 B1 KR 102314745B1 KR 1020190107510 A KR1020190107510 A KR 1020190107510A KR 20190107510 A KR20190107510 A KR 20190107510A KR 102314745 B1 KR102314745 B1 KR 10231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ring
knob
reverse rotation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846A (ko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타이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렌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273,78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71179B2/en
Priority to CN201980073095.0A priority patent/CN112969379B/zh
Priority to PCT/KR2019/011239 priority patent/WO2020050562A1/ko
Publication of KR2020002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745B1/ko
Priority to US18/241,196 priority patent/US11998087B2/en
Priority to US18/647,043 priority patent/US12250997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8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6Glov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0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Equipment therefor
    • A43C11/14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with adjustment means provided for on the strap, e.g. ratchet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string)을 감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끈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끈 조절장치는 고정유닛과 회전유닛을 구비하고, 회전유닛에 구비된 노브는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대응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연장부, 권취 및 해제모드를 결정하는 권취 결정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연장부, 그리고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끈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string}
본 발명은 신발, 가방, 의복, 장갑, 모자 등을 포함한 제품에 결합되어 끈(string), 로프(rope), 와이어(wire), 밴드(band), 테이프(Tape), 스트랩(strap) 등을 감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끈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가방, 배낭, 의복, 장갑, 모자 등을 포함하는 제품은 끈(string)이나 이와 유사한 로프(rope), 와이어(wire), 밴드(band) 또는 스트랩(strap)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끈이 적용된 제품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끈의 양끝을 당겨 묶거나 다시 풀어 느슨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끈이 적용된 신발은 사용자의 발에 밀착시키기 위한 끈을 구비한다. 이러한 끈은 사용자에 의해 신발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끼워진 후 양 끝이 당겨져 조여진 후 묶여질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끈이 적용된 신발을 착용자가 신을 때, 착용자는 신발 끈을 느슨하게 풀고 다시 조인 후 묶어야 한다. 그리고 신발을 벗을 때, 착용자는 신발 에 묶인 끈을 다시 풀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끈이 적용된 신발은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끈을 감는 조임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끈 조임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끈 조임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끈 조임장치는 크기가 커서 속옷이나 패션슈즈, 모자, 백 및 지갑 등과 같이 심미감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크기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착용형 제품 또는 어패럴 제품 등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86674호(2010년 10월 04일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신발, 가방, 의복, 모자, 장갑 등을 포함하는 착용형 제품에 적용된 조임용 끈을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끈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내부구조 중 동작 기능을 담당하는 부품 수를 최소화시켜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조립공정을 최소화시키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기, 직경 또는 부피를 줄여 컴팩트하게 제조하여 신발, 가방, 의복, 모자, 장갑 등을 포함하는 착용형 제품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개 또는 2개 이상의 끈을 동시에 감아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적용 제품의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는 노브, 상기 고정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끈이 감겨지는 보빈을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준 걸림부, 상기 기준 걸림부와 간격을 이루며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이탈방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대응부가 형성되는 제1 연장부, 권취 및 해제모드를 결정하는 권취 결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홈부를 포함하는 끈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는 노브, 상기 고정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끈이 감겨지는 보빈을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준 걸림부, 상기 기준 걸림부와 간격을 이루며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양측 경계에 형성되는 유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장부에 상기 이탈방지부에 대응하는 면이 이탈방지 대응부를 이루고 상기 이탈방지 대응부의 다른 면에 권취결정 돌출부가 형성된 끈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전하거나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는 노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에 체결부재로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하여 끈이 감겨지는 보빈을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준 걸림부, 상기 기준 걸림부와 간격을 이루며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이탈방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대응부가 형성되는 제1 연장부, 권취 및 해제모드를 결정하는 권취 결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홈부를 포함하는 끈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권취 결정돌출부가 상기 기준 걸림부를 타고 넘어갈 때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원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노브의 원주면을 따라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노브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노브의 회전축 중심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노브의 회전축 중심에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는 내부에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된 역회전 방지부, 내부에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부를 기준으로 중심측에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역회전 방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구동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회전방지부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피동기어부는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장되며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돌출된 기어치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의 돌출된 기어치를 타고 넘어갈 때 상기 자유단부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공간부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돌출된 기어치는 기어치의 경사방향이 상기 구동기어부의 돌출된 기어치의 경사 방향과 반대로 이루어지고, 기어치의 경사 각도가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의 경사 각도와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기어치는 기어치의 크기가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는 기어치의 경사 각도가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기어치의 경사 각도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경사진 기어치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그의 외주면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저면측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끼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끼움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제1 끼움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저면측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끼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끼움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제2 끼움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끼움돌기부는 그 중의 하나가 다른 제2 끼움돌기부에 비해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지는 정렬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끼움홈부는 그 중 하나가 상기 정렬돌기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정렬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외주면에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우징은 내주면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저면측에 관통된 구멍 모양의 하나 이상의 끈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끈 삽입부에 대응하는 또 다른 끈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은 기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는 가운데 부분에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장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홈부와 나란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홈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끈 끼움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끈 끼움홈부는 상기 장홈부를 직교하여 관통하거나 또는 끼워진 끈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은 끈이 관통하거나 묶여지며 끈이 감겨지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면에 상기 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기둥부의 하면에 상기 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축의 중심 방향으로 파여져 끈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은 상기 베이스를 향한 면에 회전축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전축 돌기부에 대응하는 회전축 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은 상기 베이스를 향한 면에 회전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전 가이드 돌출부가 끼워져 상기 보빈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 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는 내면에 끼움결합 또는 접착 또는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기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된 역회전 방지부, 상기 베이스를 향해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측에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끈 조절장치가 신발, 가방, 그리고 의복과 같은 착용형 제품에 적용된 경우에, 사용자가 단지 회전유닛을 눌러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조임용 끈을 쉽게 조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발명은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부품의 수를 최소화시켜 기존 제품에 비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해시에는 사용자가 회전유닛과 고정유닛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조립공정을 최소화시키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끈의 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끈의 장력이 필요한 신발 또는 착용형 제품 등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적용되는 제품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를 분리형으로 제조하여 신발과 같은 제품에 본 발명의 끈 조임장치를 적용할 때, 베이스를 먼저 적용되는 제품에 결합하여 조립하고 후에 베이스에 하우징부를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품의 조립공정과 끈 조임장치의 조립공정을 분리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를 분해하여 저면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회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중 제1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중 제1 하우징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중 제2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우징 중 제2 하우징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노브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B-B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권취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C-C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끈 조절장치를 축 방향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1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1 하우징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노브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를 분해하여 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28을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끈(string)은 로프(rope), 와이어(wire), 밴드(band), 테이프(Tape), 스트랩(strap), 줄 또는 체인(목걸이용) 등과 같이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로, 끈 조절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는, 고정유닛(100)과 상기 고정유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유닛(500)을 포함한다.
고정유닛(100)은 베이스(200), 제1 하우징(300), 그리고 제2 하우징(400)을 포함한다(도 3 및 도 4 참조). 고정유닛(100)을 이루는 베이스(200), 제1 하우징(300), 그리고 제2 하우징(400)은 각각 독립된 부품으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고정유닛(100)을 이루는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은 일체로 성형되어 베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200), 제1 하우징(300), 그리고 제2 하우징(400)이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이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 끈 조절장치는 부품의 수가 추가로 줄어들어 조립성과 생산성, 그리고 유지 보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정유닛(100)은 베이스(200), 제1 하우징(300), 그리고 제2 하우징(400)이 각각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유닛(500)은 고정유닛(10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끈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유닛(500)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끈을 감는 권취 모드 또는 끈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거나 끈을 풀 수 있는 해제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회전유닛(500)은 노브(600)와 보빈(700)을 포함한다(도 3 및 도 4 참조). 회전유닛(500)을 이루는 노브(600)와 보빈(700)은 각각 다른 부품으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노브(600)와 보빈 (700)이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 끈 조절장치는 부품의 수가 더욱 줄어 조립성과 생산성 및 유지 보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회전유닛(500)은 노브(600)와 보빈(700)이 각각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200)는, 도 2 내지 도 6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부(201), 베이스 바닥부(203), 그리고 결합 연장부(205)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부(201)는 가운데 부분에 공간을 가진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부(201)는 상면에 하나 이상의 제1 끈 삽입부(207)를 포함한다. 제1 끈 삽입부(207)는 베이스 하우징부(201)의 선단부가 베이스 바닥부(203)를 향해 파여진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끈 삽입부(207)는 인접하여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끈 삽입부(207)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같은 모양과 수로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러한 제1 끈 삽입부(207)는 하나 이상의 끈이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바닥부(203) 는 일측에 제1 끼움홈부(209)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끼움홈부(209)는 제1 하우징(300)을 베이스(200)와 결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부(201)는 제1 하우징(300)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또 다른 끼움홈부(217)를 구비한다. 베이스 하우징부(201)의 끼움홈부(217)는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관통된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300)은 그의 외주면에 베이스 하우징부(201)의 끼움홈부(217)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부(317)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하우징(300)은 제1 끼움돌기부(305)와 끼움돌기부(317)이 각각 제1 끼움홈부(209)와 끼움홈부(217)에 끼워져 베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바닥부(203)는 베이스 하우징부(201)의 저면을 폐쇄하는 바닥면이다. 베이스 바닥부(203)는 회전가이드 홈부(211)와 회전축 홈부(213)를 구비한다.
회전가이드 홈부(211)는 원통형상의 홈이 파여진 모양을 이룬다. 이러한 회전가이드 홈부(211)에는 보빈(70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다. 회전가이드 홈부(211)는 보빈(700)이 회전하면서도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보빈(700)이 베이스 바닥부(203)에서 이탈되지 않고 자세를 유지하며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축 홈부(213)는 축의 중심에 형성되는 개구부 또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 홈부(213)는 보빈(700)의 축 중심 부분이 끼워져 보빈(700)이 회전할 때 보빈(700)의 회전 중심을 유지한다.
결합 연장부(205)는 베이스 하우징부(20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구간에서 연장된다. 결합 연장부(205)는 유연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연장부(205)는 베이스 하우징부(20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결합 연장부(205)는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결합 연장부(205)는 신발, 가방 또는 의류와 같은 착용형 제품에 재봉 또는 본딩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이 결합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1 하우징(300)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저면 사시도이다.
제1 하우징(30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원통(cylinde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300)은 외주면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준 걸림부(301)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하우징(300)은 기준 걸림부(301)와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이루며 외주면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3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기준 걸림부(301)가 제1 하우징(300)의 중간에 결합되고, 이탈방지부(303)가 기준 걸림부(301)를 기준으로 베이스(200) 측에 배치된다.
기준 걸림부(301)는 노브(600)가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보빈(700)에 끈이 감겨지는 권취모드 또는 끈이 풀어지는 해제모드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탈방지부(303)는 노브(60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노브(600)가 제1 하우징(300)에서 이탈되어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303)는 베이스(200)를 향하는 면이 노브(600)의 이탈방지 대응부(607)가 걸리도록 평면 또는 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우징(300)은 저면측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끼움돌기부(305)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300)의 제1 끼움돌기부(305)는 베이스(200)의 제1 끼움홈부(209)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300)은 제1 끼움돌기부(305)와 제1 끼움홈부(209)가 끼움 결합되어 베이스(20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베이스(200)와 제1 하우징(300)이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1 하우징(300)의 제1 끼움돌기부(305)와 베이스(200)의 제1 끼움홈부(209)는 생략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00)은 외주면에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30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00)의 보강리브(307)는 제1 하우징(300)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제1 하우징(30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강리브(307)가 적용된 제1 하우징(300)이 적용된 끈 조절장치는 전체적인 크기(부피 또는 직경)를 줄이고 내구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00)은 측벽에 축의 중심 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끈 삽입부(309)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하우징(300)의 끈 삽입부(309)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300)의 끈 삽입부(309)는 2개 또는 3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300)의 끈 삽입부(309)는 마주하는 반대편에 같은 크기 및 개수로 또 다른 끈 삽입부(309)가 형성될 수 있다(도 11과 도 12에 도시함). 이와 같이 제1 하우징(300)의 끈 삽입부(309)는 여러 개의 끈을 동시에 끼워 보빈(700)에 묶어 고정하거나 보빈(700)에 관통하여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00)은 저면에 축의 중심 방향으로 다수의 제2 끼움홈부(311)와 정렬홈부(313)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300)의 제2 끼움홈부(311)는 제2 하우징(400)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하우징(300)의 정렬홈부(313)는 제2 하우징(400)이 제1 하우징(300)에 결합될 때,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이 일정한 위치에 정렬되어 조립된다. 이러한 제1 하우징(300)의 정렬홈부(313)는 제2 끼움홈부(311)의 크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300)의 정렬홈부(313)는 제1 하우징(300)에 방향을 맞추어 제2 하우징(400)이 쉽게 끼워지도록 유도한다. 즉, 제1 하우징(300)의 제2 끼움홈부(311)들 중의 하나를 다른 것에 비해 그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정렬홈부(313)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제1 하우징(300)의 제2 끼움홈부(311)와 정렬홈부(313)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300)은 제2 하우징(400)을 결합하기 위해 내주면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부(315)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300)의 결합돌기부(315)는 제2 하우징(400)의 결합홈부(407)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하우징(300)의 결합돌기부(315)는 제2 하우징(400)의 결합홈부(407)를 제1 하우징(300)에 쉽게 결합시켜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제2 하우징(400)은 제1 하우징(3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300)과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원통(cylinde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3 및 도 14 참조). 제2 하우징(400)은 베이스(200)를 향한 단부측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끼움돌기부(401)와 정렬돌기부(403)를 구비한다.
제2 하우징(400)의 제2 끼움돌기부(401)는 제1 하우징(300)의 제2 끼움홈부(311)에 대응하여 끼워진다. 즉, 제2 하우징(400)의 제2 끼움돌기부(401)는 제1 하우징(300)의 제2 끼움홈부(311)와 크기 및 개수가 동일하다. 그리고 제2 하우징(400)의 정렬돌기부(403)는 제1 하우징(300)의 정렬홈부(313)에 대응하여 끼워진다. 즉, 제2 하우징(400)의 정렬돌기부(403)도 제2 끼움돌기부(401)의 크기와 다르게 구성하고 제1 하우징(300)의 정렬홈부(313)에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300)에 제2 하우징(400)을 결합할 때, 이를 조립하는 조립자는 단지 제2 하우징(400)의 정렬돌기부(403)를 제1 하우징(300)의 정렬홈부(313)에 맞추어 끼우는 것으로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을 정렬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조립자가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을 쉽게 정렬하여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조립 불량으로 인한 품질 불량을 막을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제1 하우징(300)의 끈 삽입부(309)에 대응하는 또 다른 끈 삽입부(405)를 구비한다. 제2 하우징(400)의 끈 삽입부(405)는 축의 중심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 또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끈 삽입부(405)는 제1 하우징(300)의 끈 삽입부(309)와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우징(400)의 끈 삽입부(405)는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이 조립될 때, 제1 하우징(300)의 끈 삽입부(309)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하우징(400)은 제1 하우징(300)의 결합돌기부(315)에 대응하는 결합홈부(407)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제2 하우징(400)의 결합홈부(407)는 축의 중심 방향으로 관통되는 장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결합홈부(407)는 제1 하우징(300)의 결합돌기부(315)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하우징(400)의 결합홈부(407)는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이 결합될 때 서로 끼움 결합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은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경우에는, 제1 하우징(300)의 결합돌기부(315)와 제2 하우징(400)의 결합홈부(407)는 생략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노브(600)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암부(409)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일단이 제2 하우징(400)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가지는 암(arm)으로 이루어진다.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베이스(200)를 향한 방향인 그의 하부에 공간부(411)가 형성되어 역회전방지암부(409)의 자유단측이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일부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력을 가진다.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노브(600)를 향하며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치(413)가 형성된다.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돌출된 기어치(413)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의 경사진 기어치(413)가 2개 이상 연속해서 형성되는 구조는 노브(600)가 역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할 때, 그 힘을 충분하게 견디어 노브(600)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제2 하우징(400)과 일체로 성형되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그의 외주면부가 제1 하우징(300)의 내벽에 접촉되거나 다수의 유격을 가지고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제1 하우징(300)의 내벽에 의해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노브(600)가 역회전하는 힘이 크게 작용할 때 파손을 줄여 내구성과 품질을 증대시킨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통해 회전유닛(5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노브(600)는 제1 하우징(300)에 결합되어 회전하거나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을 이동한다. 즉, 노브(600)는 보빈(700)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끈이 보빈(700)에 감겨지도록 하는 권취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노브(600)는 보빈(700)과 떨어진 상태에서 끈을 풀 수 있는 해제모드를 수행한다. 이러한 노브(600)는 제1 연장부(601), 제2 연장부(603) 그리고 유격홈부(605)를 포함한다(도 15 참조).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와 제2 연장부(603)는 유격홈부(605)를 경계로 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반복하여 1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제1 연장부(601)와 경계 부분에 유격홈부(605)가 형성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되거나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의 탄성력은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의 탄성력보다 크거나 적어도 같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는 그의 내주면에 이탈방지 대응부(607)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축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다.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는 제1 하우징(300)의 이탈방지부(303)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는 노브(600)가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베이스(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하우징(300)의 이탈방지부(303)에 걸린다. 따라서 노브(600)는 제1 하우징(300)에서 쉽게 이탈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즉,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는 노브(600)가 베이스(2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취 해제 모드일 때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노브(300)가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그의 양측 경계에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격홈부(605)에 의해 축의 중심에서 외주측을 향하는 방사상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한 후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진다.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그의 내주면에 권취 결정돌출부(609)를 구비한다. 제2 연장부(603)의 권취 결정돌출부(609)는 제2 연장부(603)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축의 중심 방향을 향해 길게 돌출되는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2 연장부(603)의 권취 결정돌출부(607)는 축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연장부(601)의 이탈방지 대응부(607)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장부(603)의 권취 결정돌출부(609)는 제1 하우징(300)의 기준 걸림부(301)를 타고 넘어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노브(600)는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 연장부(603)의 권취 결정돌출부(609)는 제1 하우징(300)의 기준 걸림부(301)를 기준으로 베이스(200)를 향한 경우 보빈(700)에 끈을 감을 수 있는 권취모드가 된다. 그리고 제2 연장부(603)의 권취 결정돌출부(609)는 제1 하우징(300)의 기준 걸림부(301)를 기준으로 베이스(200)의 반대측에 있으면 보빈(700)에서 끈을 풀 수 있는 해제모드가 된다.
노브(600)의 유격홈부(605)는 제1 연장부(601) 와 제2 연장부(603)의 경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브(600)의 유격홈부(605)는 제2 연장부(603)의 경계 양측에 단지 공간부를 이루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노브(600)에서 연장되어 베이스(200)을 향한 방향으로 자유단을 가진다.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권취 결정돌출부(609)가 제1 하우징(300)의 기준 걸림부(301)를 타고 넘어갈 때 제2 연장부(603)가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원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 제2 연장부(603), 그리고 유격홈부(605)는 노브의 측면을 따라서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 제2 연장부(603), 그리고 유격홈부(605)는 노브의 측면에서 베이스(200) 측을 향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 제2 연장부(603), 그리고 유격홈부(605)는 일체로 성형된다.
한편,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외주면에 깔주기면 또는 돌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연장부(601) 또는 제2 연장부(603)를 잡고 쉽게 회전시키거나 또는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와 제2 연장부(603)는 노브(600)를 평면에서 볼 때 축 중심(O)에서 제1 연장부(601)의 외주면까지의 거리(r1)가 축 중심(O)에서 제2 연장부(603)의 외주면까지의 거리(r2)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제2 연장부(603)의 직경을 최소화시켜 제작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끈 조절장치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끈 조절장치는 여성용 속옷이나 착용형 제품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하다.
노브(600)는 그의 내부에 역회전 방지부(611)와 구동기어부(613)를 구비한다.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는 베이스(200)를 향해 돌출된 모양으로 기어치(615)가 형성된다. 즉,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를 이루는 기어치(615)는 축과 나란하게 베이스(200)를 향해 돌출된다.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는 노브(600)가 베이스(200)를 향하는 면에 경사진 기어치(615)가 원형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는 제2 하우징(400)에 구비된 역회전방지암부(409)의 기어치(413)에 치합될 수 있다.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는 제2하우징(400)에 구비된 역회전방지암(409)의 기어치(413)에 치합되어 노브(600) 또는 보빈(700)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즉, 이러한 상태는 권취모드이다.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는 베이스(200)를 향해 돌출된기어치(617)가 형성된다. 즉,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를 이루는 기어치(617)는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베이스(200)를 향해 돌출되는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의 기어치(617)는 역회전 방지부(611)를 기준으로 중심측에 원형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는 보빈(700)에 결합되어 보빈(7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를 이루는 기어치(615)는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를 이루는 기어치(615)와 비교하여 기어치의 경사진 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를 이루는 기어치(615)는 노브(600)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하고,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는 보빈(700)에 결합되어 보빈(7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를 이루는 기어치(615)는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를 이루는 기어치(615)와 비교하여 기어치의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의 기어치(617)의 크기를 최소로 제작할 수 있어 끈 조절장치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는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를 이루는 기어치(615)는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를 이루는 기어치(615)와 비교하여 기어치의 경사 각도가 더 크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노브(600)와 보빈(700)이 치합될 때 유격을 줄여 쉽게 치합되고 분리될 수 있어 정열이 용이하고 권취모드 및 해제모드가 원활하게 작동된다.
보빈(700)은 제1 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노브(600)와 결합된 경우에 노브(600)와 함께 회전하여 끈이 감겨진다. 또한, 보빈(700)은 끈의 끝부분이 묶여지거나 또는 관통된 끈의 중간 부분이 걸릴 수 있다.
보빈(700)은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에 치합될 수 있도록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에 대응하는 피동기어부(701)를 구비한다(도 16참조).
이러한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는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기어치가 돌출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한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는 보빈(700)의 위면에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파여져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끈 조절장치의 높이 최소화시켜 컴팩트하게 끈 조절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는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에 치합될 수 있다.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와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가 치합된 상태에서 노브(600)를 회전시키면 보빈(700)도 회전된다. 따라서 보빈(700)은 끈을 감을 수 있다. 이러한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와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치합되는 구조는 토크를 증대시켜 끈에 장력이 작용하여도 원활하게 보빈(700)에 끈이 감길 수 있게 된다.
보빈(700)은 기둥부(703), 제1 플레이트(705), 그리고 제2 플레이트(707)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700)의 기둥부(703)는 끈이 관통하거나 끈이 묶여지고, 동시에 그의 외주면에 끈이 감겨질 수 있다.
보빈(700)의 기둥부(703)는 가운데 부분에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장홈부(709)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보빈(700)의 기둥부(703)는 장홈부(709)를 관통하는 다수의 끈 끼움홈부(711)를 구비한다. 보빈(700)의 기둥부(703)의 끈 끼움홈부(711)는 장홈부(709)에 직각으로 교차하거나 또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관통되는 방향을 형성될 수 있다(도 17 및 도 18 참조). 보빈(700)의 기둥부(703)에 형성된 장홈부(709)와 끈 끼움홈부(711)는 끈을 각각의 장홈부(709)와 끈 끼움홈부(711)에 교차하여 끼울 수 있어 끈을 쉽게 고정하거나 묶을 수 있다.
보빈(700)의 제1 플레이트(705)는 기둥부(703)의 상면인 노브(600)를 향하는 면에 기둥부(703)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보빈(700)의 제2 플레이트(707)는 기둥부(703)의 하면인 노브(600)의 반대 방향 측에 기둥부(703)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보빈(700)의 제1 플레이트(705)와 제2 플레이트(707)는 축의 중심 방향으로 파여져 끈을 안내하는 안내홈부(713)를 구비한다. 보빈(700)의 안내홈부(713)는 끈을 보빈(700)에 끼울 때 끈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끈을 보빈(700)의 기둥부(703)까지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끈이 끼워진 보빈(700)이 제2 하우징(4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보빈(700)의 안내홈부(713)는 보빈(700)과 제2 하우징(400)이 분리된 상태에서 끈이 보빈(700)에 끼워진 후 다시 제2 하우징(400)에 보빈(700)을 끼울 때 끈이 삽입된다. 따라서 보빈(700)이 제2 하우징(40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보빈(700)은 저면 즉, 베이스(200)를 향하는 면에 회전축 돌기부(715)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빈(700)의 회전축 돌기부(715)는 베이스(200)에 구비된 회전축 홈부(213)에 끼워져 회전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빈(700)의 회전축 돌기부(715)는 보빈(700)이 회전할 때 회전축 역할을 하여 보빈(70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보빈(700)에 회전축 돌기부(715)가 형성되고, 베이스(200)에 회전축 홈부(213)을 형성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과 돌기가 서로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보빈(700)은 저면 즉, 베이스(200)를 향하는 면에 회전 가이드 돌출부(717)를 구비한다. 보빈(700)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717)는, 도 17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기둥 모양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베이스(200) 측으로 돌출되는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빈(700)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717)는 베이스(200)의 회전 가이드 홈부(211)에 끼워진다. 보빈(700)의 회전 가이드 돌출부(717)는 일정한 두께(높이)를 가지므로 보빈(700)이 회전할 때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여도 베이스(200)의 회전 가이드 홈부(211)에 안정적인 자세를 한다. 따라서 보빈(700)은 회전하는 동안에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부 구간을 이동하여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조는 작동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착용형 제품에 베이스(200)의 결합 연장부(205)를 재봉이나 본딩 등에 의해 제품에 결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을 조립하여 베이스(200)에 결합한다. 작업자는 제1 하우징(300)의 정렬홈부(313)에 제2 하우징(400)의 정렬돌기부(403)를 맞추어 끼운다. 그러면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은 제1 하우징(300)의 제2 끼움홈부(311)에 제2 하우징(400)의 제2 끼움돌기부(401)가 끼워져 정렬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은 제1 하우징(300)의 결합돌기부(315)가 제2 하우징(400)의 결합홈부(407)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 하우징(300)의 끼움돌기부(317)은 베이스(200)의 끼움홈부(217)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300)의 제1 끼움 돌기부(305)는 베이스(200)가 제1 끼움홈부(209)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300)과 제2 하우징(400)은 베이스(2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품에 연결된 끈을 베이스(200)의 제1 끈 삽입부(207), 제1 하우징(300)의 끈 삽입부(309) 및 제2 하우징(400)의 끈 삽입부(405)에 삽입한다. 작업자는 끈의 선단부를 보빈(700)의 끈 끼움홈부(711)에 끼워 보빈(700)의 장홈부(709)를 통과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끈의 끝 부분을 보빈(700)의 끈 끼움홈부(711)나 장홈부(709)에 묶을 수도 있으며, 단지 보빈(700)의 끈 끼움홈부(711)나 장홈부(709)를 통과시켜 끈의 선단부를 착용형 제품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하나의 끈을 사용할 수 도 있지만, 여러 개의 끈을 보빈(700)의 끈 끼움홈부(711)와 장홈부(709)에 끼우거나 묶어 관통시켜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보빈(700)을 제2 하우징(400)에 삽입하고 노브(600)를 베이스(200) 방향으로 밀어 넣어 제1 하우징(30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모양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도 5는 끈 조절장치의 권취모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끈 조절장치의 권취모드에서 해제모드로 이동하는 과정이며, 도 20은 끈 조절장치가 해제모드로 이동된 상태이다.
먼저, 사용자가 끈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보빈(700)에 끈을 감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는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의 기어치(617)는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의 기어치에 치합된다. 즉, 끈 조절장치는 권취 모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노브(600)의 역회전방지부(611)는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면,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의 기어치(615)는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의 기어치(413)에 치합된다. 이때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제2 하우징(400)의 공간부(411)에 의해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노브(600)는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와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역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끈을 조일 필요가 있는 경우, 노브(6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보빈(700)은 노브(60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끈이 보빈(700)의 기둥부(703)에 감긴다. 그리고 끈 기둥부(703)에 감긴 후에 사용자가 노브(700)의 회전을 멈추어도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와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끈의 장력이 유지된다. 즉, 끈이 풀리는 방향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보빈(700)이 회전할 때, 보빈(700)은 회전축 돌기부(715)가 베이스(200)의 회전축 홈부(213)에 끼워져 회전축 돌기부(715)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회전을 한다. 또한, 보빈(700)이 회전할 때, 보빈(700)은 회전 가이드 돌출부(717)가 베이스(200)의 회전가이드 홈부(2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보빈(700)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여도 회전 중에 자세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회전을 하면서 큰 힘을 받는 끈을 조일 수 있다.
사용자가 끈을 느슨하게 하거나 또는 끈을 풀 필요가 있을 때인 해제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노브(600)를 베이스(200)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이동시킨다. 그러면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에 구비된 권취결정 돌출부(609)는 제1 하우징(300)의 기준 걸림부(301)를 타고 넘어가는 상태가 된다(도 19에 도시함). 이때,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축의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된다. 즉,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탄성력을 가짐과 동시에 유격홈부(605)에 의해 자유단을 가지므로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사용자가 노브(600)를 베이스(200)의 반대방향으로 더욱 당긴다. 그러면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에 구비된 권취결정 돌출부(609)가 제1 하우징(300)의 기준 걸림부(301)를 타고 넘어간다(도 20에 도시함). 이때,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는 탄성력에 의해 축의 중심 방향으로 원위치 된다.
그러면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는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에서 분리된다. 이때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도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에서 분리된다. 즉, 보빈(700)은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끈 조절장치는 해제모드가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보빈(700)이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끈을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노브(600)를 베이스(200)의 반대 방향으로 더욱 당기면, 노브(600)의 제1 연장부(601)에 구비된 이탈방지 대응부(607)가 제1 하우징(300)의 이탈방지부(303)에 밀착된다. 따라서 노브(600)가 제1 하우징(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하우징(3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노브(600)의 역회전 방지부(611)에 치합되거나 분리될 때 역회전방지암부(409)의 측면이 제1 하우징(300)의 내벽에 밀착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제2 하우징(400)의 역회전방지암부(409)는 단지 그의 자유단부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방사상 방향으로는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큰 힘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어 끈 조절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연장부(603)는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므로 보빈(700)에 끈이 꽉차여진 상태로 감겨 있어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연장부(603)는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므로 제한된 공간에서 보빈(700)에 끈을 감을 수 있는 부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는 끈이 감겨지는 보빈(700)의 외주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굵은 끈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같은 굵기라도 더 많은 끈을 감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는 제2 연장부(603)의 외측에서 외부의 힘이 가해져도 제2 연장부(603)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권취모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끈 조절장치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발생하여도 권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노브(60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내용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노브(600)는 역회전 방지부(611)와 구동기어부(613)를 구비한 기어 플레이트(619)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플레이트(619)는 역회전 방지부(611)와 구동기어부(613)를 구비하며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기어 플레이트(619)는 노브(600)의 내면에 공간부(623)가 구비되어 끼움 결합으로 노브(600)에 결합될 수 있다. 기어 플레이트(619)는 일면에 역회전 방지부(611)와 구동기어부(61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걸림돌기(621)가 구비된다.
기어 플레이트(619)의 걸림돌기(621)는 권취모드 상태에서 노브(6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노브(600)가 회전하여도 안정적인 작동을 수행한다. 또한, 기어 플레이트(619)의 걸림돌기(621)는 노브(600)에 기어 플레이트(619)를 초음파 융착시킬 때 자세를 유지하여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노브(600)는 기어 플레이트(619)가 끼워지는 공간부(623)와 걸림홈부(625)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어 플레이트(619)는 노브(600)의 공간부(623)에 끼워져 끼움결합, 접착 또는 초음파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기어 플레이트(619)를 별도로 제작하여 노브(600)에 결합하여 성형 제작에 유리하고 제품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노브(60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기어 플레이트(619)는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 형태로 이루어진 삽입 안내부(627)를 구비한다. 이러한 삽입 안내부(627)는 기어 플레이트(619)가 노브(600)의 공간부(623)에 삽입될 때 용이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노브(6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노브(60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노브(600)의 공간부(623)의 내주면에 방사상 방향으로 끼움홈(629)이 형성되고, 기어 플레이트(619)의 외주면에 상술한 끼움홈(629)과 대응하는 끼움돌기(631)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노브(600)는 노브(600)의 끼움홈(629)에 기어 플레이트(619)의 끼움돌기(631)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노브(600)에 기어 플레이트(619)를 단지 끼움 결합으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노브(60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제4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노브(600)의 공간부(623)의 일면 즉, 베이스 (200)를 향하는 면에 또 다른 끼움홈(629)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629)에 대응하도록 기어 플레이트(619)의 노브(600)를 향한 일면에 끼움돌기(631)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노브(600)는 노브(600)의 끼움홈(629)에 기어 플레이트(619)의 끼움돌기(631)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노브(600)에 기어 플레이트(619)를 단지 끼움 결합으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의 C-C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로, 보빈(700)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빈(700)의 다른 예시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보빈(700)은 장홈부(709)를 직교로 관통하는 끈 끼움홈부(711)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보빈(700)은 장홈부(709)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끼움홈부(711)가 관통하는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끼움홈부(711)는 장홈부(709)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보빈(700)은 장홈부(709)와 끼움홈부(711)를 통해 끈을 서로 엇갈리면서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끈을 용이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보빈(700)은 끈이 비교적 큰 탄성력을 가지는 와이어와 같은 것으로 사용될 때 더욱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끈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착용형 제품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보빈(700)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빈(700)의 다른 예시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보빈(700)은 장홈부(709)를 통과하지 않고 장홈부(709)와 나란한 구조로 끈 끼움홈부(7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제품의 종류와 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장홈부(709)와 끈 끼움홈부(711)에 끼우거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보빈(700)은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보빈(700)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제6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빈(700)의 다른 예시로 제6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보빈(700)은 끈 끼움홈부(711)가 베이스(200) 또는 노브(600)를 향한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6 실시예에서는 보빈(700)의 끈 끼움홈부(711)의 개구부 위치들이 나란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보빈(700)의 끈 끼움홈부(711)의 입구 및 출구가 불규칙하게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도 착용형 제품의 종류와 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보빈(700)은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분해 사시도로, 끈 조절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3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제1 하우징(3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측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노브(600)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 하우징(300)에 형성된 이탈방지부(303)와 기준걸림부(301)의 배치 위치가 다른 점에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노브(600)의 이탈방지 대응부(607)와 권취 결정돌출부(609)가 제2 연장부(603)에 일체로 구성되어 1개의 돌기로 형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기준 걸림부(301)가 제1 하우징(300)의 중간부에 배치되고, 이탈방지부(303)가 제1 하우징(300)의 상면의 선단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에 이탈방지 대응부(607)와 권취 결정돌출부(609)가 한 개의 구조물로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 대응부(607)는 노브(600)의 제2 연장부(603)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며 베이스(200)의 반대편으로 평평한 면을 이루어 제1 하우징(300)의 이탈방지부(303)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권취 결정돌출부(609)는 이탈방지 대응부(607)의 축 방향 단부에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하우징(300)의 외측벽에서부터 이탈방지부(303)의 돌출된 높이가 기준걸림부(301)의 돌출된 높이 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2 참조). 그러므로 이탈방지 대응부(607)는 이탈방지부(303)와 만날 수 있고, 권취결정돌출부(609)는 기준걸림부(301)를 타고 넘어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작동구조는 유사하나 더욱 높이를 줄여 끈 조절장치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노브(600)를 더욱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6은 도 35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4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노브(600)와 보빈(700)이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와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 및 제1 플레이트(705)가 생략된다.
다시 말하면, 노브(600)는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는 보빈 체결부(640)를 구비하고, 보빈(700)은 보빈 체결부(640)에 대응하는 노브 체결부(720)를 구비한다(도 35 참조). 따라서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보빈 체결부(640)와 노브 체결부(72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노브(600)와 보빈(700)이 융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노브(600)의 중앙부 및 보빈(700)의 상면 중앙부를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하여 일체로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와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 및 제1 플레이트(705)를 생략하여 더욱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사출 성형이 유리하며 노브(600)의 구동기어부(613)와 보빈(700)의 피동기어부(701)가 생략되므로 장치 전체의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노브(600)는 안쪽의 가운데 부분에 보빈 끼움 돌기부(650)를 구비하고, 보빈(700)은 보빈 끼움 돌기부(650)에 대응하는 노브 끼움 홈부(740)를 구비한다(도 36 참조). 이러한 보빈 끼움 돌기부(650)와 노브 끼움 홈부(740)는 함께 회전할 때 서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끈 조절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는 제10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0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는 제10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0 실시예는 노브(600)와 보빈(700)이 분리형으로 제작된 반면 제11 실시예는 노브(600)와 보빈(70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제작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고정유닛,
200. 베이스,
201. 베이스 하우징부, 203. 베이스 바닥부,
205. 결합 연장부, 207. 제1 끈 삽입부,
209. 제1 끼움홈부, 211. 회전가이드 홈부,
213. 회전축 홈부, 217. 끼움홈부,
300. 제1 하우징,
301. 기준 걸림부, 303. 이탈방지부,
305. 제1 끼움돌기부, 307. 보강리브,
309. 끈 삽입부, 311. 제2 끼움홈부,
313. 정렬홈부, 315. 결합돌기부,
317. 끼움돌기부,
400. 제2 하우징,
401. 제2 끼움돌기부, 403. 정렬돌기부,
405. 끈 삽입부, 407. 결합홈부,
409. 역회전방지암부, 411. 공간부,
413. 기어치,
500. 회전유닛,
600. 노브,
601. 제1 연장부, 603. 제2 연장부,
605. 유격홈부, 607. 이탈방지 대응부,
609. 권취 결정돌출부, 611. 역회전 방지부,
613. 구동기어부, 615, 617. 기어치
619. 기어 플레이트, 621. 걸림돌기,
623. 공간부, 625. 걸림홈부,
627. 삽입 안내부, 629. 끼움홈,
631. 끼움돌기, 640. 보빈 체결부,
650. 보빈 끼움돌기부,
700. 보빈,
701. 피동기어부, 703. 기둥부,
705. 제1 플레이트, 707. 제2 플레이트,
709. 장홈부, 711. 끈 끼움홈부,
713. 안내홈부, 715. 회전축 돌기부,
717. 회전 가이드 돌출부, 720. 노브 체결부,
740. 노브 체결 홈부

Claims (63)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 하우징
    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는 노브,
    상기 고정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끈이 감겨지는 보빈
    을 포함하는 회전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준 걸림부,
    상기 기준 걸림부와 간격을 이루며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이탈방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대응부가 형성되는 제1 연장부,
    권취 및 해제모드를 결정하는 권취 결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축의 중심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원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격홈부를 경계로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유격홈부는
    상기 노브의 측면에 관통된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끈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권취 결정돌출부가 상기 기준 걸림부를 타고 넘어갈 때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원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끈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노브의 원주면을 따라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끈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노브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노브의 회전축 중심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노브의 회전축 중심에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지는 끈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내부에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된 역회전 방지부,
    내부에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부를 기준으로 중심측에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역회전 방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구동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부
    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피동기어부는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되는 끈 조절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장되며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돌출된 기어치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의 돌출된 기어치를 타고 넘어갈 때 상기 자유단부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공간부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끈 조절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돌출된 기어치는
    기어치의 경사방향이 상기 구동기어부의 돌출된 기어치의 경사 방향과 반대로 이루어지고, 기어치의 경사 각도가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의 경사 각도와 다르게 이루어진 끈 조절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기어치는
    기어치의 크기가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지는 끈 조절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는
    기어치의 경사 각도가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기어치의 경사 각도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진 끈 조절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경사진 기어치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끈 조절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그의 외주면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되는 끈 조절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을 포함하는 끈 조절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저면측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끼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끼움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제1 끼움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저면측에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끼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끼움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제2 끼움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끼움돌기부는 그 중의 하나가 다른 제2 끼움돌기부에 비해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지는 정렬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끼움홈부는 그 중 하나가 상기 정렬돌기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정렬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외주면에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내주면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저면측에 관통된 구멍 모양의 하나 이상의 끈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끈 삽입부에 대응하는 또 다른 끈 삽입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기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는
    가운데 부분에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장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홈부와 나란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홈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끈 끼움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끈 끼움홈부는
    상기 장홈부를 직교하여 관통하거나 또는 끼워진 끈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는 끈 조절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끈이 관통하거나 묶여지며 끈이 감겨지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면에 상기 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기둥부의 하면에 상기 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축의 중심 방향으로 파여져 끈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베이스를 향한 면에 회전축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전축 돌기부에 대응하는 회전축 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베이스를 향한 면에 회전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전 가이드 돌출부가 끼워져 상기 보빈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 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내면에 끼움결합 또는 접착 또는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기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된 역회전 방지부,
    상기 베이스를 향해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측에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포함하는 끈 조절장치.
  26. 삭제
  27.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 하우징
    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는 노브,
    상기 고정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끈이 감겨지는 보빈
    을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준 걸림부,
    상기 기준 걸림부와 간격을 이루며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양측 경계에 형성되는 유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장부에 상기 이탈방지부에 대응하는 면이 이탈방지 대응부를 이루고 상기 이탈방지 대응부의 다른 면에 권취결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축의 중심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원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격홈부를 경계로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유격홈부는
    상기 노브의 측면에 관통된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끈 조절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권취 결정돌출부가 상기 기준 걸림부를 타고 넘어갈 때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원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끈 조절장치.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내부에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된 역회전 방지부,
    내부에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부 보다 중심측에 더 가까이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역회전 방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구동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부
    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피동기어부는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기어치가 형성되는 끈 조절장치.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장되며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기어치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의 기어치를 타고 넘어갈 때 상기 자유단부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부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끈 조절장치.
  32.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기어치는
    기어치의 경사방향이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의 경사 방향과 반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회전 방지부의 기어치의 경사 각도가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의 경사 각도와 다르게 이루어진 끈 조절장치.
  33.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기어치는
    기어치의 크기가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지는 끈 조절장치.
  34.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는
    기어치의 경사 각도가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기어치의 경사 각도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진 끈 조절장치.
  35.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기어치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끈 조절장치.
  36.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그의 외주면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되는 끈 조절장치.
  37.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을 포함하는 끈 조절장치.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를 향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끼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끼움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제1 끼움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39.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를 향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끼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끼움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제2 끼움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2 끼움돌기부는 그 중의 하나가 다른 제2 끼움돌기부에 비해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지는 정렬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끼움홈부는 상기 정렬돌기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정렬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1.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외주면에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2.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내주면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3.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측면에 관통된 구멍 모양의 적어도 1개 이상의 끈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끈 삽입부에 대응하여 관통되는 또 다른 끈 삽입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4.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기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는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장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홈부와 나란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홈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끈 끼움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끈 끼움홈부는
    상기 장홈부를 직교하여 관통하거나 또는 끼워진 끈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는 끈 조절장치.
  46.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끈이 관통하거나 묶여지며 끈이 감겨지는 기둥부,
    상기 노브를 향한 상기 기둥부의 단부에 상기 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를 향한 상기 기둥부의 단부에 상기 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축의 중심 방향으로 파여져 끈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7.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베이스를 향한 제2 플레이트에 회전축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전축 돌기부에 대응하는 회전축 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베이스를 향한 제2 플레이트에 회전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전 가이드 돌출부가 끼워져 상기 보빈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 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4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내면에 끼움결합 또는 본딩 또는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기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된 역회전 방지부,
    내부에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부를 기준으로 중심측에 더 가까이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포함하는 끈 조절장치.
  50. 삭제
  5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 하우징
    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전하거나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는 노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에 체결부재로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하여 끈이 감겨지는 보빈
    을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준 걸림부,
    상기 기준 걸림부와 간격을 이루며 상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이탈방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대응부가 형성되는 제1 연장부,
    권취 및 해제모드를 결정하는 권취 결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축의 중심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원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격홈부를 경계로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유격홈부는
    상기 노브의 측면에 관통된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끈 조절장치.
  52.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권취 결정돌출부가 상기 기준 걸림부를 타고 넘어갈 때 상기 제2 연장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원되는 끈 조절장치.
  53.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노브의 원주면을 따라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끈 조절장치.
  54.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내부에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기어치가 형성된 역회전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역회전 방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역회전방지암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55.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기어치가 형성되는 끈 조절장치.
  56.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어 연장되며 자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방지부의 경사진 기어치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의 경사진 기어치를 타고 넘어갈 때 상기 자유단부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부가 상기 역회전방지암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끈 조절장치.
  57.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경사진 기어치가 적어도1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끈 조절장치.
  58.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암부는
    그의 외주면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되는 끈 조절장치.
  59.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을 포함하는 끈 조절장치.
  60.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내주면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61.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측벽에 관통된 구멍 모양의 다수의 끈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끈 삽입부에 대응하는 또 다른 끈 삽입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62.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기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는
    가운데 부분에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장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홈부와 나란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홈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끈 끼움홈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63.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저면에 회전축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전축 홈부에 대응하는 회전축 돌기부를 구비한 끈 조절장치.
KR1020190107510A 2018-09-07 2019-08-30 끈 조절장치 Active KR10231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73,786 US11771179B2 (en) 2018-09-07 2019-09-02 String adjustment device
CN201980073095.0A CN112969379B (zh) 2018-09-07 2019-09-02 带调节装置
PCT/KR2019/011239 WO2020050562A1 (ko) 2018-09-07 2019-09-02 끈 조절장치
US18/241,196 US11998087B2 (en) 2018-09-07 2023-08-31 String adjustment device
US18/647,043 US12250997B2 (en) 2018-09-07 2024-04-26 String adjus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30 2018-09-07
KR20180107030 2018-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46A KR20200028846A (ko) 2020-03-17
KR102314745B1 true KR102314745B1 (ko) 2021-10-19

Family

ID=7000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10A Active KR102314745B1 (ko) 2018-09-07 2019-08-30 끈 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771179B2 (ko)
KR (1) KR102314745B1 (ko)
CN (1) CN1129693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3578A1 (en) 2020-02-14 2021-08-19 Shift Holding, LLC Shift reel and related methods
KR102160426B1 (ko) 2020-07-14 2020-09-28 주식회사 스핀온 와이어 조임장치
KR102374006B1 (ko) 2020-09-25 2022-03-11 김정곤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KR102203129B1 (ko) * 2020-10-16 2021-01-15 대한민국 다이얼식 지혈대
KR20230112712A (ko) * 2020-12-04 2023-07-27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폐쇄 디바이스
KR20230129005A (ko) * 2021-01-08 2023-09-05 친-추 첸 체결 디바이스 및 레이스 조립 방법
USD1014695S1 (en) * 2021-03-24 2024-02-13 Shift Holding, LLC Shift reel
AU2022256972A1 (en) * 2021-04-15 2023-11-09 Pride Manufacturing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dial cover for a rotary closure for a shoe
EP4144250A4 (en) * 2021-07-19 2023-03-08 Shishi Senke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Rotary push-pull rope winder and shoes
US12108843B2 (en) * 2021-08-18 2024-10-08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TWM623553U (zh) * 2021-08-18 2022-02-21 陳金柱 緊固裝置
CN116509108A (zh) * 2022-01-21 2023-08-01 深圳市爱康伟达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系带装置及其止逆机构
JP7349671B2 (ja) * 2022-02-02 2023-09-25 オルバ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止血装置
US11647813B1 (en) * 2022-06-01 2023-05-16 Chunming Rao Quick lacing system
TW202408391A (zh) 2022-08-26 2024-03-01 高笙工業有限公司 繩索旋緊器
JP1763586S (ja) * 2022-11-21 2024-02-15 締め付けボタン
CN115818370A (zh) * 2022-12-15 2023-03-21 深圳市爱康伟达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线轴及包含其的系紧装置与系带的耦合方法
JP7538990B2 (ja) * 2022-12-15 2024-08-23 深▲せん▼市愛康偉達智能医療科技有限公司 スプール、スプールを含む締付装置、及び、スプールと紐との結合方法
WO2025123457A1 (zh) * 2023-12-13 2025-06-19 深圳市声之动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装置松紧扣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398B1 (ko) * 2009-12-31 2010-04-20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TW201127310A (en) * 2010-02-11 2011-08-16 jin-zhu Chen Step-less finetuning buckle
US10070695B2 (en) * 2010-04-30 2018-09-11 Boa Technology Inc. Tightening mechanisms and applications including the same
KR20200077624A (ko) 2010-04-30 2020-06-30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KR100986674B1 (ko) 2010-07-15 2010-10-08 유디텔주식회사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US8434200B2 (en) * 2011-07-13 2013-05-07 Chin-Chu Chen Adjusting device for tightening or loosing laces and straps
KR101099458B1 (ko) 2011-07-25 2011-12-27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US20150191326A1 (en) * 2012-06-22 2015-07-09 Revision Military S.A.R.L. Tensioning reel
KR101249420B1 (ko) * 2012-12-17 2013-04-0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US10076160B2 (en) * 2013-06-05 2018-09-18 Boa Technology Inc.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KR101874925B1 (ko) * 2015-08-21 2018-07-05 김석환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US10264852B2 (en) * 2015-01-14 2019-04-23 Sug Whan Kim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KR101611137B1 (ko) * 2015-07-21 2016-04-08 이호섭 신발끈 조임장치
WO2017138686A1 (ko) * 2016-02-11 2017-08-17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71890B1 (ko) * 2016-04-27 2018-06-2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101723578B1 (ko) 2016-10-10 2017-04-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CN206187398U (zh) * 2016-11-11 2017-05-24 陈金柱 紧固装置
US10842230B2 (en) * 2016-12-09 2020-11-24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KR20180090065A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박의지 끈 조임 장치
CN108738298B (zh) * 2017-02-22 2021-04-16 金硕焕 绳子调节装置
CN107232690A (zh) * 2017-07-26 2017-10-10 莆田市城厢区旋乐美鞋材有限公司 一种鞋带旋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250997B2 (en) 2025-03-18
CN112969379A (zh) 2021-06-15
US20230404214A1 (en) 2023-12-21
KR20200028846A (ko) 2020-03-17
CN112969379B (zh) 2022-05-31
US20210401121A1 (en) 2021-12-30
US11771179B2 (en) 2023-10-03
US11998087B2 (en) 2024-06-04
US20240268522A1 (en) 2024-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745B1 (ko) 끈 조절장치
JP6953675B2 (ja) 紐締め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リール
KR200485472Y1 (ko) 끈을 자동으로 묶을 수 있는 회전식 버클
KR102143929B1 (ko) 끈 조임장치
JP5048096B2 (ja) 履物の紐掛けシステム
KR102385710B1 (ko) 끈 조임 장치 및 끈을 구비한 제품
CN103228235B (zh) 使用紧束系统的护具
EP3589151B1 (en) Reel based closure system
US9854873B2 (en) Guides for lacing systems
US9339089B2 (en) String length adjusting device
JP6881993B2 (ja) 紐巻取装置を備えた物品
US11839265B2 (en) Detachable lacing apparatus using shoelace loop for footwear
KR20210150256A (ko) 스트랩 어셈블리
JP7714231B2 (ja) リール式閉鎖システム
CN221165454U (zh) 一种收线器及具有其的物品
CN117361244A (zh) 一种收放线装置
CN219460469U (zh) 一种系带连接器及包含其的系带系统
KR102172781B1 (ko) 와이어 조임장치
JP2023048886A (ja) 紐締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509332A (zh) 一种收线器及具有其的物品
CN119429876A (zh) 一种收放线装置及物品
CN117486009A (zh) 一种收线器及具有其的物品
JP2025111510A (ja) リール式閉鎖システム
HK40007060B (zh) 具備繩卷取裝置的物品
TWM523326U (zh) 繫線導引件及其繫線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10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