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380B1 - Lumbar support for chair - Google Patents
Lumbar support for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4380B1 KR102314380B1 KR1020210063822A KR20210063822A KR102314380B1 KR 102314380 B1 KR102314380 B1 KR 102314380B1 KR 1020210063822 A KR1020210063822 A KR 1020210063822A KR 20210063822 A KR20210063822 A KR 20210063822A KR 102314380 B1 KR102314380 B1 KR 102314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r
- rear end
- connection part
- support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용 요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높이 및 깊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의자용 요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bar support for a chair, and to a lumbar support for a chair capable of adjusting height and depth according to a user's body type.
일반적인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좌판의 뒤쪽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판과, 팔걸이 및 헤드레스트 등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chair includes a seat plate on which a user sits, a leg supporting the seat plate, a back plate provided behind the seat plate to support the user's back, armrests, a headrest, and the like.
따라서,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학생은 의자를 장시간 사용하므로, 의자의 등판이 사용자의 허리를 잘 받쳐주어야 한다.Therefore, office workers and students studying sitting at a desk use the chair for a long time, so the back of the chair should support the user's waist well.
그러나 종래에 의자는 등판의 요추 지지부의 재질이 등판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강해야 하나 그러하지 못함으로써, 오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하는 사용자는 허리부위에 피로가 가중됨에 따라, 근래에는 의자에 요추받침대가 설치되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material of the lumbar support part of the back plate should be relatively stronger than other parts of the back plate, but this is not the case. As a result, users who work or study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are fatigued in the waist region, and in recent years, The chair is equipped with a lumbar support.
의자용 요추받침대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84987호(의자용 요추지지장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is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1384987 (lumbar support device for a chair).
그러나 종래에 의자용 요추받침대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할 수는 기능은 있으나, 깊이조절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body condition of the us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depth adjustment function.
즉, 높이조절기능은 요추받침대를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요추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이고, 깊이조절기능은 요추받침대를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요추받침대와 허리 사이에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으로서, 요추받침대에 깊이조절기능이 없으면, 사용자에 따라 요추받침대가 허리에 밀착되지 않고 허리를 받쳐주지 못함에 따라, 이러한 자세로 장시간 의자 앉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is a fun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by moving the lumbar sup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ir, and the depth adjustment function is a function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lumbar support and the waist by moving the lumbar suppo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hair. , If the lumbar support does not have a depth adjustment function, depending on the user, the lumbar support does not adhere to the waist and does not support the lower back,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lower back is strained when sitting on a chair in this postur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요추받침대의 높이 및 깊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의자용 요추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umbar support for a chai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nd depth of the lumbar suppor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등판의 내측프레임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면 내측에 후단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전단에 후단이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전단 내측에 후단이 삽입되어 깊이조절수단에 의해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요추를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의자용 요추받침대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inner frame of the back plate, and a first connecting part having a rear end insert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par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ir by a height adjusting means, A chair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part having a rear end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by a fastening means; Provides a lumbar support fo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전면 내측에는 관통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후단을 삽입하고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inner side of the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roove that is penetrated to inser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guide it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i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후단에는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전면 내측에 삽입되고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rotrusion that protrudes a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inner side of the fixing part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i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전단 내측에는 오목하게 파여 상기 받침부의 후단을 삽입하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slide groove for guiding to inser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hai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후단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전단 내측에 삽입되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may further include a slide protrusion that protrudes a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에 양측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계조절홈과, 상기 제1 연결부의 후단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계조절홈 중 어느 하나에 압입되는 탄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tep adjustment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frame, and on both sides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press-fitted into any one of the step adjustment grooves. It may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깊이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부의 후단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전단이 나사산으로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측을 관통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후단에 고정되어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에서 회전하는 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adjusting means includes a nut portion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 bolt portion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nut portion with a thread and a rear end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t may include a knob part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bolt part and rotat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전단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후크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후단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후크부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ans has a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rear ends of the hook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locking groove portion may include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높이 및 깊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장시간 의자에 앉아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른 자세로 인해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아 척추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as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and depth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even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and the spine due to the correct pos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spine as there is no strain on the spine.
또, 요추받침대의 높이 및 깊이조절 조작이 간단하여 남녀노소 구분없이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초보자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nd depth adjustment of the lumbar support is simple, so it is convenient to us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and even beginners can easily assemble i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깊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a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epth adjusting means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in all the drawings below are omitted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깊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pth adjusting means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100)는, 등판(10)의 내측프레임(11)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전면 내측에 후단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150)에 의해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연결부(120)와, 상기 제1 연결부(120)의 전단에 후단이 체결수단(170)으로 고정되는 제2 연결부(130)와, 상기 제2 연결부(130)의 전단 내측에 후단이 삽입되어 깊이조절수단(160)에 의해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요추를 받치는 받침부(140)로 대별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 the
상기 고정부(11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연결부(120)의 후단을 삽입하고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관통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등판(10)의 내측프레임(11)에 체결나사(N)로 고정되기 위한 체결공(112)이 형성된다.The
상기 제1 연결부(120)는 후단에 상기 고정부(110)의 전면 내측에 삽입되고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2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제2 연결부(130)는 전단 내측에 상기 받침부(140)의 후단을 삽입하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오목하게 파인 슬라이드홈(131)이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30)의 체결수단(170)은 상기 제1 연결부(120)의 전단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후크부(171)와, 상기 제2 연결부(130)의 후단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후크부(171)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부(17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fastening means 170 of the
상기 슬라이드홈(131)은 상기 받침부(140)의 회전을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삼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받침부(140)는 후단에 상기 제2 연결부(130)의 전단 내측에 삽입되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돌기(14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슬라이드돌기(141)도 상기 슬라이드홈(131)의 형상에 맞추어 사각 형상, 삼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높이조절수단(150)은 상기 내측프레임(11)의 전면에 양측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계조절홈(151)와, 상기 제1 연결부(120)의 후단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계조절홈(151) 중에서 어느 하나에 압입되는 탄성돌기(152)로 형성된다.The height adjustment means 150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깊이조절수단(160)은 상기 받침부(140)의 후단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너트부(161)와, 상기 너트부(161)에 전단이 나사산으로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연결부(130)의 내측을 관통하는 볼트부(162)와, 상기 볼트부(162)의 후단에 고정되어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30) 사이에서 회전하는 노브부(163)로 형성된다.The depth adjusting means 160 includes a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150)은 요추받침대(100)를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요추받침대(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받침부(14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 받침부(140)와 함께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30)가 의자 상방향이나 의자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150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즉, 제1 연결부(120)가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연결부(120)의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1)도 고정부(110)의 전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을 따라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때, 제1 연결부(120)의 후단에 형성된 탄성돌기(152)는 수축하거나 팽창하며 등판(10)의 내측프레임(11) 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계조절홈(151)을 타고 넘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사용자가 받침부(140)를 임의 위치까지 들어올리거나 내린 후, 받침부(140)의 이동을 멈추면, 탄성돌기(152)가 어느 하나의 단계조절홈(151) 중에 끼워져 멈추게 되고, 탄성돌기(152)가 팽창하며 강하게 단계조절홈(151)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받침부(140)를 다시 들어올리거나 내리지 않는 이상, 요추받침대(100)는 높낮이가 조절된 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stops the movement of the
만약, 사용자가 받침부(140)를 끝까지 들어올리거나 내리면, 제1 연결부(120)의 가이드돌기(121)가 고정부(110)의 가이드홈(111) 상단 및 하단에 걸려 멈춤에 따라, 받침부(140)의 의자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If the user lifts or lowers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깊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epth adjusting means of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조절수단(160)은 요추받침대(100)를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요추받침대(100)와 허리 사이에 거리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노브부(16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브부(163)에 연결된 볼트부(162)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epth adjusting means 160 moves the
따라서, 볼트부(162)에 나사산으로 연결된 너트부(161)가 회전하는 볼트부(162)를 타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너트부(161)를 후단에 삽입 고정한 받침부(140)도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즉, 노브부(16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받침부(140)는 의자 후방향으로 후퇴하고, 노브부(16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받침부(140)는 의자 전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때, 제2 연결부(130)의 슬라이드홈(13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받침부(140)의 슬라이드돌기(141)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드홈(131)에 삽입된 슬라이드돌기(141)는 회전하지 않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슬라이드돌기(141)를 후단에 형성한 받침부(140)도 회전하지 않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받침부(140)가 임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사용자가 노브부(163)의 회전을 멈추면, 사용자가 노브부(163)를 다시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요추받침대(100)는 의자 전후방향으로 깊이가 조절된 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if the
한편,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각각 후크부 및 걸림홈부로 체결됨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초보자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respectively fastened with a hook portion and a locking groove portion, even a beginner can easily assemble i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10: 등판
11: 내측프레임
100: 요추받침대
110: 고정부
111: 가이드홈
112: 체결공
120: 제1 연결부
121: 가이드돌기
130: 제2 연결부
131: 슬라이드홈
140: 받침부
141: 슬라이드돌기
150: 높이조절수단
151: 단계조절홈
152: 탄성돌기
160: 깊이조절수단
161: 너트부
162: 볼트부
163: 노브부
170: 체결수단
171: 후크부
172: 걸림홈부
N: 체결나사10: back
11: inner frame
100: lumbar support
110: fixed part
111: guide home
112: fastener
120: first connection part
121: guide projection
130: second connection part
131: slide groove
140: support
141: slide projection
150: height adjustment means
151: step adjustment groove
152: elastic projection
160: depth adjustment means
161: nut part
162: bolt part
163: knob part
170: fastening means
171: hook part
172: locking groove
N: fastening screw
Claims (8)
상기 고정부(110)의 전면 내측에는 관통되어 상기 제1 연결부(120)의 후단을 삽입하고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120)의 후단에는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110)의 전면 내측에 삽입되고 의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130)의 전단 내측에는 오목하게 파여 상기 받침부(140)의 후단을 삽입하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40)의 후단에는 돌출되어 상기 제2 연결부(130)의 전단 내측에 삽입되고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돌기(141)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150)은 상기 내측프레임(11)의 전면에 양측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계조절홈(151) 및 상기 제1 연결부(120)의 후단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계조절홈(151) 중 어느 하나에 압입되는 탄성돌기(1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깊이조절수단(160)은 상기 받침부(140)의 후단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너트부(161), 상기 너트부(161)에 전단이 나사산으로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연결부(130)의 내측을 관통하는 볼트부(162) 및 상기 볼트부(162)의 후단에 고정되어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30) 사이에서 회전하는 노브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수단(170)은 상기 제1 연결부(120)의 전단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후크부(171) 및 상기 제2 연결부(130)의 후단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후크부(171)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부(17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11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1)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120)의 가이드돌기(121)가 상기 가이드홈(11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120)의 가이드돌기(121)가 상기 고정부(110)의 가이드홈(111)의 상단 내측부 또는 하단 내측부에 걸려져 상기 받침부(140)의 상하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받침대. The first fixing part 110 fixed to the front of the inner frame 11 of the back plate 10, the rear end being inserted into the front inner side of the fixing part 110,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ir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150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the rea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by the fastening means 170, and the rear end is insert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the depth adjusting means In the lumbar support for a chair including a support portion 140 that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hair by (160) and supports the lumbar spine,
A guide groove 111 is formed in the front inner side of the fixing part 110 to inser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guide it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ir,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formed. A guide projection 121 that protrudes a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inner side of the fixing part 110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ir is formed,
A slide groove 131 is form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to inser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140 and guide it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40 ,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140 . There is formed a slide protrusion 141 that protrudes and is insert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and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hair,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50 is formed on both sides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step adjustment grooves 151 formed on both sides 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frame 11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he step adjustment groove 151 )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152 that is press-fitted to any one,
The depth adjusting means 160 is a nut portion 161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40 , a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nut portion 161 with a screw thread, and a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lt part 162 penetrating the inside and a knob part 163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bolt part 162 and rotat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The fastening means 170 is a hook portion 171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respectively, and the hook portion 171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respectively. )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groove portion 172 into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he fixing part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guide groove 1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guide protrusion 121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oves up and down in the guide groove 111 . As it is configured to move, the guide protrusion 121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caught on the upper inner part or the lower inner part of the guide groove 111 of the fixing part 110 to move the support part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umbar support for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limi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3822A KR102314380B1 (en) | 2021-05-18 | 2021-05-18 | Lumbar support for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3822A KR102314380B1 (en) | 2021-05-18 | 2021-05-18 | Lumbar support for ch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4380B1 true KR102314380B1 (en) | 2021-10-21 |
Family
ID=7826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3822A Active KR102314380B1 (en) | 2021-05-18 | 2021-05-18 | Lumbar support for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438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0126B1 (en) * | 2021-12-16 | 2022-04-25 | (주) 파트라 | Lumbar supporting system of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
KR102468455B1 (en) | 2022-07-26 | 2022-11-18 | 신명수 | Lumbar Support Device for Chair with Height Adjustment |
KR20230058946A (en) * | 2021-10-25 | 2023-05-03 | 김홍일 | Apparatus for correcting spinal column |
KR20230058945A (en) * | 2021-10-25 | 2023-05-03 | 김홍일 | Apparatus for correcting cervical vertebrae |
KR102797723B1 (en) | 2025-01-14 | 2025-04-22 | (주)광일체어 | Anti-slip lumbar support for chai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0965A (en) * | 2005-05-23 | 2006-11-28 | (주)체어텍 | Chair with adjustable back |
KR200437376Y1 (en) * | 2007-01-25 | 2007-11-29 | 주식회사 선일 |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lumbar support for chair |
KR101384987B1 (en) | 2013-12-26 | 2014-04-14 | (주) 파트라 | Lumbar support device for chair |
KR101608737B1 (en) * | 2015-09-30 | 2016-04-04 | (주)코아스 | Lumbar vertebrae supporting apparatus and chair having the apparatus |
KR102206733B1 (en) * | 2020-11-11 | 2021-01-25 | 성용기업 주식회사 | Chair lumbar support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adjustment |
-
2021
- 2021-05-18 KR KR1020210063822A patent/KR1023143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0965A (en) * | 2005-05-23 | 2006-11-28 | (주)체어텍 | Chair with adjustable back |
KR200437376Y1 (en) * | 2007-01-25 | 2007-11-29 | 주식회사 선일 |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lumbar support for chair |
KR101384987B1 (en) | 2013-12-26 | 2014-04-14 | (주) 파트라 | Lumbar support device for chair |
KR101608737B1 (en) * | 2015-09-30 | 2016-04-04 | (주)코아스 | Lumbar vertebrae supporting apparatus and chair having the apparatus |
KR102206733B1 (en) * | 2020-11-11 | 2021-01-25 | 성용기업 주식회사 | Chair lumbar support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adjustment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8946A (en) * | 2021-10-25 | 2023-05-03 | 김홍일 | Apparatus for correcting spinal column |
KR20230058945A (en) * | 2021-10-25 | 2023-05-03 | 김홍일 | Apparatus for correcting cervical vertebrae |
WO2023075181A3 (en) * | 2021-10-25 | 2023-12-21 | 김홍일 | Spinal correction device |
KR102632458B1 (en) * | 2021-10-25 | 2024-02-01 | 김홍일 | Apparatus for correcting spinal column |
KR102632457B1 (en) * | 2021-10-25 | 2024-02-01 | 김홍일 | Apparatus for correcting cervical vertebrae |
KR102390126B1 (en) * | 2021-12-16 | 2022-04-25 | (주) 파트라 | Lumbar supporting system of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
US20230190001A1 (en) * | 2021-12-16 | 2023-06-22 | Patra Co., Ltd. | Lumbar supporting system of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
US12042060B2 (en) * | 2021-12-16 | 2024-07-23 | Patra Co., Ltd. | Lumbar supporting system of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
KR102468455B1 (en) | 2022-07-26 | 2022-11-18 | 신명수 | Lumbar Support Device for Chair with Height Adjustment |
KR102797723B1 (en) | 2025-01-14 | 2025-04-22 | (주)광일체어 | Anti-slip lumbar support for chai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4380B1 (en) | Lumbar support for chair | |
CA2234842A1 (en) | Glider chair | |
US9039087B2 (en) | Chair with integrated back plate cell | |
KR101970736B1 (en) | Chair | |
JP4176462B2 (en) | Chair headrest device | |
KR100972233B1 (en) | Frame chair | |
KR102565650B1 (en) | Structure for adjusting support force of lumbar pillow, and chair | |
KR101476621B1 (en) | Chair with integrated back | |
KR102327381B1 (en) | A armrest for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 |
KR200298215Y1 (en) | Device for supporting upper body for desk | |
KR101635091B1 (en) | The back structure of chair | |
KR100605035B1 (en) | Chair integrated desk | |
KR200442423Y1 (en) | Posture chair | |
US10155455B1 (en) | Combining structure between seat body and seat chassis of chair | |
KR200210322Y1 (en) | A chair of seat sliding | |
KR101563537B1 (en) | Adjusting chair of the sheet for the people | |
KR102376153B1 (en) | Bracket assembly for chair including seat plate adjustment unit | |
KR200413853Y1 (en) | A study desk | |
KR102761316B1 (en) |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desk and chair | |
KR102341836B1 (en) | Chair having part for moving backward and forward | |
KR20030030188A (en) | Frame of folding chair joint a desk | |
KR20170046235A (en) | Adjusting chair of the sheet for the people | |
KR101231081B1 (en) | Conecter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desk | |
KR200344011Y1 (en) | A desk having a chair | |
KR20200003987A (en) | The tilting and sliding device equipped with a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5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