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1583B1 -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 Google Patents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583B1
KR102311583B1 KR1020200060803A KR20200060803A KR102311583B1 KR 102311583 B1 KR102311583 B1 KR 102311583B1 KR 1020200060803 A KR1020200060803 A KR 1020200060803A KR 20200060803 A KR20200060803 A KR 20200060803A KR 102311583 B1 KR102311583 B1 KR 10231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cylindrical member
bag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테크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테크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테크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6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583B1/ko
Priority to PCT/KR2020/007336 priority patent/WO2021235587A1/ko
Priority to JP2022563431A priority patent/JP745341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5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5Means acting upon failure of the filtering system, e.g. in case of damage of the filter elements; Failsaf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룸 하부에 오버랩 되는 밀폐된 하우징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백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백필터의 하우징 내부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벽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구성하며 여과집진기 내부공간에 하강 기류를 형성시키는 기류 분사면과, 상기 하강 기류가 분산되어 상기 여과집진기 내부공간의 백필터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백필터 둘레로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DEVICE HAVING MODULE FOR MAKING AIR-CURTAIN AROUND FILTER BAG}
본 발명은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에서 필터백 둘레로 에어커튼을 생성시켜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에서 생성된 하강기류가 분산되어 필터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시설에서는 배출되는 분진 등 입자상 오염물질을 포집하기 위해 여과 집진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여과 집진 장치에는 백필터(bag filter)가 설치되어 미세먼지입자 등을 고효율로 여과시킬 수 있다.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입자 포착율을 높여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필터 표면에 먼지층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경우 압력 손실이 발생하므로 주기적인 탈진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여과 집진 장치에서는 탈진 공정을 통해 필터 표면의 먼지층을 제거할 때나 하부의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때 분진이 재비산되어 장치의 집진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여과 집진 장치의 구조에 의하면 분진을 포함한 공기는 장치 하부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를 거쳐 상부의 유출구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공기 유입 시 장치 하부에 쌓인 분진이 재비산될 수 있고, 탈진 공정에서 떨어져 나온 분진도 장치 하부로 가라앉지 못하고 재비산 되어 필터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 중 하나로, 종래 기술에서는 오프라인(off-line) 탈진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오프라인 탈진방법은 탈진 조작시 백필터 여과 집진 장치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으로, 상향기류가 없기 때문에 탈진효율은 매우 높으나 산업체 특성상 탈진할 때마다 상기 장치의 가동을 중지해 놓을 수 없는 현실 때문에 초기에 백필터 여과 집진 장치를 설치할 때 탈진을 위해 여유분의 장치를 추가로 더 설치하여 추가된 여유분 만큼 상기 장치를 정지시켜 놓고 탈진을 실시하여 전체 가동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장치의 추가설치로 백필터 여과 집진 장치의 전체 설치비용이 약 30%이상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4753호 '원심 여과형 백필터 집진기'(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함)에서는 백필터룸에서 발생된 먼지를 싸이클론룸으로 이동시켜 분진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2에서는 싸이클론에서 일차 분진이 제거된 공기는 원활히 상측의 백필터로 이동하고 백필터의 필터백에서 털려진 분진은 싸이클론으로 원활이 하강되게 함으로써 벤튜리의 상측 백필터룸에 분진과 이물질이 퇴적되지 않게 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하지만, 특허문헌 2의 구조에 따르면 집진설비 중심부에 별도의 벤츄리를 장착하여야 하여 설비의 비용이 증가하고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로막아 장치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680호 '집진기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서는 집진기의 집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며, 집진 오류에 따른 먼지의 비산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특허문헌 3에서는 집진기로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압력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를 설치하고, 승강체의 승강 작동에 연동되어 승강되는 표시체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표시체의 승강됨을 확인하여 집진기의 집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즉, 특허문헌 3은 상승기류에 의한 분진의 재비산을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재비산이 발생하였을 때 사후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89791호 '재비산 및 재부착방지 백필터 여과 집진 장치'(이하 '특허문헌 4'라 함)에서는 백필터에 포집된 분진이 탈진될 때 탈진된 분진 덩어리가 재비산 된 후 백필터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백필터에서의 분진 부하를 줄이는 구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4에서는 기존 백필터 여과 집진 장치에 있어서 백필터 하측에 설치되어 탈진된 분진을 모아주는 깔때기 모양의 분진 포집판과 상기 포집판으로 모아진 분진이 분진 저장조로 이동하도록 분진 포집판과 분진 저장조를 연결시켜주는 배출관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4에서는 탈진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켜 재비산 되는 분진의 양을 줄일 뿐 재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법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831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클린룸 하부에 하강 기류를 생성시키는 밀폐된 격실을 형성하여 분진의 재비산을 방지하는 근본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하강 기류에 의하여 분진이 재비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집진설비 내부의 복잡한 공기 흐름에 의하여 하강 기류가 분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렇게 분산된 하강 기류가 필터백에 부딪쳐 필터백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83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47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6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897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백 둘레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의 하강 기류가 분산되어 필터백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린룸 하부에 오버랩 되는 밀폐된 하우징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백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백필터의 하우징 내부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벽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구성하며 여과집진기 내부공간에 하강 기류를 형성시키는 기류 분사면과, 상기 하강 기류가 분산되어 상기 여과집진기 내부공간의 백필터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백필터 둘레로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류 분사면은 상기 백필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백필터는 상기 관통홀들의 중심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상기 관통홀에 오버랩 되도록 상기 기류 분사면의 하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상하로 연장된 원통 형태를 이루는 제1 원통부재와, 상기 제1 원통부재보다 큰 원주를 갖고 상기 제1 원통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원통부재와, 상기 제1 원통부재와 제2 원통부재를 연결하고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된 판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와류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원통부재는 상기 보호벽이 상기 기류 분사면의 하부로 연장되는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원통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경계에서 상기 기류 분사면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원통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원통부재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백과,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형태를 이루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강 기류를 생성하여 분진이 재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백 둘레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필터백이 상기 하강 기류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여과집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제1 구획과, 상기 제1 구획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획과 단차를 갖도록 상기 제1 구획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필터백을 둘러싸며 상하로 연장된 원통 형태를 이루는 제1 원통부재와, 상기 제1 원통부재보다 큰 원주를 갖고 상기 제1 원통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원통부재와, 상기 제1 원통부재와 제2 원통부재를 연결하고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된 판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와류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필터백 둘레로 직진성을 강화한 하강 기류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백 방향으로 분산된 하강 기류는 필터백에 근접하며 에어커튼에 휩쓸려 기류의 방향이 아래 방향으로 바뀌게 되어 에어커튼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커튼 생성 몸체의 내부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와류 방지 날개를 구비하여 에어커튼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하강 기류의 직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가 적용된 여과집진기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의 확대 개념도.
도 3은 도 2의 IV-IV 라인을 통해 들여다 본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확대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올려다 본 개념도.
도 6은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2단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의 개념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2단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가 적용된 여과집진기의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에 적용되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중 몇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일 뿐,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가 적용된 여과집진기의 개념도이다.
대규모 집진 설비 내부에는 대량의 분진을 한꺼번에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필터가 배치되며, 이러한 집진 설비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복수개의 필터들의 묶음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다발들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필터들이 일정 단위로 묶인 것을 '필터다발'이라 부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기(100)는 바디(101)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다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필터다발(130)과 제2 필터다발(140)이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1)의 상면에는 제1 필터다발(130)을 덮는 제1 덮개(111)와 제2 필터다발(140)을 덮는 제2 덮개(112)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다발에 대한 교체, 수리, 청소 등의 작업을 하고자 할 때 모든 필터다발의 가동을 중단할 필요 없이 각 필터다발의 덮개를 열고 필터다발 단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디(101)의 상단부에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200)는 바디(101)의 상단부에서 필터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200)는 일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후드를 구비한다.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200)의 하부에는 하강 기류 분사면, 하강 기류 집중돌기 및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의 확대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IV-IV 라인을 통해 들여다 본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후드(2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둘러싸고 있는 백필터 보호벽(221)을 따라 장치 내부로 이동한다. 공기 유입시 공기의 압력이 강하기 때문에 백필터 보호벽(221)을 통해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드(210)가 백필터와 대면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드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다발들의 경계를 따라 진행하면서 각 필터다발에 나뉘어 들어가게 된다. 유입되는 공기가 백필터에 직접 닿지 않으므로 백필터에 가해지는 힘이 작아지며 여러 필터다발에 나뉘어 들어가게 함으로써 압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곡면을 이루는 백필터 보호벽(221)에 부딪친 공기는 일부가 곡면을 따라 뒤쪽의 보호벽(221) 쪽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반사되어 양 옆의 보호벽(22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유입된 공기는 사방으로 갈라져 각 필터들의 둘레를 따라 흐르게 된다.
분진 재비산 방지 모듈(200)의 하부에는 기류 분사면(231)이 형성된다. 기류 분사면(231)의 중심부에는 기류 분사홀이 형성된다.
기류 분사홀은 이웃한 두 필터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류 분사면(231)은 필터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부를 향해 내려가도록 기울어지고, 기울어진 분사면(231)의 최하단부에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면(231)의 단부(분사홀 경계)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가 분사홀으로 분사되기 전 돌기를 넘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큰 분진은 하강 기류를 형성하기 전에 미리 걸러질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필터다발들의 경계에는 하강 기류 집중돌기(241)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규모 집진 설비에서는 복수의 필터다발들이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필터다발들이 독립적으로 운용될 경우 하나의 필터다발의 분진이 비산되어 다른 필터다발로 흘러들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다발의 경계에서 강한 하강 기류를 생성하여 한 필터다발에서 비산된 분진이 다른 필터다발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강 기류 집중돌기(241)는 분사면(231)의 단부(분사홀 경계)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강 기류 집중돌기(241)는 기류가 하강하면서 필터에 부딪쳐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강 기류 집중돌기(241)의 내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하단부가 개방된 V자 또는 U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다발 경계에서 일정간격으로 더 강한 하강기류를 생성하는 구역을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류 분사면을 통해 하강 기류가 생성되는데 여과집진기 내부의 상태에 따라 하강 기류가 분산되어 백필터에 충격을 가하는 일이 발생한다.
백필터에 분산 하강 기류가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에는 백필터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이 형성될 수 있다.
백필터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백필터 둘레로 직진성이 강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분산 하강 기류가 백필터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백필터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확대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올려다 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류 분사면은 백필터들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을 구비한다. 또한, 백필터들은 상기 관통홀들의 중심에 배치되어 백필터들의 둘레를 따라 홀이 형성되게 한다.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백필터들이 삽입되는 관통홀들과 오버랩 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제1 원통부재(222), 제2 원통부재(261) 및 와류방지 부재(2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부재(222)는 상하로 연장된 원통 형태를 이룬다. 제1 원통부재(222)는 보호벽(221)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원통부재(222)가 보호벽(221)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경우 제1 원통부재(222)는 보호벽(221)과 분리된 별도의 부재가 아닐 수 있다. 즉, 보호벽(221)이 기류 분사면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제1 원통부재(222)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2 원통부재(261)는 제1 원통부재(222)보다 큰 원주를 갖고 상기 제1 원통부재(2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2 원통부재(261)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원통부재(222)와 평행을 이루지 않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원통부재(261)는 백필터의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져 에어커튼이 중심쪽에서 바깥쪽으로 퍼지도록 만들 수 있다.
복수의 와류방지 부재(271)는 제1 원통부재(222)와 제2 원통부재(261)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와류방지 부재(271)는 서로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된 판형태를 이룬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나의 모듈에는 서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와류방지 부재(271)가 존재하지만 필요에 따라 이격된 각도나 와류방지 부재(271)의 갯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집진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각 필터다발들에 분배되는 과정에서 필터다발들에 진입하는 공기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비스듬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공기가 보호벽(221)을 따라 돌며 백필터 주변에서 와류가 생성될 수 있다.
와류방지 부재(271)는 관통홀을 통해 공기가 내려갈 때 보호벽(221)을 따라 돌며 생성되는 와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원통부재(222)의 높이가 제2 원통부재(261)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백필터에 가까운 부분에서 직전성을 강화시켜주기 위해 백필터에 인접한 가이드면이 되는 제1 원통부재(222)를 더 길게 만들어줄 수 있다.
도 6은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2단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2단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가 적용된 여과집진기의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는 서로 단차를 갖는 2개 구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제1 구획과, 상기 제1 구획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획과 단차를 갖도록 상기 제1 구획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필터다발(130')은 제1 필터다발(130) 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1 필터다발(130)과 제3 필터다발(130') 사이에는 단차면(151)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4 필터다발(140')은 제2 필터다발(140) 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2 필터다발(140)과 제4 필터다발(140') 사이에는 단차면(151)이 형성된다.
높이가 좁은 구획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기 때문에 여과집진기의 규모가 커질 경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의 구획을 나누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후드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키고 후드에서 먼 영역에서는 공기의 흐름을 상승시켜 여과집진기의 탈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백 둘레로 직진성을 강화한 하강 기류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필터백 방향으로 분산된 하강 기류는 필터백에 근접하며 에어커튼에 휩쓸려 기류의 방향이 아래 방향으로 바뀌게 되어 에어커튼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되고, 원통형 커튼 생성 몸체의 내부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와류 방지 날개를 구비하여 에어커튼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하강 기류의 직진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되는 등 종래기술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에 적용되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여과집진기 101 : 바디
111 : 제1 덮개 112 : 제2 덮개
130 : 제1 필터다발 130' : 제3 필터다발
131 : 제1 필터다발의 백필터들 140 : 제2 필터다발
140' : 제4 필터다발 141 : 제2 필터다발의 백필터들
151 : 단차면 200 : 분진 재비산 방지 모듈
210 : 후드 221 : 백필터 보호벽
222 : 제1 원통부재 231 : 기류 분사면
241 : 하강 기류 집중돌기 251 : 하강 기류 강화돌기
261 : 제2 원통부재 271 : 와류방지 부재

Claims (10)

  1. 클린룸 하부에 오버랩 되는 밀폐된 하우징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백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백필터의 하우징 내부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벽;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구성하며 여과집진기 내부공간에 하강 기류를 형성시키는 기류 분사면; 및
    상기 하강 기류가 분산되어 상기 여과집진기 내부공간의 백필터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백필터 둘레로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분사면은 상기 백필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백필터는 상기 관통홀들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상기 관통홀에 오버랩 되도록 상기 기류 분사면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은,
    상하로 연장된 원통 형태를 이루는 제1 원통부재;
    상기 제1 원통부재보다 큰 원주를 갖고 상기 제1 원통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원통부재; 및
    상기 제1 원통부재와 제2 원통부재를 연결하고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된 판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와류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부재는,
    상기 보호벽이 상기 기류 분사면의 하부로 연장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통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경계에서 상기 기류 분사면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원통부재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8.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백; 및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형태를 이루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강 기류를 생성하여 분진이 재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백 둘레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필터백이 상기 하강 기류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제1 구획; 및
    상기 제1 구획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획과 단차를 갖도록 상기 제1 구획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필터백을 둘러싸며 상하로 연장된 원통 형태를 이루는 제1 원통부재;
    상기 제1 원통부재보다 큰 원주를 갖고 상기 제1 원통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원통부재; 및
    상기 제1 원통부재와 제2 원통부재를 연결하고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된 판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와류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기.
KR1020200060803A 2020-05-21 2020-05-21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Active KR10231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03A KR102311583B1 (ko) 2020-05-21 2020-05-21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PCT/KR2020/007336 WO2021235587A1 (ko) 2020-05-21 2020-06-05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JP2022563431A JP7453414B2 (ja) 2020-05-21 2020-06-05 フィルターバッグ保護エアカーテン生成モジュールを含むろ過集塵機の粉塵再飛散防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ろ過集塵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03A KR102311583B1 (ko) 2020-05-21 2020-05-21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583B1 true KR102311583B1 (ko) 2021-10-14

Family

ID=7811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803A Active KR102311583B1 (ko) 2020-05-21 2020-05-21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53414B2 (ko)
KR (1) KR102311583B1 (ko)
WO (1) WO20212355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251A (zh) * 2021-12-24 2022-02-25 马鞍山科宇环保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袋式除尘装置
KR102413127B1 (ko) * 2022-01-27 2022-06-24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멀티 사이클론과 필터백을 이용한 집진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001U (ko) * 1992-11-30 1994-06-15 이창학 백필터식 집진기
KR20030089791A (ko) 2002-05-20 2003-11-28 홍순성 재비산 및 재부착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KR100764753B1 (ko) 2007-07-18 2007-10-08 주식회사 명진 원심 여과형 백필터 집진기
KR101168680B1 (ko) 2007-11-27 2012-07-25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101630810B1 (ko) * 2014-10-28 2016-06-15 주식회사 동화에프엔이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
CN208526081U (zh) * 2018-06-07 2019-02-22 广东优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除尘装置
KR101998316B1 (ko) 2019-02-12 2019-07-09 고대동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집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07976A (fr) * 1967-02-08 1967-12-29 Hydromation Engineering Compan Collecteur de poussières
JP2852197B2 (ja) * 1995-01-30 1999-01-27 有限会社綾川板金工作所 濾過式集塵方法及び濾過式集塵機
KR101450431B1 (ko) * 2013-01-30 2014-10-13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집진장치
CA3174049A1 (en) 2014-10-22 2016-04-28 Aireau Qualite Controle Inc. Dust collector with removable filter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001U (ko) * 1992-11-30 1994-06-15 이창학 백필터식 집진기
KR20030089791A (ko) 2002-05-20 2003-11-28 홍순성 재비산 및 재부착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KR100764753B1 (ko) 2007-07-18 2007-10-08 주식회사 명진 원심 여과형 백필터 집진기
KR101168680B1 (ko) 2007-11-27 2012-07-25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101630810B1 (ko) * 2014-10-28 2016-06-15 주식회사 동화에프엔이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 먼지 집진 장치
CN208526081U (zh) * 2018-06-07 2019-02-22 广东优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除尘装置
KR101998316B1 (ko) 2019-02-12 2019-07-09 고대동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집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251A (zh) * 2021-12-24 2022-02-25 马鞍山科宇环保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袋式除尘装置
KR102413127B1 (ko) * 2022-01-27 2022-06-24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멀티 사이클론과 필터백을 이용한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53414B2 (ja) 2024-03-19
WO2021235587A1 (ko) 2021-11-25
JP2023522922A (ja)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316B1 (ko)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집진 장치
KR100729442B1 (ko) 습식집진기
KR100761445B1 (ko) 모듈화된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KR101975035B1 (ko)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2311583B1 (ko)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CN107213739A (zh) 一种新型煤矿高效复合式湿式除尘器
WO2003084642A1 (en) Dust collector
KR101883658B1 (ko) 고효율 마이크로버블 습식집진장치
CN208839272U (zh) 一种旋流洗涤式粉尘废气净化设备
KR102035635B1 (ko) 터널 등 건설공사시 발생하는 분진 제거용 집진 장치와 방법
KR101140251B1 (ko) 침액식 스크러버
JP5432265B2 (ja) 研掃材のセパレータ及び分離方法
KR102027895B1 (ko) 진공압을 이용한 와류형 기액 혼합식 스크러버 장치
JP7054286B2 (ja) 粉塵等除去用セパレータ
KR20140114233A (ko) 먼지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습식 집진 시스템
CN119466950A (zh) 一种隧道高效组合式循环除尘设备
CN108905475A (zh) 一种旋流洗涤式粉尘废气净化设备
KR100913031B1 (ko) 복합형 집진장치
CN117046625A (zh) 一种可实时自动清灰防堵的高效多管除尘器
CN114618254B (zh) 一种湿式除尘器
CN110496485A (zh) 一种旋转管湿式除尘器
CN211756299U (zh) 一种全面水幕空气颗粒处理设备
CN222984014U (zh) 一种卧式布置的湿式高效捕尘器
CN2149241Y (zh) 汶氏喷管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