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0439B1 -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 Google Patents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439B1
KR102310439B1 KR1020210097514A KR20210097514A KR102310439B1 KR 102310439 B1 KR102310439 B1 KR 102310439B1 KR 1020210097514 A KR1020210097514 A KR 1020210097514A KR 20210097514 A KR20210097514 A KR 20210097514A KR 102310439 B1 KR102310439 B1 KR 10231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post
jack
rack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439B9 (ko
Inventor
김문용
Original Assignee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439B1/ko
Publication of KR10231043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439B9/ko
Priority to PCT/KR2022/009730 priority patent/WO2023008765A1/ko
Priority to EP22849742.6A priority patent/EP4378813A4/en
Priority to CN202280052385.9A priority patent/CN117715819A/zh
Priority to US18/291,914 priority patent/US20240360638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02B17/081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잭업바지선의 바지선을 해저바닥에 고정된 포스트 상에서 위치를 조절하여 잭킹하여 고정하도록 된 잭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의 표면을 안정적이면서 확고하게 파지하여, 포스트에 대하여 플랫폼이 승,하강되는 동작을 구현할 때,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잭업바지선의 바지선 잭킹을 위한 랙과 피니언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Rackpinion type jacking system of jack-up barges}
본 발명은, 잭업바지선의 바지선을 해저바닥에 고정된 포스트 상에서 위치를 조절하여 잭킹하여 고정하도록 된 잭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의 표면을 안정적이면서 확고하게 파지하여, 포스트에 대하여 플랫폼이 승,하강되는 동작을 구현할 때,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잭업바지선의 바지선 잭킹을 위한 랙과 피니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너울과 파랑을 피하고 대형공사 등을 위해 잭업바지선 등과 같은 바지선을 띄워 해상의 작업위치에 고정시킨 후 작업하게 된다.
이러한 공사중에 해역에서 해저 지층을 굴착하거나, 해상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요즘들어 해상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데 있어 주로 이용되는 것이 잭업바지선 (jack-up barge)이다.
이와 같은 잭업 바지선은, 작업도구를 배치하고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지선과, 이 바지선을 수상에 띄워 지지하는 적어도 3~4개 이상의 포스트(레그)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잭업바지선은 상기 포스트(레그)에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파지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포스트(레그)와 대응되는 상기 잭업바지선에는, 상기 포스트(레그)에 대하여 상기 바지선을 승강시켜 잭킹함으로써 그 평편성을 유지하면서 고정하도록 된 잭킹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에서 잭킹장치는, 상기 잭업바지선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시켜 옮겨가며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잭킹장치는 상기 포스트(레그)를 따라 상기 바지선을 상,하로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바지선을 수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이격시켜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통상적인 잭킹장치는,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17319호(명칭: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볼식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2003.03.20.)에서 공지된 공보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저의 바닥에 직립되게 고정되는 포스트를 에워싸며 플랫폼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상하 한 쌍의 환형가이드와, 상기 환형가이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환형가이드에서 선회되면서 조여들거나 벌어져서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플랫폼을 상기 포스트에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재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에서 클램핑부재는, 하나는 환형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환형가이드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선회가능하게 상기 환형가이드에 힌지로 결합된 한쌍의 반원형 연결부재와,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포스트에 밀착되는 다수의 상기 치조부 및, 상기 환형가이드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반원형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선회가능한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된 상기 연결부재쪽으로 밀어 상기 포스트에 상기 치조부를 밀착시키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력을 이용하여 가동되는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된 상기 연결부재를 향하여 밀어서 상기 포스트에 상기 치조부를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상기 포스트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50162호(명칭: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2014.04.2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 착지 가능하도록 승강식 다리가 삽입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승강하우징이 형성된 부유식 바지선을 포함하는 잭업바지선; 및 상기 부유식 바지선에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교각부; 상기 회전교각부 상면에 설치된 해상교량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되는 해상교량 회전힌지부;와 상기 해상교량 회전힌지부 전면부에 설치된 압출식거더;를 포함하는 해상교량;을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압출식거더는 내측 압출식거더를 포함하도록 제작되어 해상교량 회전힌부에 의하여 해저로도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60506호(명칭: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2013.05.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스트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플랫폼과,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에 클램핑된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와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는 바지선에서 플랫폼의 수평위치를 확인하고 수평을 유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외측테두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과, 한쌍의 분기관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두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연결관을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유체수용관사이를 연통연결하면서 상기 수두관에 일정높이의 수위를 형성하도록 유체가 채워지는 측정부;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수두관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에 센서부재를 갖추어 상기 수두관에서의 수위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검출되는 수위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상하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를 가지는 승강식 바지선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05874호(명칭: 바지선의 승강장치/2013.01.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선체, 잭하우스, 레그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지선을 승강시키는 바지선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그파이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외주면상에 4개 열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파이프 외주면 주위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실린더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실린더블록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실린더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제1, 2실린더블록 각각은 상기 레그파이프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레그핀, 상기 레그핀을 지지하되 중앙에는 레그핀이 관통되는 관통공과 그 양쪽 하부에 실린더로드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 평판재형상의 레그핀브라켓과, 상기 레그핀브라켓의 체결공에 각각 실린더로드 선단이 연결되는 2개의 실린더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체에는 고정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조립체 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되는 바지선의 승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87681호(명칭: 바지선의 승하강장치/2011.08.3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선체와, 잭 하우스와, 레그 파이프가 구비된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잭 하우스의 상,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레그 파이프의 상, 하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하는 상, 하부 트레벌스와, 상기 상,하부 트레벌스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 트레벌스를 각각 상, 하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복수 개의 리프팅 실린더와, 상기 상, 하부 트레벌스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레그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상, 하부 트레벌스를 레그 파이프에 록킹 및 해제하는 복수 개의 록킹수단이 구성된 바지선의 승하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50162호(2014.04.25.)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60506호(2013.05.2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05874호(2013.01.1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87681호(2011.08.31.)
본 발명의 목적은, 잭업바지선의 바지선을 해저바닥에 고정된 포스트 상에서 위치를 조절하여 잭킹하여 고정하도록 된 잭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의 표면을 안정적이면서 확고하게 파지하여, 포스트에 대하여 플랫폼이 승,하강되는 동작을 구현할 때,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잭업바지선의 바지선 잭킹을 위한 랙과 피니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은,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플랫폼(20)과; 상기 플랫폼(20) 상에 설치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제어수단(30)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서 제어되며, 상기 플랫폼(20) 상의 일측 중 포스트(10)에 결합되어 플랫폼(20)의 상승과 하강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포스트(10)는 일측에 랙기어(11)가 포스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0)에는 랙기어(11)를 피해 외주면에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의 외면에는 다수의 격벽이 커버로부터 일체로 결합되어 뼈대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의 외측으로는 구동수단(40)을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b)이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브라켓(b)에 의해 결합된 외부케이스(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은, 적어도 3개 이상 다수 영역의 편심된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된 크랭크축(42) 과; 상기 크랭크축(42)의 편심된 영역마다 결합된 커넥팅로드(43)와; 상기 커넥팅로드(43)에 결합되고, 길이 가변이 가능한 실린더(44);가 상기 외부케이스(41) 내측에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42)의 단부에는 포스트(10)의 랙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p)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42), 커넥팅로드(43) 및 실린더(44)는 상기 피니언기어(p)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동수단(40)을 연장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42)에 의해 3개의 편심된 영역 각각에 실린더(44)가 결합됨으로써, 어느 1개의 실린더(44)만 구동되어도 피니언기어(p)가 랙기어(1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실린더가 개별구동됨으로 인해, 실린더 각각에서 동시에 힘이 인가되어야지만 포스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에너지 발생의 낭비에 대한 문제점은 물론, 잭킹시스템을 새로 구축하거나 유지보수 혹은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체 구성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에 의하면,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에 필요한 힘을 공유하기 때문에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면서, 만약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상구동이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교체작업시에도 플랫폼(20)의 크기에 맞춰 제어수단(30)의 동력공급을 위한 수단(모터 등)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증가된다.
설령, 구동수단(40)의 세부부품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부품의 교체 역시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트의 표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바지선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의 파지압력 및 기어구동에 대하여 구동실린더와 크랭크구조가 적용되어 구동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직선운동을 직접적으로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피니언기어를 회전시켜 이에 따른 랙기어의 직선운동을 통해, 포스트에 대한 바지선의 잭킹동작을 구현하도록 됨에 따라, 모터와 감속기를 구동원하는 하는 종래의 랙과 피니언에 의한 잭킹시스템보다 단순한 구조와 부피의 저감을 통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포스트에 대하여 바지선이 승하강되는 동작을 구현할 때, 정속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의 구동수단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의 구동수단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의 구동수단의 외부케이스가 결합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수단 중, 외부케이스가 제거된 내부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잭업바지선의 바지선을 해저바닥에 고정된 포스트 상에서 위치를 조절하여 잭킹하여 고정하도록 된 잭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의 표면을 안정적이면서 확고하게 파지하여, 포스트에 대하여 플랫폼이 승,하강되는 동작을 구현할 때,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잭업바지선의 바지선 잭킹을 위한 랙과 피니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은,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20)을 포스트(10)에 고정시키고, 상기 포스트(10)를 따라 플랫폼(20)을 승강시켜 해상에서 플랫폼(20)을 원하는 위치 및 높이로 잭킹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플랫폼(20)에는 포스트(10)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지면(수면)에서부터 입설된 다수 개의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플랫폼(20)과; 상기 플랫폼(20) 상에 설치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제어수단(30)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서 제어되며, 상기 플랫폼(20) 상의 일측 중 포스트(10)에 결합되어 플랫폼(20)의 상승과 하강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40)은 첨부된 도면의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의 구동수단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구동수단(40)은 다수 개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각각의 층의 구조물이 제어수단(30)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제어되어 포스트(1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40)은 도 2의 구조가 대칭되도록 연장되어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40)을 부연하면, 첨부된 도면의 도 4 및 도 5를 참조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의 구동수단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면, 상기 포스트(10)는 일측에 랙기어(11)가 포스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10)에는 랙기어(11)를 피해 외주면에 커버(도면부호 미표시)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의 외면에는 다수의 격벽이 커버로부터 일체로 결합되어 뼈대를 형성하고, 이러한 뼈대를 이용하여 구동수단(40)이 커버 및 뼈대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뼈대의 외측으로는 구동수단(40)을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b)이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동수단(4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의 구동수단의 외부케이스가 결합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6의 구동수단 중, 외부케이스가 제거된 내부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40)은 도 6과 같이 외부케이스(41)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케이스(41)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뼈대에 일체 혹은 용접 등으로 결합되며 브라켓(b)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41)의 내부는 첨부된 도면의 도 5 및 도 7을 참조할 수 있으며, 부연하면, 적어도 3개 이상 다수 영역의 편심된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된 크랭크축(42) 과; 상기 크랭크축(42)의 편심된 영역마다 결합된 커넥팅로드(43)와; 상기 커넥팅로드(43)에 결합되고, 길이 가변이 가능한 실린더(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실린더(44)는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제어되어 길이가 가변되면서 크랭크축(42)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실린더(44)의 제어수단(30)에 결합되는 일단부는 고리와 힌지의 결합으로 실린더(44)가 소정의 각도만큼 유동범위를 가지면서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실린더(44)와 제어수단(30)의 결합관계는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하게 도출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된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구동수단(40)의 구성은, 상술된 크랭크축(42) 내지 실린더(44)의 구성이 추가로 연장되는, 즉 6개의 실린더와 2개의 크랭크축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42)의 일단부에는 피니언기어(p)가 결합되도록 하는데, 상술된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구동수단(40)의 경우, 상기 피니언기어(p)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연장된 구성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피니언기어(p)는, 상기 포스트(10)의 랙기어(11)에 맞물리는 기어 구성으로서, 제어수단(3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42)이 구동됨에 따라 피니언기어(p)가 회전되어 랙기어(1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힘에 의해 구동수단(40)의 상승과 하강이 제어되고, 최종적으로 플랫폼(20)의 상승과 하강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 관련 기술을 참조하면, 실린더가 개별구동됨으로 인해, 실린더 각각에서 동시에 힘이 인가되어야지만 포스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에너지 발생의 낭비에 대한 문제점은 물론, 잭킹시스템을 새로 구축하거나 유지보수 혹은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체 구성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과 같이 비록 다수 개의 실린더 구성을 구비하더라도,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에 필요한 힘을 공유하기 때문에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면서, 만약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상구동이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교체작업시에도 플랫폼(20)의 크기에 맞춰 제어수단(30)의 동력공급을 위한 수단(모터 등)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증가된다.
설령, 구동수단(40)의 세부부품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부품의 교체 역시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이때, 첨부된 도면의 도 7과 같이, 외부케이스(41)의 일측으로는 고정수단(도면부호 미표시)이 다수 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수단이란, 어느 하나의 실린더(44)를 기준으로 양방향에 2개 구성되며, 각각의 일측에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실린더(44)를 핀이나 돌기 등의 결합을 통해 실린더(44)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실린더(44)의 로드를 고정하는 것은 아니고, 로드가 수용되어 인출되도록 하는 실린더커버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의 안정적인 고정은 물론, 상술된 구조의 정상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p : 피니언기어
b : 브라켓
10 : 포스트
11 : 랙기어
20 : 플랫폼
30 : 제어수단
40 : 구동수단
41 : 외부케이스
42 : 크랭크축
43 : 커넥팅로드
44 : 실린더

Claims (7)

  1.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플랫폼(20)과;
    상기 플랫폼(20) 상에 설치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제어수단(30)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서 제어되며, 상기 플랫폼(20) 상의 일측 중 포스트(10)에 결합되어 플랫폼(20)의 상승과 하강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10)는 일측에 랙기어(11)가 포스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0)에는 랙기어(11)를 피해 외주면에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의 외면에는 다수의 격벽이 커버로부터 일체로 결합되어 뼈대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외측으로는 구동수단(40)을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b)이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브라켓(b)에 의해 결합된 외부케이스(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적어도 3개 이상 다수 영역의 편심된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된 크랭크축(42) 과;
    상기 크랭크축(42)의 편심된 영역마다 결합된 커넥팅로드(43)와;
    상기 커넥팅로드(43)에 결합되고, 길이 가변이 가능한 실린더(44);가 상기 외부케이스(41) 내측에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42)의 단부에는 포스트(10)의 랙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p)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크랭크축(42), 커넥팅로드(43) 및 실린더(44)는 상기 피니언기어(p)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동수단(40)을 연장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42)에 의해 3개의 편심된 영역 각각에 실린더(44)가 결합됨으로써, 어느 1개의 실린더(44)만 구동되어도 피니언기어(p)가 랙기어(1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7. 삭제
KR1020210097514A 2021-07-26 2021-07-26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Active KR10231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14A KR102310439B1 (ko) 2021-07-26 2021-07-26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PCT/KR2022/009730 WO2023008765A1 (ko) 2021-07-26 2022-07-06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EP22849742.6A EP4378813A4 (en) 2021-07-26 2022-07-06 RACK-TYPE LIFTING SYSTEM FOR SELF-ELEVATING BARGE
CN202280052385.9A CN117715819A (zh) 2021-07-26 2022-07-06 自升式驳船的齿条齿轮式顶升系统
US18/291,914 US20240360638A1 (en) 2021-07-26 2022-07-06 Rack-and-pinion type jacking system for jack-up bar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14A KR102310439B1 (ko) 2021-07-26 2021-07-26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439B1 true KR102310439B1 (ko) 2021-10-08
KR102310439B9 KR102310439B9 (ko) 2022-01-17

Family

ID=7860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514A Active KR102310439B1 (ko) 2021-07-26 2021-07-26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360638A1 (ko)
EP (1) EP4378813A4 (ko)
KR (1) KR102310439B1 (ko)
CN (1) CN117715819A (ko)
WO (1) WO20230087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765A1 (ko) * 2021-07-26 2023-02-02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81A (ko) 2010-01-27 2011-08-03 주식회사 만도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랙피스톤과,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30005874A (ko)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
KR20130060506A (ko) 2011-11-30 2013-06-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140050162A (ko) 2012-10-18 2014-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동공구의 직류 전원 공급장치
KR101915957B1 (ko) * 2018-08-08 2018-11-07 (주)명일정공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KR20190108465A (ko) * 2018-03-14 2019-09-24 (주) 백건준설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4683A (en) * 1930-07-21 1932-08-30 Emma F Wools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574273A (en) * 1946-12-06 1951-11-06 Detroit Harvester Co Hydraulic cylind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S5020756B1 (ko) * 1970-10-13 1975-07-17
US4227831A (en) * 1978-04-04 1980-10-14 Raymond International Builders, Inc. Self-contained offshore platform
US4947516A (en) * 1988-10-05 1990-08-14 Whirlpool Corporation Lid retainer mechanism for automatic washer
JP2568732Y2 (ja) * 1993-01-12 1998-04-15 株式会社大林組 ラック式昇降装置の給油装置
US6584945B2 (en) 2001-08-23 2003-07-01 Illinois Tool Works Inc. Spark unit for combustion-powered driving tool
KR101399940B1 (ko) * 2012-06-29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2310439B1 (ko) * 2021-07-26 2021-10-08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81A (ko) 2010-01-27 2011-08-03 주식회사 만도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랙피스톤과,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30005874A (ko)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
KR20130060506A (ko) 2011-11-30 2013-06-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140050162A (ko) 2012-10-18 2014-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동공구의 직류 전원 공급장치
KR20190108465A (ko) * 2018-03-14 2019-09-24 (주) 백건준설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KR101915957B1 (ko) * 2018-08-08 2018-11-07 (주)명일정공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765A1 (ko) * 2021-07-26 2023-02-02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15819A (zh) 2024-03-15
EP4378813A1 (en) 2024-06-05
US20240360638A1 (en) 2024-10-31
KR102310439B9 (ko) 2022-01-17
EP4378813A4 (en) 2025-07-09
WO2023008765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04091B2 (en) Method for providing a foundation for a mass located at height, and a positioning frame for performing the method
DK2423390T3 (en) Turning module for use in producing an underwater foundation for a building
JPS6315381Y2 (ko)
KR102033794B1 (ko) 해상 풍력 터빈용 토대, 그 해상 풍력 터빈 및 그 설치 방법
JP2011112045A (ja) 風力タービン固定および吊り上げ装置、および水上移動式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
KR101354383B1 (ko) 수중 발파작업용 작업선
KR101915957B1 (ko)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US2946566A (en) Subaqueous drilling apparatus
KR101422227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255980B1 (ko) 잭업바지선의 워터해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시스템
KR102310439B1 (ko)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US4505615A (en) Method of supporting a shallow water drilling barge
TWI764495B (zh) 用於調整風力機系統之裝置和方法以及風力機系統之塔柱
KR102050393B1 (ko) 승강식 부선의 잭업 엘리베이팅 시스템 홀딩용 기계식 스크류타입 클램프
CN111962552A (zh) 一种海上风电基础打入式嵌岩单桩施工工艺
KR101905454B1 (ko)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KR101117927B1 (ko) 해상구조물 가설 공법
GB2460547A (en) Marine transportation pontoon
KR20170054943A (ko) 캔틸레버형 작업 플로어를 갖는 해양 플랜트
KR101762840B1 (ko) 해양 구조물
KR20140122794A (ko) 상하동요 보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추선
US11131073B2 (en) Method for foundation of a transformer platform and transformer platform with at least three piles
HK1198188A1 (en) A construction technology of assembling 4 nos. of prefabricated 1/4 cellular main cell on site
CN220433648U (zh) 一种多功能稳桩平台
JP7295581B1 (ja) 作業台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2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