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305B1 - System for purifying groundwat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purifying ground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0305B1 KR102310305B1 KR1020190115135A KR20190115135A KR102310305B1 KR 102310305 B1 KR102310305 B1 KR 102310305B1 KR 1020190115135 A KR1020190115135 A KR 1020190115135A KR 20190115135 A KR20190115135 A KR 20190115135A KR 102310305 B1 KR102310305 B1 KR 1023103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water
- tank
- membrane
- ozone
- arsen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02F1/64—Heavy metal compounds of iron or mangane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비소가 고체상의 침전물로 변환되는 반응을 촉진시켜 지하수에서 비소를 제거한 후,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라디칼 산화 반응을 시킴으로써 지하수에 존재하는 철, 망간을 제거하여,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 철, 망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지하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supplying iron ions to groundwater using electricity to promote a reaction in which arsenic is converted into a solid precipitate to remove arsenic from groundwater, and then to the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has been removed. It relates to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move arsenic, iron, and manganese contained in groundwater by removing iron and manganese existing in groundwater by supplying ozone and performing a radical oxidation rea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비소가 고체상의 침전물로 변환되는 반응을 촉진시켜 지하수에서 비소를 제거한 후,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라디칼 산화 반응을 시킴으로써 지하수에 존재하는 철, 망간을 제거하여,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 철, 망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지하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supplying iron ions to groundwater using electricity to promote a reaction in which arsenic is converted into a solid precipitate to remove arsenic from groundwater, and then to the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has been removed. It relates to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move arsenic, iron, and manganese contained in groundwater by removing iron and manganese existing in groundwater by supplying ozone and performing a radical oxidation reaction.
지하수는 지표면 하부 퇴적물의 공극이나 암반의 파쇄면 내 부존하는 물을 의미하는데, 지표수에 비하여 개발 비용이 싸고 용이하여 농업, 생활 및 공업 용수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하수에는 암석, 광물 등에서 용해된 철, 망간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지하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정화 과정이 필요하다.Groundwater refers to the water that exists in the voids of the sediment below the surface of the earth or in the fracture surface of the bedrock. Compared to surface water, the development cost is cheap and easy, so it is widely used for agricultural, living and industrial water. However, since groundwater contains a large amount of iron and manganese dissolved in rocks and minerals, a purification process is required in order to use groundwater as drinking water.
물을 정화하는 방법은 하기의 특허문헌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을 이용한 필터링, 라디칼 산화, 전기 분해, 화학 약품 처리, 열처리 등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As a method of purifying water, various methods such as filtering using a membrane, radical oxidation, electrolysis, chemical treatment, and heat treatment exist,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공보 제10-1818651호(2018. 01. 09. 등록) "다양한 배치가 가능한 멤브레인 모듈 하우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18651 (Registered on Jan. 09, 2018) "Membrane module housing that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하지만, 종래의 물처리 방법 중 일부는 지하수를 먹는 물로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비소, 철, 망간, 유기물 등이 들어 있는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some of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methods are not suitable for preparing groundwater for drinking,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groundwater containing arsenic, iron, manganese, organic matter, etc. cannot be effectively tre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 철, 망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지하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arsenic, iron, and manganese contained in groundwater.
또한,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비소가 고체상의 침전물로 변환되는 반응을 촉진시켜 지하수에서 비소를 제거한 후,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라디칼 산화 반응을 시킴으로써 지하수에 존재하는 철, 망간을 제거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electricity to supply iron ions to groundwater to promote a reaction in which arsenic is converted into a solid precipitate to remove arsenic from groundwater, and then supply ozone to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has been removed for radical oxidation reac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reatment efficiency by removing iron and manganese existing in groundwater.
또한, 본 발명은 나노 버블 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오존 나노 버블에 의해 오존의 포화 용존도를 높이고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하이드록시 라디칼을 생성하여, 산화 반응을 촉진하여 효과적으로 철, 망간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anobubble device to supply ozone to groundwater, so that ozone nanobubbles increase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ozone and increase the residence time, while generating hydroxyl radicals to promote oxidation and effectively ir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removing manganese.
또한, 본 발명은 비소를 고체상의 침전물로 변환시킨 후 분리조에서 비소 침전물과 함께 유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라디칼 산화 반응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하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contamination by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a radical oxidation reaction by converting arsenic into a solid precipitate and then removing organic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the arsenic precipitate in a separation tank.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은 동력의 공급없어 물의 압력으로만 산화반응조에서 분리막조로 지하수를 공급하고, 분리막조에서 처리된 지하수는 오존처리부에 공급되어 산화반응조로 이동하여, 철, 망간이 산화되어 침전물이 형성되는 과정과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높이면서도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지하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groundwater is supplied from the oxidation tank to the membrane tank only by the pressure of water without power supply, and the groundwater treated in the membrane tank is supplied to the ozone treatment unit and moves to the oxidation tank, and iron and manganese are oxidized to form a precipit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while increasing treatment efficiency by repeating the process of being used and filtering through a membrane.
또한, 본 발명은 산화반응조에서 침전물이 하향하는 과정에서 산화반응조의 지하수를 분리막조에 공급하는 연결관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분리막조에서 배출된 지하수를 멤브레인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지하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flow of groundwater from the oxidation tank into the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the membrane tank to the membrane tank in the process of the sediment descending from the oxidation tank, and groundwater that can move the groundwater discharged from the membrane tank toward the membrane It aims to provide a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을 생성시켜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를 제거하는 전기응집처리부와, 상기 전기응집처리부를 통해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철과 망간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고체상의 철 침전물 및 망간 침전물을 형성하는 산화반응처리부를 포함하여,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 철 및 망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al coagulation unit for supplying iron ions to groundwater using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solid arsenic deposits to remove arsenic contained in groundwater; Arsenic, iron and manganese contained in groundwater, including an oxidation reaction treatment unit that forms solid iron and manganese precipitates by oxidizing iron and manganese by supplying ozone to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mov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응집처리부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이 생성되도록 하는 전기응집기와, 상기 전기응집기를 통과한 지하수에서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 및 유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응집기의 양극은 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oagulation unit includes an electric coagulant for supplying iron ions to the groundwater using electric energy to generate solid arsenic deposits; and a separation tank for removing solid arsenic deposits and organic foreign substances from the ground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roup, wherein the anode of the electrocoagulator is made of ir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는 내부 하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1격벽과, 내부 상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격벽과 지하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은 지하수 이동 방향으로 연이어 반복 형성되고, 상기 전기응집기를 통과한 지하수는 유입구를 통해 분리조에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져 제1격벽과 상면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후, 하측으로 떨어져 제2격벽과 하면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타 제1격벽과 상면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 침전물과 유기 이물질은 분리조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측으로 침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tank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econd bulkhead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lkhea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groundwater movemen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are repeatedly formed in succession in the groundwater movement direction, and the groundwater passing through the electrical coagulator enters the inlet.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tank, the water level rises,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ulkhead and the upper surface, then falls to the lower side,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bulkhead and the lower surface, and moves to the upper side. Since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fter repeating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pace, arsenic deposits and organic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groundwate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recipitated downwar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eparation tan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부는 상기 전기응집처리부를 통해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처리부와, 상기 오존처리부를 통과한 지하수에 포함된 철과 망간이 오존과 반응하여 고체상의 철 침전물과 망간 침전물이 형성도록 하는 산화반응조를 포함하며, 상기 오존처리부는 나노 버블 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오존 나노 버블에 의해 오존의 포화 용존도를 높이고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하이드록시 라디칼을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xidation treatment unit includes an ozone treatment unit for supplying ozone to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electrical coagulation treatment unit, and the groundwater passing through the ozone treatment unit. and an oxidation reaction tank in which iron and manganese contained in the ozone react with ozone to form a solid iron precipitate and manganese precipitate, wherein the ozone treatment unit supplies ozone to groundwater using a nanobubble device, so that ozone nanobubb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romote the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s while increasing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ozone and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시스템은 상기 산화반응처리부를 통과한 지하수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산화반응조와 연통되어 상기 산화반응조에서 배출된 지하수를 수용하는 분리막조와, 상기 분리막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막조 내의 지하수를 여과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반응조와 분리막조는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산화반응조의 지하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연결관을 통해 분리막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ltration unit for filtering the ground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xidation treatment unit, and the filter unit communicates with the oxidation reaction vessel and is discharged from the oxidation vessel. a membrane tank for accommodating the groundwater, and a membrane positioned inside the membrane tank to filter groundwater in the membrane tank, wherein the oxidation reaction tank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an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ipe, and the groundwater of the oxidation tank is subjected to the pressure of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to the separation membrane tank through the connecting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일단은 산화반응조에 위치하고 타단은 분리막조에 위치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하향절곡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지하수가 배출되는 상향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산화반응조에서 침전물이 하향하는 과정에서 연결관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ipe has a connection part located at one end in the oxidation reaction tank and the other end in the separation membrane tank,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bent downward to form the ground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the sediment into the connection pipe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from the oxidation tank by including a downward bending part to be introduced and an upward bending part bent upwar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to discharge groundwater.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순환관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관의 일단은 상기 멤브레인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오존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여과된 지하수는 다시 오존처리부에 공급됨으로써, 철 및 망간이 산화되어 침전물이 형성되는 과정과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되는 과정이 반복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rane is connected to a circulation pipe, and one end of the circulation pipe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embra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zone treatment unit, The groundwater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is supplied to the ozone treatment unit again, so that the process of oxidizing iron and manganese to form a precipitate and the process of filtering through the membrane are repe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시스템은 산화반응조의 하면에 연결된 배출라인을 통해 침전물을 배출하는 배출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treatment unit for discharging sediment through a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xidation reactor.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 철, 망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removing arsenic, iron, and manganese contained in groundwater.
또한,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비소가 고체상의 침전물로 변환되는 반응을 촉진시켜 지하수에서 비소를 제거한 후,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라디칼 산화 반응을 시킴으로써 지하수에 존재하는 철, 망간을 제거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electricity to supply iron ions to groundwater to promote a reaction in which arsenic is converted into a solid precipitate to remove arsenic from groundwater, and then supply ozone to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has been removed for radical oxidation reaction.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reatment efficiency by removing iron and manganese existing in the groundwater.
또한, 본 발명은 나노 버블 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오존 나노 버블에 의해 오존의 포화 용존도를 높이고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하이드록시 라디칼을 생성하여, 산화 반응을 촉진하여 효과적으로 철, 망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anobubble device to supply ozone to groundwater, so that ozone nanobubbles increase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ozone and increase the residence time, while generating hydroxyl radicals to promote oxidation and effectively iron, It has the effect of removing manganese.
또한, 본 발명은 비소를 고체상의 침전물로 변환시킨 후 분리조에서 비소 침전물과 함께 유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라디칼 산화 반응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contamination by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a radical oxidation reaction by converting arsenic into a solid precipitate and then removing organic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the arsenic precipitate in a separation tank.
또한, 본 발명은 동력의 공급없어 물의 압력으로만 산화반응조에서 분리막조로 지하수를 공급하고, 분리막조에서 처리된 지하수는 오존처리부에 공급되어 산화반응조로 이동하여, 철, 망간이 산화되어 침전물이 형성되는 과정과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높이면서도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groundwater is supplied from the oxidation tank to the membrane tank only by the pressure of water without power supply, and the groundwater treated in the membrane tank is supplied to the ozone treatment unit and moves to the oxidation tank, and iron and manganese are oxidized to form a precipitate. By repeating the process of filtration and the process of filtering through a membran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while increasing treatmen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산화반응조에서 침전물이 하향하는 과정에서 산화반응조의 지하수를 분리막조에 공급하는 연결관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분리막조에서 배출된 지하수를 멤브레인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flow of groundwater from the oxidation reaction tank into the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the separation membrane tank to the membrane tank in the process of the sediment descending from the oxidation tank, and the effect of moving the groundwater discharged from the membrane tank toward the membrane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처리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도 2의 산화반응조와 여과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tank of Figure 2;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oxidation reaction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처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According to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처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4는 도 2의 산화반응조와 여과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tank of FIG. It is a reference diagram, and FIG.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oxidation reaction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of FIG.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처리 시스템을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하수 처리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을 생성시켜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를 제거하는 전기응집처리부(1)와, 상기 전기응집처리부(1)를 통해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철과 망간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고체상의 철 침전물 및 고체상의 망간 침전물을 형성하는 산화반응처리부(2)와, 상기 산화반응처리부(2)를 통과한 지하수를 여과하는 여과부(3) 등을 포함한다.1 to 4 of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supplies iron ions to groundwater using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solid arsenic precipitates and include them in groundwater. Formation of solid iron and manganese deposits by oxidizing iron and manganese by supplying ozone to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has been removed through an
상기 전기응집처리부(1)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을 생성시켜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전기응집기(11), 분리조(12) 등을 포함한다.The electrical
상기 전기응집기(11)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이 생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기응집기(11)는 양극과 음극의 전극을 포함하여 전기 공급시 양극에서 금속 이온이 용출되는 종래의 전기응집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양극은 철로 이루지는 것에 특징이 있게 된다. 일부 지역(예컨대, 폐루 등)의 지하수에는 비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비소는 독성 물질로 지하수를 식수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며, 지하수 내 비소는 +5의 HAs(Ⅴ)O4 2- 형태로 존재하는바, 철 이온을 과량 공급하는 경우 하기의 반응식 1과 같은 반응이 촉진되어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Fe(Ⅱ)Fe(Ⅲ)As(Ⅲ)O4(s))을 형성하게 된다. 즉, 지하수를 일시 저장하는 집수조(100)에서 공급된 지하수는 전기응집기(11)를 통과하면서,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는 고체 상의 침전물로 변화하게 된다. 집수조(100)에서 전기응집기(11)로 지하수 이동 등과 같이, 지하수의 이동은 펌프, 밸브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도시되지 않았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반응식 1][Scheme 1]
HAs(Ⅴ)O4 2- + 2Fe2+ + 4H+ → H3As(Ⅲ)O3 + 2Fe3+ + H2OHAs(V)O 4 2- + 2Fe 2+ + 4H + → H 3 As(III)O 3 + 2Fe 3+ + H 2 O
H3As(Ⅴ)O3 + 2Fe3+ + Fe2+ + 4H2O → Fe(Ⅱ)Fe(Ⅲ)As(Ⅲ)O4(s) + Fe(OH)3 + 8H+ H 3 As(V)O 3 + 2Fe 3+ + Fe 2+ + 4H 2 O → Fe(II)Fe(III)As(III)O 4 (s) + Fe(OH) 3 + 8H +
상기 분리조(12)는 상기 전기응집기(11)를 통과한 지하수에서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 유기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내부 하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1격벽(121)과, 내부 상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격벽(121)과 지하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격벽(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121)과 제2격벽(122)은 지하수 이동 방향으로 연이어 반복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전기응집기(11)를 통과한 지하수는 유입구(123)를 통해 분리조(12)에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져 제1격벽(121)과 상면 사이의 공간(S1)을 통과한 후, 하측으로 떨어져 제2격벽(122)과 하면 사이의 공간(S2)을 통과하고,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격벽(121)과 상면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한 후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되므로,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 침전물과 유기물 등의 이물질은 분리조(12)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측으로 침전하게 된다. 상기 분리조(12)의 하면은 하기에서 설명할 배출라인(41)과 연통되므로, 상기 배출라인(41)을 통해 분리조(12) 바닥에 적층된 비소 침전물과 유기물 등의 이물질을 상기 분리조(12)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산화처리부(2)는 상기 전기응집처리부(1)를 통해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철과 망간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고체상의 철 침전물 및 고체상의 망간 침전물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오존처리부(21), 산화반응조(22) 등을 포함한다.The oxidation treatment unit (2) supplies ozone to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unit (1) to oxidize iron and manganese to form solid iron deposits and solid manganese deposits. (21), an oxidation reaction tank (22) and the like.
상기 오존처리부(21)는 상기 전기응집처리부(1)를 통해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오존처리부(21)는 물에 오존을 공급하는 종래의 오존처리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노 버블 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오존 나노 버블에 의해 오존의 포화 용존도를 높이고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하이드록시 라디칼을 생성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산화반응조(22)는 상기 오존처리부(21)를 통과한 지하수에 포함된 철과 망간이 오존과 반응하여 고체상의 철 침전물과 고체상의 망간 침전물이 형성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오존처리부(21)를 통과하여 오존과 혼합된 지하수가 유입되고, 하기 반응식 2와 3과 같이 상기 지하수에 포함된 철 및 망간은 오존과 반응하여 고체상의 철 침전물(Fe(OH)3(s)), 고체상의 망간 침전물(MnO2(s))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지하수에서 하기 반응식 4와 같이 하이드록 라디칼이 생성하여 철과 망간의 산화반응을 더욱 촉진하게 된다. 상기 산화반응조(22)의 하면은 하기에서 설명할 배출라인(41)과 연통되므로, 상기 배출라인(41)을 통해 산화반응조(22) 바닥에 적층된 철 침전물과 망간 침전물을 상기 산화반응조(22)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반응식 2][Scheme 2]
2Fe2+ + O3 + H2O → 2Fe3+ + O2 + 2OH-, 2Fe 2+ + O 3 + H 2 O → 2Fe 3+ + O 2 + 2OH -,
Fe3+ + 3H2O → Fe(OH)3(s) + 3H+ Fe 3+ + 3H 2 O → Fe(OH) 3 (s) + 3H +
[반응식 3][Scheme 3]
Mn2+ + O3 + H2O → MnO2(s) + O2 + 2H+Mn 2+ + O 3 + H 2 O → MnO 2 (s) + O 2 + 2H+
[반응식 4][Scheme 4]
O3 + H2O → HO3 + + OH- → 2HO2 , O 3 + H 2 O → HO 3 + + OH - → 2HO 2 ,
O3 + HO2 , → HO, + 2O2 O 3 + HO 2 , → HO , + 2O 2
HO2 , + HO2 , → H2O2 + O2 HO 2 , + HO 2 , → H 2 O 2 + O 2
상기 여과부(3)는 상기 산화반응처리부(2)를 통과한 지하수를 여과하는 구성으로, 분리막조(31), 멤브레인(32) 등을 포함한다.The
상기 분리막조(31)는 상기 산화반응조(22)와 연통되어 상기 산화반응조(22)에서 배출된 지하수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분리막조(31)의 내부에는 멤브레인(32)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산화반응조(22)와 분리막조(31)는 연결관(3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산화반응조(22)의 지하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연결관(311)을 통해 분리막조(31)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311)은 일단은 산화반응조(22)에 위치하고 타단은 분리막조(31)에 위치하는 연결부(311a)와, 상기 연결부(311a)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하향절곡부(311b)와, 상기 연결부(311a)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지하수가 배출되는 상향절곡부(311c) 등을 포함하여, 상기 산화반응조(22)에서 침전물이 하향하는 과정에서 연결관(311)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분리막조(31)에서 배출된 지하수는 멤브레인(32)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분리막조(31)의 하면은 하기에서 설명할 배출라인(41)과 연통되므로, 상기 배출라인(41)을 통해 분리막조(31) 바닥에 적층된 침전물을 상기 분리막조(31)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멤브레인(32)은 상기 상향절곡부(311c)의 상측의 상기 분리막조(3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막조(31) 내의 지하수를 여과하는 구성으로, 내부가 빈 공간을 가지며, 멤브레인의 외부에서 내부로 지하수가 이동하면서 여과되게 된다. 상기 멤브레인(32)은 순환관(321)에 연결되게 되는데, 상기 순환관(321)의 일단은 상기 멤브레인(32)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오존처리부(21)에 연결되어, 상기 멤브레인(32)을 통과하여 여과된 지하수는 다시 오존처리부(21)에 공급됨으로써, 철, 망간이 산화되어 침전물이 형성되는 과정과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되는 과정이 반복되게 되어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산화반응조에서 분리막조에 동력의 공급없어 물의 압력으로만 지하수를 공급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철, 망간이 산화되어 침전물이 형성되는 과정과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되는 과정이 일정 횟수 반복된 후, 지하수는 처리수를 저장하는 저장조(200)에 배출되어 이용되게 된다.The
상기 배출처리부(4)는 지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분리조, 산화반응조, 분리막조 등의 하면에 연결된 배출라인(41)을 통해 침전물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지하수 처리시스템은 라디칼 산화반응 과정을 먼저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응집 처리 과정을 통해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비소가 고체상의 침전물로 변환되는 과정을 촉진시켜 지하수에서 비소를 제거한 후, 비소가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라디칼 산화 반응을 시킴으로써 지하수에 존재하는 철, 망간을 제거하여, 지하수에서 비소, 철, 망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기물에 오존을 공급하는 경우 유기물이 분해되어 제거하기 어려운 오염물이 생성되는데, 라디칼 산화반응 전 비소 침전물과 함께 유기 이물질을 함께 제거하여, 새로운 오염이 최소화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only one embodiment that imple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hould be construed as within the scope.
1: 전기응집처리부 2: 산화처리부 3: 여과부
4: 배출처리부 11: 전기응집기 12: 분리조
21: 오존처리부 22: 산화반응조 31: 분리막조
32: 멤브레인 41: 배출라인 121: 제1격벽
122: 제2격벽 123: 유입구 124: 배출구
311: 연결관 321: 순환관 311a: 연결부
311b: 하향절곡부 311c: 상향절곡부 100: 집수조
200: 저장조1: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section 2: Oxidation treatment section 3: Filtration section
4: Discharge treatment unit 11: Electrocoagulant 12: Separation tank
21: ozone treatment unit 22: oxidation reaction tank 31: membrane tank
32: membrane 41: discharge line 121: first bulkhead
122: second bulkhead 123: inlet 124: outlet
311: connector 321:
311b: downward bent part 311c: upward bent part 100: water tank
200: storage tank
Claims (8)
상기 지하수 처리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철 이온을 공급하여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이 생성되도록 하는 전기응집기와, 상기 전기응집기를 통과한 지하수에서 고체상의 비소 침전물 및 유기물을 제거하는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를 통과하여 비소 및 유기물이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철과 망간을 산화 반응시킴으로써 고체상의 철 침전물 및 망간 침전물을 형성하는 산화반응처리부와, 상기 산화반응처리부를 통과한 지하수를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분리조 및 산화반응조의 하면에 연결된 배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조는 내부 하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1격벽과, 내부 상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격벽과 지하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은 지하수 이동 방향으로 연이어 반복 형성되며, 상기 전기응집기를 통과한 지하수는 유입구를 통해 분리조에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져 제1격벽과 상면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후, 하측으로 떨어져 제2격벽과 하면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타 제1격벽과 상면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지하수에 포함된 비소 침전물과 유기물은 분리조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측으로 침전하고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산화반응처리부는 상기 분리조를 통과하여 비소 및 유기물이 제거된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처리부와, 상기 오존처리부를 통과한 지하수에 포함된 철과 망간이 오존과 반응하여 고체상의 철 침전물과 망간 침전물이 형성도록 하는 산화반응조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산화반응조와 연통되어 상기 산화반응조에서 배출된 지하수를 수용하는 분리막조와, 상기 분리막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막조 내의 지하수를 여과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산화반응조와 분리막조는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산화반응조의 지하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연결관을 통해 분리막조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관은 일단은 산화반응조에 위치하고 타단은 분리막조에 위치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하향절곡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지하수가 배출되는 상향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산화반응조에서 침전물이 하향하는 과정에서 연결관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처리시스템.In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groundwater containing arsenic, organic matter, iron and manganese,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includes an electrocoagulant for supplying iron ions to groundwater using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solid arsenic precipitates, and a separation tank for removing solid arsenic precipitates and organic matter from the ground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ocoagulant; Ozone is supplied to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and organic matter has been removed through a separation tank to oxidize iron and manganese to form a solid iron precipitate and manganese precipitate; It includes a filtration unit, and a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tank and the oxidation reaction tank,
The separation tank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second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roundwater movement direction. The first bulkhead and the second bulkhead are repeatedly formed in succession in the groundwater movement direction, and the ground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ic coagulator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tank through the inlet, and the water level rises to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ulkhead and the upper surface. Then, it falls to the lower side and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bulkhead and the lower surface, then moves to the upper side and repeats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ther first bulkhead and the upper surface. Arsenic deposits and organic matter precipitate downwar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eparation tank an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line,
The oxidation reaction treatment unit includes an ozone treatment unit that supplies ozone to groundwater from which arsenic and organic matter have been removed through the separation tank, and iron and manganese contained in the ground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zone treatment unit reacts with ozone to form solid iron deposits and Including an oxidation reaction tank to form a manganese precipitate,
The filtration unit includes a membrane tank communicating with the oxidation tank to receive the groundwater discharged from the oxidation tank, and a membrane positioned inside the membrane tank to filter the groundwater in the membrane tank, wherein the oxidation tank and the membrane tank are connecte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groundwater in the oxidation reaction tank moves to the membrane tank through the connection pipe by the pressure of water,
The connecting pipe has one end in the oxidation reaction tank and the other end in the separation membrane tank; The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inimize the inflow of the sediment into the connection pipe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from the oxidation reaction tank, including an upward bent part to be discharged.
상기 오존처리부는 나노 버블 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오존 나노 버블에 의해 오존의 포화 용존도를 높이고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하이드록시 라디칼을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처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ozone treatment unit supplies ozone to the groundwater by using a nanobubble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saturation solubility of ozone by ozone nanobubbles,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and promoting the generation of hydroxyl radicals. system.
상기 멤브레인은 순환관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관의 일단은 상기 멤브레인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오존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여과된 지하수는 다시 오존처리부에 공급됨으로써, 철 및 망간이 산화되어 침전물이 형성되는 과정과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되는 과정이 반복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처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membrane is connected to a circulation pipe, and one end of the circulation pipe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embra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ozone treatment unit, and groundwater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is supplied to the ozone treatment unit again, so that iron and manganese A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oxidized sediment formation and filtration through a membrane are repeated.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135A KR102310305B1 (en) | 2019-09-19 | 2019-09-19 | System for purifying groundwater |
PCT/KR2020/012626 WO2021054766A2 (en) | 2019-09-19 | 2020-09-18 |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
PE2022000334A PE20220673A1 (en) | 2019-09-19 | 2020-09-18 |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135A KR102310305B1 (en) | 2019-09-19 | 2019-09-19 | System for purifying groundw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628A KR20210033628A (en) | 2021-03-29 |
KR102310305B1 true KR102310305B1 (en) | 2021-10-07 |
Family
ID=7488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5135A Active KR102310305B1 (en) | 2019-09-19 | 2019-09-19 | System for purifying groundwat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0305B1 (en) |
PE (1) | PE20220673A1 (en) |
WO (1) | WO2021054766A2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5001A (en) * | 2002-06-25 | 2004-01-29 | Toshiba Corp | Waste liquid treatment apparatus |
JP2007160257A (en) * | 2005-12-15 | 2007-06-28 | Sanyo Electric Co Ltd | Treatment method of harmful substance and treatment apparatus of harmful substance |
JP2007268342A (en) * | 2006-03-30 | 2007-10-18 | Miura Co Ltd | Filtra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12226B2 (en) * | 1996-04-19 | 1999-06-28 | 日本電気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JP4072323B2 (en) * | 2001-04-27 | 2008-04-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Method for treating gallium arsenide-containing wastewater and apparatus for treating gallium arsenide-containing wastewater |
-
2019
- 2019-09-19 KR KR1020190115135A patent/KR102310305B1/en active Active
-
2020
- 2020-09-18 WO PCT/KR2020/012626 patent/WO2021054766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9-18 PE PE2022000334A patent/PE20220673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5001A (en) * | 2002-06-25 | 2004-01-29 | Toshiba Corp | Waste liquid treatment apparatus |
JP2007160257A (en) * | 2005-12-15 | 2007-06-28 | Sanyo Electric Co Ltd | Treatment method of harmful substance and treatment apparatus of harmful substance |
JP2007268342A (en) * | 2006-03-30 | 2007-10-18 | Miura Co Ltd | Filtr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54766A3 (en) | 2021-05-14 |
KR20210033628A (en) | 2021-03-29 |
WO2021054766A2 (en) | 2021-03-25 |
PE20220673A1 (en) | 2022-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4197B2 (en) | Electronic water pre-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s | |
CN101198550B (en) | Electrodialysis reversal and electro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method of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
KR101957548B1 (en) | System for treating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and method for treating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 |
KR100848117B1 (en) | Complex 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 |
CN104797535A (en) |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chemically treating industrial wastewater and drinking water | |
CN102070231A (en) | Compound type sewage treatment method and device thereof | |
KR101373320B1 (en) | Wastewater disposal apparatus | |
CN102329027A (en) | Method for treating dinitrodiazophenol industrial wastewater | |
CN202054693U (en) | Integral iron-carbon fenton sewage pretreatment device | |
KR102310305B1 (en) | System for purifying groundwater | |
KR101024805B1 (en) | Ozone dissolved microbubble livestock manure AOP system and treatment method | |
KR101051798B1 (en) | Refractory malignant wastewater treatment device using micro bubble | |
KR101646590B1 (en) | Method for treating recycle water of wastewater treatment | |
CN112142257A (en) | Mine water treatment device | |
RU2396217C2 (en) | Method of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of meat-processing plant sewage | |
KR101086158B1 (en) | Final sedimentation tank with integral demineralization | |
CN213865536U (en) | Sewage phosphorus removal device and multistage sewage treatment device | |
CN212356860U (en) | Printing ink wastewater treatment integrated equipment | |
RU2169708C2 (en) | Method of sewage treatment | |
KR102705521B1 (en) | Non-degradabl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WO2021255541A1 (en) | Plant for purifying wastewater | |
JP2007330919A (en) | Sewage treatment facility | |
CN105347580A (en) | Method suitable for polymer flooding produced water treatment standard-reaching discharge | |
CN221607903U (en) | 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tegrating photocatalysis and ozone catalytic oxidation | |
CN205151850U (en) | Integrative pond is filtered in electroly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