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8167B1 -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167B1
KR102308167B1 KR1020190058769A KR20190058769A KR102308167B1 KR 102308167 B1 KR102308167 B1 KR 102308167B1 KR 1020190058769 A KR1020190058769 A KR 1020190058769A KR 20190058769 A KR20190058769 A KR 20190058769A KR 102308167 B1 KR102308167 B1 KR 10230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storage
spent fuel
reactor containment
power p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489A (ko
Inventor
조훤기
이제호
안오수
김현식
송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1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1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06Magazines for holding fuel elements or control elements
    • G21C19/07Storage racks; Storage p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이 개시된다.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은, (a)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여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랙을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냉각수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METHOD FOR STORING SPENT FUEL FOR DECONTAMINATIO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사용후 연료 저장 비용의 절감과 안전 보관이 가능한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용으로 사용된 후의 핵 연료(이하, "사용후 연료"라 칭함)는 특수 설계된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에서 저장 장소에 보관된다.
사용후 연료의 저장 방법은 크게 습식 저장 방법과 건식 저장 방법으로 구분된다. 1980년대 중반까지는 적용 경험이 풍부한 습식 저장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용량 확장과 장기 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건식 저장 방법이 채택되었으며, 많은 나라에서 건식 저장 방법을 적용한 건식 저장 시설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해체가 결정된 원전의 사용후 연료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에 이송되어 저장 및 보관된다.
그러나, 사용후 연료는 해체가 결정된 원자로 건물의 외부에서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위한 연료 저장조를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바, 사용후 연료 저장을 위한 추가 공간의 확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위한 추가 공간의 확보가 필요 없고 안정적인 저장이 가능한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여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랙을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냉각수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는 상기 원자로 격납 건물의 상기 저장 공간의 하부에 보강 구조를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구조는, 원자로 격납 건물의 저장 공간의 저면에 시공되며 저장랙이 안착되는 저면 보강부와, 저면 보강부의 상측에서 저장 공간의 내벽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저장랙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는 저장 공간의 내부를 제염(Decontamina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공간은 격벽에 의해 복수개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획 공간의 각각에는 저장랙이 설치될 수 있다.
저장랙은 상부에 사용후 연료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에는 개폐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설비 및 관련 구조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원자로 격납 건물 내부의 저장 공간의 저면에 저장랙(40)을 설치하여 사용후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기설치된 원자로 격납 건물을 사용후 연료 저장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에 보강 구조가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보강 구조에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에서 냉각수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격납 건물의 보강 구조 상태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해체가 결정된 해제 원전의 내부에 저장된 사용후 연료를 기설치된 사용후 연료 저장조로 이송하여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여 저장 공간(20)을 형성한다(S10).
(S10) 단계는 해체가 결정된 원전에서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내부에 설치된 원자로 관련 내부 설비와 내부 설비와 관련된 기타 구조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즉, (S10) 단계는,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건물 바디를 제외한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여,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를 저장 공간(20)이 형성된 빈 공간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S10) 단계의 저장 공간(20)은 건물 바디(10)의 내부에 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S10) 단계의 저장 공간(20)은 원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후 연료의 저장 형태에 따라 다각형 등의 저장 공간(20)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저장 공간(20)은 원형과 다각형의 조합된 형태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S10) 단계에서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염 작업이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S10) 단계에서 제염 작업은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내부 저장 공간(20)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에 보강 구조가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저장 공간(20)의 하부에 보강 구조(30)를 시공한다(S20).
(S20) 단계의 보강 구조(30)는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저장 공간(20)의 저면에 일정 하중 이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시공되는 것을 말한다.
보강 구조(30)는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저면의 상측으로 일정 두께로 시공되는 저면 보강부(31)와, 저면 보강부(31)의 상측에서 저장 공간(20)의 내벽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시공되는 측면 보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 보강부(31)는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저면에 시공되는 보강 콘크리트가 시공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저면 보강부(31)는 보강 콘크리트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벽돌 등의 내화물 등의 소정의 보강 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저면 보강부(31)가 시공된 위치의 측면에서 저장 공간(20)의 내부에는 측면 보강부(33)가 시공될 수 있다.
측면 보강부(33)는 저장 공간(20)의 하부에서 저면 보강부(31)가 시공된 위치의 근접 위치에서 저장 공간(20)의 내벽면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측면 보강부(33)는 원자로 격납 건물(100)에서 저면 보강부(31)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저장 공간(20)의 내벽면을 따라 시공되는 것으로, 보강 콘크리트로 시공될 수 있다. 즉, 측면 보강부(33)는 저면 보강부(31)의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벽돌 등의 내화물 등의 소정의 보강 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 보강부(33)는, 저장랙(40)에 위치된 저장 공간(20)의 측면의 구조 보장을 하는 바, 저장랙(40)에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어 보관되는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인 사용후 연료 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보강 구조에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구조(30)가 시공된 저장 공간(20)에 저장랙(40)을 설치한다(S30).
(S30) 단계의 저장랙(40)은 저면이 저면 보강부(31)에 의해 지지되고, 측면이 측면 보강부(33)에 지지된 상태로 저장 공간(2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은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설비 및 관련 구조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원자로 격납 건물 내부의 저장 공간(20)의 저면에 저장랙(40)을 설치하여 사용후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기설치된 원자로 격납 건물을 사용후 연료 저장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랙(40)은 사용후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 구조(30)에 지지된 상태로 저장 공간(2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저장랙(40)은 저면이 저면 보강부(31)에 안착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랙(40)은 보강 구조(3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수납 공간(41)이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저장랙(40)은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사용후 연료가 수납 공간(4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후 연료가 수납 공간(4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가 설치되도록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에서 냉각수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공간(20)의 내부에 냉각수(21)를 충진한다(S40).
(S40) 단계는 저장 공간(20)의 내부에 냉각수(21)를 충진하여 사용후 연료의 안정적인 저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은, 내진 설계된 기존의 원자로 격납 건물을 이용하여 사용후 연료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여. 지진 등의 자연재해 발생시에도 안정적인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기설치된 원자로 격납 건물을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위해 사용하는 바, 사용후 연료의 저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기설치된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설비 및 관련 구조물을 제거한 내부 공간에 사용후 연료를 저장하는 바, 사용후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원활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격납 건물의 보강 구조 상태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의 원자로 격납 건물(100)은, 원자로 격납 건물(100)의 저장 공간(20)은, 격벽(110)에 의해 복수개의 구획 공간(1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구획 공간(112)은 저장 공간(20)의 저면에서 저장랙(4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복수개로 구획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 공간(112)의 각각에는 저장랙(40)이 설치될 수 있다.
저장랙(40)은 복수개로 형성된 구획 공간(112)의 각각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사용후 연료를 원자로 격납 건물의 저장 공간에 구획 저장된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저장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원자로 격납 건물 20...저장 공간
21...냉각수 30...보강 구조
31...저면 보강부 33...측면 보강부
40...저장랙 110..격벽
112..구획 공간

Claims (5)

  1. (a)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여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랙을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냉각수를 충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원자로 격납 건물의 상기 저장 공간의 하부에 보강 구조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구조는,
    상기 원자로 격납 건물의 상기 저장 공간의 저면에 시공되며, 상기 저장랙이 안착되는 저면 보강부; 및
    상기 저면 보강부의 상측에서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저장랙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공간은 격벽에 의해 복수개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 공간의 각각에는 저장랙이 설치되며, 상기 저장랙은, 상부에 사용후 연료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개폐부가 설치되는,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를 제염(Decontamina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5. 삭제
KR1020190058769A 2019-05-20 2019-05-20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Active KR10230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69A KR102308167B1 (ko) 2019-05-20 2019-05-20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69A KR102308167B1 (ko) 2019-05-20 2019-05-20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489A KR20200133489A (ko) 2020-11-30
KR102308167B1 true KR102308167B1 (ko) 2021-10-01

Family

ID=7364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769A Active KR102308167B1 (ko) 2019-05-20 2019-05-20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1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9324A (ja) * 2012-08-14 2015-10-05 エスエムアール・インベンテック・エルエルシー 受動的に冷却される使用済み核燃料プールシステム
JP7058343B2 (ja) * 2018-03-29 2022-04-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歯肉健康を促進するための口腔ケア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60B1 (ko) * 2013-02-13 2014-11-26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 저장랙 지지구조체
JP6704231B2 (ja) * 2015-10-02 2020-06-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原子力プラントの解体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9324A (ja) * 2012-08-14 2015-10-05 エスエムアール・インベンテック・エルエルシー 受動的に冷却される使用済み核燃料プールシステム
JP7058343B2 (ja) * 2018-03-29 2022-04-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歯肉健康を促進するための口腔ケア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489A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4535B2 (en) Reactor containment vessel
KR102308167B1 (ko)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US9449724B2 (en) Structure for storing radioactive waste
UA76414C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for storing nuclear fuel, an equipment for producing the container, and a method for storing nuclear fuel
JP675565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の既存筒状壁の耐震補強方法
RU2357306C2 (ru) Контейн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опас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кончательного удаления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343893B1 (ko) 해체 원전을 활용하여 사용후 연료를 저장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수 비상 냉각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수 비상 냉각 방법
KR102547982B1 (ko) 해체 원전을 활용하여 사용후 연료를 저장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수 냉각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수 냉각 방법
KR20120091340A (ko) 원자력 시설 건물의 기초판 및 원자력 시설
UA79761C2 (en) Container for storing hazardous substanc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container
KR20220019512A (ko)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JP6427436B2 (ja) タービン発電機基礎台、タービン建屋、およびタービン建屋の構築方法
KR20230062501A (ko)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냉각 설비 전원 공급장치
JP4359570B2 (ja) 建物建て替え方法
JP2007205938A (ja) 放射性物質貯蔵施設
JP7353065B2 (ja) 遮蔽設備
KR100723041B1 (ko) 방사성폐기물드럼 운반 컨테이너
US6771731B2 (en) Device for storage of hazardous material
EP4475139A1 (en) Nuclear power plant including small modular reactor (smr) disposed in cooling water tank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JP2016069851A (ja) タンクの構築方法、及びタンク
JP3462911B2 (ja) 原子炉建屋
JP7119832B2 (ja) 燃料プール用溢水防止装置
JP7049924B2 (ja) 使用済燃料貯蔵施設
KR20250015408A (ko)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구조물 재활용 방법
JPS63284493A (ja) 原子炉圧力容器支持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5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1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