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7660B1 -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 Google Patents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660B1
KR102307660B1 KR1020210032512A KR20210032512A KR102307660B1 KR 102307660 B1 KR102307660 B1 KR 102307660B1 KR 1020210032512 A KR1020210032512 A KR 1020210032512A KR 20210032512 A KR20210032512 A KR 20210032512A KR 102307660 B1 KR102307660 B1 KR 102307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
frame
jewels
present
optical ill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케이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몬 filed Critical ㈜케이몬
Priority to KR102021003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6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펜던트 중 특정된 장식구에 통용 가능한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보석이 새장 같은 다면체 구조의 난집틀에 삽입되어 각 개구창으로 하여금 보석의 외주면이 각각 구분된 개별 프레임(다면체의 각 개구창)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보석 하나가 여러개의 개구창을 통해 여러개의 보석이 들어 있는 것처럼 보여져 하나의 단일 장식품(디자인)이 여러가지 모습으로 다양하게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작시 세팅 비용(원가절감) 대비 고가형 장식 및 연출(새장처럼 형성된 난집틀 내부에 하나의 큰 보석을 넣어 외부에서 볼 때 마치 창살로 하여금 여러개의 보석이 들어 있는 듯한 입체적인 모습이 연출)이 가능함은 물론 독특한 디자인으로 하여금 고급스럽고 개성있는 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집틀의 틀 골조 중 선택된 모서리 부분에 난집발을 형성한 후 크기가 작은 프론트 보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전방 프론트 보석이 뒤에 있는 메인보석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정면에서 볼 때 마치 하나의 보석이 그대로 노출되도록 보이게 하고, 측면에서 볼 때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보석이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된 것으로 보이게 하거나, 두 개의 보석이 틀 골조로 하여금 여러 개의 보석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물품에서 다양한 디자인이 착시 현상을 일으키며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난집발에 프론트 보석 대신 이종 재질, 이종 색상 또는 설정된 디자인의 부속장식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석 연출과 함께 귀금속(백금, 핑크골드, 기타 다른 소재의 금 등) 또는 비금속 재질의 디자인이 병행되어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Ornament for accessories with opical illusion of a variety of designs}
본 발명은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펜던트 중 특정된 장식구에 통용 가능한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보석이 새장 같은 다면체 구조의 난집틀에 삽입되어 각 개구창으로 하여금 보석의 외주면이 각각 구분된 개별 프레임(다면체의 각 개구창)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보석 하나가 여러개의 개구창을 통해 여러개의 보석이 들어 있는 것처럼 보여져 하나의 단일 장식품(디자인)이 여러가지 모습으로 다양하게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작시 세팅 비용(원가절감) 대비 고가형 장식 및 연출(새장처럼 형성된 난집틀 내부에 하나의 큰 보석을 넣어 외부에서 볼 때 마치 창살로 하여금 여러개의 보석이 들어 있는 듯한 입체적인 모습이 연출)이 가능함은 물론 독특한 디자인으로 하여금 고급스럽고 개성있는 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집틀의 틀 골조 중 선택된 모서리 부분에 난집발을 형성한 후 크기가 작은 프론트 보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전방 프론트 보석이 뒤에 있는 메인보석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정면에서 볼 때 마치 하나의 보석이 그대로 노출되도록 보이게 하고, 측면에서 볼 때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보석이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된 것으로 보이게 하거나, 두 개의 보석이 틀 골조로 하여금 여러 개의 보석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물품에서 다양한 디자인이 착시 현상을 일으키며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난집발에 프론트 보석 대신 이종 재질, 이종 색상 또는 설정된 디자인의 부속장식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석 연출과 함께 귀금속(백금, 핑크골드, 기타 다른 소재의 금 등) 또는 비금속 재질의 디자인이 병행되어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주얼리 장신구는 개인의 이미지를 부각하거나 고유의 개성을 연출할때 이를 부각시키는 수단으로, 각종 보석(다이아몬드, 큐빅 등)이나 금, 은, 백금, 합금(14k, 18k)을 다양한 형태(목걸이 펜던트, 반지, 귀걸이, 팔찌, 시계 등)로 제작하여 판매된다.
이에, 통상의 장신구(목걸이 펜던트, 반지, 귀걸이, 팔찌, 시계 등)는 착용시 가장 눈에 띄고 잘 드러나는 부분에 메인 장식구를 세팅하게 된다.
즉, 이러한 메인 장식구에는 보석이 난집에 고정된 형태로 결합되거나, 귀금속 소재(금, 백금, 등)가 일정한 형상(2차원 형태의 판재 형태이거나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부착되도록 하거나, 다양한 무늬나 형상이 흔들리는 형태로 고정되어 빛의 난반사 또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면서 화려함과 동적 이미지가 시인되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식구는 보통 한가지 보석(혹은 가공된 장식품)이 크라운 형태의 난집에 고정(장착)되면서 일체의(일련의) 모양 그대로가 지속된 형태를 이루면서 장식된다.
즉, 종래의 장식구는 한번 구입하면 평생 그 모양 그 패턴 그대로를 지겹도록 계속 사용해야 하는 바, 소비자는 다른 연출이 필요하거나 새로운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또 다른 비용을 들여 새로운 장신구를 구입해야 하는 실정이다.
1. 대한만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2099호(2012.01.05.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하나의 보석이 새장 같은 다면체 구조의 난집틀에 삽입되어 각 개구창으로 하여금 보석의 외주면이 각각 구분된 개별 프레임(다면체의 각 개구창)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보석 하나가 여러개의 개구창을 통해 여러개의 보석이 들어 있는 것처럼 보여져 하나의 단일 장식품(디자인)이 여러가지 모습으로 다양하게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작시 세팅 비용(원가절감) 대비 고가형 장식 및 연출이 가능함은 물론 독특한 디자인으로 하여금 고급스럽고 개성있는 연출이 가능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집틀의 틀 골조 중 선택된 모서리 부분에 난집발을 형성한 후 크기가 작은 프론트 보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전방 프론트 보석이 뒤에 있는 메인보석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정면에서 볼 때 마치 하나의 보석이 그대로 노출되도록 보이게 하고, 측면에서 볼 때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보석이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된 것으로 보이게 하거나, 두 개의 보석이 틀 골조로 하여금 여러 개의 보석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물품에서 다양한 디자인이 착시 현상을 일으키며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난집발에 프론트 보석 대신 이종 재질, 이종 색상 또는 설정된 디자인의 부속장식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석 연출과 함께 귀금속(백금, 핑크골드, 기타 다른 소재의 금 등) 또는 비금속 재질의 디자인이 병행되어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뿔, 삼각뿔, 마름모 면체, 사각면체, 육각면체를 포함한 다각면체의 각 선단에 틀 골조(110)가 구비되면서 내부 공간부(130)를 기준으로 각 면상에 개구창(120)이 형성되도록 하는 난집틀(100)과; 상기 공간부(130)에 내입되어 각 개구창(120)으로 하여금 보석의 외주면이 각각 구분된 개별 프레임(다면체의 각 개구창)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보석(2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난집틀의 틀 골조(110) 중 어느 한 모서리 부분에는 틀 골조의 선상과 동일 선상을 이루는 난집발(150)이 형성되어 장식품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난집발(150)에는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프론트 보석(300)이 결합되어 메인보석(200)과 동일 축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보석(200)은 윗 부분의 평면 테이블 측이 틀 골조(110)의 모서리 부분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프론트 보석(300)의 뾰족한 큐렛 부분은 메인보석(200)의 테이블 상면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메인보석(300)과 프론트 보석(300)이 앞뒤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난집발(150)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종 재질, 이종 색상 또는 설정된 디자인의 부속장식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착시형 장식구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펜던트 중 어느 하나의 장식구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펜던트 중 특정된 장식구에 통용 가능한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보석이 새장 같은 다면체 구조의 난집틀에 삽입되어 각 개구창으로 하여금 보석의 외주면이 각각 구분된 개별 프레임(다면체의 각 개구창)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보석 하나가 여러개의 개구창을 통해 여러개의 보석이 들어 있는 것처럼 보여져 하나의 단일 장식품(디자인)이 여러가지 모습으로 다양하게 연출되도록 하고, 디자인의 시인성이 카멜레온처럼 가변적으로 변화됨은 물론 독특하고 고급스러운 심미감이 배가되면서 다양하게 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작시 세팅 비용(원가절감) 대비 고가형 장식 및 연출이 가능함은 물론 난집틀에 내장된 보석의 색깔이 틀 골조에 구획된 부분에 따라 빛의 유입 정도로 하여금 난반사의 차이가 발생되어 오묘한 형태로 연출이 계속(끊임없이) 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면체 구조의 난집틀로 하여금 디자인의 연출 패턴이 더욱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난집틀의 틀 골조 중 선택된 모서리 부분에 난집발을 형성한 후 크기가 작은 프론트 보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전방 프론트 보석이 뒤에 있는 메인보석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정면에서 볼 때 마치 하나의 보석이 그대로 노출되도록 보이게 하고, 측면에서 볼 때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보석이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된 것으로 보이게 하거나, 두 개의 보석이 틀 골조로 하여금 여러 개의 보석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물품에서 다양한 디자인이 착시 현상을 일으키며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메인보석과 프론트 보석은 정면에서 볼 때 하나의 보석처럼 보여지도록 하되, 난집발 역시 틀 골조와 같은 재질, 동일 색상으로 이루어져 클램핑 또는 그립하는 형태가 노출되지 않아 가려지는 것 없이 보석(메인보석, 프론트 보석)들이 더욱 반짝이게 빛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난집없이 세팅된 것으로 보임)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난집발에 프론트 보석 대신 이종 재질, 이종 색상 또는 설정된 디자인의 부속장식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석 연출과 함께 귀금속(백금, 핑크골드, 기타 다른 소재의 금 등) 또는 비금속 재질의 디자인이 병행되어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시 장식구의 일 예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난집발과 프론트 보석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난집틀의 일부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보석의 큐렛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시 장식구의 실 제품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난집틀(100)과 메인보석(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난집틀(100)은 원뿔, 삼각뿔, 마름모 면체, 사각면체, 육각면체를 포함한 다각면체의 각 선단에 틀 골조(110)가 구비되면서 내부 공간부(130)를 기준으로 각 면상에 개구창(120)이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난집틀(100)은 순금, 합금, 백금, 핑크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기타 다른 특수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틀 골조(110)는 일종의 창살 같은 개념으로서 개구창(120)을 구획하는 하나의 사각틀 또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개구창은 보여지는 면이 사각형, 삼각형,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30)는 후술되는 메인보석이 유동없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메인보석을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가 더 구비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일부 달랑거릴 수 있도록 공차가 형성되어 일정 부분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난반사 정도(반짝임이나 흔들림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보석(200)은 상기 공간부(130)에 내입되어 각 개구창(120)으로 하여금 보석의 외주면이 각각 구분된 개별 프레임(다면체의 각 개구창)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보석은 큐빅,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 귀금속 메트리얼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난집틀의 틀 골조(110) 중 어느 한 모서리 부분에는 틀 골조의 선상과 동일 선상을 이루는 난집발(150)이 형성되어 장식품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난집발은 틀 골조의 선상 위에서 기립한 형태로 돌출된 것으로서 전방 프론트 보석이 뒤에 있는 메인보석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프론트 보석을 고정게 된다.
이는 정면에서 볼 때(프론트 보석을 기준으로 뒤에 메인 보석이 놓이도록 한 상태로 앞에서 볼때) 마치 하나의 보석이 앞면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보이게 하고, 측면에서 볼 때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보석이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된 것으로 보이게 하거나, 두 개의 보석이 옆으로 나란하게 한 상태에서 메인 보석은 틀 골조로 하여금 여러 개의 보석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물품에서 다양한 디자인이 착시 현상을 일으키며 연출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난집발(150)에는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프론트 보석(300)이 결합되어 메인보석(200)과 동일 축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보석(200)은 윗 부분의 평면 테이블 측이 틀 골조(110)의 모서리 부분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프론트 보석(300)의 뾰족한 큐렛 부분은 메인보석(200)의 테이블 상면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메인보석(300)과 프론트 보석(300)이 앞뒤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난집발(150)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종 재질, 이종 색상 또는 설정된 디자인의 부속장식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장신구용 착시 장식구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펜던트 중 어느 하나의 장식구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난집틀 110 ... 틀 골조
120 ... 개구창 130 ... 공간부
140 ... 난집면 141 ... 개구홈
150 ... 난집발 200 ... 메인보석
300 ... 프론트 보석

Claims (5)

  1. 다각면체의 각 선단에 틀 골조(110)가 구비되면서 내부 공간부(130)를 기준으로 각 면상에 개구창(120)이 형성되도록 하는 난집틀(100)과; 상기 공간부(130)에 내입되어 각 개구창(120)으로 하여금 보석의 외주면이 각각 구분된 개별 프레임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보석(2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에 있어서,
    상기 난집틀의 틀 골조(110) 중 어느 한 모서리 부분에는 틀 골조의 선상과 동일 선상을 이루는 난집발(1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난집발(150)에는 프론트 보석(300)이 결합되어 메인보석(200)과 동일 축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보석(300)은 뾰족한 큐렛 부분이 메인보석(200)의 테이블 상면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메인보석(300)과 프론트 보석(300)이 앞뒤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시형 장식구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펜던트 중 어느 하나의 장식구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KR1020210032512A 2021-03-12 2021-03-12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Active KR10230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12A KR102307660B1 (ko) 2021-03-12 2021-03-12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12A KR102307660B1 (ko) 2021-03-12 2021-03-12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660B1 true KR102307660B1 (ko) 2021-10-01

Family

ID=7811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512A Active KR102307660B1 (ko) 2021-03-12 2021-03-12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6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972A (en) * 1976-06-02 1978-04-04 Daniel Kotlar Pendant, earring or piece of jewelry
KR20120002099A (ko)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혼 가변형 쥬얼리
CN105054511A (zh) * 2015-07-30 2015-11-18 柳州市旭平首饰有限公司 手链的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972A (en) * 1976-06-02 1978-04-04 Daniel Kotlar Pendant, earring or piece of jewelry
KR20120002099A (ko)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혼 가변형 쥬얼리
CN105054511A (zh) * 2015-07-30 2015-11-18 柳州市旭平首饰有限公司 手链的制作方法
CN105054511B (zh) * 2015-07-30 2017-01-04 柳州市旭平首饰有限公司 手链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2768A (en) Jewelry ring with hinged ring segments
US7322213B2 (en) Modifiable jewelry
US20090235689A1 (en) Gemstone jewelry with enhanced appearance
USD549126S1 (en) Plumeria blossom jewelry
US4220018A (en) Display device for ornamental objects
Antonaras Middle and Late Byzantine jewellery from Thessaloniki and its region
KR101971171B1 (ko)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JP2012161564A (ja) 装身具
KR102307660B1 (ko)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KR102359670B1 (ko) 저중량 대비 입체 볼륨감 상승 구조와 다표현 연출 구조의 세팅이 가능한 멀티 할로우 장식 제조방법
Nadelhoffer Cartier
KR200488439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102210833B1 (ko) 장신구용 장식구의 카멜레온 세팅방법
JP4319240B1 (ja) 鏡面装身具
US20050188721A1 (en) Combined pearl and precious gem jewelry
KR102194527B1 (ko) 장식체의 유동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장식
KR102163152B1 (ko) 복수의 장식 패턴 연출이 가능한 프리턴 주얼리
US20200060395A1 (en) Stringed jewelry
KR200488746Y1 (ko) 쥬얼리 장신구
KR101446593B1 (ko) 내장된 장식용 보석이 유동되는 목걸이용 메달
CN109452737A (zh) 一种拥有多种佩戴方式的可灵活晃动首饰
KR102352675B1 (ko) 코어 연속 이음 연결식 구조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용 장식구
CN211559010U (zh) 一种炫丽首饰品
US20240225213A1 (en) Jewelry chain with movable alphanumeric character links
KR200275980Y1 (ko) 액세서리용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