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652B1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Luggage room storag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7652B1 KR102307652B1 KR1020200053731A KR20200053731A KR102307652B1 KR 102307652 B1 KR102307652 B1 KR 102307652B1 KR 1020200053731 A KR1020200053731 A KR 1020200053731A KR 20200053731 A KR20200053731 A KR 20200053731A KR 102307652 B1 KR102307652 B1 KR 1023076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rail
- magnet
- fastened
- luggage roo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러기지룸에 화물 등을 적재하기 위한 수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system for loading cargo or the like in a luggage room of a vehicle.
차량 후방에는 화물 등의 적재를 위한 러기지룸이 구비될 수 있다. 러기지룸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 크기 등의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이 적재된 화물이 운행 중 소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SUV, 왜건 등과 같이 러기지룸이 객실과 연결되어 있는 차량에서 보다 문제될 수 있다. 또한 러기지룸은 대체로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화물은 차량 운행 중 이동되어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이를 쉽게 찾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된다.A luggage room for loading cargo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e luggage room may be loaded with cargos of various types and sizes, and in some cases, the loaded cargo may cause noise during operation. This can be more problematic in vehicles such as SUVs and wagons where the luggage room is connected to the cabin. In addition, since the luggage room is generally formed as a single space, small cargo may be moved and damag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or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find it.
한편 종래부터 러기지룸의 공간을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하게 모색되어 왔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936997호(특허문헌 1)은 러기지룸의 헤드라이닝에서 하강되는 러기지보드를 개선한 러기지룸의 화물적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10582호(특허문헌 2)는 러기지보드를 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공간 활용도 등을 개선한 러기지룸 어셈블리를 제안한 바 있다.Meanwhile, various methods for using the space of the luggage room more effectively have been sought in the past. As an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936997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cargo loading device for a luggage room in which a luggage board that is lowered from the headlining of the luggage room is improved. 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0582 (Patent Document 2) has proposed a luggage room assembly in which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by forming a luggage board to be foldable.
본 발명은 러기기룸 내 화물의 유동 소음을 저감시키고, 수납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reducing the flow noise of cargo in the luggage room and improving storage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러기지룸 측면을 형성하는 러기지트림에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부는,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레일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바디; 상기 후크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과 자성 결합 가능한 스틸부재; 및 상기 후크바디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바디와 체결되고, 화물이 거치될 수 있는 걸이부를 구비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unit installed on a luggage trim forming a side of the luggage room; and a hook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rail part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rail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part, and the hook part slides back and forth to the rail part a hook body that is movably fastened; a steel member provided on the hook body and capable of magnetic coupling with the magnet; and a lever part coupled to the hook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hook body and having a hook part on which cargo can be moun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은 러기지트림에 레일부가 설치되고, 레일부에 화물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후크부가 구비되어, 보다 쉽고 안전하게 화물의 적재가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수납시스템은 러기지룸의 공간 구조상 버려지는 공간으로 그 활용도가 미비하였던 측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unit is installed on the luggage trim, and a hook unit capable of mounting cargo or the like on the rail unit is provided, so that loading of cargo can be made more easily and safely. In particular, such a storage system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utilize the side space, which is a wasted space due to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luggage roo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후크부를 록/언록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록 상태에서는 탄성지지부 및 마그넷에 의해 후크부가 레일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유격으로 인한 래틀 소음 등이 저감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unit can be switched to the locked/unlocked state through a simple operation, and in the locked state, the hook unit is firmly fixed to the rail unit by the elastic support unit and the magnet. As a result, rattle noise and the like due to play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후크부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의 화물에 대응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물이 수납시스템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화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move the hook part as necessary, so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cargoe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in some cases, the cargo is mounted in the storage system. It is possible to move the cargo even in the closed stat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후크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시스템의 제1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시스템의 제2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rail unit shown in FIG. 1 .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hook part shown in FIG. 1 .
FIG. 4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system shown in FIG. 1 .
FIG. 5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system shown in FIG. 1 .
FIG. 6 is a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system shown in FIG. 1 in u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for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이하, "수납시스템(100)"으로 지칭)은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되는 레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레일부(110)는 러기지룸의 측면을 형성하는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11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일부(110)는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110)는 적재된 화물 등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가급적 견고한 구조에 의해 러기지트림(10)에 장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레일부(110)는 러기지트림(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적재된 화물 등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러기지룸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한편, 본 실시예의 수납시스템(100)은 레일부(110)에 체결되는 후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후크부(120)는 레일부(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120)는 레일부(110)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부(120)는 위치가 고정되는 록(lock) 상태 및, 이동이 가능한 언록(unlock) 상태로 가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언록 상태에서는 레일부(110)를 따라 전후 이동될 수 있다.The
후크부(120)는 후크바디(121)와 레버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바디(121)는 레일부(110)에 체결되어 레일부(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레버부(124)는 후크바디(121)에 대해 소정 간격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후크바디(121)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레버부(124)에는 록/언록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력이 인가될 수 있다. 후크부(120)는 레버부(124)에 조작력이 인가됨에 따라 록 상태에서 언록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레버부(124)에 의한 록/언록 상태의 전환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후크부(120)는 걸이부(124b)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124b)는 러기지룸 내측을 향해 소정 정도 돌출되어 화물 등을 적절히 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걸이부(124b)는 레버부(124)로부터 연장되어 상단이 개방된 소정의 걸림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걸이부(124b)는 후크바디(121)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걸이부(124b)는 후크부(120)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화물 등을 적절히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rail unit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레일부(110)는 레일바디(1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레일바디(11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레일바디(111)는 소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전후로 연장된 바(bar)의 형태를 띄고 있다.The
레일바디(111)는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 후크장착공간(111a)이 마련될 수 있다. 후크장착공간(111a)은 후술할 후크부(120)의 장착 배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레일바디(111)의 일면에는 개구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1b)는 내부의 후크장착공간(111a)과 연통될 수 있다. 후크부(120)는 이러한 개구부(111b)를 통해 일부가 레일바디(111) 내측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The
레일바디(111)의 양단에는 각각 레일캡(112)이 구비될 수 있다. 레일캡(112)은 레일바디(111)의 각 단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레일바디(111) 내측의 후크장착공간(111a)은 이와 같은 레일캡(112)에 의해 외부로부터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레일부(110)는 마그넷브라켓(113)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마그넷브라켓(113)은 레일바디(111)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바디(111) 상단에는 마그넷브라켓(113)의 장착을 위한 브라켓삽입부(111c)가 형성될 수 있고, 마그넷브라켓(113)은 이와 같은 브라켓삽입부(111c)로 삽입되어 레일바디(111)에 조립될 수 있다. 브라켓삽입부(111c)는 상단이 개방된 소정의 홈 형태로 형성되어, 레일바디(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마그넷브라켓(113)은 레일바디(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면부(113b)를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삽입부(111c)는 마그넷브라켓(113)의 조립시 이와 같은 상면부(113b)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The
마그넷브라켓(113)은 상면부(113b)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서(113a)를 구비할 수 있다. 스페이서(113a)는 소정의 전후 길이를 가지고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스페이서(113a)는 각각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후로 인접한 스페이서(113a) 사이에는 마그넷조립공간(113c)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마그넷조립공간(113c)은 전후로 인접한 스페이서(113a) 사이의 소정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마그넷브라켓(113)은 비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마그넷브라켓(113)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레일부(110)는 복수의 마그넷(114)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마그넷(114)은 마그넷조립공간(113c)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마그넷조립공간(113c)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마그넷(114)은 접착이나 소정의 기계적 구조에 의해 마그넷조립공간(113c)에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넷(114)의 저면은 마그넷브라켓(113)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넷(114)은 스페이서(113a)를 사이에 두고 각각 마그넷조립공간(113c)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그넷브라켓(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페이서(113a) 및 마그넷(114)이 교번하여 배치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복수의 마그넷(114)이 장착된 마그넷브라켓(113)은 전술한 레일바디(111)의 브라켓삽입부(111c)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마그넷브라켓(113)은 접착이나 소정의 기계적 구조에 의해 브라켓삽입부(111c) 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후크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hook part shown in FIG. 1 .
참고로, 도 3은 "LO"로 표시된 방향은 러기지룸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고, "LI"로 표시된 방향은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도 3은 러기지룸 외측을 향하는 일면을 주면(main surface)으로 하여 후크부(120)를 도시하고 있다.For reference, in FIG. 3 , a direction indicated by “LO” is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luggage room, and a direction indicated by “LI” refers to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luggage room. 3 shows the
도 3을 참조하면, 후크부(120)는 후크바디(12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후크바디(121)는 후크부(12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후크바디(121)는 소정 형상의 블록 형태를 가지고 있다. 후크바디(121)는 삽입부(121b) 및 파지부(121a)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121b)는 전술한 레일부(110)의 후크장착공간(111a)에 배치되도록 레일부(11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부(121b)는 대체로 육면체 형상의 볼록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참고로, 후크부(120)의 조립은 전술한 레일부(110)에서 레일바디(111) 단부의 레일캡(112)을 제거하고, 레일캡(112)이 제거된 개구부로 삽입부(121b)를 밀어 넣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For reference, the assembly of the
파지부(121a)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인가받기 위한 것으로, 삽입부(121b)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파지부(121a)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파지부(121a)의 외형은 사용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파지부(121a)에는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곡면 형상이나, 소정의 표면 질감 등이 추가될 수 있다.The
파지부(121a)는 러기지룸 내측(LI)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전술한 레일부(110)의 개구부(111b)를 통해 후크장착공간(111a)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일부(110) 외측으로 노출된 파지부(121a)를 잡고 적절한 조작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후크바디(121)의 측면에는 레버가이드홀(121c)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가이드홀(121c)은 후크바디(121)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레버가이드홀(121c)은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레버부(124)의 상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A
후크바디(121)의 저면에는 스프링장착홈(121d)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장착홈(121d)은 후크바디(121)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장착홈(121d)의 중앙에는 스프링가이드봉(121e)이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가이드봉(121e)은 상하로 연장된 봉, 기둥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장착홈(121d)의 상단 천정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장착홈(121d)은 탄성지지부(123)의 조립 배치나 탄성 변형을 가이드하게 된다.A
한편, 후크부(120)는 스틸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스틸부재(122)는 소정 형상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러기지룸 외측(LO)을 향하는 후크바디(121)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틸부재(122)는 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후크바디(121)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The
스틸부재(122)는 레일부(110)의 마그넷(114)과 자력을 일으켜 후크부(120)의 멈춤 위치를 안내하거나, 소정의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틸부재(122)는 후크부(120)가 소정 위치에서 좀 더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후크부(120)와 레일부(110) 간의 유격 등에 의한 래틀 소음 등을 방지하게 된다.The
본 실시예의 후크부(120)는 상기와 같이 스틸부재(122)가 마그넷(114)에 의해 소정의 자력을 받도록 의도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후크바디(121)는 비자성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후크바디(12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한편, 후크부(120)는 레버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레버부(124)는 후크바디(121)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부(124)는 상면이 개방된 삽입홈(124c)을 구비하고, 이에 삽입부(121b)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후크바디(121)와 조립될 수 있다(도 4 참조).The
레버부(124)는 레버가이드(124a)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가이드(124a)는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후크바디(121)의 레버가이드홀(121c)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력 인가시 레버부(124)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레버가이드(124a)는 레버가이드홀(121c)에 대응되도록 레버부(124)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The
레버부(124)는 걸이부(124b)를 구비할 수 있다. 걸이부(124b)는 화물 등을 걸어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레버부(124)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소정 정도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된 걸이부(124b)가 예시되고 있다. 다만, 걸이부(124b)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화물 등을 거치 내지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한편, 후크부(120)는 탄성지지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탄성지지부(123)는 후크바디(121)와 레버부(124) 간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탄성지지부(123)는 압축스프링이 의도된다. 탄성지지부(123)는 상단이 후크바디(121)의 스프링장착홈(121d)으로 삽입 체결되고, 하단이 레버부(124)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후크바디(121)와 레버부(124) 간을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다만, 후크바디(121) 및 레버부(124)는 후크장착공간(111a) 내부에 수용 배치되어 있으므로, 탄성지지부(123)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도 4 참조).The
탄성지지부(123)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A plurality of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시스템의 제1작동상태도이다.FIG. 4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system shown in FIG. 1 .
도 4는 후크부(120)의 위치가 고정된 록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후크부(120)는 레일부(110)에 마련된 후크장착공간(111a)에 일부가 수용된 형태로 레일부(110)와 조립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지지부(123)에 의해 후크바디(121)와 레버부(124)는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후크장착공간(111a) 내에서 후크바디(121) 및 레버부(124)의 상단 및 하단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4 shows a locked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상기와 같은 록 상태에서, 후크부(120)는 탄성지지부(123)에 의해 후크바디(121)가 후크장착공간(111a) 상면에 밀착 접촉되고, 레버부(124)가 후크장착공간(111a) 저면에 밀착 접촉됨으로써, 전후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즉, 후크부(120)는 소정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In the locked state 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록 상태에서, 스틸부재(122)는 마그넷(114)과 대응되는 상하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틸부재(122)는 탄성지지부(123)에 의해 후크장착공간(111a) 내에서 최대 상승되어, 마그넷(114)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록 상태에서는, 마그넷(114)과 스틸부재(122) 간의 자성 결합력에 의해 후크부(120)의 전후 위치 고정이 보조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후크부(120)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래틀 소음 등이 저감될 수 있다.Also, in the locked state, the
또한, 록 상태에서, 레일부(110)에 대한 후크부(120)의 전후 위치는 대체로 마그넷(114)이 배치된 지점으로 의도된다. 즉, 후크부(120)는 스페이서(113a)가 아닌 마그넷(114)과 대향하는 지점에서 멈춤 내지 고정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후크부(120)의 고정 위치를 기 설정된 소정 위치(즉, 마그넷(114) 위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locked state, the front-rear position of th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시스템의 제2작동상태도이다.FIG. 5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system shown in FIG. 1 .
도 5는 후크부(120)가 레일부(11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언록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부(124) 및 파지부(121a)를 잡고 조작력을 가해 후크바디(121)를 소정 정도 하강시킨다.5 illustrates an unlocked state in which the
후크바디(121)가 하강되면, 후크바디(121)의 상면이 후크장착공간(111a)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레버부(124)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스틸부재(122) 또한 레버부(124)와 함께 하강되면서 마그넷(114)으로부터 이격되게 되며, 이로 인해 스틸부재(122)와 마그넷(114) 간의 자력도 약화되게 된다. 따라서 후크부(120)는 언록 상태로 전환되고, 사용자는 레일부(110)를 따라 레버부(124)를 전후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또한, 상기와 같은 언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부(124)를 전후로 이동시키면, 이동 과정에서 스틸부재(122)가 마그넷(114)과 소정의 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다만, 언록 상태에서는 스틸부재(122)와 마그넷(114)이 이격 배치되므로, 상기의 자력은 록 상태에서의 것보다 상당히 작은 크기의 것이며, 스페이서(113a)와 마그넷(114)이 교번하여 배치됨에 따라, 상기의 자력은 사용자에게 약한 정도의 절도감 등을 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감의 구현 및 레버부(124)의 고정 위치에 대한 안내가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nlocked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moves the
한편, 사용자가 소정 위치로 후크부(12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조작력을 제거하면, 탄성지지부(123)에 의해 후크부(120)는 전술한 록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위치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moves the operating force while moving th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6 is a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system shown in FIG. 1 in use.
도 6을 참조하면, 화물 등은 후크부(120)에 걸림 결합된 형태로 러기지트림(10)에 거치될 수 있다. 화물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후크부(120)는 적절한 배치 위치로 이동되어 화물을 거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cargo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luggage trim 10 in the form of being engaged with the
본 실시예에서는 화물의 한 형태로 박스 형상의 수납함(130)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수납함(130)은 러기지트림(10)을 향해 배치된 측면에 걸개(131, 132)가 구비될 수 있고, 걸개(131, 132)가 후크부(120)에 걸림 결합되어 수납시스템(100)에 적절히 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걸개(131, 132)는 상부걸개(131) 및 하부걸개(13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box-shaped
후크부(120)는 수납함(130) 등의 거치 이전에 레일부(110)를 따라 적절한 위치로 미리 이동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납함(130) 등을 거치한 상태로 적절히 전후 이동될 수 있다. 후크부(120)의 이동 및 위치 고정은 사용자가 레버부(124) 등에 조작력을 가해 후크부(120)를 언록 상태로 전환시키고, 레일부(110)를 따라 후크부(120)를 적절한 전후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뤄질 수 있다.The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의 수납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은 수납함(130)이 포함된 형태로 모듈화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시스템(100)은 러기지트림(10)에 레일부(110)가 설치되고, 레일부(110)에 화물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후크부(120)가 구비되어, 보다 쉽고 안전하게 화물의 적재가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수납시스템(100)은 러기지룸의 공간 구조상 버려지는 공간으로 그 활용도가 미비하였던 측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시스템(100)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후크부(120)를 록/언록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록 상태에서는 탄성지지부(123) 및 마그넷(114)에 의해 후크부(120)가 레일부(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유격으로 인한 래틀 소음 등이 저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 후크부(120)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의 화물에 대응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물이 수납시스템(100)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화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러기지트림 100: 수납시스템
110: 레일부 111: 레일바디
111a: 후크장착공간 111b: 개구부
111c: 브라켓삽입부 112: 레일캡
113: 마그넷브라켓 113a: 스페이서
113b: 상면부 113c: 마그넷조립공간
114: 마그넷 120: 후크부
121: 후크바디 121a: 파지부
121b: 삽입부 121c: 레버가이드홀
121d: 스프링장착홈 121e: 스프링가이드봉
122: 스틸부재 123: 탄성지지부
124: 레버부 124a: 레버가이드
124b: 걸이부 124c: 삽입홈
130: 수납함 131: 상부걸개
132: 하부걸개 LI: 러기지룸 내측
LO: 러기지룸 외측10: luggage trim 100: storage system
110: rail 111: rail body
111a: hook mounting
111c: bracket insert 112: rail cap
113:
113b:
114: magnet 120: hook part
121:
121b:
121d:
122: steel member 123: elastic support part
124:
124b:
130: storage box 131: upper hanger
132: lower hanger LI: inside the luggage room
LO: Outside the Luggage Room
Claims (6)
상기 레일부(110)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후크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부(110)는,
상기 레일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넷(114);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러기지트림(10)에 장착되는 레일바디(111); 및
상기 레일바디(111) 상단에 형성된 브라켓삽입부(111c)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마그넷(114)를 지지하는 마그넷브라켓(113);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120)는,
상기 레일부(110)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바디(121);
상기 후크바디(121)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114)과 자성 결합 가능한 스틸부재(122); 및
상기 후크바디(121)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바디(121)와 체결되고, 화물이 거치될 수 있는 걸이부(124b)를 구비하는 레버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브라켓(113)은,
마그넷조립공간(113c)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스페이서(113a);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13a) 상측을 차폐하는 상면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114)은,
상기 마그넷조립공간(113c)으로 삽입 체결되어 인접한 다른 마그넷(114)과의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113a)가 배치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a rail unit 110 installed on the luggage trim 10 forming a side of the luggage room; and
A hook portion 120 fastened to the rail portion 11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rail unit 110,
a plurality of magnets 11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10;
a rail body 11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luggage trim 10; and
A magnet bracket 113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magnets 114 by being inserted and fastened with a bracket inserting part 111c formed on the top of the rail body 111;
The hook part 120,
a hook body 121 that is slidably fastened back and forth to the rail 110;
a steel member 122 provided on the hook body 121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gnet 114; and
Including; and a lever part 124 that is fastened with the hook body 12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hook body 121 and has a hook part 124b on which cargo can be mounted;
The magnet bracket 113 is
A plurality of spacers (113a)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with the magnet assembly space (113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ncluding;
The magnet 114 is,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wherein the spacer (113a)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magnet assembly space (113c) and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magnets (114).
상기 레일바디(111)는,
상기 후크부(120)가 배치되도록 상기 레일바디(111) 내측에 구비되되, 러기지룸 내측(LI)을 향해 개구부(111b)가 형성된 후크장착공간(111a); 및
상기 후크장착공간(111a)의 전후단을 폐쇄하도록 상기 레일바디(111)의 전후단에 체결되는 레일캡(112);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브라켓(113)은,
비자성체를 재질로 포함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body 111,
a hook mounting space (111a) provided inside the rail body (111) so that the hook part (120) is disposed, and having an opening (111b)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luggage room (LI); and
and a rail cap 112 fasten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ail body 111 so as to clos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ook mounting space 111a.
The magnet bracket 113 is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ontaining a non-magnetic material.
상기 후크부(120)는,
상기 후크바디(121)와 상기 레버부(124)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바디(121)는,
상기 레일바디(111) 내측에 마련된 후크장착공간(111a)으로 삽입 체결되는 삽입부(121b);
상기 삽입부(121b)의 일측에 마련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크장착공간(111a)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파지부(121a);
상기 탄성지지부(123) 상단이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후크바디(121) 저면으로부터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스프링장착홈(121d); 및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장착홈(121d) 중앙에 배치되는 스프링가이드봉(121e);을 포함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 part 120,
and an elastic support part 123 for elastically supporting between the hook body 121 and the lever part 124,
The hook body 121,
an insertion part (121b)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hook mounting space (111a) provided inside the rail body (111);
a holding part (121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121b),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ok mounting space (111a);
a spring mounting groove (121d)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body (12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part (123)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spring guide rod (121e) extending vertically and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pring mounting groove (121d).
상기 후크바디(121)는,
상기 후크바디(121) 일측에 상하로 연장 형성된 레버가이드홀(121c)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124)는,
상기 레버가이드홀(121c)에 체결되어 상기 후크바디(121)에 대한 상기 레버부(12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버가이드(124a); 및
상기 후크바디(121)의 하단 일부가 삽입 체결되는 삽입홈(124c);을 포함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hook body 121,
and a lever guide hole 121c extending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hook body 121,
The lever part 124 is
a lever guide (124a) fastened to the lever guide hole (121c)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ver part (124) with respect to the hook body (121); and
Including, a vehicle luggage storage system;
상기 후크부(120)에 걸림 결합되어 소정의 화물을 내부에 수납 가능한 수납함(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함(130)은,
상기 후크부(120)에 걸림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걸개(131, 132)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120)는,
상기 후크바디(121) 및 상기 레버부(124)가 상기 레일부(110)에 마련된 후크장착공간(111a)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스틸부재(122)가 상기 마그넷(114)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레일부(110)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이 구속되는 록 상태;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후크바디(121)가 소정 정도 하강되어 상기 후크장착공간(111a) 내측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스틸부재(122)가 상기 마그넷(114)의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레일부(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언록 상태;로 동작 가능한,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box 130 that is engaged with the hook part 120 and can accommodate a predetermined cargo therein,
The storage box 130,
It includes one or more hangers (131, 132) that can be hooked to the hook part (120),
The hook part 120,
The hook body 121 and the lever part 124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ook mounting space 111a provided in the rail part 110 , and the steel member 122 is rais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magnet 114 . a locked state in which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rail unit 110 is constrained; and
The hook body 121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degree by the user's external force and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hook mounting space 111a, and the steel member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114 below, and the rail part (110)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unlocked state; operable in a vehicl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731A KR102307652B1 (en) | 2020-05-06 | 2020-05-06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731A KR102307652B1 (en) | 2020-05-06 | 2020-05-06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7652B1 true KR102307652B1 (en) | 2021-10-01 |
Family
ID=7811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731A Active KR102307652B1 (en) | 2020-05-06 | 2020-05-06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765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8700A (en) * | 2022-10-26 | 2024-05-03 | 주식회사 서연이화 | Rail sliding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7412U (en) * | 1996-11-15 | 1998-08-05 | 박병재 | Cargo net fixing structure for commercial vehicles |
US20110057468A1 (en) * | 2008-07-08 | 2011-03-10 | Nissan North America, Inc. | Interior vehicle body structure |
KR101610582B1 (en) | 2015-03-20 | 2016-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wo-stage luggage room assembly for Vehicle |
KR20180137980A (en) * | 2017-06-20 | 2018-12-2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Grip handle of cargo screen for car |
KR101936997B1 (en) | 2016-12-16 | 2019-0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go loading apparatus of luggage room for vehicle |
-
2020
- 2020-05-06 KR KR1020200053731A patent/KR1023076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7412U (en) * | 1996-11-15 | 1998-08-05 | 박병재 | Cargo net fixing structure for commercial vehicles |
US20110057468A1 (en) * | 2008-07-08 | 2011-03-10 | Nissan North America, Inc. | Interior vehicle body structure |
KR101610582B1 (en) | 2015-03-20 | 2016-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wo-stage luggage room assembly for Vehicle |
KR101936997B1 (en) | 2016-12-16 | 2019-0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go loading apparatus of luggage room for vehicle |
KR20180137980A (en) * | 2017-06-20 | 2018-12-2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Grip handle of cargo screen for ca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8700A (en) * | 2022-10-26 | 2024-05-03 | 주식회사 서연이화 | Rail sliding system |
KR102726604B1 (en) * | 2022-10-26 | 2024-11-07 | 주식회사 서연이화 | Rail slid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46598B1 (en) |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 |
GB2245232A (en) | Front window for operators cab | |
US6820909B2 (en) | Artic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s | |
KR102307652B1 (en)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
JP2004505848A (en) | System for storing luggage in a vehicle | |
KR20240116887A (en) | Sliding transfer device of the vehicle | |
KR101776513B1 (en) |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 |
KR20220095274A (en) | Roof box for vehicles | |
JP2001158300A (en) | Shuttle console mechanism | |
JP6384312B2 (en) | Transportation cart and caster mounting structure | |
JP7407988B2 (en) | Vehicle storage device | |
KR100381482B1 (en) | Apparatus for locking a console of an automobile | |
US20070181765A1 (en) | Compression rail for sliding cup holder tray | |
JP2006335348A (en) | Car trunk loading device | |
JP5869224B2 (en) | Vehicle storage device | |
JPS6192967A (en) | Spare tire storing device | |
KR102291459B1 (en)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
KR102478810B1 (en) | Sliding type glove box having stopping structure | |
JP4140572B2 (en) | C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 |
KR102383902B1 (en) | Carrier structure for built-in trim | |
KR200157250Y1 (en) | Roof carrier of a car | |
KR0124717Y1 (en) | Case structure of car trunk | |
KR100748752B1 (en) | Slide structure of console armrest for car | |
KR200156289Y1 (en) | Glove box locking apparatus | |
KR20230061123A (en) | Apparatus for fixing net of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