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225B1 -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6225B1 KR102306225B1 KR1020210052222A KR20210052222A KR102306225B1 KR 102306225 B1 KR102306225 B1 KR 102306225B1 KR 1020210052222 A KR1020210052222 A KR 1020210052222A KR 20210052222 A KR20210052222 A KR 20210052222A KR 102306225 B1 KR102306225 B1 KR 102306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marine debris
- pixel
- styrofoam
- satellite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1—Dividing image into blocks, subimages or window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대표픽셀 선정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모래, 암반, 식생, 해수 및 스티로폼 5개 재질을 대상으로 KOMPSAT-3A 밴드에서의 반사도 변화 분석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대표픽셀 선정모듈의 구동 화면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밴드별 조합모듈 및 기준생성모듈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분석부에 의하여 백색 스티로폼이 탐지된 화면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검증부를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10 : 이미지 편집부
110 : 융합이미지 생성모듈 130 : 대기영향 보정모듈
30 : 학습자료 생성부
310 : 군집별 분류모듈 330 : 대표픽셀 선정모듈
331 : 제1 픽셀 선정모듈 333 : 제2 픽셀 선정모듈
50 : 기계학습부
510 : 밴드별 조합모듈 530 : 기준생성모듈
70 : 분석부
710 : 탐지모듈 730 : 분포면적 산출모듈
90 : 검증부
S1 :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
S10 내지 S70 : 각 단계
Claims (8)
- 수신한 인공위성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
편집을 통하여 생성된 융합이미지에서, 해양쓰레기를 포함한 각 군집 별 대표 픽셀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대표 픽셀을 기초로 해양쓰레기를 탐지하는 기준이 되는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분석 대상 인공위성 이미지 입력 시 상기 학습모델을 기초로 목표지점에서의 백색 스티로폼의 분포 위치 및 범위를 픽셀 별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대상 인공위성 이미지에서의 백색 스티로폼의 분포 위치를 드론 이미지와 대비하여 비교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편집단계는
고해상도의 흑백 이미지와 저해상도의 다중 분광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군집 별 대표 픽셀 선정단계는
백색 스티로폼의 대표 픽셀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 스티로폼을 제외한 모래, 식생, 암반, 해수 등 나머지 군집 별 대표 픽셀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검증단계는
상기 학습모델을 통하여 백색 스티로폼의 위치를 나타내는 픽셀과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드론 이미지 픽셀들에서 백색 스티로폼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된 픽셀들의 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학습모델을 통한 결과값이 참인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백색 스티로폼 대표 픽셀 선정단계는
근적외선 밴드에서 가장 높은 반사도 값을 나타내는 픽셀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의 윈도우에 포함되는 픽셀(들)을 대표 픽셀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모델 생성단계는
적색, 녹색, 청색, 근적외선 밴드에서, 2개의 밴드 별 각 재질의 반사도값을 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조합된 2개의 밴드 별 반사도값들을 모두 조합하여 1개의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지점에서 백색 스티로폼의 총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 면적 산출단계는
상기 입력된 인공위성 이미지의 공간해상도와, 탐지된 백색 스티로폼 위치와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곱 연산하여 상기 백색 스티로폼의 총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지점에서 백색 스티로폼의 총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 면적 산출단계는
상기 입력된 인공위성 이미지의 공간해상도와, 탐지된 백색 스티로폼 위치와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곱 연산하여 상기 백색 스티로폼의 총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개수가 군집 별 대표 픽셀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윈도우에 포함되는 픽셀들에서 대표 픽셀 개수만큼 무작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2222A KR102306225B1 (ko) | 2021-02-01 | 2021-04-22 |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869A KR102264416B1 (ko) | 2021-02-01 | 2021-02-01 | 인공위성 영상 분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210052222A KR102306225B1 (ko) | 2021-02-01 | 2021-04-22 |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869A Division KR102264416B1 (ko) | 2021-02-01 | 2021-02-01 | 인공위성 영상 분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6225B1 true KR102306225B1 (ko) | 2021-09-29 |
Family
ID=7641741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869A Active KR102264416B1 (ko) | 2021-02-01 | 2021-02-01 | 인공위성 영상 분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210052221A Active KR102278419B1 (ko) | 2021-02-01 | 2021-04-22 | 인공위성 영상의 대표 픽셀 선정을 통한 백색 스티로폼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210052222A Active KR102306225B1 (ko) | 2021-02-01 | 2021-04-22 |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869A Active KR102264416B1 (ko) | 2021-02-01 | 2021-02-01 | 인공위성 영상 분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210052221A Active KR102278419B1 (ko) | 2021-02-01 | 2021-04-22 | 인공위성 영상의 대표 픽셀 선정을 통한 백색 스티로폼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26441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7230A (ko) * | 2021-09-30 | 2023-04-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정지궤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일간격 영상융합 방법 및 시스템 |
KR102594363B1 (ko) * | 2022-09-30 | 2023-10-26 | (주) 아이렘기술개발 | 위성 및 드론 영상 데이터 기반 해양쓰레기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
KR102701105B1 (ko) * | 2024-03-20 | 2024-08-30 | (주)유에스티21 | 위성영상을 활용한 해빙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50017997A (ko) | 2023-07-28 | 2025-02-0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드론 영상을 통한 수거 사각지대의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1469B1 (ko) * | 2021-09-16 | 2025-04-08 | 주식회사 포어시스 | 부유폐기물 성상 분류 및 차집량 추정 시스템, 이의 추정 방법, 및 부유폐기물 성상 분류 및 차집량 추정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KR102399089B1 (ko) | 2022-01-17 | 2022-05-17 | 이승철 | 인공위성 영상정보를 이용한 홍수 피해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526638B1 (ko) | 2022-04-21 | 2023-04-28 | (주) 지오씨엔아이 | 다중시기 위성영상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계열 해안선 탐지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20240076878A (ko) | 2022-11-23 | 2024-05-31 | (주)컨텍 | 위성영상을 활용한 해양폐기물 처리장치 |
KR102602439B1 (ko) * | 2023-04-14 | 2023-11-15 | (주)유에스티21 | 인공지능 기반 cctv 촬영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이안류 탐지 방법 및 그 장치 |
CN116342895B (zh) * | 2023-05-31 | 2023-08-11 | 浙江联运知慧科技有限公司 | 基于ai处理的提升再生资源分拣效率的方法及系统 |
KR102656376B1 (ko) * | 2023-08-18 | 2024-04-11 | (주)유에스티21 | 인공위성 영상 이미지 분석을 통한 리튬 광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7998060B (zh) * | 2024-04-03 | 2024-06-04 | 生态环境部卫星环境应用中心 | 一种基于高分遥感影像的纳污坑塘遥感监测方法 |
CN118961604B (zh) * | 2024-10-17 | 2025-01-28 | 南京信息工程大学 | 探测海洋漂浮垃圾的卫星遥感方法、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6142A (ko) * | 2008-03-07 | 2009-09-10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위성 영상 융합 방법 및 시스템 |
KR20120000732A (ko) * | 2010-06-28 | 2012-01-04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객체기반 분석을 위한 자동 영상분할 방법 |
KR20170063182A (ko) * | 2015-11-30 | 2017-06-08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표적신호 분리를 이용하여 탐지성능이 향상된 초분광 영상의 표적물질 탐지방법 |
KR101833172B1 (ko) | 2017-05-26 | 2018-02-28 | 장선웅 |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
KR20190140658A (ko) * | 2018-06-12 | 2019-12-20 | 주식회사 팜에어 | 드론 영상을 이용한 농작물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
-
2021
- 2021-02-01 KR KR1020210013869A patent/KR102264416B1/ko active Active
- 2021-04-22 KR KR1020210052221A patent/KR102278419B1/ko active Active
- 2021-04-22 KR KR1020210052222A patent/KR10230622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6142A (ko) * | 2008-03-07 | 2009-09-10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위성 영상 융합 방법 및 시스템 |
KR20120000732A (ko) * | 2010-06-28 | 2012-01-04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객체기반 분석을 위한 자동 영상분할 방법 |
KR20170063182A (ko) * | 2015-11-30 | 2017-06-08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표적신호 분리를 이용하여 탐지성능이 향상된 초분광 영상의 표적물질 탐지방법 |
KR101833172B1 (ko) | 2017-05-26 | 2018-02-28 | 장선웅 |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
KR20190140658A (ko) * | 2018-06-12 | 2019-12-20 | 주식회사 팜에어 | 드론 영상을 이용한 농작물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Remote Sensing Data in Mapping Plastic at Surface Water Bodies, In Proceedings of the FIG Working Week 2019.04.* * |
무인항공기 및 다중분광센서를 이용한 하천부유쓰레기 탐지 기법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3권 5호, 2017.10.* *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7230A (ko) * | 2021-09-30 | 2023-04-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정지궤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일간격 영상융합 방법 및 시스템 |
KR102538242B1 (ko) * | 2021-09-30 | 2023-06-01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지궤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일간격 영상융합 방법 및 시스템 |
KR102594363B1 (ko) * | 2022-09-30 | 2023-10-26 | (주) 아이렘기술개발 | 위성 및 드론 영상 데이터 기반 해양쓰레기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
KR20250017997A (ko) | 2023-07-28 | 2025-02-0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드론 영상을 통한 수거 사각지대의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2701105B1 (ko) * | 2024-03-20 | 2024-08-30 | (주)유에스티21 | 위성영상을 활용한 해빙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4416B1 (ko) | 2021-06-14 |
KR102278419B1 (ko) | 2021-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6225B1 (ko) | 인공위성 영상 분석 및 드론 이미지와 비교 검증을 통한 해양쓰레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
Topouzelis et al. | Seagrass mapping in Greek territorial waters using Landsat-8 satellite images | |
Burns et al. | Assessing the impact of acute disturbances on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 coral community using innovative 3D reconstruction techniques | |
Yan et al. | Comparison of pixel‐based and object‐oriented image classification approaches—a case study in a coal fire area, Wuda, Inner Mongolia, China | |
Heenkenda et al. | Mangrove tree crown delineation from high-resolution imagery | |
Zhang et al. | CNet: A novel seabed coral reef image segmentation approach based on deep learning | |
Šaškov et al. | Comparison of manual and semi-automatic underwater imagery analyses for monitoring of benthic hard-bottom organisms at offshore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s | |
Barbero-García et al. | Automatic detection of bulldozer-induced changes on a sandy beach from video using YOLO algorithm | |
Xiao et al. | Individual tree detection and crown delineation with 3D information from multi-view satellite images | |
Xiao et al. | Individual tree detection from multi-view satellite images | |
Taherzadeh et al. | Using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data in urban mapping over Kuala Lumpur | |
Prerna et al. | Evaluation of LiDAR and image segmentation 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for automatic building footprint extraction for a segment of Atlantic County, New Jersey | |
Crawford et al. | Fractal characterization of Mytilus edulis L. spatial structure in intertidal landscapes using GIS methods | |
Kotaridis et al. | Integrating object-based image analysi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waterbodies delineation on synthetic aperture radar data | |
Fisette et al. | Methodology for a Canadian agricultural land cover classification | |
Nussbaum et al. | Feature recognition in the context of automated object-oriented analysis of remote sensing data monitoring the Iranian nuclear sites | |
Hashim et al. | Geometric and radiometric evaluation of RazakSAT medium-sized aperture camera data | |
Verma et al. | Comparative evaluation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s based on multispectral images for measuring land cover dynamics of mango (Mangifera indica L.) in Malihabad Lucknow (UP) | |
Bancud et al. | Combining image enhancement techniques and deep learning for shallow water Benthic Marine Litter Detection | |
Robson et al. | Evaluation of eCognition for assisted target detection and recognition in SAR imagery | |
Jeong et al. | Simplified image analysis for early detection of missing and low-vigor cabbage plants using UAV RGB imagery and deep learning | |
Guerrero et al. | Assessment of seagrass percent cover and water quality using UAV images and field measurements in Bolinao, Pangasinan | |
Garcia | Mapping the Retreat of the Debris-Covered Tasman Glacier in the Aoraki-Mount Cook National Park, New Zealand | |
Barbero-García et al. | Observations and Geoinformation | |
Capolupo et al. | Spectral discrimination and separability analysis of beach macroplatisc litter from high-resolution RPAS ima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020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1386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