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128B1 -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6128B1 KR102306128B1 KR1020150079465A KR20150079465A KR102306128B1 KR 102306128 B1 KR102306128 B1 KR 102306128B1 KR 1020150079465 A KR1020150079465 A KR 1020150079465A KR 20150079465 A KR20150079465 A KR 20150079465A KR 102306128 B1 KR102306128 B1 KR 102306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 beams
- transmission
- identifier
- se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100194362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res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00194363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res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04W72/08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식별자와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을 위한 다중 FA와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각 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 다수의 송신 빔을 송신하는 기지국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송신 빔 각각을 위한 빔 식별자를 설정하되, 상기 송신 빔 각각은 고유한 빔 식별자를 갖는 단계;
상기 다수의 송신 빔 중 공간적으로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는 송신 빔의 최대 개수 및 상기 빔 식별자에 기초해, 상기 다수의 송신 빔 각각을 위한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송신 빔을, 공간적으로 인접한 송신 빔들을 포함하는 빔 세트로 묶는 단계; 및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 각각에 상이한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할당하되, 상기 빔 세트에 포함된 상기 가상 빔 식별자는 다른 빔 세트에 포함된 상기 가상 빔 식별자와 동일하고,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 각각의 상기 가상 빔 식별자는, 상기 빔 세트에 인접한 빔 세트의 송신 빔 중,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과 인접한 송신 빔의 상기 가상 빔 식별자와 다르게 할당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수의 송신 빔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빔이, 인접한 빔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송신 빔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송신하는,
자원 할당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개수가 K(단, K는 2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에, 상기 빔 식별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빔 식별자의 값에 모듈로(modulo) K 연산을 적용해 나머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식별자 각각에 대한 상기 나머지를, 상기 다수의 송신 빔 각각을 위한 상기 가상 빔 식별자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는,
MxN 개(단, M, N은 자연수)의 송신 안테나 요소(element)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MxN 개의 송신 빔을 K개씩 묶어, P개(단, P는 자연수)의 빔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개의 빔 세트를 위한 빔 식별자들을, 상기 P개의 빔 세트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개의 빔 세트를 위한 빔 식별자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P개의 빔 세트 중 J번째(단, J는 자연수) 빔 세트 내의 송신 빔들을 위한 K개의 빔 식별자를, 상기 J번째 빔 세트 내의 송신 빔들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과 상기 N은 동일한 2 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K는 4이고,
상기 J번째 빔 세트는 2x2 개의 송신 빔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송신 빔 중 단말이 속한 제1 송신 빔이 사용하는 주파수 할당(FA: Frequency Assignment)의 개수만큼, 상기 단말을 위한 제1 주파수 자원을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자원들을, 상기 다수의 가상 빔 식별자 중 상기 제1 송신 빔을 위한 제1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자원들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자원들 각각을, 상기 제1 가상 빔 식별자를 오프셋으로 하는 주파수 홉핑(frequency hopping)을 통해, 상기 제1 송신 빔이 사용하는 FA 각각으로 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밀리미터파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자원 할당 방법. - MxN 개(단, M, N은 자연수)의 송신 안테나 요소(element)를 통해 MxN 개의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MxN 개의 송신 빔을 위한 MxN 개의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MxN 개의 송신 빔 중 공간적으로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는 송신 빔의 최대 개수 및 상기 빔 식별자에 기초해, 상기 MxN 개의 송신 빔을 위한 MxN 개의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빔을, 공간적으로 인접한 송신 빔들을 포함하는 빔 세트로 묶는 단계; 및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 각각에 상이한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할당하되, 상기 빔 세트에 포함된 상기 가상 빔 식별자는 다른 빔 세트에 포함된 상기 가상 빔 식별자와 동일하고,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 각각의 상기 가상 빔 식별자는, 상기 빔 세트에 인접한 빔 세트의 송신 빔 중,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과 인접한 송신 빔의 상기 가상 빔 식별자와 다르게 할당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인접한 빔 세트의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송신 빔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송신 빔을 송신하는,
기지국의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개수가 K개(단, K는 2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에, 상기 MxN 개의 빔 식별자 각각의 값에 모듈로(modulo) K 연산을 적용해 그 나머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식별자 각각에 대한 나머지를, 상기 MxN 개의 송신 빔을 위한 상기 MxN 개의 가상 빔 식별자 각각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MxN 개의 송신 빔을 K개씩 묶어, P개(단, P는 자연수)의 빔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개의 빔 세트를 위한 빔 식별자들을, 상기 P개의 빔 세트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개의 빔 세트를 위한 빔 식별자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P개의 빔 세트 중 J번째(단, J는 자연수) 빔 세트 내의 송신 빔들을 위한 K개의 빔 식별자를, 상기 J번째 빔 세트 내의 송신 빔들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과 상기 N은 동일한 2 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K는 4이고,
상기 J번째 빔 세트는 2x2 개의 송신 빔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밀리미터파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지국의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송신 빔을 위한 다수의 빔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다수의 송신 빔 중 공간적으로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는 송신 빔의 최대 개수 및 상기 빔 식별자에 기초해, 상기 다수의 송신 빔을 위한 다수의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다수의 송신 빔을, 공간적으로 인접한 송신 빔들을 포함하는 빔 세트로 묶는 것; 및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 각각에 상이한 상기 가상 빔 식별자를 할당하되, 상기 빔 세트에 포함된 상기 가상 빔 식별자는 다른 빔 세트에 포함된 상기 가상 빔 식별자와 동일하고,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 각각의 상기 가상 빔 식별자는, 상기 빔 세트에 인접한 빔 세트의 송신 빔 중, 상기 빔 세트 내의 송신 빔과 인접한 송신 빔의 상기 가상 빔 식별자와 다르게 할당되는 것을 포함하고,
기지국은, 상기 다수의 송신 빔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빔이, 인접한 빔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송신 빔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송신하는,
기지국.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대 개수가 K개(단, K는 2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에, MxN 개(단, M, N은 자연수)의 빔 식별자 각각의 값에 모듈로(modulo) K 연산을 적용해 그 나머지를 계산하고, 상기 빔 식별자 각각에 대한 나머지를 MxN 개의 송신 빔을 위한 MxN 개의 가상 빔 식별자 각각의 값으로 설정하는
기지국.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xN 개의 송신 빔을 K개씩 묶어 P개(단, P는 자연수)의 빔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P개의 빔 세트를 위한 빔 식별자들을 상기 P개의 빔 세트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기지국.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개의 빔 세트 중 J번째(단, J는 자연수) 빔 세트 내의 송신 빔들을 위한 K개의 빔 식별자를, 상기 J번째 빔 세트 내의 송신 빔들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기지국.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xN 개의 송신 빔 중 단말이 속한 제1 송신 빔이 사용하는 주파수 할당(FA: Frequency Assignment)의 개수만큼, 상기 단말을 위한 제1 주파수 자원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자원들을 상기 MxN 개의 가상 빔 식별자 중 상기 제1 송신 빔을 위한 제1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기지국.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된 자원들 각각을, 상기 제1 가상 빔 식별자를 오프셋으로 하는 주파수 홉핑(frequency hopping)을 통해, 상기 제1 송신 빔이 사용하는 FA 각각으로 분산하는
기지국.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9465A KR102306128B1 (ko) | 2015-06-04 | 2015-06-04 |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
US15/077,896 US10064183B2 (en) | 2015-06-04 | 2016-03-2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virtual beam ident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using the virtual beam ident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9465A KR102306128B1 (ko) | 2015-06-04 | 2015-06-04 |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3197A KR20160143197A (ko) | 2016-12-14 |
KR102306128B1 true KR102306128B1 (ko) | 2021-09-28 |
Family
ID=5745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9465A Active KR102306128B1 (ko) | 2015-06-04 | 2015-06-04 |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064183B2 (ko) |
KR (1) | KR1023061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6128B1 (ko) * | 2015-06-04 | 2021-09-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
CN107835042B (zh) * | 2016-09-14 | 2020-12-01 | 华为技术有限公司 | 同步波束发送接收方法、网络设备、终端及系统 |
WO2019092884A1 (ja) * | 2017-11-13 | 2019-05-16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 |
KR102562310B1 (ko) * | 2018-09-27 | 2023-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응적으로 성능을 변경하는 무선 통신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
KR102612338B1 (ko) | 2019-01-10 | 2023-12-08 | 지티이 코포레이션 | 무선 시스템들에서 준-코-로케이션 정보의 시그널링 |
US11277193B2 (en) * | 2019-05-31 | 2022-03-15 | Qualcomm Incorporated | Beam selection procedures for multi-stream environments |
WO2022077361A1 (en) * | 2020-10-15 | 2022-04-21 | Apple Inc. | Mechanisms for indicating beam directions |
US11917669B2 (en) | 2020-11-06 | 2024-02-2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30703A1 (en) * | 2010-07-19 | 2013-05-23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ignal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
US20140073337A1 (en) * | 2012-09-11 | 2014-03-13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millimeter-wave frequency band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04935A (en) * | 1997-05-05 | 2000-08-15 | Nortel Networks Corporation | Down link beam forming architecture for heavily overlapped beam configuration |
US6233466B1 (en) * | 1998-12-14 | 2001-05-15 |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 Downlink beamforming using beam sweeping and subscriber feedback |
JP3870613B2 (ja) | 1999-06-30 | 2007-01-24 | Kddi株式会社 |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集線基地局 |
US6865185B1 (en) * | 2000-02-25 | 2005-03-08 | Cisco Technology, Inc. | Method and system for queu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
US7664533B2 (en) * | 2003-11-10 | 2010-02-1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beam antenna system |
WO2006068413A1 (en) | 2004-12-21 | 2006-06-29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selecting switched beam using pilot signal and system thereof |
US9813867B2 (en) * | 2005-12-15 | 2017-11-07 | Polte Corporation | Angle of arrival (AOA)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al finding and tracking objects using reduced attenuation RF technology |
KR20080022033A (ko) * | 2006-09-05 | 2008-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프리코딩 정보 피드백 방법 및 프리코딩 방법 |
US8335480B2 (en) * | 2007-09-28 | 2012-12-18 | Cisco Technology, Inc. | Omni-directional and low-correlated pre-coding broadcast beamforming |
BRPI0818518A8 (pt) * | 2007-10-04 | 2017-05-16 | Nortel Networks Ltd | Formação de feixes espaciais em um segmento de célula |
US8280445B2 (en) * | 2008-02-13 | 2012-10-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training of beamforming vectors by selective use of beam level training |
CN104104424B (zh) * | 2008-05-09 | 2017-11-28 | 苹果公司 | 用于支持蜂窝网络中天线波束形成的系统和方法 |
PL2342837T3 (pl) * | 2008-11-04 | 2016-09-30 | Asymetryczny protokół sterowania wiązką | |
US20120041966A1 (en) * | 2010-07-15 | 2012-02-16 | Virtual Beam, Inc. | Directional information search from a mobile device |
KR20130063658A (ko) | 2011-12-07 | 2013-06-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 |
KR102040305B1 (ko) * | 2011-12-08 | 2019-11-05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한 통신 |
KR101304008B1 (ko) | 2011-12-26 | 2013-09-04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셀 사이의 간섭을 저감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140125405A (ko) * | 2012-01-27 | 2014-10-28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셀 간 간섭의 관리 또는 개선 |
KR102109655B1 (ko) * | 2012-02-23 | 2020-05-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방법 |
EP2824976B1 (en) * | 2012-03-05 | 2017-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plink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9100146B2 (en) * | 2012-03-08 | 2015-08-04 | Alcatel Lucent | Virtual sectorization using an active anntenna array |
KR20140056561A (ko) | 2012-10-29 | 2014-05-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다중 빔을 운영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방법 |
KR102029102B1 (ko) * | 2012-11-19 | 2019-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빔포밍 시스템에서 빔 방향 선택 방법 및 장치 |
RU2015119236A (ru) * | 2012-11-28 | 2016-12-10 |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данных, и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а |
KR102171128B1 (ko) * | 2012-12-21 | 2020-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이용한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KR101730752B1 (ko) * | 2013-02-07 | 2017-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빔 제약적 서브프레임에 기반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
KR102085003B1 (ko) * | 2013-04-30 | 2020-04-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빔포밍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수신 빔 제공 방법 및 장치 |
HK1223459A1 (zh) * | 2013-09-05 | 2017-07-28 | 英特尔公司 | 用於并行多用户传输的空间区域的适应性扇区化 |
US9853715B2 (en) * | 2014-02-17 | 2017-12-26 | Ubiqomm Llc | Broadband access system via drone/UAV platforms |
KR102309726B1 (ko) * | 2014-07-10 | 2021-10-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빔 포밍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
US10218478B2 (en) * | 2014-08-24 | 2019-02-2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determining weight for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TWI540857B (zh) * | 2014-09-26 | 2016-07-01 |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 天線控制方法與使用此方法的裝置 |
KR20160062721A (ko) * | 2014-11-25 | 2016-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216062B1 (ko) * | 2014-12-16 | 2021-02-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지국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EP3059877B1 (en) * | 2015-02-17 | 2021-01-27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Beamforming method of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an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
KR102258575B1 (ko) * | 2015-03-17 | 2021-05-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의 빔포밍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
KR102306128B1 (ko) * | 2015-06-04 | 2021-09-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
CA3010775C (en) * | 2016-01-08 | 2024-05-28 | Blue Danube Systems, Inc. | Antenna mapping and diversity |
US10411776B2 (en) * | 2016-01-14 | 2019-09-10 | Qualcomm Incorporated | Beamforming training us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transmission scheme |
EP3240201A1 (en) * | 2016-04-27 | 2017-11-01 | MediaTek Inc. |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operation and user selection |
US10356749B2 (en) * | 2016-07-20 | 2019-07-1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eam-formed paging based 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2015
- 2015-06-04 KR KR1020150079465A patent/KR102306128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03-22 US US15/077,896 patent/US1006418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30703A1 (en) * | 2010-07-19 | 2013-05-23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ignal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
US20140073337A1 (en) * | 2012-09-11 | 2014-03-13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millimeter-wave frequency ban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3197A (ko) | 2016-12-14 |
US20160360531A1 (en) | 2016-12-08 |
US10064183B2 (en) | 2018-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6128B1 (ko) |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791808B1 (ko) | 신호 처리 방법 및 기지국 | |
RU2771351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змера группы ресурсных блоков | |
US7756482B2 (en) | Scheduling method for wireless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s and system thereof | |
US20090286465A1 (en) | Scheduling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s | |
EP2907245A2 (en) | Beamforming for increasing cell edge capacity in a heterogeneous network | |
KR20150078189A (ko) | 위성/지상 겸용망에서 위성 다운링크 간섭 완화 방법 | |
US20150103778A1 (en) | Cooperation multi-input multi-output transmitting or receiving method | |
KR20170001662A (ko) | 기지국 장치, 신호 전송 방법 및 신호 처리 시스템 | |
CN103974273B (zh) | 干扰关系的获取方法及系统 | |
CN107431587B (zh) | 用于蜂窝mimo系统的导频信号资源分配方法、基站及mimo系统 | |
KR102246362B1 (ko) | 무선 그리드 컴퓨팅 방법 및 장치 | |
JP2020036060A (ja) |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 |
JP6704524B2 (ja) | 無線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
EP3197068B1 (en) | Data interference removal method, sending end, receiving end, and system | |
WO2021075105A1 (ja) | 無線通信装置 | |
KR101393224B1 (ko) | 오버레이 된 2 계층 협력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 |
US20220255589A1 (en) |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 |
JP5496514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 | |
KR20170072814A (ko) | 다중 빔 다중 fa 환경에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
CN106330282B (zh) |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 |
JP5723352B2 (ja) | 基地局システム、フェムトセル基地局、分配方法、及び分配プログラム | |
KR20190080092A (ko) | 분산 안테나 구조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신호 전송 방법 | |
WO2025055328A1 (zh) | 毫米波基站、通信方法及存储介质 | |
WO2013145593A1 (ja) | 基地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