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678B1 - Appara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5678B1 KR102305678B1 KR1020210017887A KR20210017887A KR102305678B1 KR 102305678 B1 KR102305678 B1 KR 102305678B1 KR 1020210017887 A KR1020210017887 A KR 1020210017887A KR 20210017887 A KR20210017887 A KR 20210017887A KR 102305678 B1 KR102305678 B1 KR 1023056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ground distribution
- distribution lines
- brace
- cable
- distribution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상에 위치하는 배전반에 지중관로에 위치하는 지중배전선로를 연결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board connection terminal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for connecting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located in an underground pipeline to a switchboard located on the ground.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지상에 설치된 전주에 포설되지만, 배전선이 지상으로 노출됨에 따라 감전사고 및 주변 환경의 미감을 저해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지하관로를 설치한 후, 배전선을 지하관로에 포설한다.In general, distribution lines are installed on electric poles installed on the ground, but as the distribution lines are exposed to the ground, electric shock accidents and the aesthetic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re impaired.
이와 같이, 지하관로에 포설된 지중배전선을 이용한 송배전방식은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지중배전체에 지중 관로 어댑터를 마련하고, 지중배전선로의 끝단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이 플러그를 지중 관로 어댑터에 체결하는 방식이다.In this way,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pipeline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pipe adapter in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body to which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enters, and combine the plug at the end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nd fasten the plug to the underground pipe adapter. method.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143호(2014.10.08.)에는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48143 (October 8, 2014) discloses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for installing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배전선 연결 장치는 긴급하게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se a separate tool to urgently releas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접속단자로 지중배전선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지중배전선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includ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o the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from being easily installed. .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에 결합되어 지중배전선이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지중배전선의 접속을 견고하게 하고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방지하여 전기적인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e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nd prevents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member, thereby making the connection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trong and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hereby providing stability for electrical connec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escape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that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팀부재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지중배전선이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조작만으로 지중배전선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안전성이 향상되고, 지중배전선의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하는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ease member that allows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uide member by applying an artificial force to the holding member,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an be released with a simple operation, thereb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breakaway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hat improves safety and makes maintenance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onvenient.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는 내부에 접속단자(30)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단자(30)를 통해 접속될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 케이블공(110, 120)이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을 상기 접속단자(30)로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 버팀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는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심선이 상기 접속단자(30)로 삽입되는 삽입공(131, 141)이 형성된 플랜지부(132, 142); 및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공(110, 120)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자(30)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심선을 상기 삽입공(131, 141)으로 가이드하는 안내파이프(133, 14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버팀부재(200)는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둘레를 감싸는 버팀본체(210);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삽입시 상기 삽입방향으로 상기 안내파이프(133, 14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2개 이상의 버팀대(220); 상기 버팀본체(210)의 외주면에 상기 버팀대(220)를 연결하되, 상기 버팀대(220)가 상기 버팀본체(210)에 대해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버팀대(220)를 지지하는 버팀링크(230); 및 상기 버팀링크(23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버팀대(220)로 탄성력을 작용하되,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비틀림 스프링(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ccommodates the
상기 지중배전선로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는 상기 케이블 버팀부재(200)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버팀대(220)를 상기 안내 파이프(133, 143)의 내주면으로 부터 이탈시키는 케이블 이탈부재(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이탈부재(300)는 상기 버팀대(220)로 상기 인위적인 힘을 전달하는 이탈와이어(310);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이탈밴드(320); 및 상기 이탈와이어(3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이탈밴드(320) 위를 나사체결에 의해 이동하는 당김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eparation prevention fixing device applies an artificial force to the
상기 당김부재(330)는 상기 이탈밴드(320)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부(331); 및 상기 너트부(3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탈와이어(310)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너트부(331)의 회전시에 상기 이탈와이어(310)의 꼬임을 방지하는 와이어 고정링(3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lling
상기 케이블 버팀부재(200)는 가압볼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과 결합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배전선로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접속단자로 지중배전선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지중배전선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에 결합되어 지중배전선이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지중배전선의 접속을 견고하게 하고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방지하여 전기적인 연결에 대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팀부재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지중배전선이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조작만으로 지중배전선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안전성이 향상되고, 지중배전선의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includ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o the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e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nd prevents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member, thereby making the connection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trong and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hereby providing stability for electrical connection.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ease member that allows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uide member by applying an artificial force to the holding member,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an be released with a simple operation, thereby There are advantages in that safety is improved and maintenance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is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케이블 이탈부재(3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케이블 이탈부재(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even if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descriptions of par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omitted.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이탈방지용 고정장치는 내부에 접속단자(30)를 수용한 하우징(100),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케이블 이탈부재(300)를 포함한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우징(100)은 내부에 접속단자(30)를 수용하고, 접속단자(30)를 통해 접속될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 케이블공(110, 120)이 형성된다. The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는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을 접속단자(30)로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는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심선이 상기 접속단자(30)로 삽입되는 삽입공(131, 141)이 형성된 플랜지부(132, 142); 및 제1 및 제2 케이블공(110, 120)으로부터 접속단자(30)까지 연장되어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심선을 삽입공(131, 141)으로 가이드하는 안내파이프(133, 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안내파이프(133, 143)의 입구측은 안내파이프(133, 143) 보다 지름이 넓은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and
케이블 버팀부재(200)는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케이블 버팀부재(200)는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버티는 힘을 발휘한다. 케이블 버팀부재(2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후술될 것이다.The
케이블 이탈부재(300)는 케이블 버팀부재(200)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버티는 힘을 상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케이블 이탈부재(3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후술될 것이다. The
한편,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케이블 이탈부재(300)는 각각 가압볼트에 의해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과 결합할 수 있으며, 케이블 이탈부재(300)는 케이블 버팀부재(200)로부터 하우징(100)의 외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떨어진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는 케이블 이탈부재(30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케이블 이탈부재(3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케이블 이탈부재(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 때,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케이블 이탈부재(300)는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 각각과 모두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서, 그 결합 방식 또는 동작 방식이 동일하므로, 도 2 내지 도 4의 예에서는, 제1 지중배전선(10)에 결합한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케이블 이탈부재(300)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 버팀부재(200)는 제1 지중배전선(10)에 결합되어, 제1 지중배전선(10)과 함께 제1 가이드부재(130) 내부로 삽입되는 장치로서, 버팀본체(210), 버팀대(220), 버팀링크(230), 및 비틀림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1 to 4, the
버팀본체(210)는 제1 지중배전선(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1 지중배전선(1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팀본체(210)는 제1 지중배전선(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지중배전선(10)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끝단을 서로 접합하는 형태로 제1 지중배전선(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버팀대(220)는 제1 지중배전선(10)이 제1 가이드부재(130)로 삽입될 때, 삽입방향으로 안내파이프(13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버팀대(220)는 안내파이프(13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면에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코팅을 하여 삽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중배전선(10)의 중심을 잡기 위해 2개 이상의 버팀대(2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버팀링크(230)는 버팀본체(210)의 외주면에 버팀대(220)를 연결하되, 버팀대(220)가 버팀본체(210)에 대해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버팀대(220)를 지지한다. 즉, 버팀링크(230)는 버팀본체(210)가 안내파이프(133)로 삽입될 때, 버팀대(220)가 버팀본체(210) 뒤쪽에 위치하도록 버팀본체(210)와 버팀대(220)를 연결한다.
비틀림 스프링(240)은 버팀링크(230)의 끝단에 연결되어 버팀대(220)로 탄성력을 작용하되, 제1 지중배전선(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즉 비틀림 스프링(240)은 버팀대(220)와 버팀본체(21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를 위해, 비틀림 스프링(240)은 버팀링크(230)와 버팀본체(210)가 연결되는 지점 및 버팀링크(230)와 버팀대(220)가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예에서는, 버팀링크(230)와 버팀 본체(210)가 연결되는 지점에 비틀림 스프링(240)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의 예에서는 버팀대(220) 및 버팀링크(230)가 3개씩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The
한편, 케이블 이탈부재(300)는 케이블 버팀부재(200)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케이블 버팀부재(200)의 버티는 힘을 상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인위적인 힘을 가하기 위해, 제1 지중배전선(10)이 접속단자(30)에 접속될 때, 제1 가이드부재(130)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탈와이어(310), 이탈밴드(320) 및 당김부재(33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탈와이어(310)는 버팀대(220)로 상기 인위적인 힘을 전달한다. The
이탈밴드(3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지중배전선(10)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다. 이 때, 이탈밴드(320)는 제1 지중배전선(10)이 접속단자(30)에 접속될 때, 제1 가이드부재(130)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The
당김부재(330)는 상기 이탈와이어(3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이탈밴드(320) 위를 나사체결에 의해 이동한다. 이를 위해, 당김부재(330)는 이탈밴드(320)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331); 및 너트부(3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탈와이어(310)의 일단과 연결되어 너트부(331)의 회전시에 이탈와이어(310)의 꼬임을 방지하는 와이어 고정링(3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lling
그리고, 외부에서 너트부(331)를 회전하면 그 방향에 따라 당김부재(330)가 이탈밴드(32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동하면서, 이탈와이어(310)를 당기거나 이완시킨다. 도 3은 이탈와이어(310)가 이완된 상태이고, 도 4는 너트부(331)가 A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와이어(310)를 당김으로써, 버팀대(220)가 B방향으로 이동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 너트부(331)가 회전하더라도, 와이어 고정링(332)는 그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탈와이어(310)는 꼬이지 않고 너트부(331)의 이동에 따라 형성되는 인장력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 버팀부재(200)의 버티는 힘을 상쇄시키게 되는 것이다.And, when th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5는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제1 및 제2 가이드부(130, 140)에 삽입되어 케이블 버팀부재(200)가 작동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도 6은 케이블 이탈부재(300)가 작동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erted into the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제1 및 제2 가이드부(130, 140) 내에 삽입된 경우, 케이블 버팀부재(200)가 안내파이프(133, 143)의 내주면을 밀어내는 방향(즉, 삽입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삽입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first and second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너트부(331)의 회전에 의해 당김부재(330)가 이동하여 이탈와이어(310)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케이블 버팀부재(200)가 제1 및 제2 가이드부(130, 140)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버팀부재(200)가 분리된 경우,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지중배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 when the pull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easily changed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recognized as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10: 제1 지중배전선 20: 제2 지중배전선
30: 접속단자 100: 하우징
110: 제1 케이블공 120: 제2 케이블공
130: 제1 가이드부재 140: 제2 가이드부재
131, 141: 삽입공 132, 142: 플랜지부
133, 143: 안내파이프 200: 케이블 버팀부재
210: 버팀본체 220: 버팀대
230: 버팀링크 240: 비틀림 스프링
300: 케이블 이탈부재 310: 이탈와이어
320: 이탈밴드 330: 당김부재
331: 너트부 332: 와이어 고정링10: first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20: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30: connection terminal 100: housing
110: first cable ball 120: second cable ball
130: first guide member 140: second guide member
131, 141:
133, 143: guide pipe 200: cable holding member
210: brace body 220: brace
230: brace link 240: torsion spring
300: cable separation member 310: separation wire
320: release band 330: pulling member
331: nut portion 332: wire fixing ring
Claims (4)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을 상기 접속단자(30)로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 버팀부재(200); 및
상기 케이블 버팀부재(200)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케이블 버팀부재(200)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로부터 이탈시키는 케이블 이탈 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0, 140)는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심선이 상기 접속단자(30)로 삽입되는 삽입공(131, 141)이 형성된 플랜지부(132, 142); 및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공(110, 120)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자(30)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심선을 상기 삽입공(131, 141)으로 가이드하는 안내파이프(133, 14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버팀부재(200)는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둘레를 감싸는 버팀본체(210);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삽입시 상기 삽입방향으로 상기 안내파이프(133, 14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2개 이상의 버팀대(220);
상기 버팀본체(210)의 외주면에 상기 버팀대(220)를 연결하되, 상기 버팀대(220)가 상기 버팀본체(210)에 대해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버팀대(220)를 지지하는 버팀링크(230); 및
상기 버팀링크(23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버팀대(220)로 탄성력을 작용하되,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비틀림 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이탈부재(300)는
상기 버팀대(220)로 상기 인위적인 힘을 전달하는 이탈와이어(310);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이탈밴드(320); 및
상기 이탈와이어(310)가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이탈밴드(320) 위를 나사체결에 의해 이동하는 당김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The first and second cable holes 110 to accommodate the connection terminal 30 therein, and to insert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and 20 to b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30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 120) formed in the housing 100;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130 and 140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and 20 to the connection terminal 30;
It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20)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130, 140) Cable holding member 200; and
and a cable release member 300 for separating the cable holding member 200 from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130 and 140 by applying an artificial force to the cable holding member 200,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130 and 140 are
Flange portions (132, 142) formed with insertion holes (131, 141) into which the core wires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20)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30); and
It extends from the first and second cable holes 110 and 120 to the connection terminal 30 to guide the core wires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and 20 to the insertion holes 131 and 141. Includes guide pipes (133, 143),
The cable holding member 200 is
a brace body 210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and 20;
Two or more braces 220 moving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pipe (133, 143) in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20) are inserted;
But connecting the brace 22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ce body 210, the brace 220 is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race body 210, the brace 220 to support the brace link 230; and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race link 230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brace 220, but a torsion spring 240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and 20 are inserted. including,
The cable release member 300 is
Departure wire 310 for transmitting the artificial force to the brace 220;
a release band 320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and 20; and
The release wire 310 is connected,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eparation preven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lling member 330 that moves by screwing on the release band 320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상기 이탈밴드(320)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부(331); 및
상기 너트부(3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탈와이어(310)가 연결되어 상기 너트부(331)의 회전시에 상기 이탈와이어(310)의 꼬임을 방지하는 와이어 고정링(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member (330)
a nut portion 331 screwed to the release band 320; and
A wire fixing ring 332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ut part 331 and is connected to the release wire 310 to prevent twisting of the release wire 310 when the nut part 331 rotates. ),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departure from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가압볼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지중배전선(10, 20)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ble holding member (200)
A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10, 20) by a pressure bol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887A KR102305678B1 (en) | 2021-02-08 | 2021-02-08 | Appara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887A KR102305678B1 (en) | 2021-02-08 | 2021-02-08 | Appara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5678B1 true KR102305678B1 (en) | 2021-09-28 |
Family
ID=7792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887A Active KR102305678B1 (en) | 2021-02-08 | 2021-02-08 | Appara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567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7454B1 (en) * | 2021-11-26 | 2022-04-18 | (주)한백에프앤씨 |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distribution line |
CN117206737A (en) * | 2023-11-07 | 2023-12-12 | 山西东晟润达热能设备股份有限公司 | Stainless steel pipe welding device |
KR102734520B1 (en) * | 2024-01-31 | 2024-11-26 | 주식회사 에너지드림 | Underground cable fixture dedicated to special high-voltage electricity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8140B1 (en) * | 2014-06-11 | 2014-10-08 | 동재감리 주식회사 | Underground Electroic Line Connector |
KR101448143B1 (en) | 2014-06-05 | 2014-10-08 | 미래컨설턴트(주) | Underground Electroic Line Connector |
-
2021
- 2021-02-08 KR KR1020210017887A patent/KR1023056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8143B1 (en) | 2014-06-05 | 2014-10-08 | 미래컨설턴트(주) | Underground Electroic Line Connector |
KR101448140B1 (en) * | 2014-06-11 | 2014-10-08 | 동재감리 주식회사 | Underground Electroic Line Connecto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7454B1 (en) * | 2021-11-26 | 2022-04-18 | (주)한백에프앤씨 | Fix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distribution line |
CN117206737A (en) * | 2023-11-07 | 2023-12-12 | 山西东晟润达热能设备股份有限公司 | Stainless steel pipe welding device |
CN117206737B (en) * | 2023-11-07 | 2024-01-19 | 山西东晟润达热能设备股份有限公司 | Stainless steel pipe welding device |
KR102734520B1 (en) * | 2024-01-31 | 2024-11-26 | 주식회사 에너지드림 | Underground cable fixture dedicated to special high-voltage electricity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5678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 |
CN101248381B (en) | Sealing and retaining cable attachment for telecommunications closures | |
EP3353868B1 (en) | Cable gland assembly | |
EP2355286B1 (en) | Cable sealing and retaining device | |
CA2680582C (en) | Splice restraint and mating indicator | |
US20020151209A1 (en) | Cable guide for a sealed box, and a sealing assembly including such a guide | |
CN110198019B (en) | Cable entry device for an electrical cable received in a conduit | |
US6851969B2 (en) | Pigtailed scotchcast assembly | |
US5521998A (en) | Strain relief backshell for fiber optic transmission lines | |
US7793988B1 (en) | Connector for electrical wire-carrying conduits | |
EP2122794B1 (en) | Cable gland for a housing | |
US6418592B1 (en) | Rope gripper | |
KR200203499Y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of cable | |
KR102248695B1 (en) | Cable connection system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 |
CN111771313B (en) | Cable threaded connection | |
KR101038076B1 (en) | Compression clamp clamping device | |
JP7642188B2 (en) | Towing fixture | |
CA1256675A (en) | Cable clamping device | |
KR101537713B1 (en) | Handle fixing apparatus of circuit breaker for reinforcing adhesion characteristics | |
JP2022090986A (en) | Fixture attached to electric wire protection tube | |
JPH09311256A (en) | Optical fiber cable | |
KR20180040937A (en) | Jig for cable | |
KR19990040294U (en) | Optical cable protector | |
JPH08256424A (en) | Clamp for installing interphase spacer | |
WO2011140573A1 (en) | Securement device for cab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