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5577B1 -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77B1
KR102305577B1 KR1020200173722A KR20200173722A KR102305577B1 KR 102305577 B1 KR102305577 B1 KR 102305577B1 KR 1020200173722 A KR1020200173722 A KR 1020200173722A KR 20200173722 A KR20200173722 A KR 20200173722A KR 102305577 B1 KR102305577 B1 KR 102305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 turn
traffic
pedestrian
signal
ro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탁
이욱열
Original Assignee
(주)이엔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엔지케이 filed Critical (주)이엔지케이
Priority to KR102020017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없이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와 연동되어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 대해 주의신호를 제공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가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우회전 직후에 횡단보도와 보행자신호등이 설치되는 도로와 노변에 설치되어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 설치되어 경고용 주행진동을 유발하는 럼블스트립과,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서 럼블스트립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노면에 매설된 엘이디의 발광을 통해 우회전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와, 우회전 직후 도로의 노변 중에서 상기 횡단보도의 진입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통행차단기와,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상기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와 상기 통행차단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TRAFFIC ACCITDENT BY TURNING VEHICLE RIGHT}
개시된 내용은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에서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행의 교통신호 체계에서 우회전하는 차량은 우회전 직후에 위치되는 횡단보도의 보행자의 횡단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통행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는 우회전 직후에 위치되는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를 사전에 파악하기 어려워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6-0003715호(2016.10.26. 공개)에는 교차로에서 우회전 이후의 횡단보도인 우회전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는 우회전 신호등과, 우회전 횡단보도 중에서 우회전 이후의 차량이 통과하는 직진차선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우회전 횡단보도 보행자 확인부재와, 우회전 횡단보도 보행자 확인부재를 통해서 우회전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유무에 따라 우회전 신호등을 작동시키는 우회전 신호등 작동부재와, 우회전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신호인 경우에만 우회전 신호등을 작동시키는 우회전 신호등 제어부재를 포함하되, 우회전 신호등은 교차로에서 우회전 이전의 보도에 설치되며, 우회전 이후의 횡단보도인 우회전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신호인 상태에서 우회전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우회전 주의 표시부와, 우회전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표시되는 우회전 가능 표시부가 한쌍으로 형성되고, 우회전 횡단보도 보행자 확인부재는 우회전 횡단보도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우회전 횡단보도의 영상 중에서 우회전 이후의 차량이 통과하는 직진차선 영역을 감지영역으로 설정하는 감지영역 설정부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우회전 행단보도의 감지영역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우회전 횡단보도 보행자 영상확인부로 이루어지되, 우회전 신호등 작동부재는 우회전 횡단보도의 감지영역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우회전 주의 표시부를 작동시키고, 우회전 횡단보도의 감지영역에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우회전 가능 표시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00214호(2015.09.02. 공개)에는 교차로의 운전자 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결되어 보행자의 접근 여부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전달된 보행자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교차로에 접근하는 차량에 전송하는 송신장치와,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보행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운전자에 전달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장치는 차량의 비보호 우회전 또는 좌회전 차선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지중 매입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는, 상기 운전자 신호등 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동되어 보행 가능 신호와 보행 비가능 신호에서 보행자 감지 주기가 상이하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 알림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의 경우에는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비교적 복잡한 구성을 기반으로 구동되도록 설계되어 설치비용이 상당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전국적으로 모든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에 적용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6-0003715호(2016.10.26. 공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27519호(2013.10.25. 공개)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없이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와 연동되어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 대해 주의신호를 제공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가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우회전 직후에 횡단보도와 보행자신호등이 구비되는 도로와 노변에 설치되어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를 방지하는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 설치되어 경고용 주행진동을 유발하는 럼블스트립과,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서 럼블스트립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노면에 매설된 엘이디의 발광을 통해 우회전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와, 우회전 직후 도로의 노변 중에서 상기 횡단보도의 진입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통행차단기와,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상기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와 상기 통행차단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우회전 직전 도로의 노변에 설치되는 휀스의 지주 또는 볼라드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시에 발광되는 경광램프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는 다수의 엘이디가 우회전 화살표 형상으로 배열되는 우회전 가능표시부와, 다수의 엘이디가 엑스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우회전 불가표시부가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진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행차단기는 에어튜브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행자신호등 또는 상기 통행차단기에 설치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없이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와 연동되는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 대해 주의신호를 제공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가 효과적으로 예방 가능하며, 이로 인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전국적으로 모든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에 적용하는 데 무리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통행차단기에 의해 보행자나 2륜차 운전자에게 무단황단에 대한 심리적 경각심이 제공됨에 따라 무단횡단으로 인한 교통사고까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의 블럭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는 우회전 직후에 횡단보도(3)와 보행자신호등(5)이 구비되는 도로와 노변에 설치되어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 설치되어 경고용 주행진동을 유발하는 럼블스트립(10)과,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서 럼블스트립(10)의 전방에 설치되고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노면에 매설된 엘이디의 발광을 통해 우회전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와, 우회전 직후 도로의 노변 중에서 횡단보도(3)의 진입측에 설치되고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통행차단기(30)와,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와 통행차단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럼블스트립(10)은 차량의 주행시에 경고용 주행진동과 소음을 유발하기 위해 노면에 형성되는 요철포장에 해당하는 것으로, 원래는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노면에 적용되지만 개시된 내용에서는 차량의 우회전에 앞서 운전자가 주의를 집중하도록 미리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적용된다.
럼블스트립(10)은 우회전 차선의 전체 또는 대부분의 폭에 걸쳐 일정 간격 이격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바퀴가 접하는 폭으로 우회전 차선 내에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럼블스트립(10)의 전방에는 차량의 감속을 유도하기 위한 둔덕(hump)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서 전술한 럼블스트립(10)의 전방에는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가 설치된다.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는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노면에 매설된 엘이디의 발광을 통해 우회전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 다수의 엘이디가 우회전 화살표 형상으로 배열되는 우회전 가능표시부(21)와, 다수의 엘이디가 엑스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우회전 불가표시부(23)가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얘를 들어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보행자신호등(5)에 보행신호가 초록램프 점등에 의해 ON될 경우에는 우회전 화살표 형상의 우회전 가능표시부(21)와 엑스자 형상의 우회전 불가표시부(23)가 동시에 적색으로 점멸되어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횡단보도(3)를 통행하고 있을 수 있음을 알리고,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3)에 설치되는 보행자신호등(5)에 보행신호가 적색램프 점등에 의해 OFF될 경우에는 우회전 화살표 형상의 우회전 가능표시부(21)만 초록색으로 점멸되어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게 우회전을 하되 주위를 살필 것을 알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우회전 직후 도로의 노변 중에서 횡단보도(3)의 진입측에는 통행차단기(30)가 설치된다. 통행차단기(30)는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가 적색램프 점등에 의해 OFF될 경우에 막대나 봉 형상의 차단부재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됨에 따라 보행자나 이륜차 등이 횡단보도(3)로 무단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보행자신호등(5)에 보행신호가 초록램프 점등에 의해 ON될 경우에는 그 차단을 해제하여 횡단보도(3)의 횡단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행차단기(30)는 실제 차단바의 90도 각도간격으로 상하회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가 적색램프 점등에 의해 OFF될 경우에만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가로방향으로 신장되고 보행자신호등(5)에 보행신호가 초록램프 점등에 의해 ON될 경우에는 압축공기의 공급이 해제되거나 공급된 압축공기가 강제 배기되면서 수축되는 에어튜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와 통행차단기(30)는 컨트롤러(4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컨트롤러(40)는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와 통행차단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력측은 보행자신호등(5)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 및 통행차단기(30)에 연결된다.
컨트롤러(40)는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보행자신호등(5)으로 공급되는 전원 중 일부를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와 통행차단기(30)의 전원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면서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와 통행차단기(30)의 ㅈE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40)는 보행자신호등(5)의 제어박스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행차단기(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우회전 직전 도로의 노변에 설치되는 볼라드 또는 휀스지주(7)의 상단에는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시에 발광되는 경광램프(50)가 설치될 수 있다. 경광램프(50)는 럼블스트립(10)과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와 함께 우회전하려는 차량의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컨트롤러(40)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은 보행자를 감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없이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 설치되는 럼블스트립(10)과,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서 럼블스트립(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와 연동되어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 대해 주의신호를 제공하는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20)와, 우회전 직전 도로의 노변에 설치되는 볼라드 또는 휀스지주(7)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광램프(50)를 통해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의 주의가 환기되어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가 효과적으로 예방 가능하며, 이로 인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전국적으로 모든 우회전 직후의 횡단보도에 적용하는 데 무리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가 설치될 경우에는, 보행자신호등(5)의 보행신호와 연동되어 횡단보도(3)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통행차단기(30)에 의해 보행자나 2륜차 운전자에게 무단황단에 대한 심리적 경각심이 제공됨에 따라 무단횡단으로 인한 교통사고까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 횡단보도
5 : 보행자신호등
7 : 볼라드 또는 휀스지주
10 : 럼블스트립
20 :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
21 : 우회전 가능표시부
23 : 우회전 불가표시부
30 : 통행차단기
40 : 컨트롤러
50 : 경광램프

Claims (5)

  1. 우회전 직후에 횡단보도와 보행자신호등이 구비되는 도로와 노변에 설치되어 는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 설치되어 경고용 주행진동을 유발하는 럼블스트립;
    우회전 직전 도로 상에서 럼블스트립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노면에 매설된 엘이디의 발광을 통해 우회전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
    우회전 직후 도로의 노변 중에서 상기 횡단보도의 진입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통행차단기;
    상기 우회전 직전 도로의 노변에 설치되는 볼라드 또는 휀스지주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시에 발광되는 경광램프; 및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에 따라 상기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 상기 통행차단기와 상기 경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전 가능여부 표시램프는 다수의 엘이디가 우회전 화살표 형상으로 배열되는 우회전 가능표시부와, 다수의 엘이디가 엑스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우회전 불가표시부가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통행차단기는 에어튜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행자신호등 또는 상기 통행차단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KR1020200173722A 2020-12-11 2020-12-11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Active KR10230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22A KR102305577B1 (ko) 2020-12-11 2020-12-11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22A KR102305577B1 (ko) 2020-12-11 2020-12-11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577B1 true KR102305577B1 (ko) 2021-09-27

Family

ID=7792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722A Active KR102305577B1 (ko) 2020-12-11 2020-12-11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57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213A (zh) * 2022-04-26 2022-09-13 吕海西 一种可判断来车方向的减速带及道路转弯盲区预警装置
KR102469146B1 (ko) * 2021-12-17 2022-11-23 (주) 하나텍시스템 우회전차량 보행자경고시스템
KR102485471B1 (ko) 2022-06-02 2023-01-06 주식회사 엔키텍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 제어 시스템
KR102604816B1 (ko) 2023-04-05 2023-11-22 주식회사 디지윌 차량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ai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8660B1 (ko) 2023-10-11 2024-02-20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에프 보행자 안전용 횡단보도 신호등 우회전 차단 및 알람 시스템
KR102761085B1 (ko) 2024-02-28 2025-01-31 권혁산 어린이 보호구역의 우회전 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20250023831A (ko) 2023-08-10 2025-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LiDAR 기반 우회전 신호등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교차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50025260A (ko) 2023-08-14 2025-0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영상 기반 우회전 신호등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교차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50035215A (ko) 2023-09-05 2025-03-12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차량의 우회전 사고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807297B1 (ko) 2024-05-22 2025-05-13 조은비 횡단보도 적색등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스마트 우회전 전광판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29B1 (ko) * 2009-05-22 2009-12-15 이승철 교차로 차량 보조등
KR101076676B1 (ko) * 2008-12-05 2011-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로유도형 차량속도 저감용 차로구조
KR20130114885A (ko) * 2012-04-10 2013-10-21 신상희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20130127519A (ko) 2011-02-25 2013-11-22 노키아 코포레이션 트랜스듀서 장치
KR20150000879U (ko) * 2013-08-20 2015-03-02 박호범 스쿨존 횡단보도 ''공기튜브(Air Bar)'' 안전 차단 장치
KR20160003715U (ko)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676B1 (ko) * 2008-12-05 2011-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로유도형 차량속도 저감용 차로구조
KR100932029B1 (ko) * 2009-05-22 2009-12-15 이승철 교차로 차량 보조등
KR20130127519A (ko) 2011-02-25 2013-11-22 노키아 코포레이션 트랜스듀서 장치
KR20130114885A (ko) * 2012-04-10 2013-10-21 신상희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20150000879U (ko) * 2013-08-20 2015-03-02 박호범 스쿨존 횡단보도 ''공기튜브(Air Bar)'' 안전 차단 장치
KR20160003715U (ko)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146B1 (ko) * 2021-12-17 2022-11-23 (주) 하나텍시스템 우회전차량 보행자경고시스템
CN115045213A (zh) * 2022-04-26 2022-09-13 吕海西 一种可判断来车方向的减速带及道路转弯盲区预警装置
CN115045213B (zh) * 2022-04-26 2024-04-19 吕海西 一种基于可判断来车方向的减速带的道路转弯盲区预警装置
KR102485471B1 (ko) 2022-06-02 2023-01-06 주식회사 엔키텍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 제어 시스템
KR102604816B1 (ko) 2023-04-05 2023-11-22 주식회사 디지윌 차량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ai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50023831A (ko) 2023-08-10 2025-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LiDAR 기반 우회전 신호등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교차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50025260A (ko) 2023-08-14 2025-0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영상 기반 우회전 신호등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교차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50035215A (ko) 2023-09-05 2025-03-12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차량의 우회전 사고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638660B1 (ko) 2023-10-11 2024-02-20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에프 보행자 안전용 횡단보도 신호등 우회전 차단 및 알람 시스템
KR102761085B1 (ko) 2024-02-28 2025-01-31 권혁산 어린이 보호구역의 우회전 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807297B1 (ko) 2024-05-22 2025-05-13 조은비 횡단보도 적색등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스마트 우회전 전광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577B1 (ko)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1673211B1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800007B1 (ko) 횡단보도 보행자를 위한 안전지킴 cctv 시스템
KR20120095538A (ko) 교통신호등과 연계되는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방법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CN105957373A (zh) 一种十字路口交通引导系统
KR101686820B1 (ko)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지능형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1172927A (ja) 発光式停止線システム
KR102356084B1 (ko)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KR20130112173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263867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1466463B1 (ko) 일체형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KR101535761B1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100980486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사전 감지 및 안전운전 경고장치
KR100647060B1 (ko) 건축단지 내 조명수단을 구비한 횡단보도용 볼라드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90013363A (ko)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KR101508663B1 (ko) 영상감지를 이용한 교통체계 컨트롤 장치
KR20170139807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42209A (ko) 야간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0469639B1 (ko) 도로용 교통신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