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327B1 -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 Google Patents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5327B1 KR102305327B1 KR1020190178249A KR20190178249A KR102305327B1 KR 102305327 B1 KR102305327 B1 KR 102305327B1 KR 1020190178249 A KR1020190178249 A KR 1020190178249A KR 20190178249 A KR20190178249 A KR 20190178249A KR 102305327 B1 KR102305327 B1 KR 1023053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expansion
- support rail
- manipulator system
- contra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25J18/025—Arms extensible telescop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자로의 상부에, 사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작업용 기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기설치부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신축유닛과,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신축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와,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부와, 상기 기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작업용 기기가 상기 원자로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축유닛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작업 기기를 원자로 내부에서 승강 또는 사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 노출을 차단하여 보다 안전하게 원자로 내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wherein the main fram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nuclear reactor so as to be movable in all directions, and it is installed in the moving unit, and the equipment installation part is installed so that the working equipment can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A frame which is provided and is form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ive unit and a telescopic drive unit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working device installed in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nuclear reactor.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ove the working equipment up and down or in all directions inside the nuclear reactor, so that radiation exposure to the operator can be blocked and the work inside the reactor can be performed more saf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매니퓰레이터와 같은 작업기기를 원자로 내부에서 운반할 수 있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nd to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capable of transporting a working device such as a manipulator inside a nuclear reactor.
일반적으로 현재,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는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12개월 내지 18개월 또는 그 이상 기간 동안 작동된 다음 예정된 점검, 유지보수 및/또는 연료보급을 위한 운전 정지시에 작동이 중단된다. 정기적인 연료보급시의 운전정지 도중에 원자로 압력 용기의 노심(core)에 있는 소모된 연료 집합체의 약 1/3이 새로운 연료 집합체로 교체될 필요가 있고, 그리고 나머지 연료 집합체는 노심 내에서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다.Currently,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s typically operate for a period of 12 to 18 months or longer to generate electrical power and then shut down during outages for scheduled maintenance, maintenance and/or refueling. During a periodic refueling shutdown, about one-third of the spent fuel assembly in the core of the reactor pressure vessel needs to be replaced with a new fuel assembly, and the remaining fuel assembly is displaced within the core. There is a need.
다른 운전정지 과정에서, 연료 집합체는 노심 내에 유지될 수도 있지만 노출되어야 한다. 연료 집합체는 풍부한 우라늄이나 다른 핵 분열성 물질을 수용할 수도 있다.During other shutdowns, the fuel assembly may remain within the core but must be exposed. The fuel assembly may also contain abundant uranium or other fissile materials.
압력 용기를 점검 혹은 수리하거나 연료보급 작업시 해당 작업을 완료한 후에, 압력 용기를 밀봉시켜 발전소가 발전이 재개되도록 하여야 한다. 운전정지 계획은 대체로 적어도 약 10시간 이상 할당되고, 그리고 원자로 건조물 내의 원자로 압력용기 주변의 고 방사능 환경 내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스터드 인장 설비를 이동시키고, 원자로 압력 용기의 헤드를 견고히 밀폐시키기 위한 스터드 너트를 인장시키도록 압력용기 플랜지 주위에서 설비를 조작하고, 그 후에 인장 설비를 반응로 건조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5명 이상의 작업자를 필요로 한다.After the pressure vessel has been inspected or repaired or refueling work has been completed, the pressure vessel must be sealed to allow the plant to resume power generation. Shutdown plans are usually allotted for at least about 10 hours or more, and moving bulky and heavy stud tensioning equipment into the highly radioactiv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reactor pressure vessel within the reactor building, and installing stud nuts to securely seal the head of the reactor pressure vessel. It requires 5 or more workers to operate the equipment around the pressure vessel flange to tension, and then remove the tensioning equipment from the reactor building.
이때, 압력 용기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과도한 방사능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At this time, there is a risk that workers working around the pressure vessel are exposed to excessive radi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원자로 내부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기기를 원자로 내부에서 운반할 수 있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capable of transporting a working devi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inside a nuclear reactor in the reactor, 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원자로의 상부에, 사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작업용 기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기설치부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신축유닛과,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신축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와,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부와, 상기 기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작업용 기기가 상기 원자로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축유닛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부를 구비한다.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nuclear reactor, the main frame movably installed in all directions, and the moving unit, and the working device can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A device installation unit is provided so as to be so, a telescoping unit formed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ower provid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main frame and the telescoping member, and the main frame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power providing unit and a fram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unit, and a telescopic driving unit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working device installed in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actor.
상기 신축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단위관과, 상기 단위관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관들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pipes that are sequentially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member installed on the unit pipes and preventing the unit pipes from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호 결합된 단위관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기 단위관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대향되는 상호 결합된 상기 단위관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구가 형성된 지지블럭을 구비한다.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on any one of the mutually coupled unit pipes, and includes a support rail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utually coupled opposite to the support rail so that the unit pipe can be moved along the support rail.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unit pipes, and includes a support block having a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rail can pass.
상기 동력 제공부는 상기 프레임 구동부 또는 신축 구동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구동모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를 덮도록 형성된 모터 차폐유닛을 구비한다.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installed respectively in the frame driving unit 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riving unit to provide driving force, and a motor shielding unit formed to cover the driving motor in order to prevent the driving motor from being exposed to radiation generated in the nuclear reactor. be prepared
상기 모터 차폐유닛은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되,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모터 케이스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방사선 차단 필터와, 상기 모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를 방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순환시키는 송풍유닛을 구비한다. The motor shielding unit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so that the driving motor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 inlet is formed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n outlet is formed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 the outside. A motor case formed of a radiopaque material, a radiation blocking filter installed at the inlet to block radiation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inlet, and a motor case installed in the motor case to dissipate heat from the driving motor and a blowing unit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상기 기기 설치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신축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원자로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와,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촬영 카메라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촬영 카메라를 덮도록 형성된 카메라 차폐유닛과, 상기 촬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차폐유닛은 내부에 상기 촬영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촬영 카메라가 상기 원자로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구가 마련된 수용 케이스와, 상기 촬영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에 설치되며, 투명한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차폐 커버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expansion uni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evice installation portion, and a photographing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nuclear reactor, and the radiation generated in the nuclear reactor. A camera shielding unit formed to cover the photographing camera in order to prevent the photographing camera from being exposed, and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camera to a worker, wherein the camera shielding unit has the photographing camera installed therein An inner spac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and is formed of a radiopaque material, a receiving case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hole for the photographing camera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reactor on one side, and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case so as to cover the photographing hole and a shielding cover formed of a transparent radiopaque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상기 단위관들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단위관들의 슬라이딩 거리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ement sensor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unit pipes to measure the sliding distance of the unit pip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상기 측정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축유닛의 신축 길이를 산출하는 정보산출모듈과, 상기 정보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축유닛의 상태에 대응되는 가상의 3차원 모델을 모델링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모델링 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length of the expansion unit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s, and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a modeling module that models a virtual three-dimension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telescopic unit based on the model and provides it to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측정센서가 노출되는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정센서들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다수의 센서 차폐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 차폐유닛은 상기 단위관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센서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단위관에 결합된 단위관의 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조사된 측정용 레이저가 통과될 수 있도록 조사구가 형성되고,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센서 케이스와, 상기 조사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용 레이저가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투과 커버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or shielding units formed to respectively cover the measuring sensors in order to prevent the measuring sensors from being exposed to the radiation generated in the nuclear reactor, The sensor shielding unit is installed in the unit tube,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therein so that the measurement sensor can be accommodated, an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end of the unit tube coupled to the unit tube, irradiat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An irradiation hole is formed so that the measuring laser can pass through, a sensor case formed of a radiopaque material, and installed in the sensor case so as to cover the irradiation hole, a transparent radiation light so that the measuring laser can be transmitted A permeable cover formed of a permeable material is provided.
또한, 상기 단위관은 하방으로 인접된 단위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관통공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에 삽입된 상기 단위관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상기 관통공간에 삽입된 상기 단위관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체결홀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nit tube is formed with a through spac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nit tube adjacent to the lower side can be inserted, and at the e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 the bear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tube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and the bearing to press the bearing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tube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bolt screwed to the fastening ho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상호 슬라이딩되는 상기 단위관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신축유닛에 설치된 슬립 감지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lip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in order to detect that a slip occurs between the mutually sliding unit pipes.
상기 지지레일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공간이 마련되며, 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검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립 감지유닛은 상기 검출공들을 통해 광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의 연장공간에 설치되어 광을 생성하는 조사램프와, 상기 검출공이 형성된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접촉롤러와, 상기 검출공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롤러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수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광센서에서 광이 미감지시 상기 단위관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판별모듈을 구비한다. The support rail has an extended spac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in, and a plurality of dete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unit distan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lip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emit light through the detection holes. An irradiation lamp installed in the extended space of the support rail so as to be output to the outside and generating light, and a contact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block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ail in which the detection hole is formed;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roll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unit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order to detect the light output through the detection hole,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light is not detected by the light-receiving sensor, it is determined that a slip has occurred between the unit tubes, and a determination module is provided to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or.
또한, 상기 접촉롤러는 상기 지지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지지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슬립 감지유닛은 상기 접촉롤러를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롤러를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부와, 상기 접촉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부와, 상기 판별모듈에서 상기 단위관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접촉롤러를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시키고, 상기 수광센서가 상기 검출공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롤러가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부 및 롤러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광센서에서 광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부를 작동시키는 롤러 제어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act roller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lock to be slidably slid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rail, and the slip sensing unit attaches the contact roller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ai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sliding has occurred between the roller moving part for moving the unit pipes, the roller rotating part installed on the contact roller to rotate the contact roller, and the determination module, the contact roller is moved to the support rail. spaced apart from the side, and control the roller moving part and the roller rotating part so that the contact roller rotates so that the light receiving sensor detects the light output through the detection hole, and when the light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the contact It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control module for operating the roller moving unit so that the ro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ail.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작업 기기를 원자로 내부에서 승강 또는 사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 노출을 차단하여 보다 안전하게 원자로 내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ove the working equipment up and down or in all directions inside the reactor, so that radiation exposure to the operator can be blocked and the work inside the reactor can be performed more saf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의 신축 구동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의 신축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구동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제공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동력 제공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동력 제공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의 센서부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의 슬립 감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립 감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lescopic actuator of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pansion unit of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driv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ure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ure 5,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or unit of th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of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p detection unit of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p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1 to 3 show a crane remote telescopic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00)은 원자로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어 매니퓰레이터와 같은 작업 기기(19)를 원자로 내부에서 운반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rane remote telescope
상기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00)은 원자로의 상부에, 사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프레임(200)과,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작업용 기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기설치부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신축유닛(300)과, 상기 메인 프레임(200) 및 신축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400)와, 상기 동력 제공부(400)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200)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부(500)와, 상기 기기 설치부(312)에 설치된 상기 작업용 기기가 상기 원자로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제공부(400)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축유닛(300)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부(600)를 구비한다. The crane remote telescope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원자로의 내부 상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연장레일(201)과, 상기 제1연장레일(201)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이동블럭(202)과, 제1이동블럭(202)들에 좌우단부가 각각 고정된 복수의 제1지지체(203)와, 제1지지체(203)들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연장레일(204)과, 상기 제2연장레일(204)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2이동블럭(205)과, 상기 제2이동블럭(205)들에 고정된 제2지지체(206)를 구비한다. The
제1연장레일(20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프레임에 의해 원자로 내부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제1연장레일(201)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렉기어가 적용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제1이동블럭(202)은 제1연장레일(20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이동블럭(202)들은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제1연장레일(201)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통과로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moving
제1지지체(203)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단부가 각각 제1이동블럭(202)들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제1지지체(203)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지지된다. 또한, 제1지지체(203)들 사이에는 상기 제1지지체(203)들을 보강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보강로드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로드는 양단부가 각각 제1지지체(203)들에 고정되어 제1지지체(203)를 지지한다. The
제2연장레일(204)은 제1지지체(203)들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연장레인들은 상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렉기어가 적용된다. The second extension rails 204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제2이동블럭(205)은 제2연장레일(204)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이동블럭(205)들은 제2이동레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통과로가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moving
제2지지체(206)는 양단부가 각각 제2이동블럭(205)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로드(207)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로드(207)들은 사이에 신축유닛(3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2이동블럭(205)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신축유닛(300)은 제2지지체(206)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단위관(310)과, 상기 단위관(310)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관(310)들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320)를 구비한다. The
단위관(31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관통공간(311)이 형성된다. 단위관(310)의 관통공간(311)은 하방으로 인접된 단위관(3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단위관(310)들은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위관(310)은 상측의 단위관(310)의 관통공간(31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단위관(310)의 관통공간(311)은 하측에 삽입되는 단위관(3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때, 최상측 단위관(310)의 상단부는 제2지지체(206)의 고정로드(207)들에 고정되며, 최하측 단위관(310)의 하단부에는 매니퓰레이터와 같은 작업기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기 설치부(312)가 마련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가이드 부재(320)는 상호 결합된 단위관(310)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레일(321)과, 상기 지지레일(321)을 따라 상기 단위관(31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321)에 대향되는 상호 결합된 상기 단위관(310)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321)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구(323)가 형성된 지지블럭(322)을 구비한다. The
지지레일(321)은 단위관(310)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지지레일(321)은 단위관(310)의 내벽면으로부터 관통공간(3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지지블럭(322)은 상측에 인접된 단위관(310)의 관통공간(311)으로 삽입되는 단위관(31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지지블럭(322)은 외주면이 상측의 단위관(310) 내벽면에 접할 수 있도록 단위관(31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지지블럭(322)은 지지레일(321)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구(3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통과구(323)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지지레일(32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레일(321) 및 지지블럭(322)에 의해 단위관(310)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보다 정확하게 작업 기기(19)를 운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프레임 구동부(5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연장레일(201)들의 기어이에 치합될 수 있도록 제1이동블럭(202)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피동기어와, 제2연장레일(204)들의 기어이에 치합될 수 있도록 제2이동블럭(205)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2피동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피동기어는 후술되는 동력 제공부(400)의 구동모터(41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한편, 프레임 구동부(5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서브 프레임(610)과, 제2지지체(206) 사이에 상기 서브 프레임(61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보조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제2지지체(206)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다수의 기어가 마련된 보조 렉기어와, 상기 보조 렉기어에,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보조블럭과, 상기 보조 렉기어에 치합될 수 있도록 보조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기어와, 상기 보조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이때, 보조 구동부가 보다 작은 단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보조 렉기어는 기어이 사이의 거리가 제2연장레일(204)의 기어이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구동부에 의해 서브 프레임(610)은 보다 작은 단위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메인 프레임(200)이 이동시 슬립이 발생되더라도 보조 구동부에 의해 위치 보정이 가능하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신축 구동부(600)는 제2지지체(206)에 설치된 서브 프레임(610)과, 상기 서브 프레임(610)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 스프로켓(620)과, 상기 지지 스프로켓(620)에 연결되며, 일단이 단위관(310) 내부로 인입되되, 최하측 단위관(310)의 하단부에 고정된 연결체인(630)과, 서브 프레임(610)에 설치되며, 내부에 연결체인(630)의 타단부가 수납되는 수납박스(640)를 구비한다. The expansion and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 스프로켓(620) 3개가 서브 프레임(6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 스프로켓(620)의 설치개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축유닛(300)의 크기에 따라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지지 스프로켓(620)이 서브 프레임(6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 스프로켓(620)들 중 어느 하나는 동력 제공부(400)의 구동모터(41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10)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한다. Although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ree
수납박스(640)는 단위관(310)에 인접된 위치의 서브 프레임(610)에 설치되며, 연결체인(630)의 타단부가 용이하게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신축 구동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관(310)들의 신축 길이를 상호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신축유지부(3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 the expansion and
상기 신축유지부(330)는 단위관(31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드럼(331)과, 해당 단위관(310)이 내부에 삽입된 상측 단위관(310)의 상단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지지드럼(331)의 외주면에 권취되되, 타단부가 해당 단위관(310) 내부에 삽입된 하측 단위관(310)의 상단부에 고정된 유지 와이어(332)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유지부(330)에 의해 각 단위관(310)들은 상호 동일한 길이로 신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xpansion and
동력 제공부(400)는 제1피동기어, 제2피동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구동모터(410) 및 상기 구동모터(410)들을 제1이동블럭(202), 제2이동블럭(205) 및 서브 프레임(610)에 각각 고정시키는 모터 고정부(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구동모터(410)는 회전축이 제1피동기어, 제2피동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가 적용된다. In the driving
모터 고정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피동기어, 제2피동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인접된 위치의 제1이동블럭(202), 제2이동블럭(205) 및 서브 프레임(610)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구동모터(410)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제1결합핀을 구비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tor fixing uni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driven gear, the second driven gear and the
상기 제1결합핀은 구동모터(410)의 회전축에 인접된 구동모터(4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블럭(202), 제2이동블럭(205) 및 서브 프레임(610)에 대향되는 일단부에 복수의 제1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돌기는 제1결합핀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제1결합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1결합핀의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1결합핀을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파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The first coupling pi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상기 제1고정부재는 제1피동기어, 제2피동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인접된 위치의 제1이동블럭(202), 제2이동블럭(205) 및 서브 프레임(610)에 고정되며, 내부에 결합돌기가 마련된 제1결합핀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1삽입공간이 형성된 제1고정블럭과, 제1삽입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제1고정블럭에 설치되는 제1걸림커버를 구비한다. The first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moving
상기 제1걸림커버는 제1결합핀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제1중공이 형성되며, 제1결합핀의 제1걸림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중공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제1연장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장홀은 제1중공의 중심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1연장홀은 제1고정블럭의 제1삽입공간에 삽입된 제1결합핀이 소정각도 회전하면 제1걸림돌기가 제1걸림커버에 걸릴 수 있도록 제1걸림돌기의 폭 및 길이에 대응되는 폭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locking cover has a first hollow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in can be inserted, and a plurality of first extending from the first hollow so that the first locking protrusions of the first coupling pin can be inserted. An extension hole is formed. The first extension holes are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hollow, and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extension hole corresponds t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so that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can be caught on the first locking cover when the first coupling pin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of the first fixing block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have a width and length that are
작업자는 제1결합핀의 일단부를 제1걸림커버의 제1중공 및 제1연장홀을 통해 제1고정블럭의 제1삽입공간으로 삽입한 다음, 제1결합핀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제1결합핀의 제1걸림돌기를 제1걸림커버에 걸림 상태로 세팅한다. 구동모터(410)를 교환시에도, 작업자는 제1걸림돌기가 제1걸림커버의 제1연장홀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결합핀을 회전시킨 다음, 제1걸림커버의 제1중공 및 제1연장홀을 통해 제1결합핀의 일단부를 제1고정블럭으로부터 분리시킨다. The operator inserts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in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of the first fixing block through the first hollow and the first extension hole of the first locking cover, and then rotates the first coupling pin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the first coupling. Set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of the pin to the first locking cover in a locked state. Even when exchanging the
상기 모터 고정부는 볼트에 의한 볼팅 방식이 아니라 제1결합핀 및 제1고정블럭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구동모터(410)를 고정시키므로 보다 신속하게 구동모터(410)의 교체 작업이 가능하다. Since the motor fixing part fixes the driving
한편, 동력 제공부(4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피동기어, 제2피동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각각 복수의 구동모터(410)가 세팅되고, 구동모터(410)들 중 어느 하나를 제1피동기어, 제2피동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연결하는 클러치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클러치 수단은 구동모터(410)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축에 연결할 수 있도록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치 수단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상술된 바와 같이 각 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복수의 구동모터(410)에 세팅되므로 구동모터(410)들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클러치 수단에 의해 나머지 구동모터(410)를 각 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연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00)은 작업자가 신축유닛(300) 및 메인 프레임(20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 모듈(미도시)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rane remote telescope
상기 컨트롤 모듈은 작업자가 작업기기의 운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과, 입력모듈에 입력된 운반정보에 따라 작업 기기(19)가 운반될 수 있도록 동력 제공부(400)의 각 구동모터(410)들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 input module through which the operator can input transport information of the working device, and each driving motor ( 410)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00)은 작업 기기(19)를 원자로 내부에서 승강 또는 사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 노출을 차단하여 보다 안전하게 원자로 내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crane remote telescope
한편,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제공부(71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제공부(710)는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구동모터(41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410)들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다수의 모터 차폐유닛(720)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 차폐유닛(720)은 모터 케이스(730), 방사선 차단 필터(740) 및 송풍유닛(75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모터 케이스(730)는 내부에 구동모터(4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735)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제1메인바디(731)와, 상기 제1메인바디(73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바디(731)에 설치되는 제1개폐커버(732)와, 상기 제1메인바디(731)에 설치되며, 수용공간(735)에 연통되는 통기공간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제1서브바디(733)와, 상기 제1서브바디(733)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서브바디(733)에 설치되는 제2개폐커버(734)를 구비한다. The
제1메인바디(731)는 일측 내벽면에 구동모터(410)가 모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구동모터(410)는 회전축이 제1메인바디(731)를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모터 고정부의 제1고정부재가 제1메인바디(731)의 일측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ving
상기 제1메인바디(73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가, 제1피동기어, 제2피동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인접된 제1이동블럭(202), 제2이동블럭(205) 및 서브 프레임(610)에 각각 고정되며, 구동모터(410)의 회전축이 제1피동기어, 제2피동기어 및 지지 스프로켓(620)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제1메인바디(731)는 상기 수용공간(735)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736)가 형성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제1서브바디(733)는 상부에 외기가 통기공간을 통해 수용공간(73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73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터 케이스(730)는 납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방사선 차단 필터(740)는 상기 유입구(737) 측의 제1서브바디(733)의 유입공간에 설치되며, 유입구(737)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735)으로 유입되는 방사선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방사선 차단 필터(740)는 차콜필터, 헤파필터 밀 프리필터를 포함한다. The
숭풍유닛은 제1서브바디(733)의 유입구(737) 측에 설치된 제1송풍팬(751)과, 제1메인바디(731)의 배출구(736) 측에 설치된 제2송풍팬(75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751,752)은 상기 구동모터(410)를 방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735)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순환시킨다. The Sungpoong unit includes a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모터 차폐유닛(720)은 구동모터(410)의 방사선 노출을 차단하므로 방사선에 의해 구동모터(410)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모터 케이스(730) 내부에 외기를 순환시켜 구동모터(410)를 방열시킬 수 있다. The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80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8 shows a crane remote telescop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800)은 상기 기기 설치부(312)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신축유닛(300)에 설치되며, 상기 원자로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미도시)와,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촬영 카메라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촬영 카메라를 덮도록 형성된 카메라 차폐유닛(820)과, 상기 촬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83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rane remote telescope
카메라 차폐유닛(820)은 촬영구가 마련된 수용 케이스(821)와, 상기 촬영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821)에 설치되며, 투명한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차폐 커버(822)를 구비한다. The
수용 케이스(821)는 기기 설치부(312)에 인접된 위치의 신축유닛(300)의 최하측 단위관(310) 외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수용 케이스(821)는 내부에 촬영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작업 기기(19)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촬영 카메라가 원자로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용 케이스(821)는 납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차폐 커버(822)는 상기 촬영구를 덮을 수 있도록 수용 케이스(821)에 설치되며, 납유리와 같이 투명한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ielding
촬영 카메라는 수용 케이스(821)의 촬영구를 통해 원자로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수용 케이스(8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촬영 카메라는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830)에 전송한다. The photographing camera is installed inside the
디스플레이부(830)는 원자로 외부에 설치되며, 촬영 카메라의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영상을 출력한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8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토대로 컨트롤 모듈을 조작한다. The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800)은 카메라 차폐유닛(820)에 의해 촬영 카메라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방사선에 촬영 카메라에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rane remote telescope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90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S. 9 and 10 illustrate a crane remote telescop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900)은 상기 단위관(310)들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단위관(310)들의 슬라이딩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910)와, 상기 센서부(910)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축유닛(300)의 신축 길이를 산출하는 정보산출모듈(920)과, 상기 정보산출모듈(920)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축유닛(300)의 상태에 대응되는 가상의 3차원 모델을 모델링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모델링 모듈(93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rane remote telescope
상기 센서부(910)는 상기 단위관(310)들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단위관(310)들의 슬라이딩 거리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911)와,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측정센서(911)가 노출되는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정센서(911)들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다수의 센서 차폐유닛(940)을 구비한다. The
상기 측정센서(911)는 단위관(310)의 내측 상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측정용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이동거리를 측정하를 거리 측정 수단이 적용된다. 여기서, 측정센서(911)는 단위관(310)의 관통공간(311) 하측에 삽입된 다른 단위관(310)의 상단부에 측정용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911)는 센서 차폐유닛(940)에 의해 단위관(3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The measuring
센서 차폐유닛(940)은 조사구가 마련된 센서 케이스(941)와, 조사구를 덮을 수 있도록 센서 케이스(941)에 설치된 투과 커버(942)를 구비한다. The
센서 케이스(941)는 센서 고정부(950)에 의해 단위관(310)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측정센서(9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센서 케이스(941)는 단위관(310)에 결합된 단위관(310)의 상단부에 대향되는 위치 즉, 하면에 조사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케이스(941)는 납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센서 고정부(950)는 단위관(310)의 내벽면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제2고정부재(960)와, 상기 센서 케이스(941)에 설치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96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제2결합핀(970)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2결합핀(970)은 센서 케이스(9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단위관(310)의 내벽면에 대향되는 일단부에 복수의 제2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돌기는 제2결합핀(97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제2결합핀(97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2결합핀(970)의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2결합핀(970)을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파지부재(972)가 마련되어 있다. The
상기 제2고정부재(960)는 단위관(310)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결합돌기가 마련된 제2결합핀(97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2삽입공간이 형성된 제2고정블럭(961)과, 제2삽입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제2고정블럭(961)에 설치되는 제2걸림커버(962)를 구비한다. The second fixing member 960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상기 제2걸림커버(962)는 제2결합핀(97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제2중공(963)이 형성되며, 제2결합핀(970)의 제2걸림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중공(963)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제2연장홀(9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장홀(964)은 제2중공(963)의 중심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2연장홀(964)은 제2고정블럭(961)의 제2삽입공간에 삽입된 제2결합핀(970)이 소정각도 회전하면 제2걸림돌기가 제2걸림커버(962)에 걸릴 수 있도록 제2걸림돌기의 폭 및 길이에 대응되는 폭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locking cover 962 has a second hollow 963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one end of the
작업자는 제2결합핀(970)의 일단부를 제2걸림커버(962)의 제2중공(963) 및 제2연장홀(964)을 통해 제2고정블럭(961)의 제2삽입공간으로 삽입한 다음, 제2결합핀(970)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제2결합핀(970)의 제2걸림돌기를 제2걸림커버(962)에 걸림 상태로 세팅한다. 측정센서(911)를 교환시에도, 작업자는 제2걸림돌기가 제2걸림커버(962)의 제2연장홀(964)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2결합핀(970)을 회전시킨 다음, 제2걸림커버(962)의 제2중공(963) 및 제2연장홀(964)을 통해 제2결합핀(970)의 일단부를 제2고정블럭(96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The operator inserts one end of the
상기 센서 고정부(950)는 볼트에 의한 볼팅 방식이 아니라 제2결합핀(970) 및 제2고정블럭(961)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센서 케이스(941)를 고정시키므로 보다 신속하게 센서 케이스(941)의 교체 작업이 가능하다. Since the
투과 커버(942)는 상기 조사구를 덮을 수 있도록 센서 케이스(941)에 설치되며, 납유리와 같이 투명한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The
정보산출모듈(920)은 원자로 외부에 설치되며, 측정센서(911)들로부터 측정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정보산출모듈(920)은 제공받은 측정정보를 토대로 신축유닛(300)의 신축길이를 산출한다. The
모델링 모듈(930)은 정보산출모듈(920)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신축유닛(300)의 상태에 대응되는 가상의 3차원 모델을 모델링하여 디스플레이부(830)를 통해 작업자에게 표시한다. 이때, 모델링 모듈(930)은 원자로도 모델링하여, 원자로에 대한 신축유닛(300)의 위치를 표시하여 3D 영상을 제작하여 디스플레이부(83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작업자는 모델링 모듈(930)에서 제공되는 3D 영상을 참고하여 보다 정교하게 작업 기기(19)를 운반할 수 있다. The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1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1 illustrates a crane remote telescop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10)은 단위관(310)들 사이에 설치되어 단위관(310)들을 상호 지지하는 다수의 베어링(111)과, 상기 베어링(111)을 단위관(310)의 외주면에 가압할 수 있는 가압볼트(112)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rane remote telescope
여기서, 단위관(310)은 하단부에, 관통공간(311)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113)은 가압볼트(112)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베어링(111)은 단위관(310)의 관통공간(311)에 삽입된 또 다른 단위관(31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체결홀(113)에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111)은 단위관(310)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111)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가압볼트(112)는 일단부가 베어링(11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체결홀(113)에 삽입되며, 체결홀(113)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압볼트(112)의 타단면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결합시켜 작업자가 가압볼트(11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一' 또는 '十'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술된 상기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10)은 단위관(310)들 사이에 베어링(11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신축유닛(300)이 신축되는 장점이 있다. The crane remote telescope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2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2 shows a crane remote telescop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120)은 상호 슬라이딩되는 상기 단위관(310)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신축유닛(300)에 설치된 슬립 감지유닛(130)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레일(321)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공간(11)이 마련되며, 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검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rane remote telescope
상기 슬립 감지유닛(130)은 상기 검출공(12)들을 통해 광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321)의 연장공간(11)에 설치되어 광을 생성하는 조사램프(131)와, 상기 검출공(12)이 형성된 상기 지지레일(321)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3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접촉롤러(132)와, 상기 검출공(12)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롤러(132)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수광센서(133)와, 상기 수광센서(133)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광센서(133)에서 광이 미감지시 상기 단위관(310)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판별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The slip detection unit 130 includes an
상기 조사램프(131)는 지지레일(321)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엘이디 램프가 적용된다. The
*접촉롤러(132)는 브라켓(135)에 의해 지지블럭(3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접촉롤러(132)는 단위관(310)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The
수광센서(133)는 접촉롤러(13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데, 다수개가 접촉롤러(132)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수광센서(133)는 지지롤러의 검출공(12)에 대향되게 접촉롤러(132)에 설치되며, 검출공(12)들 사이의 이격거리 즉, 단위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판별모듈은 수광센서(133)들 중 어느 하나에서 광이 검출되면 단위관(310)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별하고, 수광센서(133)들에서 광이 미검출되면, 단위관(310)들 사이에 슬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의 단말기로 알림정보를 제공한다.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해 알림정보를 수신시 단위관(310)들 사이에 발생된 미끄럼을 고려하여 컨트롤 모듈을 조작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at when light is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립 감지유닛(15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3 shows a sleep detection unit 1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립 감지유닛(150)은 롤러 이동부(151), 롤러 회전부(152) 및 롤러 제어모듈(153)을 구비한다. 상기 접촉롤러(132)는 상기 지지레일(321)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지지블럭(322)에 설치된다. 즉, 지지블럭(322)은 지지레일(321)에 인접된 상면에, 단위관(3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보조레일(156)이 형성되고, 접촉롤러(132)에 설치된 브라켓(135)이 상기 보조레일(156)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접촉롤러(132)는 브라켓(135)이 단위관(310)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블럭(322)에 설치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lip detection unit 150 includes a
롤러 이동부(151)는 상기 접촉롤러(132)를 상기 지지레일(321)의 측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롤러(132)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일단이 접촉롤러(132)를 지지하는 브라켓(135)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블럭(322)에 고정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거리가 신축되는 액츄에이터가 적용된다. The
롤러 회전부(152)는 접촉롤러(132)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롤러(13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접촉롤러(132)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브라켓(1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롤러(154)와, 보조롤러(154)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롤러(154)를 회전시키는 보조모터(155)를 구비한다. 한편, 롤러 회전부(15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롤러(13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The
롤러 제어모듈(153)은 상기 판별모듈에서 상기 단위관(310)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접촉롤러(132)를 상기 지지레일(32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시키고, 상기 수광센서(133)가 상기 검출공(12)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롤러(132)가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부(151) 및 롤러 회전부(152)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수광센서(133)에서 광이 감지되면 상기 롤러 제어모듈(153)은 상기 접촉롤러(132)가 상기 지지레일(321)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부(151)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술된 슬립 감지유닛(150)은 단위관(310)들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더라도 롤러 회전부(152) 및 롤러 이동부(151)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원거리에서 접촉 롤러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slip detection unit 150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 set the position of the contact roller from a distance by using the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200: 메인 프레임
201: 제1연장레일
202: 제1이동블럭
203: 제1지지체
204: 제2연장레일
205: 제2이동블럭
206: 제2지지체
207: 고정로드
300: 신축유닛
310: 단위관
311: 관통공간
312: 기기 설치부
320: 가이드 부재
321: 지지레일
322: 지지블럭
323: 통과구
400: 동력 제공부
410: 구동모터
500: 프레임 구동부
600: 신축 구동부
610: 서브 프레임
620: 지지 스프로켓
630: 연결체인
640: 수납박스100: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200: main frame
201: first extension rail
202: first moving block
203: first support
204: second extension rail
205: second movement block
206: second support
207: fixed rod
300: expansion unit
310: unit tube
311: through space
312: device installation unit
320: guide member
321: support rail
322: support block
323: pass
400: power supply unit
410: drive motor
500: frame driving unit
600: stretch drive unit
610: sub frame
620: support sprocket
630: link chain
640: storage box
Claims (13)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작업용 기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기설치부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신축유닛;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신축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부; 및
상기 기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작업용 기기가 상기 원자로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축유닛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단위관; 및
상기 단위관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관들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관들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단위관들의 슬라이딩 거리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측정센서가 노출되는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정센서들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다수의 센서 차폐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 차폐유닛은
상기 단위관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센서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단위관에 결합된 단위관의 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조사된 측정용 레이저가 통과될 수 있도록 조사구가 형성되고,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센서 케이스; 및
상기 조사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용 레이저가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투과 커버;를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a main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to be movable in all directions;
a telescoping unit installed on the main frame, provided with a device installation unit at the lower end so that a working device can be installed, and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ower provid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main frame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a fram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frame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power providing unit; and
and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drive unit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working device installed in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actor.
The expansion unit is
A plurality of unit tubes sequentially coupled to each other slidab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guide member installed on the unit pipes and preventing the unit pipes from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lurality of measuring sensor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unit pipes to measure the sliding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unit pip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 shielding units formed to respectively cover the measurement sensors to prevent exposure of the measurement sensors to the radiation generated in the nuclear reactor;
The sensor shielding unit is
It is installed in the unit tube,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therein so that the measurement sensor can be accommodated, an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end of the unit tube coupled to the unit tube, the measuring laser irradiat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passes through The irradiation hole is formed so as to be, the sensor case formed of a radiopaque material; and
provided in the sensor case so as to cover the irradiation hole, and a transmission cover formed of a transparent radiopaque material so that the measuring laser can be transmitted;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호 결합된 단위관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기 단위관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대향되는 상호 결합된 상기 단위관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구가 형성된 지지블럭;을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a support rail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utually coupled unit pipes and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 block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unit pipes coupled to each other opposite to the support rail so that the unit pipe can be moved along the support rail, and having a passage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support rail can pass through; doing,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동력 제공부는
상기 프레임 구동부 또는 신축 구동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구동모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를 덮도록 형성된 모터 차폐유닛;을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a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frame driving unit 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riving unit, respectively, to provide a driving force; and
A motor shielding unit formed to cover the driving motor in order to prevent the driving motor from being exposed to radiation generated in the nuclear reactor;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모터 차폐유닛은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되,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모터 케이스;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방사선 차단 필터; 및
상기 모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를 방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순환시키는 송풍유닛;을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tor shielding unit is
An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therein so that the driving motor can be accommodated, an inlet is formed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n outlet is formed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 the outside. Motor case formed of a material;
a radiation blocking filter installed at the inlet to block radiation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inlet; and
A blowing unit installed in the motor case and forcibly circulating the air in the accommodating space to the outside to dissipate heat from the driving motor;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기기 설치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신축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원자로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
상기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선에 상기 촬영 카메라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촬영 카메라를 덮도록 형성된 카메라 차폐유닛; 및
상기 촬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차폐유닛은
내부에 상기 촬영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촬영 카메라가 상기 원자로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구가 마련된 수용 케이스; 및
상기 촬영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에 설치되며, 투명한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차폐 커버;를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hotographing camera installed in the telescopic unit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evice installation part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reactor;
a camera shielding unit formed to cover the imaging camera in order to prevent the imaging camera from being exposed to radiation generated in the nuclear reactor; and
and a display unit that provides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camera to a worker;
The camera shielding unit
a receiving case having an inner space so that the photographing camera can be installed therein, and formed of a radiopaque material,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port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reactor by the photographing camera on one side; and
A shielding cover that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case to cover the photographing sphere and formed of a transparent radiopaque material;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측정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축유닛의 신축 길이를 산출하는 정보산출모듈; 및
상기 정보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축유닛의 상태에 대응되는 가상의 3차원 모델을 모델링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모델링 모듈;을 더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stretch length of the stretch unit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s; and
A modeling module for modeling a virtual three-dimension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and providing it to the operator; further comprising,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작업용 기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기설치부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신축유닛;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신축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부; 및
상기 기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작업용 기기가 상기 원자로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축유닛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단위관; 및
상기 단위관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관들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관은 하방으로 인접된 단위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관통공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에 삽입된 상기 단위관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을 상기 관통공간에 삽입된 상기 단위관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체결홀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를 더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a main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to be movable in all directions;
a telescoping unit installed on the main frame, provided with a device installation unit at the lower end so that a working device can be installed, and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ower provid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main frame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a fram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frame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power providing unit; and
and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drive unit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working device installed in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actor.
The expansion unit is
A plurality of unit tubes sequentially coupled to each other slidab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guide member installed on the unit pipes and preventing the unit pipes from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unit pipe has a through spac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n adjacent unit pipe can be inserted downwar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end to penetr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space,
a bear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pipe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and
A pressing bolt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to press the bearing so that the bearing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pipe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작업용 기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기설치부가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신축유닛;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신축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부; 및
상기 기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작업용 기기가 상기 원자로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축유닛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단위관; 및
상기 단위관들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관들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호 결합된 단위관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기 단위관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대향되는 상호 결합된 상기 단위관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구가 형성된 지지블럭;을 구비하고,
상호 슬라이딩되는 상기 단위관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신축유닛에 설치된 슬립 감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a main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to be movable in all directions;
a telescoping unit installed on the main frame, provided with a device installation unit at the lower end so that a working device can be installed, and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ower provid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main frame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a fram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frame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power providing unit; and
and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drive unit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us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working device installed in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actor.
The expansion unit is
A plurality of unit tubes sequentially coupled to each other slidab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guide member installed on the unit pipes and preventing the unit pipes from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guide member
a support rail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utually coupled unit pipes and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 block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unit pipes coupled to each other opposite to the support rail so that the unit pipe can be moved along the support rail, and having a passage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support rail can pass through; do,
Further comprising; a slip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in order to detect that a slip occurs between the unit pipes sliding each other;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지지레일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공간이 마련되며, 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단위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검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립 감지유닛은
상기 검출공들을 통해 광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의 연장공간에 설치되어 광을 생성하는 조사램프;
상기 검출공이 형성된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접촉롤러;
상기 검출공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롤러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수광센서; 및
상기 수광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광센서에서 광이 미감지시 상기 단위관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판별모듈;을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rail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space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and a plurality of dete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unit distan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slip detection unit is
an irradiation lamp installed in the extended space of the support rail to generate light so that light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etection holes;
a contact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block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ail on which the detection hole is formed;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roll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unit distanc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detect the light output through the detection hole; and
A determination module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perator by determining that sliding has occurred between the unit tubes when light is not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상기 접촉롤러는 상기 지지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지지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슬립 감지유닛은
상기 접촉롤러를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롤러를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부;
상기 접촉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부; 및
상기 판별모듈에서 상기 단위관들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접촉롤러를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시키고, 상기 수광센서가 상기 검출공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롤러가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부 및 롤러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광센서에서 광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부를 작동시키는 롤러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크레인 원격 텔레스코프 서보 메니퓰레이터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act roller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lock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rail,
The slip detection unit is
a roller moving part for moving the contact roller so that the contact roller is closely adhered to or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ail;
a roller rotating part installed on the contact roller to rotate the contact roller; and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module that sliding has occurred between the unit tubes, the contact roller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ail,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detects the light output through the detection hole. A roller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roller moving unit and the roller rotating unit so that the contact roller rotates, and operates the roller moving unit so that the contact ro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ail when light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8249A KR102305327B1 (en) | 2019-12-30 | 2019-12-30 |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8249A KR102305327B1 (en) | 2019-12-30 | 2019-12-30 |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324A KR20210085324A (en) | 2021-07-08 |
KR102305327B1 true KR102305327B1 (en) | 2021-09-28 |
Family
ID=7689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8249A Active KR102305327B1 (en) | 2019-12-30 | 2019-12-30 |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532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260676B (en) * | 2023-11-17 | 2024-03-08 | 江苏葆隆智能科技有限公司 | Inspection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0592A (en) * | 1998-12-21 | 2000-06-30 | Toshiba Corp | Radioactive gas purifier |
KR101649163B1 (en) * | 2015-06-29 | 2016-08-18 | 한국원자력연구원 |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nuclear fuel exchanger ram emergency operating robot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97570B2 (en) * | 1994-09-07 | 2004-12-08 |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 Reactor dismantling method and apparatus |
US5850424A (en) * | 1996-04-12 | 1998-12-15 | General Electric Company | Refueling machine with relative positioning capability |
JPH09311193A (en) * | 1996-05-23 | 1997-12-02 | Toshiba Corp | Inside inspecting apparatus for nuclear reactor |
KR101391509B1 (en) * | 2012-08-27 | 2014-05-07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Remote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including cell camera |
-
2019
- 2019-12-30 KR KR1020190178249A patent/KR1023053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0592A (en) * | 1998-12-21 | 2000-06-30 | Toshiba Corp | Radioactive gas purifier |
KR101649163B1 (en) * | 2015-06-29 | 2016-08-18 | 한국원자력연구원 |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nuclear fuel exchanger ram emergency operating rob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324A (en)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02773B2 (en) | Inspection device | |
US3987666A (en) | Device for remote inspection and testing of a structure | |
US9460820B2 (en) | Radiation shielding method and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structure | |
KR101160659B1 (en) | heat pipe inspection robot of steam generation for nuclear power generation | |
KR102305327B1 (en) | Crane remote telescope servo manipulator system | |
CN103111837A (en) | Vapor generator primary side baffle operation robot | |
KR101184262B1 (en) | A remote inspection device for a pipe upper bundle in a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s | |
KR101787411B1 (en) | Inspection apparatus for interior structure of a calandria | |
CN2924004Y (en) | Intelligent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well logging radioactive source | |
US5164151A (en) | Manipulator system for an enclosure with a limited access point | |
KR102212469B1 (en) | Inspection device for steam generator | |
KR100597533B1 (en) | Secondary heat transfer tube inspection device of steam generator | |
ES2822137T3 (en) | Automated work platform assembly | |
JP6359904B2 (en) | Cutting device, cutting method, and dismantling system using the cutting device | |
JP2014098602A (en) |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underwater observation method and radioactivity measurement method of fuel assembly using underwater observation method | |
KR102073089B1 (en) | Inspection device for gap of heating tube bundle of steam generator | |
CN107866814A (en) | Robot device for pebble bed reactor core cavity inner member vision-based detection | |
KR101787409B1 (en) | Inspection apparatus for interior structure of a calandria with no connectors | |
US7533715B1 (en) | Tube walker for examination and repair of steam generators | |
KR102451137B1 (en) | Apparatus for inspecting inside of the react coolant pump | |
KR102332240B1 (en) | RADIATION PROBE SYSTEM FOR SPENT FUEL VERIFICATION, Nuclear Fuel Visual Detection Device, Spent Fuel Monitoring System | |
JP2020531818A (en) | Inspection tool | |
JP5308440B2 (en) | Indexing unit installation unit | |
KR100356295B1 (en) | Visual Inspection Robot For Pressurizer In Nuclear Powr Plants | |
JP2010085141A (en)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enter of in-pile structure in rea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