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949B1 -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 Google Patents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4949B1 KR102304949B1 KR1020190153329A KR20190153329A KR102304949B1 KR 102304949 B1 KR102304949 B1 KR 102304949B1 KR 1020190153329 A KR1020190153329 A KR 1020190153329A KR 20190153329 A KR20190153329 A KR 20190153329A KR 102304949 B1 KR102304949 B1 KR 102304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part
- thin film
- film
- inorganic thin
- stretch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75—Silicon-containing compounds
- G03F7/0757—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i-O, Si-C or Si-N bond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 조절 필름의 투명도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윈도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구동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실험 모형의 디지털 사진들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시편(필름 두께: 13㎛, 알루미나 두께: 60nm)의 단계별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의 표면 이미지이다.
도 12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PDMS, 표면 처리(UV/오존)된 PDMS, 표면 처리된 PDMS 위에 형성된 알루미나 및 표면 처리되지 않은 PDMS 위에 형성된 알루미나(Ref)의 접촉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시편들의 산란 층수(필름 두께)에 대한 투과율 제어 변화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시편들의 알루미나의 증착 두께 및 인장률에 대한 투과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시편(알루미나 증착 두께 60 nm)의 600 nm 파장에서 약 40 % 인장(스트레인)에 대한 투과율 변화의 반복성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의 시편(알루미나 증착 두께 60 nm)의 600 nm 파장에서 약 40 % 인장(스트레인)일 때, 주변 온도에 대한 투과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시예 1의 시편(필름 두께: 13㎛, 알루미나 두께: 60nm)의 물속에서의 인장 테스트에 대한 디지털 사진이다.
도 18은 실시예 1의 시편(필름 두께: 13㎛, 알루미나 두께: 60nm, 체심 정방 구조)의 인장 테스트에 대한 스트레스 변화를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9는 실시예 1의 시편(필름 두께: 13㎛, 알루미나 두께: 60nm, 체심 정방 구조)에서 1/8 유닛 셀의 인장에 대한 에어 갭 변화를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실시예 1의 시편(필름 두께: 13㎛, 알루미나 두께: 60nm, 체심 정방 구조)에서 전체 유닛 셀의 인장에 대한 에어 갭 변화를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21은 실시예 1의 시편(필름 두께: 13㎛, 알루미나 두께: 60nm)의 60 % 인장(스트레인)에 대한 투과율 변화의 측정 결과 및 제1 갭 영역의 투과율 변화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실시예 1의 시편(필름 두께: 13㎛, 알루미나 두께: 60nm)의 60 % 인장(스트레인) 상태에서, 입사되는 광(484nm/683nm)에 대한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Claims (16)
- 주기적으로 정렬된 3차원 네트워크 형상을 가지며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내부 탄성부;
상기 내부 탄성부를 둘러싸도록 3차원 네트워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 탄성부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무기 박막; 및
상기 무기 박막을 둘러싸며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외부 탄성부를 포함하며,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무기 박막과 상기 외부 탄성부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되어 투명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박막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박막은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박막의 두께는 60nm 내지 8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박막의 3차원 네트워크는 면심 입방(face centered cubic) 구조 또는 단순 입방(simple cubic)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및 상기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윈도우부; 및
상기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의 스트레인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은 스트레인에 의해 내부에 에어 갭을 형성함으로써 투명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클램프를 이동하기 위한 서보 모터 및 상기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광량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의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은 상기 외부 탄성부 및 상기 무기 박막 사이에 형성되며, 60nm 내지 120nm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 주기적으로 정렬된 네트워크 형상을 갖는 3차원 다공성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다공성 주형의 기공을 충진하여 역상의 외부 탄성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다공성 주형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외부 탄성부의 기공의 내벽을 따라 3차원 네트워크 형상을 갖는 무기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탄성부의 기공을 충진하여 상기 무기 박막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내부 탄성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탄성부 및 상기 내부 탄성부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박막은 상기 내부 탄성부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박막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박막의 두께는 60nm 내지 8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다공성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는,
베이스 기판 위에 감광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필름 위에 위상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위상 마스크를 통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에 3차원 분포를 갖는 광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필름에 저농도의 제1 현상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감광성 필름에 고농도의 제2 현상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박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외부 탄성부를 UV/오존 처리하여 기공 내벽에 실리카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박막의 3차원 네트워크는 면심 입방(face centered cubic) 구조 또는 단순 입방(simple cubic)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3329A KR102304949B1 (ko) | 2019-11-26 | 2019-11-26 |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3329A KR102304949B1 (ko) | 2019-11-26 | 2019-11-26 |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4760A KR20210064760A (ko) | 2021-06-03 |
KR102304949B1 true KR102304949B1 (ko) | 2021-09-27 |
Family
ID=7639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3329A Active KR102304949B1 (ko) | 2019-11-26 | 2019-11-26 |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49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0764A (ko) | 2022-03-30 | 2023-10-10 | 한국과학기술원 | 압축 변형을 이용한 투명도 조절 필름 및 투명도 조절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1250B1 (ko) * | 2021-11-11 | 2024-11-19 | 한국과학기술원 | 위상마스크 및 3차원 미세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
KR102748090B1 (ko) * | 2022-01-11 | 2024-12-31 | 한국과학기술원 | 전 방향 신축성을 갖는 섬유 강화 복합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75004A1 (en) * | 2002-02-19 | 2003-09-18 | Garito Anthony F. | Optical polymer nanocomposites |
KR101542684B1 (ko) * | 2014-02-04 | 2015-08-06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887481B1 (ko) * | 2016-09-19 | 2018-08-10 | 한국과학기술원 | 고신축성 3차원 전도성 나노 네트워크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인장 센서 및 웨어러블 기기 |
KR101902380B1 (ko) * | 2014-12-29 | 2018-10-01 | 한국과학기술원 | 3차원 신축성 네트워크 구조체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79839B1 (fr) | 1998-06-10 | 2003-06-06 | Saint Gobain Vitrage | Systeme electrocommandable a proprietes optiques variables |
KR101269871B1 (ko) * | 2010-08-11 | 2013-06-07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3차원 다공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30060999A (ko) * | 2011-11-30 | 2013-06-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패턴 형성 방법 |
PL3351719T3 (pl) * | 2017-01-20 | 2020-08-24 | Vkr Holding A/S | Układ zasłaniający z wyciąganą zasłoną oraz sposób zapewniania zmiennego zasłaniania okna |
KR102563991B1 (ko) * | 2017-04-20 | 2023-08-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광 투과도 조절 필름 및 광 투과도 조절 필름 조성물 |
-
2019
- 2019-11-26 KR KR1020190153329A patent/KR10230494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75004A1 (en) * | 2002-02-19 | 2003-09-18 | Garito Anthony F. | Optical polymer nanocomposites |
KR101542684B1 (ko) * | 2014-02-04 | 2015-08-06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902380B1 (ko) * | 2014-12-29 | 2018-10-01 | 한국과학기술원 | 3차원 신축성 네트워크 구조체 |
KR101887481B1 (ko) * | 2016-09-19 | 2018-08-10 | 한국과학기술원 | 고신축성 3차원 전도성 나노 네트워크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인장 센서 및 웨어러블 기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0764A (ko) | 2022-03-30 | 2023-10-10 | 한국과학기술원 | 압축 변형을 이용한 투명도 조절 필름 및 투명도 조절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4760A (ko) | 2021-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in et al. | λ/30 inorganic features achieved by multi-photon 3D lithography | |
JP5597263B2 (ja) | 微細構造積層体、微細構造積層体の作製方法及び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 | |
KR102304949B1 (ko) |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투명도 조절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 |
Peng et al. | Flexible and stretchable photonic sensors based on modulation of light transmission | |
US11874480B2 (en) | Plasmonic lithography for patterning high aspect-ratio nanostructures | |
Moon et al. | Chemical aspects of three-dimensional photonic crystals | |
Lohmüller et al. | Biomimetic interfaces for high-performance optics in the deep-UV light range | |
US20090176015A1 (en) | Antireflection structure formation method and antireflection structure | |
CN110320745B (zh) | 具有理想发射谱的柔性被动冷却薄膜及其制备方法 | |
WO2011005252A1 (en) | Light diffusers and displays comprising same | |
CN110902647B (zh) | 一种渐变尺寸的纳米通道的制作方法 | |
JP5710236B2 (ja) | 微細構造積層体 | |
JPWO2007026605A1 (ja) | 微細パターン形成方法 | |
KR100764826B1 (ko) | 반사형 표시소자 및 광도파로의 응용을 위한 픽셀화된 광결정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
WO2018212051A1 (ja) |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自発光型ディスプレイ装置 | |
Huang et al. | One-step sol–gel imprint lithography for guided-mode resonance structures | |
CN111438859A (zh) | 一种图案化纳米阵列模板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2512747B1 (ko) | 배향된 이종 계면을 갖는 신축성 투명도 조절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신축성 투명도 조정 필름을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 |
Zhang et al. | A new fabrication method for nano-gratings based on the high flexibility of PDMS | |
CN108358465B (zh) | 具有光开关与光固化功能的复合薄膜材料的制备方法 | |
CN104503024B (zh) | 一种带有斜面耦合端口的聚合物光波导的制备方法 | |
KR20210130531A (ko) | 노광 각도가 조절된 근접장 패터닝을 이용한 나노구조의 조절 및 제작 | |
Oda et al. | Photoreactive chemisorbed monolayer suppressing polymer dewetting in thermal nanoimprint lithography | |
CN103018819A (zh) | 基于纳米压印的高分子微纳光纤布拉格光栅制备方法 | |
Matsuda et al. | Sol–Gel Nano-/Micropatterning Proc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