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939B1 - Wheelchair of variables type - Google Patents
Wheelchair of variables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4939B1 KR102304939B1 KR1020190093803A KR20190093803A KR102304939B1 KR 102304939 B1 KR102304939 B1 KR 102304939B1 KR 1020190093803 A KR1020190093803 A KR 1020190093803A KR 20190093803 A KR20190093803 A KR 20190093803A KR 102304939 B1 KR102304939 B1 KR 1023049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wheel
- front wheel
- wheelchair
- carri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folding down backrest, e.g. where the backrest folds down onto the seat supp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 및 후방 각 양측에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서로 겹쳐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방 휠 및 후방 휠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휠체어의 승차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부피가 최소화되어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ormable wheelchair, comprising: a seat portion formed so that a user can sit; and a driving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movably coupl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verlap each oth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provided to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increasing the ride comfort of the wheelchair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s widened, and the volume is minimized as the space between them is minimized and easy stor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형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이동수단으로 사용되며 차체를 접어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변형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ormable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ormable wheelchair that is used as a means of transport for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and that folds a vehicle body for easy storage and handling.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질병, 상해, 장애로 인하여 걷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바퀴가 달린 이동식 의자이다.In general, a wheelchair is used by people who have difficulty or unable to walk due to mental or physical illness, injury, or disability, and is a mobile chair with wheels on which the user can sit.
그러나, 이러한 휠체어는 이용자가 앉은 채로 바퀴를 굴리기 위해서 직경이 큰 바퀴가 구비되고, 이러한 큰 바퀴에 의해 보관 및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wheelchair is provided with a large diameter wheel in order to roll the wheel while the user is seat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storage and handling is difficult by such a large wheel.
따라서, 휠체어의 보관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휠체어를 접이식 구조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에는 접이식 구조의 휠체어를 구성하였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volume in order to improve the storage and mobility of the wheelchai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wheelchair in a foldable structure, and conventionally, a wheelchair in a foldable structure is configured.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구조의 휠체어는 안장의 양측 프레임을 횡 방향으로 접는 구조로, 직경이 큰 바퀴의 부피를 줄이지 못해 여전히 휠체어의 보관 및 취급이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folding structure of the wheelchair is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of the frame of the saddle are fol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t is difficult to store and handle the wheelchair because the volume of the large-diameter wheel cannot be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휠체어 바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chair that reduces the volume by moving the wheel of the wheelchair forward and backward to facilitate storage and handl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휠체어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 및 후방 각 양측에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서로 겹쳐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formable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ortion formed so that a user can sit; and a driving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movably coupl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verlap each other.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방 휠이 제1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제1 캐리지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 휠이 제2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제2 캐리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coupled to a first carriage in which the front wheel is moved along a first screw rotated by a first motor, and the rear wheel is moved along a second screw rotated by a second mo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wo carriages.
또한, 상기 전방 휠은 상기 후방 휠보다 양측방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ide than the rear wheel.
또한, 상기 제2 스크류는 상기 제1 스크류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캐리지에는 양측으로 연장된 양단에 상기 전방 휠이 결합되는 전방 포크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캐리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전방 휠이 결합되는 후방 포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crew is disposed under the first screw, and a front fork to which the front wheel is coupled is coupled to both end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carriage, and the downwardly extending fork is coupled to the second carri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fork to which the front wheel is coupled is coupled.
또한, 상기 후방 포크는 상기 제2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for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arriage.
또한,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attery for driving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전방 휠 및 후방 휠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전방 및 후방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driving unit as the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re disposed inside the driving unit as the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휠체어에 따르면,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방 휠 및 후방 휠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휠체어의 승차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부피가 최소화되어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riabl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provided to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increasing the riding comfort of the wheelchair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s widened, and the space between them is narrowed. Since the volume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asy handling and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휠체어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륜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륜 프레임의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ormable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operation diagrams of a deformable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front wheel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a rear wheel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가변형 휠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deformable wheelchai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분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휠체어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륜 프레임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륜 프레임의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ormable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are operation diagrams of a deformable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ottom view of a front wheel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ottom view of a rear wheel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휠체어는 전후방의 바퀴 사이가 벌어지거나 좁아짐에 따라 승차감을 증대시키거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variabl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eature that can increase the ride comfort or minimize the volume as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widened or narrowed.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휠체어(100)는 시트부(110) 및 구동부(120)를 포함한다.The
상기 시트부(11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착석을 위한 안장(111)이 구비되며, 상기 안장(111)의 후방으로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112)가 형성되고, 상기 안장(111)의 전방으로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114)이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시트부(110)는 전방이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대략 "┌" 자 형상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등받이(112)는 상기 안장(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됨에 따라 상기 안장(111)과 포개진다.Here, the
상기 등받이(112)의 상단 후방에는 보호자가 밀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 handl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등받이(112)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팔걸이(11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이때, 상기 팔걸이(113)는 상기 등받이(112)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112)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발판(114)은 상기 시트부(110)의 전방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됨에 따라 상기 시트부(110)의 전방 부분과 포개진다.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등받이(112), 팔걸이(113) 및 발판(114)이 상기 안장(111)과 포개짐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시트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 양측에 전방 휠(123e)이 구비되고, 후방 양측에 후방 휠(124e)이 구비된다.The
예컨대, 상기 전방 휠(123e)은 18인치, 후방 휠(124e)은 10인치로 형성된다.For example, the
나아가, 상기 전방 휠(123e)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바(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Furthermore, a handle ba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안장(111) 하단에 하부 프레임(121)이 결합된다.Specifically, in the
상기 하부 프레임(121)의 내부에는 배터리(122)가 결합된다.A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21)의 하단에는 전륜 프레임(123)이 결합되고, 상기 전륜 프레임(123)의 하단에는 후륜 프레임(124)이 결합된다.A
상기 전륜 프레임(123)은 전후방의 각 단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제1 스크류(123b)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Each front and rear ends of the
상기 제1 스크류(123b)의 전방은 상기 전륜 프레임(123)의 전방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에 구비된 제1 모터(123a)와 연결된다.The front of the
이때, 상기 제1 모터(123a)와 커플링 플랜지를 통해 연결되거나,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상기 제1 모터(123a)는 상기 배터리(122)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스크류(123b)를 회전시킨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제1 스크류(123b)에는 제1 캐리지(123c)가 나사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1 캐리지(123c)는 상기 제1 스크류(123b)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제1 캐리지(123c)의 상면이 상기 전륜 프레임(123)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는, 상기 제1 스크류(123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캐리지(123c)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또한, 상기 제1 캐리지(123c)에는 양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전방 포크(123d)가 결합된다.Also, a
상기 전방 포크(123d)의 양단에는 상기 전방 휠(123e)이 결합된다.The
한편, 상기 전방 휠(123e)은 전동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전동으로 구동 시 인휠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후륜 프레임(124)은 전후방의 각 단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제2 스크류(124b)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상기 제2 스크류(124b)의 전방은 상기 후륜 프레임(124)의 전방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고, 그 타측에 구비된 제2 모터(124a)와 연결된다.A front of the
이때, 상기 제2 모터(124a)와 커플링 플랜지를 통해 연결되거나,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상기 제2 모터(124a)는 상기 배터리(122)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2 스크류(124b)를 회전시킨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제2 스크류(124b)에는 제2 캐리지(124c)가 나사 결합된다.A
여기서, 상기 제2 캐리지(124c)는 상기 제2 스크류(124b)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제2 캐리지(124c)의 상면이 상기 후륜 프레임(124)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는, 상기 제2 스크류(124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캐리지(124c)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또한, 상기 제2 캐리지(124c)에는 양측이 하방으로 연장된 후방 포크(124d)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후방 포크(124d)는 상기 제2 캐리지(124c)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Here, the
이때, 상기 제2 캐리지(124c)와 후방 포크(124d) 사이에는 베어링(B)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bearing B is coupled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후방 포크(124d)의 양단에는 상기 후방 휠(124e)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후방 포크(124d)가 회동됨에 따라 조향될 수 있다.As the
또한, 상기 후방 휠(124e)은 상기 전방 휠(123e)보다 내측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이는, 상기 제1 캐리지(123c) 및 제2 캐리지(124c)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방 휠(123e) 및 후방 휠(124e)이 서로 겹쳐지며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휠(123e)의 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전방 휠(123e)의 최전방 및 최후방이 상기 구동부(120) 내에 위치되고, 전방으로 이동 시 최전방이 상기 구동부(120)의 최전방보다 전방에 위치된다.Specifically, when moving to the rear of the
그리고, 상기 후방 휠(124e)의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후방 휠(124e)의 최전방 및 최후방이 상기 구동부(120) 내에 위치되고, 후방으로 이동 시 최후방이 상기 구동부(120)의 최후방보다 후방에 위치된다.And, when moving forward of the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전방 휠(123e) 및 후방 휠(124e)의 사이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시트부(110)의 안정감, 즉 승차감을 증대 시킬 수 있으며, 사이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the gap between the
특히,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별도의 탈부착 없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volume without separ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in a seated state of a user with reduced mobility.
한편, 상기 전방 휠(123e) 및 후방 휠(124e)은 상기 제1 캐리지(123c) 및 제2 캐리지(124c)에 의해 서로의 위치가 바뀌어, 상기 전방 휠(123e)이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휠(124e)이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sitions of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후방에 배치된 전방 휠(123e)을 손으로 밀어 수동으로 이동하거나, 보호자가 후방에서 밀어 줄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manually move the
한편,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구동부(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는, 상기 구동부(120)에 다양한 안장(1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휠체어에 따르면,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방 휠 및 후방 휠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휠체어의 승차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부피가 최소화되어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riabl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provided to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increasing the riding comfort of the wheelchair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s widened, and the space between them is narrowed. Since the volume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asy handling and storag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휠체어 110: 시트부
111: 안장 112: 등받이
113: 팔걸이 114: 발판
120: 구동부 121: 하부 프레임
122: 배터리 123: 전륜 프레임
123a: 제1 모터 123b: 제1 스크류
123c: 제1 캐리지 123d: 전방 포크
123e: 전방 휠 134: 후륜 프레임
124a: 제2 모터 124b: 제2 스크류
124c: 제2 캐리지 124d: 후방 포크
124e: 후방 휠 B: 베어링100: wheelchair 110: seat portion
111: saddle 112: backrest
113: armrest 114: footrest
120: driving unit 121: lower frame
122: battery 123: front wheel frame
123a:
123c:
123e: front wheel 134: rear wheel frame
124a:
124c:
124e: rear wheel B: bearing
Claims (7)
상기 시트부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 및 후방 각 양측에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서로 겹쳐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방 휠이 제1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제1 캐리지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 휠이 제2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제2 캐리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휠체어.
a seat portion formed so that a user can sit; and
I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at,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and a driving unit movably coupl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verlap each other;
The driving unit,
The front wheel is coupled to a first carriage moved along a first screw rotated by a first motor,
The variable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wheel is coupled to a second carriage moved along a second screw rotated by a second motor.
상기 전방 휠은 상기 후방 휠보다 양측방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wheel is a variable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utside the rear wheel on both sides.
상기 제2 스크류는 상기 제1 스크류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캐리지에는 양측으로 연장된 양단에 상기 전방 휠이 결합되는 전방 포크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캐리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전방 휠이 결합되는 후방 포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휠체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crew is disposed under the first screw,
A front fork to which the front wheel is coupled is coupled to both end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carriage,
Variable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fork coupled to the front wheel extending downwardly coupled to the second carriage.
상기 후방 포크는 상기 제2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휠체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 fork is a variable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arriage.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휠체어.
6. The method of claim 5,
Variable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for driving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상기 전방 휠 및 후방 휠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전방 및 후방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휠체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driving unit as the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re arranged inside the driving unit as the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803A KR102304939B1 (en) | 2019-08-01 | 2019-08-01 | Wheelchair of variables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803A KR102304939B1 (en) | 2019-08-01 | 2019-08-01 | Wheelchair of variables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5246A KR20210015246A (en) | 2021-02-10 |
KR102304939B1 true KR102304939B1 (en) | 2021-09-24 |
Family
ID=745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3803A Expired - Fee Related KR102304939B1 (en) | 2019-08-01 | 2019-08-01 | Wheelchair of variables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493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85301A1 (en) * | 2005-10-18 | 2007-04-19 | Watkins Mervyn M | Center-of-gravity tilt-in-space wheelchai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23922A (en) | 2010-12-06 | 2012-06-28 | Nok Corp | Seal structure of fuel cell |
JP2013104002A (en) | 2011-11-15 | 2013-05-30 | Sumitomo Chemical Co Ltd | Colored curable resin composition |
KR101758417B1 (en) | 2013-04-30 | 2017-07-1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Hvdc valve tower |
-
2019
- 2019-08-01 KR KR1020190093803A patent/KR1023049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85301A1 (en) * | 2005-10-18 | 2007-04-19 | Watkins Mervyn M | Center-of-gravity tilt-in-space wheel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5246A (en) | 2021-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12572B2 (en) | Multi-passenger tricycle | |
US4245847A (en) | Wheelchair | |
US10987261B2 (en) | Mobile object | |
JP7269551B2 (en) | electric vehicle | |
US20100126789A1 (en) | Personal Vehicles | |
US10857046B2 (en) | Wheelchair power apparatus for electronic driving conversion | |
TWI403432B (en) | Wheeled vehicle | |
CN107468438B (en) | Folding electric wheelchair | |
KR20070115191A (en) | Electric Wheelchair | |
KR102304939B1 (en) | Wheelchair of variables type | |
JP2020121029A (en) | Dynamic body | |
KR101447550B1 (en) | Folding type electric wheelchair | |
JP6235826B2 (en) | wheelchair | |
JP2009083651A (en) | non-motorized vehicle | |
JP6093832B1 (en) | wheelchair | |
JP3129587U (en) | Simple moving device | |
JP2012143519A (en) | Center-wheel wheelchair | |
JP2006062526A (en) | Recumbent type bicycle | |
US11266553B2 (en) | Mobile wheelchair/chair, in particular for the disabled | |
KR102731824B1 (en) | Two-wheel wheelchair that can go up and down stairs with front legs and rear legs | |
JP2018134378A (en) | Wheeled bench | |
JP3130074U (en) | Simple moving device | |
KR20230000724U (en) | Foldable smart electric scooter(wheel chair) | |
JP2002046616A (en) | Transport equipment | |
JP6664794B2 (en) | Wheelchair for assist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