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4617B1 - Rtm 성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Rtm 성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617B1
KR102304617B1 KR1020170092053A KR20170092053A KR102304617B1 KR 102304617 B1 KR102304617 B1 KR 102304617B1 KR 1020170092053 A KR1020170092053 A KR 1020170092053A KR 20170092053 A KR20170092053 A KR 20170092053A KR 102304617 B1 KR102304617 B1 KR 10230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vacuum
molding space
mol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987A (ko
Inventor
김명성
박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9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6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6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29C70/48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s in the closed mould, e.g. resin transfer moulding [RTM], e.g.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8Moulding material on one side only of the preformed pa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은, 성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 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통로들이 형성되되, 주입된 수지가 상기 성형 공간을 따라서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진공 통로들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금형, 상기 성형 공간에서 상기 진공 통로들로 각각 연결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 공간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도록 상기 금형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들, 상기 진공 통로들을 지나는 에어를 각각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제어 밸브들, 및 상기 압력 센서들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들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RTM 성형 시스템{RESIN TRANSFER MOLD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섬유 강화 부재를 성형 공간 안에 배치하고, 이 성형 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수지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수지 주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RTM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합재료 성형 기법에는 대표적으로 사람의 수작업으로 강화재인 섬유를 적층하고 수지를 함침시키는 적층 성형법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부품, 항공기 내장재, 및 선박용 부품 산업 등에서는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부품을 성형하기 위해서,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성형법 또는 섬유로 프리폼을 형성한 후 금형에서 수지를 주입하는 알티엠(resin transfer molding, RTM) 성형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오토클레이브 성형법은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할 수 있는 가압로를 포함하고, 보강섬유와 수지의 혼합물을 밀폐된 백으로 싼 다음 백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고 백 외부에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형상과 특성을 가지는 제품으로 성형한다.
한편, RTM 성형법은 복합재료를 이용한 대형 구조물을 성형하는데 생산성 등의 향상을 고려한 공법으로서, RTM 성형법은 섬유로 구성되는 부분인 프리폼(Preform)을 미리 제작 해두고, 그것을 금형에 장착하고, 수지를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는 방법이다.
RTM 성형법에서, 점도가 낮은 고분자상의 수지를 사용하면, 저압 0.7MPa 정도로 수지 주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형장치와 금형이 간단하게 되고 사출 성형이나 압축 성형에 비교해서 성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RTM 성형법은 수지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가장자리 측으로 수지가 골고루 투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로써, 섬유 내 수지 함침 및 적층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VARTM 공정을 이용한 복합재료의 성형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 역시 수지를 가장자리 측으로 골고루 투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RTM 성형을 위해서 금형 안으로 수지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수지의 유동을 모니터링하고, 수지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70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RTM 성형을 위해서 금형 안으로 수지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수지의 유동을 모니터링하고, 수지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RTM 성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은, 성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 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통로들이 형성되되, 주입된 수지가 상기 성형 공간을 따라서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진공 통로들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금형, 상기 성형 공간에서 상기 진공 통로들로 각각 연결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 공간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도록 상기 금형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들, 상기 진공 통로들을 지나는 에어를 각각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제어 밸브들, 및 상기 압력 센서들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들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통로들은, 미리 설정된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상기 금형의 외부에 배치되는 진공 챔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통로들은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진공 통로, 및 상기 제1 진공 통로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진공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공 통로 및 제2 진공 통로의 순서대로 상기 수지 주입 통로와 거리가 점차 멀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들은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진공 통로 주변에 설치되는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진공 통로 주변에 설치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들은,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진공 통로를 지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밸브, 및 상기 제2 진공 통로를 지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진공압력이 하강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일정하면, 상기 제1 제어 밸브를 닫고, 상기 제2제어 밸브는 열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진공압력이 하강하면, 상기 제1,2제어 밸브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제1, 2 진공 통로는 상기 수지 주입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형은 서로 합형되어 상기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상형과 하형을 포함하고, 상기 상형 내부에 상기 수지주입통로와 상기 진공 통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형의 내부에는 상기 성형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팅 카트리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은, 성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 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 통로가형성되며, 상기 성형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통로들이 형성되되, 주입된 수지가 상기 성형 공간을 따라서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진공 통로들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금형, 및 상기 성형 공간에서 상기 진공 통로들로 각각 연결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 공간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도록 상기 금형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통로들은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상기 수지주입통로와 순차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들은, 상기 성형 공간에서 상기 진공 통로들로 연결되는 부분의 일측에 상기 금형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형은 서로 합형되어 상기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제1,2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금형 내부에 상기 수지주입통로와 상기 진공 통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금형 내부에는 상기 성형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팅 카트리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통로들을 지나는 에어를 각각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제어 밸브들, 및 상기 압력 센서들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들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형 또는 하형에는 성형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 통로들이 각각 형성하고, 상기 진공 통로들에 대응하여 각각 압력 센서들을 배치하여, 진공 성형 과정에서 각 위치의 압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각 진공 통로들을 각각 개폐하여 수지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고, 진공 성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RTM 성형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에서 수지가 주입된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에서 수지가 주입된 중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에서 수지가 주입된 말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에서 수지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RTM 성형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TM 성형 시스템은 주요 구성요소들로써 실링 부재(120), 진공 챔버(130), 압력계(135), 수지(140), 수지 공급 펌프(145), 수지 공급 밸브(150), 수지 주입 통로(125), 진공 통로(125), 상형(160), 하형(170), 히팅 카트리지(100), 및 성형 공간(115)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 공간(115) 안에는 섬유 강화 부재(110)가 배치된다.
상기 상형(160)과 상기 하형(170) 사이에서 가장자리 측에 상기 실링 부재(120)가 개재되고, 상기 실링 부재(120)에 의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이 형성된다.
상기 하형(170)의 내부에는 히팅 카트리지(100)가 내설되고, 상기 상형(160)의 내부에는 상기 성형 공간(115)의 중심부와 연결되는 수지 주입 통로(125)가 형성된다.
수지저장탱크에 수지(140)가 저장되고, 상기 수지 공급 펌프(145)는 수지(140)를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 측으로 펌핑하고, 상기 수지 공급 펌프(145)와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 사이에는 수지 공급 밸브(150)가 배치된다.
상기 상형(160)의 내부에서 상기 성형 공간(115)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진공 통로(125)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 통로(125)는 상기 진공 챔버(1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 챔버(130)에는 압력을 감지하고 보여주는 압력계(13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RTM 성형 시스템은 하형(170), 실링 부재(120), 상형(160), 진공 챔버(130), 압력계(135), 수지 공급 펌프(145), 수지 공급 밸브(150), 성형 공간(115), 섬유 강화 부재(110), 히팅 카트리지(100), 진공 통로들(220), 압력 센서들(210), 및 제어 밸브들(20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히팅 카트리지(100)는 상기 하형(170)의 내부에 성형면을 따라서 내설되고, 상기 진공 통로들(220)은 상기 성형 공간(115)의 공기를 상기 진공 챔버(130) 측으로 흡입하는데, 상기 진공 통로들(220)은 상기 상형의 내부에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진공 통로들(220)은 제1 진공 통로(220a), 제2 진공 통로(220b), 제3 진공 통로(220c), 제4 진공 통로(220d), 및 제5 진공 통로(220e)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진공 통로(220a)는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 옆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진공 통로(220b)는 상기 제1 진공 통로(220a)보다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와 멀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진공 통로(220c)는 상기 제2 진공 통로(220b)보다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와 멀리 형성되고, 상기 제4 진공 통로(220d)는 상기 제3 진공 통로(220c)보다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와 멀리 형성되고, 상기 제5 진공 통로(220e)는 상기 제4 진공 통로(220d)보다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와 멀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 밸브들(200)은 제1 제어 밸브(200a), 제2 제어 밸브(200b), 제3 제어 밸브(200c), 제4 제어 밸브(200d), 및 제5 제어 밸브(200e)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 밸브(200a)는 상기 제1 진공 통로(220a)를 지나는 진공 에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밸브(200b)는 상기 제2 진공 통로(220b)를 지나는 진공 에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제어 밸브(200c)는 상기 제3 진공 통로(220c)를 지나는 진공 에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4 제어 밸브(200d)는 상기 제4 진공 통로(220d)를 지나는 진공 에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5 제어 밸브(200e)는 상기 제5 진공 통로(220e)를 지나는 진공 에어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들(210)은 제1 압력 센서(210a), 제2 압력 센서(210b), 제3 압력 센서(210c), 제4 압력 센서(210d), 및 제5 압력 센서(210e)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210a)는 상기 제1 진공 통로(220a) 주변 상기 성형 공간(115)의 압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압력 센서(210b)는 상기 제2 진공 통로(220b) 주변 상기 성형 공간(115)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압력 센서(210c)는 상기 제3 진공 통로(220c) 주변 상기 성형 공간(115)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4 압력 센서(210d)는 상기 제4 진공 통로(220d) 주면 상기 성형 공간(115)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5 압력 센서(210e)는 상기 제5 진공 통로(220e) 주면 상기 성형 공간(115)의 압력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수지 공급 밸브(150), 상기 제어 밸브들(200)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압력 센서들(210)로부터 각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주입 통로를 기준으로, 진공 통로들은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양측으로 비대칭 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에서 수지가 주입된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수지 공급 펌프(145)를 가동하고, 상기 수지 공급 밸브(150)를 열어서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으로 수지를 주입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어 밸브들(200)을 모두 개방하여, 상기 성형 공간(115)의 공기를 상기 진공 챔버(130) 측으로 흡입하여, 수지(140)의 흐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압력 센서들(210)로부터 상기 성형 공간(115)에서 대응하는 위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140)가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수지(140)가 상기 제1 진공 통로(220a)를 지나면, 상기 제1 압력 센서(210a)에서 감지되는 진공압력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100pa->-10pa)
따라서, 상기 제어부(250)는 수지가 상기 제1 진공 통로(220a)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115)을 지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제1 제어 밸브(200a)를 닫고, 상기 제2,3,4,5제어 밸브(200b, c, d, e)는 연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2,3,4,5제어 밸브(200b, c, d, e)는 열고, 상기 제1 제어 밸브(200a)는 닫은 상태에서, 상기 수지 공급 밸브(150)를 열어서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을 따라서 수지를 주입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에서 수지가 주입된 중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140)가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수지(140)가 상기 제2 진공 통로(220b)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115)을 지나면, 상기 제2 압력 센서(210b)에서 감지되는 진공압력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100pa->-10pa)
따라서, 상기 제어부(250)는 수지(140)가 상기 제2 진공 통로(220b)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115)을 지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제1,2제어 밸브(200a, b)를 닫고, 상기 제3,4,5제어 밸브(200c, d, e)는 연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3,4,5제어 밸브(200c, d, e)는 열고, 상기 제1,2제어 밸브(200a, b)는 닫은 상태에서, 상기 수지 공급 밸브(150)를 열어서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을 따라서 수지를 주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지가 상기 제3 진공 통로(220c)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115)을 지나면, 상기 제3 압력 센서(210c)에서 감지되는 진공압력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100pa->-10pa)
따라서, 상기 제어부(250)는 수지가 상기 제3 진공 통로(220c)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115)을 지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2,3제어 밸브(200a, b, c)를 닫고, 상기 제4,5제어 밸브(200d, e)는 연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4,5제어 밸브(200d, e)는 열고, 상기 제1,2,3제어 밸브(200a, b, c)는 닫은 상태에서, 상기 수지 공급 밸브(150)를 열어서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을 따라서 수지를 주입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에서 수지가 주입된 말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140)가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수지(140)가 상기 제4 진공 통로(220d)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115)을 지나면, 상기 제4 압력 센서(210d)에서 감지되는 진공압력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100pa->-10pa)
따라서, 상기 제어부(250)는 수지가 상기 제4 진공 통로(220d)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115)을 지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2,3,4제어 밸브(200a, b, c, d)를 닫고, 상기 제5 제어 밸브(200e)는 연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5 제어 밸브(200e)는 열고, 상기 제1,2,3,4제어 밸브(200a, b, c, d)는 닫은 상태에서, 상기 수지 공급 밸브(150)를 열어서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을 따라서 수지를 주입한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M 성형 시스템에서 수지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140)가 상기 수지 주입 통로(125)를 통해서 상기 성형 공간(115)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수지가 상기 제5 진공 통로(220e)에 대응하는 성형 공간(115)을 지나면, 상기 제5 압력 센서(210e)에서 감지되는 진공압력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100pa->-10pa)
따라서, 상기 제어부(250)는 수지가 상기 제5 진공 통로(220e)를 지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제1,2,3,4,5제어 밸브(200a, b, c, d, e)를 닫음으로써, 수지가 상기 성형 공간(115)의 내부를 완전하게 채울 때까지, 상기 수지 공급 밸브(150)를 설정시간 더 열고, 상기 수지 공급 펌프(145)를 설정시간 더 가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형(160) 또는 하형(170)에는 성형 공간(115)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 통로들(220)이 각각 형성하고, 상기 진공 통로들(220)에 대응하여 각각 압력 센서들(210)을 배치하여, 진공 성형 과정에서 각 위치의 압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각 진공 통로들(220)을 각각 개폐하여 수지(140)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고, 진공 성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35: 압력계 130: 진공 챔버
120: 실링 부재 115: 성형 공간
110: 섬유 강화 부재 100: 히팅 카트리지
170: 하형 125: 진공 통로
125: 수지 주입 통로 150: 수지 공급 밸브
145: 수지 공급 펌프 140: 수지
160: 상형 200a: 제1 제어 밸브
200b: 제2 제어 밸브 200c: 제3 제어 밸브
200d: 제4 제어 밸브 200e: 제5 제어 밸브
200: 제어 밸브들 210a: 제1 압력 센서
210b: 제2 압력 센서 210c: 제3 압력 센서
210d: 제4 압력 센서 210e: 제5 압력 센서
210: 압력 센서들 220a: 제1 진공 통로
220b: 제2 진공 통로 220c: 제3 진공 통로
220d: 제4 진공 통로 220e: 제5 진공 통로
220: 진공 통로들 250: 제어부

Claims (13)

  1. 성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 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통로들을 형성하되, 주입된 수지가 상기 성형 공간을 따라서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진공 통로들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금형; 상기 성형 공간에서 상기 각 진공 통로들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 공간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도록 상기 금형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들; 상기 각 진공 통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들; 및 상기 압력 센서들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밸브들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RTM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서로 합형되어 상기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형의 내부에 상기 수지 주입 통로와 상기 진공 통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형의 내부에 상기 성형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팅 카트리지가 설치되며,
    상기 진공 통로들은 상기 성형 공간에 미리 설정된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상기 금형의 외부에 배치되는 진공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금형의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수지 주입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각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진공압력이 설정값 이하이면, 이에 대응하는 각 제어 밸브를 닫도록 제어하는 제어로직을 포함하는 RTM 성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92053A 2017-07-20 2017-07-20 Rtm 성형 시스템 Active KR10230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53A KR102304617B1 (ko) 2017-07-20 2017-07-20 Rtm 성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53A KR102304617B1 (ko) 2017-07-20 2017-07-20 Rtm 성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87A KR20190009987A (ko) 2019-01-30
KR102304617B1 true KR102304617B1 (ko) 2021-09-24

Family

ID=6527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053A Active KR102304617B1 (ko) 2017-07-20 2017-07-20 Rtm 성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5498B1 (ko) * 2020-06-23 2025-02-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회로 기판 어셈블리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회로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
KR102321910B1 (ko) * 2020-07-27 2021-11-04 고모텍 주식회사 진공 성형장치
KR102583397B1 (ko) 2021-07-05 2023-09-27 주식회사 액손시스 데이터 및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한 차량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2766067B1 (ko) * 2022-11-30 2025-02-12 주식회사 동서기공 차량 프런트에이프런 기가캐스팅장치 및 기가캐스팅 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프런트에이프런
CN118163387B (zh) * 2024-03-28 2024-10-25 大丰锦辉风电设备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舱罩玻纤浸润均压真空抽吸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240A (ja) * 1999-07-12 2001-01-23 Toshiba Corp 樹脂注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038A (ko) 2011-11-23 2013-05-3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Vartm 공정을 이용한 복합재료의 성형방법
KR20130105013A (ko) * 2012-03-16 2013-09-25 (주)선진오토텍 상하 금형을 이용한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수지 이송 성형방법
KR101618362B1 (ko) * 2014-08-25 2016-05-0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출압축성형이 적용된 필름인서트성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240A (ja) * 1999-07-12 2001-01-23 Toshiba Corp 樹脂注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87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617B1 (ko) Rtm 성형 시스템
US11255483B2 (en) High pressure t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pressure tank
EP328058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plastic products
JP7287324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913177B1 (en) Method for molding fiber-reinforced plastic
US20150290842A1 (en) Mold, control means, method and installation for producing a preferably fiber-reinforced plastic component
EP26089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ber compound sandwich component
JP6750735B2 (ja) 複合材料の成形方法および複合材料の成形装置
KR102403410B1 (ko)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11130295B2 (en) Resin transfer molding systems and control logic for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composite parts
JP7287323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2000790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Fiber-Reinforced Plastic Component
KR102220747B1 (ko) 복합소재의 성형장치
US201500148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ulded part from a composite material
US10647068B2 (en) Composite-material molding method and molding device
KR102316839B1 (ko) Rtm 성형장치
JP4487239B2 (ja) Frp構造体の製造方法
JP6402776B2 (ja) 複合材料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7230833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Smith The Current Status of Resin Infusion as an Enabling Technology for Toughened Aerospace Structures.
JP2004284120A (ja) 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6135573A (ja) 複合材料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2016083780A (ja) 複合材料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