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2696B1 -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696B1
KR102302696B1 KR1020200113953A KR20200113953A KR102302696B1 KR 102302696 B1 KR102302696 B1 KR 102302696B1 KR 1020200113953 A KR1020200113953 A KR 1020200113953A KR 20200113953 A KR20200113953 A KR 20200113953A KR 102302696 B1 KR102302696 B1 KR 102302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release device
door frame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남
Original Assignee
안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남 filed Critical 안경남
Priority to KR102020011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6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개폐되는 카의 카도어와, 승강장의 승장도어에 구비되어 카의 도착시에 도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의 측면에 장착되는 승장도어 프레임; 승장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며 승장도어 프레임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피셔플레이트; 카의 측면에 부착되는 카도어 프레임과, 상기 카도어 프레임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셔플레이트에 접촉되면 카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Interlock release device for lift door elevator}
본 발명은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정상적인 위치에 카가 정지했을때 승객이 탈출할 수 있도록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승장측과 카측으로 구분되며, 사람전용에 적용되는 중앙열림도어나 일방 열림도어의 경우 카측의 도어장치에 부착된 클러치로 해당 층의 승장도어장치의 개폐를 연계하여 구동하게 되나, 화물용 등에 적용되는 승강 도어의 경우, 구조상의 어려움(엘리베이터의 운동 방향과 도어의 운동 방향이 일치(상하)함으로써, 클러치 등의 구조 실현에 난점이 있었음) 때문에 승장측에 별도의 구동장치(모터, 감속장치, 그외 관련 스위치)를 구비하여 해당 층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장치를 카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장치를 승장쪽에서 본 정면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도어장치(10) 및 카도어장치(20)의 구동장치는 도어(12)(22)의 중량에 해당하는 무게를 로우프나 체인(14)(24)을 통하여 반대측에 동일한 무게를 갖는 균형추(16)(26)를 통하여 보상함으로써, 장치의 마찰과 도어(12)(22)의 관성만을 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승장도어장치(10) 및 카도어장치(20)에는 인터록 스위치가 구비되어 카가 정해진 층에 위치되고 카 도어장치(20)가 개방되면서 도어가 상승하여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 인터록 스위치(Door Interlock Switch)는 모든 승강장도어가 닫혀있지 않을 때는 카가 승강할 수 없고, 그 층에 정지하고 있지 않을 때는 문을 열수가 없도록 하기 위해 승강장 도어의 행거 케이스 내에 스위치와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인터록 스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상 비상정지장치와 더불어 중요한 장치이다.
또한 비상해제장치부착 인터록 스위치는 특별한 키로 해제하여 승강장 측에서 문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카도어를 손으로 열 때 이 인터록 스위치에 손이 닿을 경우는 손으로 인터록을 벗겨 승강장도어를 열수가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승강장 문의 인터록(Interlock) 장치는 카가 정지하지 않는 층의 도어는 비상키를 사용하지 않으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 로크(Door Lock)와 문이 닫혀있지 않으면 안전회로를 차단시켜 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Door Switch) 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주로 화물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상승식 도어는 비정상적인 위치에 카가 정차했을때 도어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면 승객이 탈출하기 어렵고 도어의 하중으로 인해 쉽게 탈출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0617호에는 "상승 도어 전자식 인터록 스위치가" 출원된 바 있었다.
선행특허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장방형의 케이스 내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후크가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회전시켜 후크를 출몰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걸림부와; 선단에 상기 후크에 인접되는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힌지결합된 굴절브라켓과, 상기 굴절브라켓의 회전시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회전부와; 상기 굴절브라켓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며 일면에 제 1접점이 형성된 신호입력부와, 상기 굴절브라켓과 동반 회전되며 상기 제 1접점에 대응되는 제 2접점이 형성된 장착대로 구성된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승장도어의 상승을 감지하여 해제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므로 카 도어의 개폐를 외부에서 구조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이 미비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가 잠금해제구간에 도달하면 카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위치, 예를들어 층간 사이에 카가 정지했을때 도어를 수동 개방시켜 승객이 탈출할 수 있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로 개폐되는 카의 카도어와, 승강장의 승장도어에 구비되어 카의 도착시에 도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의 측면에 장착되는 승장도어 프레임; 승장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며 승장도어 프레임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피셔플레이트; 카의 측면에 부착되는 카도어 프레임과, 상기 카도어 프레임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셔플레이트에 접촉되면 카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케이스의 측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장공을 통해 출몰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된 롤러; 상기 아암에 미는 힘을 발휘하여 후크가 장공을 통해 상시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셔플레이트는 길이 40~50cm의 평판이며, 양단부에 경사진 절곡부가 형성된 것이고,상기 절곡부는 승장도어 프레임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롤러가 외부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 도어의 측면에 장착되며, 출몰작동되는 핀을 구비한 수동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잠금부는 상기 핀의 외부에 결합된 스프링과, 상기 핀의 끝단에 형성되며 후크에 접촉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잠금부의 핀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는 수동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작동수단은 상기 수동잠금부의 핀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휠과, 와이어의 타단에 형성된 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가 잠금해제구간에 도달하면 카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위치, 예를들어 층간 사이에 카가 정지했을때 도어를 수동 개방시켜 승객이 탈출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장치를 카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장치를 승장쪽에서 본 정면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의 카 진입 후 카도어 해제작동까지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의 '수동잠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의 '수동작동수단'과 '수동잠금부'가 조립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의 '수동작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수동잠금부'의 잠김 또는 해제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하로 개폐되는 카의 카도어(도시 생략)와, 승강장의 승장도어(도시 생략)에 구비되어 카의 도착시에 도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는,
상기 승강장의 측면에 장착되는 승장도어 프레임(100);
상기 승장도어 프레임(100)에 장착되는 브라켓(120)과, 상기 브라켓(120)에 부착되며 승장도어 프레임(100)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피셔플레이트(140);
상기 카의 측면에 부착되는 카도어 프레임(200)과, 상기 카도어 프레임(200)에 부착되는 케이스(320)와, 상기 케이스(3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셔플레이트(140)에 접촉되면 카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부(300);
를 포함한다.
상기 승장도어 프레임(100)과 카도어 프레임(200)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카도어 프레임(200)은 카의 외측에 장착되며, 'C'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승장도어 프레임(100)도 마찬가지로 'C'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부(30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뚜껑(322)이 결합된 케이스(320)를 포함한다.
케이스(320)의 측면에 장공(324)이 형성된다. 장공(324)을 통해 후술될 후크(341)가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케이스(320)의 내부에 힌지축(301)으로 힌지결합되며, 장공(324)을 통해 출몰되는 후크(341)가 형성되는 아암(34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320)의 뚜껑(322)을 관통하여 축(352)이 결합되어 축(352)의 하부가 아암(340)의 일부위에 결합되고, 축(352)의 상부에는 롤러(350)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350)는 케이스(320)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렇게 롤러(350)의 채일부분이 케이스(320)의 외면보다 돌출됨으로써 피셔플레이트(140)와 접촉될수있고, 롤러(350)가 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340)이 회전하게되어 후크(341)가 장공(324)을 통해 케이스(32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는 잠금 해제상태인것이다.
상기 회전된 아암(340)을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부(360);가 포함된다.
상기 탄성부(360)는 상기 아암(340)에 미는 힘을 발휘함으로써 후크(341)가 장공(324)을 통해 상시 케이스(3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후크(341)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됨으로써 카도어의 잠금 상태가 될 수있다.
피셔플레이트(140)는 롤러(350)와 접촉됨으로써 록킹부(300)의 잠김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언록킹 키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피셔플레이트(140)는 길이 40~50cm의 평판이며, 양단부에 경사진 절곡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42)는 승장도어 프레임(100)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롤러(350)가 외부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미도시)가 정차된 위치가 비정상적인 경우, 예를 들어 층과 층 사이에 카도어 프레임(200)이 놓일경우, 층바닥으로부터 상하 20cm까지는 잠금해제구간이므로 이 구간에 카 및 카도어 프레임(200)이 진입하게 되면 록킹부(300)의 해제상태가 시작된다(도 5의 (a), (b)참조).
즉, 록킹부(300)의 롤러(350)가 피셔플레이트(140)에 접촉하면 아암(340)이 회전되고, 후크(341)가 장공(324) 내에 인입되므로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다(도 5의 (c)참조).
한편 카 및 카도어 프레임(200)dl 이동되면 롤러(350)와 피셔플레이트(140)가 이격되므로 탄성부(360)의 작용에 의해 아암(340)이 복귀되고, 롤러(350)도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 도어의 측면에 장착되며, 출몰작동되는 핀(420)을 구비한 수동잠금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수동잠금부(400)는 핀(420)의 외부에 결합된 스프링(440)과, 상기 핀(420)의 끝단에 형성되며 후크(341)에 접촉되는 걸림편(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동잠금부(400)의 핀(420)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는 수동작동수단(6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수동작동수단(600)은 상기 수동잠금부(400)의 핀(420)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620)와, 상기 와이어(620)가 권취된 휠(640)과, 와이어(620)의 타단에 형성된 핸들(660)로 구성된다.
핸들(660)을 당기면 휠(640)이 회전됨과 동시에 와이어(620)가 당기지게 되고, 와이어(620)에 연결된 핀(420)이 당겨져서 일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동반하여 걸림편(450)이 해제상태가 될수있다.
해제상태는 걸림편(450)이 록킹부(300)의 후크(341)와 이격되는 상태이므로 도어의 수동 개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20 : 브라켓
140 : 피셔플레이트 200 : 카도어 프레임
320 : 케이스 300 : 록킹부
322 ; 뚜껑 352 : 축
350 : 롤러 341 : 후크
324 : 장공 340 : 아암
360 : 탄성부 350 : 롤러
400 : 수동잠금부 420 : 핀
440 : 스프링 450 : 걸림편
600 : 수동작동수단 620 : 와이어
640 : 휠 660 : 핸들

Claims (5)

  1. 상하로 개폐되는 카의 카도어와, 승강장의 승장도어에 구비되어 카의 도착시에 도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측면에 장착되는 승장도어 프레임;
    상기 승장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며 승장도어 프레임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피셔플레이트;
    상기 카의 측면에 부착되는 카도어 프레임과, 상기 카도어 프레임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셔플레이트에 접촉되면 카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부;
    를 포함하되,
    상기 카 도어의 측면에 장착되며, 출몰작동되는 핀을 구비한 수동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잠금부는
    상기 핀의 외부에 결합된 스프링과, 상기 핀의 끝단에 형성되며 후크에 접촉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케이스의 측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장공을 통해 출몰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된 롤러;
    상기 아암에 미는 힘을 발휘하여 후크가 장공을 통해 상시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셔플레이트는 길이 40~50cm의 평판이며, 양단부에 경사진 절곡부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절곡부는 승장도어 프레임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롤러가 외부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잠금부의 핀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는 수동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작동수단은
    상기 수동잠금부의 핀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휠과, 와이어의 타단에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KR1020200113953A 2020-09-07 2020-09-07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Active KR10230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953A KR102302696B1 (ko) 2020-09-07 2020-09-07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953A KR102302696B1 (ko) 2020-09-07 2020-09-07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696B1 true KR102302696B1 (ko) 2021-09-14

Family

ID=7777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953A Active KR102302696B1 (ko) 2020-09-07 2020-09-07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6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859B1 (ko) * 2007-02-13 2007-10-02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장치
WO2017175329A1 (ja) * 2016-04-06 2017-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929263B1 (ko) * 2017-06-07 2018-12-14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비상 개방장치
EP3564175A1 (en) * 2018-05-01 2019-11-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859B1 (ko) * 2007-02-13 2007-10-02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장치
WO2017175329A1 (ja) * 2016-04-06 2017-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929263B1 (ko) * 2017-06-07 2018-12-14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비상 개방장치
EP3564175A1 (en) * 2018-05-01 2019-11-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790B1 (ko) 카 도어 록
KR100303010B1 (ko) 엘리베이터클러치장치
KR100190433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 장치
KR101274421B1 (ko)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로크장치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102094885B1 (ko) 방폭형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장치
CA2176911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rift of an elevator car stopped at a floor
KR200482807Y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CN108883907A (zh) 电梯装置
CN109071179B (zh) 电梯装置
KR102302696B1 (ko)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JP424537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212315272U (zh) 一种集成轿门锁门刀
JPH081222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340316B1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CN111573486B (zh) 一种集成轿门锁门刀
KR101694815B1 (ko)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
JP7455225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3091370B2 (ja) ダムウェーター装置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H06263370A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外部開放装置
JP5033708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60987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放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