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576B1 - A display control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display control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2576B1 KR102302576B1 KR1020170076378A KR20170076378A KR102302576B1 KR 102302576 B1 KR102302576 B1 KR 102302576B1 KR 1020170076378 A KR1020170076378 A KR 1020170076378A KR 20170076378 A KR20170076378 A KR 20170076378A KR 102302576 B1 KR102302576 B1 KR 1023025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direction
- pair
- display
- pcb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결합부의 양 측단을 형성시키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서 상기 외부 결합부의 반대측에 결합되고,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X축 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에 각각의 측단이 접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의 +Y축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한다.A display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xternal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surface; and at least one PCB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rnal coupling part in the support member and configured to control a pair of display module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having an external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pair of guide surfaces forming both ends of the external coupling part in the X-axis direction; a pair of film-type display modul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X-axis direction,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side ends in contact with the pair of guide surfaces; and at least one PCB coupled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pair of display modul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 display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일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있다. 또한, 화상을 구현하는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알려져 있다. 투명하고 플렉서블(flexible)한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display modules that implement images. For example, various display modul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There is this. Also, a film-type display module for realizing an image is known. A transparent and flexible film-type display module can be implemented.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조되는 모델과, 공장에서 모듈 단위로 제조되고 현장에서 최종 조립 시공되는 모델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장 시공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이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유리 창 등의 표면에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부착시켜 설치하는 현장 시공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divided into a model manufactured as a finished product in a factory, and a model manufactured in a module unit in a factory and finally assembled in a field. The display device for on-site construction may be manufactured by separating a display module and a display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 display device for field construction in which a film-type display module and a display control module are attached to a surface such as a glass window and installed is known.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on-site installation of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현장 설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열 맞춤이 편리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rmal alignment of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in the field installation of a film-type display module attached to an external surface.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현장 설치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전체가 출력하는 화상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integrity of images output by all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whe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e installed in the field.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상 출력시, 외관상 불필요한 부분이 부각되거나 화상의 인지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a phenomenon in which an unnecessary part in appearance is highlighted or a phenomenon in which the recognition of an image is reduced when an image is output by a film-type display module attached to an external surface.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현장 설치에 있어서, 현장 설치 후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의 표면에 더욱 강력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display module to be more strongly attached to the external surface after field installation in the field installation of the film-type display module to be attached to the external surface.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 후, 디스플레이 모듈과 PCB의 연결 부분이나 PCB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display module and a PCB or a PCB to be safely protected after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site.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XYZ 직교 좌표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Y축 방향으로 상기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에 +Y축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PCB의 X축 방향 양측에서 각각 연결되게 구비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provided to be coupled to an external surface in a -Y-axis direction on XYZ orthogonal coordinates; a pair of display modul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X-axis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external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t least one PCB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in the +Y-axis direction and controlling the pair of display modules. The pair of display modules are provided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CB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지지 부재는,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 및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으로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external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pair of guide surfaces forming both side ends of the external coupling part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에 각각의 측단이 접촉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pair of display modules may be provided with respective side ends in contact with the pair of guide surfaces.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air of guide surface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 사이의 X축 방향 길이는 상기 소정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display modul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A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guide surfaces may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 및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와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제 1길이, 상기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와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제 2길이, 및 상기 X축 방향 길이를 합한 값이 상기 소정 간격이 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pair of display modules may include a first display module disposed in a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display module disposed in a +X-axis direction. A first length between the closest L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ide end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module, and a second length between the closest L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ide end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second display module The length and the sum of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provided to be the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외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가이드 부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되는 베이스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틈을 채우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guide part having the external coupling part and the pair of guide surfaces, and a base part connected to a +Y-axis direction side of the guide part and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CB. In order to fill a gap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display module, a sealing material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in the -Y axis dir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베이스 부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재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part may include a cover part disposed in the -Y-axis direction. A width of the cover portion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guide portion in the X-axis direction. The sealing materia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part and the display modu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가이드 면에 접촉하는 상기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연결 대응부가 통과하는 연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CB may include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display modules. Each of the pair of display modules may include a connection counterpart disposed at the side end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counterpart passes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 부재는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가 삽입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상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case guides each protruding in the +Y-axis direction from both sides in the X-axis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ase including a pair of side portion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pair of case guides,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extending while connecting the pair of side portions.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XYZ 직교 좌표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외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가진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Y축 방향에 결합하고,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각각 연결되게 기설정된 한 쌍의 연결 단자가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isplay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XYZ Cartesian coordinates, a pair of external coupling parts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surface in the -Y axis direction, and the X axis of the external coupling part a support member having a pair of guide surfaces defining opposite side ends in the direction; and at least one PCB coupled to the +Y-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provided with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preset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air of display modules on both sides of the X-axis direction.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은 서로 평행하게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air of guide surfaces may extend in a Z-axis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지지 부재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하는 PCB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PCB coupling part protruding in a +Y-axis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CB.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X축 방향의 두께가 Y축 방향의 폭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CB may be disposed such that a thickness in the X-axis direction is smaller than a width in the Y-axis direc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하나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단자는 상기 보드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CB may include one board. The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ard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외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가이드 부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되는 베이스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guide part having the external coupling part and the pair of guide surfaces, and a base part connected to a +Y-axis direction side of the guide part and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CB. The base part may include a cover part disposed in the -Y-axis direction. A width of the cover portion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guide portion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가이드 부를 중심으로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connection holes passing through the cover part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X-axis direction based on the guide part.
상기 베이스 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면과 이격된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art may include a supporter that protrudes from the cover part in a -Y-axis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surface.
상기 커버부의 -Y축 "??? 측면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의 +Y축 방향 말단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Y-axis "??? side of the cover part may extend obliquely betwee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Y-axis direction ends of the pair of guide surfaces.
상기 가이드 부와 상기 베이스 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The guide part and the base part may be provided as separate parts and fasten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의 표면에 현장 설치하는 과정에서 편의성이 향상되고, 시공 오차를 현저히 줄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on-site on an external surface, and remarkably reducing construction errors.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가이드 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외부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어,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에 대한 기설정된 상대적 위치가 정확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배치를 위한 가이드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The pair of display modules can be attached to an external surface while in contact with the guide part, so that a preset relative position of the pair of display modules with respect to the display control module is accurate. Through this, the display control module can serve as a guide for disposition of the pair of display modules.
서로 평행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현장 설치할 때,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마주보는 두 측단을 평행하게 배치하기 용이해진다. 이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현장에서 열을 맞추어 설치하기 편리해진다.Through the pair of guide surfaces parallel to each other,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the field, it is easy to arrange the opposite side ends of the pair of display modules in parallel. Through this, it is convenient to install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y matching the rows in the field.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 사이의 X축 방향 길이(D3)를 상기 복수의 LED의 X축 방향 소정 간격(Dx)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제 1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으로 최근접 LED와 상기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으로 최근접 LED 사이의 X축 방향 거리가 지나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 1 및 2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화상이 사용자에게 서로 분리되어 인식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By making the length D3 in the X-axis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상기 제 1길이(D1), 상기 제 2길이(D2) 및 상기 X축 방향 길이(D3)를 합한 값(Do)이 상기 소정 간격(Dx)이 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2 디스플레이 모듈 전체에서 출력하는 화상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providing a value Do that is the sum of the first length D1, the second length D2, and the X-axis direction length D3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Dx, the entire first and second display modu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nse of unity of the image output from
상기 가이드 부와 상기 베이스 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서로 체결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시,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부,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베이스 부를 설치할 수 있어, 사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베이스부의 간섭없이 상기 가이드 부에 접촉시키기 편리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가이드 부에 접촉된 측단을 상기 베이스 부로 덮어주기 편리해진다.The guide part and the base part are provided as separate parts and are provid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site, the guide part, the pair of display modules, and the base part can be sequentially installed. It is convenient to bring the module into contact with the guide part without interference of the base part, and it is convenient to cover the side end of the display module in contact with the guide part with the base part.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의 X축 방향의 두께가 Y축 방향의 폭보다 작도록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을 볼 때 PCB(330)가 눈에 잘 띄지 않게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의 X축 방향 폭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The thickness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PCB is arrang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in the Y-axis direction, so that the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Y축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계 영역이 덜 두드러지게 하면서도, 상기 PCB가 배치되는 상기 지지 부재의 +Y축 방향 측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The X-axis direction width of the cover part is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e X-axis direction width of the guide part, so that when the user looks at the display module in the -Y-axis direction, the boundary area of the display module is less conspicuous, while the PCB An area of the side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disposed support member may be sufficiently secured.
상기 연결 홀을 통해, 상기 연결 대응부를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시키는 시공 과정에서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시공 후 화상 출력시 시각적으로 불필요한 상기 연결 대응부를 감출 수 있다.Through the connection hole, convenience is improv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ion counterpar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visually unnecessary connection counterpart can be hidden when an image is output after on-site construc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한 쌍의 연결 단자가 상기 PCB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PCB를 연결하는 시공 과정이 편리해지고, 상기 연결 대응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구조가 간편해진다.Since the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CB in the X-axis direction, the construction process for connecting the pair of display modules and the PCB is convenient,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counterpart can be reduced, and the display device assembly structure is simplified.
상기 한 쌍의 연결 단자가 상기 하나의 보드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보드만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시키면 되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된다.Since the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ne board in the X-axis direction, only the one board needs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n-site construc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케이스를 통해, 상기 PCB 및 상기 연결 대응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rough the case, it is possible to stably protect the PCB and the connection counterpart.
상기 서포터 및/또는 상기 실링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외부의 표면 방향(-Y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 대응부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Through the supporter and/or the sealing material, after the on-site install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module can be pressed in the external surface direction (-Y-axis direction) to more stably fix the position of the display module, Connection counterparts can be more safely protected.
상기 경사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을 상기 가이드 면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을 외부의 표면과 상기 경사부 사이의 틈으로 삽입시키는 공정이 편리해 진다.Through the inclined portio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ide end of the display module into the gap between the external surface and the inclined portion in order to bring the side end of the display module into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during field installation of the display device becomes convenien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장에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도시하고, 도 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현장에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하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과 이에 연결된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 및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모듈(5)을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 및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을 라인 S2-S2'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에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되고, 도 5b에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되며, 도 5c에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되고, 도 5d에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되며, 도 5e에는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된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의 가이드 부(310), 베이스 부(320) 및 케이스(3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b)의 가이드 부(310), 베이스 부(320) 및 케이스(360)의 분해 사시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5A to 5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6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based on a spati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with X-axis, Y-axis, and Z-axis orthogonal to each other shown in the drawings.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Adding a '+' sign in front of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a positive direction that is one of the two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Adding a '-' sign in front of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the other negative direction among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본 설명에서는, X, Y 및 Z축 방향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X축 방향은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이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가 외부의 표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하여, XYZ 직교 좌표계를 정의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외부의 표면이 평면이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X, Y 및 Z축 방향이 동일하나, 다른 예로서 외부의 표면이 곡면인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X, Y 및 Z축 방향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In this descriptio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are defined with reference to one
외부의 표면 상의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X축 방향이 되게 디스플레이 장치(1)가 상기 외부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X축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고 Z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며 Y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X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고 Z축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며 Y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X축 방향이 반드시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하/좌/우/전/후' 방향의 개념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공장에서 부품 생산 후 현장에서 조립 및 시공되는 방식으로 응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The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되는 외부의 표면은 건물의 유리창이나 벽체, 자동차 등 교통수단의 유리 창, 또는 기타 물건의 외표면 등이 될 수 있다. The external surface on which th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되는 외부의 표면은 평면인 경우 뿐만 아니라 곡면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의 표면이 어느 한 방향으로 곡률을 가진 경우에,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곡률이 형성된 방향으로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external surface on which the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The use 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ttached to the elements mentioned below is only to avoid confusion of the referred elements, and is irrelevant to the order, importance, or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 For example, an invention including only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the first component can also be implemented.
도 1a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모듈(5)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외부의 표면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화상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외부의 표면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외부의 표면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 부재(30)와, 상기 지지 부재(3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3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상기 PCB(330)를 수용하는 케이스(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A to 4 , a
디스플레이 모듈(5)은 -Y축 방향(전방 방향)으로 화상을 출력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모듈(5)은 엘이디(LED)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5)은 액정 표시(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모듈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5)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FED: Field Emission Display) 모듈, 유기 발광 소자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5)은 엘이디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으로 보고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X축 방향으로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필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필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의 화상은 전방(-Y축 방향)뿐만 아니라 후방(+Y축 방향)으로도 출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이 투명하게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LED(53)의 빛이 양 방향(전방 및 후방)으로 조사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의 다른 물체(예를 들어, 윈도우 등)의 표면(이하, '외부의 표면'이라 지칭함)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의 표면은 유리판(GL)의 표면으로 보고 설명하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는 표면을 가진 물체는 유리판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부착용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부착용 표면은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측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상기 부착용 표면에 보호용 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공장에서 제작될 수 있다. 현장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치할 때, 상기 보호용 필름을 상기 부착용 표면으로부터 떼어내고 상기 부착용 표면을 상기 외부의 표면에 접촉시켜, 디스플레이 모듈(5)과 상기 외부의 표면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attachment surface is provided on the -Y-axis direction side of the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지지 부재(30)의 X축 방향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각각 PCB(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X축 방향 양 측에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이 배치되어 PCB(330)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만, 현장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시공시 지지 부재(30)의 X축 방향 양 측 중 어느 한 방향(+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에만 디스플레이 모듈(5)을 배치 및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b의 최하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X축 방향 양 측 중 +X축 방향에만 디스플레이 모듈(5)이 설치된 예시가 도시된다.A pair of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후술할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을 포함한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에 각각의 측단이 접촉하게 구비된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과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을 포함한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을 기준으로,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 -X축 방향에 배치되고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은 +X축 방향에 배치된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과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은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과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은 서로 동일하게 양산된 부품일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5)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X축 방향으로 한 쌍의 측단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Z축 방향으로 한 쌍의 측단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의 상기 X축 방향의 한 쌍의 측단 및 상기 Z축 방향의 한 쌍의 측단은 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Y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후술할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는 측단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의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는 측단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은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게 구비된다.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은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게 구비된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복수의 LED(5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53)는 적어도 -Y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복수의 LED(53)는 필름(51) 상에 배치된다.The
복수의 LED(53)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Dx)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LED(53)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배열 간격(Dz)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LED(53)는 필름(51) 상에 격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디스플레이 모듈(5)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LED(53)로 이루어진 LED 배열군(53G)을 포함할 수 있다. LED 배열군(53G)의 복수의 LED(53)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Dx)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LED 배열군(53G)은 16개의 LED(53)로 구성된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Z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LED 배열군(53G)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 배열군(53G)은 Z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배열 간격(Dz) 이격되어 배치된다. LED 배열군(53G)은 n개의 LED(53)로 구성되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5)의 복수의 LED(53)는 상기 n개의 LED 배열군(53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간격(Dx) 및 상기 소정 배열 간격(Dz)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임.)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5)의 복수의 LED(53)는 16개의 LED 배열군(53G)으로 구성된다.The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LED(53) 중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는 LED를 최근접 LED(53a)로 정의할 수 있다. LED 배열군(53G)은 상기 최근접 LED(53a)를 포함한다. 복수의 LED 배열군(53G) 각각은 상기 최근접 LED(53a)를 포함한다. 최근접 LED(53a)는, LED 배열군(53G)의 복수의 LED(53) 중 연결 대응부(57)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최근접 LED(53a)는 디스플레이 모듈(5)에서 연결 대응부(57)가 구비된 방향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최근접 LED(53a)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부분에 배치되고,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최근접 LED(53a)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부분에 배치된다.Among the plurality of
도 4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제 1길이(D1)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53a)와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길이이다. 제 2길이(D2)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53a)와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길이이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복수의 LED 배열군(53G)의 각각의 최근접 LED(53a)는, 제 1길이(D1)를 형성하며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으로부터 이격된다.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복수의 LED 배열군(53G)의 각각의 최근접 LED(53a)는, 제 2길이(D2)를 형성하며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으로부터 이격된다.4 to 5e, the first length D1 is the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X축 방향 길이(D3)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 사이의 길이이다. X축 방향 길이(D3)는 상기 소정 간격(Dx)보다 작다. 이를 통해,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최근접 LED(53a)와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최근접 LED(53a) 사이의 X축 방향 거리가 지나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및 2 디스플레이 모듈(5a, 5b)에서 출력되는 화상이 사용자에게 서로 분리되어 인식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5A to 5E , the X-axis direction length D3 is a length between a pair of
상기 제 1길이(D1), 제 2길이(D2) 및 X축 방향 길이(D3)를 합한 값(Do)이 상기 소정 간격(Dx)이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길이(D1), 제 2길이(D2) 및 X축 방향 길이(D3)를 합한 값이 상기 소정 간격(Dx)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최근접 LED(53a)와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최근접 LED(53a) 사이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화상의 이질감을 줄일 수 있고, 제 1 및 2 디스플레이 모듈(5) 전체에서 출력하는 화상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um of the first length D1, the second length D2, and the length D3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provided to be the predetermined distance Dx. A sum of the first length D1 , the second length D2 , and the X-axis direction length D3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Dx.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nse of heterogeneity of images occurring at the boundary between 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복수의 LED(53)가 배치되는 필름(51)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51)은 Y축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한다. 필름(51)은 얇은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51)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름(51)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필름(51)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름(51)의 복수의 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필름(51)은,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층(51a)과,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층(51b)을 포함한다. 제 1층(51a)과 제 2층(51b)은 서로 결합된다. 제 1층(51a)과 제 2층(51b)의 사이에 배선(55)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층(51a)에 복수의 LED(53)가 고정될 수 있다. 제 2층(51b)은 복수의 LED(53)를 수용할 수 있다. The
제 1층(51a)의 -Y축 방향 측면에 제 2층(51b)이 결합된다. 제 1층(51a)의 -Y축 방향 측면에 복수의 LED(53)가 결합된다. 제 2층(51b)의 -Y축 방향 측면에 상기 부착용 표면이 구비된다. 제 1층(51a)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층(51b)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복수의 LED(53)에 전기를 안내해주는 배선(55)을 포함한다. 배선(55)은 연결 대응부(57)와 LED(5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배선(55)은 하나의 LED 배열군(53G) 내의 각각의 LED(53)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도선과, 하나의 LED 배열군(53G) 내의 각각의 LED(53)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음극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LED 배열군(53G)이 16개의 LED(53)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LED 배열군(53G) 마다 1개의 양극 도선(+극선)과 16개의 음극 도선(-극선)이 구비된다. 하나의 LED 배열군(53G)에 전기를 연결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도선 및 적어도 하나의 음극 도선을 '도선군'으로 지칭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후술할 PCB(330)의 연결 단자(331)와 연결되는 연결 대응부(57)를 포함한다. 연결 대응부(57)는 가이드 면(310a, 310b)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상기 측단에 배치된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에 연결 대응부(57)가 배치된다.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에 연결 대응부(57)가 배치된다.The
연결 대응부(57)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연장된다. 연결 대응부(57)는 플렉서블하게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현장 설치될 때, 연결 대응부(57)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에서 +Y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PCB(330)와 연결된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은 복수의 연결 대응부(57)를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 대응부(57)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대응부(57)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을 따라 배열된다.The
하나의 연결 대응부(57)는 적어도 하나의 도선군의 단자를 형성한다. 연결 대응부(57)가 PCB(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연결 대응부(57)에 단자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선군은 PCB(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연결 대응부(57)는 2개의 도선군의 단자를 형성한다. 즉, 하나의 연결 대응부(57)를 통해 2개의 배열군(53G)에 화상 신호가 인가된다.One
도 1a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사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상기 외부의 표면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1A to 4 , the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상기 외부의 표면에 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 부재(3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0)의 -Y축 방향 측면은 상기 외부의 표면에 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지지 부재(30)의 Z축 방향 길이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Z축 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지지 부재(30)는 적어도 하나의 PCB(330)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3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3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지지 부재(3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배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31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0)는 적어도 하나의 PCB(330)가 고정되는 베이스 부(320)를 포함한다.The
가이드 부(31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배치를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가이드 부(310)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X축 방향 일 측단이 접촉하는 기준 선을 제공한다. 가이드 부(310)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이 접촉하는 기준 선을 제공한다. 가이드 부(310)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이 접촉하는 기준 선을 제공한다. The
현장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 설치시, 상기 외부의 표면에 먼저 가이드 부(310)가 부착된 후,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이 가이드 부(310)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외부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에 대한 기설정된 상대적 위치가 정확해지게 된다.When the
가이드 부(31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폭은 Z축 방향 길이에 비해 작다. 가이드 부(310)는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310)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Z축 방향 길이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Z축 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의 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양 측면 중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과 연결되는 부분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A side surface of the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가이드 부(310)는 외부의 표면에 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부착 부재(3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착 부재(312)는 양면 접착 시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부착 부재(312)의 -Y축 방향 측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부착 부재(312)는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다. 부착 부재(312)는 가이드 바디(311)의 -Y축 방향 측면에 결합된다. 부착 부재(312)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5A to 5E , the
가이드 부(310)는 부착 부재(312)와 결합된 가이드 바디(311)를 포함한다. 가이드 바디(311)는 부착 부재(312)의 +Y축 방향 측면에 결합된다. 가이드 바디(31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이다. 가이드 바디(311)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11)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11)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11)는 베이스 부(320)와 결합된다. 가이드 바디(311)의 +Y축 방향 측면에 베이스 부(320)가 결합된다.The
가이드 부(310)는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310c)를 포함한다. 외부 결합부(310c)는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다. 외부 결합부(310c)는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에 배치된다. 외부 결합부(310c)는 부착 부재(312)의 -Y축 방향에 배치된다. 외부 결합부(310c)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가이드 부(310)는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양 측면에 배치된다. The
가이드 면(310a, 310b)은 디스플레이 모듈(5)의 일 측단에 접촉되게 구비된다. 가이드 면(310a, 310b)은 디스플레이 모듈(5)의 일 측단의 위치를 안내한다. The guide surfaces 310a and 310b ar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1가이드 면(310a)과,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2가이드 면(310b)을 포함한다. 제 1가이드 면(310a)과 제 2가이드 면(310b)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A pair of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외부 결합부(310c)의 양 측단을 형성시킨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의 -Y축 방향 말단은 외부 결합부(310c)의 측단과 연결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외부 결합부(310c)의 측단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A pair of
가이드 면(310a, 310b)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면(310a, 310b)은 외부 결합부(310c)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surfaces 310a and 310b may form a flat surface. The guide surfaces 310a and 310b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X축 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를 현장 설치할 때,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마주보는 두 측단을 평행하게 배치하기 용이해진다.The pair of
베이스 부(3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330)와 결합된다. 베이스 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PCB(330)의 지지단을 제공한다. 베이스 부(320)의 +Y축 방향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PCB(330)가 결합된다. The
베이스 부(320)는 가이드 부(310)와 연결된다. 베이스 부(320)는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된다. 베이스 부(320)의 Z축 방향 길이는 가이드 부(310)의 Z축 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5e를 참고한 제 1 내지 3 및 5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320)와 가이드 부(310)는 서로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체결 부재(390)에 의해 베이스 부(320) 및 가이드 부(310)가 서로 조립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390)가 베이스 부(320) 및 가이드 부(31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시, 순차적으로 가이드 부(310),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 및 베이스 부(320)를 설치할 수 있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을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여 설치시키기 편리해지고, 디스플레이 모듈(5)의 가이드 부(310)에 접촉된 측단을 베이스 부(320)로 덮어주며 연결 대응부(57)가 연결 홀(320h)에 통과되게 하는 공정이 편리해진다.In the first to third and fifth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and 5E , the
도 5d를 참고한 제 4실시예에서, 베이스 부(320''')와 가이드 부(310''')는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체결 부재(390) 없이 베이스 부(320''') 및 가이드 부(310''')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시, 가이드 부(310) 및 베이스 부(320)의 조립 공정이 줄어들어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부(310)에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을 접촉시키고 연결 대응부(57)를 연결 홀(320h)로 통과시키는 공정이 상기 제 1 내지 3 및 5 실시예에 비해 어려워질 수 있는데, 이러한 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술할 경사부(A)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5D , the base part 320''' and the guide part 310'''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part. In this case, the base part 320''' and the guide part 310'''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베이스 부(3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330)와 결합하는 PCB 결합부(321)를 포함한다. PCB 결합부(321)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PCB 결합부(321)는 지지 부재(30)의 +Y축 방향 부분에 배치된다. PCB 결합부(321)의 일측면과 PCB(330)의 일측면이 서로 접촉하며,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39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베이스 부(320)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323)를 포함한다. 커버부(323)는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23)는 단면 상 X축 방향 두께보다 Y축 방향 폭이 길게 형성된다. 커버부(323)는 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The
커버부(323)의 X축 방향 폭은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된다. 커버부(323)의 -Y축 방향 측면 중 가이드 부(310)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디스플레이 모듈(5)을 마주본다. 이를 통해,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폭을 최소화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계 영역이 덜 두드러지게 하면서도, PCB(330)가 배치되는 지지 부재(30)의 +Y축 방향 측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width of the
커버부(323)는 가이드 부(310)와 연결되는 중앙부(323c)를 포함한다. 커버부(323)는 중앙부(323c)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부(323a)를 포함한다. 커버부(323)는 중앙부(323c)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부(323b)를 포함한다. 중앙부(323c), 일측부(323a) 및 타측부(323b)는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베이스 부(320)는 케이스(360)와 결합되는 케이스 가이드(32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 가이드(324)는 X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각각 베이스 부(320)의 X축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360)가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베이스 부(3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비대칭한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된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각각 +Y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1케이스 가이드(324a)와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2케이스 가이드(324b)를 포함한다.The pair of case guides 324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복수의 케이스 가이드(324)가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지지 부재(30)의 Z축 방향 말단에 배치된 케이스 가이드(324)를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ase guides 32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Z-axis direction. The
지지 부재(30)에는, 연결 대응부(57)가 통과하는 연결 홀(320h)이 형성된다. 연결 홀(320h)은 베이스 부(320)에 형성된다. 연결 홀(320h)은 커버부(323)에 형성된다. 연결 홀(320h)은 일측부(323a) 및 타측부(323b)에 형성된다. 연결 홀(320h)을 이용하여, 연결 대응부(57)를 연결 단자(331)와 결합시키는 시공 과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시공 후 화상 출력시 시각적으로 불필요한 연결 대응부(57)를 감출 수 있다.A
연결 홀(320h)은 베이스 부(320)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된다. 복수의 연결 홀(320h)이 베이스 부(320) 연장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대응부(57)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연결 홀(320h)이 배치된다. 연결 대응부(57)와 대응되는 개수의 연결 홀(320h)이 형성될 수 있다.The
가이드 부(310)를 중심으로 X축 방향 양 측에서 한 쌍의 연결 홀(320h1, 320h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연결 홀(320h1, 320h2)은 각각 Y축 방향으로 커버부(323)를 관통한다. 한 쌍의 연결 홀(320h1, 320h2)은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1연결 홀(320h1) 및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2연결 홀(320h2)을 포함한다. 제 1연결 홀(320h1)을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연결 대응부(57)가 통과한다. 제 2연결 홀(320h2)을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연결 대응부(57)가 통과한다.A pair of connection holes 320h1 and 320h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화상 출력을 제어한다. PCB(33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한다. At least one
PCB(330)는 지지 부재(30)에 고정된다. PCB(330)는 베이스 부(320)에 고정된다. PCB(330)는 PCB 결합부(321)에 고정된다. PCB(330)는 지지 부재(30)의 +Y축 방향으로 결합한다. PCB(330)는 지지 부재(30)에서 외부 결합부(310c)의 반대측에 결합된다. PCB(330)는 베이스 부(32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다.The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한 제 1 내지 4실시예에서, PCB 결합부(321)는 X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된다. PCB 결합부(321)는 X축 방향보다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PCB 결합부(321)는 판형의 PCB(330)가 X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 1 내지 4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X축 방향의 두께가 Y축 방향의 폭보다 작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화상을 볼 때 PCB(330)가 눈에 잘 띄지 않고,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X축 방향 폭을 상대적으로 작게하여, 출력되는 화상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D , the
도 5e를 참고한 제 5실시예에서, PCB 결합부(321'''')는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PCB 결합부(321)는 Y축 방향보다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판형의 PCB(330)가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 5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X축 방향의 폭이 Y축 방향의 두께보다 길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PCB(330)를 베이스 부(320)에 체결할 때 체결 부재를 통과시키는 방향이 외부의 표면에 대한 수직 방향이 될 수 있어, PCB(330)의 체결 공정이 편리해질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5E , the
PCB(330)는 디스플레이 모듈(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 단자(33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는 적어도 하나의 PCB(330)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는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1연결 단자(331a)와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2연결 단자(331b)를 포함한다. 제 1연결 단자(331a)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연결 대응부(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연결 단자(331b)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연결 대응부(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양측의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과 PCB(330)를 연결하는 시공 과정이 편리해지고, 연결 대응부(57)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 구조가 간편해진다.The
PCB(330)는 연결 단자(331)가 배치되는 보드(332)를 포함한다. 보드(332) 상에 회로가 배치된다. 보드(332)는 판형으로 형성된다.The
당해 디스플레이 장치(1)와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과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로 이루어진 단위체를 의미한다. m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최대 2*m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의 화상이 함께 제어될 수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과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PCB(330)(이하, '당해 PCB')는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PCB(330)(이하 '인접 PCB')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당해 PCB(330)와 인접 PCB(330)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화상 출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화상 출력을 위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The
PCB(330)는 다른 PCB(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커넥터(33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36)를 통해, 당해 PCB(330)와 인접 PCB(330)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화상 출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커텍터(336)를 통해, 당해 PCB(330)와 인접 PCB(330)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화상 출력을 위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커텍터(336)는 PCB(330)의 Z축 방향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터(336)가 PCB(330)의 Z축 방향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당해 PCB(330)와 인접 PCB(330)는 Z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연결될 수 있다.The
도 5a, 도 5b, 도 5d 및 도 5e를 참고한 제 1, 2, 4 및 5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하나의 보드(33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는 보드(332)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보드(332)만 지지 부재(30)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현장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된다.In the first, second,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FIGS. 5A , 5B , 5D and 5E , at least one
한편, 도 5c의 제 3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2개의 PCB(330a'', 330b'')를 포함한다. Meanwhile, in the third embodiment of FIG. 5C , at least one PCB 330'' includes two
케이스(360)는 PCB(330)를 수용한다. 케이스(360)와 베이스 부(320)는 PCB(33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36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360)는 플레이트를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360)는 -Y축 방향 측면이 +Y축 방향으로 함몰된다. The
케이스(360)는,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가 삽입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부(3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케이스(360)의 X축 방향 양측면을 형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의 바깥 측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의 내측면은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1사이드 부(363a)와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2사이드 부(363b)를 포함한다.The
케이스(360)는 한 쌍의 사이드부(363)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상면부(361)를 포함한다. 상면부(361)는 케이스(360)의 +Y축 방향 측면을 형성한다. 상면부(361)는 한 쌍의 사이드부(363)의 +Y축 방향 말단에 연결된다. 상면부(361)는 베이스 부(320)와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360)를 통해 PCB(330) 및 연결 대응부(57)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한편, 제 1 내지 3 및 5 실시예(도 5a 내지 도 5c 및 도 5e)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on-sit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먼저, 외부의 표면에 가이드 부(310)를 결합시킨다. 이 때, 가이드 부(310)의 외부 결합부(310c)가 외부의 표면에 부착된다. First, the
그 후,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각각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에 밀착시킨 상태로,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을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을 제 1가이드 면(310a, 310b)에 밀착시킨 상태로,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을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또한,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을 제 2가이드 면(310a, 310b)에 밀착시킨 상태로,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을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디스플레이 모듈(5)을 가이드 면(310a, 310b)에 밀착시킬 때, 연결 대응부(57)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꺾는다.Thereafter, the pair of
그 후, 체결 부재(390)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310)에 베이스 부(320)를 고정시킨다. 베이스 부(320)를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 부재(390)가 베이스 부(320)를 관통하여 가이드 부(31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베이스 부(320)를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시킬 때, 복수의 연결 대응부(57)가 대응되는 연결 홀(320h)을 통과하게 한다.Thereafter, the
그 후, PCB(330)를 베이스 부(320)의 PCB 결합부(321)에 고정시킨다. 또한, 연결 대응부(57)와 대응되는 연결 단자(331)를 서로 연결시킨다.Thereafter, the
그 후, 케이스 가이드(324)에 맞추어 케이스(360)를 지지 부재(30)에 결합시킨다.Thereafter, the
제 4 실시예(도 5d)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 과정에서는, 가이드 부(310)와 베이스 부(320)가 일체의 부품이므로, 상술한 '체결 부재(390)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310)에 베이스 부(320)를 고정시키는 공정'이 없이 현장 설치가 진행된다. 나머지 과정의 진행은 상술한 제 1 내지 3 및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 과정과 같다.In the field installation process of the
이하,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도 5a의 제 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 2 내지 5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E ,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FIG. 5A .
도 5b를 참고한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실링재(340') 및 서포터(3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30')는 서포터(32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320')는, 커버부(323)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서포터(32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서포터(325')가 가이드 부(310)를 기준으로 X축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터(325')가 가이드 부(310)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25')는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325')는 가이드 면(310a, 310b)과 이격된다. 서포터(325')는 가이드 면과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서포터(325')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상기 제 2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베이스 부(320')와 디스플레이 모듈(5) 사이의 틈을 채우는 실링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재(340')는 베이스 부(32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다. 실링재(340')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다. 실링재(340')는 커버부(323)와 디스플레이 모듈(5)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실링재(340')가 가이드 부(310)를 기준으로 X축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실링재(340')가 가이드 부(310)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링재(340')는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325')는 가이드 면(310a, 310b)과 이격될 수 있다. 실링재(340')는 가이드 면과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서포터(325') 및/또는 실링재(3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3')의 현장 설치 후, 디스플레이 모듈(5)을 외부의 표면 방향(-Y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5)의 위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연결 대응부(57)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커버부(323)의 -Y축 방향 측면이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표면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커버부(323)의 -Y축 방향 측면이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표면과 이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After the on-site installation of the display device 3' through the supporter 325' and/or the sealing material 340', the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서포터(325') 및 실링재(340')를 모두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의 경우, 실링재(340')가 서포터(325')의 바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실링재(340')는 한 쌍의 서포터(325')의 바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재(340')는 서포터(325')에 접촉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display device 3' including both the supporter 325' and the sealing material 340', the sealing material 34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upporter 325'. . The pair of sealing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서포터(325') 및/또는 실링재(340')가 구현되기 위해서, 커버부(323)의 X축 방향 폭은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supporter 325' and/or the sealing material 340', the X-axis direction width of the
도 5c를 참고한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한 쌍의 PCB(330'')를 포함한다. 제 1PCB(330a'')는 -X축 방향에 배치되고, 제 2PCB(330b'')는 +X축 방향에 배치된다. 제 1PCB(330a'') 및 제 2PCB(330b'')는 모두 PCB 결합부(321'')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2a'', 332b'')는 각각 한 쌍의 PCB(330a'', 330b'')에 배치된다. 제 1PCB(330a'')는 제 1보드(332a'')와 제 1연결 단자(331a'')를 포함한다. 제 2PCB(330b'')는 제 2보드(332b'')와 제 2연결 단자(331b'')를 포함한다.The
도 5d를 참고한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가이드 부(310''')와 베이스 부(3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가이드 부(310''')와 베이스 부(320''')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불필요하다.In the display control module 3'''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5D, the guide part 310''' and the base part 320''' are integr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control module 3'''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oes not require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guide part 310''' and the base part 320''' to each other.
도 5e를 참고한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Y축 방향의 두께에 비해 X축 방향의 폭이 더 크게 배치된 PCB(33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32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PCB 결합부가 불요하다. 대신, 베이스 부(320'''')는 Y축 방향의 두께에 비해 X축 방향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 PCB 결합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는 수평으로 배치된 PCB(330'''')의 X축 방향 양 측에 배치된다.The display control module 3''''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5E includes a PCB 330'''' having a larger width in the X-axis direction than the thickness in the Y-axis direction. . The base part 320'''' does not require a PCB coupling part protruding long in the Y-axis direction. Instead, the base part 320'''' may include a PCB coupling part 321'''' having a larger width in the X-axis direction than the thickness in the Y-axis direction. The pair of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의 가이드 부(310), 베이스 부(320) 및 케이스(3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b)의 가이드 부(310), 베이스 부(320) 및 케이스(36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은 상술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과 동일하다.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이하, 도 6b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b)은 가이드 부(310)와 베이스 부(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부(323)의 -Y축 "??? 측면은, 한 쌍의 가이드 면의 +Y축 방향 말단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경사지게 연장된 상기 커버부(323)의 -Y축 "??? 측면을 '경사부(A)'로 지칭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한 쌍의 경사부(A)가 가이드 부(310)를 중심으로 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A)의 -Y축 방향 측면은, 가이드 부(310)에서 멀어질수록 디스플레이 모듈(5)과 Y축 방향 이격 거리가 커진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의 일측부(323a)는 중앙부(323c)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의 타측부(323b)는 중앙부(323c)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경사진 일측부(323a) 및 경사진 타측부(323b)를 한 쌍의 경사부(A)를 형성한다.A pair of inclined portions A may b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경사부(A)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시, 일체형의 가이드 부(310) 및 베이스 부(320)를 구비한 지지 부재(30)를 외부의 표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을 가이드 면(310a, 310b)에 접촉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을 외부의 표면과 경사부(A) 사이의 틈으로 삽입시키는 공정이 편리해 진다.When the
1 : 디스플레이 장치
5, 5a, 5b : 디스플레이 모듈
3, 3', 3'', 3''', 3'''', 3a, 3b :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30, 30', 30'', 30''', 30'''' : 지지 부재
310, 310''' : 가이드 부
320, 320', 320'', 320''', 320'''' : 베이스 부
325' : 서포터
330, 330'', 330'''' : PCB
340' : 실링재
360 : 케이스
A : 경사부1: display device
5, 5a, 5b: display module
3, 3', 3'', 3''', 3'''', 3a, 3b : display control module
30, 30', 30'', 30''', 30'''' : support member
310, 310''' : guide part
320, 320', 320'', 320''', 320'''' : base part
325' : supporter
330, 330'', 330'''' : PCB
340': sealing material
360: case
A: slope
Claims (20)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Y축 방향으로 상기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에 +Y축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PCB의 X축 방향 양측에서 각각 연결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On XYZ Cartesian coordinates,
- A support memb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xternal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a pair of display modul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X-axis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external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t least one PCB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in the +Y-axis direction and controlling the pair of display modules,
The pair of display modul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CB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지지 부재는,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 및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으로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External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external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nd a pair of guide surfaces forming both side ends of the external coupling part in an X-axis direction.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에 각각의 측단이 접촉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r of display modules is a display device in which side ends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pair of guide surfaces.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r of guide surfaces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 사이의 X축 방향 길이는 상기 소정 간격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pair of display modules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A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guide surfaces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 및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와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제 1길이, 상기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와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제 2길이, 및 상기 X축 방향 길이를 합한 값이 상기 소정 간격이 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ir of display modules,
- A first display module dispos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Including a second display module disposed in the +X-axis direction,
A first length between the closest L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ide end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module, and a second length between the nearest L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ide end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second display module A display device provided such that a sum of a length and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becomes the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외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가이드 부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되는 베이스 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틈을 채우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member is
a guide part having the external coupling part and the pair of guide surfaces; and
and a base part connected to the +Y-axis direction side of the guide part and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CB,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aterial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in the -Y axis direction to fill a gap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display module.
상기 베이스 부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되고,
상기 실링재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base part includes a cover part disposed in the -Y-axis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width of the cover part is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e X-axis direction width of the guide part,
The sealing material is a display device disposed between the cover part and the display modu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가이드 면에 접촉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연결 대응부가 통과하는 연결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at least one PCB,
and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display modules,
Each of the pair of display modules,
and a connection corresponding portion disposed at a side end of the display module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display device in which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counterpart passes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 부재는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가 삽입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상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pair of case guides protruding from both sides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ase having a pair of side portions into which the pair of case guides are inserted,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extending while connecting the pair of side portions.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외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가진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Y축 방향에 결합하고,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각각 연결되게 기설정된 한 쌍의 연결 단자가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On XYZ Cartesian coordinates,
- A support member having a pair of external coupling parts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surfac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pair of guide surfaces forming both ends of the external coupling part in the X-axis direction; and
and at least one PCB coupled to the +Y-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preset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air of display modules on both sides of the X-axis direction.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은 서로 평행하게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air of guide surfaces extend in a Z-axis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지지 부재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하는 PCB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member is
A display control module including a PCB coupling part protru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CB.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X축 방향의 두께가 Y축 방향의 폭보다 작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CB is a display control module disposed such that a thickness in an X-axis direction is smaller than a width in a Y-axis direc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하나의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단자는 상기 보드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CB includes one board,
The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ard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외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가이드 부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되는 베이스 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member is
a guide part having the external coupling part and the pair of guide surfaces; and
and a base part connected to the +Y-axis direction side of the guide part and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CB,
The base part includes a cover part disposed in the -Y-axis direction,
A display control module having a widt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greater than a widt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상기 가이드 부를 중심으로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7. The method of claim 16,
A display control module in which a pair of connection holes passing through the cover part in the Y-axis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X-axis direction based on the guide part.
상기 베이스 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면과 이격된 서포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ase unit may include a supporter protruding from the cover unit in a -Y-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guide surface.
상기 커버부의 -Y축 방향 측면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의 +Y축 방향 말단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Y-axis direction side surface of the cover part extends obliquely betwee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Y-axis direction ends of the pair of guide surfaces.
상기 가이드 부와 상기 베이스 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서로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guide part and the base part are provided as separate parts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display control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662,217 US10123435B2 (en) | 2017-02-02 | 2017-07-27 |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EP18154641.7A EP3358558B1 (en) | 2017-02-02 | 2018-02-01 |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CN201810106476.1A CN108389513B (en) | 2017-02-02 | 2018-02-02 | Display device |
US16/151,237 US10743426B2 (en) | 2017-02-02 | 2018-10-03 |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762453535P | 2017-02-02 | 2017-02-02 | |
US62/453,535 | 2017-02-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173A KR20180090173A (en) | 2018-08-10 |
KR102302576B1 true KR102302576B1 (en) | 2021-09-14 |
Family
ID=6322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6378A Active KR102302576B1 (en) | 2017-02-02 | 2017-06-16 | A display control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257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2183A (en) | 2022-08-11 | 2024-02-20 | 타임도시디자인(주) | Multi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Structure ha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4360B1 (en) * | 2020-10-23 | 2022-06-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017108A1 (en) | 2015-07-17 | 2017-01-19 | L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9902B1 (en) * | 2012-09-14 | 2019-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ulti Display Apparatus |
KR102272059B1 (en) * | 2015-02-09 | 2021-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KR102270484B1 (en) * | 2015-06-24 | 2021-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display module |
-
2017
- 2017-06-16 KR KR1020170076378A patent/KR1023025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017108A1 (en) | 2015-07-17 | 2017-01-19 | L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2183A (en) | 2022-08-11 | 2024-02-20 | 타임도시디자인(주) | Multi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Structure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173A (en) | 2018-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28089B2 (en) |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 |
ES2511070T3 (en) | Circuit card set, card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 circuit card set | |
KR20090006633U (en) | LED lamp module connection structure | |
KR102280525B1 (en) | Power supply module for flexible display apparatus | |
JP6277841B2 (en) | CONNECTION DEVI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 |
CN108389513B (en) | Display device | |
EP2846084A1 (en) |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 |
KR20110073824A (en) | Connector for LED module and LED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US20190204660A1 (en) | Display device | |
KR102302576B1 (en) | A display control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12033456A (en) |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 |
JP2012013722A (en) | Liquid crystal module | |
US11385679B2 (en) | Display device | |
JP6592635B2 (en) | LIGHTING DEVICE, CONNECTOR WITH FLAT, LIGH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 |
JP2018098112A (en) | Luminaire, process of manufacture of luminaire and display device | |
CN202852692U (en) | Light guide column assembly and device using the light guide column assembly | |
KR102164488B1 (en) | Dispaly apparatus | |
KR20150047708A (en) | Flexible connector unit | |
CN222580707U (en) | Lamp panel assembly and display module assembly with same | |
US20230246376A1 (en) | Module connector | |
KR20210052755A (en) | Solar cell module | |
KR101271807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for connector | |
KR102404360B1 (en) |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
KR101950437B1 (en) |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CN117218956A (en) | Splice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6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