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482B1 -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 Google Patents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1482B1 KR102301482B1 KR1020217002052A KR20217002052A KR102301482B1 KR 102301482 B1 KR102301482 B1 KR 102301482B1 KR 1020217002052 A KR1020217002052 A KR 1020217002052A KR 20217002052 A KR20217002052 A KR 20217002052A KR 102301482 B1 KR102301482 B1 KR 1023014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cavity
- resin
- die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0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21 transfer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40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9441 perflouroethylene 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23—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for centering the inse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29C45/1465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connected to or mounted on a carrier, e.g. lead fram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groups H01L21/18 - H01L21/326 or H10D48/04 - H10D48/07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01L21/565—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098—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fixing or clamping inserts having variable dim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워크의 두께의 불균일의 유무나 대소에 관계없이, 워크에 과대한 스트레스가 작용하지 않고 클램프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 몰드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으로서, 몰드 수지가 캐비티에 주입되기 전에, 기판(1)의 두께에 맞추어 판 두께 가변 기구에 의해 워크 지지부(37)의 높이를 조정함과 함께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맞추어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에 의해 캐비티 오목부(32)의 높이를 조정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in mold die that can be clamped without excessive stress acting on the work,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evenness in the thickness of the work or its size.
As a solution, before the mold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height of the workpiece support part 37 is adjusted by the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 , and the height of the cavity is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semiconductor chip 5 . The height of the cavity recessed part 32 is adjusted by a variable mechanism.
Description
본 발명은, 워크를 클램프하여 수지 몰드하는 수지 몰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molding apparatus for resin molding by clamping a workpiece.
본건 출원인은, 박형의 반도체 장치를 수지 밀봉하는 경우, 패키지부의 두께 치수를 목적하는 대로의 두께로 성형하여 수지의 미충전 영역이 없는 박형 패키지를 양산할 수 있는 트랜스퍼 성형 장치를 이미 제안하였다.The present applicant has already proposed a transfer molding apparatus capable of mass-producing a thin package without a resin unfilled area by molding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package part to a desired thickness when resin-sealing a thin semiconductor device.
구체적으로는, 몰드 금형에 반입된 워크를 캐비티 피스가 성형품의 두께 치수보다 소정 두께만큼 후퇴한 퇴피 위치를 유지한 채 클램퍼에 의해 클램프하고, 당해 클램퍼가 워크를 클램프한 채 플런저를 작동시켜 캐비티 오목부 내로 용융 수지를 충전하여 제 1 보압(保壓)을 유지한다. 수지 충전 후, 캐비티 피스를 성형품의 두께 치수에 대응하는 성형 위치까지 캐비티 오목부 내로 더 밀어내어 당해 캐비티 오목부 내의 잉여 수지를 게이트로부터 포트측으로 밀어 되돌림으로써, 목적하는 대로의 성형품의 두께 치수에 맞춘 수지량으로 조절한다. 또, 플런저를 다시 작동시켜 제 1 보압보다 높은 제 2 보압을 유지한 채 밀봉 수지를 가열 경화시킨다(특허문헌 1).Specifically, the workpiece loaded into the mold is clamped by the clamper while maintaining the retracted position where the cavity piece is retreated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molded product, and the clamper operates the plunger while clamping the workpiece to concave the cavity. The molten resin is filled into the section to maintain the first holding pressure. After the resin filling, the cavity piece is further pushed into the cavity concavity to a mold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molded article, and the excess resin in the cavity concavity is pushed back from the gate to the port side, thereby matching the desired thickness dimension of the molded article. Adjust the amount of resin. Moreover, the sealing resin is heat-hardened, maintaining the 2nd holding pressure higher than the 1st holding pressure by operating the plunger again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 이용되는 몰드 금형은, 상형(上型) 인서트가 가동(可動)으로 설치된 상형과 워크(기판 등)를 탑재하는 리지드 구조의 하형에 의해 워크를 클램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워크가 단층 기판과 같이 두께의 불균일이 작은 경우에는 문제는 없지만, 다층 기판과 같이 두께의 불균일이 큰 경우에는, 클램퍼와 기판의 클램프력에 불균일이 생겨, 몰드 수지의 플래시 버(burr)가 발생해 버려, 성형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mold die used in
예를 들면, 워크를 몰드 수지로부터 노출시켜 성형하는 제품, 구체적으로는 방열부를 갖는 제품에 있어서는, 수지 플래시에 의해서 성형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For example, in a product molded by exposing a workpiece from a mold resin, specifically, a product having a heat dissipation par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olding quali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resin flash.
또, 수지 플래시를 억제하려고 금형 클램프력을 강하게 하면, 워크에 과대한 클램프 스트레스가 작용하여 워크가 파손되거나 손상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또, 메모리 등의 박형화한 제품의 경우, 성형 두께가 워크의 두께의 영향을 받게 되어, 성형 두께를 균일하게 성형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if the mold clamping force is strengthened to suppress resin spatter, excessive clamping stress may be applied to the work, which may cause damage or damage to the work. Moreover, in the case of a thinned product, such as a memory, the shaping|molding thickness is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a workpiece|work,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shape|mold uniformly the shaping|molding thickness.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워크의 두께의 불균일의 유무나 대소에 관계없이, 워크에 과대한 스트레스가 작용하지 않고 클램프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 몰드 금형 및 이것을 이용하여 형 체결 밸런스가 안정되어, 플래시 버가 생기지 않는 성형 품질을 높인 수지 몰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resin mold mold that can be clamped without excessive stress acting on the workpiec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r size of unevenness in the thickness of the workpiece, and the mold clamping balance using the same is stab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sin mold apparatus with improved molding quality that does not cause flash burr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제 1 부재에 제 2 부재가 탑재된 워크를 수지 몰드하는 수지 몰드 금형으로서, 캐비티 저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피스와, 당해 캐비티 피스를 둘러싸고 배치된 제 1 인서트에 의해, 상기 제 2 부재가 수용되는 캐비티를 구성하는 캐비티 오목부가 형성되는 일방(一方)의 금형과, 상기 워크를 지지하는 워크 지지부와, 상기 워크 지지부에 인접하는 제 2 인서트를 구비한 타방(他方)의 금형과, 상기 일방의 금형 또는 타방의 금형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어 몰드 수지를 공급하는 포트 및 플런저와, 상기 캐비티 피스를 형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2 부재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캐비티 오목부의 높이를 가변으로 하는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와, 상기 워크 지지부를 상기 제 2 인서트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부재의 두께에 맞추어 상기 워크 지지부의 높이를 가변으로 하는 판 두께 가변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몰드 수지가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기 전에, 상기 제 1 부재의 두께에 맞추어 상기 판 두께 가변 기구에 의해 상기 워크 지지부의 높이를 조정함과 함께 상기 제 2 부재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에 의해 상기 캐비티 오목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t is a resin mold die for resin-molding a work in which a second member is mounted on a first member, wherein the second member is accommodated by a cavity piece forming a cavity bottom and a first insert disposed surrounding the cavity piece The other die provided with the one die in which the cavity recessed part which comprises the cavity to be used is formed, the work support part which supports the said workpiece|work, and the 2nd insert adjacent to the said work support part, and the said one A port and a plunger assembled in either a mold or the other mold to supply a mold resin, and a cavity height in which the height of the cavity concave portion is variable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second member by moving the cavity piece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a variable mechanism; and a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work suppor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by moving the work support portion in a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sert, wherein the mold resin is Before being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height of the workpiece support is adjusted by the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and the cavity height is adjusted by the cavity height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econd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height.
상기 수지 몰드 금형을 이용하면, 모든 워크(제 1 부재, 제 2 부재)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의 두께의 불균일의 유무나 불균일 양의 대소에 관계없이, 워크 지지부 및 캐비티 오목부의 높이를 조정하므로, 워크에 과대한 스트레스가 작용하지 않고 형 체결 밸런스를 안정시켜 수지 플래시 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f the resin mold mold is used, the height of the workpiece support and the cavity recess is adjust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even thickness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for all workpieces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or the size of the amount of unevenness,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esin flash burrs by stabilizing the mold clamping balance without applying excessive stress to the workpiece.
또, 상기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는, 구동원에 의해 가동 테이퍼 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캐비티 피스의 형 개폐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웨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the said cavity height variable mechanism may be provided with the wedge mechanism which moves a movable taper block with a drive source,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aid cavity piece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이 경우에는, 캐비티 피스의 형 개폐 방향의 위치 제어를 고정밀도화할 수 있으므로, 금형 클램프시에 워크(제 2 부재)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가급적 저감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성형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positional control of the cavity piece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can be made with high precision, the stress acting on the workpiece (second member) at the time of clamping the mold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nd high-precision molding quality can be maintained. .
또, 상기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는, 상기 캐비티 피스 및 상기 제 1 인서트의 일방 또는 쌍방이 상기 일방의 금형 체이스에 플로팅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as for the said cavity height variable mechanism, the one or both of the said cavity piece and the said 1st insert may be floatingly supported by the said one die chase.
이 경우에는, 형 개폐 동작에 따라서 캐비티 피스 및/또는 제 1 인서트의 플로트 양을 조정함으로써 캐비티의 깊이(기판으로부터 캐비티 피스까지의 높이)를 순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제 2 부재의 제 1 부재로부터의 높이 위치의 불균일이 있더라도, 캐비티 피스 및/또는 제 1 인서트의 플로트 구조에 의해 수지 용량의 차를 흡수하여 수지 몰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cavity (height from the substrate to the cavity piece) can be changed instantaneously by adjusting the float amount of the cavity piece and/or the first insert in accordance with the mold opening/closing operation. In particular, even if there is a non-uniformity of the height position of the second member from the first member, the difference in resin capacity can be absorbed by the cavity piece and/or the float structure of the first insert, and resin molding can be performed.
또, 상기 판 두께 가변 기구는, 구동원에 의해 가동 테이퍼 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워크 지지부의 형 개폐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웨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the said plate|board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may be provided with the wedge mechanism which moves a movable taper block with a drive source, and adjusts the position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of the said workpiece|work support part.
이 경우에는, 워크 지지부의 형 개폐 방향의 위치 제어를 고정밀도화할 수 있으므로, 금형 클램프시에 워크(제 1 부재)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가급적 저감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성형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 control of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support part can be increased with high precision, the stress acting on the workpiece (first member) at the time of clamping the mold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nd high-precision molding quality can be maintained. .
또, 상기 제 1 인서트의 클램프면에는 더미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캐비티 오목부로부터 상기 더미 캐비티로 상기 잉여 수지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dummy cavity is provided on the clamp surface of the first insert, and the surplus resin is accommodated from the cavity recess to the dummy cavity.
이에 의해, 캐비티 오목부에 충전되는 몰드 수지에 발생한 보이드를 더미 캐비티로 밀어 흐르게 하여 성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언더필 몰드를 행할 때의 수지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by, the void generated in the mold resin filled in the cavity concave portion can be pushed into the dummy cavity and flowed, thereby improving the molding quality. In particular, the resin filling property at the time of performing underfill molding can be improved.
또, 상기 제 1 인서트의 상기 더미 캐비티로부터 외주측에 대향하는 클램프면을 가압함으로써 에어의 배출을 정지시키는 폐지(閉止)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Moreover, you may be provided with the closing means which stops the discharge|emission of air by pressurizing the clamp surface which opposes the outer peripheral side from the said dummy cavity of the said 1st insert.
이 경우, 희망하는 타이밍에 폐지 수단에 의해 감압 공간으로부터의 에어의 배출을 정지시켜 더미 캐비티로부터의 수지 누설이나 캐비티 내의 수지의 미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air from the decompression space by the closing means at a desired timing to prevent the resin leakage from the dummy cavity and the unfilling of the resin in the cavity.
상기 일방의 금형과 타방의 금형이 형 폐쇄하기 전에 외부 공간과는 차단된 폐쇄 공간이 형성되고, 당해 폐쇄 공간 내를 감압함으로써 상기 캐비티를 포함하는 감압 공간이 형성되는 감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ressure reducing mechanism in which a closed space blocked from the external space is formed before the one mold and the other mold are mold-closed, and the pressure-reduced space including the cavity is formed by depressurizing the inside of the closed space. do.
이에 의해, 캐비티 내에 잔존하는 에어를 배기하여 몰드 수지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Thereby,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occur|produce a void in mold resin by exhausting the air which remains in a cavity.
또, 상기 제 2 부재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과 이것에 연통(連通)하는 수지로(路)가 형성되고, 상기 워크 지지부에 지지된 제 1 부재 외주 단부(外周端部)와 상기 제 2 인서트와의 간극에 걸쳐 상기 타방의 금형 클램프면에 맞겹쳐 이용되는 중간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member and a resin path communicating therewith are formed, a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irst member supported by the work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 An intermediate plate may be provided to be used while being overlapped with the other die clamp surface over the gap.
이 경우, 제 1 부재(예를 들면, 기판)에 런너(runner)용의 금 도금은 필요없게 되어, 필러가 미세하고 저점도의 유동성이 높은 몰드 수지를 이용하더라도 제 1 부재와 금형과의 간극에 몰드 수지가 누설되어 금형의 슬라이딩 불량을 일으킬 우려도 없어진다.In this case, gold plating for a runner is not required on the first member (for example, the substrate), and even if a mold resin having a low viscosity and high fluidity with a fine filler is used, the gap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mold is used. There is also no risk of mold resin leaking into the mold and causing mold sliding failure.
또,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부재로부터 외주측에는 더미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더미 캐비티로 상기 잉여 수지를 수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더미 캐비티가 제 1 부재로부터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제 1 부재(예를 들면, 기판) 상의 성형품의 개수를 늘려 기판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 dummy cavity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from the first member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surplus resin may be accommodated from the through hole to the dummy cavity. In this case, if the dummy cavity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from the first member, the number of molded articles on the first member (for example, the substrate)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substrate.
또, 더미 캐비티가 중간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형성되어 있으면, 불필요 수지의 이형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if the dummy cavity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intermediate plate, the unnecessary resin can be easily released.
또, 상기 제 2 부재에 맞닿는 상기 캐비티 피스의 워크 맞닿음면과 반대면에 대향 배치된 가이드 피스의 가이드면부에 가이드되어 상기 캐비티 피스가 경동(傾動) 가능한 스위블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Moreover, you may be provided with the swivel mechanism which is guided by the guide surface part of the guide piece arrange|positioned opposite to the workpiece abutting surface of the said cavity piece which abuts the said 2nd member, and can tilt the said cavity piece.
이에 의해, 제 1 부재(예를 들면, 기판)에 탑재된 제 2 부재(예를 들면, 반도체 칩)에 경사가 생겨 있더라도, 캐비티 피스와 릴리스 필름을 개재하여 치우쳐서 닿지 않고 제 2 부재의 경사에 따라서 캐비티 피스가 경동하므로, 제 2 부재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일은 없어 제 2 부재가 손상되거나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없어진다.As a result, even if the second member (eg, semiconductor chip) mounted on the first member (eg, the substrate) has an inclination,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member via the cavity piece and the release film. Therefore, since the cavity piece inclines, excessive stress does not act on a 2nd member, and a possibility that a 2nd member may be damaged or damaged is eliminated.
또, 상기 캐비티 피스의 상기 제 2 부재 가압면은, 볼록면부에 형성되어 그 주위는 오목홈부가 형성된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the said 2nd member pressing surface of the said cavity piece may be formed in the convex surface part, and the periphery may be formed in the uneven|corrugated surface in which the recessed groove part was formed.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반도체 칩의 발광면을 캐비티 피스의 볼록면부에 의해 눌러 노출시킴과 함께 그 주위를 둘러싼 오목홈부에 점도가 낮은 실리콘 수지(백색 수지)를 충전하여 발광면을 둘러싼 리플렉터를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효율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is pressed by the convex surface of the cavity piece to expose it, and a low-viscosity silicone resin (white resin) is filled in the concave groove surrounding it to form a reflector surrounding the light emitting surface. It can be efficiently molded by a transfer mold.
또, 상기 캐비티 오목부를 포함하는 상기 일방의 금형 클램프면을 덮어 흡착 유지되는 릴리스 필름을 구비하고 있으면, 캐비티 오목부에 몰드 수지가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금형 메인터넌스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수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캐비티 저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피스가 릴리스 필름을 개재하여 워크에 맞닿음으로써, 워크면이 흠집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 release film that covers and holds the one mold clamp surface including the cavity concave portion is provided, the mold resin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avity concave portion, thus reducing mold maintenance and resin leakage. can prevent Moreover, when the cavity piece which forms a cavity bottom part contact|abuts to a workpiece|work via a release film, it can prevent that a workpiece|work surface is damaged.
또, 수지 몰드 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수지 몰드 금형을 구비함과 함께, 워크 공급부와, 상기 수지 몰드 금형에 의해 워크를 클램프하여 수지 몰드하는 프레스부와, 성형품의 수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재의 두께 및 상기 제 2 부재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몰드 수지를 상기 캐비티에 주입하기 전에, 상기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의 동작량을 설정하여 상기 캐비티 피스의 형 개폐 방향의 높이 위치를 소정 위치로 설정하고 나서 상기 제 1 부재를 클램프하여 수지 몰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resin molding apparatus, any one of the resin mold mold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nd a work supply unit, a press unit for clamping and resin molding the work with the resin mold die, and a housing unit for the molded produc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member, before injecting the mold resin into the cavity, the operation amount of the cavity height variable mechanism is set to determine the height position of the cavity piece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After setting to the position, the first member is clamped to perform resin molding.
상기 수지 몰드 장치를 이용하면, 수지 몰드 금형을 클램프할 때에 워크인 제 1 부재나 제 2 부재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가급적 줄일 수 있다.When the resin mold apparatus is used, the stress applied to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that is a work-in when clamping the resin mold mold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프레스부에 인접하여 액상 수지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스부의 형 개방한 몰드 금형의 포트 내에 공급 노즐을 진퇴 이동시켜 액상 수지를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저점도의 에폭시계의 액상 수지를 이용한 플립 칩 실장(實裝)된 반도체 칩의 언더필 몰드를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또는 점도가 낮은 실리콘 수지에 의한 LED나 리플렉터 등의 성형 품질을 높여서 장(長)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A liquid resin supply part is provided adjacent to the press part, and you may make it supply liquid resin by moving a supply nozzl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port of the mold die which the said press part mold-opened. In this case, an underfill mold of a flip-chip mounted semiconductor chip using a low-viscosity epoxy-based liquid resin can be realized by a transfer mold, or a low-viscosity silicone resin is used to mold LEDs, reflectors, etc. Longer lifespan can be achieved by improving quality.
또한, 액상 수지에 한정하지 않고 태블릿 수지여도 된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liquid resin, and tablet resin may be sufficient.
상술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워크의 두께의 불균일의 유무나 대소에 관계없이, 워크에 과대한 스트레스가 작용하지 않고 클램프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 몰드 금형을 제공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형 체결 밸런스가 안정되어, 수지 플래시 버가 생기지 않는 성형 품질을 높인 수지 몰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in mold mold that can be clamped without excessive stress acting on the workpiec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size of unevenness in the thickness of the workpiece, and by using this, the mold clamping balance is stabilized.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in mold apparatus with improved molding quality that does not cause resin flash burrs.
도 1은 실시예 1에 관련된 수지 몰드 장치의 레이아웃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 1에 관련된 몰드 금형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도 2a 및 도 2b에 이어지는 몰드 금형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3c 및 도 3d에 이어지는 몰드 금형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2에 관련된 몰드 금형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 3에 관련된 몰드 금형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 4에 관련된 몰드 금형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
도 8a∼도 8c는 실시예 5에 관련된 몰드 금형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
도 9a∼도 9c는 실시예 6에 관련된 몰드 금형의 성형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7에 관련된 수지 몰드 장치의 레이아웃 구성도이다.
도 11a∼도 11c는 실시예 7에 관련된 몰드 금형의 액상 수지 공급 동작을 설명하는 금형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layout block diagram of the resin mold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xample 1. FIG.
2A and 2B are mol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 mol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C and 3D are mol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 mold following FIGS. 2A and 2B.
Fig. 4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ld for explaining a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 mold following Figs. 3C and 3D.
5A and 5B are mol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 mol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6A and 6B are mol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 mol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7A and 7B are mol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 mol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8A to 8C are di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ing di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9A to 9C are di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ing di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 10 is a layout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sin mold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11A to 11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old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supplying liquid resin to the mol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수지 몰드 장치의 알맞은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형측에 캐비티 오목부가 형성되고 하형측에 포트가 형성되는 몰드 금형을 이용한 트랜스퍼 성형 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또, 트랜스퍼 성형 장치에서는, 하형을 가동형으로 하고 상형을 고정형으로 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sin mold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an accompanying drawing. 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transfer molding apparatus using a mold die in which a cavity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die side and a port is formed on the lower die side is exemplified and described. In addition, in a transfer molding apparatus, a lower mold is made into a movable mold, and an upper mold is made into a fixed mold, and is demonstrated.
[실시예 1][Example 1]
본 실시 형태의 수지 몰드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공급부(A), 워크를 예열하는 예열부(B), 워크를 수지 몰드하는 프레스부(C), 수지 몰드 후의 성형품 수납부(D) 및 반송 기구(E)를 구비한다. 프레스부(C)는, 워크를 클램프하여 수지 몰드하는 몰드 금형이 장착된 프레스 장치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E)는 프레스부(C)에 워크를 반입하고, 프레스부(C)로부터 성형품을 반출하는 반송 작용을 이룬다.As shown in Fig. 1, the resin mold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has a work supply unit (A), a preheating unit (B) for preheating the work, a press unit (C) for resin molding the work, and a molded article storage unit ( D) and a conveyance mechanism (E). The press part C is equipped with the press apparatus with which the mold metal mold|die which clamps and resin-molds a workpiece|work is attached. The conveyance mechanism E carries out the conveyance action|action of carrying in a workpiece|work into the press part C, and carrying out a molded article from the press part C. As shown in FIG.
(워크 공급부(A))(workpiece supply (A))
도 1에 있어서, 워크 공급부(A)는, 예를 들면 긴 형상으로 형성된 기판(리드 프레임, 수지 기판 등)(1)을 수납한 매거진을 수납하는 스토커를 구비하고 있다. 각 매거진으로부터 푸셔에 의해 잘라 내어진 기판(1)이, 예를 들면 2매 1세트로 세트대(臺)(2)에 마주보게 나란히 놓는다. 또한, 기판(1)의 방향을 일 방향으로 가지런히 수납한 매거진으로부터 푸셔에 의해서 턴테이블에 마주보게 바꾸어 나란히 놓고, 당해 턴테이블로부터 세트대(2)에 기판(1)을 이송하도록 해도 된다.In FIG. 1, the work supply part A is equipped with the stocker which accommodates the magazine which accommodated the board|substrate (lead frame, resin board|substrate, etc.) 1 formed in the elongate shape, for example. The
세트대(2)의 측방(側方)에는 몰드 금형의 포트의 평면 배치에 맞추어 수지 태블릿(3)을 공급하기 위한 태블릿 공급부(4)가 설치되어 있다. 세트대(2)의 기판(1)은, 후술하는 반송 기구(E)(로더(16))에 의해서 유지되어 예열부(B)로 이송된다. 또, 태블릿 공급부(4)의 수지 태블릿(3)은, 로더(16)에 의해서 유지되어 프레스부(C)로 이송된다.A
수지 몰드의 대상이 되는 워크(피성형품)는, 본 발명의 「제 1 부재」에 상당하고, 예를 들면 긴 형상으로 형성된 기판(1) 상에 본 발명의 「제 2 부재」에 상당하는 반도체 칩(5)이 실장(플립 칩 실장, 와이어 본딩 실장 등)된 제품이다(도 2b 참조). 또한, 기판(1)에 1단(段) 또는 복수 단으로 반도체 칩(5)이 탑재된 제품, 기판(1)에 반도체 장치가 탑재된 제품, 기판(1)에 촬상 소자가 탑재되어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광 투과 유리를 접합한 제품 등도 대상이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부재」로서는, 수지 기판, 세라믹스 기판, 금속 기판, 리드 프레임, 캐리어 및 웨이퍼와 같은 각종 판 형상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부재」로서는, 반도체 칩 외에도, 방열판, 배선 및 방열을 위하여 이용되는 리드 프레임, 전기적 접속을 위한 범프와 같은 전자 부품과 같은 각종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워크」는, 이들 「제 1 부재」 상에 「제 2 부재」를 탑재하여 맞겹쳐진 상태의 것을 말한다. 수지 몰드하는 형태도, 개개의 탑재 부품마다 개별적으로 캐비티에 수용하여 수지 몰드하는 경우도 있으면, 기판 실장된 복수의 탑재 부품을 하나의 캐비티에 수용하여 일괄하여 수지 몰드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수지 몰드를 행함으로써 제 1 부재의 단면(端面)과 제 2 부재의 단면을 노출하도록 밀봉할 수도 있다.The work (product to be molded) as the object of the resin mold corresponds to the "firs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emiconduct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예열부(B))(Preheating part (B))
워크 공급부(A)로부터 공급된 기판(1)은, 후술하는 반송 기구(E) 중 로더(16)에 의해서 측정대로부터 예열부(B)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히터 블록에 옮겨 탑재된다. 히터 블록은, 기판(1)을 탑재한 채 소정 온도까지 프리히트한다. 히터 블록은, 그 주위를 개폐식의 커버에 덮이도록 하여 다른 유닛에의 영향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히트 후의 기판(1)은 로더(16)에 유지되어 프레스부(C)로 반송된다.The
(프레스부(C))(press part (C))
프레스부(C)는, 몰드 금형(19)(도 2a 참조)을 개폐 구동하여 프리히트된 워크를 클램프하여 수지 몰드하는 프레스 장치(6)를 구비한다. 프레스 장치(6)는, 후술하는 몰드 금형(19)을 형 개폐 방향으로 압동(壓動)하는 프레스 기구, 몰드 금형(19)의 포트(35) 내에서 용융한 수지를 포트(35)로부터 캐비티 오목부(32)(도 2a 참조)에 충전하는 트랜스퍼 기구를 구비한다.The press unit C includes a
프레스 장치(6)는, 캐비티 피스(23)(도 2a 참조)를 형 개폐 방향으로 압동 하는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 및 워크 지지부(37)(도 2a 참조)를 형 개폐 방향으로 압동하는 판 두께 가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는, 예를 들면 상형의 인서트 부재(캐비티 피스(23))를 형 개폐 방향으로 압동함으로써 캐비티 오목부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가변으로 하는 상형 구동부(7)를 구비한다. 이 상형 구동부(7)는, 1개의 기판에 대하여 설치되는 캐비티의 수(환언하면, 캐비티 피스(23)의 수)만큼 후술하는 서보 모터(31)를 갖고, 캐비티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방형의 기판(1)에 있어서,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수지 밀봉 영역을 형성할 때에는 동일한 수(이 경우, 3개)의 서보 모터(31)와 후술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The
또, 판 두께 가변 기구는, 하형의 인서트 부재(워크 지지부(37))를 형 개폐 방향으로 압동하는 하형 구동부(8)를 구비한다(도 2a 참조). 워크(1)에 따라서는 몰드 수지를 캐비티에 주입하기 전에,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와 판 두께 가변 기구의 동작량을 조정하여 캐비티 오목부(32)의 형 개폐 방향의 높이 위치를 상대적으로 소정 위치가 되도록 설정한다. 즉, 몰드 수지를 캐비티에 주입하기 전에,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맞추어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를 설정함과 함께, 기판(1)의 두께에 맞추어 판 두께 가변 기구를 설정한다.Moreover, the plate|board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lower mold|di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몰드 금형의 금형면(수지 몰드면)을 릴리스 필름(10)에 의해 피복하여 수지 몰드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레스 장치(6)는, 몰드 금형의 금형면에 릴리스 필름(10)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 기구(9)를 구비한다. 필름 공급 기구(9)는, 몰드 금형의 양측에 릴리스 필름(10)을 금형면(상형면)에 공급하는 공급 롤(9a)과, 릴리스 필름(10)을 권취하는 권취 롤(9b)을 구비한다. 단, 몰드 금형의 금형면을 릴리스 필름(10)에 의해 피복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릴리스 필름(10)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캐비티 피스(23)의 외주에 수지나 금속제의 링 형상의 시일 부재를 배치하고, 당해 시일 부재의 열 팽창에 의해 후술하는 상형 인서트 블록(26)과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이 간극으로부터의 수지의 누출을 방지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method of coat|covering the metal mold|die surface (resin mold surface) of a mold metal mold|die with the
(성형품 수납부(D))(Molded part receiving part (D))
성형품 수납부(D)는, 수지 몰드 후의 성형품(11)을 세트하는 세트부(12), 성형품(11)으로부터 게이트 등의 불필요 수지를 제거하는 게이트 브레이크부(13), 불필요 수지가 제거된 성형품(11)을 수납하는 수납부(14)를 구비한다. 성형품(11)은 수납용의 매거진(15)에 수납되고, 성형품이 수납된 매거진(15)은 스토커에 순차적으로 수용된다.The molded article accommodating part D includes a
(반송 기구(E))(Transfer mechanism (E))
반송 기구(E)는, 워크를 프레스부(C)에 반입하는 로더(16) 및 성형품(11)을 프레스부로부터 반출하는 언로더(17)를 구비하고 있다. 워크 공급부(A), 예열부(B), 프레스부(C) 및 성형품 수납부(D)는, 유닛화된 가대(架臺)끼리가 연결되어 수지 몰드 장치가 조립되어 있다. 각 유닛의 장치 깊이측에는 가이드부(18)가 각각 설치되고, 가이드부(18)끼리를 직선적으로 연결하도록 조립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로더(16) 및 언로더(17)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각각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더(16)와 언로더(17)는, 가이드부(18) 상의 소정 위치로부터 워크 공급부(A), 예열부(B), 프레스부(C), 성형품 수납부(D)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conveyance mechanism E is equipped with the
따라서, 유닛의 구성을 바꿈으로써, 가이드부(18)끼리를 연결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지 몰드 장치의 구성 태양(態樣)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예는, 프레스 장치(6)를 2대 설치한 예이지만, 프레스 장치(6)가 단수 또는 3대 이상의 복수 대 연결된 수지 몰드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액상 수지 공급부(F)를 복수 대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Therefore,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a unit,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resin mold apparatus can be changed, maintaining the state which connected the
수지 몰드 동작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워크 공급부(A)에 있어서 세트대(2)에 세트되어 있는 워크(기판(1))는, 로더(16)에 의해서 집어 들어져 유지한 채 가이드부(18)를 따라서 예열부(B)로 이동하여, 수지 몰드되기 전에 예비 가열된다.An outline of the resin mol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work (substrate 1) set on the set table 2 in the work supply unit A is picked up by the
한편, 프레스 장치(6)로부터, 언로더(17)가 수지 몰드 후의 성형품(11)을 취출하는 동작과 병행하여, 로더(16)는 가이드 레일 상을 이동하여 태블릿 공급부(4)로부터 수지 태블릿(3)을 집어듦과 함께, 예열부(B)로부터 기판(1)을 집어든다. 계속해서, 로더(16)는, 프레스 장치(6)의 측방까지 이동하여, 당해 프레스 장치(6) 내에 진입하여 기판(1)과 수지 태블릿(3)을 형 개방한 몰드 금형에 공급한다. 기판(1) 및 수지 태블릿(3)은 몰드 금형에 설치된 히터(도시 생략)에 의해서 가열된다. 프레스 장치(6)로부터 로더(16)가 퇴출한 후, 몰드 금형(19)(도 3c 참조)에 의해 워크가 클램프되고, 반도체 칩(5)을 수용하여 캐비티를 형성하는 캐비티 오목부(32)(도 3d 참조)에 용융한 몰드 수지가 충전되어 반도체 칩(5)이 수지 몰드된다.On the other han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in which the
수지 몰드 후, 형 개방한 몰드 금형에 프레스 장치(6)의 측방으로부터 언로더(17)가 진입하여, 성형품을 집어들어 프레스 장치(6)로부터 성형품(11)을 반출한다. 반출된 성형품(11)은, 언로더(17)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여 성형품 수납부(D)의 세트부(12)에 옮겨 탑재되고, 이어서 세트부(12)로부터 게이트 브레이크부(13)로 이송되어 게이트 브레이크되어 불필요 수지가 제거되고, 수납부(14)에 성형품(11)이 수납된다. 또한, 몰드 수지로서 액상 수지를 이용하는 때에는, 성형품(11)의 두께 측정부를 설치하여 수지 몰드 부분의 두께를 측정하여 당해 수지 몰드 부분의 두께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공급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The
이상과 같이, 워크 공급부(A)로부터 순차적으로 기판(1)을 공급함과 함께, 기판(10)은 프레스부(C)에 있어서 수지 몰드되고, 성형품 수납부(D)에 성형품(11)이 수납된다.As mentioned above, while supplying the board|
본 실시 형태의 수지 몰드 장치에 있어서는, 워크(기판(1) 및 반도체 칩(5))의 두께에 대응시켜 클램프하도록 몰드 금형을 구동하고 나서 수지 몰드함으로써, 금형 클램프에 의해 워크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가급적 줄여 수지 버를 생기게 하지 않고, 고정밀도로 수지 몰드할 수 있다.In the resin mo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driving the mold die so as to clamp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orkpiece (the
다음으로, 수지 몰드 장치에 구비하는 몰드 금형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몰드 금형(19)은 상형(20)(일방의 금형)과 하형(21)(타방의 금형)을 구비하고 있다.Next, the structure of the mold metal mold|die with which the resin molding apparatus is equipped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The mold die 19 is provided with the upper die 20 (one die) and the lower die 21 (the other die).
도 2a를 참조하여 상형(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형(20)은 상형 체이스 블록(22)에 캐비티 저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피스(23)가 스프링(24)을 개재하여 매달기 지지되어 있다. 캐비티 피스(23)의 워크 맞닿음면과 반대면에는 테이퍼면(23a)이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 피스(23)는, 상형 체이스 블록(22)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의 테이퍼면(25a)에 테이퍼면(23a)을 맞겹치도록 지지되어 있다(웨지 기구).The configuration of the
또, 상형 체이스 블록(22)에는, 상형 인서트 블록(26)(제 1 인서트)이 강체(剛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캐비티 피스(23)는, 상형 인서트 블록(26)에 형성되는 캐비티 오목부의 저부를 형성하도록 관통 구멍(26a)에 삽입되어 매달기 지지되어 있다. 또, 캐비티 피스(23)를, 스프링(24)이 자연 길이보다 신장된 상태(복원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에 지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 캐비티 피스(23)는,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과 테이퍼면끼리가 맞닿음으로써 리지드하게(강체적으로) 지지된다. 상형 인서트 블록(26)에는, 캐비티 오목부(32)를 형성하는 오목부(26b)나 상형 컬(cull)(26c), 상형 런너(26d) 등의 수지로나 상형 클램프면에 더미 캐비티(26e)가 각설(刻設)되어 있다. 또한, 더미 캐비티(26e)와 캐비티 오목부(32)를 접속하는 홈부(스루 게이트)의 깊이는, 플립 칩 실장된 반도체 칩(5)이라면 기판(1)과의 간극(환언하면, 언더필되는 부분)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캐비티(26e)로의 수지의 충전보다 반도체 칩(5) 아래로의 언더필을 우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상형 인서트 블록(26)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상형 체이스 블록(22)의 내벽면과의 간극을 폐지하는 상형 시일 링(27)이 설치되어 있다. 상형 시일 링(27)은, 후술하는 2 계통의 감압 장치(29, 58)에 의한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즉, 상형 시일 링(27)에 의한 릴리스 필름(10)의 흡인과, 감압 장치(58)에 의한 캐비티를 감압하는 공간을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die insert block 26 (first insert) is supported by the upper
상형 체이스 블록(22)에는 상형 흡인로(28)가 설치되어 있다. 상형 흡인로(28)는 감압 장치(29)에 접속되어 있다. 상형 체이스 블록(22)과 상형 인서트 블록(26)과의 간극, 상형 인서트 블록(26)과 캐비티 피스(23)와의 간극 및 상형 인서트 블록(26)의 클램프면에 형성된 흡인 구멍(도시 생략)은 상형 흡인로(28)와 접속되어 감압 장치(29)에 접속된다. 릴리스 필름(10)은 상형 클램프면에 형성된 흡인 구멍(도시 생략), 캐비티 피스(23)와 상형 인서트 블록(26)과의 간극을 이용한 흡인 기구에 의해 캐비티 피스(23)를 포함하는 상형 클램프면에 흡착 유지된다. 릴리스 필름(10)으로서는, 몰드 금형(19)의 가열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것으로, 금형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으로서, 유연성, 신전성(伸展性)을 갖는 필름재, 예를 들면, PTFE, ETFE, PET, FEP, 불소 함침 유리 크로스,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딘 등이 적절하게 이용된다.The upper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은, 캐비티 피스(23)를 향하여 판 두께가 감소(또는 증가)하도록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진 테이퍼면(25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은, 나사 축(30)을 개재하여 서보 모터(31)에 연결되어 있다(상형 구동부(7)). 서보 모터(31)를 소정 방향으로 기동하면, 나사 축(30)을 통하여 나사 감합(嵌合)하는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이 상형 체이스 블록(22)의 저부를 따라서 진퇴 이동한다. 이에 의해, 캐비티 피스(23)가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캐비티 오목부(32)의 형 개폐 방향의 높이 위치(상면부)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보 모터(31)는, 상형(20)에 있어서 가열되는 형의 벽면에 대하여 이간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서보 모터(31)는, 형에 의한 가열의 방지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나사 축(30)과의 연결을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first movable tapered
다음으로, 도 2a를 참조하여 하형(2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형(21)은, 구동원(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전달 기구(토글 링크 등의 링크 기구또는 나사 축 등)를 개재하여 하형 체이스 블록(33)을 탑재하는 하형 가동 플래튼을 승강시키는 공지의 형 체결 기구에 의해서 형 개폐가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 3개 이상의 볼 나사 기구에 의해 하형 가동 플래튼의 각부(角部)를 지지하여 구동량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상형을 지지하는 고정 플래튼에 대한 하형 가동 플래튼의 경사를 보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하형(21)의 승강 동작은 이동 속도나 가압력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몰드 수지를 캐비티 오목부(32)에 충전하는 동작 및 후술하는 잉여 수지를 캐비티 오목부(32)로부터 눌러 되돌리는 동작에 있어서 몰드 수지의 유동 속도나 수지 압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형 체결 기구에 의해서 이들을 제어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A, the structure of the lower mold|
하형 체이스 블록(33)에는, 하형 인서트 블록(34)(제 2 인서트)이 조립되어 있다. 하형 인서트 블록(34)의 중앙부에는 몰드 수지(수지 태블릿(3))가 장전되는 통 형상의 포트(35)가 조립되어 있다. 하형 인서트 블록(34)의 상단면은, 포트(35)의 상단면과 동일 면에 형성되어 있다. 포트(35) 내에는 공지의 트랜스퍼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플런저(36)가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36)는, 복수의 포트(35)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지지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는 멀티 플런저가 이용된다. 각 플런저(36)의 지지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각 플런저(36)는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약간 변위하여 과잉의 가압력을 회피함과 함께 보압시에는 태블릿의 수지량의 불균일에 순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A lower mold insert block 34 (second insert) is assembled to the lower
하형 체이스 블록(33)의 상면에는 하형 인서트 블록(34)의 양측에 인접하여 워크가 탑재되는 워크 지지부(3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워크는, 기판(1)의 한쪽 면에 반도체 칩(5)이 실장된 한쪽 면 몰드용의 제품이 이용된다. 워크 지지부(37)는, 하형 체이스 블록(33)의 상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8)에 의해서 플로팅 지지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워크 지지부(37)와 하형 체이스 블록(33)의 사이에는, 고정 테이퍼 블록(57)과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이 맞겹쳐 설치되어 있다. 고정 테이퍼 블록(57)의 하면에 형성된 테이퍼면(57a)과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퍼면(39a)를 맞겹친 상태에서 하형 체이스 블록(33) 상에 지지되어 있다(웨지 기구). 워크 지지부(37)는, 스프링(38)이 자연 길이보다 줄어든 상태(탄발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지지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은, 나사 축(40)을 개재하여 서보 모터(41)에 연결되어 있다(하형 구동부(8)). 서보 모터(41)를 소정 방향으로 기동하면, 나사 축(40)을 통하여 나사 감합하는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이 하형 체이스 블록(33)의 저부를 따라서 진퇴 이동한다. 이에 의해, 워크(기판(1))의 판 두께에 따라서 워크 지지부(37)의 형 개폐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여, 예를 들면 기판 상면이 하형 클램프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즉, 기판(1)의 두께에 관계없이 기판(1)의 상면이 하형 클램프면으로부터 동일량만큼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기판(1)을 파손하지 않고 수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클램프 상태가 된다. 워크 지지부(37)는, 고정 테이퍼 블록(57)에 의해 리지드하게 지지되지만, 고정 테이퍼 블록(57)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프링(38)의 휨에 의해 기판(1)의 과도한 클램프력을 가하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다. 또한, 워크(기판(1))의 두께에 따라서, 두께가 다른 워크 지지부(37)를 교환하여 판 두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워크 지지부(37)에 도시하지 않은 흡인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열됨으로써 왜곡이 발생하기 쉬운 기판(1)이더라도 워크 지지부(37)에 흡착함으로써 평탄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클램프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얇고 휨이 발생하기 쉬운 기판(1)이더라도 확실하게 유지하여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확실하게 클램프할 수 있다.Between the
또, 하형 체이스 블록(33)(하형(21))의 외주 위치에는, 하형 시일 링(42)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형 체이스 블록(33)에는 하형 흡인로(43)가 설치되어 있다. 하형 흡인로(43)는 감압 장치(58)에 접속되어 있다. 하형 흡인로(43)는 하형 시일 링(42)으로부터 내주측에 개구하고 있다.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하면, 상형 체이스 블록(22)과 하형 체이스 블록(33)이 하형 시일 링(42)을 사이에 두는 상태가 되어, 상형(20)과 하형(21) 사이에 외주가 폐쇄된 폐쇄 공간이 형성된다. 감압 장치(58)를 기동하면 하형 흡인로(43)를 통하여 감압 공간이 형성된다.Moreover, the lower mold|
여기서, 상기 몰드 금형(19)의 수지 몰드 동작에 따른 개폐 동작에 대하여 도 2a 및 도 2b, 도 3c 및 도 3d, 도 4e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a는 몰드 금형(19)이 형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형 클램프면에는, 감압 장치(29)가 작동하여 릴리스 필름(10)이 흡착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워크(기판(1) 및 반도체 칩(5))의 두께에 따라서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하기 전에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 및 판 두께 가변 기구의 동작량을 미세 조정한다.Here,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in molding operation of the mold die 1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3C, 3D, and 4E. 2A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ld die 19 is mold-opened. On the upper die clamp surface, the
즉,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맞추어 서보 모터(31)를 기동하여 나사 축(30)을 통하여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을 어느 일방으로 슬라이드(전진 이동 또는 후퇴 이동)시켜, 캐비티 피스(23)가 반도체 칩(5)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가압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조정해 둔다.That i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또, 기판(1)의 판 두께에 맞추어 서보 모터(41)를 기동하여 나사 축(40)을 통하여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을 어느 일방으로 슬라이드(전진 이동 또는 후퇴 이동)시켜, 워크 지지부(37)가 기판(1)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조정해 둔다.Further, in accordance with the plate thickness of the
다음으로, 도 2b에 있어서, 형 개방한 몰드 금형(19)의 하형(21)에 로더(16)(도 1 참조)에 의해 워크가 공급된다. 즉, 워크 지지부(37)에는 반도체 칩(5)이 실장된 기판(1)이 반입되며, 포트(35)에는 수지 태블릿(3)이 장전된다. 이 때, 워크 지지부(37)는, 하형 구동부(8)에 의해 미리 판 두께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1)이 하형 클램프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반도체 칩(5)은 와이어 본딩 실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캐비티 피스(23)에서는 반도체 칩(5)에 있어서의 와이어가 본드된 내측의 평탄 부분에 대하여 클램프할 수 있는 돌기 형상으로 함으로써, 반도체 칩(5)이 와이어 본딩 실장된 워크이더라도 클램프하여 성형할 수 있다.Next, in FIG. 2B , the work is supplied by the loader 16 (refer to FIG. 1 ) to the
다음으로, 도 3c에 있어서, 하형(21)을 상승시켜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한다. 이 때, 금형 클램프 동작에 앞서 또는 클램프 동작 개시와 함께 감압 장치(58)가 작동하여 하형 흡인로(43)로부터 흡인 동작을 개시해도 된다. 상형 체이스 블록(22)이 하형 시일 링(42)에 맞닿으면, 상형(20)과 하형(21) 사이에 폐쇄 공간이 형성되어, 하형 흡인로(43)로부터의 흡인 동작에 의해 감압 공간이 형성된다.Next, in FIG. 3C, the
클램프 동작이 더 진행되어 하형 인서트 블록(34) 및 기판(1)에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맞닿고, 캐비티 피스(23)가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반도체 칩(5)에 맞닿으면, 클램프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한 후에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 및 판 두께 가변 기구의 동작량을 미세 조정해도 된다.The clamping operation proceeds further, so that the
다음으로, 도 3d에 있어서, 트랜스퍼 기구를 작동시켜, 플런저(36)를 밀어 올려 용융한 몰드 수지를 상형 컬(26c), 상형 런너(26d)를 통하여 캐비티 오목부(32)에 압송한다. 이 때, 반도체 칩(5)의 상면은 캐비티 피스(23)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플립 칩 실장된 반도체 칩(5)이라면 기판(1)과의 사이에 용융 수지를 유도하여 언더필할 수 있다. 즉, 몰드 금형(19) 내에서 언더필을 행하는 몰드 언더필(MUF)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언더필하는 반도체 칩(5) 바로 아래의 영역에 충전되는 용융 수지에 보이드가 있더라도 캐비티 오목부(32)로부터 더미 캐비티(26e)로 몰드 수지를 오버플로우시킴으로써 보이드를 눌러 흐르게 하여 캐비티 내의 수지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몰드 수지에 혼입된 기포는, 수지보다 우선하여 흐르게 됨으로써 오버플로우시킨 후에 도시하지 않은 에어 벤트를 개재하여 감압 공간으로 배출되어 하형 흡인로(43)로부터 흡인되어 배기시켜도 된다. 또, 판 두께 가변 기구의 동작에 의해 기판(1)의 두께에 관계없이 균일한 깊이의 홈부를 개재하여 더미 캐비티(26e)에 몰드 수지를 눌러 흐르게 할 수 있다. 즉, 기판(1)의 재질에 따라서는 클램프력으로 변형되어 홈부 내로 부풀어올라, 단면적을 좁게 해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워크마다 두께에 불균일이 있더라도 더미 캐비티(26e)로 몰드 수지를 확실하게 오버플로우시키면서 수지 누설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워크의 두께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보이드를 배출할 수 있어, 성형 품질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Next, in Fig. 3D, the transfer mechanism is operated, the
도 4e는 기판(1)에 실장된 반도체 칩(5)의 몰드 언더필을 행할 뿐만 아니라, 당해 반도체 칩(5)을 노출시키지 않고 오버몰드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이 공정은 워크의 제품 요건에 따라서 임의로 실시할 수 있다. 도 3d에 있어서, 플립 칩 실장된 반도체 칩(5)이라면 언더필 몰드가 행해진 후, 즉, 더미 캐비티(26e)로 몰드 수지를 오버플로우시킨 후, 상형 구동부(7)를 기동하여 캐비티 피스(23)를 상승시켜 캐비티 오목부(32)의 용적을 확대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보 모터(31)를 기동하여 나사 축(30)을 통하여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을 캐비티 피스(23)의 평면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캐비티 피스(23)가 테이퍼면(25a)의 경사를 따라서 상승하여, 반도체 칩(5)과의 사이에 간극(캐비티 용적)이 형성되어 몰드 수지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미리 언더필 공정을 행한 후에 오버몰드 공정을 행함으로써, 동시에 이들 공정을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언더필에 있어서의 미충전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Fig. 4E shows a process of overmolding the
또한, 언더필에 있어서의 충전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캐비티 피스(23)의 상하 운동을 반복해도 된다. 이 경우, 서보 모터(31)를 정·역 회전 구동하여 나사 축(30)을 통하여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을 진퇴 이동시킴으로써, 즉, 도 3d와 도 4e의 상태가 반복된다. 또, 동시에 플런저(36)의 상하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수지를 캐비티 오목부(32)로부터 포트(35)측으로 밀어 되돌리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몰드 수지의 유동량을 많게 함으로써 간극인 공간부에 충전되기 쉬워진다. 또한, 후술의 실시예와 같이, 형 폐쇄 동작에 의해 캐비티 피스(23)의 높이를 가변으로 하는 구성을 이용할 때에는, 재빨리 반복을 행할 수 있어, 충전성이 높은 성형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filling property in underfill, you may repeat the vertical motion of the
상기 몰드 금형(19)을 이용하면, 기판의 두께에 불균일이 있더라도, 판 두께 조정 기구에 의해 워크 지지부(37)의 높이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기판(1) 상면을 금형 클램프면과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어, 기판(1)으로부터의 반도체 칩(5)의 높이(적층된 높이를 포함한다)에 워크마다의 불균일이 있더라도, 캐비티 피스 조정 기구에 의해 캐비티 피스(23)의 높이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성형 두께가 일정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워크(기판(1), 반도체 칩)의 두께 방향의 불균일의 유무나 불균일 양의 대소에 관계없이, 워크에 과대한 스트레스가 작용하지 않고 형 체결 밸런스를 안정시켜 클램프할 수 있다. 캐비티 피스(23)와 워크 지지부(37)의 쌍방에 형 개폐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웨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캐비티 피스(23) 및 워크 지지부(37)의 형 개폐 방향의 위치 제어를 고정밀도화할 수 있으므로, 금형 클램프시에 워크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가급적 저감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성형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evennes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orkpiece (
또, 캐비티 오목부(32)로 충전되는 몰드 수지에 발생한 보이드를 더미 캐비티로 눌러 흐르게 하여 성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언더필 몰드를 행할 때의 수지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voids generated in the mold resin filled with the cavity
따라서, 성형 두께가 균일하고 플래시 버가 생기지 않는, 성형 품질을 높인 수지 몰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in mold apparatus with a uniform molding thickness and no flash burrs, with improved molding quality.
[실시예 2][Example 2]
다음으로, 수지 몰드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치 구성은 공통되어 있으므로, 주로 몰드 금형의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a resin mold apparatus is demonstrated. Since the device configuration is common,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points of the mold. The same number is attached|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Example 1, and description shall be invoked.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상형(20)과 하형(21) 사이에 중간 플레이트(44)를 개재시켜 수지 몰드를 행하는 점이 상이하다. 중간 플레이트(44)에는, 포트(35)에 연통하는 제 1 관통 구멍(44a)과 상형 런너(26d)에 연통하는 게이트(44b)(수지로)와, 게이트(44b)가 연통하는 반도체 칩(5)을 수용하는 제 2 관통 구멍(44c)(캐비티에 상당)과, 제 2 관통 구멍(44c)과 더미 캐비티(26e)를 연통하는 스루 게이트(44d)(수지로)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플레이트(44)는, 예를 들면 판 두께가 워크의 반도체 칩(5)의 높이에 합치하고, 수지 몰드 영역이 제 2 관통 구멍(44c)에 합치한 것이 이용된다.5A and 5B, the difference is that the resin molding is performed by interposing the
도 5a에 있어서, 전제로서, 워크 측정부(B)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서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맞추어 서보 모터(31)를 기동하여 나사 축(30)을 통하여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을 어느 일방으로 슬라이드(전진 이동 또는 후퇴 이동)시켜, 캐비티 피스(23)가 반도체 칩(5)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가압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미리 조정해 둔다.In FIG. 5A, as a premis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in the workpiece measurement part B, the
또, 기판(1)의 판 두께에 맞추어 서보 모터(41)를 기동하여 나사 축(40)을 통하여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을 어느 일방으로 슬라이드(전진 이동 또는 후퇴 이동)시켜, 워크 지지부(37)가 기판(1)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미리 조정해 둔다.Further, in accordance with the plate thickness of the
이어서, 로더(16)에 의해서, 기판(1)을 워크 지지부(37)에 탑재하여 수지 태블릿(3)을 포트(35)에 장전한 후, 중간 플레이트(44)를 기판(1)의 외주 단부와 하형 인서트 블록(34)과의 간극에 걸쳐 하형 클램프면에 맞겹친다. 이 때, 중간 플레이트(44)는, 제 1 관통 구멍(44a)은 포트(35)와 위치맞춤되어, 제 2 관통 구멍(44c) 내에 반도체 칩(5)이 수용되도록 위치맞춤되어 하형 클램프면에 탑재된다. 중간 플레이트(44)는, 공급 유닛을 설치하여 독자의 반송 기구에 의해서 몰드 금형(19)으로 공급해도 되지만, 로더(16)에 의해서 수지 태블릿(3)과 함께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Next, by the
이어서, 하형(21)을 상승시켜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한다. 상형 체이스 블록(22)이 하형 시일 링(42)에 맞닿으면, 상형(20)과 하형(21) 사이에 폐쇄 공간이 형성되어, 하형 흡인로(43)로부터의 흡인 동작에 의해 감압 공간이 형성된다. 클램프 동작이 더 진행되어 중간 플레이트(44)에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맞닿고, 캐비티 피스(23)가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반도체 칩(5)에 맞닿으면, 클램프 동작이 완료된다.Next, the
다음으로, 도 5b에 있어서, 트랜스퍼 기구를 작동시켜, 플런저(36)를 밀어 올려 용융한 몰드 수지를 제 1 관통 구멍(44a), 상형 컬(26c), 상형 런너(26d), 게이트(44b)를 통하여 제 2 관통 구멍(44c)에 압송한다. 이 때, 용융된 몰드 수지는, 중간 플레이트(44)의 상면을 통과함으로써 기판(1)과 형의 간극에 걸쳐, 캐비티를 구성하는 제 2 관통 구멍(44c)에 직접 주입된다. 또, 플립 칩 실장된 반도체 칩(5)이라면 그 상면은 캐비티 피스(23)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반도체 칩(5)과 기판(1) 사이에 용융 수지를 유도하여 언더필 몰드를 행할 수 있다. 또, 제 2 관통 구멍(44c)으로부터 스루 게이트(44d)를 통하여 더미 캐비티(26e)로 몰드 수지를 오버플로우시킴으로써 보이드(미충전)를 눌러 흐르게 하여 캐비티 내의 수지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Next, in Fig. 5B, the transfer mechanism is operated, the
이 경우, 기판(1)에 런너나 더미 캐비티 등과 같이 몰드 후에 박리할 필요가 있는 부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금 도금은 불필요하게 되어, 기판(1)과 하형 인서트 블록(34)과의 간극에 몰드 수지가 누설되어 금형의 슬라이딩 불량을 일으킬 우려도 없어진다.In this case, gold plating for facilitating peeling of portions that need to be peeled off after molding, such as a runner or a dummy cavity, on the
[실시예 3][Example 3]
다음으로, 수지 몰드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치 구성은 공통되어 있으므로, 주로 몰드 금형의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a resin mold apparatus is demonstrated. Since the device configuration is common,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points of the mold. The same number is attached|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Example 1, and description shall be invoked.
본 실시예는, 중간 플레이트(44)를 이용하고 있는 점은 실시예 2와 동일하지만, 상형(20)에 스위블 기구(45)가 부가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가동 테이퍼 블록(25)과 반도체 칩(5)에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맞닿는 캐비티 피스(23)와의 사이에 가이드 피스(46)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피스(46)는, 스프링(24)에 의해서 상형 체이스 블록(22)에 매달기 지지되어 있다. 캐비티 피스(23)와 가이드 피스(46) 사이, 즉, 워크 맞닿음과 반대면측에는, 스프링(24)보다 충분히 출력이 작은 가압 스프링(47)이 탄장(彈裝)되어 있어, 캐비티 피스(23)와 가이드 피스(46)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간극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지만, 캐비티 피스(23)와 가이드 피스(46)와의 슬라이딩 저항을 낮게 하여, 캐비티 피스(23)의 경동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하여 근소한 간극을 형성하는 편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캐비티 피스(23)의 가이드 피스(46)와 대향하는 대향면 중앙부에는 볼록면부(23d)(가이드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캐비티 피스(23)와 대향하는 가이드 피스(46)의 대향면 중앙부에는 볼록면부(23d)와 감합하는 오목면부(가이드면부; 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 피스(23)는,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복수(또는 단수)의 반도체 칩(5)에 맞닿으면, 당해 반도체 칩(5)의 높이의 불균일(경사)에 따라서 적당한 경사 상태가 되고, 볼록면부(23d)를 중심으로 하여 경동한 상태에서 가압한다. 상형(20)과 하형(21)의 클램프가 완료되면, 캐비티 피스(23)와 가이드 피스(46) 사이의 가압 스프링(47)은 압축되어 볼록면부(23d)와 오목면부(도시 생략)가 감합하여 간극이 해소된 리지드(강체적)인 상태에서 클램프된다. 이 경우, 볼록면부(23d)를 구면(球面)으로 구성하여, 이 구면의 중심을 캐비티 피스(23)에 있어서 반도체 칩(5)을 향하게 된 단면에 일치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캐비티 피스(23)가 경사지게 하면서 반도체 칩(5)을 클램프하더라도 당해 반도체 칩(5)에 전단 방향의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단, 볼록면부(23d)를 가이드 피스(46)측에 형성해도 된다.A
도 6a에 있어서, 전제로서, 워크 측정부(B)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서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맞추어 서보 모터(31)를 기동하여 캐비티 피스(23)가 반도체 칩(5)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가압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미리 조정해 둔다. 마찬가지로 기판(1)의 판 두께에 맞추어 서보 모터(41)를 기동하여 워크 지지부(37)가 기판(1)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미리 조정해 둔다.In FIG. 6A , as a premis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in the workpiece measuring unit B, the
이어서, 로더(16)에 의해서, 기판(1)을 워크 지지부(37)에 탑재하여 수지 태블릿(3)을 포트(35)에 장전한 후, 중간 플레이트(44)를 기판(1)의 외주 단부와 하형 인서트 블록(34)과의 간극에 걸쳐 하형 클램프면에 맞겹친다.Next, by the
이어서, 하형(21)을 상승시켜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한다. 상형 체이스 블록(22)이 하형 시일 링(42)에 맞닿으면, 상형(20)과 하형(21) 사이에 폐쇄 공간이 형성되어, 하형 흡인로(43)로부터의 흡인 동작에 의해 감압 공간이 형성된다. 클램프 동작이 더 진행되어 중간 플레이트(44)에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맞닿고, 캐비티 피스(23)가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반도체 칩(5)에 맞닿으면, 스위블 기구(45)에 의해서 캐비티 피스(23)가 볼록면부(23d)를 중심으로 경동한 채, 클램프 동작이 완료된다.Next, the
다음으로, 도 6b에 있어서, 트랜스퍼 기구를 작동시켜, 플런저(36)를 밀어 올려 용융된 몰드 수지를 제 1 관통 구멍(44a), 상형 컬(26c), 상형 런너(26d), 게이트(44b)를 통하여 제 2 관통 구멍(44c)에 압송한다. 이 때, 반도체 칩(5)의 상면은 캐비티 피스(23)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플립 칩 실장된 반도체 칩(5)이라면 기판(1)과의 사이에 용융 수지를 유도하여 언더필 몰드를 행할 수 있다.Next, in Fig. 6B, by operating the transfer mechanism, the
또, 제 2 관통 구멍(44c)으로부터 스루 게이트(44d)를 통하여 더미 캐비티(26e)로 몰드 수지를 오버플로우시킴으로써 보이드를 눌러 흐르게 하여 캐비티 내의 수지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by overflowing the mold resin from the second through
이상으로부터, 기판(1)에 실장된 반도체 칩(5)에 경사가 생겨 있더라도, 캐비티 피스(23)와 릴리스 필름(10)을 통하여 치우쳐서 닿지 않고 반도체 칩(5)의 경사에 따라서 캐비티 피스(23)가 경동하므로, 반도체 칩(5)에 스트레스가 생기는 일은 없고 칩이 손상되거나 파손되거나, 플래시 버가 발생하거나 할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성형 품질이 향상한다. 또, 이와 같이 캐비티 피스(23)를 경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와 FWD(Free Wheeling Diode)를 한 쌍의 리드 프레임 사이에 끼워넣어 인버터를 구성하는 패키지와 같이, 다른 소자를 끼워넣어 구성되기 때문에 한 쌍의 리드프레임이 기울어지기 쉬운 워크이더라도 플래시 버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성형례에 있어서는, 하측에 배치된 리드 프레임이 본 발명의 「제 1 부재」에 상당하고, IGBT, FWD 및 상측에 배치된 리드 프레임이 본 발명의 「제 2 부재」에 상당한다.From the above, even if an inclination occurs in the
[실시예 4][Example 4]
다음으로, 수지 몰드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치 구성은 공통되어 있으므로, 주로 몰드 금형의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a resin mold apparatus is demonstrated. Since the device configuration is common,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points of the mold. The same number is attached|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Example 1, and description shall be invoked.
도 7a에 있어서, 상형 인서트 블록(26)의 클램프면에 있어서, 기판 대향면으로부터 외측에 더미 캐비티(26e)가 설치되어 있다. 또, 더미 캐비티(26e)로부터 외주측의 클램프면에는,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하형 인서트 블록(34)의 클램프면을 가압함으로써 감압 동작을 정지시키는 폐지 핀(48)(폐지 수단)이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폐지 핀(48)은, 솔레노이드나 실린더 등의 구동 기구에 의해 진퇴 이동시켜도 된다.In Fig. 7A, on the clamp surface of the upp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더미 캐비티(26e)를 기판(1) 상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기판(1) 상의 성형품(11)의 개수를 늘려 기판(1)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희망하는 타이밍, 예를 들면 더미 캐비티(26e)가 오버플로우한 몰드 수지에 의해 채워진 상태에서, 몰드 금형(19) 내로부터 에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수지의 누출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더미 캐비티(26e)로부터 외주로 연장되어 캐비티로부터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벤트(도시 생략)를 깊게 형성함으로써 에어를 배출하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재빨리 확실하게 감압하여 미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또, 도 7b는, 중간 플레이트(44)를 이용한 실시예이지만, 더미 캐비티(44e)가 기판 대향면으로부터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더미 캐비티(44e)는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스루 게이트(44d)를 통하여 제 2 관통 구멍(44c)으로부터 오버플로우시켜 잉여 수지를 수용한다. 또, 상형 인서트 블록(26)에는, 더미 캐비티(44e)로부터 외주측의 클램프면에는,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중간 플레이트(44)의 클램프면을 가압하는 폐지 핀(4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더미 캐비티(44e)가 기판(1) 외에 형성되어 있으면, 더미 캐비티(44e) 및 캐비티 오목부(32)와 접속하는 홈부를 기판(1) 상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기판(1) 상의 성형품(11)의 개수를 늘려 기판(1)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더미 캐비티(44e)가 중간 플레이트(44)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형성되어 있으면, 더미 캐비티(44e)에 충전된 불필요 수지를 핀 등(도시 생략)에 의해 밀어내는 것만으로 이형할 수 있어, 불필요 수지의 이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더미 캐비티(26e)와 더미 캐비티(44e)의 양방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7B shows the embodiment using the
[제 5 실시예][Fifth embodiment]
다음으로, 수지 몰드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로 몰드 금형의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로서 캐비티 피스(23)가 웨지 기구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었지만,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티 피스(23)가 상형 체이스 블록(22)에 강체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스프링(49)에 의해 매달기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상형(20)에는, 웨지 기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하형(21)의 워크 지지부(37)와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에 의한 웨지 기구만이 설치되어 있다.Next, another example of a resin mold apparatus is demonstrated. It mainly describes the change points of the mold. The same number is attached|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Example 1, and description shall be invoked. In Examples 1 to 4, the
몰드 금형(19)의 클램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8a에 있어서, 기판(1)의 판 두께에 맞추어 서보 모터(41)를 기동하여 나사 축(40)을 통하여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을 어느 일방으로 슬라이드(전진 이동 또는 후퇴 이동)시켜, 워크 지지부(37)가 기판(1)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조정해 둔다. 이 상태에서 형 개방한 몰드 금형(19)의 하형(21)에 로더(16)(도 1 참조)에 의해 워크가 공급된다. 이 때, 워크 지지부(37)는, 하형 구동부(8)에 의해 미리 판 두께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1)이 하형 클램프면과 동일면 또는 하형 클램프면보다 약간 높아지도록 지지된다.When the clamping operation of the mold die 19 is described, in FIG. 8A , the
다음으로, 도 8b에 있어서, 하형(21)을 상승시켜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한다. 이 때, 금형 클램프 동작에 앞서 또는 클램프 동작 개시와 함께 감압 장치(58)가 작동하여 하형 흡인로(43)로부터 흡인 동작을 개시해도 된다. 상형 체이스 블록(22)이 하형 시일 링(42)에 맞닿으면, 상형(20)과 하형(21) 사이에 폐쇄 공간이 형성되어, 하형 흡인로(43)로부터의 흡인 동작에 의해 감압 공간이 형성된다.Next, in FIG. 8B, the lower mold|die 21 is raised and the mold metal mold|die 19 is mold-closed. At this time, prior to or together with the start of the clamping operation, the
클램프 동작이 진행되어 하형 인서트 블록(34) 및 기판(1)에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맞닿는다.The clamping operation proceeds so that the upper
클램프 동작이 더 진행되면,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하형 인서트 블록(34) 및 기판(1)에 맞닿은 채 스프링(49)이 압축되어, 캐비티 피스(23)가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반도체 칩(5)에 맞닿는다. 이 경우, 스프링(49)이 압축됨으로써 하형 가동 플래튼에 대하여 반력으로서 발생하는 클램프력을 검출하여, 소정의 클램프력이 되었을 때에 클램프 동작이 완료가 된다.As the clamping operation proceeds further, the
이에 의해, 캐비티 피스(23)가 상형 인서트 블록(2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하형 가동 플래튼을 승강하게 하는 형 체결 기구가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로서 기능한다. 계속해서, 트랜스퍼 기구를 작동시켜 플런저(36)를 밀어 올려, 용융된 몰드 수지를 압송하여 캐비티 오목부(32)에 주입한다. 이 경우, 몰드 수지를 캐비티 오목부(32)에 주입하기 전에 형 폐쇄 동작을 완료하는 것만으로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맞추어 캐비티 높이가 설정된다.Thereby, since the
또한, 기판(1)과 하형 인서트 블록(34)과의 간극을 해소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기판(1)을 외측으로부터 포트(35)측의 하형 인서트(34)의 벽면에 누르는 누름 기구나, 기판(1)을 물리적으로 변형시켜 간극을 없애는 찌그러뜨림 기구 등을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동성이 높은 몰드 수지의 누설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또, 캐비티 피스(23)는, 상형 체이스 블록(22)에 강체 상태로 지지되어 있었지만, 스프링을 개재하여 매달기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형 인서트 블록(26)을 상형 체이스 블록(22)에 강체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클램프 완료 전에 캐비티 피스(23)에 의해 반도체 칩(5)을 클램프한 후에 형 폐쇄를 완료하도록 해도 된다.Moreover, although th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몰드 금형(19)의 형 폐쇄 동작에 있어서 하형(21)을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따른 소정량 상승시키는 것만으로 캐비티 피스(23) 및/또는 상형 인서트 블록(26)(클램퍼)의 플로트 양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캐비티의 깊이 위치(기판(1)로부터 캐비티 피스(23)까지의 높이)를 조정하는 별도의 동작을 행하지 않고 설정할 수 있다. 즉,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맞추어 설정된 위치까지 하형(21)을 상승시키는 것만으로, 워크에 과대한 가압력을 걸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mold closing operation of the mold die 19, the
[실시예 6][Example 6]
다음으로, 수지 몰드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치 구성은 공통되어 있으므로, 주로 몰드 금형의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a resin mold apparatus is demonstrated. Since the device configuration is common,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points of the mold. The same number is attached|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Example 1, and description shall be invoked.
도 9a에 있어서, 캐비티 피스(23) 및 상형 인서트 블록(26)은, 상형 체이스 블록(22)에 스프링(24, 49)에 의해 각각 매달기 지지되어 있다. 또, 캐비티 피스(23)의 반도체 칩 맞닿음면은, 그 주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면부(23b)와 그 주위에 오목홈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상형(20)에는, 웨지 기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하형(21)의 워크 지지부(37)와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에 의한 웨지 기구만이 설치되어 있다.In FIG. 9A , the
몰드 금형(19)의 클램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9a에 있어서, 기판(1)의 판 두께에 맞추어 서보 모터(41)를 기동하여 나사 축(40)을 통하여 제 2 가동 테이퍼 블록(39)을 어느 일방으로 슬라이드(전진 이동 또는 후퇴 이동)시켜, 워크 지지부(37)가 기판(1)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조정해 둔다. 이 상태에서 형 개방한 몰드 금형(19)의 하형(21)에 로더(16)(도 1 참조)에 의해 워크가 공급된다. 이 때, 워크 지지부(37)는, 하형 구동부(8)에 의해 미리 판 두께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1)이 하형 클램프면과 동일면 또는 하형 클램프면보다 약간 높아지도록 지지된다.When the clamping operation of the mold die 19 is described, in FIG. 9A , the
다음으로, 도 9b에 있어서, 하형(21)을 상승시켜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한다. 이 때, 금형 클램프 동작에 앞서 또는 클램프 동작 개시와 함께 감압 장치(58)가 작동하여 하형 흡인로(43)로부터 흡인 동작을 개시해도 된다. 상형 체이스 블록(22)이 하형 시일 링(42)에 맞닿으면, 상형(20)과 하형(21) 사이에 폐쇄 공간이 형성되어, 하형 흡인로(43)로부터의 흡인 동작에 의해 감압 공간이 형성된다.Next, in FIG. 9B, the lower mold|die 21 is raised and the mold metal mold|die 19 is mold-closed. At this time, prior to or together with the start of the clamping operation, the
클램프 동작이 진행되어 하형 인서트 블록(34) 및 기판(1)에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맞닿는다. 또, 캐비티 피스(23)에 형성된 볼록면부(23b)가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각 반도체 칩(5)에 맞닿으면, 클램프 동작이 완료된다. 이 때, 캐비티 피스(23)가 반도체 칩(5)을,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기판(1)을 각각 가압하는 과대한 가압력은 스프링(24, 49)의 휨에 의해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칩(5)으로서 상면 발광의 LED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반도체 칩(5)의 상면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하면서 칩 상면으로의 플래시도 방지하면서 클램프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성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lamping operation proceeds so that the upper
도 9c에 있어서, 트랜스퍼 기구를 작동시켜, 플런저(36)를 밀어 올려 용융된 몰드 수지를 상형 컬(26c), 상형 런너(26d)를 통하여 캐비티 오목부(32)에 압송한다. 이 때, 각 반도체 칩(5)의 상면은 캐비티 피스(23)의 볼록면부(23b)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플립 칩 실장된 반도체 칩(5)이라면 기판(1)과의 사이에 용융 수지를 유도하여 언더필 몰드를 행할 수 있는데다가, 오목홈부(23c)에도 몰드 수지가 충전되어 각 반도체 칩(5)의 상면부를 둘러싸도록 수지 몰드된다. 캐비티 오목부(32)에 충전된 몰드 수지는 스루 게이트(26f)를 통하여 더미 캐비티(26e)로 오버플로우시킴으로써 보이드를 눌러 흐르게 하여 캐비티 내의 수지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Fig. 9C, the transfer mechanism is operated, th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도체 소자(5)로서 LED 소자의 발광면을 캐비티 피스(23)의 볼록면부(23b)에 의해 눌러 노출시킴과 함께 그 주위를 둘러싼 오목홈부(23c)에 점도가 낮은 실리콘 수지(백색 수지)를 충전하여 발광면을 둘러싼 리플렉터를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효율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로서 발광면의 주위의 높이를 높게 한 구성이 아니어도 되고, 발광면과 동일면이 되는 높이의 리플렉터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캐비티 피스(23)의 반도체 칩 맞닿음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LED element as the
[실시예 7][Example 7]
다음으로, 수지 몰드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a resin mold apparatus is demonstrated. The same number is attached|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Example 1, and description shall be invoked. Hereinafter, other configuration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몰드 장치에는, 기판 공급부(워크 공급부(A))와는 별도로, 액상 수지 공급부(F)가 프레스부(C)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상 수지 공급부(F)는 프레스부(C)끼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과 마찬가지로, 유닛화된 가대끼리를 가이드부(18)가 연속하도록 연결되어 수지 몰드 장치가 조립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liquid resin supply part F is provided adjacent to the press part C separately from the board|substrate supply part (workpiece supply part A) in the resin mold apparatus. Specifically, the liquid resin supply part F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 parts C comrades. As in Fig. 1, the unitized mounts are connected so that the
몰드 금형(19)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고 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예의 몰드 금형(19)이어도 된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old die 19 is described as being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mold die 19 of another embodiment may be used.
액상 수지 공급부(F)의 구성에 대하여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펜서(액상 수지 공급 장치)(50)는, 도시하지 않은 기대(基臺)와, 당해 기대에 설치된 이동 기구(레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와, 이동 기구에 설치된 이동대 상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기구를 갖고 있다. 디스펜서(50)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유지된 시린지(51)를 2대의 프레스 장치(6)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몰드 금형(19) 내로 진퇴 이동시켜 액상 수지를 공급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resin supply unit 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A . The dispenser (liquid resin supply device) 50 includes a base (not shown), a moving mechanism (including rails and the like) provided on the base, and a rotating mechanism rotatable on a moving table provided in the moving mechanism. has a The
디스펜서(50)는, 액상 수지가 충전된 시린지(51)와, 시린지(51)로부터 밀어내어지는 액상 수지가 흐르는 튜브(52)와, 튜브(52)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액상 수지를 포트(35)에 적하하는 적하 기구(53)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디스펜서 본체에 연직 방향으로 유지된 시린지(51)에 접속된 튜브(52)는, 연직 방향으로부터 대략 90도 수평 방향으로 구부려져 연장 설치되어 있다.The
또, 적하 기구(53)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연직 아래쪽 방향으로 구부려진 튜브(52)의 단부(공급구가 된다)에 설치되고, 튜브(52)를 끼워 눌러 폐지하는 핀치 밸브(54)와, 튜브 개구 하방으로 진퇴 이동 가능한 수지 받이부(55)와, 튜브(52)의 주위를 냉각하는 냉각 기구(56)를 갖고 있다. 핀치 밸브(54)는, 액상 수지를 적하할 때 이외에는 튜브(52)를 밀폐하여 액상 수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 수지가 외기에 닿아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튜브(52) 내로의 공기가 진입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수지 받이부(55)는 액상 수지를 적하할 때에는 튜브(52)의 개구 하방으로부터 퇴피하고, 그 이외에는 튜브(52)의 개구 하방에 위치하여 적하하는 액상 수지를 받는다. 수지 받이부(55)는 액상 수지의 적하를 방지하는 것 외에, 몰드 금형(19)으로 진입할 때에, 튜브(52)의 선단 개구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냉각 기구(56)는, 액상 수지 공급시, 고온의 프레스 장치(6)의 내부에 적하 기구(53)가 위치하였을 때에, 튜브(52)의 주위를 냉각하여 액상 수지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냉각 기구(56)는, 예를 들면, 튜브(52)를 수납하도록 설치된 박스체 내를 공랭이나 수냉의 냉각 수단에 의해서 냉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튜브(52)의 두께 내에 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액상 수지를 직접 냉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한 이들을 병용해도 된다. 또, 박스체 내에 펠티에 소자와 같은 냉각 소자(냉각 수단)를 설치하여 튜브(52)를 냉각해도 된다.The
다음으로, 디스펜서(50)의 액상 수지 공급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liquid resin supply operation of the
전제로서, 반도체 칩(5)의 높이에 맞추어, 서보 모터(31)를 기동하여 캐비티 피스(23)가 반도체 칩(5)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가압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미리 조정해 둔다. 마찬가지로 기판(1)의 판 두께에 맞추어, 서보 모터(41)를 기동하여 워크 지지부(37)가 기판(1)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는 높이 위치로 미리 조정해 둔다.As a premis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이어서, 로더(16)에 의해서, 기판(1)을 워크 지지부(37)에 공급한다. 또,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회전 기구를 작동시켜 디스펜서(50)를 공급하는 프레스 장치(6)를 향하여 회전시키고, 적하 기구(53)가 핀치 밸브(54)측을 선두로 하여 형 개방한 몰드 금형(19) 사이에 진입할 수 있도록 자세를 변경한다. 이 때, 핀치 밸브(54)는 폐쇄한 채이고 수지 받이부(55)는 튜브(52)의 개구 바로 아래를 폐쇄한 상태에 있다. 또, 냉각 장치(56)를 기동하여 튜브(52) 내의 액상 수지의 반응을 억제한 상태로 해 둔다.Next, the
다음으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디스펜서(50)를 공급하는 프레스 장치(6)를 향하여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 때, 적하 기구(53)가, 프레스 장치(6)의 형 개방한 몰드 금형(19)에 진입하여, 튜브(52)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치 밸브(54)가 포트(35)의 바로 위가 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수지 받이부(55)를 튜브(52)의 개구 하방의 위치로부터 퇴피시킨 후에, 핀치 밸브(54)를 개방하고, 시린지(51)로부터 1회의 수지 몰드에 필요한 액상 수지를 포트(35) 내에 적하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1B, a moving mechanism (not shown) is operated to move the
필요량의 액상 수지의 적하가 종료되면, 핀치 밸브(54)를 폐쇄하여 수지 받이부(55)를 튜브(52)의 개구 하방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를 작동시켜 디스펜서(50)를 공급이 끝난 프레스 장치(6)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적하 기구(53)가 몰드 금형(19)으로부터 퇴피시킨다.When the dripping of the required amount of liquid resin is finished, the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3c에 있어서, 하형(21)을 상승시켜 몰드 금형(19)을 형 폐쇄한다. 클램프 동작이 더 진행되어 하형 인서트 블록(34) 및 기판(1)에 상형 인서트 블록(26)이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맞닿고, 캐비티 피스(23)가 릴리스 필름(10)을 개재하여 반도체 칩(5)에 맞닿으면, 클램프 동작이 완료된다.Next, similarly to Example 1, in FIG. 3C, the
다음으로, 도 3d와 마찬가지로, 트랜스퍼 기구를 작동시켜, 플런저(36)를 밀어 올려 액상 수지를 상형 컬(26c), 상형 런너(26d)를 통하여 캐비티 오목부(32)에 압송하여 언더필 몰드를 행할 수 있다. 캐비티 오목부(32)에 충전된 액상 수지는 더미 캐비티(26e)로 오버플로우시킴으로써 보이드를 눌러 흐르게 하여 캐비티 내의 수지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Next, similarly to FIG. 3D, by operating the transfer mechanism, th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미세한 범프의 간극에 충전하기 위하여 필러가 미세해져 저점도의 에폭시계의 액상 수지를 이용한 몰드 언더필을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는 필러의 충전율이 낮고 점도가 낮은 실리콘 수지에 의한 LED의 렌즈나 리플렉터 등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성형 품질을 높여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order to fill the gaps between the fine bumps, the filler becomes fine and the mold underfill using the low-viscosity epoxy-based liquid resin can be realized by the transfer mold. Alternatively, a lens, a reflector, etc. of an LED made of a silicone resin having a low filler filling rate and low viscosity can be formed, thereby improving molding quality and prolonging lifespan.
상술한 수지 몰드 장치는, 상형 캐비티, 하형 포트 배치 타입의 몰드 금형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하형 캐비티여도 되고, 상형 포트, 하형 캐비티 배치의 몰드 금형이어도 된다.Although the above-mentioned resin molding apparatus was demonstrated using the mold die of an upper mold|type cavity and a lower mold|type pot arrangement|positioning type, the lower mold|type cavity may be sufficient, and the mold die of the upper mold|type pot and lower mold|type cavity arrangement|positioning may be sufficient.
또, 고정형을 상형(20), 가동형을 하형(21)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형을 하형(21), 가동형을 상형(20)으로 해도 된다.Moreover, although the fixed mold was demonstrated as the
또, 워크로서는 기판(1)에 플립 칩 실장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 실장된 반도체 칩(5) 외에, 백색 LED 등의 발광 소자에 의해, 밀봉 수지에 형광체가 혼입되는 것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워크로서, 전원 회로에 이용되는 스위칭 소자(IGBT, MOS-FET 등), 고발열량을 따른 소자(CPU, MPU 등), 입출력부를 갖는 반도체 소자(LED 등),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센서(CCD 센서, CMOS 센서, 지문 센서, MEMS 등) 등이 탑재된 기판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워크로서, 범프나 땜납 볼과 같은 전자 부품이 탑재된 웨이퍼를 이용하여, 웨이퍼 레벨 패키지 성형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캐비티 피스(32)에 의해 범프나 땜납 볼을 클램프하여, 범프나 땜납 볼을 적절히 클램프하여 밀봉하는 웨이퍼 레벨 패키지 성형을 할 수 있다.Moreover, as a work, it is applicable not only to flip-chip mounting on the board|
또, 몰드 수지로서, 예를 들면 고형의 수지 태블릿(3)이나 액상 수지를 이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과립상 수지, 분말상 수지와 같은 각종의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몰드 금형(19)은 복수의 반도체 소자를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하여 수지 밀봉하는 것, 맵 타입의 성형이나 매트릭스 타입의 성형에 이용해도 된다.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using the
또, 포트(35)는 하형 인서트 블록(34)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상형(20)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몰드 금형이 상하 반대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although the
또,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로서, 캐비티 피스(23)를 웨지 기구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형 인서트 블록(26)을 1개의 웨지 기구에 의해 구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캐비티 피스(23)를 상형 체이스 블록(22)에 리지드하게(강체적으로) 지지하고, 상형 인서트 블록(26)을 승강함으로써, 캐비티 높이가 변경 가능하게 된다. 또, 캐비티 높이를 가변으로 하기 위하여 웨지 기구나 형 체결 기구를 이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유압이나 볼 나사 등의 다른 구동원에 의해 캐비티 피스(23)나 상형 인서트 블록(26)을 직접 구동해도 된다.Moreover,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drives the
또, 판 두께 가변 기구로서, 플런저(36)를 사이에 둔 2매의 기판(1)의 각각에 워크 지지부(37)를 설치하고, 웨지 기구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런저(36)를 사이에 둔 양측에 복수의 기판(1)을 배치할 때에, 이들과 동일한 수의 워크 지지부(37)를 별개로 승강하는 웨지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하형 구동부(8)에 있어서의 서보 모터(41)나 웨지 기구를 상형 구동부(7)와 마찬가지로 배치한다. 환언하면, 하형 구동부(8)를 상형 구동부(7)와 상하 방향으로 반전시키도록 배치함으로써 기판(1)의 두께에 대해서도 두께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렬로 늘어 세워진 3개의 플런저(36)의 좌우에 1매씩의 기판(1)을 배치하여, 합계 6매의 기판(1)의 각각의 판 두께에 맞추어 워크 지지부(37)의 높이를 별개로 조정한 후에, 몰드 금형(19)에 의해 일괄하여 몰드 성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Moreover, as a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the structure in which the workpiece|work
Claims (8)
캐비티 저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피스와, 당해 캐비티 피스를 둘러싸고 배치된 제 1 인서트에 의해, 상기 제 2 부재가 수용되는 캐비티를 구성하는 캐비티 오목부와, 상기 제 1 인서트의 제 1 부재 대향면으로부터 외측에 형성된 더미 캐비티와, 상기 더미 캐비티로부터 외주측에 연장 설치된 에어 벤트 홈과, 상기 더미 캐비티로부터 외주측에서 상기 제 1 인서트에 대향하는 제 2 인서트의 대향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에어 벤트 홈을 통한 에어의 배출을 정지시키는 폐지 수단을 구비한 일방의 금형과,
상기 워크를 지지하는 워크 지지부와, 상기 워크 지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 2 인서트와, 상기 워크 지지부를 상기 제 2 인서트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부재의 두께에 맞추어 상기 워크 지지부의 높이를 가변으로 하는 판 두께 가변 기구를 구비한 타방의 금형과,
상기 일방의 금형 또는 타방의 금형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어 몰드 수지를 공급하는 포트 및 플런저와,
상기 일방의 금형과 타방의 금형이 형 폐쇄되기 전에 시일 링을 개재하여 외부 공간과 차단된 폐쇄 공간이 형성되고, 당해 폐쇄 공간 내를 감압함으로써 상기 캐비티를 포함하는 감압 공간이 형성되는 감압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몰드 수지가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기 전에, 상기 판 두께 가변 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의 두께에 맞추어 상기 워크 지지부의 높이가 조정되고, 감압 환경 하에서 상기 캐비티에 상기 몰드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더미 캐비티가 오버플로우한 잉여 수지로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폐지 수단을 폐쇄함으로써 금형 내로부터 상기 에어 벤트 홈을 통한 에어의 배출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몰드 금형.A resin mold die for resin-molding a work in which a second member is mounted on a first member, comprising:
A cavity piece forming a cavity bottom, a cavity concave portion constituting a cavity in which the second member is accommodated by a first insert disposed to surround the cavity piece; Air through the air vent groove by pressing a dummy cavity formed in the dummy cavity, an air vent groove extending from the dummy cavity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and a second insert facing the first inse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from the dummy cavity One of the molds provided with a closing means for stopping the discharge of;
A work support for supporting the work, the second insert adjacent to the work support, and the work support by moving the work support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sert to match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to the height of the work support The other mold provided with a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which makes variable;
A port and a plunger assembled in any one of the one mold or the other mold to supply a mold resin;
Before the one mold and the other mold are mold-closed, a closed space blocked from the external space is formed through a seal ring, and a pressure reduction mechanism including the cavity is formed by depressurizing the inside of the closed space. and
Before the mold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height of the work support part is adjusted to match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by the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and the mold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under a reduced pressure environment to form the dummy cavity is filled with the overflowed surplus resin, closing the closing means to stop the discharge of air from the inside of the mold through the air vent groove.
상기 캐비티 피스를 형 개폐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2 부재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캐비티 오목부의 높이를 가변으로 하는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몰드 수지가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기 전에, 상기 2 부재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에 의해 상기 캐비티 오목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수지 몰드 금형.The method of claim 1,
and a cavity height variable mechanism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cavity recessed por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econd member by relatively moving the cavity piece in a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Before the mold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height of the cavity concave portion is adjusted by the cavity height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wo members.
상기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는, 구동원에 의해 가동 테이퍼 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캐비티 피스의 형 개폐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웨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수지 몰드 금형.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vity height variable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wedg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osition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of the cavity piece by moving the movable taper block by a driving source.
상기 캐비티 높이 가변 기구는, 상기 캐비티 피스 및 상기 제 1 인서트의 일방 또는 쌍방이 상기 일방의 금형 체이스에 플로팅 지지되어 있는 수지 몰드 금형.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aid cavity height variable mechanism is a resin mold metal mold|die by which one or both of the said cavity piece and the said 1st insert are floatingly supported by the said one mold chase.
상기 판 두께 가변 기구는, 구동원에 의해 가동 테이퍼 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워크 지지부의 형 개폐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웨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수지 몰드 금형.The method of claim 1,
The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wedge mechanism for moving the movable taper block by a driving source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of the work support part.
캐비티 저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피스와, 당해 캐비티 피스를 둘러싸고 배치된 제 1 인서트에 의해, 상기 제 2 부재가 수용되는 캐비티를 구성하는 캐비티 오목부를 구비한 일방의 금형과,
상기 워크를 지지하는 워크 지지부와, 상기 워크 지지부에 인접하는 제 2 인서트와, 상기 워크 지지부를 상기 제 2 인서트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부재의 두께에 맞추어 상기 워크 지지부의 높이를 가변으로 하는 판 두께 가변 기구를 구비한 타방의 금형과,
상기 제 2 부재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과 이것에 연통하는 수지로가 형성되고, 상기 워크 지지부에 지지된 제 1 부재의 외주 단부와 상기 제 2 인서트와의 간극에 걸쳐 상기 타방의 금형 클램프면에 맞겹쳐 이용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일방의 금형 또는 타방의 금형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어 몰드 수지를 공급하는 포트 및 플런저와,
상기 일방의 금형과 타방의 금형이 형 폐쇄되기 전에 시일 링을 개재하여 외부 공간과 차단된 폐쇄 공간이 형성되고, 당해 폐쇄 공간 내를 감압함으로써 상기 캐비티를 포함하는 감압 공간이 형성되는 감압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부재로부터 외주측에 형성된 잉여 수지를 수용하는 더미 캐비티와, 상기 더미 캐비티로부터 외주측에 연장 설치된 에어 벤트 홈과, 상기 더미 캐비티로부터 외주측에서 상기 제 1 인서트에 대향하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대향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에어 벤트 홈을 통한 에어의 배출을 정지시키는 폐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몰드 수지가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기 전에, 상기 판 두께 가변 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의 두께에 맞추어 상기 워크 지지부의 높이가 조정되고, 감압 환경 하에서 상기 캐비티에 상기 몰드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더미 캐비티가 오버플로우한 잉여 수지로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폐지 수단을 폐쇄함으로써 금형 내로부터 상기 에어 벤트 홈을 통한 에어의 배출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몰드 금형.A resin mold die for resin-molding a work in which a second member is mounted on a first member, comprising:
One metal mold|die provided with the cavity piece which forms the cavity bottom part, and the cavity recessed part which comprises the cavity in which the said 2nd member is accommodated by the 1st insert which surrounds the said cavity piece and is arrange|positioned;
A work support for supporting the work, a second insert adjacent to the work support, and a height of the work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by moving the work support in a mold opening/clo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sert. The other mold provided with the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made variable, and
A through hol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member and a resin path communicating therewith are formed, and over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irst member supported by the work support and the second insert, the other mold clamping surface is fitted. an intermediate plate used overlaid, and
A port and a plunger assembled in any one of the one mold or the other mold to supply a mold resin;
Before the one mold and the other mold are mold-closed, a closed space blocked from the external space is formed through a seal ring, and a pressure reduction mechanism including the cavity is formed by depressurizing the inside of the closed space. and
a dummy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surplus resi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from the first member of the intermediate plate, an air vent groove extending from the dummy cavity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and facing the first inse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from the dummy cavity and closing means for stopping the discharge of air through the air vent groove by pressing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Before the mold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the height of the work support part is adjusted to match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by the plate thickness variable mechanism, and the mold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under a reduced pressure environment to form the dummy cavity is filled with the overflowed surplus resin, closing the closing means to stop the discharge of air from the inside of the mold through the air vent groove.
상기 캐비티 오목부를 포함하는 상기 일방의 금형 클램프면을 덮어 흡착 유지되는 릴리스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수지 몰드 금형.7. The method of claim 1 or 6,
A resin mold metal mold comprising: a release film held by adsorption by covering the one mold clamp surface including the cavity recessed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125978A JP6062810B2 (en) | 2013-06-14 | 2013-06-14 | Resin mold and resin mold apparatus |
JPJP-P-2013-125978 | 2013-06-14 | ||
KR1020167001126A KR102208459B1 (en) | 2013-06-14 | 2014-04-25 |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
PCT/JP2014/061748 WO2014199733A1 (en) | 2013-06-14 | 2014-04-25 |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1126A Division KR102208459B1 (en) | 2013-06-14 | 2014-04-25 |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1070A KR20210011070A (en) | 2021-01-29 |
KR102301482B1 true KR102301482B1 (en) | 2021-09-13 |
Family
ID=520220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1126A Active KR102208459B1 (en) | 2013-06-14 | 2014-04-25 |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
KR1020217002052A Active KR102301482B1 (en) | 2013-06-14 | 2014-04-25 |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1126A Active KR102208459B1 (en) | 2013-06-14 | 2014-04-25 |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6062810B2 (en) |
KR (2) | KR102208459B1 (en) |
CN (1) | CN105283289B (en) |
SG (1) | SG11201508701YA (en) |
TW (1) | TWI593538B (en) |
WO (1) | WO201419973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71131B1 (en) * | 2015-03-20 | 2020-12-30 |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 Molding system having a mold stack with a cleaning configuration and a shu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
JP6236486B2 (en) * | 2016-03-07 | 2017-11-22 | Towa株式会社 |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 resin sealing device, a resin sealing method, and a resin sealing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
JP6499105B2 (en) | 2016-03-11 | 2019-04-10 | 東芝メモリ株式会社 | Mold |
JP6576862B2 (en) | 2016-03-16 | 2019-09-18 | 東芝メモリ株式会社 | Transfer molding equipment |
JP6710107B2 (en) * | 2016-06-10 | 2020-06-17 | アサヒ・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Resin sealing device |
JP7036720B2 (en) * | 2016-07-08 | 2022-03-15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Manufacturing method for molds and two-color molded products |
CN106079282B (en) * | 2016-07-25 | 2018-04-17 | 安徽宁国中鼎模具制造有限公司 | A kind of new structure is molded encapsulated handle mold |
KR101953260B1 (en) | 2016-09-23 | 2019-02-28 | 동국실업 주식회사 | Resin molding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resin backflow gas injection |
JP6304517B1 (en) * | 2017-02-14 | 2018-04-04 | 第一精工株式会社 | Resin sealing method and resin sealing device |
JP6721525B2 (en) | 2017-03-03 | 2020-07-15 | キオクシア株式会社 | Mold |
JP6822901B2 (en) * | 2017-06-02 | 2021-01-27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Resin mold mold and resin mold equipment |
JP6891048B2 (en) * | 2017-06-02 | 2021-06-18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Resin mold mold and resin mold equipment |
KR101973630B1 (en) | 2017-10-23 | 2019-09-02 |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 Resin molding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resin backflow gas injection |
JP6861609B2 (en) * | 2017-10-30 | 2021-04-21 | Towa株式会社 | Resin mold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s |
JP6541746B2 (en) * | 2017-10-30 | 2019-07-10 | Towa株式会社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article |
CN108198764B (en) * | 2017-12-18 | 2019-07-02 | 重庆市长寿区普爱网络科技有限公司 | Electronic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
DE102017131110B4 (en) * | 2017-12-22 | 2025-01-02 |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METHOD AND MOULD FOR EMBEDDING OPTOELECTRONIC COMPONENTS IN A LAYER |
TWI787417B (en) * | 2018-02-09 | 2022-12-21 | 日商山田尖端科技股份有限公司 | Mold for compression molding and compression molding device |
JP6936177B2 (en) * | 2018-03-23 | 2021-09-15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Resin molding equipment |
JP7102238B2 (en) * | 2018-06-08 | 2022-07-19 | Towa株式会社 | Resin mold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s |
JP7068094B2 (en) * | 2018-08-10 | 2022-05-16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Work transfer device, resin transfer device and resin molding method |
DE102018214823A1 (en) * | 2018-08-31 | 2020-03-05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Injection mold |
NL2021845B1 (en) * | 2018-10-22 | 2020-05-13 | Besi Netherlands Bv | Mould half and mould method for encapsulating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a carrier including a dual support surface and a method for using such |
CN109545694B (en) * | 2018-11-13 | 2020-11-17 | 无锡中微高科电子有限公司 | Mold sealing method for damaged substrate |
JP7084349B2 (en) | 2019-04-25 | 2022-06-14 | Towa株式会社 | Resin mold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s |
JP7084348B2 (en) * | 2019-04-25 | 2022-06-14 | Towa株式会社 | Resin mold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s |
KR102257217B1 (en) * | 2019-06-18 | 2021-05-28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preventing air trap on the bullet-shaped injection products |
CN112829200A (en) * | 2019-11-22 | 2021-05-2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n injection mold |
CN111391219B (en) * | 2020-03-20 | 2021-12-24 | 东莞市艾尔玛塑件科技有限公司 | In-mold transfer printing system |
JP7277936B2 (en) * | 2020-04-28 | 2023-05-19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Resin molding equipment |
JP7417495B2 (en) * | 2020-08-28 | 2024-01-18 | Towa株式会社 | Resin molding equ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s |
CN115214068B (en) * | 2021-04-25 | 2024-01-23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A processing mold and processing method for forming holes |
KR102446919B1 (en) * | 2021-06-02 | 2022-09-23 |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Undercover forming device |
KR102408586B1 (en) * | 2021-08-23 | 2022-06-16 | 광성기업 주식회사 |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jection mold |
CN118266062A (en) * | 2022-01-25 | 2024-06-28 | 山田尖端科技株式会社 | Resin sealing device, sealing mold and resin sealing method |
KR102494872B1 (en) * | 2022-05-31 | 2023-02-07 | 장용수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ter proof pane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36515A (en) * | 2008-08-07 | 2010-02-18 | Apic Yamada Corp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ing method |
JP2010109252A (en) * | 2008-10-31 | 2010-05-13 | Apic Yamada Corp | Transfer molding mold, transfer molding device, resi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
JP2010173083A (en) * | 2009-01-27 | 2010-08-12 | Towa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n seal-molding electronic component |
JP2011011426A (en) * | 2009-07-01 | 2011-01-20 | Apic Yamada Corp | Resin-molding mold and resin-mold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17222A (en) * | 2001-01-17 | 2002-08-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
US7985357B2 (en) * | 2005-07-12 | 2011-07-26 | Towa Corporation | Method of resin-sealing and molding an optical device |
JP4194596B2 (en) * | 2005-11-25 | 2008-12-10 | 第一精工株式会社 | Resin sealing mold apparatus and resin sealing method |
EP2540775B1 (en) * | 2007-09-25 | 2015-09-16 |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 Thermosetting light-reflecting resin composition,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mounting board produced therewith,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
JP5352896B2 (en) | 2008-01-19 | 2013-11-27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Transfer molding method and transfer molding apparatus |
JP2012035433A (en) * | 2010-08-04 | 2012-02-23 | Sumitomo Heavy Ind Ltd | Compression mold and compression molding method |
JP5663785B2 (en) * | 2010-12-17 | 2015-02-04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Resin molding method and resin molding apparatus |
JP5807898B2 (en) * | 2011-03-24 | 2015-11-10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Mold and resin mol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JP5906528B2 (en) * | 2011-07-29 | 2016-04-20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Mold and resin mol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KR101603932B1 (en) * | 2011-09-30 | 2016-03-25 |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 Active energy beam-curabl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coating, coating film, and film |
-
2013
- 2013-06-14 JP JP2013125978A patent/JP6062810B2/en active Active
-
2014
- 2014-04-25 KR KR1020167001126A patent/KR102208459B1/en active Active
- 2014-04-25 KR KR1020217002052A patent/KR102301482B1/en active Active
- 2014-04-25 WO PCT/JP2014/061748 patent/WO201419973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4-25 CN CN201480033965.9A patent/CN105283289B/en active Active
- 2014-04-25 SG SG11201508701YA patent/SG11201508701YA/en unknown
- 2014-06-13 TW TW103120404A patent/TWI593538B/en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36515A (en) * | 2008-08-07 | 2010-02-18 | Apic Yamada Corp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ing method |
JP2010109252A (en) * | 2008-10-31 | 2010-05-13 | Apic Yamada Corp | Transfer molding mold, transfer molding device, resi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
JP2010173083A (en) * | 2009-01-27 | 2010-08-12 | Towa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n seal-molding electronic component |
JP2011011426A (en) * | 2009-07-01 | 2011-01-20 | Apic Yamada Corp | Resin-molding mold and resin-mold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283289A (en) | 2016-01-27 |
KR20160021240A (en) | 2016-02-24 |
KR102208459B1 (en) | 2021-01-27 |
SG11201508701YA (en) | 2015-12-30 |
TW201446458A (en) | 2014-12-16 |
JP2015000520A (en) | 2015-01-05 |
JP6062810B2 (en) | 2017-01-18 |
TWI593538B (en) | 2017-08-01 |
KR20210011070A (en) | 2021-01-29 |
CN105283289B (en) | 2017-08-08 |
WO2014199733A1 (en) | 2014-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1482B1 (en) | Resin-molding die and resin-molding device | |
JP6273340B2 (en) | Resin mold and resin mold apparatus | |
CN108025466B (en) | Resin sealing device and resin sealing method | |
JP5560479B2 (en) | Resin mold, resin mold apparatus, and resin mold method | |
JP6444381B2 (en) | Resin mold and resin molding method | |
KR102157944B1 (en) | Resin sealing method | |
JP7084349B2 (en) | Resin mold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s | |
JP6891048B2 (en) | Resin mold mold and resin mold equipment | |
WO2017081882A1 (en) | Resin-sealing device and resin-sealing method | |
KR20210124429A (en)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 |
JP6438794B2 (en) | Mold,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ing method | |
JP7029342B2 (en) | Mold mold, resin molding device and resin molding method | |
JP6822901B2 (en) | Resin mold mold and resin mold equipment | |
JP6208967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ED device | |
JP6611631B2 (en) | Resin molding method and resin molding apparatus | |
CN113211686B (en)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 | |
JP2024139406A (en) |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and compression mold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1012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7001126 Filing date: 20160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