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882B1 - Engine oil dilution diagn0stic appat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Engine oil dilution diagn0stic appatatus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0882B1 KR102300882B1 KR1020200093711A KR20200093711A KR102300882B1 KR 102300882 B1 KR102300882 B1 KR 102300882B1 KR 1020200093711 A KR1020200093711 A KR 1020200093711A KR 20200093711 A KR20200093711 A KR 20200093711A KR 102300882 B1 KR102300882 B1 KR 102300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ine oil
- oil dilution
- pressure
- diagnosis
- fuel rati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705 motor 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283 diese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68 gas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46—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는 엔진의 공연비를 측정하는 공연비 측정부;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 엔진의 터보차져의 압력을 검출하는 터보차져 압력 검출부; 및 공연비와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 및 터보차져의 압력을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ar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fuel ratio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air-fuel ratio of an engine; a crankcase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of the engine; a turbocharger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of a turbocharger of the engine; and a diagnostic unit for diagnosing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air-fuel ratio,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공연비 변화량과 블로 바이 가스(Blow-by gas)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엔진오일희석 현상(Engine oil dilution)을 진단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a change amount of an air-fuel ratio of an engine and a change amount of a blow-by gas. It relates to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일반적으로 DPF를 사용하는 디젤 차량은 엔진오일과 디젤 연료가 혼합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한다. In general, in diesel vehicles using DPF, engine oil dilution occurs in which engine oil and diesel fuel are mixed.
엔진오일희석 현상은 자동차 윤활유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저하시키고 엔진 마모 또는 엔진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윤활유 내 그을음(LOS)을 증가시켜 빈번한 오일 교환을 요구하는 원인이 된다. 게다가,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희석된 디젤연료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블로 바이 가스 라인(Blow-by gas line)을 통해 다시 실린더로 유입된다. 그리고 실린더 내부로 유입된 연료가 자발화(auto-ignition)되어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엔진 시동이 꺼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The dilution of engine oil deteriorate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utomotive lubricants, may cause engine wear or engine failure, and increase the soot (LOS) in the lubricant, which causes frequent oil changes. In addition, whe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continuously occurs, the amount of the diluted diesel fuel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again through a blow-by gas line. In addition,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may be auto-ignited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engine or act as a factor causing the engine start to be turned off.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24543호(2018.11.21)의 '엔진오일의 희석율 저하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A method for reducing the dilution rate of engine oil'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124543 (November 21, 2018).
종래에는 디젤연료가 엔진오일팬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디젤 연료 분사 방법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다만, 운전자가 시내주행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경우에는 연료 분사 방법을 개선한다하더라도 지속적인 DPF regeneration에 의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없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diesel fuel from flowing into an engine oil pan, various methods for injecting diesel fuel have been proposed. However, if the driver continuously repeats city driving, even if the fuel injection method is improved, the engine oil dilution caused by continuous DPF regeneration cannot be completely prevented.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엔진오일이 블로 바이 가스 라인을 통해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어 엔진 시동꺼짐 또는 의도하지 않은 출력 상승 등의 치명적인 엔진 결함을 일으킬 수 있다. 그렇게 때문에 엔진오일희석 현상에 의한 엔진오일 증가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운전자에게 인지시켜 엔진오일 교환을 반드시 유도해야 한다. If engine oil dilution occurs continuously, engine oil may flow into the cylinder through the blow-by gas line and cause fatal engine defects such as engine shutdown or unintentional increase in output. For this reason, if the increase in engine oil due to engine oil dilution exceeds a certain amount, the driver must be notified and the engine oil change must be induced.
그러나, 일반적인 엔진오일 압력 센서의 경우, 엔진오일의 고갈을 검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엔진오일 팬의 압력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졌을 때만 클러스에 경고등을 표출한다.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발생할 경우, 엔진오일 경고등 점등 기준치 이하로 엔진오일 팬 압력이 낮아지지 않아, 운전자가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없다. 이는 일반적인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됨을 인지시켜 정상적인 차량 관리를 유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a general engine oil pressure sensor, since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e depletion of engine oil, a warning light is displayed on the cluster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engine oil pan is lowered below the standard value. If the engine oil dilution occurs, the engine oil pan pressure does not drop below the engine oil warning lamp lighting threshold, so the driver cannot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This means that, in the case of a general vehicle, it is impossible to induce normal vehicle management by making the driver aware that engine oil dilution occur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엔진의 공연비 변화량과 블로 바이 가스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여 경고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agnose and warn of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change amount of the air-fuel ratio of the engine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blow-by ga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는 엔진의 공연비를 측정하는 공연비 측정부;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 엔진의 터보차져의 압력을 검출하는 터보차져 압력 검출부; 및 상기 공연비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 및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을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pparatus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fuel ratio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air-fuel ratio of an engine; a crankcase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of the engine; a turbocharger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of a turbocharger of the engine; and a diagnostic unit configured to diagnose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air-fuel ratio,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는 상기 공연비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 및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을 이용하여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agnostic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alculat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using the air-fuel ratio,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본 발명의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는 엔진 전체 구동영역에서 상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gnostic coefficient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constant diagnosis in the entire driving range of the engine.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는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상기 공연비의 공연비 변화량, 및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 간의 압력차 변화량을 토대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agno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based on an air-fuel ratio change amount of the air-fuel ratio and a pressure difference change amount between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and the pressure of the turbocharger.
본 발명의 상기 공연비 변화량은 엔진 제작 시 맵핑된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초기 공연비와 엔진오일 희석현상이 발생 한 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공연비 사이의 변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ir-fuel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initial air-fuel ratio 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mapped during engine manufacturing does not occur and the air-fuel ratio measured through the sensor after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ccurs.
본 발명의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는 현재 검출된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의 제곱근을 초기 상태에서의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quare root of the currently detected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and the pressure of the turbocharg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based on a value divided by the square root.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는 상기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토대로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agno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iagnose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whether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is within a preset range.
본 발명은 상기 진단부의 진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의 발생을 경고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warning the occurrence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of the diagnosis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은 공연비를 측정하고 측정된 공연비를 토대로 공연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공연비 변화량과 상기 압력차 변화량을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의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an air-fuel ratio and calculating an air-fuel ratio change amount based on the measured air-fuel ratio; calculating a pressure difference change amount between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by detecting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respectively; calculat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based on the change amount of the air-fuel ratio and the pressure difference change amount, and diagnosing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본 발명의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는 엔진 전체 구동영역에서 상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gnostic coefficient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constant diagnosis in the entire driving range of the engine.
본 발명의 상기 공연비 변화량은 엔진 제작 시 맵핑된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초기 공연비와 엔진오일 희석현상이 발생 한 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공연비 사이의 변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ir-fuel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initial air-fuel ratio 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mapped during engine manufacturing does not occur and the air-fuel ratio measured through the sensor after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ccurs.
본 발명의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는 현재 검출된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의 제곱근을 초기 상태에서의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quare root of the currently detected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and the pressure of the turbocharg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based on a value divided by the square root.
본 발명의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토대로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gnosing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is diagnosed based on whether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is within a preset range.
본 발명의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상기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면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의 발생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diagnosis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is within the set ran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ccurrence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is warn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엔진오일 압력의 변화량과 공연비를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여 경고함으로써 시동꺼짐이나 출력 증가 현상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한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problems such as engine off or output increase by diagnosing and warning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engine oil pressure and air-fuel rati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엔진오일희석을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엔진오일 교환을 유도하고 차량의 안정적인 운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rns a driver of engine oil dilution to induce engine oil change and ensure stable operation of a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함으로써, 오일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이 엔진오일 고갈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엔진오일희석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agnose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phenomenon in which the oil pressure is lowered is caused by engine oil depletio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is caused by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블로 바이 가스 농도 변화에 따른 엔진 제어 인자 변화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통한 시험 결과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test result of a change in engine control factor according to a change in blow-by gas concentra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of test results through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블로 바이 가스 농도 변화에 따른 엔진 제어 인자 변화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통한 시험 결과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engine control factor change test results according to blow-by gas concentration change, and FIG. 3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 through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는 공연비 측정부(10),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20), 터보차져 압력 검출부(30), 진단부(40) 및 출력부(50)를 포함한다. 1 is an apparatus for diagnosing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공연비 측정부(10)는 엔진의 공연비를 측정한다. 엔진의 공연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레이저를 이용한 측정 방법 및 배기가스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공연비를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ir-fuel
공연비 측정부(1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또는 기 설정된 차량주행 조건을 만족하면 엔진의 공연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air-fuel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20)는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을 검출한다.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20)는 크랭크 케이스 내 유동하는 블로 바이 가스(blow by gas)의 압력을 검출한다.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20)로는 블로 바이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The crankcas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서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는 혼합기를 연소실에 균일하게 공급하고, 인테이크 러너(intake runner)를 통해 혼합기를 각 연소실로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블로 바이 가스는 인테이크 러너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는 혼합기 중 압축행정과 팽창행정 동안 실린더와 피스톤의 간극을 통해 연소실에서 크랭크 케이스로 빠져나온 미연소 배출가스이다. 블로 바이 가스는 70~95%가 미연소된 연료(HC)이고 나머지는 연소가스, 부분 산화된 혼합가스, 미량의 엔진오일, 그을음, 및 수분 등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in an engine of a vehicle, an intake manifold uniformly supplies a mixture to a combustion chamber, and guides the mixture to flow into each combustion chamber through an intake runner. Here, the blow-by gas is an unburned exhaust gas that escapes from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crankcas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during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strokes among the mixer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intake runner. The blow-by gas is 70-95% of unburned fuel (HC), and the remainder is composed of combustion gas, partially oxidized mixed gas, trace amounts of engine oil, soot, and moisture.
터보차져 압력 검출부(30)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흡기를 가압하기 위한 터보차져 내 블로 바이 가스의 압력을 검출한다.The turbocharger
진단부(40)는 공연비,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 및 터보차져의 압력을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한다. The diagnosis unit 40 diagnose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air-fuel ratio,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먼저, 진단부(40)는 공연비 측정부(10)에 의해 측정된 공연비를 토대로 공연비 변화량을 산출한다. 공연비 변화량은 엔진 제작시 맵핑된 초기 공연비와 현재 공연비 사이의 변화량이다.First, the
또한, 진단부(40)는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20)와 터보차져 압력 검출부(30)에 의해 각각 검출된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 변화량을 검출한다. 즉, 진단부(40)는 초기 정상 상태에서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를 산출하고, 이후 현재 측정 시점, 예컨데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된 시점에서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를 산출한다. 이어, 진단부(40)는 초기 정상 상내에서의 압력차(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와 현재 측정 시점의 압력차(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를 비교하여 압력차 변화량을 산출한다. Also, the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현재 측정 시점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된 시점으로 하여 설명한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rent measurement time is described as the time whe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ccur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어 진단부(40)는 공연비 변화량과 압력차 변화량을 이용하여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한다. 이하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n, the
통상적으로, 크랭크 케이스로 유입되는 희석 오일이 증가할수록 엔진오일의 점도는 낮아지고 전체 오일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블로 바이 가스량은 증가한다. 또한 엔진오일의 점도가 낮아져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도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In general, as the dilution oil flowing into the crankcase increases, the viscosity of the engine oil decreases and the total oil amount increases, so the blow-by gas amount increases.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engine oil is lowered and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is also lowered.
예컨데, 블로 바이 가스량이 표 1과 같을 경우, 5.9L의 엔진오일에 디젤연료 약 2.5L 이상이 유입되어 희석 오일의 농도가 약 30%이상이면, 오일 캐치 탱크에 블로 바이 가스가 포집되기 시작하며, 희석 오일의 농도가 50%로 증가하게 되면, 블로 바이 가스가 35mL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blow-by gas is as shown in Table 1, more than about 2.5 L of diesel fuel flows into 5.9 L of engine oil and the concentration of diluted oil is greater than about 30%, the blow-by gas begins to be collected in the oil catch tank. ,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iluted oil is increased to 50%, the blow-by gas increases to 35 mL.
engine oilVolume of
engine oil
evap. gasVolume of
evap.
이를 참조하면, 희석 오일의 농도가 30%이상 증가할 때 희석오일이 실린더로 과도하게 유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희석 오일의 농도를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iluted oil increases by 30% or more, the diluted oil may flow into the cylinder excessivel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can be diagnosed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diluted oil. have.
통상,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기 위해, 실린더로 유입되는 블로 바이 가스의 농도 증가에 따라 변화하는 엔진 제어 인자를 각각의 센서로 측정하면 도 3과 같다. In general, in order to diagnose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the engine control factor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blow-by gas flowing into the cylinder is measured by each sensor as shown in FIG. 3 .
도 2 에는 다양한 엔진 작동영역에서 희석 오일의 농도를 증가하며 시험을 수행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FIG. 2 shows the results of testing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luted oil in various engine operating regions.
도 2 를 참조하면, 엔진오일이 디젤연료에 희석되어 엔진오일의 농도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엔진오일팬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젤연료희석에 의하여 블로 바이 가스의 밀도가 높아져 터보차져 컴프레셔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증가하고, 이와 동시에 터보차져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t can be seen that the engine oil is diluted with diesel fuel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the engine oil, thereby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engine oil pa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nsity of the blow-by gas is increased by the diesel fuel diluti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turbocharger compressor is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turbocharger pressure is increased.
이러한 현상에 따르면, 엔진오일팬 압력이 낮아지고 터보차져 압력이 증가함으로 인해, 양단의 압력차이가 감소하여 블로 바이 가스 유량이 줄어듬을 예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as the engine oil pan pressure decreases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increase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both ends decreases and the blow-by gas flow rate decreases.
이로 인하여 희석 오일의 농도가 10% ~ 20% 수준일 때, 블로 바이 가스의 농도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블로 바이 가스 유량이 감소하여 공연비 신호Lambda, λ)가 정상상태 대비 희박하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Due to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iluted oil is 10% to 20%, the blow-by gas flow rate decreases despite the increase in the blow-by gas concentration, so that the air-fuel ratio signal Lambda, λ) is thinner compared to the normal state. have.
반면에 희석 오일의 농도가 30% 이상 증가할 경우, 블로 바이 가스 유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공연비 신호가 농후하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블로 바이 가스 농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발생하는 현상이며, 과도한 블로 바이 가스 유입에 의한 이상 연소로 인하여, 미연탄화수소(HC)와 일산화탄소(CO) 배출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배출가스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iluted oil is increased by 30% or more, it can be seen that the air-fuel ratio signal is measured to be rich even though the blow-by gas flow rate is decreased. This is a phenomenon caused by excessively high blow-by gas concentration, and it can be confirmed through exhaust gas analysis that unburned hydrocarbon (HC) and carbon monoxide (CO) emissions significantly increase due to abnormal combustion caused by excessive blow-by gas inflow. have.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오일희석 현상을 검출할 수 있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도출할 수 있다.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derive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capable of detecting the oil dilution phenomenon.
진단부(40)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한다. The
먼저, 진단부(40)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Bernoulli’s equation으로부터 블로 바이 가스 유량을 계산할 수 있는 아래의 수학식1과 2를 이용한다. First, the
수학식 1 및 2에서, P1는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이고, h1는 크랭크 케이스의 높이이며, u1은 크랭크 케이스의 유속이다. P2는 터보차져의 압력이고, h2는 터보차져의 압력이며, u2는 터보차져의 유속이다. A2는 크랭크 케이스의 단면적이며, ρ는 희석오일의 밀도이며, g는 중력가속도이며, Q는 희석오일 유량이다. In Equations 1 and 2, P 1 is the crankcase pressure, h 1 is the crankcase height, and u 1 is the crankcase flow velocity. P 2 is the pressure of the turbocharger, h 2 is the pressure of the turbocharger, and u 2 is the flow rate of the turbocharger. A 2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ankcase, ρ is the density of the diluted oil, g is th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and Q is the flow rate of the diluted oil.
크랭크 케이스에서 생성된 블로 바이 가스는 터보차져로 유입되기 때문에 엔진오일 팬의 유속을 0m/s2으로 가정하면, 수학식2와 같이 터보차져단의 블로 바이 가스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Since the blow-by gas generated in the crankcase flows into the turbocharger , assuming that the flow speed of the engine oil pan is 0 m/s 2 , the blow-by gas flow rate of the turbocharger stage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2).
수학식 2의 블로 바이 가스 유량식에서 ρ, g, h1, h2는 희석 오일 농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고정된 값이므로, 블로 바이 가스의 유량은 엔진오일 팬의 압력(P1)과 터보차져의 압력(P2)의 압력차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를 바탕으로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Cdilution)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the blow-by gas flow rate equation of Equation 2, ρ, g, h 1 , and h 2 are fixed values that do not change depending on the diluted oil concentration, so the flow rate of the blow-by gas is the engine oil pan pressure (P 1 ) and the turbocharger. It is determin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pressure (P 2 ). Based on thi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C dilution )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3 below.
수학식 3에서, λi는 초기 정상 상태의 공연비이고, λf는 오일희석 현상 발생 이후의 공연비이다. ΔPi는 초기 정상 상태의 크랭크 케이스 압력과 터보차져 압력의 압력차이며, ΔPf는 오일희석 현상 발생 이후의 크랭크 케이스 압력과 터보차져 압력의 압력차이다.In Equation 3, λ i is the air-fuel ratio in the initial steady state, and λ f is the air-fuel ratio after the occurrence of the oil dilution phenomenon. ΔP i i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rankcase pressure in the initial steady stat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and ΔP f i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after oil dilution occurs.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는 오일희석 현상 발생 이후의 크랭크 케이스 압력과 터보차져 압력의 압력차(ΔPf)의 제곱근은 블로 바이 가스 유량에 비례하며, 초기 정상 상태의 크랭크 케이스 압력과 터보차져 압력의 압력차(ΔPi)의 제곱근으로 나누어 표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3, th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is that the square root of the pressure difference (ΔP f ) between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after the oil dilution phenomenon occurs is proportional to the blow-by gas flow rate, and the crankcase in the initial steady state It can be expressed by dividing by the square root of the pressure difference (ΔP i ) between th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또한, 공연비 변화량에 대한 인자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발생 이후와 초기 정상 상태 공연비 차이(λi -λf )가 양수일 경우 공연비 신호가 농후한 상태임을 표현하고, 음수일 경우 희박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factor for the change in the air-fuel ratio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nd the initial steady-state air-fuel ratio (λi -λf ) is positive, the air-fuel ratio signal is expressed in a rich state, and when it is negative, it means that the air-fuel ratio signal is in a rich state.
그러므로 희석 오일 농도가 30% 이상이 되어 블로 바이 가스 유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공연비 변화량이 양수를 나타내면 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는 양의 값을 표출하고, 희석 오일 농도가 30% 미만일 때는 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가 음의 값을 출력한다. Therefore, if the air-fuel ratio change shows a positive value even though the blow-by gas flow rate is reduced because the diluted oil concentration is 30% or more, th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displays a positive value, and when the diluted oil concentration is less than 30%, the oil dilution phenomenon is diagnosed The coefficient outputs a negative value.
도 3 을 참조하면,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를 통한 시험 분석 결과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y축은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이고, x축은 초기 정상 상태 대비 공연비 변화량이다. 시험 결과에 진단 계수를 적용하면 도 3 같은 그래프를 도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test analysis result through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is graphed. The y-axis is the diagnostic coefficient for engine oil dilution, and the x-axis is the change in the air-fuel ratio compared to the initial steady state. When the diagnostic coefficient is applied to the test result, a graph as shown in FIG. 3 can be derived.
도 3 에서, 3사분면은 블로바이가스 유량이 감소하여 공연비 신호가 희박하게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는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낮아질수록 유입되는 연료 성분이 적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FIG. 3 , the third quadrant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air-fuel ratio signal is thinly output due to a decrease in the blow-by gas flow rat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decrease in the fuel component introduced as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decreases.
1사분면은 블로바이 가스 유량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공연비 신호가 농후한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이다. 1사분면의 결과값이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블로 바이 가스의 유량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실린더에 유입되는 블로 바이 가스의 연료 농도가 농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엔진오일희석 현상에 의하여 발생된 현상이며, 진단계수가 일정값 이상을 초과하면 과도하게 농후한 블로 바이 가스가 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The first quadrant is a state in which a signal rich in an air-fuel ratio signal is output despite a decrease in the blow-by gas flow rat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uel concentration of the blow-by gas flowing into the cylinder is rich even though the flow rate of the blow-by gas is decreased as the result value of the first quadrant is farther from the origin. This is a phenomenon caused by engine oil dilution, and when the diagnostic coefficient exceeds a certain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excessively rich blow-by gas flows into the cylinder.
본 실시예에서,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를 통해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경우, 엔진의 특정 운전영역이 아닌 전 운전영역에 걸쳐 진단이 수행 가능하며, 오일희석 현상을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diagnosing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through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the diagnosis can be performed over the entire operating region rather than a specific operating region of the engine, and the oil dilution phenomenon can be monitored at all times.
더욱이, 진단부(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산출된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의 부호 또는 크기에 따라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한다. 즉, 진단부(40)는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를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를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에 따라 희석 오일이 실린더에 과도하게 유입되는 현상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예를 들어, 진단부(40)는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설정범위, 예컨데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를 통한 시험 분석 결과 1사분면 내 0.01 이상의 양수이면,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하여 희석 오일이 실린더에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is a positive number of 0.01 or more within the first quadrant as a result of the test analysis through the set range, for example,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ccurs and the diluted oil enters the cylinder. It can be diagnosed as excessive influx.
또한, 진단부(40)는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양수일 경우 유의미한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so, when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is positive, the
출력부(50)는 진단부(40)의 진단 결과를 출력한다. 즉, 출력부(50)는 진단부(40)의 진단 결과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면 엔진오일희석 현상 발생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이 경우, 출력부(50)는 엔진오일 교환을 경고할 수 있다. 출력부(50)로는 차량의 클러스터가 채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을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를 참조하면, 공연비 측정부(10)는 엔진의 공연비를 측정(S10)하고,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20)는 크랭크 케이스 내 블로 바이 카스의 압력을 검출(S20)하며, 터보차져 압력 검출부(30)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흡기를 가압하기 위한 터보차져 내 블로 바이 가스의 압력을 검출한다(S30).Referring to FIG. 4 , the air-fuel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의 공연비가 측정되고,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이 각각 검출됨에 따라, 진단부(40)는 엔진의 공연비 변화량과 블로 바이 가스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진단 계수를 산출한다(S40).As described above, the air-fuel ratio of the engine is measured, and as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are respectively detected, the
먼저, 진단부(40)는 공연비 측정부(10)에 의해 측정된 공연비를 토대로 공연비 변화량을 산출하고,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변화량을 검출한다. 즉, 진단부(40)는 초기 정상 상태에서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를 산출하고, 이후 현재 측정 시점, 예컨데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된 시점에서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를 산출한 후, 초기 정상 상내에서의 압력차(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와 현재 측정 시점에서의 압력차(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를 비교하여 압력차 변화량을 산출한다. First, the
이어 진단부(40)는 공연비 변화량과 압력차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한 수학식 3을 근거로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한다. Next, the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가 산출됨에 따라, 진단부(40)는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50).A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is calculated, the
S5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엔진오일희석 진단 계수가 설정범위, 0.01 이상이면,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하여 희석 오일이 실린더에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으로 진단하고, 엔진오일희석 현상 발생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60). 이 경우, 출력부(50)는 엔진오일 교환을 경고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0, if the engine oil dilution diagnostic coeffici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range, 0.01,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ccurs and the dilution oil is excessively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and the driver is warned of the occurrence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S60). 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엔진오일 압력의 변화량과 공연비를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여 경고함으로써 시동꺼짐이나 출력 증가 현상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한다. As such,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agnose and war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change amount of engine oil pressure and the air-fuel ratio, thereby minimizing problems such as engine off or output increase.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엔진오일희석을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엔진오일 교환을 유도하고 차량의 안정적인 운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rns the driver of engine oil dilution to induce engine oil change and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vehicle.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함으로써, 오일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이 엔진오일 고갈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엔진오일희석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agnose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to determine whether the phenomenon in which the oil pressure is lowered is caused by engine oil depletion. It can be distinguished whether it is caused by oil diluti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discussed features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in an apparatus or a progra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and the like. A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공연비 측정부 20: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
30: 터보차져 압력 검출부 40: 진단부
50: 출력부 10: air-fuel ratio measurement unit 20: crankcase pressure detection unit
30: turbocharger pressure detection unit 40: diagnostic unit
50: output unit
Claims (14)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크랭크 케이스 압력 검출부;
엔진의 터보차져의 압력을 검출하는 터보차져 압력 검출부; 및
상기 공연비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 및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을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공연비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 및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을 이용하여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상기 공연비의 공연비 변화량, 및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 간의 압력차 변화량을 토대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an air-fuel ratio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air-fuel ratio of the engine;
a crankcase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of the engine;
a turbocharger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of a turbocharger of the engine; and
and a diagnostic unit for diagnos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air-fuel ratio,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and the pressure of the turbocharger,
The diagnosis unit includes calculat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by using the air-fuel ratio,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and the diagnosis unit calculate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based on an air-fuel ratio change amount of the air-fuel ratio and a pressure difference change amount between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and the pressure of the turbocharger.
엔진 전체 구동영역에서 상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is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constant diagnosis in the entire driving range of the engine.
엔진 제작 시 맵핑된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초기 공연비와 엔진오일 희석현상이 발생 한 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공연비 사이의 변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ir-fuel ratio is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initial air-fuel ratio 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oes not occur mapped during engine manufacturing and the air-fuel ratio measured through a sensor after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ccurs.
현재 검출된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의 제곱근을 초기 상태에서의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is
It is calculated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quare root of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ly detected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by the square root of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in the initial state. A diagnostic device for engine oil dilution.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토대로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gnostic unit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gnosis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is diagnosed based on whether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is within a preset range.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터보차져의 압력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공연비 변화량과 상기 압력차 변화량을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를 토대로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의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 measuring the air-fuel ratio and calculating an air-fuel ratio change amount based on the measured air-fuel ratio;
calculating a pressure difference change amount between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by detecting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respectively;
calculating an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based on the change amount of the air-fuel ratio and the pressure difference change amount, and diagnosing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based o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and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엔진 전체 구동영역에서 상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is
A method for diagnosing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constant diagnosis in the entire driving range of the engine.
엔진 제작 시 맵핑된 엔진오일희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초기 공연비와 엔진오일 희석현상이 발생 한 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공연비 사이의 변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ir-fuel ratio is
A method for diagnosing engine oil dilu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initial air-fuel ratio 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oes not occur mapped during engine manufacturing and the air-fuel ratio measured through a sensor after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occurs.
현재 검출된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의 제곱근을 초기 상태에서의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과 상기 터보차져의 압력의 압력차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is
It is calculated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quare root of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ly detected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by the square root of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rankcase pressure and the turbocharger pressure in the initial state. How to diagnose engine oil dilution.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토대로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agnosing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comprise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gnosis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is diagnosed based on whether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coefficient is included within a preset range.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계수가 상기 설정범위 이내에 포함되면 상기 엔진오일희석 현상의 발생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희석 현상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outputting the diagnosis result comprises: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diagnostic coefficient is within the set range, warning the occurrence of the engine oil dilution phenomen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711A KR102300882B1 (en) | 2020-07-28 | 2020-07-28 | Engine oil dilution diagn0stic appat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711A KR102300882B1 (en) | 2020-07-28 | 2020-07-28 | Engine oil dilution diagn0stic appatatus and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0882B1 true KR102300882B1 (en) | 2021-09-14 |
Family
ID=7777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3711A Active KR102300882B1 (en) | 2020-07-28 | 2020-07-28 | Engine oil dilution diagn0stic appatatus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088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54144B1 (en) * | 2021-03-24 | 2022-09-27 | Caterpillar Inc. | Lubricant dilution detection system |
CN116146305A (en) * | 2022-09-09 | 2023-05-23 |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Early warning method for engine oil emulsification, vehicle controller and vehicl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17936A (en) * | 1997-05-21 | 1998-12-02 | Nippon Soken Inc |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means of suppressing oil dilution |
KR20050017651A (en) * | 2003-08-08 | 2005-02-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ystem for alarming engine abnormal state using blow-by gas flow change |
JP2007170297A (en) * | 2005-12-22 | 2007-07-05 | Denso Corp | Control device for engine |
JP2013204447A (en) * | 2012-03-27 | 2013-10-07 | Toyota Motor Corp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16130455A (en) * | 2015-01-13 | 2016-07-21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Failure preven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failure prevention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18047741A (en) * | 2016-09-20 | 2018-03-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Hybrid-vehicular control apparatus |
JP2019183674A (en) * | 2018-04-03 | 2019-10-24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Internal combustion engine diagnostic system |
-
2020
- 2020-07-28 KR KR1020200093711A patent/KR1023008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17936A (en) * | 1997-05-21 | 1998-12-02 | Nippon Soken Inc |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means of suppressing oil dilution |
KR20050017651A (en) * | 2003-08-08 | 2005-02-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ystem for alarming engine abnormal state using blow-by gas flow change |
JP2007170297A (en) * | 2005-12-22 | 2007-07-05 | Denso Corp | Control device for engine |
JP2013204447A (en) * | 2012-03-27 | 2013-10-07 | Toyota Motor Corp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16130455A (en) * | 2015-01-13 | 2016-07-21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Failure preven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failure prevention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18047741A (en) * | 2016-09-20 | 2018-03-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Hybrid-vehicular control apparatus |
JP2019183674A (en) * | 2018-04-03 | 2019-10-24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Internal combustion engine diagnostic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54144B1 (en) * | 2021-03-24 | 2022-09-27 | Caterpillar Inc. | Lubricant dilution detection system |
US20220307394A1 (en) * | 2021-03-24 | 2022-09-29 | Caterpillar Inc. | Lubricant dilution detection system |
CN116146305A (en) * | 2022-09-09 | 2023-05-23 |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Early warning method for engine oil emulsification, vehicle controller and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45750B (en) | Throttle inlet absolute air pressure sensor for dirty air filter detection | |
RU2582720C2 (en) | Engine operation method | |
KR102300882B1 (en) | Engine oil dilution diagn0stic appatatus and method | |
JP3961312B2 (en)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20080215205A1 (en) | Diagnostic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8869528B2 (en) | Low pressure EGR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take air leakage therethrough | |
JP2017166449A (en) | Leak detector | |
CN1536206A (en) | Diagnostic system of waste gas rear processing equip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6531222B1 (en) | Engin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 |
JP5120333B2 (en) | Air flow meter failure diagnosis device | |
CN101078379A (en) | Engine catching fire determining device and method | |
CN113389667A (en) | Performance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method for high-pressure EGR cooler | |
JP4650370B2 (en) | Catalyst deterioration detector | |
CN115013131A (en) | DPF stat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 |
JPH10184335A (en) |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blowby gas passag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296810B2 (en) | Lubricant viscosity measurement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KR20130023147A (en) |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n error in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 |
CN111156093B (en) |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diesel-alcohol dual-fuel engine | |
US2012023274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 fuel supply system of an automobi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5783107B2 (en)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507957B2 (en) | Catalyst deterioration det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13108414A (en) | Egr cooler diagnosis system | |
JP4380354B2 (en) | Additive valve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11319890B2 (en) |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for air-fuel ratio detection device | |
BR102015021413A2 (en) | anomaly determination device for oxidation cataly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