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0468B1 -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468B1
KR102300468B1 KR1020200050959A KR20200050959A KR102300468B1 KR 102300468 B1 KR102300468 B1 KR 102300468B1 KR 1020200050959 A KR1020200050959 A KR 1020200050959A KR 20200050959 A KR20200050959 A KR 20200050959A KR 102300468 B1 KR102300468 B1 KR 10230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pcb
camera module
unit
folding
fol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웅
박정인
박태오
엄태근
한신희
임정호
Original Assignee
팸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팸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팸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4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용 FPCB에 접착수단을 부착한 다음 폴딩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용 FPCB 제품의 생산효율을 높이면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용 FPCB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고정 및 이송시키는 이송부, 싱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폴딩시키는 폴딩부, 상기 폴딩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AUTO FOLDING SYSTEM FOR CAMERA MODULE FPCB}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테스트 하기에 앞서 일정 형상으로 폴딩할 수 있는 있는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PCB는 반도체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으로, 하나의 시트상에 동일한 제품을 복수개 배열하여 생산한 후 절단하여 분리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비전검사를 통해 이상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제품들은 점차 소형화, 정밀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전자제품의 내부의 회로는 얇고 내구성이 우수한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FPCB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FPCB 또한 점차 크기는 작아지고 소자의 실장 집적도는 높아지고 있다.
또한, 휴대폰에는 피사체를 스틸 이미지로 찍어서 저장하거나 송신하는 등의 기능을 갖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다.
종래 휴대폰 내장형 카메라 모듈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카메라 렌즈가 구비된 렌즈하우징과 커넥터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 모듈은 검사장비를 통해 카메라 모듈용 FPCB에 마련된 칩들의 불량여부를 판별 받은 후 출고된다.
이때, 근래에는 검사장비의 소형화를 위해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폴딩한 상태에서 불량여부를 판별 받게 되며,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폴딩하기 전에 카메라 모듈용 FPCB의 비 검사영역에 접착수단을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폴딩작업 및 접착수단 부착 작업은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효율을 저하시킴과 함께, 접힘부위에서 단선현상이 발생함에 따른 제품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FPCB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이 서로 어긋나지 아니하고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폴딩하여야 함으로, FPCB의 그 정렬 과정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FPCB의 정렬작업이 오로지 작업자의 감만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고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과 FPCB의 개당 폴딩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FPCB를 불량 없이 자동으로 정렬 및 폴딩할 수 할 수 있으며, FPCB의 개당 제작단가를 낮추고 작업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폴딩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70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용 FPCB에 접착수단을 부착한 다음 폴딩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용 FPCB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고정 및 이송시키는 이송부, 싱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폴딩시키는 폴딩부, 상기 폴딩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부가 가압부,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가 폴딩되도록 상기 파지부를 기 설정된 각도록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폴딩 된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저면을 지지하는 부가 지지부, 상기 폴딩 된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상면을 하 방향으로 프레싱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를 고정하는 지그, 상기 지그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 및 지그를 공급부 또는 폴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폴딩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상면에 접착수단을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외주연에 서로 분할된 다수개의 접착수단이 부착된 필름이 권취되어 있으며, 회전작동을 통해 접착수단을 권출하는 권취롤, 상기 권출된 접착수단 또는 이송부에 고정된 카메라 모듈용 FPCB에 대해 이동 및 승강되어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상면에 접착수단을 안착시키는 안착부,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착수단을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에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폴딩부에 의해 폴딩된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정렬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폴딩부를 이송부에 고정된 카메라 모듈용 FPCB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후진 구동부, 상기 폴딩부에 의해 폴딩된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상,하면을 각각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정렬여부를 화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인식된 화상을 토대로 FPCB의 정렬여부를 확인하고, 비 정렬 시 위치 보정값을 산출하여 전,후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용 FPCB의 공급공정, 접착수단 부착 공정, 폴딩공정 및 언로딩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카메라 모듈용 FPCB 제품의 생산효율을 높이면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적용된 부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부와 폴딩부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적용된 폴딩부, 확인부 및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을 통해 FPCB를 폴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적용된 부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부와 폴딩부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에 적용된 폴딩부, 확인부 및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을 통해 FPCB를 폴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용 FPCB(이하 'FPCB'라 함.)의 불량유무를 검사함에 있어 FPCB(80)를 자동으로 로딩, 정렬, 폴딩 및 언로딩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1)은, 공급부(10), 이송부(20), 부착부(50), 폴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공급부(10)는 폴딩할 FPCB(80)를 이송부(20)에 공급하는 것으로, 일정한 높이와 면적을 갖는 작업테이블(100)의 일측에 배치된다.
작업테이블(100)의 일측에는 폴딩할 다수개의 FPCB(80)들이 수납된 로딩트레이(110)들이 로딩부(미도시)에 의해 순차적으로 셋팅된다.
로딩부는 로드레스 실린더(미도시) 및 로딩트레이(110)를 픽킹하며, 로드레스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로딩트레이(110)를 공급부(10) 측으로 이송시키는 집게(312)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딩트레이(110)는 박스형태로 된 적층부(미도시)의 내부에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로딩부는 하단 또는 상단에 위치된 로딩트레이(110)부터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공급부(10)가 FPCB(80)를 이송부(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로딩부는 공급부(10)가 로딩트레이(110)에서 FPCB(80)를 가지고 가면, 빈 로딩트레이(110)를 작업대에 마련된 별도의 수거공간(미도시)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부(10)는 작업테이블(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11), 제1로드레스 실린더(11)에 의해 로딩트레이(110) 또는 이송부(2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12), 브라켓을 통해 제2로드레스 실린더(12)에 결합되며, 제2로드레스 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로딩픽커(1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픽커(13)는 로딩트레이(110)의 상부에서 하강 시 흡기력을 발생시켜 로딩트레이(110)에 수납된 FPCB(80)를 픽킹한 다음 상승하여 이송부(20)로 이송되며, 이송부(20)의 상부에서 하강 시에는 흡기력이 소멸되어 픽킹한 FPCB(80)를 이송부(20)에 안착시킨다.
이후, 제2로드레스 실린더(12)는 로딩픽커(13)를 상승시키며, 제1로드레스 실린더(11)는 로딩픽커(13)를 로딩트레이(110)로 이송시켜 새로운 FPCB(80)를 픽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로딩픽커(13)는 한번에 복수개의 FPCB(80)를 픽킹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후술되는 이송부(20), 부착부(50), 폴딩부(30)는 한번에 복수개의 FPCB(80)를 작업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송부(20)는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FPCB(80)를 고정 및 이송시키는 것으로, 지그(21), 승강구동부(22), 이송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21)는 상면에 FPCB(80)의 모듈본체(81)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다.
모듈본체(81)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FPCB(80)는 모듈본체(81)에서 휘어질 수 있다.
고정홈은 FPCB(80)를 용이하게 인출 또는 인입할 수 있도록 상면 및 폴딩부(30)와 마주하는 전면이 개방된다.
따라서, FPCB(80)의 일부분은 지그(21)의 전방의 일정길이 돌출되고, 후술되는 폴딩부(30)는 이 돌출된 부분을 파지하여 폴딩작업을 수행한다.
승강구동부(22)는 지그(21)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22)는 이송부재(23)에 설치되는 탑재부(24)에 탑재된다.
이송부재(23)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재(23)에는 탑재부(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부재(23)는 지그(21)에 고정된 FPCB(80)를 공급부(10) 또는 폴딩부(30)로 이송시킨다.
이때, 승강구동부(22)가 지그(21)를 승강시킴에 따라, 1개의 폴딩부(30)에 2개의 FPCB(80)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 과정에서 2개의 지그(21)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23)는 2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대(25)의 양측에 각각 된다. 그리고, 각각의 이송부재(23)에는 승강구동부(22) 및 지그(21)가 탑재된다.
일 예로, 좌측에 위치된 이송부재(23)가 먼저 지그(21)를 폴딩부(30)로 이송하여 FPCB(80)가 폴딩되도록 한 다음 공급부(10)로 복귀시키되, 우측에 위치된 이송부재(23)는 좌측에 위치된 FPCB(80)가 폴딩되는 과정에서 지그(21)를 출발시킴으로써, FPCB(80)를 폴딩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 좌측에 위치된 지그(21)가 공급부(10) 측으로 이송되고 우측에 위치된 지그(21)가 폴딩부(30) 측으로 이송되면 어느 한 지점에서 서로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하나의 승강구동부(22)는 지그(21)를 하강시키고, 다른 하나의 승강구동부(22)는 지그(21)를 상승시켜 양 지그(21)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부착부(50)는 FPCB(80)를 폴딩하기 전에 접착수단(90)을 부착하는 것으로, 권취롤(51), 안착부(52), 지지부(53), 가압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FPCB(80)는 상면과 하면에 다수개의 칩들이 형성된 검사 영역과 칩이 형성되지 않은 비검사 영역으로 구획되며, 별도의 검사장비로 검사 영역의 상,하면을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부착부(50)는 FPCB(80)의 비 검사 영역에 접착수단(90)을 부착하며, 후술되는 부가 가압부(32)가 비 검사 영역에 부착된 접착수단(90)을 가압한다.
즉, 접착수단(90)은 부가 가압부(32)에 의해 가압되는 비 검사 영역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부착부(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권취롤(51)은 이송부재(23)의 일측에 배치된다. 권취롤(51)의 외주연에는 필름(P)이 권취되어 있으며, 필름(P)에는 서로 분할된 다수개의 접착수단(90)이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있다.
이때, 접착수단(90)은 테이프나 필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름(P)과 마주하는 저면에는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다.
접착수단(90)은 필름(P)에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부착될 수 있고, 각 열마다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권취롤(51)은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필름(P)을 권출한다.
권취롤(51)의 일측에는 필름(P)의 권출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판(55)이 마련된다.
가이드판(55)의 일측에는 필름(P)의 일측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편(56)이 형성된다. 가압편(56)은 필름(P)이 뜨는 것을 방지하면서 권출될 수 있는 하중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권취롤(51)에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어 필름(P)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텐션유지롤(57)이 더 배치된다.
따라서, 필름(P)은 권취롤(51)이 회전 시 가이드판(55)에서 일정길이씩 권출되면서 안착부(52)에 접착수단(90)을 공급한다.
모터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및 각도로 권취롤(51)을 회전시켜 필름(P)이 일정한 길이로 권출되도록 하며, 안착부(52)는 가압편(56)을 통과한 접착수단(90)을 FPCB(80)의 비 검사 영역에 부착한다.
안착부(52)는 제3로드레스 실린더(521), 제3로드레스 실린더(521)에 의해 가이드판(55)에 위치된 접착수단(90) 또는 지그(21)에 고정된 FPCB(8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제4로드레스 실린더(522), 브라켓을 통해 제4로드레스 실린더(522)에 결합되며, 제4로드레스 실린더(522)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블럭(524)에 설치되는 안착픽커(52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픽커(523)는 가이드판(55)의 상부에서 하강 시 흡기력을 발생시켜 접착수단(90)을 픽킹한 다음 상승하여 지그(21)로 이송되며, 지그(21)의 상부에서 하강 시에는 흡기력이 소멸되어 픽킹한 접착수단(90)을 비 검사영역에 안착시킨다.
이때, 도 4를 기준으로 평면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이드판(55)에 위치된 접착수단(90)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도 6을 기준으로 평면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비 검사영역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승강블럭(524)의 내부에는 안착픽커(523)를 시계반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매립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픽커(523)는 접착수단(90)의 상측에 위치될 때 모터에 의해 90도로 회전되어 가로형태로 접착수단(90)을 픽킹하고, FPCB(80)의 상측에 위치될 때에는 모터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90도로 회전되어 세로형태가 된 상태에서 FPCB(80)의 비 검사영역에 접착수단(90)을 안착한다.
이때, 부착부(50)의 전방에 공급부(10)가 위치됨으로, 이송부재(23)는 공급부(10)가 지그(21)에 FPCB(80)를 공급하면, 지그(21)를 후진시켜 FPCB(80)의 비 검사영역과 안착픽커(523)가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지지부(53)는 지그(21)가 후진되어 오면 작동하는 것으로, 이송부재(23)의 일단 상면에 배치되는 제5로드레스 실린더(531), 제5로드레스 실린더(531)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 시 FPCB(8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럭(53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럭(532)이 FPCB(80)를 지지해 줌으로 FPCB(80)의 비 검사영역에 접착수단(90)을 안착할 때, FPCB(8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54)는 이와 같이 지지블럭(532)이 FPCB(80)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FPCB(80)의 비 검사영역에 안착된 접착수단(90)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승강블럭(524)에 결합되어 함께 승강되는 제6로드레스 실린더(322), 제11로드레스 실린더(541)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 시 접착수단(90)을 FPCB(80)의 비 검사영역에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가압블럭(5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폴딩부(30)는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카메라 모듈용 FPCB(80)를 폴딩시키는 것으로, 파지부(31), 부가 가압부(32), 회전구동부(33), 부가 지지부(53)(34), 프레스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31)는 이송부재(23)의 끝부분으로 이송된 지그(21)의 전방에 위치된다.
파지부(31)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311), 본체(311)의 전방에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승강되는 한 쌍의 집게(312)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311)의 내부에는 한 쌍의 집게(312)부를 오므리거나 벌리는 에어실린더(미도시)가 매립된다.
따라서, 이송부재(23)에 의해 FPCB(80)가 전방으로 이송되면 집게(312)부가 각각 상승, 하강 작동되어 FPCB(80)의 검사영역을 파지하게 된다.
부가 가압부(32)는 파지부(31)의 전방 상측에서 지그(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부가 가압블럭(321), 부가 가압블럭(321)을 승강시키는 제6로드레스 실린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가압블럭(321)은 후술되는 부가 지지블럭(342)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제6로드레스 실린더(322)에 의해 하강 시 접착수단(90)의 상면에 접촉된다.
회전구동부(33)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33)의 모터축은 본체(311)의 후면 중앙부분에 고정되어 파지부(31) 전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구동부(33)는 모터축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180도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회전구동부(33)는 파지부(31)가 FPCB(80)의 일부분을 파지하면, 파지부(31) 전체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FPCB(80)가 폴딩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시스템은 파지부(31)의 위치를 FPCB(80)에 일치시키기 위한 각도조절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70)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70)의 모터축은 회전구동부(33)가 고정되는 브라켓(B)의 저면 중앙부분에 고정되어 회전구동부(33), 파지부(31)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시스템는 지그(21)에 고정된 FPCB(80)의 위치를 센싱하여 후술되는 제어부에 전송하는 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지장치는 센서(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장치로부터 FPCB(80)의 위치나 각도를 전송 받아 집게부(312)와 FPCB(80)가 수평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보정 값을 산출하여 각도조절부(70)에 작동 명령을 내리며, 각도조절부(70)는 보정 값에 맞게 파지부(31)를 회전시켜 파지부(31)와 FPCB(80)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FPCB(80)의 폴딩된 부분은 대략 '
Figure 112020043320570-pat00001
' 단면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FPCB(80)에는 상측부분(80a)과 하측부분(80b) 및 상측부분(80a)과 하측부분(80b)을 연결하는 연결부분(80c)이 형성되며, 파지부(31)는 결과적으로 FPCB(80)의 하측부분(80b)을 파지한 상태를 이룬다.
계속해서, 부가 지지부(53)(34)는 폴딩 된 FPCB(80)를 지지하여 후술되는 프레스부(35)가 FPCB(80)를 프레싱 할 때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송부재(23)의 타단 상면에 배치되는 제7로드레스 실린더(341), 제7로드레스 실린더(341)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 시 폴딩 된 FPCB(80)의 저면을 지지하는 부가 지지블럭(3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가 가압블럭(321)이 하강하고 부가 지지블럭(342)이 상승하면 FPCB(80)는 부가 가압블럭(321)과 부가 지지블럭(342)의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프레스부(35)는 파지부(31) 및 회전구동부(33)에 의해 폴딩된 FPCB(80)의 상면을 프레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프레스부(35)는 부가 가압블럭(32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8로드레스 실린더(351), 부가 가압블럭(321)의 일측에 배치되며 부가 가압블럭(321)의 상측에 배치된 제8로드레스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 시 FPCB(80)의 상측부분(80a)을 프레싱하는 가압핀(3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FPCB(80)는 상측부분(80a)과 하측부분(80b)이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폴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1)은 FPCB(80)의 상측부분(80a)과 하측부분(80b)이 정렬되었는지를 파악하고, 비 정렬 시에는 보정 값을 산출하여 자동으로 정렬시키는 확인부(60)를 더 포함한다.
확인부(60)는 전,후진 구동부(61), 촬영부(6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인부(60)는 전술한 부가 지지블럭(342)이 상승 작동하기 전에 작동된다.
전,후진 구동부(61)는 파지부(31) 및 회전구동부(33)를 지그(21)에 고정된 FPCB(80)에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것으로,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70)의 저면에는 지지판(71)이 결합되며, 전,후진 구동부(61)는 지지판(71)의 저면에 결합되는 이송체를 갖는다.
따라서, 이송체는 로드레스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파지부(31)를 FPCB(80)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촬영부(62)는 회전구동부(33)에 의해 폴딩된 FPCB(80)의 상,하면을 각각 촬영하여 FPCB(80)의 정렬여부를 화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프레스부(35)의 상측과 전,후진 구동부(61)나 각도조절부(70)의 전방에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촬영부(62)는 지그(21)에 고정된 FPCB(8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된 촬영부(62)는 FPCB(80)의 상측부분(80a) 상면을 촬영하고 하부에 위치된 촬영부(62)는 FPCB(80)의 하측부분(80b) 저면을 촬영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촬영부(62)로부터 전송된 FPCB(80)의 상측부분(80a) 영상과 하측부분(80b) 영상을 확인하여 정렬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FPCB(80)의 상측부분(80a)과 하측부분(80b)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후진 구동부(61)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촬영부(62)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통해 FPCB(80)의 상측부분(80a)이 하측부분(80b) 상에서 삐져 나왔는지 여부와 하측부분(80b)이 상측부분(80a) 상에서 삐져 나왔는지 여부를 마이크로 단위로 측정하며, 삐져 나왔을 경우 그에 맞는 보정 값을 산출하여 전,후진 구동부(61)에 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전,후진 구동부(61)는 보정 값에 맞게 각도조절부(70) 및 이에 결합된 파지부(31)를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파지부(31)에 파지된 FPCB(80)의 하측부분(80b)을 상측부분(80a)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FPCB(80)가 가지런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는 제7로드레스 실린더(341) 및 제8로드레스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부가 지지블럭(342)이 FPCB(80)의 하측부분(80b)을 지지하고, 가압핀(352)이 FPCB(80)의 상측부분(80a)을 가압하여 폴딩시키도록 한다.
한편, 언로딩부(40)는 이와 같이 폴딩된 FPCB(80)를 언로딩한다.
이때, 작업테이블(100)의 일측에는 언로딩트레이(12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언로딩부(40)는 작업테이블(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9로드레스 실린더(41), 제9로드레스 실린더(41)에 의해 언로딩트레이(120) 또는 폴딩부(30)의 전방에 위치된 지그(21)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제10로드레스 실린더(43), 브라켓을 통해 제10로드레스 실린더(43)에 결합되며, 제10로드레스 실린더(43)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언로딩픽커(43)를 포함할 수 있다.
언로딩픽커(43)는 지그(21)의 상부에서 하강 시에는 흡기력을 발생시켜 지그(21)에 고정된 FPCB(80)를 픽킹한 다음 상승하여 언로딩트레이(120)로 이송되며, 언로딩트레이(120)의 상부에서 하강 시 흡기력이 소멸되어 언로딩트레이(120)에 FPCB(80)를 안착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10 : 공급부 11 : 제1로드레스 실린더
12 : 제2로드레스 실린더 13 : 로딩픽커
20 : 이송부 21 : 지그
22 : 승강구동부 23 : 이송부재
24 : 탑재부 25 : 지지대
30 : 폴딩부 31 : 파지부
311 : 본체 312 : 집게
32 : 부가 가압부 321 : 부가 가압블럭
322 : 제6로드레스 실린더 33 : 회전구동부
34 : 부가 지지부 341 : 제7로드레스 실린더
342 : 부가 지지블럭 35 : 프레스부
351 : 제8로드레스 실린더 352 : 가압핀
40 : 언로딩부 41 : 제9로드레스 실린더
42 : 제10로드레스 실린더 43 : 언로딩픽커
50 : 부착부 51 : 권취롤
52 : 안착부 521 : 제3로드레스 실린더
522 : 제4로드레스 실린더 523 : 안착픽커
524 : 승강블럭 53 : 지지부
531 : 제5로드레스 실린더 532 : 지지블럭
54 : 가압부 541 : 제11로드레스 실린더
542 : 가압블럭 55 : 가이드판
56 : 가압편 57 : 텐션유지롤
60 : 확인부 61 : 전,후진 구동부
62 : 촬영부 70 : 각도조절부
71 : 지지판 80 : FPCB
80a : 상측부분 80b : 하측부분
80c : 연결부분 81 : 모듈본체
90 : 접착수단 100 : 작업 테이블
110 : 로딩트레이 120 : 언로딩트레이

Claims (5)

  1. 카메라 모듈용 FPCB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고정 및 이송시키는 이송부,
    싱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폴딩시키는 폴딩부,
    상기 폴딩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부가 가압부,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가 폴딩되도록 상기 파지부를 기 설정된 각도록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폴딩 된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저면을 지지하는 부가 지지부,
    상기 폴딩 된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상면을 하 방향으로 프레싱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를 고정하는 지그,
    상기 지그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 및 지그를 공급부 또는 폴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를 폴딩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상면에 접착수단을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외주연에 서로 분할된 다수개의 접착수단이 부착된 필름이 권취되어 있으며, 회전작동을 통해 접착수단을 권출하는 권취롤,
    상기 권출된 접착수단 또는 이송부에 고정된 카메라 모듈용 FPCB에 대해 이동 및 승강되어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상면에 접착수단을 안착시키는 안착부,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착수단을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에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에 의해 폴딩된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정렬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폴딩부를 이송부에 고정된 카메라 모듈용 FPCB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후진 구동부,
    상기 폴딩부에 의해 폴딩된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상,하면을 각각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용 FPCB의 정렬여부를 화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인식된 화상을 토대로 FPCB의 정렬여부를 확인하고, 비 정렬 시 위치 보정값을 산출하여 전,후진 구동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KR1020200050959A 2020-04-27 2020-04-27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Active KR10230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59A KR102300468B1 (ko) 2020-04-27 2020-04-27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59A KR102300468B1 (ko) 2020-04-27 2020-04-27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468B1 true KR102300468B1 (ko) 2021-09-10

Family

ID=7777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959A Active KR102300468B1 (ko) 2020-04-27 2020-04-27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759A (ko) * 2022-05-10 2023-11-17 팸텍주식회사 정밀 계측을 위한 조절 제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032B1 (ko) 2013-04-11 2014-03-25 이춘식 연성인쇄회로기판용 베이스 플레이트 편심검사장치
KR20160093914A (ko) * 2015-01-30 2016-08-09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연성기판 밴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032B1 (ko) 2013-04-11 2014-03-25 이춘식 연성인쇄회로기판용 베이스 플레이트 편심검사장치
KR20160093914A (ko) * 2015-01-30 2016-08-09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연성기판 밴딩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759A (ko) * 2022-05-10 2023-11-17 팸텍주식회사 정밀 계측을 위한 조절 제어장치
KR102740842B1 (ko) 2022-05-10 2024-12-16 팸텍주식회사 정밀 계측을 위한 조절 제어장치
US12259405B2 (en) 2022-05-10 2025-03-25 PAMTEK Co., Ltd. Adjustment control device for precise measur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758B1 (ko)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제조장치
JP6151925B2 (ja) 基板固定装置、基板作業装置および基板固定方法
CN109511258A (zh) 自动贴装设备
CN104347435B (zh) 吸附筒夹和芯片接合器
CN108855962B (zh) 一种用于压入电陶瓷微粒电容的治具板的检测机
JP7145029B2 (ja) 半導体資材の切断装置
CN218049111U (zh) 一种芯片测试分选设备
JPWO2020008761A1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CN115283283A (zh) 一种Mini/Micro LED自动测试设备及其控制方法
TWI608965B (zh) Electronic parts packaging equipment and labeling equipment
KR101104808B1 (ko) 에프피씨 본딩장치
KR20160093914A (ko) 카메라 모듈용 연성기판 밴딩 시스템
KR102231146B1 (ko) 이송툴모듈, 니들핀 조립체, 및 그를 가지는 소자핸들러
KR102300468B1 (ko)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CN117412512A (zh) 电路板贴片装置
CN114798869B (zh) 电子器件组装及保压设备
WO2018061103A1 (ja) ウエハ供給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
CN114864429B (zh) 自动贴片设备及自动贴片方法
KR102159204B1 (ko) 기판 가압장치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 자동 부착 로봇
TW201712787A (zh) 元件處理器
KR102215006B1 (ko) 카메라 모듈용 fpcb 폴딩장치
CN110549087B (zh) 一种处理器框架自动安装设备
KR102322643B1 (ko)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언폴딩 시스템
CN112404975A (zh) 一种网纱组装设备
KR20170070349A (ko) 인라인 자동 olb/cog 공용 본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