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98918B1 -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 Google Patents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918B1
KR102298918B1 KR1020210052049A KR20210052049A KR102298918B1 KR 102298918 B1 KR102298918 B1 KR 102298918B1 KR 1020210052049 A KR1020210052049 A KR 1020210052049A KR 20210052049 A KR20210052049 A KR 20210052049A KR 102298918 B1 KR102298918 B1 KR 102298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circulating
cleaning
tank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진
Original Assignee
윤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진 filed Critical 윤창진
Priority to KR102021005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88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bringing about a partial recirculation of the liquid, e.g. for introducing chemic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05Control of chemical properties of a component, e.g. control of p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약액 세정 탈취기에 있어서, 약액 저장탱크(60)의 외측에 별개의 순환약액 세정탱크(90)를 더 설치함은 물론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내,외부에 제 1 및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1)(102)와 압축공기 저장탱크(111), 공기 압축기(110), 압축공기 공급펌프(112), 복수의 에어노즐(120),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 약액 공급용기(141), 약액 공급펌프(140), pH검출센서(150) 및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160)를 더 설치하고, 제어부로 하여금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이 실시될 때 각 세정부를 통과하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한 순환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는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키다가 약액 세정 탈취기가 정해진 시간 이상 작동되면 순환약액은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한 상태에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세정운전과 배수운전 및 약액 보충운전을 실시한 다음 일반운전으로 재 돌입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약액의 전체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약액의 잦은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염 부산물의 용해도 저감을 통해 약액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가스 제거효율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Chemical liquid cleaning and deodorizer with automatic replacement of contaminated chemical liquids}
본 발명은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단의 세정부만 구비된 1단 약액 세정 탈취기 또는 1단 세정부와 2단 세정부가 본체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2단 약액 세정 탈취기(이하 모두 "약액 세정 탈취기"로 통칭함)에서 각종 세정 약액(예를 들어 산 세정액 및 알카리 세정액)을 지속적으로 순환 공급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또는 두개의 약액 저장탱크 외측에 별도의 순환약액 세정탱크를 설치하고, 약액 세정 탈취기를 일반운전하는 통상시에는 세정부를 통과하고 순환되어 오는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 등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키다가 약액 세정 탈취기가 정해진 시간 이상 작동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청소가 필요한 시점이 될 경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 대한 세정 및 배수운전과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 정해진 수소 이온 농도(pH) 값을 갖는 새로운 약액의 보충운전을 실시한 다음 다시 일반운전으로 돌입시키는 작동의 반복을 통해 세정 약액을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 과정에서 발생된 후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다시 회수되는 약액(즉, 세정액) 내의 염 용해도 저감은 물론 슬러지 형태로 침전되는 각종 침전물에 의한 약액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즉, 전체 약액의 교체주기 연장)할 수 있고, 또 약액의 잦은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염 부산물의 용해도 저감을 통해 약액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가스 제거효율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고, 염 부산물에 의한 약액 세정 탈취기의 폐색 방지는 물론 침전물로 인한 약액의 탁도 증대를 방지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발생되어 복합 악취가 나기 마련인데, 이로 인한 악취는 그 성상이 알카리성, 산성, 중성 등으로 복합적이어서 중화반응에 비해 반응속도가 느린 산화제(차아염소산소다 등)와 같은 단일 약액 세정액으로는 악취가스의 효과적인 처리가 어려워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복합 성상의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탈취 탑 내에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고, 이로부터 탈취 탑 내로 도입된 악취를 함유하는 가스에 물을 접촉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수세법)이 있으며, 이외에 탈취 탑 내에 활성탄, 실리카겔 및 지올라이트(Zelite) 등과 같은 흡착제 층을 배치하여 악취 물질을 흡착하도록 하는 방법(흡착법)이나 상기 흡착제 대신 특정 미생물 층을 배치하여 상기 미생물이 악취 발생물질들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법(미생물 접촉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복합가스로 이루어진 악취 가스는 통상 '산과 알칼리' 약액에 의해 중화반응을 일으켜 정화되는 것으로, 이러한 통상의 탈취 탑은 반응속도가 느려 효율이 떨어지나 복합적으로 반응하는 산화제(차아염소산소다 등)를 사용하는 단일 탈취 탑이나, 2개의 탈취 탑을 직렬로 연결하는 직렬식으로 각각 구성되는 산, 알칼리 세정 탑으로 이루어진 바, 이는 복합가스의 탈취효율이 저하하거나, 시공 제작 등의 복잡하고 장치의 대형화로 설치공간과 설치비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특허등록 제10-0820845호(발명의 명칭: 2액 동시세정 탈취 탑)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와 같은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산, 알칼리 세정탑을 일체형 탈취 탑으로 구비함으로써 각 세정액이 별도로 순환하며 복합가스의 세정을 도모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한편, 산이나 알칼리 단독 세정 시에도 제트노즐과 팩배드 2단 세정을 수행함으로써 탁월한 세정력을 확보함은 물론 산, 알칼리의 동시 중화반응으로 하여금 탈취력이 개선되도록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복합가스의 세정 시에 제트노즐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제트노즐은 다수개의 공급관을 갖는 가스분배실과, 상기 가스분배실의 공급관에 대응되되 결합 시 외측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씌어지도록 형성되어 공급공을 이루고 악취가스가 공급 공을 통하여 기포 상으로 액 중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캡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제트노즐은 본체 내부에 다수개로 고르게 분포되어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트노즐은 본체 내부에 다수개로 고르게 분포되어 배치된다 하더라도 배치 상 개공율을 크게 할 수 없어 압력손실이 크게 된다.
또한, 구조상 단위노즐의 분사구 폭이 커서 미세기포를 만들기 어렵고, 수중으로 분사되는 기포가 커서 세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팩배드을 통과하고 하부로 떨어지는 산 세정액을 팩배드 하부에서 포집하도록 형성되는 포집디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포집디치는 단순히 V자형으로 되어 있어 알칼리 세정액 미스트가 악취가스 흐름과 동반하여 2단 세정부인 산 세정부로 케리오버(Carry over)되게 되고, 포집디치에 포집되는 산 세정액에 혼합됨으로써 산 세정액을 중화시키게 되어 약품의 과다소요와 함께 산 세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을 출원하여 한국특허등록 제10-1203420호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 한국특허등록 제10-1203420호에 제시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상방에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포집부(11)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에 가스분배실(13)과 상기 가스분배실(13) 외부 일측에 구비된 배기팬(14)으로부터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관(15)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며 제1세정액을 수용하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1세정액 순환펌프(22),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1세정액 공급관(23), 상기 가스분배실(13)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알칼리 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여 악취가스 정화와 함께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Dust)을 동시에 제거하는 미세제트노즐세정부(24) 및, 상기 미세제트노즐세정(24)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로 순환 이송하도록 하는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25)가 구비된 1단 세정부(2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제2세정액을 수용하는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2세정액순환펌프(32), 상기 제2세정액순환펌프(32)에 의해 이송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 공을 갖는 제2세정액분사관(33),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제2세정팩배드부(34), 상기 제2세정팩배드부(34)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1단 세정부(20)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33)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팩배드부(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제2세정액 포집부(35) 및,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로 이송하는 제2세정액순환부(36)가 구비된 2단 세정부(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한국특허등록 제10-0820845호를 포함한 한국특허등록 제10-1203420호 등에서 제시되고 있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1단 세정부(20)와 2단 세정부(30)가 상부에 정화가스 배출구(12)를 구비하고 원통형 탑 형태를 갖는 본체(10)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된 형태를 가짐은 물론 상기 본체(10)의 저부에는 저류조인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 모든 약액 세정 탈취기에서는 악취가스와 각각의 세정액이 접촉되며 화학반응을 일으킬 때 중화 및 산화에 의한 거품 형태 염 부산물 및 각종 침전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염 및 침전물은 안정된 미세 고형화물로 생성 세정액 중에 용해되어 세정액들을 오염시키게 된다.
여기서 염 부산물이라 함은 황화수소와 가성소다의 중화 반응시 발생하는 Na2S와 메칠메르탑탄과 가성소다의 중화 반응시 발생하는 (CH3)2SNa를 포함하여, 암모니아와 차아염소산소다, 트리메칠 아민과 차아염소산소다 및 이황화메칠과 차아염소산소다 사이에서 각각 산화 반응시 각각 발생하는 3NaCl, NaCl 및 5NaCl 등 안정화된 화합물질을 말한다.
이와 같이 세정액을 이용한 악취가스의 탈취과정에서 발생하는 초기 염 부산물은 거품형태로 생성되고, 각종 침전물은 저장탱크의 바닥측으로 가라앉게 되는데, 이와 같은 거품을 각종 세정액 저장탱크 내부 샤워 시스템에 의해 제거되는데 제거된 거품 중에 포함된 염은 급속으로 약액인 세정액에 용해되어 세정액을 오염시키는 오염 원인이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세정액을 이용한 악취가스의 탈취과정에서 발생되는 초기 거품과 염 부산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지 못해 일정 주기별 세정액 전량을 교체하여야 하며, 세정액 교체로 인한 약품과 물의 소모량 증가하고, 탈취장치의 내부가 오염되어 탈취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대부분의 탈취 탑에서는 세정액 저장탱크("이하 "약액 저장탱크"와 병행하여 칭함) 내에서 과다하게 발생하는 염 성분의 거품은 거품제거 샤워(폼 킬러)에 의해 제거되는데, 이때 약액 내의 각종 침전물 자체는 물론 염 성분의 거품은 미세 염으로 세정액에 의해 용해되어 세정액의 탁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음이온의 염이 양이온을 띄는 탈취장치의 내부에서 각 부위에 점착되는 부작용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약액 저장탱크 내 약액(세정액)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거품 등의 제거를 위한 방안으로 "다단 탈취기의 알칼리 세정부 거품제거 및 2차 세정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32603호로 제시하고, 또 "약액 세정식 탈취기의 무동력 폼 제거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90761호로 제시함은 물론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08195호 및 10-1638429호로 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모든 약액 세정 탈취장치(편의상 통칭함)에서는 침전물에 대한 제거장치는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고, 단지 거품(폼 포함) 및 염 제거장치만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 각각 구비된 거품(폼 포함) 및 염 제거장치도 단순히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본체의 내부 또는 세정액 저장장치의 일측면에 별도로 구비된 형태를 가지고 악취가스의 세정과정에서 본체의 내부에서 또는 악취가스를 세정한 후 각각의 세정액 저장탱크 내로 환수되는 과정에서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거품 및 염을 제거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거품 및 염 제거장치는 세정액인 약액들의 분사를 통한 악취가스의 세정시 발생하는 거품 및 염의 일부만 본체의 내부에서 제거하거나, 또는 악취가스를 세정한 후 각각의 세정액 저장탱크 내로 환수되는 과정에서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거품 및 염의 일부만 제거할 수 있을 뿐,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은 제거할 수 없으므로 장기간동안 약액 세정 탈취장치를 가동할 경우, 계속해서 누적되는 거품이나 염 및 각종 불순 침전물에 의해 각각의 세정액 저장탱크 내에 있는 고가의 세정액 즉, 약액 전체가 크게 오염되어 세정 약액 전량을 교체하여야 하며, 세정 약액 교체로 인한 약품과 물의 소모량 증가하고, 탈취장치의 내부가 오염되어 탈취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그대로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90761호(2013년 07월 23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08195호(2016년 03월 28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38429호(2016년 07월 05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882803호(2018년 07월 23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1단의 세정부만 구비된 1단 약액 세정 탈취기 또는 1단 세정부와 2단 세정부가 본체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2단 약액 세정 탈취기 즉, 약액 세정 탈취기에서 각종 세정 약액(예를 들어 산 세정액 및 알카리 세정액)을 지속적으로 순환 공급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1개 또는 2개의 약액 저장탱크의 외측에 별도의 순환약액 세정탱크를 설치하고,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 상태인 통상시에는 제어부로 하여금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하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한 상태로 순환되어 오는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 등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키다가 약액 세정 탈취기가 정해진 시간 이상 작동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청소가 필요한 시점이 될 경우 순환약액은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한 상태에서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한 다음 드레인 관에 구비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을 열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혼탁 약액을 외부로 완전히 배수시키는 세정 및 배수운전을 실시한 후, 약액 공급용기 내의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 측으로 일정수위까지 보충시킨 후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정적량 공급시켜 정해진 pH 값을 갖는 새로운 약액을 보충시켜 주는 순환약액 세정탱크에 대한 약액 보충운전을 실시한 다음 일반운전으로 재 돌입하는 동작을 반복해 줌으로써, 세정 약액을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 과정에서 발생된 후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다시 회수되는 약액(즉, 세정액) 내의 염 용해도 저감은 물론 슬러지 형태로 침전되는 각종 침전물에 의해 약액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했던 문제점 즉, 약액의 전체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약액의 잦은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염 부산물의 용해도 저감을 통해 약액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가스 제거효율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고, 염 부산물에 의한 약액 세정 탈취기의 폐색 방지는 물론 침전물로 인한 약액의 탁도 증대를 방지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염 부산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어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 월류부 상부에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를 더 설치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 상태에서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유입받아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 등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슬러지가 순환약액의 흐름(유속)에 의해 순환약액 월류부 상방부로 재부상할 경우 이를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에 구비된 경사판들에 부딪혀 급속히 재 침강시켜 줄 수 있으므로 염 부산물을 포함한 슬러지 등이 최소로 포함되어 있는 맑은 순환약액을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지속해서 월류시킬 수 있어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액 저장탱크와 순환약액 세정탱크 사이에 설치된 월류관의 입구에 부유물 제거용 메쉬망을 더 설치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 상태에서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유입받아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 등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과정에서는 물론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청소가 필요한 시점되어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 마져 통과한 후 월류관을 통해 약액 세정탱크 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최종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부유물로 인한 약액 저장탱크 내 약액의 2차 오염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내에 1단의 세정부만 구비되거나 또는 1단 및 2단 세정부가 동시에 구비되고, 본체의 저부에는 세정단의 설치 개수에 대응하여 1개 또는 2개의 약액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1단 및 2단 세정부 내 상부에는 약액을 분사시켜 주는 분사봉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분사봉들과 상기 약액 저장탱크 사이에는 제어부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며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 내에 공급되어 있는 약액을 분사봉 측으로 압송시켜 주는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가 구비되며, 1단 및 2단 세정부의 하부 외측에는 각각 1단 및 2단 세정부를 통과한 약액을 포집하여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로 회수시켜 주는 약액 포집관들이 각각 구비되고, 본체의 외부에는 타이머 및 조작부를 구비하고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있어서, 상기 약액 저장탱크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된 형태를 갖고 약액 세정 탈취기가 약액 세정 탈취운전 중 상기 약액 포집관으로부터 분기된 포집약액 분기관을 통해 회수되는 약액을 유입받아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하며 순환약액에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을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부유물은 수면 위로 부상시키며 세정된 순환약액만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서서히 월류시켜 주는 순환약액 세정탱크와;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 내로 직접 연결된 약액 포집관과 상기 약액 포집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로 연결된 포집약액 분기관 상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폐 작동되며,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한 후 유입되는 순환약액을 약액 포집관 또는 포집약액 분기관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 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중 어느 일측 탱크측으로만 유입되게 하는 제 1 및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시 외부 공기를 압축시켜 정해진 용량을 갖는 압축공기 저장탱크에 저장시켜 주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며, 압축공기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를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혼탁하게 만들어 주는데 필요한 공기로 복수의 에어노즐에 공급시켜 주는 압축공기 공급펌프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펌프의 출구와 연결된 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급되어 오는 압축공기를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바닥면에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되게 함은 물론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부에 붙어 있는 고형물질이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복수의 에어노즐과;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일측 저부에 설치된 드레인 관상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혼탁된 약액을 외부로 자동 배출시켜 주는 약액 배출용 전자변과;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약액 공급용기 내의 새로운 약액을 제어부에서 정해진 량만큼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 보충시켜 주는 약액 공급펌프와;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약액에 대한 수소 이온 농도(pH) 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pH검출센서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부로 연결된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관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및 개폐량이 제어되며, 새로운 약액이 보충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를 갖도록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공급한 후, 상기 pH검출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pH값이 제어부 내에 기 정해져 있는 기준 pH값에 도달할 때까지 적정량의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미세하게 공급시켜 주는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는,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를 갖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가 순환약액 유입부와 순환약액 월류부로 구분되도록 상기 탱크 본체의 중간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되, 저단부와 탱크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는 순환약액 유입부 내로 유입되는 순환약액의 량 변화에 대응하는 변화되는 수압에 대응하는 량만큼 순환약액 월류부 측으로 지속해서 흘러 넘어가도록 하는 순환약액 통과공이 형성된 형태를 갖게 하는 격판과; 약액 저장탱크 내 약액의 최대 설정수위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탱크 본체와 약액 저장탱크의 대향면 사이를 연통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순환약액 월류부로 넘어온 순환약액의 수위가 자체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이를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월류시켜 주는 월류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탱크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 상부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를 통과하는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의 일부가 약액의 흐름(유속)에 의해 순환약액 월류부 상방부로 재부상할 경우 이를 급속히 재 침강시켜 주는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는 상,하부에서 각각 정해진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경사판을 정해진 각도(θ) 및 간격을 두고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의 경사판은, 약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기 경사판의 상단부는 월류관의 내면 저부보다 낮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바닥면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약액 배출용 전자변이 열렸을 때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드레인 관 측으로 원활히 흘러갈 수 있도록 상기 탱크 본체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 측이 높고, 약액 배출용 전자변이 설치된 드레인 관 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격판의 하방부에 형성된 순환약액 통과공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어노즐도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바닥면 경사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월류관의 입구에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에 포함되어 있거나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세정시 혼탁해진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침전물과 부유물 및 고형물이 월류관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주는 메쉬망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에서는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모드에서 작동중일 때, 상기 타이머를 통해 그 시간을 계수하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작동되어 해당 약액 저장탱크 내 세정 약액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일반운전모드에서 약액 포집관을 통해 포집된 후 포집약액 분기관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측으로 유입되던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한 상태에서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정해진 시간동안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세정운전단계와; 드레인 관에 구비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을 열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혼탁 약액을 외부로 완전히 배수시켜 주는 배수운전단계와;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 정해진 pH 값을 갖는 새로운 약액을 보충시켜 주는 약액 보충운전단계와; 타이머를 리세트시킴은 물론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닫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열은 상태에서 일반운전으로 재 돌입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서 실시하는 일반운전모드는,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 약액 저장탱크 내로 직접 연결된 약액 포집관에 설치된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닫고, 상기 약액 포집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로 연결된 포집약액 분기관 상에 설치된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열어주며, 드레인 관 상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은 닫아 준 상태를 유지시켜, 각각의 세정부를 통과하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한 상태로 순환되어 오는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를 통해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월류시키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서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와 같은 침전물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켜 주는 단계를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에서 실시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세정운전단계는,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열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닫아 각각의 세정부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함과 동시에 드레인 관 상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은 닫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와; 정해진 시간동안 압축공기 공급펌프를 작동시켜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배수운전 후 실시하는 약액 보충운전단계는, 약액 공급펌프를 작동시켜 약액 공급용기 내의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 측으로 일정수위까지 보충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를 작동시켜 새로운 약액이 보충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에 이를 때까지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공급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pH검출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pH값과 제어부 내에 입력되어 있는 기준 pH값을 상호 비교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로 새로 공급한 약액의 pH값이 정해진 기준 pH값에 도달하도록 적정량의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미세하게 공급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부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세정운전을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마다 자동으로 실시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임의로 세정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가 운전자에 의해 세정운전 자동 선택모드로 선택되어 일반운전을 실시하며 타이머를 통해 정해진 시간을 계수하던 중 운전자에 의해 상기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가 세정운전 수동 선택모드로 전환되면, 타이머의 계수값에 무관하게 즉시 세정운전 수동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세정운전단계와 배수운전단계 및 약액 보충운전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의하면, 1단의 세정부만 구비된 1단 약액 세정 탈취기 또는 1단 세정부와 2단 세정부가 본체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2단 약액 세정 탈취기 즉, 약액 세정 탈취기에서 각종 세정 약액(예를 들어 산 세정액 및 알카리 세정액)을 지속적으로 순환 공급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1개 또는 2개의 약액 저장탱크의 외측에 별도의 순환약액 세정탱크를 설치하고,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 상태인 통상시에는 제어부로 하여금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하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한 상태로 순환되어 오는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 등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키다가 약액 세정 탈취기가 정해진 시간 이상 작동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청소가 필요한 시점이 될 경우 순환약액은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한 상태에서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한 다음 드레인 관에 구비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을 열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혼탁 약액을 외부로 완전히 배수시키는 세정 및 배수운전을 실시한 후, 약액 공급용기 내의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 측으로 일정수위까지 보충시킨 후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정적량 공급시켜 정해진 pH 값을 갖는 새로운 약액을 보충시켜 주는 순환약액 세정탱크에 대한 약액 보충운전을 실시한 다음 일반운전으로 재 돌입하는 동작을 반복해 줌으로써, 세정 약액을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 과정에서 발생된 후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다시 회수되는 약액(즉, 세정액) 내의 염 용해도 저감은 물론 슬러지 형태로 침전되는 각종 침전물에 의해 약액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했던 문제점 즉, 약액의 전체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약액의 잦은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염 부산물의 용해도 저감을 통해 약액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가스 제거효율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고, 염 부산물에 의한 약액 세정 탈취기의 폐색 방지는 물론 침전물로 인한 약액의 탁도 증대를 방지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염 부산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어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 월류부 상부에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를 더 설치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 상태에서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유입받아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 등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1차 침전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슬러지가 순환약액의 흐름(유속)에 의해 순환약액 월류부 상방부로 재부상할 경우 이를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에 구비된 경사판들에 부딪혀 급속히 2차 재 침강시켜 줄 수 있으므로 염 부산물을 포함한 슬러지 등이 최소로 포함되어 있는 맑은 순환약액을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지속해서 월류시킬 수 있어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약액 저장탱크와 순환약액 세정탱크 사이에 설치된 월류관의 입구에 부유물 제거용 메쉬망을 더 설치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 상태에서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유입받아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 등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과정에서는 물론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청소가 필요한 시점되어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 마져 통과한 후 월류관을 통해 약액 세정탱크 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최종적(3차)으로 제거할 수 있어 부유물로 인한 약액 저장탱크 내 약액의 2차 오염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2단 세정부 적용 약액 세정 탈취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1단 세정부 적용 약액 세정 탈취기의 일부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약액 세정 탈취기 중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 월류부 상부에 설치한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적용된 약액 세정 탈취기 중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2단 세정부 적용 약액 세정 탈취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1단 세정부 적용 약액 세정 탈취기의 일부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약액 세정 탈취기 중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 월류부 상부에 설치한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적용된 약액 세정 탈취기 중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1단 세정부와 2단 세정부, 1개 또는 2개의 약액 저장탱크, 분사봉,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 1개 또는 2개의 약액 포집관은 1단 또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무관하게 그 설치 및 형성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짐은 물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기입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50) 내에 1단의 세정부(51)만 구비되거나 또는 1단 및 2단 세정부(51)가 동시에 구비되고, 본체(50)의 저부에는 세정단의 설치 개수에 대응하여 1개 또는 2개의 약액 저장탱크(60)가 구비되며, 상기 1단 및 2단 세정부(51) 내 상부에는 약액을 분사시켜 주는 분사봉(52)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분사봉(52)들과 상기 약액 저장탱크(60) 사이에는 제어부(80)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며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60) 내에 공급되어 있는 약액을 분사봉(52) 측으로 압송시켜 주는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70)가 구비되며, 1단 및 2단 세정부(51)의 하부 외측에는 각각 1단 및 2단 세정부(51)를 통과한 약액을 포집하여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60)로 회수시켜 주는 약액 포집관(53)들이 각각 구비되고, 본체(50)의 외부에는 타이머(81) 및 조작부(82)를 구비하고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70)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있어서,
상기 약액 저장탱크(60)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된 형태를 갖고 약액 세정 탈취기가 약액 세정 탈취운전 중 상기 약액 포집관(53)으로부터 분기된 포집약액 분기관(54)을 통해 회수되는 약액을 유입받아 각 단의 세정부(51)를 통과하며 순환약액에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을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부유물은 수면 위로 부상시키며 세정된 순환약액만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서서히 월류시켜 주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와;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60) 내로 직접 연결된 약액 포집관(53)과 상기 약액 포집관(53)으로부터 분기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연결된 포집약액 분기관(54) 상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폐 작동되며, 각 단의 세정부(51)를 통과한 후 유입되는 순환약액을 약액 포집관(53) 또는 포집약액 분기관(54)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60) 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중 어느 일측 탱크측으로만 유입되게 하는 제 1 및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1)(102)와;
상기 본체(50)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시 외부 공기를 압축시켜 정해진 용량을 갖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11)에 저장시켜 주는 공기 압축기(110)와;
상기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며, 압축공기 저장탱크(111) 내의 압축공기를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을 혼탁하게 만들어 주는데 필요한 공기로 복수의 에어노즐(120)에 공급시켜 주는 압축공기 공급펌프(112)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펌프(112)의 출구와 연결된 공기공급관(121)을 통해 공급되어 오는 압축공기를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에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되게 함은 물론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부에 붙어 있는 고형물질이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복수의 에어노즐(120)과;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일측 저부에 설치된 드레인 관(131) 상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혼탁된 약액을 외부로 자동 배출시켜 주는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과;
상기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본체(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약액 공급용기(141) 내의 새로운 약액을 제어부(80)에서 정해진 량만큼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보충시켜 주는 약액 공급펌프(140)와;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약액에 대한 수소 이온 농도(pH) 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80)로 전달하는 pH검출센서(150)와;
상기 본체(50)의 외부에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부로 연결된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관(161)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및 개폐량이 제어되며, 새로운 약액이 보충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를 갖도록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공급한 후, 상기 pH검출센서(150)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pH값이 제어부(80) 내에 기 정해져 있는 기준 pH값에 도달할 때까지 적정량의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미세하게 공급시켜 주는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1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는,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를 갖는 탱크 본체(91)와;
상기 탱크 본체(91)의 내부가 순환약액 유입부(92)와 순환약액 월류부(93)로 구분되도록 상기 탱크 본체(91)의 중간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되, 저단부와 탱크 본체(91)의 바닥면(911) 사이에는 순환약액 유입부(92) 내로 유입되는 순환약액의 량 변화에 대응하는 변화되는 수압에 대응하는 량만큼 순환약액 월류부(93) 측으로 지속해서 흘러 넘어가도록 하는 순환약액 통과공(95)이 형성된 형태를 갖게 하는 격판(94)과;
약액 저장탱크(60) 내 약액의 최대 설정수위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탱크 본체(91)와 약액 저장탱크(60)의 대향면 사이를 연통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순환약액 월류부(93)로 넘어온 순환약액의 수위가 자체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이를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시켜 주는 월류관(96);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탱크 본체(91)의 일측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93) 상부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를 통과하는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의 일부가 약액의 흐름(유속)에 의해 순환약액 월류부(93) 상방부로 재부상할 때, 이를 급속히 바닥면 측으로 재 침강시켜 주는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는,
상,하부에서 각각 정해진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쌍의 지지프레임(981) 사이에 복수의 경사판(982)을 정해진 각도(θ; 예를 들어 55~75도) 및 간격을 두고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의 경사판(982)은,
약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기 경사판(981)의 상단부는 월류관(96)의 내면 저부보다 낮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911)은,
상기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이 열렸을 때,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드레인 관(131) 측으로 원활히 흘러갈 수 있도록 상기 탱크 본체(91)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93) 측이 높고,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이 설치된 드레인 관(131) 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내부에서 상기 격판(94)의 하방부에 형성된 순환약액 통과공(95)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어노즐(120)도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911) 경사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월류관(96)의 입구에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에 포함되어 있거나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세정시 혼탁해진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침전물과 부유물 및 고형물이 월류관(96)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주는 메쉬망(97)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모드에서 작동(S2)중일 때, 상기 타이머(81)를 통해 그 시간을 계수하며 정해진 시간이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단계(S1)와;
상기 제어부(80)에서 판단한 결과 일반운전모드(S2)에서의 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작동되았을 경우 해당 약액 저장탱크(60) 내 세정 약액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일반운전모드에서 약액 포집관(53)을 통해 포집된 후 포집약액 분기관(54)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측으로 유입되던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한 상태에서 복수의 에어노즐(120)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정해진 시간동안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세정운전단계(S3)와;
드레인 관(131)에 구비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을 열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혼탁한 약액을 외부로 완전히 배수시켜 주는 배수운전단계(S4)와;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정해진 pH 값을 갖는 새로운 약액을 보충시켜 주는 약액 보충운전단계(S5)와;
타이머(81)를 리세트시킴은 물론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101)는 닫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는 열은 상태에서 일반운전모드 작동(S2)으로 재 돌입하는 단계(S6);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에서 실시하는 일반운전모드는,
각각의 세정부(51)를 통과하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한 상태로 순환되어 오는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90)를 통해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시키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서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와 같은 침전물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켜 주기 위하여, 타이머(81)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 약액 저장탱크(60) 내로 직접 연결된 약액 포집관(53)에 설치된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101)는 닫고, 상기 약액 포집관(53)으로부터 분기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연결된 포집약액 분기관(54) 상에 설치된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는 열어주며, 드레인 관(131) 상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은 닫아 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를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80)에서 실시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세정운전단계(S3)는,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101)는 열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는 닫아 각각의 세정부(51)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하여 악취에 대한 탈취를 지속함과 동시에 드레인 관(131) 상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은 닫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S31)와;
정해진 시간동안 압축공기 공급펌프(112)를 작동시켜 복수의 에어노즐(120)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정체된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단계(S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에서 배수운전 후 실시하는 약액 보충운전단계(S5)는,
약액 공급펌프(140)를 작동시켜 약액 공급용기(141) 내의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90) 측으로 일정수위까지 보충시켜 주는 단계(S41)와;
상기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160)를 작동시켜 새로운 약액이 보충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에 이를 때까지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공급시켜 주는 단계(S52)와;
상기 pH검출센서(150)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pH값과 제어부(80) 내에 입력되어 있는 기준 pH값을 상호 비교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새로 공급한 약액의 pH값이 정해진 기준 pH값에 도달하도록 적정량의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미세하게 공급시켜 주는 단계(S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부(82)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세정운전을 타이머(81)에 의해 정해진 시간마다 자동으로 실시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임의로 세정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821)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80)로 하여금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821)가 운전자에 의해 세정운전 자동 선택모드로 선택되어 일반운전을 실시하며 타이머를 통해 정해진 시간을 계수하던 중 운전자에 의해 상기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821)가 세정운전 수동 선택모드로 전환되면, 타이머의 계수값에 무관하게 즉시 세정운전 수동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세정운전단계(S3)와 배수운전단계(S4) 및 약액 보충운전단계(S5)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의 세정부(51)만 구비되거나(도 3 참조) 또는 1단 및 2단 세정부(51)가 동시에 구비(도 2 참조)된 공지의 약액 세정 탈취기에 있어서, 약액 저장탱크(60)의 외측에 별개의 순환약액 세정탱크(90)를 더 설치함은 물론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내,외부에 제 1 및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1)(102)와 압축공기 저장탱크(111), 공기 압축기(110), 압축공기 공급펌프(112), 복수의 에어노즐(120),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 약액 공급용기(141), 약액 공급펌프(140), pH검출센서(150) 및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160)를 더 설치하고, 제어부(80)로 하여금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이 실시될 때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하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한 상태로 순환되어 오는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로 통과시키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 등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키다가 약액 세정 탈취기가 정해진 시간 이상 작동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청소가 필요한 시점이 될 경우 순환약액은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한 상태에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세정운전과 배수운전 및 약액 보충운전을 실시한 다음 일반운전으로 재 돌입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여 약액의 전체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약액의 잦은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으며, 염 부산물의 용해도 저감을 통해 약액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가스 제거효율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이 적용된 공지된 약액 세정 탈취기는 본체(50) 내에 도 3과 같이 1단의 세정부(51)만 구비되거나 또는 도 3과 같이 1단 및 2단 세정부(51)가 동시에 구비되고, 본체(50)의 저부에는 1개 또는 2개의 약액 저장탱크(60)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1단 및 2단 세정부(51) 내 상부에는 약액을 분사시켜 주는 분사봉(52)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분사봉(52)들과 상기 약액 저장탱크(60) 사이에는 제어부(80)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며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60) 내에 공급되어 있는 약액을 분사봉(52) 측으로 계속해서 압송시켜 주는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70)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1단 및 2단 세정부(51)의 하부 외측에는 각각 1단 및 2단 세정부(51)를 통과한 약액을 포집하여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60)로 회수시켜 주는 약액 포집관(53)들이 각각 구비되고, 본체(50)의 외부에는 기본적으로 운전자가 각종 키신호 및 스위칭신호 등을 입력시킬 수 있는 조작부(82)를 포함하여 임으로 설정시간을 입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약액 세정 탈취기가 작동될 때 그 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수할 수 있는 타이머(81)를 구비하고 상기한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70)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공지의 약액 세정 탈취기에 본 발명에서 더 적용시킨 구성요소 중 순환약액 세정탱크(9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약액 저장탱크(60)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된 형태를 갖고, 약액 세정 탈취기가 약액 세정 탈취운전 중 1단 세정부(51) 또는 2단 세정부(51)에서 회수되는 약액을 상기 약액 포집관(53)으로부터 분기된 포집약액 분기관(54)을 통해 회수되는 약순환액을 유입받아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서서히 월류시켜 주며, 각 단의 세정부(51)를 통과할 때 순환약액에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을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부유물은 수면 위로 부상시키며, 세정된 순환약액만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시켜 주는 기능 즉, 각종 침전물과 부유물을 그 내부에서 포집 및 정체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본체(91) 내에 설치되는 격판(94)을 이용하여 순환약액 유입부(92)와 순환약액 월류부(93)를 일체로 구비한 형태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탱크 본체(91)의 일측면에는 순환약액이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되도록 하는 월류관(96)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한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구성요소 중 상기 탱크 본체(91)는 개폐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형의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를 갖도록 형성한 것으로, 상기 탱크 본체(91)의 용적은 약액 저장탱크(60)들의 전체 용량을 감안하여 결정하는데, 통상 약액 저장탱크(60)의 전체 용량 대비 각각 5~10%의 용량을 갖게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격판(94)은 상기 탱크 본체(91)의 내부가 순환약액 유입부(92)와 순환약액 월류부(93)로 구분되도록 상기 탱크 본체(91)의 중간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가짐은 물론 저단부와 탱크 본체(91)의 바닥면(911) 사이에는 정해진 높이를 갖는 순환약액 통과공(95)을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탱크 본체(91)의 순환약액 유입부(92) 내로 유입되는 순환약액이 그 량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수압에 대응하는 량만큼 상기 격판(94)의 저단부와 상기 탱크 본체(91)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순환약액 통과공(95)을 통해 순환약액 월류부(93) 측으로 지속해서 흘러 넘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 월류관(96)은 상기 약액 저장탱크(60) 내 약액에 대한 최대 설정수위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탱크 본체(91)와 약액 저장탱크(60)의 대향면 사이를 연통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탱크 본체(91)의 순환약액 유입부(92) 측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격판(94)의 저단부와 상기 탱크 본체(91)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순환약액 통과공(95)을 통해 순환약액 월류부(93)로 넘어온 순환약액은 그 수위가 상기 월류관(96)의 설치 위치보다 높아질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순환약액이 상기 월류관(96)을 통해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자동 월류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탱크 본체(91) 일측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93) 상부에 순환약액 세정탱크(90)를 통과하는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의 일부가 약액의 흐름(유속)에 의해 순환약액 월류부(93) 상방부로 재부상할 경우 이들이 경사판(982)에 부닥혀 급속히 바닥면 측으로 재 침강시켜 주는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주었다.
이때,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는 도 4와 같이, 상,하부에서 각각 정해진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두 쌍의 지지프레임(981)을 배치시키고, 상기 두 쌍의 지지프레임(981) 사이에 복수의 경사판(982)을 정해진 각도(θ; 예를 들어 55~75도) 및 간격을 두고 일체로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탱크 본체(91) 내 순환약액 유입부(92) 측으로 유입된 순환약액이 상기 격판(94)의 저단부와 상기 탱크 본체(91)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순환약액 통과공(95)을 통해 순환약액 월류부(93)로 넘어가며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슬러지가 자중에 의해 1차적으로 바닥면에 침강되고, 나머지 일부 슬러지는 순환약액의 흐름(유속)에 의해 순환약액 월류부(93) 상방부로 재부상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에 구비된 경사판(982)들이 순환약액 월류부(93)의 상부로 부당되는 슬러지들을 바닥면 측으로 급속히 재 침강(2차)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탱크 본체(91)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순환약액 통과공(95)을 통해 순환약액 월류부(93)로 넘어어온 순환약액이 유속에 대응하여 부상하여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통과할 때,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잔여 슬러지들이 두 쌍의 지지프레임(981) 사이에서 예를 들어 55~75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판(982)들의 저면에 각각 부닺혀 급속히 바닥면 측으로 2차 재 침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탱크 본체(91) 일측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93) 상부에 설치할 때, 경사판(982)들이 순환약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기 경사판(981)의 상단부는 월류관(96)의 내면 저부보다 낮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탱크 본체(91) 일측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93) 상부에 설치할 때, 오염되거나 손상되었을 때 탱크 본체(91) 일측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93) 내부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청소 및 보수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순환약액 월류부(93)의 내벽에 도시 생략한 복수의 조립체 받침구를 더 설치해 주어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조립체 받침구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통해 염 부유물과 슬러지가 재차 탱크 본체(91)의 바닥면 측으로 2차 침강된 후, 비교적 맑은 순환약액이 월류관(96)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될 때, 예를 들어 55~75도로 경사지게 설치한 상기 경사판(982)들의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경사지게 올라가 월류된 다음, 내면 저부가 상기 경사판(982)들의 상단부보다 높은 상태를 갖는 월류관(96)을 통해 월류하여 약액 공급탱크(60)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통과하는 순환약액의 통과시간을 그만큼 늘일 수 있어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통한 슬러지의 급속 침강효과를 최대한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통과한 후 월류관(96)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되는 순환약액은 염 부산물을 포함한 슬러지 등이 최소로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맑은 상태를 갖게 되므로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911) 즉, 탱크 본체(91)의 바닥면(911)을 성형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수평상태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탱크 본체(91)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93) 측이 높고,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이 설치된 드레인 관(131) 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설치 또는 형성하여 주었다.
이때, 상기 탱크 본체(91)의 바닥면(911)은 그 자체를 상기와 같이 직접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고, 또 별도의 바닥면을 형성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탱크 본체(91)의 바닥면(911)을 순환약액 월류부(93) 측이 높고,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이 설치된 드레인 관(131) 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설치 또는 형성시켜 주게 되면,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드레인 관(131)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이 열렸을 때,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경사진 바닥면(911)을 따라 드레인 관(131) 측으로 원활히 흘러가게 되므로 별도의 배수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오염된 순환약액과 슬러지, 부유물 및 고형물 등을 완전히 자동 배출시킬 수 있어 이들의 배출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월류관(96)의 입구에 메쉬망(97)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주었다.
그러므로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이 수행될 때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유입된 순환약액이 순환약액 세정탱크(90)를 서서히 통과하며 슬러지를 포함한 불순물이 1차 침전되고, 일부 부유물 및 슬러지가 순환약액과 함께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98)를 통과하여 2차 재 침강된 후, 최종적으로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될 때를 포함하여,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부에 대한 세정운전 등이 실시될 때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 자체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세정시 혼탁해진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침전물과 부유물 및 고형물이 상기 월류관(96)의 입구에 설치된 메쉬망(97)에 의해 최종적(3차)으로 걸려지게 되므로 맑은 상태의 순환약액만 순환약액 세정탱크(90) 측으로 지속해서 월류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순환약액 세정탱크(90)를 통과하며 세정된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각종 침전물과 부유물 및 고형물의 일부가 월류관(96)을 통해 본래의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되어 혼합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원래 약액에 대한 2차 오염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1)(102) 중 상기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101)는 약액 저장탱크(60) 내로 직접 연결된 약액 포집관(53)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상기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는 상기 약액 포집관(53)으로부터 분기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연결된 포집약액 분기관(54) 상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1)(102)는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폐 작동되며, 각 단의 세정부(51)를 통과한 후 유입되는 순환약액을 약액 포집관(53) 또는 포집약액 분기관(54)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60) 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중 어느 일측 탱크측으로만 유입되게 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공기 압축기(110)는 상기 본체(50)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시 외부 공기를 압축시켜 정해진 용량을 갖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11)에 저장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공기 압축기(110)와 압축공기 저장탱크(111) 사이에는 공기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공기가 압축공기 저장탱크(111) 측으로만 공급될 수 있도록 도면부호 기입을 생략한 체크밸브를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1)에서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11) 내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일부 공기를 외부로 자동 배출시켜 압축공기 저장탱크에 대한 안전성을 도모시켜 주기 위해 주는 도면부호 기입을 생략한 체크밸브를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공급펌프(112)는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11)의 출구와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설치되는 복수이 에어노즐(120)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공기공급관(121) 상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압축공기 공급펌프(112)는, 상기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며, 압축공기 저장탱크(111) 내의 압축공기를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을 혼탁하게 만들어 주는데 필요한 공기로 복수의 에어노즐(120)에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공급펌프(112)의 작동시간은,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용적과, 자체의 공기 출력량 및 압력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 수면 위로 떠 있는 부유물을 포함하여 바닥면의 침전물 및 내부에 붙어 있는 고형물질 등을 강제로 와류 및 탈락시켜 순환약액에 혼합시켜 주는데 충분한 시간이 되도록 제어부(80)를 통해 5~15초 이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120)은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유입된 공기공급관(121)의 단부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 전체에 고르게 근접되게 배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에어노즐(120)들은 상기 압축공기 공급펌프(112)으로부터 공기공급관(121)을 통해 공급되어 오는 압축공기를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에 전체에 고르게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의 수면 위로 떠 있는 염 부산물 등과 같은 부유물을 포함하여 바닥면으로 침전된 침전물이 와류되며 순환약액에 혼합되도록 함은 물론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부에 붙어 있는 고형물질 등이 탈락되며 순환약액에 혼합되어 순환약액 자체가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911)이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형태를 가질 경우, 또,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내부에서 상기 격판(94)의 하방부에 형성된 순환약액 통과공(95)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어노즐(120)도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911) 경사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여 각각의 에어노즐(120)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이 경사진 바닥면(911) 전체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은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일측 저부에 설치된 드레인 관(131) 상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열렸다가 자동으로 닫히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혼탁된 약액을 정해진 시간동안 외부로 자동 배출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약액 공급펌프(140)는 본체(50)의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약액 공급용기(141)와 순환약액 세정탱크(9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본체(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약액 공급용기(141) 내의 새로운 약액을 제어부(80)에서 정해진 량만큼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정해진 량만큼 보충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에서 약액 공급펌프(140)를 이용하여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정해진 량의 약액을 보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도시생략한 수위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제어부(80)로 하여금 상기 약액 공급펌프(140)의 작동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약액 공급용기(141)에 마련된 새로운 약액을 보충하는 동안 계속해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보충되는 약액 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다가 원하는 량이 보충될 경우 약액 공급펌프(140)의 구동을 차단하는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약액 공급펌프(140)의 출구에 도시 생략한 유량센서를 설치함은 물론, 제어부(80) 내에 원하는 보충량을 기 입력시켜 놓고 상기 약액 공급펌프(140)를 작동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약액을 보충시킬 때, 유량센서를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보충되는 약액의 량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다가 정해진 량이 보충될 경우 약액 공급펌프(140)의 구동을 차단하는 방식을 제시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pH검출센서(150)는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약액에 대한 수소 이온 농도(pH) 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160)는 상기 본체(50)의 외부에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부로 연결되어 있는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관(161)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8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및 개폐량이 제어되며, 새로운 약액이 보충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를 갖도록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공급함은 물론 상기 pH검출센서(150)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pH값이 제어부(80) 내에 기 정해져 있는 기준 pH값에 도달할 때까지 적정량의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미세하게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오염된 약액을 자동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80)로 하여금 도 5와 같이,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모드에서 작동중일 때, 상기 타이머(81)를 통해 그 시간을 계수하며 정해진 시간이 도달했는지 판단(S1)하다가, 일반운전모드(S2)에서의 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작동되았을 경우 해당 약액 저장탱크(60) 내 세정 약액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에서 실시하는 일반운전모드 작동(S2)라 함은, 각각의 세정부(51)를 통과하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한 상태로 순환되어 오는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90)를 통해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월류시키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서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와 같은 침전물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켜 주기 위하여, 타이머(81)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 약액 저장탱크(60) 내로 직접 연결된 약액 포집관(53)에 설치된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101)는 닫고, 상기 약액 포집관(53)으로부터 분기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연결된 포집약액 분기관(54) 상에 설치된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는 열어주며, 드레인 관(131) 상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은 닫아 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모드에서 작동중일 때에는, 제어부(80)에 의해 타이머(81)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101)는 닫혀 있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는 열려 있으며, 드레인 관(131) 상의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각 세정부(51)를 통과한 순환약액이 열린 상태에 있는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가 설치된 포집약액 분기관(54)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지속적으로 유입된 다음 그 내부를 서서히 통과하며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와 같은 침전물은 자중에 의해 바닥면 측으로 침전되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되므로 월류관(96)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타이머(81)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 지속해서 월류되는 순환약액의 오염도는 그만큼 낮은 상태를 갖는다.
또, 상기와 같이 제어부(80)에서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모드에서 작동중일 때, 상기 타이머(81)를 통해 그 시간을 계속 계수한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작동된 것을 판단될 경우에는 해당 약액 저장탱크(60) 내 세정 약액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술한 일반운전모드에서 약액 포집관(53)을 통해 포집된 후 포집약액 분기관(54)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측으로 유입되던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한 상태에서 복수의 에어노즐(120)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정해진 시간동안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세정운전단계(S3)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에서 실시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세정운전단계(S3)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일반모드운전을 타이머(81)를 통해 정해진 시간이 되었을 경우, 일반운전모드에서와 반대로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101)는 열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는 닫아 각각의 세정부(51)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하여 악취에 대한 탈취를 지속함과 동시에 드레인 관(131) 상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은 닫은 상태를 유지(S31)시켜 둔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압축공기 공급펌프(112)를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정체된 순환약액을 충분히 와류시킬 수 있는 시간으로써 1~3분)동안 작동시켜 복수의 에어노즐(120)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강하게 분사(S32)시켜 준다.
이와 같이 각각의 세정부(51)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하고,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강하게 분사시켜 주게 되면,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정체된 순환약액이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해 와류됨은 물론 일반운전모드 수행시 수면위의 부유물 및 바닥면으로 침전된 침전물이 와류되는 순환약액에 희석된 뿐만 아니라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면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압축공기의 분사 압력 및 순환약액의 와류력에 의해 탈락되며 순환약액 속에 희석되므로 결국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정체된 순환약액이 혼탁 약액으로 변질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세정운전단계(S3)를 완료한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이어서 드레인 관(131)에 구비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을 열어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혼탁한 약액을 외부로 완전히 배수시켜 주는 배수운전단계(S4)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의 바닥면(9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월류판(97) 저면이 고정되는 부위가 높고, 약액 배출용 전자변(110)이 설치된 드레인 관(111) 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세정운전단계(S3)를 완료한 후, 상기 제어부(80)에서 배수운전(S4)을 실시하기 위해 드레인 관(131)에 구비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130)을 열었을 경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혼탁한 약액이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외부로 완전 배수되므로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오염된 약액에 대한 자동 배출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에 정해진 pH 값을 갖는 새로운 약액을 보충시켜 주는 약액 보충운전단계(S5)를 실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혼탁 약에에 대한 배수운전이 끝나면, 약액 공급펌프(140)를 작동시켜 약액 공급용기(141) 내의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90) 측으로 일정수위(예를 들어 목표 수위대비 90~95%)까지 보충(S51)시켜 준 다음, 상기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160)를 작동시켜 새로운 약액이 보충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에 이를 때까지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공급(S52)시켜 주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상기 pH검출센서(150)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pH값과 제어부(80) 자체 내에 기입력되어 있는 기준 pH값을 상호 비교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새로 공급한 약액의 pH값이 정해진 기준 pH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160)를 미세작동 하는 방식을 통해 적정량의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미세하게 공급(S53)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로 보충된 새로운 약액이 원하는 pH값을 갖도록 하고 약액 보충운전을 완료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80)에서는 타이머(81)를 리세트(S6)시킴은 물론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101)는 닫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102)는 열은 상태에서 일반운전모드 작동(S2)으로 재 돌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 약액 교체횟수는 정해진 횟수만큼(예를 들어 8~10회) 수행하다가 정해진 횟수만큼의 교체가 완료되면 약액 저장탱크(60) 내의 약액 전체를 교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정 약액을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 과정에서 발생된 후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다시 회수되는 약액(즉, 세정액) 내의 염 용해도 저감은 물론 슬러지 형태로 침전되는 각종 침전물에 의해 약액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했던 문제점 즉, 약액 저장탱크(60)의 전체 용적 대비 비교적 적은 용적을 갖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 약액만 정해진 횟수만큼 교체하여 사용하다가 정해진 횟수만큼 교체가 완료된 후에야 약액 저장탱크(60) 내의 약액 전체를 교체해 주게 되므로 약액의 전체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약액의 잦은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염 부산물의 용해도 저감을 통해 약액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가스 제거효율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고, 염 부산물에 의한 약액 세정 탈취기의 폐색 방지는 물론 침전물로 인한 약액의 탁도 증대를 방지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염 부산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어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부(82)에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세정운전을 타이머(81)에 의해 정해진 시간마다 자동으로 실시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임의로 세정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821)를 더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821)가 운전자에 의해 세정운전 자동 선택모드로 선택되d어d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운전을 실시하며 타이머를 통해 정해진 시간을 계수하던 중 운전자가 상기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821)를 세정운전 수동 선택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타이머의 계수값에 무관하게 즉시 세정운전 수동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세정운전단계(S3)와 배수운전단계(S4) 및 약액 보충운전단계(S5)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운전자가 상기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821)를 세정운전 수동 선택모드로 전환하게 됨으로 인해 타이머의 계수값에 무관하게 즉시 세정운전 수동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한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 세정운전단계(S3)와 배수운전단계(S4) 및 약액 보충운전단계(S5)가 순차적으로 이행된 후에는 상기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821)를 세정운전 자동모드로 전환해 주어야만 전술한 자동 세정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이때,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 약액 교체횟수는 정해진 횟수만큼(예를 들어 8~10회) 수행하다가 정해진 횟수만큼의 교체가 완료되면 약액 저장탱크(60) 내의 약액 전체를 교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정 약액을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 과정에서 발생된 후 약액 저장탱크(60) 측으로 다시 회수되는 약액(즉, 세정액) 내의 염 용해도 저감은 물론 슬러지 형태로 침전되는 각종 침전물에 의해 약액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했던 문제점 즉, 약액 저장탱크(60)의 전체 용적 대비 비교적 적은 용적을 갖는 순환약액 세정탱크(90) 내의 순환 약액만 정해진 횟수만큼 교체하여 사용하다가 정해진 횟수만큼 교체가 완료된 후에야 약액 저장탱크(60) 내의 약액 전체를 교체해 주게 되므로 약액의 전체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약액의 잦은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염 부산물의 용해도 저감을 통해 약액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가스 제거효율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고, 염 부산물에 의한 약액 세정 탈취기의 폐색 방지는 물론 침전물로 인한 약액의 탁도 증대를 방지하여 약액 세정 탈취기 자체의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염 부산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어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0 : 본체 51 : 세정부
52 : 분사봉 53 : 약액 포집관
60 : 약액 저장탱크
70 : 순환펌프
80 : 제어부
81 : 타이머 82 : 조작부
821 : 세정운전 자동 또는 수동 선택스위치
90 : 순환약액 세정탱크
91 : 탱크 본체 911 : 바닥면
92 : 순환약액 유입부 93 : 순환약액 월류부
94 : 격판 95 : 순환약액 통과공
96 : 월류관 97 : 메쉬망
98 :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
981 : 지지프레임 982 : 경사판
101 :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 102 :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
110 공기 압축기 111 : 압축공기 저장탱크
112 : 압축공기 공급펌프
120 : 에어노즐 121 : 공기공급관
130 : 약액 배출용 전자변 131 : 드레인 관
140 : 약액 공급펌프 141 : 약액 공급용기
150 : pH검출센서
160 :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 161 :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관

Claims (13)

  1. 본체 내에 1단의 세정부만 구비되거나 또는 1단 및 2단 세정부가 동시에 구비되고, 본체의 저부에는 세정단의 설치 개수에 대응하여 1개 또는 2개의 약액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1단 및 2단 세정부 내 상부에는 약액을 분사시켜 주는 분사봉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분사봉들과 상기 약액 저장탱크 사이에는 제어부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며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 내에 공급되어 있는 약액을 분사봉 측으로 압송시켜 주는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가 구비되며, 1단 및 2단 세정부의 하부 외측에는 각각 1단 및 2단 세정부를 통과한 약액을 포집하여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로 회수시켜 주는 약액 포집관들이 각각 구비되고, 본체의 외부에는 타이머 및 조작부를 구비하고 1개 또는 2개의 순환펌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에 있어서,
    상기 약액 저장탱크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된 형태를 갖고 약액 세정 탈취기가 약액 세정 탈취운전 중 상기 약액 포집관으로부터 분기된 포집약액 분기관을 통해 회수되는 약액을 유입받아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하며 순환약액에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을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부유물은 수면 위로 부상시키며 세정된 순환약액만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서서히 월류시켜 주는 순환약액 세정탱크와;
    각각의 약액 저장탱크 내로 직접 연결된 약액 포집관과 상기 약액 포집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로 연결된 포집약액 분기관 상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폐 작동되며, 각 단의 세정부를 통과한 후 유입되는 순환약액을 약액 포집관 또는 포집약액 분기관을 통해 약액 저장탱크 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중 어느 일측 탱크측으로만 유입되게 하는 제 1 및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시 외부 공기를 압축시켜 정해진 용량을 갖는 압축공기 저장탱크에 저장시켜 주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며, 압축공기 저장탱크 내의 압축공기를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혼탁하게 만들어 주는데 필요한 공기로 복수의 에어노즐에 공급시켜 주는 압축공기 공급펌프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펌프의 출구와 연결된 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급되어 오는 압축공기를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바닥면에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되게 함은 물론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부에 붙어 있는 고형물질이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복수의 에어노즐과;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일측 저부에 설치된 드레인 관상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혼탁된 약액을 외부로 자동 배출시켜 주는 약액 배출용 전자변과;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약액 공급용기 내의 새로운 약액을 제어부에서 정해진 량만큼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 보충시켜 주는 약액 공급펌프와;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약액에 대한 수소 이온 농도(pH) 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pH검출센서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부로 연결된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관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및 개폐량이 제어되며, 새로운 약액이 보충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를 갖도록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공급한 후, 상기 pH검출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pH값이 제어부 내에 기 정해져 있는 기준 pH값에 도달할 때까지 적정량의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미세하게 공급시켜 주는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는,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를 갖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가 순환약액 유입부와 순환약액 월류부로 구분되도록 상기 탱크 본체의 중간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되, 저단부와 탱크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는 순환약액 유입부 내로 유입되는 순환약액의 량 변화에 대응하는 변화되는 수압에 대응하는 량만큼 순환약액 월류부 측으로 지속해서 흘러 넘어가도록 하는 순환약액 통과공이 형성된 형태를 갖게 하는 격판과;
    약액 저장탱크 내 약액의 최대 설정수위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탱크 본체와 약액 저장탱크의 대향면 사이를 연통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순환약액 월류부로 넘어온 순환약액의 수위가 자체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이를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월류시켜 주는 월류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 상부에는,
    순환약액 세정탱크를 통과하는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의 일부가 약액의 흐름(유속)에 의해 순환약액 월류부 상방부로 재부상할 경우, 이를 급속히 재 침강시켜 주는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는,
    상,하부에서 각각 정해진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경사판을 정해진 각도(θ) 및 간격을 두고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침강용 경사판 조립체의 경사판은,
    약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기 경사판의 상단부는 월류관의 내면 저부보다 낮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바닥면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약액 배출용 전자변이 열렸을 때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드레인 관 측으로 원활히 흘러갈 수 있도록 상기 탱크 본체에 형성된 순환약액 월류부 측이 높고, 약액 배출용 전자변이 설치된 드레인 관 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격판의 하방부에 형성된 순환약액 통과공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어노즐도 상기 순환약액 세정탱크의 바닥면 경사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모드에서 작동중일 때, 상기 타이머를 통해 그 시간을 계수하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작동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약액 세정 탈취기가 일반운전모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작동되었으면, 일반운전모드에서 약액 포집관을 통해 포집된 후 포집약액 분기관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측으로 유입되던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한 상태에서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정해진 시간동안 분사시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세정운전단계와;
    드레인 관에 구비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을 열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혼탁 약액을 외부로 완전히 배수시켜 주는 배수운전단계와;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 정해진 pH 값을 갖는 새로운 약액을 보충시켜 주는 약액 보충운전단계와;
    타이머를 리세트시킴은 물론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닫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열은 상태에서 일반운전으로 재 돌입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실시하는 일반운전모드는,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 약액 저장탱크 내로 직접 연결된 약액 포집관에 설치된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닫고, 상기 약액 포집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로 연결된 포집약액 분기관 상에 설치된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열어주며, 드레인 관 상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은 닫아 준 상태를 유지시켜, 각각의 세정부를 통과하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한 상태로 순환되어 오는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를 통해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월류시키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에서 순환약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와 같은 침전물은 자중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염 부산물과 같은 부유물은 순환약액 수면 위로 부상시켜 주는 단계를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실시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세정운전단계는,
    제 1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열고, 제 2 순환방향 전환밸브는 닫아 각각의 세정부를 통과한 순환약액을 원래의 약액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되게 전환함과 동시에 드레인 관 상에 설치된 약액 배출용 전자변은 닫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와;
    정해진 시간동안 압축공기 공급펌프를 작동시켜 복수의 에어노즐을 통해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바닥부분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순환약액을 포함한 부유물 및 침전물이 와류를 일으키며 내부에 붙어 있던 고형물질이 내면에서 탈락되며 혼탁 약액으로 변질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배수운전 후 실시하는 약액 보충운전단계는,
    약액 공급펌프를 작동시켜 약액 공급용기 내의 약액을 순환약액 세정탱크 측으로 일정수위까지 보충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상수 또는 제어용수 공급펌프를 작동시켜 새로운 약액이 보충된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에 이를 때까지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공급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pH검출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 pH값과 제어부 내에 입력되어 있는 기준 pH값을 상호 비교하며 순환약액 세정탱크 내로 새로 공급한 약액의 pH값이 정해진 기준 pH값에 도달하도록 적정량의 상수 또는 제어용수를 미세하게 공급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13. 삭제
KR1020210052049A 2021-04-22 2021-04-22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Active KR102298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49A KR102298918B1 (ko) 2021-04-22 2021-04-22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49A KR102298918B1 (ko) 2021-04-22 2021-04-22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918B1 true KR102298918B1 (ko) 2021-09-06

Family

ID=7778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049A Active KR102298918B1 (ko) 2021-04-22 2021-04-22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9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560B1 (ko) * 2022-03-28 2022-07-01 (주)코템 용수 절감과 침전물 제어가 가능한 약액세정식 탈취시스템
CN115028230A (zh) * 2022-06-23 2022-09-09 南通全昂等离子体科技有限公司 污水处理厂用等离子式净化洗涤除臭系统
CN115611336A (zh) * 2022-11-02 2023-01-17 山东三木化工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污水预处理反应器
KR102501358B1 (ko) * 2022-09-28 2023-02-2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스컴 제거와 자체 세정이 가능한 약액탈취기
CN117398788A (zh) * 2023-10-27 2024-01-16 湖北中圣节水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尾部探头的可监视pH值式的工业废气洗涤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933B1 (ko) * 2010-01-07 2010-07-14 뮤러아시아(주)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1237725B1 (ko) * 2012-12-04 2013-02-26 (주)이화에코시스템 약액세정식 탈취장치에서 약품절감 및 효율적 운전을 위한 약품 주입장치
KR101290761B1 (ko) 2013-02-19 2013-07-30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약액 세정식 탈취기의 무동력 폼 제거장치
KR101608195B1 (ko) 2016-01-29 2016-04-01 (주)이화에코시스템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38429B1 (ko) 2016-01-29 2016-07-12 (주)이화에코시스템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882803B1 (ko) 2018-03-20 2018-07-27 (주)이화에코시스템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JP2020525273A (ja) * 2017-08-24 2020-08-27 パンアジ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排気ガス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933B1 (ko) * 2010-01-07 2010-07-14 뮤러아시아(주)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1237725B1 (ko) * 2012-12-04 2013-02-26 (주)이화에코시스템 약액세정식 탈취장치에서 약품절감 및 효율적 운전을 위한 약품 주입장치
KR101290761B1 (ko) 2013-02-19 2013-07-30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약액 세정식 탈취기의 무동력 폼 제거장치
KR101608195B1 (ko) 2016-01-29 2016-04-01 (주)이화에코시스템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38429B1 (ko) 2016-01-29 2016-07-12 (주)이화에코시스템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JP2020525273A (ja) * 2017-08-24 2020-08-27 パンアジ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排気ガス処理システム
KR101882803B1 (ko) 2018-03-20 2018-07-27 (주)이화에코시스템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560B1 (ko) * 2022-03-28 2022-07-01 (주)코템 용수 절감과 침전물 제어가 가능한 약액세정식 탈취시스템
CN115028230A (zh) * 2022-06-23 2022-09-09 南通全昂等离子体科技有限公司 污水处理厂用等离子式净化洗涤除臭系统
KR102501358B1 (ko) * 2022-09-28 2023-02-2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스컴 제거와 자체 세정이 가능한 약액탈취기
CN115611336A (zh) * 2022-11-02 2023-01-17 山东三木化工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污水预处理反应器
CN117398788A (zh) * 2023-10-27 2024-01-16 湖北中圣节水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尾部探头的可监视pH值式的工业废气洗涤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918B1 (ko)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101638429B1 (ko)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485320B1 (ko)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US3502215A (en) Water reclamation apparatus
KR101608195B1 (ko)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893036B1 (ko) 세정부 내 세정액의 수위설정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2093121B1 (ko)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1796894B1 (ko)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CN1120090A (zh) 臭氧杀菌自动洗涤机
JP2009262066A (ja) 排水処理装置
KR102183775B1 (ko) 수막판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2416308B1 (ko) 단일구조물 내장형 단계식약액탈취기
JP2002035763A (ja) 汚水浄化槽の再利用方法及び生活排水等の再利用装置
KR101864339B1 (ko) 구획된 수조를 갖는 약액세정탑
KR102345774B1 (ko) 세정액 재이용 다단 탈취기
KR20190134544A (ko) 염 부산물 및 침전물 제거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JP5375850B2 (ja) イオン交換装置
JP2020032407A (ja) 脱臭装置及び畜舎の臭気低減システム
WO2015155726A1 (en) Filtering system for treatment of water
JP5517572B2 (ja) 空気の浄化装置
JP3121160B2 (ja) 気体の除塵・除菌装置
JP2012166135A (ja) イオン交換装置
JP3480050B2 (ja) 浸漬型膜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