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414B1 - Apparatus for aligning bobbin and method for aligning bobbi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ligning bobbin and method for aligning bobbin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7414B1 KR102297414B1 KR1020200032743A KR20200032743A KR102297414B1 KR 102297414 B1 KR102297414 B1 KR 102297414B1 KR 1020200032743 A KR1020200032743 A KR 1020200032743A KR 20200032743 A KR20200032743 A KR 20200032743A KR 102297414 B1 KR102297414 B1 KR 102297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displacement sensor
- fork member
- support
- camer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65H19/305—Inserting co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5—Handling web roll involving c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2—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빈얼라인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얼라인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bbin alignment apparatus and an alignment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전자파 차폐필름, 플렉시블 피씨비, 광학필름, 보호필름 등의 필름 부품은 필름 원단을 가공하여 제작된다. 제작되는 필름 원단은 필름권취기의 척에 보빈이 척킹된 상태에서 보빈에 감겨지면서 생산된다. 보빈에 필름 원단이 감긴 롤 제품은 무게가 무거워 롤 제품을 다른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롤 제품을 대차의 거치대 위에 올려놓은 후 수동으로 운반하거나, 롤 제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특수 팔레트를 제작한 후 롤 제품을 팔레트와 함께 지게차로 운반하고 있다.In general, film parts such as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s, flexible PCBs, optical films, and protective films used in electronic products are manufactured by processing the film fabric. The manufactured film fabric is produced while the bobbin is chucked on the chuck of the film winder and wound around the bobbin. The roll product with film fabric wound on the bobbin is heavy, so to transport the roll product to another location, use a crane to place the roll product on the cradle of the cart and then manually transport it, or use a special pallet to put the roll product on. After manufacturing, roll products are transported together with pallets by forklift.
이와 같은 종래 롤 제품 수동 운반의 복잡함과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보빈을 필름권취기의 척에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complexity and inconvenience of manual transport of roll products in the related art, equipment for automatically loading or unloading a bobbin into the chuck of a film winder has been developed.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133994호(2017. 12. 06.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롤 제품을 자동으로 운반하는 롤운반용 무인운반차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바닥면이 평탄하지 못할 경우 롤 제품이 수평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3994 (published on Dec. 06,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discloses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for automatically transporting roll products. However, prior art 1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oll product cannot be maintained horizontally when the bottom surface is not flat.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53135호(2010. 04. 16. 공고일)(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는 두 개의 리프트들이 각각 움직이면서 롤 바디를 지지하는 롤 바디 반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 위치할 경우 낮은 쪽의 리프트가 더 길게 되어 롤 바디의 코어(일명, 보빈)가 접촉되는 두 개의 리프트의 접촉면이 작아져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인운반차(AGV)가 보빈을 필름권취기의 로딩/언로딩 위치로 이동시 위치 틀어짐이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53135 (published on April 16,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iscloses a roll body conveying device in which two lifts respectively move and support the roll body. However, in the prior art 2, when the bottom surface is not flat, the lift on the lower side becomes longer, so the contact surface of the two lifts that contact the core (aka bobbin) of the roll body becomes small, and the support becomes unstable. hav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positional shift occurs when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AGV) moves the bobbin to the loading/unloading position of the film winder.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권취기의 척에 보빈을 자동으로 정확하고 빠르게 얼라인시키는 보빈얼라인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얼라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bbin alignment apparatus and an alignment method using the same for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and quickly aligning a bobbin to a chuck of a film winde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빈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척이 각각 지지되는 좌,우측 척지지부재들 중 한 개의 척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1 기준반사판; 상기 제1 기준반사판에 구비되는 기준마커; 상기 보빈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보빈지지대들이 구비되는 포크부재의 두 개 보빈지지대들 중 한 개의 보빈지지대에 구비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가 구비된 보빈지지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변위센서들;을 포함하는 보빈얼라인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provid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chuck support members supported by two chucks respective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bobbin; a reference marker provided on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a first camera provided on one of the two bobbin supports of the fork member provided with two bobbin support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bobbin; There is provided a bobbin alignment device comprising a; a plurality of displacement sensors provided on the bobbin support provided with the first camera.
상기 변위센서들은 제1 변위센서와, 상기 제1 변위센서와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변위센서와, 상기 제2 변위센서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3 변위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cement sensors include a first displacement sensor, a second displacement sensor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displacement sensor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do
상기 좌,우측 척지지부재들 중 다른 한 개의 척지지부재에 제2 기준반사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기준반사판에 기준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보빈지지대들 중 다른 한 개의 보빈지지대에 제2 카메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 second reference reflection plate is provided on the other chuck support member of the left and right chuck support members, a reference marker is provided on the second reference reflection plate, and a second reference plate is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two bobbin supports. 2 A camera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두 개의 보빈지지대들이 구비된 포크부재를 설정된 높이로 움직이는 단계; 상기 두 개의 보빈지지대들 중 한 개의 보빈지지대의 측면에 구비된 제1,2,3 변위센서들과 상기 변위센서들이 구비된 보빈지지대의 측면과 대면되는 척측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제1 기준반사판을 이용하여 상기 보빈지지대와 제1 기준반사판과 평행하게 상기 포크부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포크부재를 수평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팅거리를 맞추는 단계; 상기 변위센서들이 위치한 보빈지지대에 구비된 제1 카메라의 가상기준중점과 상기 제1 기준반사판에 구비된 기준마커가 일치되도록 상기 포크부재를 수직방향인 Z축 방향과 수평방향인 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빈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moving the fork member provided with two bobbin supports to a set height;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cement sensors provided on the side of one of the two bobbin supports and the first reference provided on the chuck side facing the side of the bobbin support provided with the displacement sensors and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fork member parallel to the bobbin support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using a reflecting plate; adjusting the setting distance by moving the fork member in a horizontal X-axis direction; The fork member is moved in the vertical Z-axis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Y-axis direction so that the virtual reference center of the first camera provided on the bobbin support in which the displacement sensors are located and the reference marker provided on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 is provided an alignment method using a bobbin alignment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변위센서들은 상기 제1 변위센서와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2 변위센서가 위치하고, 상기 제2 변위센서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3 변위세서가 위치하며, 상기 제2 변위센서와 제1 기준반사판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3 변위센서와 제1 기준반사판의 직선거리가 같게 상기 보빈지지대를 움직이고, 이어 상기 제2 변위센서와 제1 기준반사판의 직선거리와 제1 변위센서와 제1 기준반사판의 직선거리가 같게 상기 보빈지지대를 움직여 상기 보빈지지대와 제1 기준반사판을 평행하게 위치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cement sensors include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displacement sensor positioned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and the bobbin support is moved so that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third displacement sensor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is the same, and then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and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Preferably, the bobbin support is moved so that the linear distance of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is the same to correct the positions of the bobbin support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in parallel.
상기 제1,2,3 변위센서들의 사이에 제1 카메라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camera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cement sensors.
상기 포크부재의 두 개의 보빈지지대들 중 다른 한 개의 보빈지지대에 대면되는 척측에 제2 기준반사판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기준반사판에 기준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보빈지지대들 중 다른 한 개의 보빈지지대에 제2 카메라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 카메라의 가상기준중점과 제1 기준반사판의 기준마커를 일치시킨 후 제2 카메라의 가상기준중점과 제2 기준반사판의 기준마커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mong the two bobbin supports of the fork member, a second reference reflecting plate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chuck side facing the other one of the bobbin supports, and a reference marker is provided on the second reference reflecting plate, and among the two bobbin supports A second camera is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bobbin support, and after matching the virtual reference center of the first camera with the reference marker of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the virtual reference center of the second camera and the reference marker of the second reference reflector ar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y match.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변위센서들과 제1 기준반사판을 이용하여 포크부재의 보빈지지대를 제1 기준반사판과 평행하게 맞추고 포크부재를 세팅거리로 이동시키고 제1 카메라의 가상기준중점과 제1 기준반사판에 구비된 기준마크와 일치시켜 포크부재에 놓여진 보빈과 필름권취기의 척들을 얼라인시키게 되므로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가 위치하는 바닥면이나 기타 조건에 관계없이 보빈의 얼라인이 정확하게 되어 척과 보빈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며 보빈을 얼라인시키는 작업이 빠르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igns the bobbin support of the fork member parallel to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using a plurality of displacement sensors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moves the fork member to a setting distance, and the virtual reference center of the first camera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Since the chuck of the film winder and the bobbin placed on the fork member are aligned with the reference mark provided on the It prevents the collision of the bobbin and aligns the bobbin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변위센서들, 제1 기준반사판, 기준마크,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포크부재에 놓여진 보빈을 얼라인시키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igns the bobbin placed on the fork member using a plurality of displacement sensors,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the reference mark, and the first camera, so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e.
또한, 본 발명은 제2 기준반사판, 그 제2 기준반사판에 구비되는 기준마크, 제2 카메라를 더 포함하게 될 경우 포크부재에 놓여진 보빈을 얼라인시킨 다음 그 얼라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보빈의 얼라인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reference reflection plate, the reference mark provided on the second reference reflection plate, and the second camera are further included, the bobbin placed on the fork member can be aligned and then the alignment state can be check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lignment accuracy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필름권취기와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기준반사판과 척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변위센서들과 제1 카메라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방법에서 보빈지지대와 제1 기준반사판을 평행하게 위치 보정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방법에서 보빈지지대와 제1 기준반사판을 평행하게 위치 보정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lm winding machine and automatic bobbin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embodiment of a bobbi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and a chu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bobbi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displacement sensors and a first camera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bobbin alig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lignment method using a bobbin alig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correction of the bobbin support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in parallel in the align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osition correction of the bobbin support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in parallel in the align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얼라인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obbin alignment apparatus and an align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필름권취기와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lm winding machine and automatic bobbin unloading equipment equipped with an embodiment of the bobbi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의 일실시예는, 보빈의 양단을 각각 척(chuck)(110)으로 지지하여 보빈(10)에 필름 원단을 와인딩 가능하게 하는 필름권취기(100)와, 보빈(10)을 필름권취기(100)로 이동하여 보빈(10)을 필름권취기(100)의 척(110)들에 로딩하거나 필름권취기(100)의 척(110)들에 로딩된 보빈(10)을 언로딩하는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200)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 an embodiment of the bobbi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both ends of the bobbin with
필름권취기(100)의 일예로, 필름권취기(100)는 소정 형상을 갖는 베이스프레임(120)과, 그 베이스프레임(120)에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두 개의 척지지부재(130)들과, 두 개의 척지지부재(130)들에 각각 결합되는 척(110)과, 척(110)을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척구동유닛(140)을 포함한다. 두 개의 척지지부재(130)들은 각각 설정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이며,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되, 서로 대면되게 위치한다. 두 개의 척지지부재(130)들을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것을 좌측 척지지부재(130)라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우측 척지지부재(130)라 한다. 좌,우측 척지지부재(130)에 각각 척(110)이 구비되며, 척(110)들은 각각 척구동유닛(140)의 작동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보빈(10)의 양단을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As an example of the film winder 100 , the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200)의 일예로,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200)는 설정된 영역에서 자동으로 움직이는 자동이송차(210)와, 그 자동이송차(210)의 상측에 위치하여 보빈(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포크부재(220)와, 자동이송차(210)의 상부와 포크부재(22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포크부재(220)의 위치를 조절하는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을 포함한다. 포크부재(220)는,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며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에 연결되는 베이스판(221)과, 그 베이스판(22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보빈(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보빈지지대(222)들을 포함한다. 보빈지지대(222)들의 각 상단면에 보빈(10)이 접촉 지지되는 브이자형 지지홈이 구비된다.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은 포크부재(220)를 X축방향이동, Y축방향이동, Z축방향이동, 수평 회전이동, 틸팅이동 중 한 개의 이동 또는 둘이상의 이동을 동시에 수행한다. 포크부재(220)의 보빈지지대(222)들의 보빈지지홈에 보빈이 놓여진 상태에서 보빈의 축방향이 X축 방향이고, 그 X축 방향에 대하여 수평면상 직각인 방향이 Y축 방향이고, X-Y축 수평면에 수직이 방향이 Z축 방향이다. 그리고 포크부재(220)의 베이스판(2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보빈지지대(222)가 시소(seesaw) 움직임을 하는 것을 틸팅 움직임이라 하고, 베이스판(221)의 가운데 중심 부분을 축으로 하여 베이스판(221)이 수평면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수평 회전이동이라 한다.As an example of the bobbin automatic loading and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의 일실시예는, 제1 기준반사판(310), 기준마커(320), 제1 카메라(330), 복수 개의 변위센서들(340)을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bobbin alig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 기준반사판은,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척(130)이 각각 지지되는 좌,우측 척지지부재(130)들 중 한 개인 우측 척지지부재(130)에 구비된다. 제1 기준반사판(310)은 평판이며 거울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준반사판(310)은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제1 기준반사판(310)은 우측 척지지부재(130)에 반사판지지대(350)가 결합되고 그 반사판지지대(350)에 제1 기준반사판(310)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is,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right side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huck support
기준마커(320)는 제1 기준반사판(310)에 구비된다. 기준마커(320)는 제1 기준반사판(31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준반사판(310)의 기준마커(320)는 척(110)의 중심과 수직 방향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The
제1 카메라(330)는 보빈(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포크부재(220)의 두 개 보빈지지대(222)들 중 한 개의 보빈지지대(222)에 구비된다. 제1 카메라(330)는 보빈지지대(222)의 외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포크부재(220)의 두 개 보빈지지대(222)에 지지되는 보빈(10)의 중심과 제1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은 수직 방향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보빈(10)의 중심과 제1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과의 거리(d)는 제1 기준반사판(310)의 기준마커(320)의 중심과 척(110)의 중심과의 거리(d')와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변위센서(340)들은 제1 카메라(330)가 구비된 보빈지지대(222)의 외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변위센서(340)들의 일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센서(340)들은 제1 변위센서(341)와, 그 제1 변위센서(341)와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변위센서(342)와, 그 제2 변위센서(340)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3 변위세서(34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2,3 변위센서(341)(342)(343)는 직각삼각형의 각 꼭지점의 위치에 위치한다. 제1,2,3 변위센서(341)(342)(343)는 각각 레이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카메라(330)는 제1,2,3 변위센서(341)(342)(343)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은 보빈지지대(222)의 브이자형 지지홈에 위치하는 보빈(10)의 수직방향 중심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필름권취기(100)의 좌,우측 척지지부재(130)들 중 다른 한 개의 척지지부재(130)인 좌측 척지지부재(130)에 제2 기준반사판(360)이 더 구비되고, 그 제2 기준반사판(360)에 기준마커(3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크부재(220)의 두 개 보빈지지대(222)들 중 다른 한 개의 보빈지지대(222)에 제2 카메라(3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lignment method using a bobbin alig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방법의 일실시예는, 먼저 두 개의 보빈지지대(222)들이 구비된 포크부재(220)를 설정된 높이로 움직이는 단계(S1)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단계는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200)가 보빈(10)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도킹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이 포크부재(220)를 설정된 높이로 움직인다.As shown in FIG. 4, an embodiment of the alignment method using the bobbin alig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irst moving the
포크부재(220)를 설정된 높이로 움직인 다음, 두 개의 보빈지지대(222)들 중 한 개의 보빈지지대(222)의 측면에 구비된 제1,2,3 변위센서들(341)(342)(343)과 그 변위센서(340)들이 구비된 보빈지지대(222)의 측면과 대면되는 척(130)측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제1 기준반사판(310)을 이용하여 보빈지지대(222)를 제1 기준반사판(310)과 평행하게 포크부재(220)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S2)가 진행된다. 제1 기준반사판(310)은 척(130)이 지지되는 우측 척지지부재(130)에 구비된다. 우측 척지지부재(130)는 변위센서(340)들이 구비된 보빈지지대(222)와 대면된다. 변위센서들(340)은 제1 변위센서(341)와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2 변위센서(342)가 위치하고, 제2 변위센서(342)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3 변위센서(343)가 위치한다. 제1,2,3 변위센서(341)(342)(343)는 각각 레이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moving the
보빈지지대(222)와 제1 기준반사판(310)을 평행하게 위치 보정하는 방법의 일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위센서(342)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2)와 제3 변위센서(343)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3)가 같게 보빈지지대(222)를 움직이고, 이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위센서(342)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2)와 제1 변위센서(341)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1)가 같게 보빈지지대(222)를 움직인다.As an example of a method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한편, 보빈지지대(222)와 제1 기준반사판(310)을 평행하게 위치 보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예로, 제2 변위센서(342)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2)와 제1 변위센서(341)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1)가 같게 보빈지지대(222)를 움직이고, 이어 제2 변위센서(342)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2)와 제3 변위센서(343)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3)가 같게 보빈지지대(222)를 움직인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제2 변위센서(342)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2)와 제3 변위센서(343)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3)의 거리차는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이 포크부재(220)를 회전이동시킴에 의해 좁혀지면서 일치하게 된다. 또한, 제2 변위센서(342)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2)와 제1 변위센서(341)와 제1 기준반사판(310)의 직선거리(L1)의 거리차는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이 포크부재(220)를 틸팅이동시킴에 의해 좁혀지면서 일치하게 된다. 이때, 속도제어만을 사용하여 초기 스타트시키고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속도를 거리의 감속폭으로 나누어서 제어하여 오버슈팅(overshooting)을 방지하면서 빠른 사간내에 수렴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linear distance L2 between the
보빈지지대(222)를 제1 기준반사판(310)과 평행하게 포크부재(220)의 위치를 보정한 다음, 포크부재(220)를 수평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팅거리를 맞추는 단계(S3)가 진행된다. 세팅거리는 척(130)이 보빈(10)의 양단을 척킹하는 거리이다.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세팅거리를 맞춘 다음, 변위센서(340)들이 위치한 보빈지지대(222)에 구비된 제1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과 제1 기준반사판(310)에 구비된 기준마커(320)가 일치되도록 포크부재(220)를 수직방향인 Z축 방향과 수평방향인 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S4)가 진행된다. 제1 카메라(330)는 제1,2,3 변위센서(341)(342)(343)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카메라(330)가 제1 기준반사판(310)의 기준마커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의 기준마커(320)와 제1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이 일치되도록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이 포크부재(220)를 Z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After matching the setting distance, the virtual reference center of the
한편, 포크부재(220)의 두 개의 보빈지지대(222)들 중 다른 한 개의 보빈지지대(222)에 대면되는 척(130)측에 제2 기준반사판(360)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제2 기준반사판(360)에 기준마커(370)가 구비되고, 두 개의 보빈지지대(222)들 중 다른 한 개의 보빈지지대(222)에 제2 카메라(38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과 제1 기준반사판(310)의 기준마커(320)를 일치시킨 후 제2 카메라(380)의 가상기준중점과 제2 기준반사판(360)의 기준마커(370)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카메라(380)가 제2 기준반사판(310)의 기준마커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의 기준마커(320)와 제2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빈얼라인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얼라인방법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obbin alignment apparatus and the align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포크부재(220)의 보빈지지대(222)들에 보빈(10)의 양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200)가 이동하여 필름권취기(100)의 도킹위치에 위치한다. 포크부재(220)의 보빈지지대(222)에 놓여진 보빈(10)은 원단 필름이 감긴 상태일 수도 있고, 원단 필름이 감기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200)가 도킹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이 포크부재(220)를 설정된 높이로 움직인다. 그리고 포크부재(220)의 보빈지지대(222)의 측면에 구비된 변위센서(340)들과 제1 기준반사판(310)을 이용하여 보빈지지대(222)를 제1 기준반사판(310)과 평행하도록 포크부재위치조절유닛(230)이 포크부재(220)의 수평 회전이동 및 틸팅이동시켜 위치를 보정한다. 이어, 포크부재(220)를 수평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팅거리를 맞추고 보빈지지대(222)의 측면에 구비된 제1 카메라(330)로 제1 기준반사판(310)의 기준마커(320)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의 기준마커(320)와 제1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이 일치되도록 포크부재(220)를 수직방향인 Z축 방향과 수평방향인 Y축 방향으로 움직여 포크부재(220)의 보빈지지대(222)들에 놓여진 보빈(10)의 중심을 필름권취기(100)의 양쪽 척(130)들의 중심선에 얼라인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필름권취기(100)의 한쪽 척(130)이 직진하여 보빈(10)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고, 이어 다른 한쪽 척(130)이 직진하여 보빈(10)의 다른 한쪽 단부를 지지하여 보빈(10)이 필름권취기(100)의 척(130)에 고정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변위센서(340)들과 제1 기준반사판(310)을 이용하여 포크부재(220)의 보빈지지대(222)를 제1 기준반사판(310)과 평행하게 맞추고 포크부재(220)를 세팅거리로 이동시키고 제1 카메라(330)의 가상기준중점과 제1 기준반사판(310)에 구비된 기준마크(320)와 일치시켜 포크부재(220)에 놓여진 보빈(10)과 필름권취기(100)의 척(130)들을 얼라인시키게 되므로 보빈 자동로딩언로딩장비(200)가 위치하는 바닥면이나 기타 조건에 관계없이 보빈(10)의 얼라인이 정확하게 되어 척(130)과 보빈(10)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며 보빈(10)을 얼라인시키는 작업이 빠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변위센서(340)들, 제1 기준반사판(310), 기준마크(320), 제1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포크부재(220)에 놓여진 보빈(10)을 얼라인시키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reezes the
또한, 본 발명은 제2 기준반사판(360), 그 제2 기준반사판(360)에 구비되는 기준마크(370), 제2 카메라(380)를 더 포함하게 될 경우 포크부재(220)에 놓여진 보빈(10)을 얼라인시킨 다음 그 얼라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보빈(10)의 얼라인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placed on the
310; 제1 기준반사판 320; 기준마커
330; 제1 카메라 340; 변위센서들310; a
330;
Claims (7)
상기 제1 기준반사판에 구비되는 기준마커;
상기 보빈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보빈지지대들이 구비되는 포크부재의 두 개 보빈지지대들 중 한 개의 보빈지지대에 구비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가 구비된 보빈지지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변위센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변위센서들은 제1 변위센서와, 상기 제1 변위센서와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변위센서와, 상기 제2 변위센서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3 변위세서를 포함하는 보빈얼라인장치.a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provided on one chuck support member among left and right chuck support members on which two chucks supporting both ends of the bobbin are respectively supported;
a reference marker provided on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a first camera provided on one of the two bobbin supports of the fork member provided with two bobbin support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bobbin;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cement sensors provided on the bobbin support provided with the first camera;
The displacement sensors include a first displacement sensor, a second displacement sensor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displacement sensor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in a horizontal direction. bobbin alignment device.
상기 두 개의 보빈지지대들 중 한 개의 보빈지지대의 측면에 구비된 변위센서들과, 상기 변위센서들이 구비된 보빈지지대와 대면되는 척측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제1 기준반사판을 이용하여 상기 보빈지지대를 제1 기준반사판과 평행하게 상기 포크부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포크부재를 수평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팅거리를 맞추는 단계;
상기 변위센서들이 위치한 보빈지지대의 측면에 구비된 제1 카메라의 가상 기준중점과 상기 제1 기준반사판에 구비된 기준마커가 일치되도록 상기 포크부재를 수직방향인 Z축 방향과 수평방향인 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센서들은 제1 변위센서와, 상기 제1 변위센서와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변위센서와, 상기 제2 변위센서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3 변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변위센서와 제1 기준반사판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3 변위센서와 제1 기준반사판의 직선거리가 같게 상기 보빈지지대를 움직이고, 이어 상기 제2 변위센서와 제1 기준반사판의 직선거리와 제1 변위센서와 제1 기준반사판의 직선거리가 같게 상기 보빈지지대를 움직여 상기 보빈지지대와 제1 기준반사판을 평행하게 위치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방법.moving the fork member provided with two bobbin supports to a set height;
Displacement sensors provided on the side of one of the two bobbin supports, and the chuck side facing the bobbin support provided with the displacement sensors.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fork member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ference reflection plate by using the first reference reflection plat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ake the bobbin supporter parallel to the first reference reflection plate;
adjusting the setting distance by moving the fork member in the horizontal X-axis direction;
The vertical Z-axis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Y-axis direction of the fork member so that the virtual reference center of the first camer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bbin support in which the displacement sensors are located and the reference marker provided on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coincide with each other comprising the steps of moving to
The displacement sensors include a first displacement sensor, a second displacement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displacement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bobbin support is moved so that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is equal to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third displacement sensor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and then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or and An alignment method using a bobbin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bbin support is moved so that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is the same to correct the positions of the bobbin support and the first reference reflecting plate in parall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743A KR102297414B1 (en) | 2020-03-17 | 2020-03-17 | Apparatus for aligning bobbin and method for aligning bobbin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743A KR102297414B1 (en) | 2020-03-17 | 2020-03-17 | Apparatus for aligning bobbin and method for aligning bobbin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7414B1 true KR102297414B1 (en) | 2021-09-02 |
Family
ID=7779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2743A Active KR102297414B1 (en) | 2020-03-17 | 2020-03-17 | Apparatus for aligning bobbin and method for aligning bobbin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741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80510A (en) * | 2022-06-23 | 2022-10-14 | 厦门集装箱码头集团有限公司 | Vision-based cart deviation rectifying and positioning method, system, equipment and mediu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6798B1 (en) * | 2007-11-27 | 2009-03-04 |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Roll auto feeder |
JP4717639B2 (en) * | 2006-01-06 | 2011-07-06 | 東芝機械株式会社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th sides of substrate shape |
KR101090333B1 (en) * | 2009-06-03 | 2011-12-07 | 주식회사 쎄믹스 | Wafer probe station capable of active tilt control of chuck and its control method |
JP6217336B2 (en) * | 2013-11-15 | 2017-10-25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cart |
-
2020
- 2020-03-17 KR KR1020200032743A patent/KR1022974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17639B2 (en) * | 2006-01-06 | 2011-07-06 | 東芝機械株式会社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th sides of substrate shape |
KR100886798B1 (en) * | 2007-11-27 | 2009-03-04 |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Roll auto feeder |
KR101090333B1 (en) * | 2009-06-03 | 2011-12-07 | 주식회사 쎄믹스 | Wafer probe station capable of active tilt control of chuck and its control method |
JP6217336B2 (en) * | 2013-11-15 | 2017-10-25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car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80510A (en) * | 2022-06-23 | 2022-10-14 | 厦门集装箱码头集团有限公司 | Vision-based cart deviation rectifying and positioning method, system, equipment and medi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0124B1 (en) | Article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rticle position deviation | |
KR100935740B1 (en) | Optical wavegui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waveguide device | |
JP2011079602A (en) | Roll body supply device | |
KR102297414B1 (en) | Apparatus for aligning bobbin and method for aligning bobbin using the same | |
TW201726521A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CN109725500B (en) | Double-sided exposure apparatus and double-sided exposure method | |
JP6593316B2 (en) | Goods transport vehicle | |
JP4641859B2 (en) |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box-shaped container for glass plate storage | |
KR101509660B1 (en) | High-precision automatic laminating equipment | |
JPH106262A (en) | Instructing method and its device for robot | |
JP5751583B2 (en) | Substrate transport devic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achine, substrate transport metho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 |
KR102297415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oading or unroding bobbin | |
TWI859439B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JP2000327188A (en) | Original roll delivering facility for turret | |
JP6230609B2 (en) | Parts supply equipment for automatic assembly equipment | |
JP2007193197A (en) | Article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15026148A (en) | Unmanned carrier and unmanned carrier group | |
WO2020152766A1 (en) | Transporting device | |
KR20210088538A (en) |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a package | |
KR20240039020A (en) | Substrate transfer robot and control method of substrate transfer robot | |
JP6756397B2 (en) | Goods carrier | |
JP3969819B2 (en) | Alignment method and alignment apparatus | |
JP2021134070A (en) | Jig for parallelism confirmation and parallelism adjustment method | |
CN113474096B (en) | Tail end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for coil-shaped metal plate | |
JP2008254866A (en) | Web roll loading method and it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