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291B1 - Drain pipe connection - Google Patents
Drain pipe conn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7291B1 KR102297291B1 KR1020200176311A KR20200176311A KR102297291B1 KR 102297291 B1 KR102297291 B1 KR 102297291B1 KR 1020200176311 A KR1020200176311 A KR 1020200176311A KR 20200176311 A KR20200176311 A KR 20200176311A KR 102297291 B1 KR102297291 B1 KR 1022972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
- connector body
- drain pipe
- connector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떠한 구조물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에 대한 작업성과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구성요소를 단순화 하면서도 연결부분에 대한 결합력을 확보하여 외부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분에 대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상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양측으로 플랜지가 갖춰져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을 이루면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수밀성과 결합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배수관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면상 반구형상을 이루며 내측으로 결합공간부(111)(121)와 압입공간부(112)(122)가 갖춰진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로 이루어진 연결구본체(100)와; 단면상 반구형상을 이루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안착홈(211)(221)이 갖춰져 연결구본체(100)의 압입공간부(112)(122)에 강제끼움식으로 결합을 이루는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로 이루어진 압입구본체(200)와; 상기 압입구본체(200)의 외주면에 갖춰진 안착홈(211)(221)에 설치되는 스토퍼편(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sures workability and coupling force for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ain pipe installed to be exposed to any structure, and secures the coupling force for the connection part while simplifying each component. In order to ensure watertightness, it is made of a hemispherical shape in cross section and provided with flanges on both sides to secure watertightness and coupling force of a pipe to be connected while forming coupling by bolts and nu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emispherical shape in cross section and has an upper connector body 110 and a lower connector body having a coupling space 111, 121 and a press-in space 112, 122 inside. 120) and a connector body 100 made of; The upper press-in port 210, which forms a hemispherical shape in cross section, is provided with longitudinal seating grooves 211 and 2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press-fitting space 112 and 122 of the connector body 100 in a forced-fit manner. And the press-in mouth body 200 consisting of a lower press-in port 220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opper piece 300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s 211 and 221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fit body 200 .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관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생활하수나 빗물의 원활한 배수을 위한 배수관로는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연결관을 이용하여 하나의 관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분의 수밀성과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한 배수관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pipe connector, and more specifically, the drain pipe for the smooth drainage of domestic sewage or rainwater forms a single pipe using various connecting pip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It relates to the drain pipe connection to secure the.
일반적으로 배수관로는 설치환경에 부합하는 연결관을 이용하여 하나의 관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연결관은 "L자형, Y자형, T자형, +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연결관의 양단부에는 단턱부를 갖춘 연결부를 형성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이 끼워졌을 때, 배관의 내주면과 연결관의 내주면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 drain pipe is formed by using a connection pipe suitable f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ipe used is in the shape of "L-shaped, Y-shaped, T-shaped, +-shaped", and the connection When a pipe to be connected is formed by forming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stepped portion at both ends of the pip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coincide with each other.
이때, 연결관의 연결부에 끼워지는 배수관의 단부에는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기밀용 또는 수밀용 테이프를 감은 후 강제끼움식으로 밀어넣어 결합을 이루게 되므로 배출되는 생활하수나 빗물과 같은 우수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체를 이루고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drain pip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ng pipe uses an adhesive or winds up an airtight or watertight tape and then pushes it in by a forced fitting method to form a bond. are united to make it possible.
상기와 같은 배수관로에 의해 배수되는 생활하수 또는 빗물과 같은 우수(이하 "배수물"이라고 함)가 원활하게 배수되는데, 이것은 배수관로의 내주면이 일치하는 매끈한 면을 이룸으로서 배수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이다.Rain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ainage") such as domestic sewage or rainwater drained by the drain pipe as described above is smoothly drained, which forms a smooth surface with the sam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so that the drain contains foreign substances Even if it is, it will drain smoothly.
이때 상기 배수관로 중 수평상태로 설치 할 경우에는 배수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외관상 구분할 수 없을 정도의 구배를 주면서 설치하게 되며, 특히 노출된 상태로 배수관로를 설치할 경우에는 건축물의 천정에 앵커에 의해 고정된 지지대에 얹어지는 상태로 설치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drain pipe in a horizontal state, it is installed while giving a gradient that is indistinguishable from the appear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inage flows. It is installed in a state that it is placed on a supported support.
이렇게 배출되는 배수물 중 생활하수는 지하에 매설된 집수정을 포함한 오폐수하수관로를 통해 생활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어 정화과정을 거쳐 하천으로 배출되며, 빗물과 같은 우수는 지하에 매설된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관로를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생활하수로 인한 악취와 수질의 오염을 사전에 차단하고,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빗물의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져 생활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한다.Among the wastewater discharged in this way, domestic sewage is discharged to a domestic sewage treatment plant through a sewage sewer pipe including a collection well buried underground, and is discharged into a river after a purification process. By separating and installing a drain pipe that discharges directly to the
이상과 같이 배수관로는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하면서 생태계를 보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기반시설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관로 중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인 각 형태의 연결관과 배관의 결합력과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배수관로를 이루는 배수관과 연결관은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프라스틱소재의 관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drain pipe is a very important infrastructure for preserving the ecosystem while making the living environment comfortable. In order to ensure the coupling force and watertightness of the connecting pipe and the pipe, the pipe of the plastic material has been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various ways for the drain pipe and the connecting pipe constituting the drain pipe to secure workability.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는 프라스틱관을 이용한 배수관로에는 단순히 배수물을 흘러보내는 용도이므로 음용수인 상수도관과 같이 수압은 발생하지 않으나, 관과관의 연결부분에서의 수밀성은 갖추도록 설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rainage pipe using plastic pipe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water pressure is not generated like the water supply pipe, which is drinking water, because it is used to simply flow the wastewater. has been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관로가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과 진동으로 인하여 연결부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살펴보면, 건축물에 설치되는 배수관로 중 가장 취약한 연결부분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배수관과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배수관의 연결부분으로 볼 수 있다.However, when the drain pip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water leakage occurs in the connection part due to external shock and vibration. It can be seen as a connection part between a vertical drain pipe installed vertically and a horizontal drain pipe installed horizontally.
상기 수직배수관을 따라 배수되는 배수물이 수평배수관에 떨어지면서 수격현상이 일어나 낙하위치에 따라 엄청난 충격을 주게 되며, 이러한 충격은 수평배수관에 진동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은 각각의 연결부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진동이 장기간에 걸쳐 누적되면서 결과적으로 연결부분이 파손되거나 결합력이 떨어지면서 누수현상을 일으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the drain water drained along the vertical drain pipe falls on the horizontal drain pipe, a water hammer phenomenon occurs, giving a huge impac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drop, and this impact causes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rain pipe, and these vibrations affect each connection p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s these vibrations accumula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nection part is damaged or the coupling force is lowered as a result, resulting in a water leak.
또한 교량이나 교각으로 세워진 도로에 설치된 배수관로의 경우를 살펴보면, 교량이나 도로를 달리는 차량으로 부터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충격이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결부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lso, looking at the case of a drain pipe installed on a road built as a bridge or pier, the impact caused by vibration from a vehicle running on the bridge or road affects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ain pipe, resulting in a problem in the connection part. do.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된 배수관로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내진기능을 갖춘 행거("선행기술1"이라고 함)와 천정에 설치되는 다양한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지지장치("선행기술2"라고 함)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looking at the prior art for absorbing vibration caused by the shock applied to the horizontally installed drain pipe, a hanger with a seismic function (referred to as “
상기 선행기술1인 내진기능을 갖춘 행거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내진기능을 갖춘 행거는 천정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상부구형너트가 상부에 설치된 상부케이스와, 하부구형커플러가 하부에 갖춰진 하부케이스와, 상부구형너트와 하부구형커플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하부구형커플러에 배관을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갖춰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Looking at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hanger with seismic function in the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내진기능을 갖춘 행거를 이용하여 설치된 배관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상부구형너트와 하부구형커플러에 의해 횡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상부구형너트와 하부구형커플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종방향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installed pipe using a hanger with seismic resistance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vibration occur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he upper spherical nut and the lower spherical coupler absorb the lateral vib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bsorb longitudinal vibration by th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pherical nut and the lower spherical coupler.
상기 선행기술2인 다양한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배관지지장치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배관을 천정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는 앵커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실시예에 따라 거치프레임을 설치하여 다양한 배관을 얹어 놓을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플레이트를 갖추게하고 그 사이에 상부와 하부플레이트를 갖추면서 제1·2조절실린더를 갖추게하여 얹어지는 각종배관을 상하로 잡아 줄수 있도록 하여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다수의 수직진동방지바를 갖춘 진동방지플레이트를 갖추게 하여 상기 수직진동방지바와 진동방지플레이트에 각각 수직진동방지수단과 수평진동방지수단을 갖추게 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Looking at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ipe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various pipes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1과 2는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잡아주기 위한 구조를 갖추기 위하여 상부구형너트나 하부구형커플러 그리고 그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게이스, 상기 하부구형커플러에 설치되는 배관설치용 클램프 등으로 이루어진 선행기술1과, However, i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거치프레임,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 제1.2조절실린더, 수직진동방지바, 진동방지프레이트, 수직진동방지수단, 수평진동방지수단, 제1.2구동모우터외 다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선행기술2는 설치되는 배관을 상하좌우에서 인의적으로 잡아주도록 되어 진동에 의한 소음은 잡아 줄수 있는 등, 선행기술1과 2는 종방향과 횡방향의 진동에는 효과적으로 대응이 되나, 상기와 같은 많은 구성요소 들로 인하여 현장에서 설치작업을 할 경우에 설치작업의 작업성과 설치후 유지관리하는데 있어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ior ar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ing the mounting frame, the upper and lower plates, the 1.2 adjustment cylinder, the vertical anti-vibration bar, the anti-vibration plate, the vertical anti-vibration means, the horizontal anti-vibration means, the 1.2 drive motor and the like. No. 2 is designed to hold the installed pipe from top to bottom, left and right, so that noise caused by vibration can be suppressed, etc.
특히, 선행기술1과 2는 종방향과 횡방향의 진동에 대한 대응력은 있을 수 있으나, 설치된 배관의 연결부분에 대한 대응력은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축물의 천정에 앵커에 의해 설치되는 배수관로의 경우, 수직배관을 따라 배출되는 배수물은 최종적으로 수평배관에 배출되면서 충격을 가하게 되어 진동을 발생하게 되거나 지진으로 인하여 진동을 일으키게 되며, 교량에 설치된 배수관로는 이동하는 차량으로 인한 진동과 지진으로 인한 진동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으로 인하여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이 이격되거나 손상되어 배수물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진동이 누적됨에 따라서는 연결부분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이러한 선행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구조물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에 대한 작업성과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로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 pipe connector that can secure workability and bonding strength for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ain pipe installed to be exposed to any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요소를 단순화 하면서도 연결부분에 대한 결합력을 확보함으로서, 외부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분에 대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로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 pipe connector capable of securing the watertightness of the connection part even if an external shock occurs by securing the coupling force to the connection part while simplifying the component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면상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양측으로 플랜지가 갖춰져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을 이루면서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수밀성과 결합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배수관로 연결구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made of a hemispherical shape in cross section and provided with flanges on both sides to secure the watertightness and coupling force of the pipe to be connected while forming coupling by a bolt and a nut,
단면상 반구형상을 이루며 내측으로 결합공간부(111)(121)와 압입공간부(112)(122)가 갖춰진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로 이루어진 연결구본체(100)와; 단면상 반구형상을 이루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안착홈(211)(221)이 갖춰져 연결구본체(100)의 압입공간부(112)(122)에 강제끼움식으로 결합을 이루는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로 이루어진 압입구본체(200)와; 상기 압입구본체(200)의 외주면에 갖춰진 안착홈(211)(221)에 설치되는 스토퍼편(30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연결구몸체(120)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경사면(124)을 이루는 받침부(125)를 갖춰 앵커에 의해 고정설치된 지지대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압입공간부(112)(122)의 경사면과 압입구본체(200)의 경사면은 서로 상응하는 경사면을 이루게 하여 압입구본체(200)가 강제끼움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설치된 스토퍼편(300)이 굽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e
상기 연결구본체(100)를 이루는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압입공간부(112)(122)의 입구측 단부는 압입구본체(200)가 끼워졌을 때, 끼워진 압입구본체(200)의 단부를 잡아줄 수 있는 걸림턱(113)(123)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side ends of the press-in
삭제delete
상기 압입구본체(200)의 외주면에 갖춰진 안착홈(211)(221)의 길이는 안착홈(211)(221)에 설치되는 스토퍼편(300)의 길이보다 짧게하여 스토퍼편(300)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ngth of the
상기 연결구본체(100)를 이루는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는 배수관이 끼워지는 입구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복수의 삽입홀(130)(140)을 갖추게하되, 상기 삽입홀(130)(140)은 단면상 수평부(131)(141)와 경사부(132)(142)를 갖추게 하고, 삽입홀(130)(140)의 수평부(132)(142) 일부측에는 걸림턱(133)(143)을 갖추게하며, 상기 삽입홀(130)(140)에는 선단부가 뾰족한 단부를 이루는 스토퍼핀(400)이 끼워지되, 상기 끼워지는 스토퍼핀(400)의 단부가 수평부의 걸림턱(133)(143)에 걸리면서 스토퍼핀(400)의 선단부는 경사부(132)(1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되는 배수관의 외주면에 찍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관을 연결하는 부분에 상하연결구몸체로 이루어진 연결구본체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일체를 하면서 그 내부에 압입구를 갖춤으로서 현장에서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연결부분에 대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connector body made up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or body to the part connecting the drain pipe using a bolt and a nut and has a press-in hole therein, thereby improving assembly workability in the field and coupling force to the connecting part. has the effect of securing
특히 프라스틱소재로 성형된 배수관로는 장기간에 걸쳐 외부에 노출될 경우에는 햇볕과 직접적인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경우가 발생할 때, 볼트와 너트를 풀어주는 것으로 파손된 배수관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등 유지관리하는데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when a drain pipe made of plastic material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it is damaged by sunlight or direct external impact, it can be easily replaced by loosening bolts and nuts. it works f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는 프라스틱소재로 성형된 배수관로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압력이 발생하는 관로 즉 금속재로 성형된 관로에 적용할 경우에는 연결구본체와 압입구본체를 다이케이팅을 통한 금속재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산업분야 전반에 걸치 관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a drain pipe 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but when applied to a pipe line in which pressure is generated, that is, a pipe line molded from a metal material, the connector body and the press-fitting body are die-cated. Since it can be molded and used with a metal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and used in pipelines throughout the industrial fie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실시예에 따는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다른 설치상태 단면도.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stallation of a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of a drain pip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drain pip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며,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설치 예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설치상태 단면도 이다.1 is an exemplary installation view of a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를 설명하기에 앞서 첨부된 예시도면은 배수관로에 실질적으로 충격이 발생하고 이러한 충격에 의한 진동으로 손상되거나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연결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를 설치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로서, 수평방향의 배수관로 연결부분 뿐만아니라 수직방향의 배수관로 연결부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Before explaining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ed exemplary drawing shows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on part where an impact is substantially generated in the drain pipe, and is damaged by vibration due to such impact or a water leak occurs. A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it can be applied and used not only to the horizontal drain pipe connection part but also to the vertical drain pipe connection part.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는 건축물의 천정면에 앵커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지지행거에 의해 받쳐진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인 연결관의 일단부에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로 이루어져 볼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연결구본체(100)가 설치된다.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상기와 같이 연결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연결구본체(100)는 하부연결구몸체(120)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경사면(124)을 갖춘 받침부(125)가 경사면(124)이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을 이루며 외주면에 갖춰져 있어 앵커볼트(1)에 의해 천정에 고정된 지지행거(2)의 지지대(3)가 한쌍을 이루는 받침부(125)에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천정에 고정된 지지행거(10)의 지지대(11)에 얹어진 연결구본체(200)는 하부연결구몸체(120)의 받침부(125)에 의해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때 지지대(11)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하부연결구몸체(120)의 한쌍을 이루는 받침부(125) 사이에 진동흡수패트와 같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게 하는 것은 설치현장에서 상황에 맞게 적합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서 생략한다.(첨부도면 1 참조)The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본체(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면상 반구형상인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으로 이루어 지되, 상기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양측으로 다수의 결합홀이 갖춰진 플랜지부가 갖춰져 있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When the
상기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내측에는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각각 연결관의 결합부가 안착되는 결합공간부(111)(121)와 연결관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배수관을 고정시키는 압입구본체(200)가 안착되는 압입공간부(112)(122)가 갖춰져 있으며, 상기 압입공간부(112)(122)의 입구측 단부에는 안착되는 압입구본체(200)의 단부를 잡아주는 걸림턱(113)(123)이 갖춰져 있다.In the inner side of the
상기 압입구본체(200)은 상부연결구몸체(110)의 압입공간부(112)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압입공간부(122)에 끼워지는 단면상 반구형의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외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안착홈(211)(221)이 갖춰져 있다.The press-in
여기서, 상기 압입공간부(112)(122)는 수평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압입공간부(112)(122)에 안착되는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압입공간부(112)(122)의 수평면과 경사면에 상응하는 수평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압입공간부(112)(122)의 내주면과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외주면이 밀착되며, 상기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외주면에 갖춰진 안착홈(211)(221)에는 스토퍼편(300)이 끼워진다.Here, the press-in
상기 안착홈(211)(221)은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외주면과 동일한 수평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곳에 끼워지는 스토퍼편(300)도 동일한 수평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안착홈(211)(221)은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수평면 일부에서 경사면 단부까지 갖춰져 있으며, 상기 안착홈(211)(221)에 끼워지는 스토퍼편(300)의 길이는 안착홈(211)(2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스토퍼편(300)의 경사면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첨부도면 도 2참조)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설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배수관로의 연결관에 연결구본체(100)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하부연결구몸체(120)를 지지행거(2)의 지지대(3)와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하부연결구몸체(120)의 결합공간부(121)에는 연결관의 결합부가 위치하고, 압입공간부(122)에는 하부압입구(220)가 위치하게 된다.When explaining the installation and assembly state of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installing the
이때 상기 하부압입구(220)의 안착홈(221)에는 스토퍼편(300)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지는데, 상기 스토퍼편(300)의 폭을 안착홈(221)의 폭과 동일하게 성형하여 강제끼움식으로 끼우거나, 안착홈(221)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스토퍼편(300)을 부착한 상태에서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압입공간부(122)에 하부압입구(220)를 결합시킨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연결구몸체(110)의 압입공간부(112)에 스토퍼편(300)을 포함한 상부압입구(210)가 갖춰진 상태에서 상부연결구몸체(110)를 상기 하부연결구몸체(120)와 접하도록 얹어 놓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결합을 시키게 되면,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은 수밀성을 갖추면서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게 된다.In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ress-in
즉, 상기 배수관로의 연결관 결합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배수관을 단순히 끼워 넣고 상기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를 볼트결합을 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연결구몸체(110)의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하부압입구(220)의 외부면에 복수로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편(300)이 끼워진 배수관의 외주면을 찍는 상태로 잡아주게 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끼워진 배수관은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That is, when the drain pipe to be connected is simp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coupling part of the drain pipe and the
상기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내부에 압입되는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로 이루어진 압입구본체(200)의 설치 조립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연결관의 결합부가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결합공간부(111)(121)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양측에 갖춰진 다수의 결합홀을 갖춘 플랜지부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결합을 이루게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and assembly process of the press-
이때 연결하고자 하는 배수관이 끼워지는 일측 부분, 즉 도면상 우측부분의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를 밀착되게 하는 볼트와 너트의 조임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안착홈(211)(221)에 스토퍼편(30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압입공간부(112)(122)측으로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를 강제끼움식으로 끼우면, 상기 연결구본체(100)의 압입공간부(112)(122) 측이 벌어지면서 압입구본체(200)가 끼워지게 되고, 압입구본체(200)의 일측단 즉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단부가 걸림턱(113)(123)에 걸려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by loosening the tightening state of the bolt and nut that make th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상태를 느슨하게 했던 볼트와 너트를 강하게 조이게 되면,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는 접하는 부분인 플랜지부분이 밀착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게 된다.When the bolt and the nut, which have loosened the tightening state, are strongly tightened in the above state, the
이때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압입공간부(112)(122)에 강제끼움식으로 끼워졌던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의 안착홈(211)(221)에 위치한 스토퍼편(300)의 돌출되 선단부가 연결하고자 끼워진 배수관의 외부면을 끼워지는 방향과 동일한 사선방향으로 찍는 상태를 이룸으로써 연결되는 배수관을 매우 안정되게 결합을 이루게 된다.(첨부도면 도 3 참조)At this time, the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밀성과 기밀성을 갖추기 위한 가스켓기능을 하는 연질의 고무패드를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도면에 표현하는 것을 생략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배관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내구성과 신축성을 갖춘 가스켓을 설치할 경우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강제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유로관로에 적용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a technology for forming a unit by installing a soft rubber pad having a gasket function to provide watertightness and airtightness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의 실시예에 따는 설치상태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 연결구를 천정에 설치하는 다른 실시에의 단면도 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rain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로의 연결구의 실시예로서, 상부연결구본체(110)와 하부연결구본체(120)의 일측 단부, 즉 연결하고자 하는 배수관이 끼워지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부(131)(141)와 경사부(132)(142)를 이루어진 삽입홀(130)(140)을 갖추게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s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of the drai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상기 삽입홀(130)(140)은 단면상 반구형을 이루는 상부연결구본체(110)와 하부연결구본체(120)에 등간격을 이루도록 다수 갖추게하고, 상기 삽입홀(130)(140)의 입구측에 걸림턱(133)(143)일 갖춰지도록 삽입홀(130)(140)의 직경보다 작은 입구홀(134)(144)을 갖추게하며, 상기 삽입홀(130)(140)의 입구홀(134)(144)을 통해 스토퍼핀(400)을 강제압입식으로 끼워넣어 스토퍼핀(400)의 선단부가 연결된 배수관의 외주면을 찍을 수 있도록 하여 결합력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plurality of the insertion holes 130 and 140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to the
상기 스토퍼핀(400)의 선단부는 뾰족한 단면을 이룬 상태로 일자형의 핀 상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스토퍼핀(400)을 강제적으로 삽입홀(130)(140)에 끼워넣게 되면 스토퍼핀(400)의 선단부는 삽입홀(130)(140)의 경사부(132)(142)에 의해 굽혀지면서 끼워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스토퍼핀(400)의 후단부는 선단부가 굽혀지는 만큼 이에 상응하는 반발 탄성력이 발생하여 삽이홀(130)(140)의 입구부인 걸림턱(133)(143)에 걸리된다.The tip of the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배수관의 외주면에 다수의 스토퍼핀(400)이 찍힌 상태로 지지해 줌으로서 연결된 배수관이 외부충격에 따른 진동으로 인하여 이격되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더 견고하게 연결관에 끼워진 배수관을 잡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첨부도면 도 4 참조)By supporting a plurality of stopper pins 40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ed drain pipe from being spaced apart due to vibration caused by external shock, and more firm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pipe. It will be possible to hold the drain pipe. (See attached drawing Fig. 4)
이상과 같이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에 압입공간부(112)(122)를 갖추게하여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로 이루어져 스토퍼편(300)을 갖춘 압입구본체(200)를 설치하여 결합되는 배수관의 결합력을 확보하거나,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홀(130)(140)이 등간격을 이루도록 다수 형성하여 스토퍼핀(400)을 강제압입식으로 끼워넣어 결합되는 배수관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본체(100)를 천정에 설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플랜지부에 갖춰진 결합홀에 "U"자형 볼트(5)를 체결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 in which the
즉, 연결구본체(100)를 천정에 설치할 때, 천정에 앵거볼트(1)에 의해 지지행거(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행거(2)의 하부에 갖춰진 지지대(3)의 상부에 충격흡수수단(4)이 갖춰진 상태에서 연결구본체(100)가 얹어진다.That is, when the
상기 얹어진 연결구본체(100)를 충격흡수수단(6)을 포함한 "U"자형 볼트(5)로 지지대(3)에 고정시키면, 설치된 연결구본체(1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충격흡수수단(4)(6)이 갖춰지게 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그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에 대한 수밀성과 그 결합력에 대한 안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게 된다.(참고도면 도 5참조)When the mounted
여기서, 연결구본체(100)가 얹어지는 지지대(3)와, 얹어진 연결구본체(100)를 상부에서 하부로 고정시켜주는 "U"자형 볼트(5)와, 그리고 그 사이에 설치된 충격흡수수단(4)(6)은 배수관로를 천정에 설치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 기술하지 않은 것이며, 또한, 상기 충격흡수수단(4)(6)은 신축성을 지니면서 내구성을 갖춘 고무소재나 우레탄소재 등의 충격흡수재를 사용하는 기술 역시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기술하는 것은 생략한다.Her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로 이루어진 연결구본체(100)를 이용하여 배수관로의 연결부분의 안정적인 결합력과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연결구본체(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수관이나 연결관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구본체(100)를 고정시켜 주고 있는 볼트와 너트를 풀어주는 것으로 상·하부연결구몸체(110)(120)로 분리가능하므로 연결관이나 배수관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어 배수관로 유지보수하는데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le coupling force and watertightness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ain pipe by using the
100 - 연결구본체,
110 - 상부연결구몸체,
111 - 결합공간부, 112 - 압입공간부,
113 - 걸림턱,
120 - 하부연결구몸체,
121 - 결합공간부, 122 - 압입공간부,
123 - 걸림턱, 124 - 경사면,
125 - 받침부,
130 - 삽입홀
131 - 수평부, 132 - 경사부,
133 - 걸림턱,
140 - 삽입홀,
141 - 수평부, 142 - 경사부,
143 - 걸림턱,
200 - 압입구본체,
210 - 상부압입구,
211 - 안착홈,
220 - 하부압입구,
221 - 안착홈,
300 - 스토퍼편,
400 - 스토퍼핀.
1 - 앵커볼트, 2 - 지지행거, 3 - 지지대,
4 - 충격흡수수단, 5 - "U"자형 볼트 6 - 충격흡수수단.100 - connector body,
110 - upper connector body,
111 - coupling space, 112 - press-fitting space;
113 - snag,
120 - lower connector body,
121 - coupling space, 122 - press-fitting space;
123 - snag, 124 - slope,
125 - pedestal,
130 - insertion hole
131 - horizontal part, 132 - inclined part,
133 - snag,
140 - insertion hole,
141 - horizontal part, 142 - inclined part,
143 - snag,
200 - press-fitting body,
210 - upper press inlet,
211 - seating home,
220 - lower press inlet,
221 - seating groove,
300 - stopper edition,
400 - stopper pin.
1 - anchor bolt, 2 - support hanger, 3 - support,
4 - shock absorbing means, 5 - "U" shaped bolt 6 - shock absorbing means.
Claims (5)
단면상 반구형상을 이루며 내측으로 결합공간부(111)(121)와 압입공간부(112)(122)가 갖춰진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로 이루어진 연결구본체(100)와;
단면상 반구형상을 이루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안착홈(211)(221)이 갖춰져 연결구본체(100)의 압입공간부(112)(122)에 강제끼움식으로 결합을 이루는 상부압입구(210)와 하부압입구(220)로 이루어진 압입구본체(200)와;
상기 압입구본체(200)의 외주면에 갖춰진 안착홈(211)(221)에 설치되는 스토퍼편(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연결구몸체(120)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경사면(124)을 이루는 받침부(125)를 갖춰 앵커에 의해 고정설치된 지지대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압입공간부(112)(122)의 경사면과 압입구본체(200)의 경사면은 서로 상응하는 경사면을 이루게 하여 압입구본체(200)가 강제끼움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설치된 스토퍼편(300)이 굽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로 연결구.
In the drain pipe connector, which is made of a hemispherical shape in cross section and provided with flanges on both sides to secure water tightness and coupling force of the pipe to be connected while achieving coupling by bolts and nuts,
The connector body 100, which forms a hemispherical shape in cross-section, and includes an upper connector body 110 and a lower connector body 120 equipped with a coupling space 111, 121 and a press-in space 112, 122 on the inside;
The upper press-in port 210, which forms a hemispherical shape in cross section, is provided with longitudinal seating grooves 211 and 2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press-fitting space 112 and 122 of the connector body 100 in a forced-fit manner. And the press-in mouth body 200 consisting of a lower press-in port 220 and;
It consists of a stopper piece 300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s 211 and 221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 hole body 200,
The lower connector body 1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art 125 forming an inclined surface 124 inward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it can be stably seated on a support fixedly installed by an anchor, and the upper connector body 110 and the lower connecto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ess-in space 112 and 122 of the body 12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ess-in body 200 form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indentation body 200 is a stopper piece installed when the press-fitting body 200 is coupled in a forced-fit manner. (300) A drain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상기 연결구본체(100)를 이루는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의 압입공간부(112)(122)의 입구측 단부는 압입구본체(200)가 끼워졌을 때, 끼워진 압입구본체(200)의 단부를 잡아줄 수 있는 걸림턱(113)(123)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로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side ends of the press-in spaces 112 and 122 of the upper connector body 110 and the lower connector body 120 constituting the connector body 100 have the press-in port fitted when the press-fit body 200 is fitted. A drain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quipped with a locking jaw (113) (123) that can hold the end of the main body (200).
상기 압입구본체(200)의 외주면에 갖춰진 안착홈(211)(221)의 길이는 안착홈(211)(221)에 설치되는 스토퍼편(300)의 길이보다 짧게하여 스토퍼편(300)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로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seating grooves 211 and 221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fitting body 20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topper piece 300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s 211 and 221, so that the end of the stopper piece 300 A drain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to the outside.
상기 연결구본체(100)를 이루는 상부연결구몸체(110)와 하부연결구몸체(120)는 배수관이 끼워지는 입구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복수의 삽입홀(130)(140)을 갖추게하되, 상기 삽입홀(130)(140)은 단면상 수평부(131)(141)와 경사부(132)(142)를 갖추게 하고, 삽입홀(130)(140)의 수평부(132)(142) 일부측에는 걸림턱(133)(143)을 갖추게하며, 상기 삽입홀(130)(140)에는 선단부가 뾰족한 단부를 이루는 스토퍼핀(400)이 끼워지되, 상기 끼워지는 스토퍼핀(400)의 단부가 수평부의 걸림턱(133)(143)에 걸리면서 스토퍼핀(400)의 선단부는 경사부(132)(1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되는 배수관의 외주면에 찍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로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nnector body 110 and the lower connector body 120 constituting the connector body 10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30 and 140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inlet end where the drain pipe is fitted. , the insertion holes 130 and 140 have horizontal portions 131 and 141 and inclined portions 132 and 142 in cross-section, and horizontal portions 132 and 142 of the insertion holes 130 and 140 . A stopper pin 400 having a pointed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0 and 140, and the end of the stopper pin 400 to be fitted is provided on some sides. The distal end of the stopper pin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clinations 132 and 142 while being caught on the locking protrusions 133 and 143 of the horizontal part so as to be stam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to which they are coupled.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6311A KR102297291B1 (en) | 2020-12-16 | 2020-12-16 | Drain pipe conn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6311A KR102297291B1 (en) | 2020-12-16 | 2020-12-16 | Drain pipe conn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7291B1 true KR102297291B1 (en) | 2021-09-03 |
Family
ID=7778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6311A Active KR102297291B1 (en) | 2020-12-16 | 2020-12-16 | Drain pipe conn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7291B1 (en)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36580A (en) * | 1988-03-01 | 1989-06-06 | Scepte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 Conduit connector |
KR19980045595A (en) * | 1996-12-10 | 1998-09-15 | 배순훈 | Piping pipe connection structure |
KR20010028595A (en) * | 1999-09-22 | 2001-04-06 | 윤임규 | A Connector With Flanges for Conduits |
KR20040080425A (en) * | 2004-08-31 | 2004-09-18 | 황길연 | Pipe jointer with polyurethane resin and steel casing and the method and system for joining pipe using the same |
KR20040111265A (en) * | 2004-11-30 | 2004-12-31 | 주식회사 대경산업 | a rubber ring and a pipe with the adapter and connector a pipe connector |
KR20060003212A (en) * | 2004-07-05 | 2006-01-10 | 김성배 | Pipe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
JP2007321836A (en) * | 2006-05-31 | 2007-12-13 | Jfe Pipe Fitting Mfg Co Ltd | Pipe joint |
KR20110004645A (en) | 2009-07-08 | 2011-01-14 | 주식회사 화성방재 | Seismic Pipe Hanger |
KR101085122B1 (en) * | 2011-08-22 | 2011-11-18 |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 Non-welded pipe joints for easy tightening using flaring |
JP2012031985A (en) * | 2010-07-09 | 2012-02-16 | Sekisui Chem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of resin pipe |
KR101134992B1 (en) * | 2011-08-26 | 2012-04-09 |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 Clamp type non-welding pipe joint using flare processing |
KR102102365B1 (en) | 2020-01-07 | 2020-04-20 | 김명식 | Pipe support device |
-
2020
- 2020-12-16 KR KR1020200176311A patent/KR1022972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36580A (en) * | 1988-03-01 | 1989-06-06 | Scepte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 Conduit connector |
KR19980045595A (en) * | 1996-12-10 | 1998-09-15 | 배순훈 | Piping pipe connection structure |
KR20010028595A (en) * | 1999-09-22 | 2001-04-06 | 윤임규 | A Connector With Flanges for Conduits |
KR20060003212A (en) * | 2004-07-05 | 2006-01-10 | 김성배 | Pipe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
KR20040080425A (en) * | 2004-08-31 | 2004-09-18 | 황길연 | Pipe jointer with polyurethane resin and steel casing and the method and system for joining pipe using the same |
KR20040111265A (en) * | 2004-11-30 | 2004-12-31 | 주식회사 대경산업 | a rubber ring and a pipe with the adapter and connector a pipe connector |
JP2007321836A (en) * | 2006-05-31 | 2007-12-13 | Jfe Pipe Fitting Mfg Co Ltd | Pipe joint |
KR20110004645A (en) | 2009-07-08 | 2011-01-14 | 주식회사 화성방재 | Seismic Pipe Hanger |
JP2012031985A (en) * | 2010-07-09 | 2012-02-16 | Sekisui Chem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of resin pipe |
KR101085122B1 (en) * | 2011-08-22 | 2011-11-18 |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 Non-welded pipe joints for easy tightening using flaring |
KR101134992B1 (en) * | 2011-08-26 | 2012-04-09 |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 Clamp type non-welding pipe joint using flare processing |
KR102102365B1 (en) | 2020-01-07 | 2020-04-20 | 김명식 | Pipe suppor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1363B1 (en) | Device for protection of vibration | |
KR101870213B1 (en) | Pipe supporting hanger for vibration proof | |
KR102297291B1 (en) | Drain pipe connection | |
KR100931545B1 (en) | Chemical Tube Fixture | |
KR101923630B1 (en) | U bolt-type standing pipe supporter for protection of vibration | |
KR200209862Y1 (en) | Supporting apparatus of lay a pipe construct | |
JP3606821B2 (en) | Flexible seismic joint structure for waterways where internal water pressure acts | |
KR100864707B1 (en) | Piping connector | |
KR100266855B1 (en) | A wire rope fixing structure | |
CN214889391U (en) | Anti-seismic support hanger | |
KR101923629B1 (en) | Piping support device for earthquake-proof | |
KR100866849B1 (en) | Underground Prefabricated Pipe | |
JPH04181088A (en) | Expansion pipe joint with metal bellows | |
KR100706164B1 (en) | Anchor structure to prevent sewage pipe separation | |
JP2006524784A (en) | Tube fixing system | |
KR101147515B1 (en) |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unit | |
KR20110028725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straight joint section of water pipe | |
KR20150110196A (en) | Knife Stopping Water Half Pipe With U-Type Bolts | |
KR101773392B1 (en) | Drain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manhole connectors and Manhole connectors for drain pipe | |
KR100717290B1 (en) | Coupling structure of connecting member for structure | |
KR102585223B1 (en) | Earthquake Resistance and Subsidence Prevention Device for Water and Sewage Pipe Installation | |
KR102632112B1 (en) | Steel pipe connectior | |
JP3181373U (en) | Flexible waterproof joint with drainage function | |
KR100658801B1 (en) | Vertical Pressure Absorption Structure of River Underground Water Supply and Sewerage Pipes | |
CN219280390U (en) | Steel grating with stabl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