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96167B1 -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167B1
KR102296167B1 KR1020200140930A KR20200140930A KR102296167B1 KR 102296167 B1 KR102296167 B1 KR 102296167B1 KR 1020200140930 A KR1020200140930 A KR 1020200140930A KR 20200140930 A KR20200140930 A KR 20200140930A KR 102296167 B1 KR102296167 B1 KR 10229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optical film
protrusion
sheet
bas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박용완
권성오
성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to KR102020014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1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복수의 패턴이 중공부 및 중공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돌출부로 구비되므로 시트 간 접착 시 패턴의 돌출부가 제1 프리즘시트의 제1 접착층에 함침됨으로써 확산시트 및 제1 프리즘시트 간 뿐만 아니라 중공부에도 에어갭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휘도 등과 같은 광학 특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광학필름은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와 제2 프리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시트는 확산 기재층 및 상기 확산 기재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패턴은 상기 패턴의 중심영역에 위치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확산 기재층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FILM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학필름을 통해 빛을 반사하거나 투과시켜 빛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광학필름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광학필름은 프리즘시트 및 확산시트를 포함하고, 확산시트는 기재층, 기재층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광확산층으로 구성된다. 프리즘시트와 확산시트는 UV 접착제를 이용한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층이 접착제 내로 묻혀 에어갭이 소실됨으로써 광학시트의 투과도 및 휘도와 같은 광학특성이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상부광학시트의 하부에 일정한 접합패턴을 형성하여 하부광학시트와의 접합면적을 감소시켜 빛이 집광되는 영역이 감소하지 않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꼭지부가 침투되는 접착층의 높이가 낮고 요철을 가지고 있어 꼭지부가 충분히 접착층에 침투되지 않아 접착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8085호(2013.05.21)
접착력 및 휘도가 동시에 우수한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학필름은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와 제2 프리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시트는 확산 기재층 및 상기 확산 기재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패턴은 패턴의 중심영역에 위치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확산 기재층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리즘시트는 제1 기재층,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 일부분은 상기 제1 접착층에 함침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횡단면적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부 직경은 1~6㎛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1~1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외경은 내경에 반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하부 외경은 25~3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패턴 중 인접하는 패턴 간의 거리는 20~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시트 및 상기 제1 프리즘시트와 제2 프리즘시트는 라미네이션 가공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와 제2 프리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시트는 확산 기재층 및 상기 확산 기재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패턴은 패턴의 중심영역에 위치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확산 기재층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개재된 확산시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패턴이 중공부 및 중공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돌출부로 구비되므로 시트 간 접착 시 패턴의 돌출부가 제1 프리즘시트의 제1 접착층에 함침됨으로써 확산시트 및 제1 프리즘시트 간 뿐만 아니라 중공부에도 에어갭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휘도 등과 같은 광학 특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광확산층의 함침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확산시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액정패널(10), 백라이트 유닛(20), 가이드 패널(30), 하부커버(40) 및 상부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0)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PCB(11)에서 전달되는 화상 신호 정보에 따라 액정 셀들이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광원(2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23), 도광판(2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시트(24) 및 도광판(23)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필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21)은 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선광형 램프, 면광형 램프, 냉음극 형광램프,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발광다이오드소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광원(21)의 외부에는 광원 보호를 목적으로 광원커버(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100)은 복수 개의 시트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확산시트(110), 제1 프리즘시트(120)와 제2 프리즘시트(130)를 포함하고, 확산시트(110)는 도광판(23)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제1 프리즘시트(120)와 제2 프리즘시트(13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3)은 광원(2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광학필름(1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강도가 높아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지 않으며 투과율이 좋은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24)는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켜 광학필름(100) 방향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패널(30)은 액정패널(10) 및 백라이트 유닛(2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40)는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을 수납하고, 상부케이스(5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필름(100)은 확산시트(110) 및 상기 확산시트(11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120)와 제2 프리즘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필름(100)은 복수 개의 시트를 라미네이션 가공법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써 최종 두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프리즘시트(120)는 상기 확산시트(110)의 상면에 적층 형성되고, 제1 기재층(121), 상기 제1 기재층(12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제1 패턴층(122) 및 상기 제1 기재층(121)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접착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리즘시트(130)는 제1 프리즘시트(120) 상에 수직 패턴 방향으로 적층 형성되고, 제2 기재층(131), 상기 제2 기재층(13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제2 패턴층(132) 및 상기 제2 기재층(131)의 하면에 형성된 제2 접착층(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121) 및 제2 기재층(131)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계열, 폴리 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계열, 폴리노르보넨(polynorbornene) 계열,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패턴층(122) 및 제2 패턴층(132)은 서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프리즘 패턴, 렌즈 패턴, 피라미드 패턴, 및 엠보 패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패턴, 바람직하게는 프리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제1 패턴층(122) 및 제2 패턴층(132)의 수직 단면이 삼각형인 프리즘 패턴을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수직 단면이 사다리꼴, 직사각형 및 휘어진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접착층(123) 및 제2 접착층(133)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Epoxy acrylate resin)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Urethane acrylate res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개시제 또는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수지와 광경화성 모노머를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스핀옥시드계, 및 시클로헥실페닐케톤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7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제1 접착층(123) 및 제2 접착층(133)이 완전히 경화될 수 있고 잔량의 광개시제가 남아 광학필름(100)의 투명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b는 확산시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확산시트(110)는 확산 기재층(111), 상기 확산 기재층(111)의 상면에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1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확산 기재층(111)의 하면에는 광확산층(113)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 기재층(111)은 광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무색이고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틸렌(polystyrene), 폴리올레핀(polyolefin), 셀룰로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및 방수 비닐 클로라이드(weather-resistant vinyl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10~300㎛, 바람직하게는 20~2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패턴(115) 및 광 확산층(113)은 하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확산시킴과 동시에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명부와 암부를 희석시키는 광차폐의 역할을 하고, 에어갭 형성 및 빛의 산란과 굴절을 극대화시켜 휘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패턴(115)은 열경화성 수지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패턴(115)은 패턴(115)의 중심영역에 위치되는 중공부(116) 및 상기 중공부(116)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확산 기재층(111)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116)는 패턴(115)의 비교적 중심영역에 위치되고, 중공부(116)의 크기는 하기 후술할 돌출부(117)의 높이(H) 또는 내경(d1)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공부(116)란 에어(air)가 내포되어 있는 빈 공간으로 에어갭(air gab)을 의미한다.
돌출부(117)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외표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7)의 횡 단면적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고, 예컨대, 상부 직경(ℓ1)은 하부 직경(ℓ2)보다 더 작게 형성되되 상부 직경(ℓ1)은 1~6㎛, 바람직하게는 2~5㎛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7)의 상부면은 굴곡진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17)의 높이(H)는 1~15㎛, 바람직하게는 2~10㎛의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7)의 상부 직경(ℓ1)이 상기 언급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돌출부(117)의 상부가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돌출부(117)의 상부 일부분이 상기 제1 접착층(123)에 함침됨으로써 돌출부(117)의 경사면이 소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보다 많이 집광시켜 휘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7)의 높이(H)가 1㎛ 미만이면, 돌출부(117)의 상부 일부분이 제1 접착층(123)에 함침됨으로써 에어갭의 확보가 어렵고, 15㎛를 초과하면, 에어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는 하나 광학필름(100)의 최종 두께도 두꺼워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컨대, 상기 돌출부(117)의 내경(d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으며, 이때 돌출부(117)의 상부 내경(d1)은 10~20㎛, 바람직하게는 13~17㎛,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일 수 있다. 돌출부(117)의 외경(d2)은 상기 언급한 내경(d1)에 반비례할 수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질 수 있으며, 돌출부(117)의 하부 외경(d2)은 25~35㎛, 바람직하게는 28~32㎛,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7)의 상부 내경(d1)이 10㎛ 미만이면, 중공부(116)의 영역이 좁아져 확산시트(110) 및 제1 프리즘시트(120) 간의 에어갭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20㎛를 초과하면, 확산시트(110) 및 제1 프리즘시트(120) 간의 접착력이 약해 확산시트(110)가 제1 프리즘시트(12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돌출부(117)의 하부 외경(d2)이 25㎛ 미만이면, 확산시트(110) 및 제1 프리즘시트(120) 간의 에어갭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고, 35㎛를 초과하면, 확산 기재층(111) 상에 형성될 수 있는 패턴(115)의 수가 적어져 원하는 수준의 휘도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복수의 패턴(115) 중 인접하는 패턴(115') 간의 거리는 20~60㎛, 바람직하게는 30~50㎛일 수 있고, 달리 표현하자면, 복수의 패턴(115) 중 인접하는 돌출부(117') 간의 거리는 20~60㎛, 바람직하게는 30~50㎛일 수 있고, 복수의 패턴(115) 중 인접한 패턴(115) 중공부(116)의 중심영역(C)과 이웃하는 패턴(115') 중공부(116')의 중심영역(C') 간의 거리는 20~100㎛, 바람직하게는 4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일 수 있다. 복수의 패턴(115)은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에서는 지면과의 수평 단면적이 도넛 형상인 패턴(115, 115')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형상 패턴(215)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10: 액정패널
20: 백라이트 유닛 21: 광원
22: 광원커버 23: 도광판
24: 반사시트 30: 가이드 패널
40: 하부커버 50: 상부케이스
100: 광학필름 110: 확산시트
115, 115, 215': 패턴 116, 116': 중공부
117, 117': 돌출부 120: 제1 프리즘시트
130: 제2 프리즘시트

Claims (10)

  1.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와 제2 프리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시트는
    확산 기재층; 및
    상기 확산 기재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패턴은
    상기 패턴의 중심영역에 위치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확산 기재층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시트는
    제1 기재층;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기재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 일부분은 상기 제1 접착층에 함침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횡단면적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 직경은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경은 내경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부 외경은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 중 인접하는 패턴 간의 거리는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시트 및 상기 제1 프리즘시트와 제2 프리즘시트는 라미네이션 가공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0.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와 제2 프리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시트는 확산 기재층 및 상기 확산 기재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패턴은 패턴의 중심영역에 위치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확산 기재층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1~15㎛의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개재된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40930A 2020-10-28 2020-10-28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29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30A KR102296167B1 (ko) 2020-10-28 2020-10-28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30A KR102296167B1 (ko) 2020-10-28 2020-10-28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167B1 true KR102296167B1 (ko) 2021-09-02

Family

ID=7779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930A Active KR102296167B1 (ko) 2020-10-28 2020-10-28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1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645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20064500A (ko) * 2010-12-09 2012-06-1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휘도 및 확산성 향상 광학필름
KR101268085B1 (ko) 2012-06-25 2013-05-29 주식회사 엘엠에스 접합패턴이 형성된 광학시트를 가지는 광학시트 모듈
KR20150050050A (ko) * 2013-10-31 2015-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일체형 광학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85382A (ko) * 2014-01-15 2015-07-23 제일모직주식회사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645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20064500A (ko) * 2010-12-09 2012-06-1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휘도 및 확산성 향상 광학필름
KR101268085B1 (ko) 2012-06-25 2013-05-29 주식회사 엘엠에스 접합패턴이 형성된 광학시트를 가지는 광학시트 모듈
KR20150050050A (ko) * 2013-10-31 2015-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일체형 광학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85382A (ko) * 2014-01-15 2015-07-23 제일모직주식회사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579B2 (en) Optical sheet having enhanced optical characteristics
US7553058B2 (en) Optical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US7513655B2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7513673B2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0396612B1 (ko) 조명 장치
US9757924B2 (en)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7758229B2 (en) Light source assembly and backlight module having the same
JP2012504253A (ja) 導光装置
KR102422135B1 (ko)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518255B1 (ko) 백라이트 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모바일 단말기
KR102217458B1 (ko) 조명 장치
CN110703496A (zh) 背光模组
KR20090096374A (ko) 단일의 다층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513442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230058040A (ko)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JP5003298B2 (ja) 光学シート、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CN111045253B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KR102296167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11723B1 (ko) 광학용시트, 광학유닛 및 이를 적용한 조명장치
KR100896716B1 (ko) 광학 시트
KR20070118159A (ko) 반투명 벽 요소 및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296165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1953B1 (ko) 조명 장치
US20190064595A1 (en) Display system
KR102296169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