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95856B1 -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 Google Patents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856B1
KR102295856B1 KR1020200182165A KR20200182165A KR102295856B1 KR 102295856 B1 KR102295856 B1 KR 102295856B1 KR 1020200182165 A KR1020200182165 A KR 1020200182165A KR 20200182165 A KR20200182165 A KR 20200182165A KR 102295856 B1 KR102295856 B1 KR 10229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orting
aggregate
air
cycl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일섭
엄명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리텍
(주)글로벌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리텍, (주)글로벌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리텍
Priority to KR102020018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8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85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1/00Accessories, e.g. safety or control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gulators, valves in inlet or overflow du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 컨베이어와;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한 골재를 낙하시키면서 이물질을 선별하 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선별 덕트와; 상기 선별 덕트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선별 덕트 내에서 낙하하는 골재에 서로 반대 방향의 바람을 순차적으로 송풍하여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송풍기와;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골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원심력을 통해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 및 상기 제1 및 제 2 사이클론 선별기의 배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유입 측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순환 덕트;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aggregate; a sorting duct providing a space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while dropping aggregates that have fallen from the first transfer conveyor; first and second blowe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orting duct and sequentially blowing winds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aggregate falling within the sorting duc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respectively,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through centrifugal force; and at least one circulation duct for circulating the exhaust air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eparators to the inflow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without discharging them to the outside; will be.

Description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한 재생 골재로부터 목재, 플라스틱, 천조각, 비닐, 토사분말 등의 이물질을 풍력 방식으로 선별하기 위한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an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for sorting foreign materials such as wood, plastic, cloth pieces, vinyl, and soil powder from recycled aggregates from recycled construction waste by wind power method.

최근, 자원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환경 오염에 대한 심각성 인식에 따라, 건설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및 석재 등을 파쇄하여 레미콘, 아스팔트용 모래 등으로 생산하기 위한 리사이클링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Recentl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resource recycling and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 demand for recycling technology for crushing waste concrete and stone generated from construction waste to produce ready-mixed concrete and asphalt sand is increasing. .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처리 공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수집된 건설폐기물 중의 폐콘크리트 덩어리들을 1차 죠 크러셔를 통해 100mm 이하로 파쇄한 다음, 2차 더블 죠 크러셔를 통해 50mm 이하로 파쇄시킨 후, 50mm 이하로 파쇄된 폐골재들을 다시 3차 콘 크러셔를 통해 20mm 이하로 파쇄하여 최종적으로 샌드 밀을 통해 10mm 이하로 파쇄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과정에서 스크린 선별을 통해 필요한 입경의 골재로 재생하게 된다Roughly looking at the treatment process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the waste concrete chunks in the collected construction waste are crushed to 100 mm or less through the primary jaw crusher, and then crushed to 50 mm or less through the secondary double jaw crusher, then 50 mm It consists of crushing the waste aggregates crushed to less than 20 mm again through the tertiary cone crusher to less than 20 mm and finally crushing them to less than 10 mm through a sand mill. do

이와 같은 재생 골재 내에는 목재, 플라스틱, 천조각, 비닐, 토사분말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을 선별 및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진동식 스크린에 의해 일부 토사 및 이물질을 분리시킨 다음, 진동식 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를 이용하여 낙하하는 재생 골재로부터 가벼운 이물질들을 분리시키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Various kinds of foreign materials such as wood, plastic, cloth pieces, vinyl, and soil powder are included in such recycled aggregate. A method of separating ligh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alling recycled aggregate using a blower installed on one side is generally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송풍기의 먼 쪽에 위치하는 이물질이나, 다소 크기가 큰 이물질은 제대로 분리시킬 수 없어 양질의 재생 골재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물질의 선별 과정에서 먼지나 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어 작업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obtain good quality recycled aggregate becaus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ar side of the blower or foreign substances having a rather large size cannot be properly separa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st or foreign substances are scattered around in the process of sorting foreign substances, thereby seriously contaminating the working environment.

등록특허공보 제10-0444289호 (2004.08.03)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44289 (2004.08.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 폐기물을 파쇄한 재생 골재 내의 목재, 플라스틱, 천조각, 비닐, 토사분말 등의 다량의 이물질과 미세먼지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양질의 재생 골재를 생산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먼지나 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거나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quickly and effectively selecting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such as wood, plastic, cloth pieces, vinyl, soil powder, etc. It is a technical task to provide a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that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재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 컨베이어와;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한 재생 골재를 낙하시키면서 이물질을 선별하 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선별 덕트와; 상기 선별 덕트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선별 덕트 내에서 낙하하는 골재에 서로 반대 방향의 바람을 순차적으로 송풍하여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송풍기와;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골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원심력을 통해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 및 상기 제1 및 제 2 사이클론 선별기의 배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유입 측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순환 덕트;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aggregate; a sorting duct providing a space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while dropping the recycled aggregate that has fallen from the first transfer conveyor; first and second blowe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orting duct and sequentially blowing winds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aggregate falling within the sorting duc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respectively,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through centrifugal force; and at least one circulation duct for circulating the exhaust air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eparators to the inflow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without discharging to the outside; do.

또한, 상기 순환 덕트는, 상기 제1 사이클론 선별기의 공기 배출 측과 상기 제2 송풍기의 공기 유입 측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순환 덕트; 및 상기 제2 사이클론 선별기의 공기 배출 측과 상기 제1 송풍기의 공기 유입 측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순환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tion duct may include: a first circulation duct connecting the air outlet side of the first cyclone selector and the air inlet side of the second blower; and a second circulation duct connecting the air outlet side of the second cyclone separator and the air inlet side of the first blower.

또한, 상기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는, 상기 선별 덕트로부터 상기 제1 송풍기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사이클론 선별기에 연결되는 제1 송풍 덕트; 및 상기 선별 덕트로부터 상기 제2 송풍기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사이클론 선별기에 연결되는 제2 송풍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includes: a first blowing duct extending from the sorting duc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blow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yclone sorter; and a second blowing duct extending from the sorting duc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low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yclone sorter.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덕트는 상기 선별 덕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를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may have a downwardly inclined shape from the sorting duct toward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vib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window for visually checking the inside.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물질로부터 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for separating metal from foreign substances.

또한, 상기 선별 덕트의 하부에는, 이물질이 분리된 후 낙하한 골재를 이송시키는 제2 이송 컨베이어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transfer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fallen aggregate after the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orting duct.

또한, 상기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와 상기 선별 덕트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송풍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 조절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necting ducts respective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nd the sorting duct, amo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ducts. At least one air volume control damper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air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의 하부에 연결된 이물질 배출관에는 이물질의 배출시 내부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 discharge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to minimize internal pressure loss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discharged.

또한, 상기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은,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플랩과; 상기 제1 및 제2 플랩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개폐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랩이 닫힌 상태에서 제1 플랩을 개방하고, 기설정된 시간 후 상기 제1 플랩을 닫고 상기 제2 플랩을 개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개폐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 discharge un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lap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unit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flaps, respectivel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units to open the first flap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aps are closed, and to close the first flap and open the second flap after a preset time; may include

또한, 상기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측과 배출측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차압계; 및 상기 차압계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기설정치에 도달하는 경우 알람 정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a differential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and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larm information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gauge reaches a preset value.

또한, 상기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압력계; 및 상기 압력계의 측정 압력을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송풍 압력이 목표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a pressure gauge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so that the blowing pressures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maintain target pressures based o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송풍하는 제1 및 제2 송풍기를 이용하여 낙하하는 골재로부터 이물질을 2단계로 선별하고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 선별 및 집진을 수행함으로써, 다량의 이물질과 미세먼지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from the falling aggregate in two stages using first and second blowers blowing in opposite directions, and foreign substances are sorted and collect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ectively select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또한,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1 및 제2 송풍기로 순환되게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이나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거나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to be circulated 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by minimizing the scattering or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or dust to the outside.

나아가, 제1 및 제2 송풍기를 이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고,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은 동력으로 높은 압력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는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to blow air in opposite directions and to continuously circulate the air, it is possible to blow high pressure air with little power, which has the advantage of saving energy.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별 덕트 내에서 낙하하는 골재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schematic view of a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sor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ggregate falling in the sorting duc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ime difference opening and closing discharge unit shown in Figure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an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an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형 골재내 이물질 선별 장치는 제1 이송 컨베이어(11), 선별 덕트(20), 제1 송풍기(31), 제2 송풍기(32),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 및 순환 덕트(51, 5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apparatus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first conveying conveyor 11 , a sorting duct 20 , a first blower 31 , a second blower 32 , the second It includes a first cyclone sorter (41), a second cyclone sorter (42) and circulation ducts (51, 52).

제1 이송 컨베이어(11)는 재생 골재, 구체적으로 건설 폐기물을 죠 크러셔, 콘 크러셔 등의 파쇄기를 통해 파쇄하여 생산된 재생 골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The first transport conveyor 11 transports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ed by crushing the recycled aggregat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waste through a crusher such as a jaw crusher or a cone crusher, in one direction.

선별 덕트(20)는 제1 이송 컨베이어(11)로부터 낙하한 재생 골재를 낙하시키면서 그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선별 덕트(20)는 제1 이송 컨베이어(11)의 아래 공간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의 재생 골재 낙하 공간을 구비한다.The sorting duct 20 provides a space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therein while dropping the recycled aggregate that has fallen from the first transfer conveyor 11 . The sorting duct 2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low the first transfer conveyor 11 and has a space for falling recycled aggreg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 송풍기(31)와 제2 송풍기(32)는 선별 덕트(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선별 덕트(20)를 기준으로 제1 송풍기(31)가 일측에 설치된 경우, 제2 송풍기(32)는 그 반대측에 설치된다. 제1 송풍기(31)와 제2 송풍기(32)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송풍기(32)가 제1 송풍기(3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 송풍기(31, 32)는 지지 프레임(15)에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 마운트부(13, 14)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31 and the second blower 32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orting duct 20, respectively, an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blower 31 is install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orting duct 20 , the second blower 32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The first blower 31 and the second blower 32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and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blower 32 is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blower 31 is exemplified.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31 and 32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ounts 13 and 14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15 at different heights.

제1 송풍기(31)와 제2 송풍기(32)는 선별 덕트(20) 내에서 낙하하는 재생 골재에 서로 반대 방향의 바람을 순차적으로 송풍하여 재생 골재로부터 이물질이 풍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한다. 제1 송풍기(31)는 제1 연결 덕트(71)에 의해 선별 덕트(20)와 연결되고, 제2 송풍기(32)는 제2 연결 덕트(72)에 의해 선별 덕트(2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송풍기(31)가 제2 송풍기(32)보다 상측에 설치된 경우, 선별 덕트(20)에서 낙하하는 재생 골재는 제1 송풍기(31)에서 송풍된 바람에 부딛혀 이물질이 분리되게 되고, 그 후 계속 낙하하여 제2 송풍기(32)에서 송풍된 바람에 부딛혀 이물질이 분리되게 된다. 이 때 제1 송풍기(31)에서 송풍된 바람과 제2 송풍기(32)에서 송풍된 바람은 서로 반대 방향을 가지며, 이와 같이 반대 방향의 바람이 재생 골재에 순차적으로 풍력을 가함으로써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The first blower 31 and the second blower 32 sequentially blow winds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recycled aggregate falling in the sorting duct 20 so that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from the recycled aggregate by wind power. The first blower 31 may be connected to the sorting duct 20 by a first connecting duct 71 , and the second blower 32 may be connected to the sorting duct 20 by a second connecting duct 72 . . When the first blower 31 is installed above the second blower 32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ycled aggregate falling from the sorting duct 20 is struck by the wind blown by the first blower 31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s separated, and then continues to fall and collide with the wind blown by the second blower 32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t this time, the wind blown by the first blower 31 and the wind blown by the second blower 32 have opposite directions, and the wind in the opposite direction sequentially applies wind power to the recycled aggregate to effectively separate foreign substances. can do.

제1 및 제2 송풍기(31, 32)는 제1 및 제2 연결덕트(71, 72)에 의해 선별 덕트(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덕트(71, 7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송풍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 조절 댐퍼(7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수동식 또는 전자 제어식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lowers 31 and 32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rting duct 20 b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ducts 71 and 72 .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ducts 71 and 72 may be provided with an air volume control damper 73 for adjusting the air volume of blowing air, which may have a manual or electronically controlled type.

또한, 제1 및 제2 송풍기(31, 32)의 송풍 압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송풍 압력을 유지하도록 제어부를 통한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 송풍기(31, 32)의 출구 측에 압력계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압력계의 측정 압력을 근거로 제1 및 제2 송풍기(31, 32)의 송풍 압력이 목표 압력을 유지하도록 제1 및 제2 송풍기(31, 3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 재생 골재의 사이즈나 선별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사이즈나 중량에 따라 목표 송풍 압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blowing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31 and 32 through the control unit to maintain the blowing pressure set by the user. To this end, a pressure gauge may be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31 and 32,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blowing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31 and 32 is the target pressure based o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31, 32 to maintain.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target blowing pressure in stag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generated aggregate or the size or weight of the foreign material to be sorted.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와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는 선별 덕트(20)를 기준으로 제1 송풍기(31)와 제2 송풍기(32)의 반대편에 각각 설치된다. 다시 말해, 제1 송풍기(31)의 반대편에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가 설치되고, 제2 송풍기(32)의 반대편에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는 재생 골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원심력을 통해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한다.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뿐만 아니라 공기 내 먼지까지 함께 제거한다.The first cyclone sorter 41 and the second cyclone sorter 42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blower 31 and the second blower 32 with respect to the sorting duct 20 . In other words, the first cyclone separator 41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blower 31 , and the second cyclone separator 42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lower 32 .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sort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recycled aggregate through centrifugal force.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remove not only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but also dust in the air.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로 진입한 공기가 하향으로 나선 운동함에 따라 이물질과 먼지는 원심력에 의해 벽쪽으로 이동한 다음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의 하부로 배출되고, 이물질과 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나선 운동을 마치고 상향 나선 운동을 하여 상측으로 배출된다.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의 하부에는 이물질 배출관(45)이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 박스(4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는 외부로부터 설비를 보호하고 먼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케이싱(43, 44) 내에 수용될 수 있다.As the air entering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spirals downward, foreign substances and dust move toward the wall by centrifugal force and then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The exhausted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nd dust have been removed, is discharged upward by spiraling upward after completing the spiral motion. A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45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 and a collection box 46 for collecting foreign materials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ings 43 and 44 for protecting the equipment from the outside and blocking the outflow of dust.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는 선별 덕트(20)와 제1 송풍 덕트(61)를 통해 연결된다. 제1 송풍 덕트(61)는 선별 덕트(20)로부터 제1 송풍기(31)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에 연결된다.The first cyclone sorter 41 is connected through the sorting duct 20 and the first blowing duct 61 . The first blowing duct 61 extends from the sorting duct 20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blower 3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yclone sorter 41 .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는 선별 덕트(20)와 제2 송풍 덕트(62)를 통해 연결된다. 제2 송풍 덕트(62)는 선별 덕트(20)로부터 제2 송풍기(32)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에 연결된다.The second cyclone sorter 42 is connected through the sorting duct 20 and the second blowing duct 62 . The second blowing duct 62 extends from the sorting duct 20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lower 32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yclone sorter 42 .

제1 및 제2 송풍 덕트(61, 62)는 선별 덕트(20)로부터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를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바람을 통해 선별된 이물질들이 보다 매끄럽게 제1 및 제2 사이클론 필터(41, 42)로 흡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61 and 62 may have a downwardly inclined shape from the sorting duct 20 toward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respectively. This is to enable the foreign substances selected through the wind to be more smoothly suck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filters 41 and 42 .

제1 및 제2 송풍 덕트(61, 6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6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점검창(63)을 통해 제1 및 제2 송풍 덕트(61, 62) 내의 이물질 이동 상태를 확인하면서 풍량 조절 댐퍼(63)를 이용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61 and 62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window 63 through which the inside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According to this, the air volume can be adjusted using the air volume control damper 63 while checking the state of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61 and 62 through the inspection window 63 .

또한, 제1 및 제2 송풍 덕트(61, 6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송풍 덕트(61, 62)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송풍 덕트(61, 62)의 벽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 vib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61 and 62, and through this,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61 and 62,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wal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61 and 62 or to separate the adhering foreign substances.

한편, 제1 및 제2 송풍 덕트(61, 6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물질로부터 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마그네트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물질에 포함된 금속만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다. 마그네트는 제1 및 제2 송풍 덕트(61, 62)의 상측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61 and 62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with a magnet for separating the metal from the foreign material, through which only the metal included in the foreign material can be separately separated. The magnets may be installed on upper wal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61 and 62 .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측과 배출측에는 유입측과 배출측 사이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차압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차압계에는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의 막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알람 유닛은 차압계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기설정치에 도달하는 경우 알람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는 경광등이나 싸이렌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 가능하다.A differential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installed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eparators 41 and 42,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gauge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eparators ( An alarm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blockage state of 41 and 42 may be connected. The alarm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larm information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gauge reaches a preset value, which is configurable in the same way as a warning light or a siren.

순환 덕트(51, 52)는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의 배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제1 및 제2 송풍기(31, 32)의 유입 측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순환 덕트(51) 및 제2 순환 덕트(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s 51 and 52 are for circulating the exhaust air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eparators 41 and 42 to the inflow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31 and 32 without discharging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It may include a circulation duct 51 and a second circulation duct 52 .

제1 순환 덕트(51)는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의 공기 배출 측과 제2 송풍기(32)의 공기 유입 측 사이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순환 덕트(52)는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의 공기 배출 측과 제1 송풍기(31)의 공기 유입 측 사이를 연결한다. 제1 순환 덕트(51)는 상측으로 향하는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의 공기 배출구와 수평 방향을 향하는 제2 송풍기(32)의 공기 유입구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차례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 순환 덕트(52)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circulation duct 51 connects between the air outlet side of the first cyclone separator 41 and the air inlet side of the second blower 32 . In addition, the second circulation duct 52 connects between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second cyclone separator 42 and the air inlet side of the first blower 31 . The first circulation duct 51 may have a shape bent several times to connect between the air outlet of the first cyclone selector 41 facing upward and the air inlet of the second blower 32 facing horizontally. In addition, the second circulation duct 52 may also have a bent shape in the same way.

선별 덕트(20)의 하부에는 제2 이송 컨베이어(12)가 설치되며, 제2 이송 컨베이어(12)는 이물질이 분리된 후 낙하한 재생 골재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이송 컨베이어(12)는 일정 높이의 지지대(16)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이송 방향이 제1 이송 컨베이어(11)의 이송 방향과 엇갈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transfer conveyor 12 is installed under the sorting duct 20 , and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12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recycled aggregate that has fallen after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12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16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transfer direction thereof may be arranged in a manner that is crossed with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conveyor 11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별 덕트 내에서 낙하하는 재생 골재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orting foreign substances from recycled aggregate falling within the sorting duct shown in FIG. 1 .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에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이송 컨베이어(11)로부터 이송된 재생 골재(A)가 선별 덕트(20)를 통해 아래로 낙하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oreign material sorting apparatus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regenerated aggregate A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conveyor 11 is the sorting duct 20 . fall down through

제1 송풍기(31)에서 불어온 바람은 재생 골재(A)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며, 이물질이 포함된 바람(B)은 제1 송풍 덕트(61)를 통해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로 흡입된다. The wind blown from the first blower 31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cycled aggregate A, and the wind B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s is sucked into the first cyclone sorter 41 through the first blowing duct 61 .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의 동작에 따라 이물질과 먼지가 선별되어 하부의 이물질 배출관(45)을 통해 배출되며, 이물질과 먼지가 제거된 정화 공기는 제1 사이클론 선별기(41)의 상부를 통해 제1 순환 덕트(51)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cyclone sorter 41, foreign substances and dust are sor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ipe 45 at the bottom, and the purified ai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nd dust are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yclone sorter 41. 1 It is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duct (51).

제1 순환 덕트(51)의 공기는 제2 송풍기(32)로 유입되며, 제2 송풍기(32)는 제1 송풍기(31)와 반대 방향으로 바람(C)을 송풍하여 재생 골재(A)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한다. 제2 송풍기(32)의 바람(C)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포함된 바람(D)은 제2 송풍 덕트(62)를 통해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로 흡입된다.The air of the first circulation duct 51 flows into the second blower 32 , and the second blower 32 blows the wind C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blower 31 from the recycled aggregate A Separate foreign substances. The wind 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removed by the wind C of the second blower 32 is sucked into the second cyclone separator 42 through the second blowing duct 62 .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의 동작에 따라 이물질과 먼지가 선별되어 하부로 배출되며, 이물질과 먼지가 제거된 정화 공기는 제2 사이클론 선별기(42)의 상부를 통해 제2 순환 덕트(52)로 배출된다. 제2 순환 덕트(52)로 배출된 공기는 제1 송풍기(31)로 유입되며, 앞서 설명된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yclone sorter 42 , foreign substances and dust are sorted and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and the purified ai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nd dust are removed is dir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duct 52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yclone sorter 42 . is emitted The air discharged to the second circulation duct 52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blower 31,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이상과 같이 반대 방향의 바람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재생 골재(A)는 최종적으로 제2 이송 컨베이어(12)로 낙하하여 다음 공정을 위해 이송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generated aggregate A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equentially removed by the wind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finally dropped to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12 and transferred for the next process.

이상의 따른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에 따르면,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에서 배출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선별 장치 내부를 순환하게 되므로, 이물질이나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적은 동력으로 높은 압력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sinc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circulates inside the sorting device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eign substances or dust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an block airflow and blow high pressure air with little power.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41, 42)의 하부에 연결된 이물질 배출관(45)에는 이물질의 배출시 내부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8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45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41 and 42 has a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 discharge unit 80 for minimizing the internal pressure loss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discharged. Additional can be install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 discharge unit shown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80)은 제 및 제2 플랩(81, 82), 제1 개폐 유닛(83, 84), 제2 개폐 유닛(85, 86)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discharging unit 80 includes first and second flaps 81 and 82 , first opening/closing units 83 and 84 , second opening/closing units 85 and 86 , and a controller.

제1 플랩(81)과 제2 플랩(82)은 이물질 배출관(45)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The first flap 81 and the second flap 82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45 .

제1 개폐 유닛(83, 84)은 제1 플랩(81)을 개폐하고, 제2 개폐 유닛(85, 86)은 제2 플랩(82)을 개폐하는 기능을 하며, 이들은 제1 및 제2 플랩(81, 82)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암(84, 86)과, 구동암(84, 86)을 회전 동작시키는 실린더(83, 85)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다만, 제1 개폐 유닛(83, 84)과 제2 개폐 유닛(85, 86)의 구성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The first opening/closing units (83, 84) open and close the first flap (81),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s (85, 86) function to open/close the second flap (82), which are the first and second flaps It can be implemented by the driving arms 84 and 86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81 and 82, and the cylinders 83 and 85 for rotating the driving arms 84 and 86.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s 83 and 84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s 85 and 86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제어기는 제1 및 제2 플랩(81, 82)이 닫힌 상태에서 제1 플랩(81)을 개방하고, 기설정된 시간 후 제1 플랩(81)을 닫고 제2 플랩(82)을 개방하도록 제1 개폐 유닛(83, 84)과 제2 개폐 유닛(85, 86)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opens the first flap 8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aps 81 and 82 are closed, closes the first flap 81 and opens the second flap 82 after a preset time. The opening/closing units 83 and 84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s 85 and 86 are controlled.

도 3의 (a)는 제1 플랩(81, 82)이 모두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 상태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없는 상태이다. 제어기의 작동에 의해 (b)와 같이 제1 플랩(81)을 개방하면, 이물질이 제2 플랩(82)의 위치까지 배출되게 되나, 제2 플랩(82)에 막혀 외부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이 때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80)의 내부 압력은 사이클론 선별기(41, 42)와 동일한 상태이다. Figure 3 (a) shows the first flaps 81 and 82 are both closed,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cannot be discharged. When the first flap 81 is opened as in (b)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the foreign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flap 82, but is blocked by the second flap 82 and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 discharge unit 80 is the same as that of the cyclone sorters 41 and 42 .

기설정된 시간 이후, 제어기는 (c)와 같이 제1 플랩(81)을 닫으며, 이에 의해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80)은 사이클론 선별기(41, 42)의 압력과 차단된다. 이에 따라 사이클론 선별기(41, 42)의 압력 손실은 발생하지 않으며, 마지막으로 제2 플랩(82)을 개방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압력 손실 없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After a preset time, the controller closes the first flap 81 as shown in (c), whereby the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 discharge unit 80 is blocked from the pressure of the cyclone sorters 41 and 42. Accordingly, the pressure loss of the cyclone sorters 41 and 42 does not occur, and finally, the second flap 82 is opened to discharge the foreign material to the outside,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pressure loss.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를 이용하여 재생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선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물질 선별 가능한 골재는 재생 골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골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sorting foreign substances or dust included in the recycled aggregate using the foreign substance sorting device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11: 제1 이송 컨베이어 12: 제2 이송 컨베이어
13, 14: 마운트부 15: 지지 프레임
16: 지지대 20: 선별 덕트
31: 제1 송풍기 32: 제2 송풍기
41: 제1 사이클론 선별기 42: 제2 사이클론 선별기
43, 44: 케이싱 45: 이물질 배출관
51: 제1 순환 덕트 52: 제2 순환 덕트
61: 제1 송풍 덕트 62: 제2 송풍 덕트
63: 점검창 71: 제1 연결 덕트
72: 제2 연결 덕트 73: 풍량 조절 댐퍼
80: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 81: 제1 플랩
82: 제2 플랩 83, 85: 실린더
84, 86: 구동암
11: first transfer conveyor 12: second transfer conveyor
13, 14: mount portion 15: support frame
16: support 20: sorting duct
31: first blower 32: second blower
41: first cyclone sorter 42: second cyclone sorter
43, 44: casing 45: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51: first circulation duct 52: second circulation duct
61: first blowing duct 62: second blowing duct
63: inspection window 71: first connection duct
72: second connection duct 73: air volume control damper
80: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 discharge unit 81: first flap
82: second flap 83, 85: cylinder
84, 86: drive arm

Claims (13)

골재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 컨베이어;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한 골재를 낙하시키면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선별 덕트;
상기 선별 덕트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선별 덕트 내에서 낙하하는 골재에 서로 반대 방향의 바람을 순차적으로 송풍하여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송풍기;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반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골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원심력을 통해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
상기 제1 및 제 2 사이클론 선별기의 배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유입 측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순환 덕트;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와 상기 선별 덕트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덕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송풍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 조절 댐퍼;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a first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aggregate;
a sorting duct providing a space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while dropping aggregates that have fallen from the first transfer conveyor;
first and second blowe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orting duct and sequentially blowing winds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aggregate falling within the sorting duc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respectively,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ggregate through centrifugal force;
at least one circulation duct for circulating the exhaust air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eparators to the inle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without discharging them to the outsid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ducts respective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nd the sorting duct; and
A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an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comprising a;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ducts, the air volume control damper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덕트는,
상기 제1 사이클론 선별기의 공기 배출 측과 상기 제2 송풍기의 공기 유입 측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순환 덕트; 및
상기 제2 사이클론 선별기의 공기 배출 측과 상기 제1 송풍기의 공기 유입 측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순환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lation duct,
a first circulation duct connecting between the air outlet side of the first cyclone separator and the air inlet side of the second blower; and
and a second circulation duct connecting the air outlet side of the second cyclone sorter and the air inlet side of the first bl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덕트로부터 상기 제1 송풍기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사이클론 선별기에 연결되는 제1 송풍 덕트; 및
상기 선별 덕트로부터 상기 제2 송풍기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사이클론 선별기에 연결되는 제2 송풍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lowing duct extending from the sorting duct to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blow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yclone sorter; and
A second blowing duct extending from the sorting duc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low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yclone sorter;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덕트는 상기 선별 덕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를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has a downwardly inclined shape from the sorting duct toward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vib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an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aggreg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spection window through which the inside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is instal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물질로부터 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ducts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 for separating metal from foreign substances is installed, an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aggreg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덕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이물질이 분리된 후 낙하한 골재를 이송시키는 제2 이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conveying conveyo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orting duct and transporting the fallen aggregate after the foreign material is separated;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의 하부에 연결된 이물질 배출관에는 이물질의 배출시 내부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an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characterized in that a time difference opening/closing discharge unit is installed in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orters to minimize the internal pressure loss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discharg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 개폐 배출 유닛은,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플랩;
상기 제1 및 제2 플랩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개폐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랩이 닫힌 상태에서 제1 플랩을 개방하고, 기설정된 시간 후 상기 제1 플랩을 닫고 상기 제2 플랩을 개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개폐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ime difference opening and closing discharge unit,
first and second flap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unit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flaps, respectivel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units to open the first flap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aps are closed, and to close the first flap and open the second flap after a preset time A foreign material sorting device in the air circulation type aggregat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클론 선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측과 배출측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차압계; 및
상기 차압계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기설정치에 도달하는 경우 알람 정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fferential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an inlet side and an outlet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separators; and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larm information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gauge reaches a prese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압력계; 및
상기 압력계의 측정 압력을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송풍 압력이 목표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ressure gauge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nd
Air circulation typ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 the basis of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the blowing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to maintain a target pressure; A device for sorting foreign matter in aggregate.
KR1020200182165A 2020-12-23 2020-12-23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Active KR1022958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165A KR102295856B1 (en) 2020-12-23 2020-12-23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165A KR102295856B1 (en) 2020-12-23 2020-12-23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856B1 true KR102295856B1 (en) 2021-09-01

Family

ID=7777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165A Active KR102295856B1 (en) 2020-12-23 2020-12-23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85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672B1 (en) 2022-06-14 2023-01-31 주식회사 파워리텍 Foreign body separating apparatus using fluidized bed by wind power
KR102715711B1 (en) 2024-06-05 2024-10-11 주식회사 파워리텍 Recycled aggregate water tank sorting device using a weir system
KR102766503B1 (en) * 2024-04-30 2025-02-12 대교환경 주식회사 Twin air injection type separation and screening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organic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nd recovering loose aggregates
KR102822117B1 (en) * 2025-01-06 2025-06-18 주식회사 엠제이기술 Air circulation type wind sorting apparatus having high pressure discharge structure
KR102822116B1 (en) * 2024-12-19 2025-06-18 주식회사 엠제이기술 Cross duct type and filter dust collecting type wind sorter using a step discharge chu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2072A (en) * 1995-08-14 1997-02-25 Tajiri:Kk Wind power sorting machine for solid waste and sor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is wind power sorting machine
KR100444289B1 (en) 2004-05-04 2004-08-12 유한회사 전일환경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KR200387254Y1 (en) * 2005-03-30 2005-06-17 홍성평 Dry Type Sorting Plant for producing Circulation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KR20140137766A (en)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리텍 The foreign material sorting apparatus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KR20150125314A (en)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Grain Size Classific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2072A (en) * 1995-08-14 1997-02-25 Tajiri:Kk Wind power sorting machine for solid waste and sor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is wind power sorting machine
KR100444289B1 (en) 2004-05-04 2004-08-12 유한회사 전일환경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KR200387254Y1 (en) * 2005-03-30 2005-06-17 홍성평 Dry Type Sorting Plant for producing Circulation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KR20140137766A (en)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리텍 The foreign material sorting apparatus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KR20150125314A (en)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Grain Size Classification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672B1 (en) 2022-06-14 2023-01-31 주식회사 파워리텍 Foreign body separating apparatus using fluidized bed by wind power
KR102766503B1 (en) * 2024-04-30 2025-02-12 대교환경 주식회사 Twin air injection type separation and screening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organic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nd recovering loose aggregates
KR102715711B1 (en) 2024-06-05 2024-10-11 주식회사 파워리텍 Recycled aggregate water tank sorting device using a weir system
KR102822116B1 (en) * 2024-12-19 2025-06-18 주식회사 엠제이기술 Cross duct type and filter dust collecting type wind sorter using a step discharge chute
KR102822117B1 (en) * 2025-01-06 2025-06-18 주식회사 엠제이기술 Air circulation type wind sorting apparatus having high pressure discharg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856B1 (en)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KR101836832B1 (en)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US7387266B2 (en) Aggregate recycling apparatus hav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substance and fine particle separation means, and method thereof
JP5465589B2 (en) Waste sorting equipment
US8167138B2 (en) Dry washing device
JP2012020215A (en) Apparatus for sorting/treating waste
KR101888458B1 (en) A Multi-screening apparatus using air pulse back filter
KR101616633B1 (en) Classifier for aggregate
CN108787465A (en) A kind of rubbish inclined plate vibration winnowing combination unit and sorting process
CN206763079U (en) Environment-friendly type building solid refuse processing unit
KR100761097B1 (en) Multi-stage air supply device for selection of wonder
KR200331312Y1 (en) Gravitational apparatus for sorting construction waste
KR101077101B1 (en) Sorting equipment for wind force the inside circulation of recycling closed circuit to waste
KR102417884B1 (en) Foreign substances separating apparatus in aggregate with air circulation type
JP3735599B2 (en) Specific gravity difference sorter
KR102493672B1 (en) Foreign body separating apparatus using fluidized bed by wind power
JP4315953B2 (en) Mixed waste treatment equipment
US1994610A (en) Abrasive separating and cleaning apparatus
KR100452857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from the scrapped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JP4182049B2 (en) Wind sorter
KR200329222Y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from the scrapped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KR100559483B1 (en)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JP3173073B2 (en) Waste separation equipment
KR102074634B1 (en) The waste selector
CN106984409A (en) Aspirator and application method are crushed in a kind of rice protein negative pressure series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