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339B1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5339B1 KR102295339B1 KR1020170127929A KR20170127929A KR102295339B1 KR 102295339 B1 KR102295339 B1 KR 102295339B1 KR 1020170127929 A KR1020170127929 A KR 1020170127929A KR 20170127929 A KR20170127929 A KR 20170127929A KR 102295339 B1 KR102295339 B1 KR 102295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omagnetic
- value
- positioning
- terminal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58 core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활용하는 수신세기기반(BLE) 셀 맵 및 지자기 셀 맵의 개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기자기 기반 측위 시 파티클(particle) 이동 및 자중치를 부여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위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10 : 수신부 120 : 확인부
130 : 측위수행부 140 : 맵 구축/저장부
Claims (14)
- 측위 대상이 되는 특정 단말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을, 상기 업링크패킷을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수신한 업링크패킷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이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 시 측정한 수신세기값 및 지자기 기반의 측위 수행에 필요한 지자기 관련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의 수신세기값 및 지자기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한 측위 절차를 수행하는 측위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위수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의 수신세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지자기 기반의 측위를 수행할 대상범위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은,
저전력의 특정 통신 방식에 따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상기 업링크패킷에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특정 단말의 지자기센서에서 센싱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전송주기 내 특정 샘플링 횟수로 계산한 수직성분 지자기값들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들과,
상기 특정 단말의 가속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이동 방식에 따라 계산한 가속도값,
상기 지자기센서에서 센싱되는 자북 방향의 센싱값 및 상기 지자기센서의 특정 면을 기준으로 계산한 이동방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수행부는,
기 구축한 수신세기기반 셀 맵을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의 수신세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지자기 기반의 측위를 수행할 대상범위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세기기반 셀 맵은,
기 정의된 특정 크기 단위로 구성한 다수의 수신세기기반 셀 별로, 수신세기기반 셀에서 신호 송신 시 상기 신호 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장치 및 상기 게이트웨이장치가 상기 신호 수신 시 측정 가능한 수신세기값의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와 편차값을 저장하며,
상기 측위수행부는,
상기 다수의 수신세기기반 셀 중, 신호 송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모두가 상기 신호 수신이 가능한 수신세기기반 셀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수신세기기반 셀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의 수신세기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셀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확인한 수신세기기반 셀 중 셀 가중치가 특정 셀 가중치값 이상인 수신세기기반 셀을, 상기 대상범위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수행부는,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의 가속도값 및 이동방향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의 이동방향값, 상기 샘플링 단위의 수직성분 지자기값들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들을 이용하여, 기 선정된 대상범위에서 파티클 샘플링 알고리즘 수행을 통해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지자기 기반의 측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기 정의된 특정 크기 단위로 구성한 다수의 지자기 셀 별로, 지자기 셀에서 측정 가능한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별 지자기값의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중간값 중 적어도 하나와 편차값을 저장하는 지자기 셀 맵을 기 구축하며;
상기 측위수행부는,
상기 다수의 지자기 셀 중, 대상범위와 중첩되는 지자기 셀에 특정 개수의 파티클을 무작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샘플링 단위 마다, 상기 지자기 셀 맵 상에서 상기 이동거리를 상기 샘플링 단위로 구분한 구분이동거리 만큼, 상기 이동방향값에 따라 상기 파티클을 이동시키고,
상기 샘플링 단위 마다, 상기 이동된 파티클이 위치하는 지자기 셀 각각에 대하여,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의 현재 샘플링 단위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 상기 현재 샘플링 단위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과 직전 샘플링 단위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 간의 편차, 지자기 셀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의 평균값과 편차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수행부는,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샘플링 단위 마다 파티클을 이동 및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파티클 샘플링 알고리즘 수행을 지속하고,
상기 지속 수행되는 파티클 샘플링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다수의 지자기 셀 별로 부여/누적된 가중치가 기 정의된 수렴 조건을 만족하면, 가장 높은 가중치의 지자기 셀을,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한 측위 결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장치. - 측위 대상이 되는 특정 단말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을, 상기 업링크패킷을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로부터 수신한 업링크패킷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이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 시 측정한 수신세기값 및 지자기 기반의 측위 수행에 필요한 지자기 관련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의 수신세기값 및 지자기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한 측위 절차를 수행하는 측위수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위수행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의 수신세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지자기 기반의 측위를 수행할 대상범위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특정 단말의 지자기센서에서 센싱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전송주기 내 특정 샘플링 횟수로 계산한 수직성분 지자기값들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들과,
상기 특정 단말의 가속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이동 방식에 따라 계산한 가속도값,
상기 지자기센서에서 센싱되는 자북 방향의 센싱값 및 상기 지자기센서의 특정 면을 기준으로 계산한 이동방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수행단계는,
기 구축한 수신세기기반 셀 맵을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장치 각각의 수신세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지자기 기반의 측위를 수행할 대상범위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수행단계는,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의 가속도값 및 이동방향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의 이동방향값, 상기 샘플링 단위의 수직성분 지자기값들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들을 이용하여, 기 선정된 대상범위에서 파티클 샘플링 알고리즘 수행을 통해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지자기 기반의 측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기 정의된 특정 크기 단위로 구성한 다수의 지자기 셀 별로, 지자기 셀에서 측정 가능한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별 지자기값의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중간값 중 적어도 하나와 편차값을 저장하는 지자기 셀 맵을 기 구축하며;
상기 측위수행단계는,
상기 다수의 지자기 셀 중, 대상범위와 중첩되는 지자기 셀에 특정 개수의 파티클을 무작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샘플링 단위 마다, 상기 지자기 셀 맵 상에서 상기 이동거리를 상기 샘플링 단위로 구분한 구분이동거리 만큼, 상기 이동방향값에 따라 상기 파티클을 이동시키고,
상기 샘플링 단위 마다, 상기 이동된 파티클이 위치하는 지자기 셀 각각에 대하여, 상기 지자기 관련 데이터의 현재 샘플링 단위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 상기 현재 샘플링 단위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과 직전 샘플링 단위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 간의 편차, 지자기 셀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 지자기값의 평균값과 편차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수행단계는,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샘플링 단위 마다 파티클을 이동 및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파티클 샘플링 알고리즘 수행을 지속하고,
상기 지속 수행되는 파티클 샘플링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다수의 지자기 셀 별로 부여/누적된 가중치가 기 정의된 수렴 조건을 만족하면, 가장 높은 가중치의 지자기 셀을,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한 측위 결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측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929A KR102295339B1 (ko) | 2017-09-29 | 2017-09-29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KR1020210104815A KR102426865B1 (ko) | 2017-09-29 | 2021-08-09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929A KR102295339B1 (ko) | 2017-09-29 | 2017-09-29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4815A Division KR102426865B1 (ko) | 2017-09-29 | 2021-08-09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8009A KR20190038009A (ko) | 2019-04-08 |
KR102295339B1 true KR102295339B1 (ko) | 2021-08-27 |
Family
ID=661642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7929A Active KR102295339B1 (ko) | 2017-09-29 | 2017-09-29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KR1020210104815A Active KR102426865B1 (ko) | 2017-09-29 | 2021-08-09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4815A Active KR102426865B1 (ko) | 2017-09-29 | 2021-08-09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9533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1576A (ko) * | 2019-12-24 | 2021-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실내 측위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5201B1 (ko) * | 2009-09-24 | 2012-04-16 | 동부씨엔아이 주식회사 |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속도 위치 정보를 이용한 수신신호강도 기반 위치 측정 방법 및 위치측정 시스템 |
WO2014065539A1 (ko) * | 2012-10-22 | 2014-05-01 | (주)와이파이브 | 상향링크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추정장치 및 위치추정방법 |
KR101808095B1 (ko) * | 2015-07-20 | 2017-12-14 | 아이데카 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
KR102452504B1 (ko) * | 2015-09-14 | 2022-10-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단말 및 이의 위치 측정 방법 |
KR102153932B1 (ko) * | 2016-01-12 | 2020-09-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측위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자동 갱신 장치 및 방법 |
-
2017
- 2017-09-29 KR KR1020170127929A patent/KR102295339B1/ko active Active
-
2021
- 2021-08-09 KR KR1020210104815A patent/KR102426865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6865B1 (ko) | 2022-07-28 |
KR20190038009A (ko) | 2019-04-08 |
KR20210101188A (ko) | 2021-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36356B2 (en) | Location estimation method for indoor device | |
US10070253B2 (en) |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adio fingerprint map construction and location tracking | |
JP5980929B2 (ja) | 到来時間に基づく測位システム | |
JP5395963B2 (ja) | 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ポジショニングシステムの位置データベースの管理 | |
KR102579650B1 (ko) | 무선 핑거프린트 맵 구축 및 위치 측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
US873804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ireless AP map | |
KR20120070172A (ko) | 근거리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추정 방법 | |
KR102452504B1 (ko) | 단말 및 이의 위치 측정 방법 | |
Zare et al. | Applications of wireless indoor positioning systems and technologies in underground mining: A review | |
KR20120114882A (ko) |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차등적인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 |
US20060268795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de position calculation method and node | |
CN104335064A (zh) | 改进的三边测量处理 | |
KR20090095773A (ko) | 위치추적 장치 | |
CN102196560A (zh) | 一种Zigbee网络中的高精度节点定位方法 | |
KR102426865B1 (ko) | 단말 측위 장치 및 단말 측위 방법 | |
CN112824924A (zh) | 渐进式全球定位系统及其方法 | |
WO2015150344A1 (en) | A wireless access point, a transmitter-implemented method, a mobile user device and a user-implemented method for localization | |
US1106433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by using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y | |
CN106416396A (zh) | 运行位置提供者进程 | |
US9933508B2 (en) | Magnetic positioning management | |
US11310627B2 (en) | Method for geolocation of connected objects, connected object, associated terminal and system | |
CN101998232A (zh) | 移动装置定位方法及设备 | |
CN107396300A (zh) | 基于北斗地基增强系统和物联网的基站定位方法 | |
Prakash et al. | [Retracted] Mixed Linear Programming for Charging Vehicle Scheduling in Large‐Scale Rechargeable WSNs | |
KR20180083570A (ko) | 모바일 단말의 레인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30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8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